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157B1 -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with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157B1
KR101735157B1 KR1020140094218A KR20140094218A KR101735157B1 KR 101735157 B1 KR101735157 B1 KR 101735157B1 KR 1020140094218 A KR1020140094218 A KR 1020140094218A KR 20140094218 A KR20140094218 A KR 20140094218A KR 101735157 B1 KR101735157 B1 KR 101735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crylat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nsul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2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12591A (en
Inventor
정소미
이주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094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5157B1/en
Publication of KR20160012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5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1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3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with folded construction elements except wound ones, i.e. folded positive or negative electrodes or separators, e.g. with "Z"-shaped electrodes or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19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spray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극 및 음극의 내부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양극 탭 상에 절연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전극 조립체의 변형이나 고온 분위기에서 분리막의 수축 등으로 인한 양극과 음극의 물리적 단락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에 상기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assembly,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wherein an insulation layer is formed on a positive electrode tab, which can prevent an internal short circuit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ccordingly, the electrode assembly can suppress the physical short circuit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or the shrinkage of the separator in a high-temperature atmosphere. Thus,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th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can be greatly improved have.

Description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with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assembly and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본 발명은 양극 및 음극의 내부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양극 탭 상에 절연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assembly,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wherein an insulation layer is formed on a positive electrode tab, which can prevent an internal short circuit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 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As technology development and demand for mobile devices have increased, the demand for secondary batteries as energy sources has been rapidly increasing, and accordingly, a lot of researches on batteries that can meet various demands have been conducted.

대표적으로 전지의 형상 면에서는 얇은 두께로 휴대폰 등과 같은 제품들에 적용될 수 있는 각형 전지와 파우치형 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고, 재료 면에서는 에너지 밀도, 방전 전압, 안전성이 우수한 리튬 코발트 폴리머 전지와 같은 리튬 이차 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다. Typically, in view of the shape of the battery, there is a demand for a prismatic battery and a pouch type battery which can be applied to products such as cellular phones with a thin thickness, and a lithium cobalt polymer battery having excellent energy density, discharge voltage, Demand for secondary batteries is high.

또한, 이차전지는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전극 조립체가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지에 따라 분류되기도 하는바, 대표적으로는 긴 시트형의 양극들과 음극들을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권취한 구조의 젤리-롤(권취형) 전극 조립체, 소정 크기의 단위로 절취한 다수의 양극과 음극들을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적층형) 전극 조립체, 소정 단위의 양극과 음극들을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적층한 바이셀(bi-cell) 또는 풀셀(full-cell)들을 권취한 구조의 스택/폴딩형 전극 조립체 등을 들 수 있다. Also, the secondary battery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assembly having the positive electrode / separator / negative electrode structure. Typically, the positive electrode / separator / negative electrode structure has a structure in which a long-sheet type positive electrode and negative electrode are wound in a jelly- A stacked (laminated)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positive electrodes and negative electrodes cut in units of a predetermined size are sequentially stacke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 stacked (stacked)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redetermined unit of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are stacked A stack / folding type electrode assembl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bi-cell or a full-cell stacked in a state is wound.

최근에는, 낮은 제조 비용, 적은 중량, 용이한 형태 변형 등을 이유로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전극 조립체를 일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내장한 구조의 파우치형 이차전지가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으며, 사용량 또한 증가하고 있다.
Recently,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stack type or stack / folding type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pouch-shaped battery case of an aluminum laminate sheet due to low manufacturing cost, small weight, easy shape deformation, And the usage is also increasing.

도 1에 대표적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일반적인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었다. FIG. 1 schematically shows a general structure of a typical pouch-type secondary battery.

도 1을 참고하면, 파우치형 이차전지(10)는 전극 조립체(30), 전극 조립체(30)의 집전체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전극 탭들(40, 50), 전극 탭들(40, 50)이 상호 연결되어 용접되어 있는 전극 리드(60, 70) 및 전극 조립체(30)를 수용하는 전지케이스(20)를 포함하고 있다. 1,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10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30, electrode taps 40 and 50 extending from a current collector of the electrode assembly 30, and electrode taps 40 and 50, And a battery case 20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leads 60 and 70 and the electrode assembly 30 welded to each other.

전극 조립체(30)는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양극과 음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발전소자로서,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전극 탭들(40, 50)은 전극 조립체(30)의 각 전극 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전극 리드(60, 70)는 각 전극 판으로부터 연장된 복수 개의 전극 탭들(40, 50)과,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지케이스(2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전극 리드(60, 70)의 상하면 일부에는 전지케이스(20)와의 밀봉도를 높이고 동시에 전기적 절연상태를 확보하기 위한 절연필름(80)이 부착되어 있다. The electrode assembly 30 is a power generation element in which an anode and a cathode are sequentially stacked with a separation membrane interposed there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30 has a stacked or stacked / folded structure. The electrode tabs 40 and 50 extend from the respective electrode plates of the electrode assembly 30 and the electrode leads 60 and 70 include a plurality of electrode tabs 40 and 50 extending from each electrode plate, Respectively, and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case 20. An insulating film 80 is attached to a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electrode leads 60 and 70 so as to increase the degree of sealing with the battery case 20 and at the same time to ensure an electrically insulated state.

전지케이스(20)는 통상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져 있고, 전극 조립체(3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전체적으로 파우치 형상을 가지고 있다. The battery case 20 is generally made of an aluminum laminate sheet and provide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30, and has a pouch shape as a whole.

한편,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비롯한 이차전지에서 주요 연구과제 중의 하나는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전지의 안전성 관련 사고의 주요한 원인은 양극과 음극간의 단락으로 인한 비정상적인 고온 상태의 도달에 기인한다. 즉,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전극 조립체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위치하여 전기적 절연을 유지하고 있으나, 전지가 과충전 또는 과방전을 일으키거나, 전극 재료의 수지상 성장(dendritic growth) 또는 이물에 의해 내부 단락을 일으키거나, 못, 나사 등의 예리한 물체가 전지를 관통하거나, 외력에 의해 전지에 무리한 변형이 가해지는 등의 비정상적인 오남용 상황에서는 기존 분리막 만으로는 한계를 보이게 된다. Meanwhile, one of the main tasks of th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is to improve safety. The main cause of battery safety related accidents is due to abnormal temperature conditions due to a short circuit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That is, under normal circumstances, the electrode assembly maintains electrical insulation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However, when the battery is overcharged or overdischarged, or dendritic growth of the electrode material or internal short circuit is caused by foreign matter In case of abnormal abuse such as raising, penetration of a sharp object such as a nail or a screw into the battery, or excessive stress applied to the battery due to external force, the existing separator only shows a limit.

일반적으로 분리막은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미세다공막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그 내열온도가 120℃ 내지 160℃ 정도로서 내열성이 불충분하다. 따라서, 내부 단락이 발생하면, 단락 반응열에 의해 분리막이 수축하여 단락부가 확대되고 더 크고 많은 반응열이 발생하는 열폭주(thermal runaway) 상태에 이르게 되는 문제가 있다.
In general, a microporous membrane made of a polyolefin resin is mainly used as the separation membrane, but its heat-resistant temperature is about 120 to 160 占 폚, which is insufficient in heat resistance. Therefore, if an internal short circuit occur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hort-circuit reaction heat shrinks the short-circuit due to shrinkage of the separator, resulting in a thermal runaway state in which larger and more reaction heat is generated.

도 2에 상기 전극 조립체의 문제점을 모식적으로 나타내었다. Fig. 2 schematically shows a problem of the electrode assembly.

도 2를 참고하면, 전극 조립체(30)는 양극 집전체 상에 양극 활물질이 도포된 양극과 음극 집전체 상에 음극 활물질이 도포된 음극이 적층되며, 상기 양극과 음극의 물리적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분리막이 삽입된 구조로 구현된다. 이 경우, 통상 전극 조립체의 양극과 음극의 물리적 단락 위험을 낮추기 위해서 양극보다 음극을 크게 제작하게 되나, 고온의 분위기에서 분리막의 수축 등의 문제로 음극 활물질과 양극 집전체가 반응하여 양극과 음극의 물리적 단락이 더 커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electrode assembly 30 includes a cathode on which a cathode active material is coated on a cathode current collector, and a cathode on which an anode active material is coated on a cathode current collector. In order to prevent physical short- And a structure in which a separator is inserted. In this case, in order to lower the risk of physical short-circuiting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electrode assembly, the negative electrode is largely made larger than the positive electrode. However,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react with each oth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hysical short circuit becomes larger.

이와 같이, 셀 변형이나 외부 충격 또는 양극과 음극의 물리적 단락 가능성을 낮추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어 왔다. Thus, various methods have been explored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cell deformation, external impact, or physical shorting of the anode and cathode.

예를 들면, 전지를 완성한 상태에서 전극 조립체가 움직임으로써 전극 탭이 전극 조립체의 상단에 접촉되어 단락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집전체의 상단에 인접한 전극 탭 상에 소정의 크기로 절연 테이프를 부착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절연 테이프로는 통상 폴리이미드 필름이 사용되며, 집전체 상단으로부터 아래쪽까지 약간 연장된 길이까지 절연 테이프를 감는 것이 일반적으로 권장되고 있다. 또한,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 2회 내지 3회 정도 감고 있다.For example, in order to prevent the electrode tab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electrode assembly due to the movement of the electrode assembly in the state where the battery is completed, There is a method of attaching. As such insulating tape, a polyimide film is usually used, and it is generally recommended to wind the insulating tape to a length extending slightly from the top of the collector to the bottom. Further, in order to prevent loosening, it is usually wound about 2 to 3 times.

그러나, 이러한 절연 테이프의 권취 작업은 매우 번잡하고, 집전체 상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약간 연장된 길이까지 절연 테이프를 감는 경우에는 그러한 부위가 전극 조립체의 두께 증가를 유발할 수 있다. 더욱이 전극 탭의 절곡시 풀리기 쉬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However, such winding work of the insulating tape is very troublesome, and such an area may cause an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assembly when the insulating tape is wound up to a length extending slightly downward from the top of the current collector. Furth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ectrode tab can be easily released when bent.

KRKR 2012-01246132012-0124613 A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양극 및 음극의 내부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양극 탭 상에 절연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Assembl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electrode assembl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above electrode assembly.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극 집전체 상에 양극 활물질이 도포된 양극, 음극 집전체 상에 음극 활물질이 도포된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은 양극 집전체로부터 돌출된 양극 탭 상에 절연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절연층은 양극 집전체와 분리막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양극 탭 돌출 방향으로 도출된 분리막의 말단 부분 위치선 미만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양극 활물질이 도포된 영역의 말단과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sitive electrode comprising a positive electrode coated with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n a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a negative electrode coated with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n the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Wherein the insulating layer is formed between the cathode current collector and the separator and is formed to be less than the end portion position line of the separator led out i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anode tab, And is spaced apart from an end of a region where the cathode active material is applied.

또한, 본 발명은 양극 탭 상에 열경화성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열경화성 수지 도포 부위에 열을 가하여 열경화하여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comprising: applying a thermosetting resin on a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rmally curing the thermosetting resin applied region by applying heat to the insulating layer to form an insulating layer.

아울러, 본 발명은 양극 탭 상에 광경화성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광경화성 수지 도포 부위에 빛을 조사하여 광경화하여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applying a photocurable resin on a positive electrode tab; And irradiating light to the photocurable resin application site to form an insulating layer by photocuring.

추가로, 본 발명은 상기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양극 탭 상에 절연층을 포함함으로써 전극 조립체의 변형이나 고온 분위기에서 분리막의 수축 등으로 인한 양극과 음극의 물리적 단락을 억제할 수 있다.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ress physical deformation of the anode assembly and cathode due to deforma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or shrinkage of the separator in a high temperature atmosphere by including the insulation layer on the anode tab.

따라서, 상기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th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can be greatly improved.

이에, 상기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는 전지 산업, 특히 이차전지 산업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Therefore, th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lectrode assembly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battery industry, particularly, the secondary battery industry.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의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전극 조립체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종래의 전극 조립체에 포함되는 양극과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일 단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극 탭 상, 양극 활물질 도포 영역에서 이격되어 절연층이 형성된 양극과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의 전극 조립체의 일 단면적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극 탭 상 양극 활물질 도포 영역에서 이격되어, 음극 활물질 도포 영역 말단 위치선까지 절연층이 형성된 양극과 음극,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의 전극 조립체의 일 단면적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극 탭 상, 양극 활물질 도포 영역에서 이격되어 상기 양극 활물질 도포 영역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절연층이 형성된 양극과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의 전극 조립체의 일 단면적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극 탭 상 양극 활물질 도포 영역에서 이격되어 상기 양극 활물질 도포 영역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음극 활물질 도포 영역 말단 위치선까지 절연층이 형성된 양극과 음극,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의 전극 조립체의 일 단면적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1 schematically shows a structure of a conventional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2 schematically shows a structure of a conventional electrode assembly.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ructure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included in a conventional electrode assembly and a separation membrane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re sequentially stacke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which are spaced apart from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pplication region and formed with an insulating layer,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are sequentially stacked on a positive electrode ta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area.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separated from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oating area on a positive electrode ta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insulating layer is formed up to an end position line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pplication area,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Sectional area of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stacked.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sitive electrode ta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which are spaced apart from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pplication region and have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pplication region, Sectional area of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 stacked structure.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which are spaced apart from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oating area on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inner than the coating area of the positive activ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area of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an anode and a cathode is sequentially laminated.
12 schematically shows a structure of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n electrode assembly,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he use of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in this applic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n which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s a matter of principl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ressly defined herein Do not.

본 발명은 양극 및 음극 간에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극 탭 상에 절연층이 형성되어 있는 전극 조립체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n insulating layer is formed on a positive electrode tab to prevent a short circuit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극 조립체는 양극 집전체 상에 양극 활물질이 도포된 양극, 음극 집전체 상에 음극 활물질이 도포된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은 양극 집전체로부터 돌출된 양극 탭 상에 절연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절연층은 양극 집전체와 분리막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양극 탭 돌출 방향으로 도출된 분리막의 말단 부분 위치선 미만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양극 활물질이 도포된 영역의 말단과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coated with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n a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a negative electrode coated with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n the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The positive electrode has an insulating layer formed on the positive electrode tab protruding from the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and the insulating layer is dis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and the separating film and is located below the end portion position line of the separator led out in the positive electrode tab projecting direction And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an end of a region to which the cathode active material is applied.

이하, 도 3을 참고하여, 일반적인 전극 조립체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general electrode assembl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극 조립체(30)는 양극(120), 음극(140) 및 상기 양극(120)과 음극(140)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13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양극(120)은 양극 집전체(121), 상기 양극 집전체(121) 상에 도포된 양극 활물질(122)을 포함하고 상기 음극(14)은 음극 집전체(141), 상기 음극 집전체(141) 상에 도포된 음극 활물질(142)를 포함한다. 또한, 일반적인 전극 조립체(30)는 양극(120)과 음극(140)의 물리적 단락을 억제하기 위하여 양극(120) 보다 음극(140)이 다소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며, 따라서 양극 활물질(122)과 음극 활물질(142)이 도포된 영역이 겹쳐지지 않는 부분(T1)이 생기게 되고, 이에 의하여 고온의 분위기에서 분리막의 수축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내부 단락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3, the electrode assembly 30 includes an anode 120, a cathode 140, and a separator 130 interposed between the anode 120 and the cathode 140, The anode 120 includes a cathode current collector 121 and a cathode active material 122 coated on the cathode current collector 121. The cathode 14 includes an anode current collector 141, And an anode active material 142 applied on the anode active material 142. The cathode 140 is formed to have a somewhat larger size than the anode 120 in order to suppress a physical short circuit between the anode 120 and the cathode 140. Accordingly, A portion T 1 where the regions coated with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142 are not overlapped with each other results in a problem that an internal short circuit is increased when a problem such as shrinkage of the separator occurs in a high temperature atmosphere.

따라서,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양극 집전체 상에 양극 활물질이 도포된 양극, 음극 집전체 상에 음극 활물질이 도포된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을 포함하고, 양극 집전체로부터 돌출된 양극 탭 상, 상기 양극 집전체와 분리막 사이에 배치되도록 절연층이 형성된 양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electrod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sitive electrode coated with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n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 negative electrode coated with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n the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a positive electrode having a positive electrode tab protruded from the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and an insulating layer form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and the separator.

상기 양극 탭은 양극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무지부를 나타내며, 상기 음극의 크기는 상기 양극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즉, 상기 음극의 길이가 상기 양극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The positive electrode tab may be a non-coated portion to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not applied, and the size of the negative electrode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positive electrode. That is, the length of the cathode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anode.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극 조립체는 절연층이 양극 활물질(122)이 도포된 영역의 말단과 이격되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절연층(150)은 양극 집전체(121)와 분리막(13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음극 활물질(142)이 도포된 영역과 일부 오버랩(overlap)되도록 상기 양극 탭 상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인 전극 조립체는 음극이 양극보다 큰 구조를 가지며, 이에 양극 활물질이 도포된 영역과 음극 활물질이 도포된 영역이 겹쳐지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고 상기 부분에 의하여 상기 양극과 음극 간에 단락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30)는 상기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양극 활물질(122)이 도포된 영역과 음극 활물질(142)이 도포된 영역이 겹쳐지지 않는 부분(T1)을 포함하여 상기 음극 활물질(142)이 도포된 영역과 일부 오버랩되도록 양극 탭 상에 절연층(150)을 형성시킨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층(150)은 상기 양극 탭 일단에 노출부(T3)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상기 양극 탭 돌출 방향으로 돌출된 분리막의 말단 부분 위치선(Lp1) 미만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상기 양극 탭은 양극 탭의 일단에 절연층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T3)을 갖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절연층은 양극 탭 돌출 방향으로 돌출된 분리막의 말단의 위치선(Lp1) 미만까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리막은 양극 탭 돌출 방향으로 양극 탭 보다 더 길게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절연층(150)은 양극(120)과 음극(140)의 내부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것, 특히 분리막(130) 수축에 의한 단락의 증가를 억제하기 위한 것이나, 만약 상기 절연층(150)이 분리막 말단의 위치선(Lp1)을 지나 과도하게 형성될 경우에는 오히려 저항으로 작용하여 전지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150)의 길이(T2)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분리막 말단의 위치선(Lp1)을 지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극 탭의 돌출 방향으로 양극 탭 전체 길이(T4)의 1% 내지 50%인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양극 탭의 전체 길이(T4)는 절연층의 길이(T2)와 상기 노출부(T3)의 길이를 합한 길이와 같다. 또한, 상기 절연층의 두께(D1)는 상기 양극 탭 돌출 방향의 수직 방향인 양극 활물질(122)이 도포된 영역 두께(D3)의 5%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양극 탭의 전체 길이(T4)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목적하는 양극에 따라 조절 가능하며, 상기 양극 활물질(122)이 도포된 영역의 두께(D3)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50 ㎛ 내지 200 ㎛일 수 있다.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such that an insulating layer is spaced apart from an end of a region to which the cathode active material 122 is applied.
The insulating layer 150 is dis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121 and the separator 130 and may be formed on the positive electrode tab so as to partially overlap the region where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142 is applied. have.
Specifically, a general electrode assembly has a structure in which a negative electrode has a structure larger than that of a positive electrode, and a region where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applied and a region where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applied are not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a short circuit occurs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 Therefore, the electrode assembly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rtion T 1 where the region where the cathode active material 122 is applied and the region where the anode active material 142 is not overlapp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 And an insulating layer 150 may be formed on the positive electrode tab to partially overlap the region where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142 is applied.
The insulating layer 150 may be formed to have an exposed portion T 3 at one end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may be formed to be less than the end portion position line Lp 1 of the separator protruding in the positive electrode tab projecting direction May be preferably formed. That is, the positive electrode tab may have a portion (T 3 ) in which one end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is not provided with an insulating layer, and the insulating layer may have a length less than a position line Lp 1 of the end of the separator protruding in the positive electrode tab projecting direction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paration membrane protrudes longer than the positive electrode tab in the positive electrode tab projecting direction.
The insulating layer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event an internal short circuit between the anode 120 and the cathode 140, particularly to prevent an increase in short circuit due to contraction of the separator 130, When the electrode 150 is formed excessively beyond the position line Lp 1 at the end of the separation membrane, it may act as a resistance and degrade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The length T 2 of the insulating layer 150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a range not exceeding the position line Lp 1 at the end of the separation membrane as described above, May be 1% to 50% of the total length (T 4 )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in the protruding direction. The total length T 4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is equal to the sum of the length T 2 of the insulating layer and the length of the exposed portion T 3 .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D 1 of the insulating layer is 5% to 100% of the thickness D 3 of the cathode active material 122 applie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tab protrudes. At this time, the total length (T 4 )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esired positive electrode. The thickness (D 3 ) of the region coated with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12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200 [mu] 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하, 도 8 내지 도 11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예시한 것으로, 상기 도 8 내지 도 11의 전극 조립체는 절연층의 길이 및 두께에 따라 다소 상이한 구조를 나타낼 수 있다. Hereinafter, the electrod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1. FIG. 8 to 11 illustrate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assembly of FIGS. 8 to 11 may have a slightly different structure depending on the length and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도 8 내지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30)는 양극(120), 음극(140) 및 상기 양극(120)과 음극(140)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양극(120)은 양극 집전체(121); 상기 양극 집전체(121) 상에 도포된 양극 활물질(122); 및 상기 양극 집전체(121)로부터 돌출된 양극 탭을 포함하고, 상기 음극(140)은 음극 집전체(141); 상기 음극 집전체(141) 상에 도포된 음극 활물질(142); 및 상기 음극 집전체(141)로부터 돌출된 음극 탭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양극 탭과 음극 탭은 각각 양극 활물질 및 음극 활물질이 도포되어 있지 않은 무지부를 나타내며, 상기 음극(140)의 크기는 상기 양극(120)의 크기보다 크게 구현될 수 있다. 8 to 11, an electrode assembly 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ode 120, a cathode 140, and a separator 130 interposed between the anode 120 and the cathode 140. [ (130), and the anode (120) comprises a cathode current collector (121); A cathode active material 122 applied on the cathode current collector 121; And a positive electrode tab protruding from the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121, and the negative electrode 140 includes a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141;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142 coated on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41; And a negative electrode tab protruding from the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141. Here,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may each be a non-coated portion in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re not coated, and the size of the negative electrode 140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positive electrode 120.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양극(120)은 상기 양극 집전체(121)로부터 돌출된 양극 탭 상에 절연층(15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절연층(150)은 양극 활물질(122)이 도포된 영역의 말단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The positive electrod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insulating layer 150 is formed on a positive electrode tab protruding from the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121. The insulating layer 150 is formed on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122, Is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the applied area.

상기 절연층(150)은 양극 집전체(121)와 분리막(130) 사이에 배치되며, 양극 활물질(122)이 도포된 영역과 음극 활물질(142)이 도포된 영역이 겹쳐지지 않는 부분(T1)을 포함하여 상기 음극 활물질(142)이 도포된 영역과 일부 오버랩되도록 양극 탭 상에 절연층(150)을 형성시킨 구조일 수 있다.
The insulating layer 150 is dis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21 and the separator 130 and includes a portion T 1 where the region to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122 is applied and the region where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142 is not overlapped And an insulating layer 150 is formed on the positive electrode tab to partially overlap the region to which the negative active material 142 is applied.

상기 절연층(150)은 상기 양극 활물질(122)이 도포된 영역의 말단과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절연층(150)을 양극 활물질(122)이 도포된 영역의 말단과 이격되게 형성시킬 경우에는 상기 절연층(150)을 형성하는 물질이 상기 양극 활물질(122)에 전이되어 저항으로 작용하는 부반응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격은 음극 활물질이 도포된 영역의 말단 위치선(Lp2)과 양극 활물질(122)이 도포된 영역의 말단 사이 총 길이의 1% 내지 50%의 이격거리(Ts)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When the insulating layer 150 is formed to be spaced from the end of the region to which the cathode active material 122 is applied and the insulating layer 150 is formed apart from the end of the region to which the cathode active material 122 is applied A material forming the insulating layer 150 may be transferred to the cathode active material 122 to prevent side reactions acting as a resistor.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pacing has a spacing distance Ts of 1% to 50% of the total length between the end position line Lp 2 of the area coated with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end of the area coated with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122 Lt; / RTI >

또한, 상기 절연층(150)은 상기 양극 탭 일단에 노출부(T3)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상기 양극 탭 돌출 방향으로 돌출된 분리막의 말단 부분 위치선(Lp1) 미만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The insulating layer 150 may be formed to have an exposed portion T 3 at one end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may be formed to be less than the end portion position line Lp 1 of the separator protruding in the positive electrode tab projecting direction May be preferably formed.

상기 절연층(150)의 길이(T2)는 양극 탭의 돌출 방향으로 양극 탭의 전체 길이(T4)의 1% 내지 50%인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절연층의 두께(D1)는 상기 양극 탭 돌출 방향의 수직 방향인 양극 활물질(122)이 도포된 영역 두께(D3)의 5% 내지 100%인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양극 탭의 전체 길이(T4)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목적하는 양극에 따라 조절 가능하며, 상기 양극 활물질(122)이 도포된 영역의 두께(D3)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50 ㎛ 내지 200 ㎛일 수 있다. The length (T 2) may be from 1% to 50% of the length (T 4)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to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thickness (D 1) of the insulating layer of the insulating layer 150 is the The cathode active material 122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rotrus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may be 5% to 100% of the applied area thickness D 3 . At this time, the total length (T 4 )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esired positive electrode. The thickness (D 3 ) of the region coated with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12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200 [mu] m.

구체적으로,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절연층(150)의 두께(D1)는 양극 활물질(122)이 도포된 영역 두께(D3)와 같고 절연층(150)의 길이(T2)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분리막의 말단 위치선(Lp1)를 지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양극 탭의 전체 길이(T4)의 1% 내지 50%일 수 있으며,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절연층(150)의 두께(D1)는 양극 활물질(122)이 도포된 영역 두께(D3)와 같고 절연층(150)의 길이(T2)는 음극 활물질(142)이 도포된 영역의 말단 위치선(Lp2)까지, 즉 양극 활물질(122)이 도포된 영역과 음극 활물질(142)이 도포된 영역이 겹쳐지지 않는 부분(T1)과 동일한 길이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절연층(150)의 길이(T2)는 이격거리(Ts)를 포함한 것으로, 상기 이격거리(Ts)에 따라 상기 절연층(150)의 길이(T2)가 커지거나 줄어들 수 있다. Specifically, the insulating thickness of the layer 150 as shown in FIG. 8 (D 1) is the length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122, an insulating layer equal to the area applied with a thickness (D 3) 150 (T 2) is May be 1% to 50% of the total length (T 4 )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within a range not passing through the end position line Lp 1 of the separator as described above, and the insulating layer 150 The thickness D 1 of the insulating layer 150 is equal to the thickness D 3 of the region to which the cathode active material 122 is applied and the length T 2 of the insulating layer 150 is the length Lp 2 , that is, a portion T 1 where the region where the cathode active material 122 is applied and the region where the anode active material 142 is coated do not overlap. The length T 2 of the insulation layer 150 includes a separation distance Ts and the length T 2 of the insulation layer 150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Ts. have.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절연층(150)의 길이(T2)는 분리막의 말단 위치선(Lp1)을 지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양극 탭 전체 길이(T4)의 1% 내지 50%이거나, 양극 활물질(122)이 도포된 영역과 음극 활물질(142)이 도포된 영역이 겹쳐지지 않는 부분(T1)과 동일한 길이일 수 있고, 상기 절연층(150)의 두께(D1)는 양극 활물질(122)이 도포된 영역 두께(D3)의 5% 내지 100%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양극 활물질(122)이 도포된 영역 두께(D3)는 절연층(150)의 두께(D1)와 절연층(15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무지부(D2)의 합이며, 상기 절연층(150)의 길이(T2)는 이격거리(Ts)를 포함한 것으로, 상기 이격거리(Ts)에 따라 상기 절연층(150)의 길이(T2)가 커지거나 줄어들 수 있다.
10 and 11, the length (T 2 ) of the insulating layer 150 is set to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total length (T 4 )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within a range not exceeding the end position line Lp 1 of the separator. And the thickness T of the insulating layer 150 may be the same as the thickness T 1 of the insulating layer 150 or the portion T 1 where the region where the cathode active material 122 is applied and the region where the anode active material 142 is coated do not overlap. D 1 may be 5% to 100% of the region thickness D 3 to which the cathode active material 122 is applied. The thickness D 3 of the region where the cathode active material 122 is applied is the sum of the thickness D 1 of the insulating layer 150 and the uncoated portion D 2 where the insulating layer 150 is not formed, The length T 2 of the insulating layer 150 includes a separation distance Ts and the length T 2 of the insulation layer 150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T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절연층은 열경화성 수지 또는 광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insulating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thermosetting resin or a photocurable resin.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멜라닌 수지, 페놀 수지, 우레아 수지, 에폭시 수지 및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상기 광경화성 수지는 광중합성 화합물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The thermosetting resin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melamine resin, a phenol resin, a urea resin, an epoxy resin, and a polyurethane. The photocurable resin may include a photopolymerizable compound and a photoinitiator.

구체적으로, 상기 광중합성 화합물은 다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또는 삼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인 것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hotopolymerizable compound may be a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compound, preferably a bifunctional (meth) acrylate compound or a trifunctional (meth) acrylate compound.

상기 이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디(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 변성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디(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애시드포스페이트디에스테르, 비스(히드록시)트리시클로[5.2.1.02,6]데칸=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히드록시)트리시클로[5.2.1.02,6]데칸=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레이트, 비스(히드록시메틸)트리시클로[5.2.1.02,6]데칸=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히드록시메틸)트리시클로[5.2.1.02,6]데칸=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레이트, 비스(히드록시)펜타시클로[6.5.1.13,6.02,7.09,13]펜타데칸=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히드록시)펜타시클로[6.5.1.13,6.02,7.09,13]펜타데칸=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레이트, 비스(히드록시메틸)펜타시클로[6.5.1.13,6.02,7.09,13]펜타데칸=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히드록시메틸)펜타시클로[6.5.1.13,6.02,7.09,13]펜타데칸=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레이트, 2,2-비스[4-(β-(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톨시)시클로헥실]프로판, 1,3-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시클로헥산, 1,3-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시클로헥산, 1,4-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시클로헥산, 1,4-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시클로헥산, 프탈산디글리시딜에스테르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비스페놀A(2,2'-디페닐프로판)형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프로필렌옥사이드 변성 비스페놀A(2,2'-디페닐프로판)형 디(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Examples of the bifunctional (meth) acrylate compound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di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tetra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poly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prop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diprop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polyprop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but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1,6-hexanediol di (meth) acrylate, glycerin d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di (meth) acrylate, 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di 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di (meth) acrylate, hydroxypivalic acid-modified neopentyl glycol di (meth) acrylate, isocyanuric acid ethylene oxide (Meth) acryloyloxyethyl acid phosphate diester, bis (hydroxy) tricyclo [5.2.1.02,6] decane di (meth) acrylate, bis Bis (hydroxymethyl) tricyclo [5.2.1.02,6] decane di (meth) acrylate, bis (hydroxymethyl) tricyclo [5.2.1.02,6] decane acrylate methacrylate, Bis (hydroxy) pentacyclo [6.5.1.13,6.02,7.09,13] pentadecane di (meth) acrylate, bis (hydroxy) Acrylate methacrylate, bis (hydroxymethyl) pentacyclo [6.5.1.13,6.02,7.09,13] pentadecane di (meth) acrylate, cyclo [6.5.1.13,6.02,7.09,13] Bis (hydroxyethyl) pentacyclo [6.5.1.13,6.02,7.09,13] pentadecane acrylate methacrylate, 2,2-bis [4- (β- (meth) acryloyloxyethoxy) Sycelle Bis ((meth) acryloyloxyethyl) cyclohexane, 1,4-bis ((meth) acryloyloxymethyl) cyclohexane, (Meth) acryloyloxyethyl) cyclohexane, phthalic acid diglycidyl ester di (meth) acrylate, ethylene oxide modified bisphenol A (2,2'- (Meth) acrylate and dipentaerythritol hexa (meth) acrylate and dipentaerythritol hexa (meth) acrylate and dipentaerythritol hexa (meth) acrylate.

또한, 상기 삼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린폴리글리시딜에테르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에틸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1,3,5-트리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시클로헥산 및 1,3,5-트리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옥시메틸)시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The trifunctional (meth) acrylate compou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trimethylolpropane tr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etra (meth) Tri (meth) acryloyloxyethoxytrimethylol propane, glycerin polyglycidyl ether poly (meth) acrylate, isocyanuric acid ethylene oxide (meth) acrylate, (Meth) acrylate, ethylene oxide-modified dipentaerythritol penta (meth) acrylate, ethylene oxide-modified dipentaerythritol hexa (meth) acrylate, ethylene oxide-modified dipentaerythritol tri (meth) Pentaerythritol tetra (meth) acrylate, 1,3,5-tris (( (Meth) acryloyloxymethyl) cyclohexane and 1,3,5-tris ((meth) acryloyloxyethyloxymethyl) cyclohexane.

상기 광 개시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벤조페논,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프로필에테르, 디에톡시아세토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6-디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The photoinitia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benzophenone, benzoin methyl ether, benzoin propyl ether, diethoxyacetophenone, 1-hydroxycyclohexyl phenyl ketone, 2,6-d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2,4,6-tr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극 조립체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일 수 있다.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stacked or stacked / folded.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극 조립체는 양극 탭 상에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함으로써 고온 분위기에서 분리막의 수축 등으로 인한 양극과 음극의 내부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전지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sulating layer formed on a positive electrode tab, thereby preventing an internal short circuit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due to shrinkage of the separator in a high temperature atmosphere. Therefore, battery safety of th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electrode assemb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은 절연층을 형성하는 물질에 따라 다소 상이한 방법을 통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절연층을 형성하는 물질이 상기 열경화성 수지일 경우에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은 양극 탭 상에 열경화성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열경화성 수지 도포 부위에 열을 가하여 열경화하여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절연층을 형성하는 물질이 상기 광경화성 수지일 경우에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은 양극 탭 상에 광경화성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광경화성 수지 도포 부위에 빛을 조사하여 광경화하여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through a somewhat different method depending on the material forming the insulating layer. Specifically, when the material forming the insulating layer is the thermosetting resin,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includes: applying a thermosetting resin on a positive electrode tab; And forming an insulation layer by applying heat to the thermosetting resin application site to thermally cure the insulation layer. When the material forming the insulation layer is the photo-curable resin, Applying a photocurable resin on the tab; And irradiating light to the photocurable resin application site to form an insulating layer by photocuring.

상기 도포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분무 도포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The applica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spraying may be preferred.

구체적으로, 상기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은 절연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외하고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절연층을 형성시킨 양극, 분리막 및 음극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제조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electrode assembly may be manufactured by a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except for forming the insulating layer. For example, the anode, the separator, and the cathode having the insulating layer formed thereon may be sequentially May be laminated.

상기 절연층이 형성된 양극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절연층을 형성하는 물질에 따라 다소 상이한 단계를 통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양극 집전체 일측 상면에 양극 활물질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양극 활물질이 도포된 양극 집전체를 제조하고, 양극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무지부인 양극 탭의 일측 상면에 열경화성 수지를 도포하고 열을 가하여 열경화시키거나, 광경화성 수지를 도포하고 빛을 조사하여 광경화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 및 광경화성 수지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다.
The positive electrode having the insulating layer may be manufactured through a somewhat different step depending on the material forming the insulating layer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co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and dried to form the positive electrode coated with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current collector may be manufactured by applying a thermosetting resin on one side of a positive electrode tab which is an uncoated region where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not applied and thermally curing by applying heat or by curing a photocurable resin by applying light and irradiating light . The above-mentioned thermosetting resin and photo-curable resin are as mentioned above.

상기 양극 집전체는 일반적으로 3 ㎛ 내지 500 ㎛의 두께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스테엔레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또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렛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또는 은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극 집전체는 그것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양극 활물질의 접착력을 높일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The cathode current collector generally has a thickness of 3 탆 to 500 탆,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high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s in the battery. Examples of the anode current collector include stainless steel, aluminum, nickel , Titanium, sintered carbon, or a surface treated with carbon, nickel, titanium or silver on the surface of aluminum or stainless steel can be used. The cathode current collector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film, a sheet, a foil, a net, a porous body, a foam, a nonwoven fabric, or the like, by forming minute irregularities on the surface thereof to increase the adhesive force of the cathode active material.

상기 양극 활물질은 바인더, 도전제 및 충진제와 분산제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2), 리튬 니켈 산화물(LiNiO2) 등의 층상 화합물이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이금속으로 치환된 화합물; 리튬망간 산화물(LiMnO2); 리튬 동 산화물(Li2CuO2); 바나듐 산화물; 니켈 사이트형 리튬 니켈 산화물(lithiated nickel oxide);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디설파이드 화합물 또는 이들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복합 산화물 등과 같이 리튬 흡착 물질(lithium intercalation material)을 주성분으로 하는 화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cathode active material may further include a binder, a conductive agent, and an additive such as a filler and a dispersing agent. The cathode active material may be a layered compound such as lithium cobalt oxide (LiCoO 2 ) or lithium nickel oxide (LiNiO 2 ), or a compound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transition metals; Lithium manganese oxide (LiMnO 2 ); Lithium copper oxide (Li 2 CuO 2 ); Vanadium oxide; Nickel-situ type lithium nickel oxide; A lithium manganese composite oxide, a disulfide compound, or a composite oxide formed by combination thereof,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바인더는 양극 활물질과 도전제 등의 결합과 양극 집전체에 대한 결합에 조력하는 성분으로서, 통사적으로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불소 고무 등일 수 있다. The binder is a component that assists in bonding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conductive agent and bonding to the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and includes, for example, polyvinylidene fluoride, polyvinyl alcohol, carboxymethylcellulose, starch, hydroxypropylcellulose, Polyethylene, fluorine rubber, and the like.

상기 도전제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천연흑연이나 인조흑연 등의 흑연;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네이스 블랙, 램프 블랙 등의 카본블랙;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등일 수 있다.
The conductive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electrical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a chemical change in the battery,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graphite such as natural graphite and artificial graphite; Carbon black such as carbon black, acetylene black, ketjen black, channel black, furnace black, and lamp black; Conductive fibers such as carbon fibers and metal fibers, and the like.

상기 충진제는 양극의 팽창을 억제하는 성분으로서 필요에 따라 사용 여부를 정할 수 있으며,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섬유상 재료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중합체;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의 섬유상 물질일 수 있다.
The filler is a component for suppressing the expansion of the anode. The fill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used or not, as long as it is a fibrous material without causing any chemical change in the battery. Examples thereof include olefin polymers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Glass fiber, carbon fiber, or the like.

상기 분산제(분산액)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이소프로필알코올, N-메틸피롤리돈(NMP), 아세톤 등일 수 있다.
The dispersing agent (dispersion liqui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isopropyl alcohol, N-methylpyrrolidone (NMP), acetone and the like.

상기 양극 활물질의 도포는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수행할 수 있으나, 예컨대 닥터 블레이트(doctor blade) 등을 사용하여 균일하게 분산시키거나, 다이 캐스팅(die casting), 콤마 코팅(comma coating),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등의 방법을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
The cathode active material may be coated by a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and may be uniformly dispersed using a doctor blade, die casting, comma coating, coating, screen printing, and the like.

상기 건조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50℃ 내지 200℃의 진공오븐에서 1일 이내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The drying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carried out within one day in a vacuum oven at 50 ° C to 200 ° C.

상기 음극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음극 집전체 일측 상면에 음극 활물질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음극 활물질은 바인더, 도전재 및 충진제와 분산제와 같은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The negative electrod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prepared by applying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o an upper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and drying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may further include a binder, a conductive material, and an additive such as a filler and a dispersant .

상기 음극 집전체는 앞서 언급한 양극 집전체와 동일한 것이거나,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y be the same as or included in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상기 음극 활물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공지된 리튬 이온이 흡장 및 방출될 수 있는 탄소재, 리튬 금속, 규소 또는 주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탄소재로는 저결정성 탄소 및 고결정성 탄소 등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저결정성 탄소로는 연화탄소(soft carbon) 및 경화탄소(hard carbon)를 들 수 있으며, 고결정성 탄소로는 천연 흑연, 키시흑연(kish graphite), 열분해 탄소(pyrolytic carbon), 액정치피계 탄소섬유(mesophase pitch based carbon fiber), 탄소 미소구체(meso-carbon microbeads), 액정피치(mesophase pitches) 및 석유와 석탄계 코크스(petroleum or coal tar pitch derived cokes) 등의 고온 소성탄소를 들 수 있다.
The anode active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carbonaceous material, lithium metal, silicon, or tin, which is commonly known in the art and capable of intercalating and deintercalating lithium ions, may be used. Preferably, carbon materials can be used, and carbon materials such as low-crystallinity carbon and high-crystallinity carbon can be used. Examples of low crystalline carbon include soft carbon and hard carbon. Examples of highly crystalline carbon include natural graphite, kish graphite, pyrolytic carbon, High temperature calcined carbon such as mesophase pitch based carbon fiber, meso-carbon microbeads, mesophase pitches and petroleum or coal tar pitch derived cokes.

상기 음극에 사용되는 바인더, 도전재 및 충진제와 분선제와 같은 첨가제는 앞서 언급한 양극 제조에 사용된 것과 동일하거나,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Additives such as binders, conductive materials and fillers and dispersants used for the negative electrode may be the same as those used for the above-mentioned positive electrode manufacturing.

상기 분리막으로는 높은 이온 투과도와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절연성의 얇은 박막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0.01 ㎛ 내지 10 ㎛의 기공직경, 5 ㎛ 내지 300 ㎛의 두께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분리막으로는 다공성 고분자 필름, 예컨대 에틸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고분자로 제조한 다공성 고분자 필름을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적인 다공성 부직포, 예를 들어 고융점의 유리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등으로 된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separator may be an insulating thin film having high ion permeability and mechanical strength, and may have a pore diameter of 0.01 to 10 m and a thickness of 5 to 300 m. As such a separation membrane, a porous polymer film such as a porous polymer film made of a polyolefin-based polymer such as an ethylene homopolymer, a propylene homopolymer, an ethylene / butene copolymer, an ethylene / hexene copolymer and an ethylene / methacrylate copolymer may be used alone Or they can be laminated, or a nonwoven fabric made of a conventional porous nonwoven fabric such as a glass fiber having a high melting point,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 or the like can be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극 조립체를 포함함으로써 양극과 음극의 내부 단락이 방지될 수 있어, 전지 안전성이 우수할 수 있다. By in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ernal shorting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can be prevented, and battery safety can be excellent.

이하, 도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차전지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0)는 전극 조립체(30), 전극 조립체(30)의 양극 집전체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양극 탭과 상호 연결되어 용접되어 있는 양극 리드(60), 음극 집전체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음극 탭과 상호 연결되어 용접되어 있는 음극 리드(70) 및 상기 전극 조립체(30)을 수용하는 전지케이스(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극 조립체(30)는 이온 함유 전해액이 함침된 상태에서 상기 전극케이스(20)에 내장되며, 상기 양극 리드(40)와 음극 리드(50)는 전지케이스(20)의 외부로 노출된다. 12, a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30, a positive electrode tab extending from the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of the electrode assembly 30, A lead 60, a negative electrode lead 70 welded to a negative electrode tab extending from the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and a battery case 20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30. The positive electrode lead 40 and the negative electrode lead 50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case 20 when the electrode assembly 30 is impregnated with the ion containing electrolyte solution .

또한, 상기 전극 조립체(30)는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양극과 음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양극 탭 일측 상면, 양극과 분리막 사이에는 절연층(150)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양극 리드(60)과 음극 리드(70)의 상하면 일부에는 전지케이스(20)와의 밀봉도를 높이고 전기적 절연상태를 확보하기 위한 절연필름(80)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전지케이스(20)는 통상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져 있고, 전극 조립체(3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electrode assembly 30 has a structure in which an anode and a cathode are sequentially stacke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n insulating layer 15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anode tab and the separator, An insulating film 80 for increasing the degree of sealing with the battery case 20 and securing an electrically insulated state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athode lead 60 and the cathode lead 70. The battery case 20 is generally made of an aluminum laminate sheet and provide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30. [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차전지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파우치형인 것일 수 있다.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a pouch type battery.

한편, 상기 전해질은 전해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기용매 및 리튬염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On the other hand, the electrolyte may include an organic solvent and a lithium salt commonly used in an electrolyt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상기 리튬염의 음이온으로는 F-, Cl-, I-, NO3 -, N(CN)2 -, BF4 -, ClO4 -, PF6 -, (CF3)2PF4 -, (CF3)3PF3 -, (CF3)4PF2 -, (CF3)5PF-, (CF3)6P-, CF3SO3 -, CF3CF2SO3 -, (CF3SO2)2N-, (FSO2)2N-, CF3CF2(CF3)2CO-, (CF3SO2)2CH-, (SF5)3C-, (CF3SO2)3C-, CF3(CF2)7SO3 -, CF3CO2 -, CH3CO2 -, SCN- 및 (CF3CF2SO2)2N-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With the lithium salt of the anion is F -, Cl -, I - , NO 3 -, N (CN) 2 -, BF 4 -, ClO 4 -, PF 6 -, (CF 3) 2 PF 4 -, (CF 3 ) 3 PF 3 -, (CF 3) 4 PF 2 -, (CF 3) 5 PF -, (CF 3) 6 P -, CF 3 SO 3 -, CF 3 CF 2 SO 3 -, (CF 3 SO 2 ) 2 N -, (FSO 2 ) 2 N -, CF 3 CF 2 (CF 3) 2 CO -, (CF 3 SO 2) 2 CH -, (SF 5) 3 C -, (CF 3 SO 2) 3 C -, CF 3 (CF 2 ) 7 SO 3 -, CF 3 CO 2 -, CH 3 CO 2 -, SCN - , and (CF 3 CF 2 SO 2) 2 N -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ave.

상기 유기용매로는 대표적으로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에틸렌 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에틸메틸카보네이트, 메틸프로필카보네이트, 디프로필카보네이트, 디메틸술폭사이드, 아세토니트릴, 디메톡시에탄, 디에톡시에탄, 비닐렌카보네이트, 술포란, 감마-부티로락톤, 프로필렌설파이트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Examples of the organic solvent include propylene carbonate, ethylene carbonate, diethyl carbonate, dimethyl carbonate, ethyl methyl carbonate, methyl propyl carbonate, dipropyl carbonate, dimethyl sulfoxide, acetonitrile, dimethoxyethane, diethoxyethane, vinylene carbonate , Sulfolane, gamma-butyrolactone, propylene sulfite, and tetrahydrofuran.

특히, 상기 카보네이트계 유기용매 중 고리형 카보네이트인 에틸렌카보네이트 및 프로필렌카보네이트는 고점도의 유기용매로서 유전율이 높아 전해질 내의 리튬염을 잘 해리시키므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리형 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및 디에틸카보네이트와 같은 저점도, 저유전율 선형 카보네이트를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면 높은 전기 전도율을 갖는 전해액을 만들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In particular, ethylene carbonate and propylene carbonate, which are cyclic carbonates in the carbonate-based organic solvent, are highly-viscous organic solvents having a high dielectric constant and can dissociate the lithium salt in the electrolyte well. Therefore, such cyclic carbonate dimethyl carbonate and diethyl carbonate And low-dielectric-constant linear carbonates, which have a low viscosity and a low dielectric constant, are mixed in an appropriate ratio, an electrolytic solution having a high electric conductivity can be prepared, and thus the electrolyte can be used more preferably.

또한, 상기 전해질은 필요에 따라 충방전 특성, 난연성 특성 등의 개선을 위하여 피리딘, 트리에틸포스파이트, 트리에탄올아민, 환상 에테르, 에틸렌 디아민, n-글라임(glyme), 헥사 인산 트리 아미드, 니트로벤젠 유도체, 유황, 퀴논 이민 염료, N-치환 옥사졸리디논, N,N-치환 이미다졸리딘, 에틸렌 글리콜 디알킬 에테르, 암모늄염, 피롤, 2-메톡시 에탄올, 삼염화 알루미늄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불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염화탄소, 삼불화에틸렌 등의 할로겐 함유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고온 보존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산화탄산 가스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FEC(fluoro-ethylene carbonate), PRS(propene sultone), FPC(fluoro-prpylene carbonate)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olyte may further contain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yridine, triethylphosphite, triethanolamine, cyclic ether, ethylenediamine, glyme, hexylphosphoric triamide, nitrobenzene and the like to improve charge / discharge characteristics, flame-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include an organic solvent such as an organic amine or a derivative thereof, a sulfur, a quinone imine dyestuff, an N-substituted oxazolidinone, an N, N-substituted imidazolidine, an ethylene glycol dialkyl ether, an ammonium salt, pyrrole, 2-methoxyethanol, have. In some cases, a halogen-containing solvent such as carbon tetrachloride or ethylene trifluoride may be further added to impart nonflammability. In order to improve the high-temperature storage property, a carbon dioxide gas may be further added. FEC (fluoro-ethylene carbonate ), PRS (propene sultone), FPC (fluoro-prpylene carbonate),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는 소형 디바이스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전지셀에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전지셀들을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모듈에 단위전지로도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중대형 디바이스의 바람직한 예로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전력 저장용 시스템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not only in a battery cell used as a power source of a small device but also as a unit cell in a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Preferable examples of the above medium and large-sized devic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electric vehicles, hybrid electric vehicles,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electric power storage systems, and the like.

0: 이차전지 20: 전지케이스
30: 전극 조립체 40: 양극 탭
50: 음극 탭 60: 양극 리드
70: 음극 리드 80: 절연필름
120: 양극 121: 양극 집전체
122: 양극 활물질 130: 분리막
140: 음극 141: 음극 집전체
142: 음극 화물질 150: 절연층
T1: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도포된 영역이 겹쳐지지 않는 부분
T2: 절연층의 길이(너비) T3: 양극 탭 일단에 노출부
T4: 양극 탭 전체 길이 Ts: 이격거리
D1: 절연층의 두께
D2: 절연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무지부
D3: 양극 활물질이 도포된 영역 두께
Lp1: 분리막의 말단 위치선
Lp2: 음극 활물질이 도포된 영역의 말단 위치선
0: secondary battery 20: battery case
30: electrode assembly 40: positive electrode tab
50: negative electrode tab 60: positive electrode lead
70: negative electrode lead 80: insulating film
120: positive electrode 121: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122: cathode active material 130: separator
140: cathode 141: cathode collector
142: cathode material 150: insulating layer
T 1 : a portion where the area coated with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do not overlap
T 2 : length (width) of the insulating layer T 3 : exposed portion at one end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T 4 : Total length of positive electrode tab Ts: Distance
D 1 : thickness of insulating layer
D 2 : an uncoated portion in which an insulating layer is not formed
D 3 : Thickness of the region to which the cathode active material is applied
Lp 1 : End position of membrane
Lp 2 : End position line of the area coated with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laims (23)

양극 집전체 상에 양극 활물질이 도포된 양극, 음극 집전체 상에 음극 활물질이 도포된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은 양극 집전체로부터 돌출된 양극 탭 상에 절연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절연층은 양극 집전체와 분리막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양극 탭 돌출 방향으로 도출된 분리막의 말단 부분 위치선 미만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양극 활물질이 도포된 영역의 말단과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A negative electrode coated with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n a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a negative electrode coated with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n a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Wherein the positive electrode has an insulating layer formed on the positive electrode tab projected from the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Wherein the insulating layer is disposed between the cathode current collector and the separator and is formed to be less than a positional line of the end portion of the separator led i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cathode tab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the region to which the cathode active material is applied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극 탭은 양극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무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sitive electrode tab is an uncoated portion to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not appli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음극 활물질이 도포된 영역과 일부 오버랩(overlap)되도록 상기 양극 탭 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sulating layer is formed on the positive electrode tab so that the negative electrode partially overlaps with a region to which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applied.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격은 양극 활물질이 도포된 영역의 말단에서부터 음극 활물질이 도포된 영역의 말단 위치선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사이의 총 길이의 1% 내지 50%의 이격거리를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pacing is located between the end position line of the area coated with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rom the end of the area coated with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 distance of 1% to 50% of the total length between the electrod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의 길이는 상기 양극 탭의 돌출 방향으로 양극 탭 전체 길이의 1%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ngth of the insulating layer is 1% to 50% of the total length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i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의 두께는 상기 양극 탭 돌출 방향의 수직 방향인 양극 활물질이 도포된 영역 두께의 5%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is 5% to 100% of the thickness of the region where the cathode active material is appli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rotrus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양극 탭 일단에 노출부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sulating layer is formed to have an exposed portion at one end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열경화성 수지 또는 광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sulating layer comprises a thermosetting resin or a photocurable resin.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멜라닌 수지, 페놀 수지, 우레아 수지, 에폭시 수지 및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thermosetting resin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melamine resin, a phenol resin, a urea resin, an epoxy resin, and a polyurethan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성 수지는 광중합성 화합물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photocurable resin comprises a photopolymerizable compound and a photoinitiator.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성 화합물은 다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인 것을 특징을 하는 전극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photopolymerizable compound is a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compound.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성 화합물은 이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또는 삼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photopolymerizable compound is a bifunctional (meth) acrylate compound or a trifunctional (meth) acrylate compound.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이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디(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 변성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디(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애시드포스페이트디에스테르, 비스(히드록시)트리시클로[5.2.1.02,6]데칸=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히드록시)트리시클로[5.2.1.02,6]데칸=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레이트, 비스(히드록시메틸)트리시클로[5.2.1.02,6]데칸=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히드록시메틸)트리시클로[5.2.1.02,6]데칸=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레이트, 비스(히드록시)펜타시클로[6.5.1.13,6.02,7.09,13]펜타데칸=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히드록시)펜타시클로[6.5.1.13,6.02,7.09,13]펜타데칸=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레이트, 비스(히드록시메틸)펜타시클로[6.5.1.13,6.02,7.09,13]펜타데칸=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히드록시메틸)펜타시클로[6.5.1.13,6.02,7.09,13]펜타데칸=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레이트, 2,2-비스[4-(β-(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톨시)시클로헥실]프로판, 1,3-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시클로헥산, 1,3-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시클로헥산, 1,4-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시클로헥산, 1,4-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시클로헥산, 프탈산디글리시딜에스테르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비스페놀A(2,2'-디페닐프로판)형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프로필렌옥사이드 변성 비스페놀A(2,2'-디페닐프로판)형 디(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bifunctional (meth) acrylate-based compound may be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di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tetra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poly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neopentyl glycol di (meth) acrylate, di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diprop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glycerin d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di (meth) acrylate, 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di (meth) acrylate, di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Di (meth) acrylate, hydroxypivalic acid-modified neopentyl glycol di (meth) acrylate, isocyanuric acid ethylene oxide-modified di (meth) Bis (hydroxy) tricyclo [5.2.1.02,6] decane di (meth) acrylate, bis (hydroxy) tricyclo [5.2.1.02,6] decane Acrylate methacrylate, bis (hydroxymethyl) tricyclo [5.2.1.02,6] decane di (meth) acrylate, bis (hydroxymethyl) tricyclo [5.2.1.02,6] decane acrylate (Hydroxy) pentacyclo [6.5.1.13,6.02,7.09,13] pentadecane di (meth) acrylate, bis (hydroxy) pentacyclo [6.5.1.13,6.02,7.09,13] (Hydroxymethyl) pentacyclo [6.5.1.13,6.02,7.09,13] pentadecane di (meth) acrylate, bis (hydroxymethyl) pentacyclo [6.5.1.13 , 6.02,7.09,13] pentadecane acrylate methacrylate, 2,2-bis [4- (β- (meth) acryloyloxyethoxycyclopentyl] propane, 1,3-bis Meth) acrylate ((Meth) acryloyloxymethyl) cyclohexane, 1,4-bis ((meth) acryloyloxyethyl) cyclohexane, 1,4-bis (Meth) acryloyloxyethyl) cyclohexane, phthalic acid diglycidyl ester di (meth) acrylate, ethylene oxide modified bisphenol A (2,2'-diphenylpropane) type di (meth) acrylate and propylene oxide modified And bisphenol A (2,2'-diphenylpropane) type di (meth) acrylate.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삼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린폴리글리시딜에테르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에틸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1,3,5-트리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시클로헥산 및 1,3,5-트리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옥시메틸)시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trifunctional (meth) acrylate compound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rimethylolpropane tr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etra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penta (meth) Tri (meth) acryloyloxyethoxy trimethylol propane, glycerin polyglycidyl ether poly (meth) acrylate, isocyanuric acid ethylene oxide modified tri (meth) acrylate, ethylene (Meth) acrylate, ethylene oxide-modified dipentaerythritol hexa (meth) acrylate, ethylene oxide modified di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ethylene oxide modified pentaerythritol tetra (meth) 1,3,5-tris ((meth) acryloyloxymethyl) cyclohexane and 1,3,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5-tris ((meth) acryloyloxyethyloxymethyl) cyclohexane.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광 개시제는 벤조페논,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프로필에테르, 디에톡시아세토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6-디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2,
The photoinitiato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enzophenone, benzoin methyl ether, benzoin propyl ether, diethoxyacetophenone, 1-hydroxycyclohexyl phenyl ketone, 2,6-d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2,4,6- 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and combinations thereof.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ode assembly is of the stacked or stacked / folded type.
양극 탭 상에 열경화성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열경화성 수지 도포 부위에 열을 가하여 열경화하여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Applying a thermosetting resin on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And forming an insulating layer by applying heat to the thermosetting resin application site to thermally cure the thermosetting resin.
양극 탭 상에 광경화성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광경화성 수지 도포 부위에 빛을 조사하여 광경화하여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Applying a photocurable resin on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And irradiating light to the photocurable resin application site to form an insulating layer by photocuring.
청구항 19 또는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도포는 분무 도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9 or 20,
Wherein the application is a spray application.
청구항 1에 기재된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는 파우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secondary battery is a pouch type battery.
KR1020140094218A 2014-07-24 2014-07-24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with the same KR1017351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218A KR101735157B1 (en) 2014-07-24 2014-07-24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218A KR101735157B1 (en) 2014-07-24 2014-07-24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with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591A KR20160012591A (en) 2016-02-03
KR101735157B1 true KR101735157B1 (en) 2017-05-12

Family

ID=55355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218A KR101735157B1 (en) 2014-07-24 2014-07-24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with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515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6359A1 (en) * 2018-08-13 2020-0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Stack-folding type electrode assembly and lithium metal battery comprising same
US10873103B2 (en) 2018-02-20 2020-12-22 Samsung Sdi Co., Ltd.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the same
US11942603B2 (en) 2018-08-13 2024-03-26 Lg Energy Solution, Ltd. Stack-folding type electrode assembly and lithium metal battery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675B1 (en) * 2017-04-06 2021-0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Electrode with pattern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US20200373558A1 (en) * 2018-02-01 2020-11-26 Lg Chem, Ltd.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JP7209191B2 (en) * 2019-10-02 2023-01-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laminated batter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1899A (en) * 2008-01-31 2009-08-13 Sanyo Electric Co Ltd Laminated batter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4613A (en) 2011-05-04 2012-1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Secondary Battery with Advanced Safet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1899A (en) * 2008-01-31 2009-08-13 Sanyo Electric Co Ltd Laminated batter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3103B2 (en) 2018-02-20 2020-12-22 Samsung Sdi Co., Ltd.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the same
WO2020036359A1 (en) * 2018-08-13 2020-0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Stack-folding type electrode assembly and lithium metal battery comprising same
US11942603B2 (en) 2018-08-13 2024-03-26 Lg Energy Solution, Ltd. Stack-folding type electrode assembly and lithium metal battery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591A (en) 201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195B1 (en) Method for Preparing Positive Electrode Having Insulation Coating portion and Positive Electrode Prepared Thereby
KR101735157B1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with the same
KR101676406B1 (en) Stack-folding typed electrode assembly
US10686209B2 (en) Electrode assembly, battery cell in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of preparing the battery cell
EP2238643B1 (en) Pouch-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1840494B1 (en) Electrode for a secondary battery,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20170017131A (en) Flexible battery
US20180175451A1 (en) Film packaged battery
KR102141964B1 (en)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slurry, negative electrode comprising thereof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the negative electrode
JP6936670B2 (en) Separator for lithium-ion batteries
US20190221852A1 (en)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and Storage Device
KR101495953B1 (en) Pouch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102142627B1 (en) Electrode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2049438B1 (en) Electrode having dual layer structure,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20160006535A (en) Electrode assembl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JP6861127B2 (en) Electrode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equipment
KR101831484B1 (en) Electrode assembly attached twist prevention tap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reof
KR101757517B1 (en) Preparation method of cathode electrode and cathode electrode produced by the same
KR10175253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nd electrode manufactured by the same
KR102580309B1 (en) Electrolyte additives for secondary battery, non-aqueous electrolyte for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and secondary battery
US11769899B2 (en) Press ji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using same
KR101311493B1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JP614986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wer storage device
KR20160042620A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cathode active material containing carbon coating layer, cathode active material produced by the same, cathode and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the same
KR20210099765A (en) Thin lithium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