KR101735485B1 - 편극 중성자 유도관 - Google Patents

편극 중성자 유도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485B1
KR101735485B1 KR1020150125816A KR20150125816A KR101735485B1 KR 101735485 B1 KR101735485 B1 KR 101735485B1 KR 1020150125816 A KR1020150125816 A KR 1020150125816A KR 20150125816 A KR20150125816 A KR 20150125816A KR 101735485 B1 KR101735485 B1 KR 101735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rtion
neutron
inner circumferential
polarized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5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8775A (ko
Inventor
조상진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25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5485B1/ko
Publication of KR20170028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1/00Shielding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reactor
    • G21C11/06Reflecting shields, i.e. for minimising loss of neutr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KTECHNIQUE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IRRADIATION DEVICES; GAMMA RAY OR X-RAY MICROSCOPES
    • G21K1/00Arrangement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e.g. focusing or moderating
    • G21K1/06Arrangement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e.g. focusing or moderating using diffraction, refraction or reflection, e.g. monochromators
    • G21K1/062Devices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Particle Accel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마주보는 제1 내주면 및 제2 내주면을 구비하는 몸체; 및 중성자 초거울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입사된 중성자를 스핀-업 편극 중성자와 스핀-다운 편극 중성자로 분리시키는 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부는, 중성자의 최초 입사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판부; 상기 제1 판부의 일단에서 각각 상기 제1 내주면 및 상기 제2 내주면을 향해 연장되고, 각각 상기 제1 내주면 및 상기 제2 내주면과 제1 각도를 형성하는 제2 판부와 제3 판부; 및 상기 제1 판부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일단을 마주보는 위치에서 각각 상기 제1 내주면 및 상기 제2 내주면을 향해 연장되고, 각각 상기 제2 판부 및 상기 제3 판부와 교차되도록 이루어지며, 각각 상기 제1 내주면 및 상기 제2 내주면과 제2 각도를 형성하는 제4 판부와 제5 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극 중성자 유도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편극 중성자 유도관{A POLARIZED NEUTRON GUIDE TUBE}
본 발명은 중성자를 편극시키고 이송하는 중성자 유도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중성자(cold neutron source)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편극 중성자들로 분리시키고, 분리된 편극 중성자들을 멀리 떨어진 장치로 이송하는 편극 중성자 유도관에 관한 것이다.
중성자는 대부분 원소들에 대해 양(+)의 산란 길이 밀도를 가지는데, 이는 중성자들의 물질면에 대한 입사각이 매질 속에서의 굴절각보다 큰 것을 의미한다. 중성자와 X선 등의 성질이 이상적이라고 가정하면, 물질 표면에 임계각 이내로 입사되는 경우 전반사 된다. 인위적으로 두 개의 서로 다른 물질을 주기적으로 반복시킨 박막구조에서는 회절 현상이 생기는데, 다층 박막들의 두께를 조절하여 전반사의 임계각을 넓힌 것을 초거울(super mirrors)이라고 한다. 이러한 초거울을 사용하여 편극 중성자 유도관을 제작하게 된다.
종래에는 중성자 유도관(Neutron Guides)으로 냉중성자원에서 발생된 냉중성자(이하, 중성자라 함)를 진공 상태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장치로 손실없이 이동시키기 위해 초거울을 사용하여 다수개의 유도관 유닛들을 직렬로 구성하는게 일반적이었다. 이 경우, 단지 하나의 스핀 상태의 중성자만을 이용하므로 중성자의 이용 효율 측면에서 최대 50%만 이용하는 단점이 있게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편극 중성자 초거울 및 역편극 중성자 초거울을 이용하여 나머지 50%의 중성자까지 이용하는 방법으로, 유도관을 통해 입사되는 중성자들에 자기장을 걸어 자기장에 중성자를 평행(parallel) 또는 비평행(anti parallel)하게 정렬시킨 후, 두 종류 편극 중성자 초거울을 중성자를 분리시킬 수 있는 각도로 설치하는 방법이 이용되었다. 이 경우 중성자 유도관의 내부의 분리된 두 개의 영역에서 중성자는 계속 반사하여 전진하게 된다. 이 방법에 의해 버려지는 50%의 중성자도 이용할 수 있으나, 중성자의 분산각이 높아지고 측정된 중성자 검출을 위한 검출기의 길이가 길어져야 하고, 검출기 구조물의 대형화와 높은 분산각의 중성자의 반사를 위해 높은 M값을 지닌 중성자 초거울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47353호(2006.11.10. 등록),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36794호(2006.10.13.등록) 및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96225호(2012.10.25. 등록)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중성자 초거울을 이용하여 중성자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편극 중성자를 유도하여 연결된 장치로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편극 중성자 초거울과 역편극 중성자 초거울 사용시 발생하는 분산각을 억제하는 편극 중성자 유도관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편극 중성자 유도관은 서로 마주보는 제1 내주면 및 제2 내주면을 구비하는 몸체; 및 중성자 초거울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입사된 중성자를 스핀-업 편극 중성자와 스핀-다운 편극 중성자로 분리시키는 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부는, 중성자의 최초 입사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판부; 상기 제1 판부의 일단에서 각각 상기 제1 내주면 및 상기 제2 내주면을 향해 연장되고, 각각 상기 제1 내주면 및 상기 제2 내주면과 제1 각도를 형성하는 제2 판부와 제3 판부; 및 상기 제1 판부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일단을 마주보는 위치에서 각각 상기 제1 내주면 및 상기 제2 내주면을 향해 연장되고, 각각 상기 제2 판부 및 상기 제3 판부와 교차되도록 이루어지며, 각각 상기 제1 내주면 및 상기 제2 내주면과 제2 각도를 형성하는 제4 판부와 제5 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제1 각도보다 크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판부는 서로 다른 종류의 중성자 초거울이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판부와 마주보는 상기 제1 내주면 및 상기 제1 판부와 마주보는 상기 제2 내주면은 각각 상기 제1 판부와 동일한 중성자 초거울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판부에 의해 구분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편극 중성자가 진행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4 판부 및 상기 제5 판부는 상기 제1 판부의 일단보다 상기 몸체의 전방의 위치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제1 판부와 마주본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4 판부 및 상기 제5 판부는 상기 제2 판부와 상기 제3 판부를 투과한 편극 중성자는 투과시키고 상기 제2 판부와 상기 제3 판부에 반사된 편극 중성자는 반사시켜 분산각을 낮추며,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제4 판부 및 상기 제5 판부의 M 값에 의해 결정된다.
이때, 상기 제2 판부 및 상기 제3 판부에서 반사되는 편극 중성자는 상기 제4 판부 및 상기 제5 판부에 의해 전부 반사되도록, 상기 제4 판부 및 상기 제5 판부는 각각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극 중성자 유도관.
상기 중성자 초거울은, 스핀-업 편극 중성자는 반사시키고 스핀-다운 편극 중성자는 투과시키는 Ni/Ti, FeCo/Si, Fe/Si 및 Fe/G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중성자 반사 박막과, 스핀-업 편극 중성자는 투과시키고 스핀-다운 편극 중성자는 반사시키는 Co/Cu 및 Ni/Ti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중성자 반사 박막이 상호 조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입사된 중성자를 편극 중성자로 분리시킨다.
상기 제2 판부와 상기 제5 판부는 동일한 종류의 중성자 초거울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판부에서 반사되는 편극 중성자는 상기 제5 판부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2 영역으로 진행되도록 상기 제2 판부 및 상기 제5 판부는 각각 서로 다른 상기 내주면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3 판부와 상기 제4 판부는 동일한 종류의 중성자 초거울로 형성되고, 상기 제3 판부에서 반사되는 편극 중성자는 상기 제4 판부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1 영역으로 진행되도록 상기 제3 판부와 상기 제4 판부는 각각 서로 다른 내주면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주면과 상기 제1 판부 사이 또는 상기 제2 내주면과 상기 제1 판부 사이 중 어느 일 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4 판부 및 상기 제5 판부에서 반사되거나 투과된 상기 제1 영역이나 상기 제2 영역으로 진행하는 편극 중성자의 스핀을 전환시켜 동일한 스핀을 가지는 편극 중성자를 형성시키는 스핀 반전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중성자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중성자들을 스핀-업(spin-up)의 편극 중성자와 스핀-다운(spin-down)의 편극 중성자들로 분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중성자 초거울을 투과시키면서도 중성자 초거울에 반사되는 편극 중성자의 분산각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의 편극 중성자 유도관이 불필요하고,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효과적으로 편극 중성자들을 분리하여 설비 구조의 소형화를 이뤄 편극 중성자의 분리와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일반적인 편극 중성자 유도관의 사시도.
도 3은 편극 중성자 유도관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물질의 산란 길이밀도를 나타내는 그림.
도 5는 중성자 초거울의 원리를 나타내는 그림.
도 6은 종래의 편극 중성자 유도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종래의 편극 중성자 유도관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종래의 편극 중성자 유도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종래의 편극 중성자 유도관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편극 중성자 유도관(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편극 중성자 유도관(100)은 입사된 중성자를 편극시킨 후 이를 이송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편극 중성자 유도관(100)은 입사된 중성자를 스핀-업(spin-up) 편극 중성자와 스핀-다운(spin-down) 편극 중성자로 분리시킨 후 이를 필요로 하는 장치에 전달한다. 편극 중성자 유도관(100)은 편극 중성자들을 이송하기 위해 몸체(110)의 상부 및 하부에 초거울이 피복된 내주면(111, 112)을 구비하고, 몸체(110)의 내부에는 중성자 초거울로 형성되는 판부(120)가 위치하게 된다.
초거울(super mirror)이란, 반사율이 99.9% 이상인 고 반사율을 가지는 거울로서 레이저 자이로 장치, 자유 전자 레이저, 양자 광학, 레이저 간섭형 중력파 안테나 및 광자 감쇠 분광분석기 등의 분야에서 핵심 부품으로 활용되고 있다. 초거울은 반복되는 다층 박막들의 두께 변화를 통해 회절된 선폭을 임계각까지 넓힐 수 있고, 니켈의 전 반사각을 2배 이상 넓힐 수 있는 거울을 일반적으로 초거울이라고 한다. 중성자 초거울은 스핀-다운(spin-down) 편극 중성자들은 반사시키면서 스핀-업(spin-up) 편극 중성자들은 투과시키는 Co/Cu 또는 Ni/Ti으로 이루어지는 중성자 반사 박막이 피복된 중성자 초거울(역편극 중성자 초거울)과, 스핀-업(spin-up) 중성자는 반사시키면서 스핀-다운(spin-down) 중성자는 투과시키는 FeCo/Si, Fe/Si 및 Fe/Ge으로 이루어지는 중성자 반사 박막이 피복된 중성자 초거울(편극 중성자 초거울)의 두 종류가 있다. 예를 들어, Fe/Si는 Fe와 Si가 다층 박막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두 종류의 중성자 초거울 즉, 편극 중성자 초거울과 역편극 중성자 초거울을 조합시켜 구성함으로써 입사된 중성자를 편극 중성자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편극 중성자의 손실을 줄이면서 연결된 장치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편극 중성자 유도관(100)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편극 중성자 유도관(100)은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110)와 몸체(110) 내부에 위치하는 판부(120)로 구성된다. 또한, 편극 중성자 유도관(100)은 스핀-업 편극 중성자와 스핀-다운 편극 중성자를 한 종류의 편극 중성자로 형성시킨 후 이송하기 위해 스핀 반전기(spin flipper)를 포함할 수 있다. 스핀 반전기(130)는 제1 판부(121)에 의해 구분된 제1 영역(114)이나 제2 영역(115)의 일 측에 위치되고, 제1 영역(114)과 제2 영역(115)에서 이송되는 스핀-업 편극 중성자들과 스핀-다운 편극 중성자들 사이에서 스핀을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극 중성자 유도관(100)은, 전방 측에는 중성자 입사되는 공간을 구비하고, 후방 측에는 편극 중성자의 이동 통로인 제1 영역(114) 및 제2 영역(115)을 구비한다.
편극 중성자 유도관(100)은 몸체(110)와 판부(120)를 포함한다.
몸체(110)의 내부에는 편극 중성자 초거울 및 역편극 중성자 초거울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제1 판부(121), 편극 중성자 초거울 또는 역편극 중성자 초거울로 이루어지는 제2 내지 제5 판부(125)들이 배치된다. 몸체(110)는 중성자가 이송되는 진공의 공간과 공간을 향해 중성자 반사 박막이 피복된 초거울로 이루어지는 내주면(111, 112)을 구비한다.
몸체(11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제1 내주면(111)과 제2 내주면(112)이 위치하고, 제1 내주면(111)과 제2 내주면(112)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제1 내주면(111)은 FeCo/Si, Fe/Ge 및 Fe/Si 중에서 선택된 물질이 피복되어 형성되는 편극 중성자 초거울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내주면(112)은 Co/Cu, Ni/Ti 중에서 선택된 물질이 피복되어 형성되는 역편극 중성자 초거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주면(111)은 역편극 중성자 초거울로 제2 내주면(112)은 편극 중성자 초거울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제1 내주면(111)과 제2 내주면(112)은 서로 다른 종류의 중성자 초거울로 이루어져 서로 다른 편극 중성자가 진행 방향으로 이송되어야 할 것이다.
편극 중성자 유도관(100)은 몸체(110) 내부에 위치되는 판부(120)를 포함한다. 판부(120)는 중성자 초거울로 형성되고 몸체(110)의 내부에 장착된다. 판부(120)는 입사된 중성자를 스핀-업 편극 중성자와 스핀-다운 편극 중성자로 분리시킨다. 판부(120)는 제1 판부(121), 제2 판부(122), 제3 판부(123), 제4 판부(124) 및 제5 판부(125)로 구분 할 수 있다.
제1 판부(121)는 중성자의 최초 입사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몸체(110)의 진공의 영역을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 제1 판부(121)는 몸체(110) 내부를 상하의 제1 영역(114)과 제2 영역(115)으로 나누게 된다. 제1 판부(121)는 서로 다른 중성자 초거울이 적층되어 형성되고, 적층된 중성자 초거울은 제1 내주면(111) 및 제2 내주면(112)과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마주보는 각 내주면(111, 112)과 제1 판부(121)는 동일한 중성자 초거울로 이루어져 제1 판부(121)에 의해 구분된 제1 영역(114) 및 제2 영역(115)을 통해 편극 중성자가 진행되도록 한다.
제1 판부(121)의 표면에는 중성자 반사 박막이 피복된 중성자 초거울이 위치된다. 제1 판부(121)는 몸체(110) 내부의 진공의 공간을 구획하여 제1 영역(114) 및 제2 영역(115)을 형성한다. 제1 영역(114)과 제2 영역(115)은 각각 스핀-업 편극 중성자 또는 스핀-다운 편극 중성자가 분리되어 이송되는 유로이다.
제1 판부(121)는 판재형의 구조를 가지고, 스핀-업 편극 중성자와 스핀-다운 편극 중성자가 이송되도록 제1 판부(121)의 제1 내주면(111)과 마주보는 일 면에는 제1 내주면(111)과 같은 종류의 편극/역편극 중성자 초거울이 위치되고, 제1 판부(121)의 제2 내주면(112)과 마주보는 다른 일 면에는 제2 내주면(112)과 같은 종류의 편극/역편극 중성자 초거울이 위치되어 편극된 중성자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에서 제1 판부(121)는 수평으로 몸체(110)의 내측 공간을 상하로 분할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제1 판부(121)가 몸체(110)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배치되어 몸체(110) 내부의 공간을 좌우로 분할할 수도 있다.
도 1에서 보듯이, 제2 판부(122)와 제3 판부(123)는 제1 판부(121)의 일단에서 각각 제1 내주면(111) 및 제2 내주면(112)을 향해 연장되고, 각각 제1 내주면(111) 및 제2 내주면(112)과 제1 각도를 형성한다.
제2 판부(122)는 제1 판부(121)의 일단에서 제1 내주면(111)을 향해 중성자가 입사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내주면(111)과는 제1 각도를 가진다. 마찬가지로, 제3 판부(123)는 제1 판부(121)의 일단에서 제2 내주면(112)을 향해 중성자가 입사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내주면(112)과는 제1 각도를 가진다. 즉, 제2 판부(122)는 제1 내주면(111)과 제1 각도를 이루고, 제1 내주면(111)의 일 측에서 제1 판부(121)를 향해 돌출되어 제1 판부(121)와 연결되고, 제3 판부(123)는 제2 내주면(112)과 제1 각도를 이루고, 제2 내주면(112)의 일 측에서 제1 판부(121)를 향해 돌출되어 제1 판부(121)와 연결된다. 여기서 제1 각도는 제1 내주면(111)과 제2 판부(122) 또는 제2 내주면(112)과 제3 판부(123)가 이루는 각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제1 각도는 대략 2°정도를 의미한다.
제4 판부(124)와 제5 판부(125)는 제1 판부(121)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일단을 마주보는 위치에서 각각 제1 내주면(111) 및 제2 내주면(112)을 향해 연장되고, 각각 상기 제2 판부(122) 및 상기 제3 판부(123)와 교차되도록 이루어지며, 각각 제1 내주면(111) 및 제2 내주면(112)과는 제2 각도를 형성한다. 제4 판부(124)는 제1 내주면(111)과 제2 각도를 이루고 제1 내주면(111)의 일 측에서 제2 판부(122)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5 판부(125)는 제2 내주면(112)과 제2각도를 이루고 제2 내주면(112)의 일 측에서 제3 판부(123)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제4 판부(124)와 제5 판부(125)는 제1 판부(121)의 일단보다 몸체(110) 전방 위치에서 연장되어 제1 판부(121)와 마주보는 구조를 가진다.
제4 판부(124)와 제5 판부(125)는 제2 판부(122)와 제3 판부(123)를 투과한 편극 중성자는 투과시키고, 제2 판부(122)와 제3 판부(123)에 반사된 편극 중성자는 반사시켜 분산각을 낮추도록 제2 각도는 제4 판부(124) 및 제5 판부(125)의 M값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도 1에서 보듯이, 제2 판부(122) 및 제3 판부(123)에서 반사되는 편극 중성자는 제4 판부(124) 및 제5 판부(125)에 의해 전부 반사될 수 있도록, 제4 판부(124) 및 제5 판부(125)는 각각 두 개씩 쌍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2 판부(122)와 제3 판부(123)에서 반사된 편극 중성자 전부를 누락없이 제4 판부(124)와 제5 판부(125)에서 반사시켜 분산각이 줄어들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 제2 각도는 약 2°~ 3°를 의미하고, 제2 각도는 제1 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판부(124)와 제5 판부(125)와 몸체(110)의 내주면(111, 112)이 이루는 각도는 몸체(110)의 내주면(111, 112)과 제2 판부(122) 및 제3 판부(123)가 이루는 각도보다 큰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2 판부(122) 또는 제3 판부(123)를 투과한 편극 중성자는 계속 투과하고, 제2 판부(122) 또는 제3 판부(123)로부터 반사된 편극 중성자는 제4 판부(124) 또는 제5 판부(125)에서 반사되어 분산각이 낮아지게 된다. 예를 들어, 제2 판부(122)를 투과한 편극/역편극 중성자는 계속진행하여 제4 판부(124)를 투과하고, 제2 판부(122)에서 반사되는 역편극/편극 중성자는 제5 판부(125)에서 반사되어 분산각이 낮아지게 된다.
제4 판부(124)와 제5 판부(125)가 몸체(110)의 내주면(111, 112)과 이루는 각도를 제2 판부(122)와 제3 판부(123)가 몸체(110)의 내주면(111, 112)과 이루는 각도보다 크게 하는 이유는 제2 판부(122)와 제3 판부(123)에서 투과된 편극 중성자는 제4 판부(124)와 제5 판부(125)에서 계속 투과되어 진행할 수 있도록, 제4 판부(124)와 제5 판부(125)가 가지는 임계각보다 크게 입사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편극 중성자는 분산각을 줄어들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의 중성자 초거울은 스핀-업 편극 중성자는 반사시키고 스핀-다운 편극 중성자는 투과시키는 FeCo/Si, Fe/Si 및 Fe/Ge 중에서 선택된 물질로 이루어지는 중성자 반사 박막과 스핀-업 중성자는 투과시키고 스핀-다운 중성자는 반사시키는 Co/Cu 및 Ni/Ti 중에서 선택된 물질로 이루어지는 중성자 반사 박막이 형성된 중성자 초거울을 상호 조합하여 중성자를 편극 중성자로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중성자 초거울의 조합은 제2 판부(122)와 제5 판부(125)를 동일한 중성자 초거울로 형성시키고, 제2 판부(122)에서 반사되는 편극 중성자는 제5 판부(125)에서 반사되어 제2 영역(115)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2 판부(122)와 제5 판부(125)는 서로 다른 내주면(111, 112)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2 판부(122) 및 제5 판부(125)의 일부는 서로 마주보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3 판부(123)와 제4 판부(124)는 동일한 중성자 초거울로 형성되어 제3 판부(123)에서 반사되는 편극 중성자는 제4 판부(124)에서 반사되어 제2 영역(115)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제3 판부(123) 및 제4 판부(124)는 서로 다른 내주면(111, 112)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3 판부(123) 및 제4 판부(124)의 일부는 서로 마주보게 된다.
도 1에서 보듯이, 스핀-업 중성자와 스핀-다운 중성자로 분리된 두 종류의 중성자를 모두 사용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므로 편극 중성자 유도관(100)은 스핀 반전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핀 반전기(spin flipper)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중성자의 스핀을 반대 스핀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스핀-다운 편극 중성자와 스핀-업 편극 중성자 사이의 스핀을 전환시키게 된다. 스핀 반전기에 자기장을 걸어주면, 스핀-다운 중성자와 스핀-업 중성자 사이에 스핀이 전환되게 된다. 스핀 반전기(spin flipper)는 Mezei-type, Brookhaven-type 등의 여러 종류가 있고, 중성자의 스핀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는 스핀 반전기에 정확한 자기장을 걸어 주어야 할 것이다.
스핀 반전기(130)는 제1 내주면(111)과 제1 판부(121) 사이 또는 제2 내주면(112)과 제1 판부(121) 사이 중 어느 일 측에 위치되어 제4 판부(124) 및 제5 판부(125)에서 반사되거나 투과되어 제1 영역(114)이나 제2 영역(115)으로 진행하는 편극 중성자의 스핀을 전환시켜 동일한 편극 중성자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편극 중성자 유도관(100)을 나타내고, 도 3은 편극 중성자 유도관(100)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편극 중성자 유도관(100)의 몸체(110)는 일반적으로 단면이 사각형이고 중성자가 이동하는 통로인 진공의 공간을 구비한다. 중성자원은 편극 중성자 유도관(100)의 일 측으로 입사되어 내부의 진공의 공간을 통과하여 연결 장치(10)와 연결된 다른 일 측을 통해서 이송되게 된다. 도 3을 보면, 편극 중성자 유도관(100)의 몸체(110) 내부에는 중성자 반사 박막이 피복된 중성자 초거울이 형성되어 있어, 편극된 중성자가 이송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물질의 산란 길이밀도를 나타내는 그림이고, 도 5는 중성자 초거울의 원리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중성자는 전기적으로 중성이지만, 전자의 분포는 중성자의 무게 중심과 일치하지 않아 자기 모멘트를 가진다. 자기장하에서 중성자는 스핀 방향이 자기장의 방향과 평행하도록 스핀-업 중성자와 스핀-다운 중성자로 정렬된다. 이 두 가지의 스핀은 자기화된 물질에 각각 다른 산란능력을 가지며, 이 성질을 이용하여 중성자들은 편극시킬 수 있다. 중성자 초거울은 자성물질과 비자성물질이 결합되어 형성되고, 자성물질은 스핀-업 중성자와 스핀-다운 중성자 각각 두 개의 산란 길이밀도(scattering length density: SLD)를 가진다. 이 중 하나의 산란 길이 밀도가 비자성물질의 산란 길이 밀도와 비슷한 값을 가지도록 구성하게 된다.
예를 들면, 편극 중성자 초거울은 강자성 물질인 Fe 및 Co의 합금과 Si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FeCo 합금과 같은 자기 물질은 자기장 내에서 자기화되고, 자기장에서 정렬된 스핀-업 중성자와 스핀-다운 중성자는 각각 다른 산란 거리 밀도를 가진다. FeCo-Si의 다층 박막에서 FeCo의 다운-스핀 중성자의 산란 거리 밀도는 비자성체인 Si의 산란 거리 밀도와 비슷하므로 다운-스핀 중성자는 두 박막의 차를 인식하지 못하고 투과되고, 스핀-업 중성자는 회절과 전반사에 의해 반사된다. 이러한 원리로 중성자를 편극시킬 수 있다.
도 5를 보면, FeCo의 다운-스핀 중성자의 산란 길이 밀도는 Si의 산란 길이 밀도와 부합되므로, FeCo-Si의 다층 박막으로 형성되는 편극 중성자 초거울은 다운-스핀 중성자는 투과시키고 업-스핀 중성자는 반사시키게 된다. 또한, Co의 업-스핀 중성자의 산란 길이 밀도는 Cu의 산란 길이 밀도와 부합되므로, Co-Cu의 다층 박막으로 형성되는 역편극 중성자 초거울은 업-스핀 중성자는 투과시키고 다운-스핀 중성자는 반사시키게 된다.
도 6과 도 7은 종래의 편극 중성자 유도관(1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나의 스핀 상태의 중성자만을 이용하여 최대 50%의 중성자만을 이용하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편극 및 역편극 중성자 거울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입사되는 중성자들에 자기장을 걸어주고 자기장에 중성자가 평행(parallel) 또는 비평행(anti parallel)하게 정렬시킨 후, 두 종류의 편극 중성자 초거울들을 이용하여 중성자를 분리시킬 수 있는 각도로 설치하게 된다. 중성자 유도관 내부는 두 개의 영역으로 분리되며 분리된 중성자는 편극 중성자 초거울 또는 역편극 중성자 초거울 등에 의해 계속 반사되어 진행하게 된다.
이 방법에 의하면, 버려지는 50%의 중성자까지도 이용할 수 있으나, 진행하는 편극 중성자의 분산각이 높아지므로 측정된 중성자를 검출하기 위한 중성자 검출기의 길이가 길어지고 검출기 구조물의 대형화 또는 높은 분산각의 중성자를 반사시키기 위한 고가의 높은 M값을 지닌 중성자 초거울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0을 보면, 중성자가 평행하게 입사된다고 할 때, 제2 판부(122) 및 제3 판부(123)가 몸체(110)의 내주면(111, 112)과 이루는 각도 A가 2°라고 할 때, 각 거울에서 반사되는 중성자는 편극 유도관의 상하판과 4°차이를 보이게 된다. 이를 반사시키기 위해 파장 0.5mm의 중성자의 경우에는 편극 중성자 유도관(100)의 내주면(111, 112)에는 M=8의 초거울로 코팅하는 것이 요구된다.
코팅된 초거울의 상태에 따라 전반사가 가능한 최대 입사각의 크기가 달라진다. 중성자 초거울들은 각각 니켈의 전반사각의 몇 배에 해당하는 입사각으로 입사된 중성자까지 전반사시킬 수 있느냐에 따라 M=2(2배), M=3(3배), M=4(4배) 등으로 지칭되게 된다. 예를 들어, M 값은 파장 0.5 mm를 기준으로, 니켈의 전반사각이 0.5°라면 M=1 인 값을 가진다고 가정하면, 니켈의 전반사각의 두 배인 1°까지 반사시킬 수 있는 거울은 M=2 값을 가지며 니켈의 전반사 각의 3배인 1.5°까지 반사시킬 수 있는 거울은 M=3 값을 가진다고 한다. M=2 일때, 총 박막수는 약 80~100층이지만, M=3 일 때, 총 박막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약 800~1000층 정도의 적층 구조를 가지게 된다. M 값이 클수록 제조 공정이 용이하지 않고, 그 비용 또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된다.
도 7에서 중성자가 입사되는 경우, 제2 판부(122) 및 제3 판부(123)에 의해서 반사 혹은 투과되는 편극 중성자는 몸체(110)의 내주면(111, 112)에서 반사되어 진행 방향으로 나아가게 된다. 즉, 제1 판부(121)를 기준으로, 스핀-업 중성자 및 스핀-다운 중성자는 분리되어 진행 방향으로 나아가게 되고, 일 측에 존재하는 스핀 반전기(130)에 의해 동일한 스핀 중성자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다만, 반사되는 중성자의 분산각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인 편극 중성자 유도관(1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편극 중성자 유도관(100)의 내부 구조를 볼 수 있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편극 중성자 유도관(100)은 종래의 발명인 도 6 및 도 7과는 다르게, 편극 중성자 유도관(100)의 몸체(110)의 내부에는 제1 판부(121), 제2 판부(122), 제3 판부(123)뿐만 아니라, 제4 판부(124) 및 제5 판부(125)가 위치하게 된다. 도 8에서 보듯이, 편극 중성자 유도관(100)의 일 측으로 입사되는 중성자원은 몸체(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내지 제5 판부(125)를 통과한 후 스핀-업 중성자와 스핀-다운 중성자로 편극되게 된다.
도 9는 편극 중성자 유도관(100)의 내부에 판부와 스핀 반전기(130)가 위치한 모습을 나타내고,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편극 중성자의 운동을 나타낸다.
몸체(110)의 내부에는 중성자의 진행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1 판부(121)가 위치되고, 이에 의해 제1 영역(114)과 제2 영역(115)으로 구분된다. 제1 판부(121)는 편극 중성자 초거울과 역편극 중성자 초거울 각각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며, 편극/역편극 중성자 초거울은 내주면(111, 112)의 중성자 초거울의 종류에 따라 정해진다. 즉, 서로 마주보는 내주면(111, 112)과 제1 판부(121)의 일 면은 동일한 성질의 중성자 초거울을 가진다.
도 9를 보면, 제2 판부(122)는 제1 내주면(111)의 일 측에서 제1 판부(121)를 향해서 연장되고, 제3 판부(123)는 제2 내주면(112)의 일 측에서 제1 판부(121)를 향해서 연장되게 된다. 또한 제4 판부(124)는 제1 내주면(111)의 일 측에서 중성자가 입사되는 방향을 향해서 연장되고, 제5 판부(125)는 제2 내주면(112)의 일 측에서 중성자가 입사되는 방향을 향해서 연장되게 된다. 제4 판부(124)와 제5 판부(125)는 도 13과 같이 각각 두 개씩 쌍을 이뤄 위치될 수 있다. 제4 판부(124)와 제5 판부(125)를 각각 두 개씩 형성시키는 것은, 제2 판부(122)와 제3 판부(123)에서 반사되는 편극 중성자를 최대한 반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실험을 통해서 정해진 것이다. 다만, 도 13에서 보듯이, 제2 판부(122)와 제3 판부(123) 각각이 제1 내주면(111) 및 제2 내주면(112)과 이루는 각도는 A도 이고, 제4 판부(124)와 제5 판부(125) 각각이 제1 내주면(111) 및 제2 내주면(112)과 이루는 각도는 B도 이다. 여기서 B는 A보다 크다.
도 10은 종래의 편극 중성자 유도관(100)에서 편극 중성자의 운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입사된 중성자는 제2 판부(122) 및 제3 판부(123)에 의해 투과되거나 반사되어 제1 판부(121)를 기준으로 구분된 상하부의 영역에서 편극되어 진행하게 된다. 다만, 도 10에서 처럼 편극된 중성자는 제1 내주면(111)과 제2 내주면(112)에 의해 반사되어 분산각이 커지는 단점이 있다.
도 11의 편극 중성자 유도관(100)은 제2 판부(122)와 제3 판부(123)만이 위치하는 도 10과 다르게 제5 판부(125)가 제2 내주면(112)과 A각도를 이루면서 위치된다. 편극 중성자의 운동을 살펴보면, 제2 판부(122)에서 반사되는 스핀-다운 중성자의 일부는 제5 판부(125)에 의해 다시 반사되어 진행 방향을 따라 직진하게 된다. 다만, 제3 판부(123)를 투과하는 스핀-다운 중성자는 제5 판부(125)의 후면에 의해 반사되어 분산각의 억제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도 12는 도 11과 다르게 제5 판부(125)가 제2 내주면(112)과 이루는 각도를 A가 아닌 B로 구성한 도면을 나타낸다. 여기서 B는 A보다 큰 각도이다. B를 A보다 크게 하는 이유는 제3 판부(123)를 투과하는 스핀-다운 중성자가 제5 판부(125)의 후면에서 반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5 판부(125)에 입사되는 입사각이 제5 판부(125)가 가지는 임계각보다 크게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제5 판부(125)가 제2 내주면(112)과 이루는 각도인 B를 제2 판부(122)가 제1 내주면(111)과 이루는 각도인 A보다 크게 구성하게 되면, 제2 판부(122)에서 반사된 다운-스핀 중성자의 제5 판부(125)에 입사각은 제2 판부(122)와 제1 내주면(111)이 이루는 각도보다 상대적으로 적어 쉽게 반사되고, 제3 판부(123)를 투과하여 유도관 몸체(110)와 평행하게 진행하는 다운-스핀 중성자는 제5 판부(125)에의 입사각이 커져 반사되지 않고 투과하게 된다. 제5 판부(125)가 제2 내주면(112)이 이루는 각도는 분산각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제2 판부(122)와 제1 내주면(111)과 이루는 각도보다 미세하게 크도록 위치시키면 된다.
예를 들어, 도 13을 보면, 제2 판부(122)와 제1 내주면(111)이 이루는 각도가 2°일때 제5 판부(125)와 제2 내주면(112)이 이루는 각도를 2.2°로 구성하면, 제2 판부(122)에서 반사되는 중성자의 제5 판부(125)의 거울의 입사각은 1.8°이며, 제3 판부(123)를 투과하는 중성자의 제5 판부(125)로의 입사각은 2.2°이므로, 제5 판부(125)를 M=4인 값으로 코팅하면 최대 반사각이 2.0°가 되므로 제2 판부(122)에서 반사되는 중성자는 반사시키고, 제3 판부(123)를 투과하여 진행하는 중성자는 투과시킬 수 있게 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M 값, 제2 판부(122)와 제3 판부(123)가 각각 제1 내주면(111) 및 제2 내주면(112)이 이루는 각도, 제4 판부(124)와 제5 판부(125)가 각각 제1 내주면(111) 및 제2 내주면(112)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여 다양하게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2 판부(122)에서 반사되는 다운-스핀 중성자를 모두 반사시키기 위해서는 제5 판부(125)를 이중 구조로 설치하면 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3 판부(123)에서 반사되는 업-스핀 중성자가 모두 반사되기 위해 제4 판부(124)는 이중 구조로 설치된다. 도 13와 같이 제4 판부(124) 및 제5 판부(125)를 도면과 같이 구성하게 되면, 제4 판부(124)와 제5판부를 통과한 모든 편극 중성자의 분산각이 억제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편극 중성자 유도관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편극 중성자 유도관 110: 몸체
111: 제1 내주면 112: 제2 내주면
114: 제1 영역 115: 제2영역
120: 판부 121: 제1 판부
122: 제2 판부 123: 제3 판부
124: 제4 판부 125: 제5 판부
130: 스핀 반전기

Claims (9)

  1. 서로 마주보는 제1 내주면 및 제2 내주면을 구비하는 몸체; 및
    중성자 초거울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입사된 중성자를 스핀-업 편극 중성자와 스핀-다운 편극 중성자로 분리시키는 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부는,
    중성자의 최초 입사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판부;
    상기 제1 판부의 일단에서 각각 상기 제1 내주면 및 상기 제2 내주면을 향해 연장되고, 각각 상기 제1 내주면 및 상기 제2 내주면과 제1 각도를 형성하는 제2 판부와 제3 판부; 및
    상기 제1 판부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일단을 마주보는 위치에서 각각 상기 제1 내주면 및 상기 제2 내주면을 향해 연장되고, 각각 상기 제2 판부 및 상기 제3 판부와 교차되도록 이루어지며, 각각 상기 제1 내주면 및 상기 제2 내주면과 제2 각도를 형성하는 제4 판부와 제5 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극 중성자 유도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부는 서로 다른 종류의 중성자 초거울이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판부와 마주보는 상기 제1 내주면 및 상기 제1 판부와 마주보는 상기 제2 내주면은 각각 상기 제1 판부와 동일한 중성자 초거울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판부에 의해 구분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편극 중성자가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극 중성자 유도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판부 및 상기 제5 판부는 상기 제1 판부의 일단보다 상기 몸체의 전방의 위치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제1 판부와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극 중성자 유도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판부 및 상기 제5 판부는 상기 제2 판부와 상기 제3 판부를 투과한 편극 중성자는 투과시키고 상기 제2 판부와 상기 제3 판부에 반사된 편극 중성자는 반사시켜 분산각을 낮추며,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제4 판부 및 상기 제5 판부의 M 값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극 중성자 유도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판부 및 상기 제5 판부는 상기 제2 판부와 상기 제3 판부에서 반사되는 편극 중성자가 전부 반사되도록 각각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극 중성자 유도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자 초거울은,
    스핀-업 편극 중성자는 반사시키고 스핀-다운 편극 중성자는 투과시키는 FeCo/Si, Fe/Si 및 Fe/G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중성자 반사 박막과, 스핀-업 편극 중성자는 투과시키고 스핀-다운 편극 중성자는 반사시키는 Co/Cu 및 Ni/Ti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중성자 반사 박막이 상호 조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입사된 중성자를 편극 중성자로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극 중성자 유도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부와 상기 제5 판부는 동일한 종류의 중성자 초거울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판부에서 반사되는 편극 중성자들은 상기 제5 판부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1 판부에 의해 구분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상기 제2 영역으로 진행되도록, 상기 제2 판부 및 상기 제5 판부는 각각 서로 다른 상기 내주면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극 중성자 유도관.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판부와 상기 제4 판부는 동일한 종류의 중성자 초거울로 형성되고, 상기 제3 판부에서 반사되는 편극 중성자들은 상기 제4 판부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1 판부에 의해 구분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으로 진행되도록, 상기 제3 판부와 상기 제4 판부는 각각 서로 다른 내주면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극 중성자 유도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주면과 상기 제1 판부 사이 또는 상기 제2 내주면과 상기 제1 판부 사이 중 어느 일 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4 판부 및 상기 제5 판부에서 반사되거나 투과되어 상기 제1 판부에 의해 구분되는 제1 영역이나 제2 영역으로 진행하는 편극 중성자의 스핀을 전환시켜 동일한 스핀의 편극 중성자를 형성시키는 스핀 반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극 중성자 유도관.
KR1020150125816A 2015-09-04 2015-09-04 편극 중성자 유도관 KR101735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816A KR101735485B1 (ko) 2015-09-04 2015-09-04 편극 중성자 유도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816A KR101735485B1 (ko) 2015-09-04 2015-09-04 편극 중성자 유도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775A KR20170028775A (ko) 2017-03-14
KR101735485B1 true KR101735485B1 (ko) 2017-05-29

Family

ID=58460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5816A KR101735485B1 (ko) 2015-09-04 2015-09-04 편극 중성자 유도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54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585B1 (ko) * 2020-11-27 2023-02-24 한국원자력연구원 거리에 따라 상이한 m값으로 코팅된 중성자 초거울을 이용한 중성자의 분산각 조절 장치
KR102668011B1 (ko) * 2021-11-11 2024-05-22 한국원자력연구원 중성자 유도관
KR102670648B1 (ko) * 2021-11-22 2024-05-31 한국원자력연구원 중성자 분산각 감소 장치
KR102670645B1 (ko) * 2021-11-22 2024-05-31 한국원자력연구원 중성자 분산각 감소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353B1 (ko) 2005-07-15 2006-11-23 한국원자력연구소 편극 중성자 유도관
JP2007303909A (ja) 2006-05-10 2007-11-22 Japan Atomic Energy Agency パルス中性子非弾性散乱実験の高効率測定方法
JP2012088251A (ja) 2010-10-21 2012-05-10 Tokyo Metropolitan Univ 中性子光学系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353B1 (ko) 2005-07-15 2006-11-23 한국원자력연구소 편극 중성자 유도관
JP2007303909A (ja) 2006-05-10 2007-11-22 Japan Atomic Energy Agency パルス中性子非弾性散乱実験の高効率測定方法
JP2012088251A (ja) 2010-10-21 2012-05-10 Tokyo Metropolitan Univ 中性子光学系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775A (ko) 201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5485B1 (ko) 편극 중성자 유도관
Wang et al. Enlargement of omnidirectional total reflection frequency range in one-dimensional photonic crystals by using photonic heterostructures
Goto et al. Optical Tamm states in one-dimensional magnetophotonic structures
Kats et al. Left-handed interfaces for electromagnetic surface waves
JP4271174B2 (ja) 偏極中性子導管
Liu Superscattering pattern shaping for radially anisotropic nanowires
Castaldi et al. Electromagnetic tunneling through a single-negative slab paired with a double-positive bilayer
JP5864945B2 (ja) X線導波路
Shiu et al. Photonic Chern insulators made of gyromagnetic hyperbolic metamaterials
WO2011083727A1 (ja) 位相制御装置
Sigalas et al.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off-plane propag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in two-dimensional photonic crystals
KR100825914B1 (ko) 중성자 단색기 구조를 이용한 중성자 초거울 제작방법
Xiang et al. Negative and positive Goos–Hänchen shifts of a light beam transmitted from an indefinite medium slab
Shi et al. Optical beam splitting and asymmetric transmission in bi-layer metagratings
Yang et al. Electromagnetic tunneling through a three-layer asymmetric medium containing epsilon-negative slabs
Tserkezis et al. Photonic surface states in plasmonic crystals of metallic nanoshells
KR101196225B1 (ko) 2중 편극 중성자 거울을 이용한 중성자 편극기
WO2013061619A1 (ja) 光学結像装置
JP7149055B2 (ja) 強磁性交換結合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Awasthi et al. Wide-angle broadband plate polarizer with 1D photonic crystal
Afanas’Ev et al. Perfect tunneling of obliquely-incident wave through a structure with a double-negative layer
Entezar et al. Transmission properties of a double-periodic quasi-crystal containing single-negative materials
Zapata-Rodriguez et al. Subwavelength nondiffractting beams in multilayered media
Vukovic Plasmonic bragg reflector and tamm plasmon polaritons in metal-dielectric superlattices
Tsurimaki Control of Radiative Heat and Momentum Transfer by Nanophotonic Engine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