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259B1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motor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mo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4259B1
KR101734259B1 KR1020150121875A KR20150121875A KR101734259B1 KR 101734259 B1 KR101734259 B1 KR 101734259B1 KR 1020150121875 A KR1020150121875 A KR 1020150121875A KR 20150121875 A KR20150121875 A KR 20150121875A KR 101734259 B1 KR101734259 B1 KR 101734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motor
electromotive force
control
ma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18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25437A (en
Inventor
임재상
김성민
차지완
김영운
노정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1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259B1/en
Publication of KR20170025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4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2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26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motors or the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의 모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모터 제어 장치는, 모터 요구토크 및 모터 회전속도 별로 대응하는 전류지령을 매핑시켜 저장하며, 각각 서로 다른 역기전력의 모터 기준품을 이용하여 생성된 복수의 전류맵, 모터의 역기전력을 토대로 상기 복수의 전류맵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모터의 제어용 전류맵으로 선택하고, 상기 제어용 전류맵으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전류맵으로부터 차량의 현재 모터 요구토크 및 현재 모터 회전속도에 대응하는 전류지령을 획득하고, 상기 전류지령을 토대로 전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 그리고 상기 전류 제어신호를 토대로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to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a vehicle.
A motor control device of a vehicle maps and stores corresponding current commands for respective motor required torque and motor rotational speed and generates a plurality of current maps generated by using motor reference products of different counter electromotive forces, Obtains a current command corresponding to a current motor required torque of the vehicle and a current motor rotational speed from at least one current map selected by the control current map, A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current control signal based on the current command, and a current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based on the current control signal.

Description

모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MOTOR}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or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모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친환경 차량에 탑재되는 모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o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a motor mounted o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vehicle.

친환경 차량은 에너지 소비 효율이 우수한 무공해 또는 저공해 차량을 나타낸다. 대표적인 친환경 차량으로는, 전기로 구동되는 모터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전기차량(electric vehicle), 또는 화석연료를 연소하여 구동되는 엔진과 전기로 구동되는 모터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차량(hybrid electric vehicle)이 포함될 수 있다. Eco-friendly vehicles represent pollution-free or low-pollution vehicles with high energy consumption efficiency. Typical example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vehicles include an electric vehicle that uses an electrically driven motor as a power source, a hybrid electric vehicle that uses an engine driven by burning fossil fuel, and an electrically driven motor as a power source, May be included.

하이브리드 차량은 저속에서는 상대적으로 저속토크특성이 좋은 모터를 주 동력원으로 사용하고, 고속에서는 상대적으로 고속토크특성이 좋은 엔진을 주 동력원으로 사용한다. 이에 따라, 하이브리드 차량은 저속구간에서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엔진의 작동이 정지되고 모터를 주 동력원으로 사용함으로써, 연비 개선과 배기가스의 저감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Hybrid vehicles use a motor with a relatively low torque characteristic at a low speed as the main power source and an engine with a relatively high torque characteristic at high speed as a main power source. As a result, the hybrid vehicle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fuel economy and reducing the exhaust gas by stopping the engine using the fossil fuel in the low speed section and using the motor as the main power source.

하이브리드 차량에 사용되는 모터는 영구자석이 회전자 코어(rotor core)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표면 부착형 영구자석(Surface Permanent Magnet, SPM) 타입과 영구자석이 회전자 코어의 내부에 삽입되는 매립형 영구자석(Internal Permanent Magnet, IPM)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IPM 타입의 모터는, 작은 사이즈로 고출력이 가능하여 대부분의 하이브리드 차량은 IPM 타입의 모터를 사용한다. IPM 모터는 토크 지령(요구토크)과 모터 회전속도(또는 자속)을 입력으로 하는 전류맵을 이용하여 전류 지령을 발생시키고, 이를 토대로 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를 수행함으로써 3상 전류를 모터에 인가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IPM 모터의 토크는 영구자석의 쇄교자속세기에 비례하며, 영구자석의 쇄교자속세기는 모터의 역기전력에 대응한다. The motor used in the hybrid vehicle includes a surface permanent magnet (SPM) type in which permanent magnets are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rotor core, and a permanent magnet type permanent magnet in which a permanent magnet is inserted into the rotor core (Internal Permanent Magnet, IPM) type. IPM type motors can be small size and high output, and most hybrid vehicles use IPM type motors. The IPM motor generates a current command using a current map that uses a torque command (required torque) and a motor rotational speed (or magnetic flux) as inputs, and performs pulse width modulation (PWM) To the motor. The torque of the IPM motor is proportional to the flux intensity of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flux intensity of the permanent magnet corresponds to the back electromotive force of the motor.

한편, 모터 양산 시 제작상의 편차로 인해 모터의 영구자석 세기에 편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영구자석 세기의 편차는 모터의 역기전력 편차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기준품을 실험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축된 전류맵을 이용하여 모터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토크 편차가 발생하여 모터가 최대 효율 운전점을 벗어나 동작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모터가 최대 효율 윤전점을 벗어나 동작함으로 인해, 차량의 연비 및 동력 성능이 저하되고, 배터리가 과충전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otor is mass-produced, deviation of the permanent magnet strength of the motor occurs due to deviation of the manufacturing phase, and such deviation of the permanent magnet strength causes the back electromotive force deviation of the motor. Accordingly, when the motor control is performed using the current map constructed by using the data of the test of the reference product, a phenomenon occurs that a torque deviation occurs and the motor operates out of the maximum efficiency operating point. Further, since the motor operates out of the maximum efficiency spinning point, fuel efficiency and power performance of the vehicle are lowered, and the battery is overcharged.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해결하려는 과제는 모터가 최대 효율 운전점에서 동작하도록 모터의 역기전력 편차를 보상함으로써, 연비 및 성능을 개선시키는 모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to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fuel economy and performance by compensating a back electromotive force deviation of a motor so that the motor operates at a maximum efficiency operating poin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모터 제어 장치는, 모터 요구토크 및 모터 회전속도 별로 대응하는 전류지령을 매핑시켜 저장하며, 각각 서로 다른 역기전력의 모터 기준품을 이용하여 생성된 복수의 전류맵, 모터의 역기전력을 토대로 상기 복수의 전류맵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모터의 제어용 전류맵으로 선택하고, 상기 제어용 전류맵으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전류맵으로부터 차량의 현재 모터 요구토크 및 현재 모터 회전속도에 대응하는 전류지령을 획득하고, 상기 전류지령을 토대로 전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 그리고 상기 전류 제어신호를 토대로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tor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which maps and stores a corresponding current command for each of a motor required torque and a motor rotation speed, and uses a motor reference product having different back electromotive force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urrent maps as a current map for control of the motor on the basis of the plurality of generated current maps and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of the motor, A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obtaining a current command corresponding to a current motor rotation speed and generating a current control signal based on the current command and a current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based on the current control signal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모터 제어 방법은, 모터의 역기전력을 토대로, 서로 다른 역기전력에 대응하는 복수의 전류맵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모터의 제어용 전류맵으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어용 전류맵으로부터 차량의 현재 모터 요구토크 및 현재 모터 회전속도에 대응하는 전류지령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류지령을 토대로 전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전류 제어신호를 토대로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전류맵은 모터 요구토크 및 모터 회전속도 별로 대응하는 전류지령을 매핑시켜 저장하며, 각각 서로 다른 역기전력의 모터 기준품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tor control method for a vehicle, comprising: selecting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current maps corresponding to different counter electromotive forces as a current map for control based on a counter electromotive force of the motor; Receiving a current command corresponding to a current motor required torque of the vehicle and a current motor rotational speed from a current map, generating a current control signal based on the current command, and calculating a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based on the current control signal Wherein the plurality of current maps map and store a corresponding current command for each of the motor required torque and the motor rotational speed and can be generated using motor reference products of different counter electromotive forces.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터가 최대 효율 운전점에서 동작하도록 모터의 역기전력 편차를 보상함으로써, 연비 및 성능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fuel consumption and the performance by compensating the back electromotive force deviation of the motor so that the motor operates at the maximum efficiency operating poi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IPM 타입의 모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모터 양산 시 역기전력 산포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에서 역기전력에 따라서 모터의 운전점을 다르게 제어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역기전력을 추정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모터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hybrid vehicle that performs a moto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PM type motor.
Fig. 3 shows an example of the distribution of counter electromotive force when the motor is mass-produced.
4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mo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motor control point is controll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in the mo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estimating a counter electromotive for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otor control method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ortion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차량의 구동력 및 엔진의 효율적인 운전점을 만족시키는 방향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 Also,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in a direction that satisfies the driving force of the vehicle and the efficient operating point of the engine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t can be included.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otor control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necessary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개략적인 구성도(block diagram)로서, 모터와 변속기 및 구동축이 직렬 연결되어 있는 TMED(Transmission Mounted Electric Device) 방식의 파워 트렌인을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을 예로 들어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2는 IPM 타입의 모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hybrid vehicle that carries out a moto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MED (Power Transmission Mounted Electric Device) powertrain, in which a motor, a transmission and a drive shaft are connected in series, And a hybrid vehicle using phosphorus as an example.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PM type motor.

한편, 도 1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차량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모터를 동력 수단으로 구비하는 모든 종류의 하이브리드 차량에 적용이 가능하다.Meanwhile, the hybrid vehicle shown in FIG. 1 is for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ll kinds of hybrid vehicles having a motor as a power mean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은, 엔진(10), 모터(20), 엔진클러치(30), 변속기(40), 기어장치(50), 배터리(60), 시동발전기(70), 차륜(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1, a hybri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ngine 10, a motor 20, an engine clutch 30, a transmission 40, a gear device 50, a battery 60, A starter generator 70, a wheel 80, and the like.

엔진(10)은 연료를 연소시켜 동력을 발생시킨다. The engine 10 generates power by burning fuel.

모터(20)는 엔진(10)의 동력을 보조하며, 제동 시 발전기로 동작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한다. 모터(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구자석(magnet, 22)이 회전자 코어(21)의 내부에 삽입되는 매립형 영구자석(Internal Permanent Magnet, IPM)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motor 20 assists the power of the engine 10 and acts as a generator when braking to generate electrical energy. The motor 20 may be embodied as an internal permanent magnet (IPM) type in which a permanent magnet 22 is inserted into the rotor core 21, as shown in FIG.

모터(20)에 의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는 배터리(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electric energy generated by the motor 20 may be stored in the battery 60. [

엔진클러치(30)는 엔진(10)과 모터(20) 사이에 연결되며, 엔진(10)과모터(20) 사이에서 동력 전달을 단속한다. The engine clutch 30 is connected between the engine 10 and the motor 20 and interrupts power transmission between the engine 10 and the motor 20. [

변속기(40)는 모터(20)와 직렬 연결되며, 엔진(10)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속도에 따라 필요한 회전력으로 바꾸어 차륜(80)으로 전달할 수 있다. The transmission 40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motor 20 and can transmit the power generated by the engine 10 to the wheel 80 by changing the rotational force to a required rotational speed according to the speed.

기어장치(50)는 변속기(40)에 의해 변속된 구동력을 차륜(80)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기어장치(50)가 차동기어장치(Differential Gear, DG)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기어장치(50)는 차동기어장치가 아닌 다른 종류의 기어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gear device 50 can transmit the driving force shifted by the transmission 40 to the wheel 80. [ In FIG. 1, the gear device 50 is a differential gear (DG). However, the gear device 50 may be a gear device other than the differential gear device.

시동발전기(70)는 엔진(10)을 시동하거나, 엔진(10)의 회전력에 의해 발전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시동발전기(70)가 HSG(hybrid starter & generator)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시동발전기(70)는 ISG(integrated starter & generator)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starter generator 70 may start the engine 10 or perform the power generation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engine 10. [ 1, the starting generator 70 is an HSG (hybrid starter & generator). However, the starting generator 70 may be implemented as an integrated starter & generator (IS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은, 하이브리드 제어기(Hybrid Control Unit, HCU)(200), 엔진 제어기(Engine Control Unit, ECU)(110), 모터 제어기(Motor Control Unit, MCU)(120), 변속 제어기(Transmission Control Unit, TCU)(140), 배터리 제어기(Battery Control Unit)(160) 등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ybri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ybrid control unit (HCU) 200, an engine control unit (ECU) 110, a motor control unit (MCU) 120, a transmission control unit (TCU) 140, a battery control unit 160, and the like.

하이브리드 제어기(200)는 최상위 제어기로,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하위 제어기들을 통합 제어하고, 각 하위 제어기들의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체 동작을 제어할 수하는 있다. The hybrid controller 200 is a top-level controller that integrally controls lower-level controllers connected to the network, and collects and analyzes information of the lower-level controllers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hybrid vehicle.

엔진 제어기(110)는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HCU(200)와 연동하여 엔진(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engine controller 11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ngine 10 in conjunction with the HCU 200 connected to the network.

모터 제어기(120)는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HCU(200)와 연동하여 모터(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motor controller 12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tor 20 in conjunction with the HCU 200 connected to the network.

변속 제어기(140)는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HCU(200)의 제어에 따라 변속기(40)에 구비되는 전기식 액추에이터 또는 유압식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목표 변속단의 기어 결합을 제어한다. 즉, 변속 제어기(140)는 액추에이터를 통해 변속기(40)를 구성하는 복수의 엔진 클러치를 제어함으로써, 엔진(10)에서 발생하는 동력의 단속을 제어할 수 있다. The transmission controller 140 controls an electric actuator or a hydraulic actuator provided in the transmission 40 under the control of the HCU 200 connected to the network to control the gear engagement of the target speed change stage. That is, the transmission controller 140 can control the interruption of the power generated in the engine 10 by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engine clutches constituting the transmission 40 via the actuator.

배터리 제어기(160)는, 배터리(60)의 전압, 전류, 온도 등의 정보를 종합 검출하여 충전상태(State Of Charge, SOC)를 관리 제어하며, 배터리(60)의 충방전 전류량을 제어하여 한계전압 이하로 과방전되거나 한계전압 이상으로 과충전되지 않도록 한다.The battery controller 160 manages and controls the state of charge (SOC) of the battery 60 by detecting the information such as the voltage, the current, and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60 and controls the charging / Do not overcharge to below voltage or overcharge to above threshold voltage.

전술한 구조의 하이브리드 차량은, 모터(20)의 동력만을 이용하는 순수 전기자동차 모드인 EV 모드(electric vehicle mode), 엔진(10)의 회전력을 주동력으로 하면서 모터(20)의 회전력을 보조동력으로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모드인 HEV 모드(hybrid electric vehicle mode), 차량의 제동 혹은 관성에 의한 주행 시 제동 및 관성 에너지를 모터(20)의 발전을 통해 회수하여 배터리(60)에 충전하는 회생제동 모드인 RB 모드(regenerative braking mode) 등의 주행모드로 운행할 수 있다. The hybrid vehicle of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ncludes an EV mode (electric vehicle mode), which is a pure electric vehicle mode using only the power of the motor 20, Which is a regenerative braking mode for charging the battery 60 by recovering the braking and inertia energy through the electric power generation of the motor 20 when the vehicle is running due to the braking or inertia of the hybrid vehicle, A regenerative braking mode, and the like.

전술한 구조의 하이브리드 차량은, 모터 제어 장치(후술하는 도 2의 도면부호 400 참고)를 포함하며, 모터 제어 장치(400)를 통해 모터(2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The hybrid vehicl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ncludes a motor control device (see reference numeral 400 in FIG. 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can control the output of the motor 20 through the motor control device 400.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터 제어 장치(400)는 하이브리드 차량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110, 120, 140, 160, 200)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 제어 장치(400)는 모터 제어기(120)에 포함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or control device 400 may be included in at least one controller 110, 120, 140, 160, 200 constituting the hybrid vehicle. For example, the motor control device 400 may be included in the motor controller 120.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에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모터의 역기전력 편차에 의해 모터의 최대 효율 운전점이 차이가 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Before explaining the mo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son why the maximum efficiency operation point of the motor is varied due to the back electromotive force deviation of the mot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PM 타입의 모터(20)의 토크(T)는 아래의 수학식 1로 표현될 수 있다.The torque T of the IPM type motor 20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수학식 1][Equation 1]

위 수학식 1에서, Φ는 영구자석(22)의 쇄교자속세기를 나타낸다. 또한, id 및 iq는 각각 d축 전류 및 q축 전류를 나타내며, Ld 및 Lq는 각각 d축 인덕턴스 및 q축 인덕턴스를 나타낸다. 위 수학식 1을 참조하면, 모터(20)의 토크는 영구자석(22)의 쇄교자속세기(Φ)에 비례한다. 영구자석(22)의 쇄교자속세기(Φ)는 모터(20)의 역기전력에 비례한다. In Equation (1),? Represents the flux intensity of the permanent magnet (22). Also, id and iq represent the d-axis current and the q-axis current, respectively, and Ld and Lq denote the d-axis inductance and the q-axis inductance, respectively. Referring to Equation (1), the torque of the motor (20) is proportional to the flux (?) Of the permanent magnet (22). The flux intensity? Of the permanent magnet 22 is proportional to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of the motor 20.

도 3은 모터 양산 시 역기전력 산포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3 shows an example of the distribution of counter electromotive force when the motor is mass-produced.

도 3을 참고하면, 모터(20)는 양산 시 역기전력을 역기전력 기준치와 비교하여 역기전력 하한품과 역기전력 상한품으로 구별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모터(20)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류맵은 모터 기준품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기준품이 최대 효율 운전이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전류맵 생성 시, 제1모터를 기준품으로 전류맵을 생성하는 경우, 제1모터와 유사한 역기전력을 가지는 모터는 최대 효율 운전이 가능하다. 그러나, 제2모터와 같이 제1모터와의 역기전력 편차가 큰 모터의 경우, 제1모터를 기준으로 설정된 전류맵을 사용하여 제어할 경우 최대 효율 운전점을 벗어나 동작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3, the motor 20 can be distinguished into a counter-electromotive force lower limit product and a counter-electromotive force upper limit product by comparing counter-electromotive force at the time of mass production with a counter-electromotive force reference value. Typically, the current map used to control the motor 20 is designed so that the reference product can be operated at maximum efficiency through experiments using a motor reference product. In generating the current map, when generating the current map from the first motor to the reference product, the motor having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motor is capable of the maximum efficiency operation. However, in the case of a motor having a large back EMF devia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motor, such as the second motor, when the control is performed using the current map set with reference to the first motor, the motor runs out of the maximum efficiency operating point.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모터(20)가 최대 효율 운전점에도 동작할 수 있도록 모터(20)의 역기전력 편차를 보상하는 방향으로 모터(20)로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후술하는 모터 제어 장치(400)는 서로 다른 역기전력이 대응되어 있는 복수의 전류맵을 포함하고, 모터(20)로부터 추정되는 역기전력을 토대로 복수의 전류맵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모터(20)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한다.Therefo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20 is controlled in a direction to compensate for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deviation of the motor 20 so that the motor 20 can operate at the maximum efficiency operating point. To this end, the motor control apparatus 400 described later includes a plurality of current maps to which different counter electromotive forces are associated. The motor control apparatus 400 controls the motor 20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urrent maps) based on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estimated from the motor 20 And the like.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4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otor control device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에서 역기전력에 따라서 모터의 운전점을 다르게 제어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4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mo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motor control point is controll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in the mo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400)는 복수의 전류맵(411, 412, 413), 역기전력 추정부(420), 제어신호 생성부(430), 전류 제어부(4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모터 제어 장치(400)의 구성요소들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모터 제어 장치(400)는 도 4에 도시된 바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4, the motor control device 400 includes a plurality of current maps 411, 412, and 413, a counter electromotive force estimation unit 420, a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430, (440), and the like. On the other hand, the components of the motor control device 400 shown in Fig. 4 are not essential, so that the motor control device 400 can be provided to includ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ose shown in Fig. 4 .

각 전류맵(411, 412, 413)은 모터 요구토크 및 모터 회전속도(또는 자속) 별로 대응하는 전류지령을 매핑시킨 맵으로서, 모터 요구토크 및 모터 회전속도(또는 자속)에 따라서 서로 다른 전류지령을 대응시켜 저장한다. 그리고, 차량의 현재 모터 요구토크 및 모터 회전속도가 입력되면, 이에 대응하는 전류지령을 읽어와 출력으로 내보낸다. 각 전류맵(411, 412, 413)에서 출력되는 전류지령은, d축 전류지령 및 q축 전류지령을 포함할 수 있다. Each of the current maps 411, 412, and 413 maps a corresponding current command for each of the motor required torque and the motor rotational speed (or magnetic flux). The current maps 411, 412, and 413 map different current commands according to the motor required torque and the motor rotational speed . When the current motor required torque and the motor rotational speed of the vehicle are input, the corresponding current command is read out and output to the output. The current command output from each of the current maps 411, 412, and 413 may include a d-axis current command and a q-axis current command.

복수의 전류맵(411, 412, 413)은 서로 다른 역기전력에 대응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전류맵(411, 412, 413)은 역기전력이 서로 다른 모터 기준품을 실험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전류맵(411, 412, 413)은, 역기전력이 각각 역기전력 하한품, 기준품 및 상한품에 해당하는 복수의 모터 기준품을 실험하여 획득한 실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urrent maps 411, 412, and 413 may correspond to different counter electromotive forces. That is, the plurality of current maps 411, 412, and 413 can be generated by using data obtained by experimenting motor reference products having different counter electromotive forces.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current maps 411, 412, and 413 can be generated by using experimental data obtained by experimenting a plurality of motor reference products corresponding to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lower limit product, the reference product, and the upper product, respectively have.

복수의 전류맵(411, 412, 413)은 각각 대응하는 모터 기준품에 대해, 인가되는 전류를 스윕(sweep)하면서 측정한 실험 데이터(출력 토크)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즉, 모터 기준품에 인가되는 전류를 변경시키면서 모터 기준품의 출력 토크를 측정하고, 측정된 출력 토크가 최대 효율 운전점을 만족하는 지점에서의 인가전류를 토대로 각 전류맵(411, 412, 413)에 포함되는 전류지령들을 획득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current maps 411, 412, and 413 may be set using experiment data (output torque) measured while sweeping the applied current, respectively, for the corresponding motor reference product. That is, the output torque of the motor reference product is measured while changing the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reference product, and the current maps 411, 412, and 413 are generated based on the applied current at the point where the measured output torque meets the maximum efficiency operation point. Lt; / RTI >

한편, 서로 다른 역기전력을 가지는 모터 기준품들은, 전류가 스윕함에 따라서 출력하는 토크가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이에 따라, 각 전류맵(411, 412, 41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효율 운전점에서 동작하기 위한 전류 운전점이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motor reference products having different counter electromotive forces exhibit different output torque as the current sweeps. Accordingly, the current operation points for operating at the maximum efficiency operating point can be set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respective current maps 411, 412, and 413 as shown in FIG.

한편, 모터(20)는 역기전력에 따라서 인덕턴스가 다르게 나타난다. On the other hand, the inductance of the motor 20 varies depending on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위 수학식 1을 참조하면, 모터(20)의 인덕턴스 편차(Ld, Lq)는 모터(20)의 출력 토크를 변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모터(20)의 출력토크에는 인덕턴스(Ld, Lq) 편차가 반영되어 출력된다. The inductance deviations Ld and Lq of the motor 20 act as factors that change the output torque of the motor 20 and the inductances Ld and Lq are added to the output torque of the motor 20. [ The deviation is reflected and output.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모터 기준품들을 이용하여 획득한 실험 데이터(출력 토크)를 토대로 각 전류맵(411, 412, 413)을 생성하는 경우, 각 전류맵(411, 412, 413)은 별도의 계산 없이도 모터 기준품의 역기전력 편차뿐만 아니라 인덕턴스 편차까지 반영되어 설정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each current map 411, 412, 413 is generated based on experimental data (output torque) obtained using different motor reference products as described above, each current map 411, 412, 413 It is possible to set not only the deviation of the back electromotive force of the motor reference product but also the inductance deviation.

역기전력 추정부(420)는 모터(20)의 역기전력을 추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역기전력 추정부(420)는 레졸버(resolver)의 옵셋을 보정하는 과정에서, 모터(20)의 역기전력을 추정할 수 있다. The back electromotive force estimation unit 420 performs a function of estimating a back electromotive force of the motor 20. [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estimator 420 can estimate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of the motor 20 in the process of correcting the offset of the resolver.

레졸버는, 모터(20)의 회전각을 검출하여 회전자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각도 센서로서, 모터(20)의 양산 시 제작상의 편차로 인해 옵셋 편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차량에서는 캘리브레이션을 통해 레졸보 옵셋 편차를 보상하기 위한 과정에 필수적으로 수행된다. The resolver is an angle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rotor by detec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motor 20, and an offset deviation occurs due to the manufacturing phase deviation when the motor 20 is mass-produced. Therefore, in the vehicle, calibration is essentially performed in a process for compensating for the resolvo-offset deviation.

아래의 수학식 2는 레졸버 옵셋 보정 시에 사용되는 모터 동기 좌표 수식으로서, 각각 모터(20)의 d축 전압(Vd) 및 q축 전압(Vq)을 산출하기 위한 전압 방정식을 나타낸다. Equation 2 below shows a voltage equation for calculating the d-axis voltage Vd and the q-axis voltage Vq of the motor 20, respectively, as motor synchronous coordinate formulas used at the time of resolver offset correction.

[수학식 2]&Quot; (2) "

Figure 112015083863941-pat00002
Figure 112015083863941-pat00002

위 수학식 2에서, Rs는 모터(20)의 전기자 권선저항을 나타내고, ω는 회전속도(RPM)을 나타낸다. 또한, Φ는 영구자석(22)의 쇄교자속세기를 나타내고, id 및 iq는 각각 d축 전류 및 q축 전류를 나타낸다. In the above equation (2), Rs represents the armature winding resistance of the motor 20, and? Represents the rotation speed (RPM). Also, phi denotes the flux linkage strength of the permanent magnet 22, and id and iq denote the d-axis current and the q-axis current, respectively.

레졸버 옵셋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시동장치(IGnition, IG)를 온(ON) 시키고 차량의 변속기(40)의 기어단을 중립(N단)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엔진(10)과 모터(20) 사이의 클러치(30)를 접합한다. 또한, 모터(20)의 d축 전류(id) 및 q축 전류(iq)를 0으로 수렴시키는 영전류 제어를 수행한다. 모터(20)의 d축 전류(id) 및 q축 전류(iq)를 영전류 제어할 경우, 모터(20)의 d축 전압(Vd) 및 q축 전압(Vq)은 아래의 수학식 3과 같이 출력된다. In order to estimate the resolver offset, first, the ignition device IGnition IG is turned ON and the engine 10 and the motor 20 The clutch 30 is engaged. Further, zero current control is performed to converge the d-axis current id and the q-axis current iq of the motor 20 to zero. The d-axis voltage Vd and the q-axis voltage Vq of the motor 20 ar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s (3) and (3) when the d- axis current id and the q- And output.

[수학식 3]&Quot; (3) "

Figure 112015083863941-pat00003
Figure 112015083863941-pat00003

위 수학식 3을 참고하면, 모터(20)의 d축 전류(id) 및 q축 전류(iq)가 영전류 제어됨에 따라, d축 전압은 0으로 수렴하고, q축 전압(Vq)은 모터(20)의 쇄교자속세기(Φ) 및 회전속도(RPM)에 비례하여 나타난다. The d-axis voltage converges to zero and the q-axis voltage Vq converges to zero as the d-axis current id and the q-axis current iq of the motor 20 are subjected to zero current control, (?) And the rotation speed (RPM) of the rotor (20).

따라서, 모터(20)의 쇄교자속세기(Φ)를 아래의 수학식 4와 같이 획득할 수 있다. Therefore, the reciprocating speed strength? Of the motor 20 can be obtained as shown in Equation (4) below.

[수학식 4]&Quot; (4) "

Figure 112015083863941-pat00004
Figure 112015083863941-pat00004

레졸버 옵셋 보정 과정에서 차량의 모터 회전속도는 소정 속도(예를 들어, 1200rpm)를 유지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역기전력 추정부(420)는 레졸버 옵셋 추정 과정에서 위 수학식 4를 이용하여 모터(20)의 쇄교자속세기(Φ)를 획득할 수 있다. In the resolver offset correction process, the motor rotational speed of the vehicle is controlled to maintain a predetermined speed (for example, 1200 rpm). Therefore,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estimator 420 can obtain the flux linkage strength? Of the motor 20 using the above Equation (4) in the resolver offset estimation process.

모터(20)의 역기전력은 쇄교자속세기(Φ)에 비례한다. 따라서, 역기전력 추정부(420)는 위 수학식 4를 통해 검출되는 모터(20)의 쇄교자속세기(Φ)로부터 모터(20)의 역기전력 또는 역기전력 편차를 추정할 수 있다.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of the motor 20 is proportional to the flux linkage strength?. Therefore,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estimator 420 can estimate the back electromotive force or the back electromotive force deviation of the motor 20 from the flux linkage speed? Of the motor 20 detected through Equation (4) above.

역기전력 추정부(420)는 레졸버 옵셋 추정 과정에서, 영전류 제어를 통해 획득한 모터(20)의 쇄교자속세기와, 각 전류맵(411, 412, 413)에 대응하는 모터 기준품에 대해 레졸버 옵셋 추정 과정에서 영전류 제어를 통해 획득한 쇄교자속세기를 비교함으로써, 각 전류맵(411, 412, 413)에 대응하는 모터 기준품에 대한 모터(20)의 역기전력 편차를 추정할 수 있다.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estimating unit 420 calculates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based on the flux linkage strength of the motor 20 acquired through the zero current control and the motor reference product corresponding to each current map 411, 412, and 413 in the resolver offset estimation process The back electromotive force deviation of the motor 20 with respect to the motor reference product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current maps 411, 412, and 413 can be estimated by comparing the flux linkage velocities obtained through the zero current control in the resolver offset estimation process have.

[수학식 5]&Quot; (5) "

Figure 112015083863941-pat00005
Figure 112015083863941-pat00005

위 수학식 5에서 Vq_ref는 각 전류맵(411, 412, 413)에 대응하는 모터 기준품에 대해 영전류 제어를 통해 획득한 q축 전압을 나타내고, Vq는 모터(20)에 대해 영전류 제어를 통해 획득한 q축 전압을 나타낸다. Vq_ref represents a q-axis voltage obtained by zero current control for a motor reference product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current maps 411, 412, and 413, and Vq represents zero current control for the motor 20 Axis voltage.

위 수학식 5를 참고하면, 모터(20)의 쇄교좌속세기 편차(ΔΦ)는 모터 기준품에 대해 영전류 제어를 통해 획득한 q축 전압(Vq_ref)과 모터(20)에 대해 영전류 제어를 통해 획득한 q축 전압(Vq) 간의 차이값(ΔVq)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Referring to Equation (5), the linkage velocity deceleration DELTA phi of the motor 20 corresponds to the q-axis voltage Vq_ref obtained through the zero current control for the motor reference product and the zero current control for the motor 20 (? Vq) between the q-axis voltage (Vq)

역기전력 추정부(4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모터 기준품에 대한 모터(20)의 쇄교좌속세기 편차(ΔΦ)가 산출되면, 이로부터 각 모터 기준품에 대한 역기전류 편차를 추정할 수 있다. The back electromotive force estimator 420 can estimate the back electromotive force current deviation for each motor reference product from the linkage velocity deviation ΔΦ of the motor 20 with respect to each motor reference product as described above.

한편, 모터 제어 장치(400)는 각 전류맵(411, 412, 413)에 대응하는 모터 기준품과의 역기전력 편차를 추정할 수 있도록, 각 전류맵(411, 412, 413)에 대응하는 모터 기준품에 대해, 레졸버 옵셋 추정 과정에서 영전류 제어를 통해 획득한 쇄교자속세기를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The motor control device 400 is configured to estimate the back electromotive force deviation with respect to the motor reference product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current maps 411, 412, and 413 based on the motor references 411, 412, and 413 For the product, the flux linkage strength obtained through the zero current control in the resolver offset estimation process can be stored in an internal memory (not shown).

제어신호 생성부(430)는 모터(20)의 역기전력에 따라서 복수의 전류맵(411, 412, 413) 중 적어도 하나의 전류맵을 모터(20) 제어용 전류맵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전류맵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지령을 이용하여 전류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신호 생성부(430)는 복수의 전류맵(411, 412, 413) 중 모터(20)와 가장 유사한 역기전력을 가지는 모터 기준품의 전류맵을 선택하고, 선택된 전류맵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지령을 이용하여 전류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signal generator 430 selects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urrent maps 411, 412 and 413 as the current map for controlling the motor 20 in accordance with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of the motor 20, The current control signal can be outputted by using the current command output from the map. That is,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430 selects the current map of the motor reference product having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most similar to the motor 20 among the plurality of current maps 411, 412, and 413, and outputs a current command output from the selected current map So that the current control signal can be outputted.

제어신호 생성부(430)는 역기전력 추정부(420)에서 레졸버 옵셋 추정 과정에서 획득한 모터(20)의 쇄교자속세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류맵(411, 412, 413)에 대응되어 있는 모터 기준품들 중 모터(20)와 가장 유사한 역기전력을 가지는 모터 기준품을 획득할 수 있다.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430 generates a control signal based on the flux intensity of the motor 20 obtained in the resolver offset estimation process in the back electromotive force estimation unit 420 and outputs the current map 411, It is possible to obtain a motor reference product having a counter electromotive force most similar to that of the motor 20 among the motor reference products.

제어신호 생성부(430)는 역기전력 유사도를 판단하기 위해 역기전력 추정부(420)에서 레졸버 옵셋 추정 과정에서 획득한 모터(20)의 쇄교자속세기와, 각 전류맵(411, 412, 413)에 대응하는 모터 기준품의 쇄교자속세기를 비교한다. 그리고, 비교 결과 쇄교자속세기가 가장 유사한 모터 기준품을 모터(20)와 역기전력이 가장 유사한 모터 기준품으로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는 전류맵을 모터(20) 제어용 전류맵으로 선택할 수 있다. 즉, 제어신호 생성부(430)는 모터(20)와 모터 기준품들 간의 쇄교자속세기 차이값을 산출하고, 쇄교자속세기 차이값이 가장 작은 모터 기준품이 모터(20)와 역기전력이 가장 유사한 것으로 판단하여, 이에 대응하는 전류맵을 모터(20) 제어용 전류맵으로 선택할 수 있다.The control signal generator 430 calculates the flux intensity of the motor 20 and the current maps 411, 412, and 413 obtained in the resolver offset estimation process in the back electromotive force estimator 420 to determine the counter- To compare the flux linkage strength of the corresponding motor reference product. The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 motor reference product having the closest kinematic strength is compared to the motor reference product having the most similar counter electromotive force to the motor 20, and the corresponding current map can be selected as the current map for controlling the motor 20. In other words,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430 calculates the reciprocating speed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motor 20 and the motor reference products, and the motor reference product having the smallest speed difference value of the shinker speed is used as the motor 20 and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map is the most similar, and the corresponding current map can be selected as the current map for controlling the motor 20.

한편, 제어신호 생성부(430)는 모터(20)의 쇄교자속세기가 두 모터 기준품의 쇄교자속세기의 중간값에 해당하여, 모터(20)와의 쇄교자속세기 차이값이 최소인 두 개의 모터 기준품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신호 생성부(430)는 쇄교자속세기가 가장 유사한 두 개의 모터 기준품에 대응하는 두 개의 전류맵을 모터(20) 제어용 전류맵으로 선택할 수 있다.The control signal generator 43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motor 20 based on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unit 430, When there are two motor reference products,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430 can select two current maps corresponding to the two motor reference products having the same strongest kinetic intensities as the current map for controlling the motor 20.

제어신호 생성부(430)는 복수의 전류맵(411, 412, 413) 중에서 모터(20) 제어용 전류맵이 선택되면, 이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지령을 이용하여 전류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When the current map for controlling the motor 20 is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current maps 411, 412, and 413, 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unit 430 generates a current control signal using the current command output from the current map.

제어신호 생성부(430)는 모터(20) 제어용 전류맵이 한 개 선택된 경우, 해당 전류맵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지령을 전류 제어신호로 출력한다. 제어신호 생성부(430)는 모터(20) 제어용 전류맵이 두 개 선택된 경우, 두 개의 전류맵을부터 전류지령을 모두 수신하고, 두 전류지령 간의 내삽, 외삽 등의 보간처리를 수행하여 전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When one current map for controlling the motor 20 is selected,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430 outputs a current command output from the current map as a current control signal. When two current maps for controlling the motor 20 are selected,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430 receives both current commands from the two current maps and performs interpolation processing such as interpolation and extrapolation between the two current commands, And outputs a signal.

제어신호 생성부(430)에서 출력되는 전류 제어신호는 d축 전류지령과 q축 전류지령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urrent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430 may include a d-axis current command and a q-axis current command.

전류 제어부(440)는 제어신호 생성부(430)로부터 전류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이를 토대로 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를 수행함으로써 모터(20)로 인가되는 3상전류를 제어한다.The current control unit 440 controls the three-phase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20 by performing pulse width modulation (PWM) on the basis of the current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430.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모터 제어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otor control method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and FIG.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역기전력을 추정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6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estimating a counter electromotive for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고하면, 레졸버 옵셋 보정을 위해 차량의 시동장치가 ON됨에 따라(S100), 차량은 레졸버 옵셋 보정을 시작한다(S110). 즉, 차량은 레졸버 옵셋 보정을 위해 변속기(40)의 기어단을 중립(N단)에 위치시키고 엔진(10)과 모터(20) 사이의 클러치(30)를 접합한다, 또한, 모터(20)의 회전속도를 소정 속도(예를 들어, 1200RPM)으로 제어한다. Referring to FIG. 6, as the starting device of the vehicle is turned on to correct the resolver offset (S100), the vehicle starts resolver offset correction (S110). That is, the vehicle positions the gear stage of the transmission 40 neutral (N-th stage) for joining the clutch 30 between the engine 10 and the motor 20 for the resolver offset correction, ) To a predetermined speed (for example, 1200 RPM).

이후, 차량은 모터(20)의 d축 전류 및 q축 전류를 0으로 조절하는 영전류 제어를 수행하고(S120), 영전류 제어 및 레졸버 옵셋 변경을 통해 모터(20)의 d축 전압이 0으로 수렴한 상태에서 모터(20)의 q축 전압을 획득한다(S130). Thereafter, the vehicle performs zero current control for adjusting the d-axis current and the q-axis current of the motor 20 to zero (S120), and the d-axis voltage of the motor 20 through the zero current control and the resolver offset change And the q-axis voltage of the motor 20 is obtained in a converged state of 0 (S130).

이후, 차량은 영전류 제어 상태에서 획득한 모터의 q축 전압으로부터 모터(20)의 쇄교자속세기를 산출한다(S140). Then, the vehicle calculates the flux linkage strength of the motor 20 from the q-axis voltage of the motor obtained in the zero current control state (S140).

모터(20)의 쇄교자속세기는 모터(20)의 역기전력에 대응한다. 따라서, 차량은 상기 S140 단계를 통해 획득한 쇄교자속세기로부터, 모터(20)의 역기전력 또는 역기전력 편차를 추정할 수 있다(S150). The flux linkage strength of the motor 20 corresponds to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of the motor 20. Therefore, the vehicle can estimate the back electromotive force or the back electromotive force deviation of the motor 20 from the flux linkage strength obtained in step S140 (S15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모터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7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otor control method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고하면, 차량의 모터 제어 장치(400)는 모터(20)의 역기전력을 토대로 복수의 전류맵(411, 412, 413) 중 적어도 하나의 전류맵을 모터(20) 제어용 전류맵으로 선택한다(S200). 7, the motor control device 400 of the vehicle selects at least one current map of the plurality of current maps 411, 412, 413 as the current map for controlling the motor 20 based on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of the motor 20 (S200).

상기 S200 단계에서, 모터 제어 장치(400)는 역기전력 추정부(420)에서 레졸버 옵셋 추정 과정에서 획득한 모터(20)의 쇄교자속세기를 이용하여, 각 전류맵(411, 412, 413)에 대응하는 모터 기준품들 중 모터(20)와 역기전력이 가장 유사한 모터 기준품을 선택하고, 선택 결과에 따라서 복수의 전류맵(411, 412, 413) 중 적어도 하나의 전류맵을 선택할 수 있다. In step S200, the motor control device 400 calculates the current map 411, 412, and 413 using the flux intensity of the motor 20 acquired in the resolver offset estimation process in the back electromotive force estimation unit 420, A motor reference product having a counter electromotive force most similar to that of the motor 20 is selected from among the motor reference products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map 411, 412, and 413, and a current map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urrent maps 411, 412, and 413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result.

차량의 모터 제어 장치(400)는 역기전력 유사도를 판단하기 위해 역기전력 추정부(420)에서 레졸버 옵셋 추정 과정에서 획득한 모터(20)의 쇄교자속세기와, 각 전류맵(411, 412, 413)에 대응하는 모터 기준품의 쇄교자속세기를 비교한다. 그리고, 비교 결과, 쇄교자속세기 차이값이 가장 작은 적어도 하나의 모터 기준품을 모터(20)와 역기전력이 가장 유사한 것으로 판단하여, 이에 대응하는 전류맵을 모터(20) 제어용 전류맵으로 선택할 수 있다.The motor control apparatus 400 of the vehicle calculates the flux intensity of the motor 20 obtained in the resolver offset estimation process in the back electromotive force estimation section 420 and the flux intensity of the motor 20 obtained in each of the current maps 411, ) Is compared with the flux linkage strength of the corresponding motor reference product.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t is determined that at least one motor reference product having the smallest kinetic energy difference value is determined to be most similar to the motor 20 and the corresponding current map is selected as the current map for controlling the motor 20 have.

한편, 모터 제어 장치(400)는 모터(20)의 쇄교자속세기가 두 모터 기준품의 쇄교자속세기의 중간값에 해당하여, 모터(20)와의 쇄교자속세기 차이값이 최소인 두 개의 모터 기준품이 존재하는 경우, 두 모터 기준품에 대응하여 두 개의 전류맵을 선택할 수도 있다. 제어신호 생성부(430)는 쇄교자속세기가 가장 유사한 두 개의 모터 기준품에 대응하는 두 개의 전류맵을 모터(20) 제어용 전류맵으로 선택할 수 있다.Meanwhile, the motor control device 400 determines whether the intensity of the flux of the motor 20 corresponds to the intermediate value of the intensity of the flux of the two motors, If a motor reference exists, two current maps may be selected corresponding to the two motor references.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430 can select two current maps corresponding to the two motor reference products having the strongest flux linkage strengths as the current map for controlling the motor 20. [

상기 S200 단계를 통해 선택된 전류맵이 복수개인 경우(S210), 모터 제어 장치(400)는 선택된 두 개의 전류맵으로부터 현재 모터 요구토크 및 모터 회전속도(또는 자속)에 대응하는 전류지령을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되는 전류지령들을 외삽, 내삽 등의 보간 처리하여 전류 제어신호를 생성한다(S220). If there are a plurality of current maps selected in step S200 (S210), the motor control device 400 receives a current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motor required torque and the motor rotational speed (or magnetic flux) from the selected two current maps. The received current commands are subjected to interpolation processing such as extrapolation, interpolation, and the like to generate a current control signal (S220).

반면에, 상기 S200 단계를 통해 선택된 전류맵이 하나인 경우(S210), 모터 제어 장치(400)는 선택된 전류맵으로부터 현재 모터 요구토크 및 모터 회전속도(또는 자속)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전류지령을 이용하여 전류 제어신호로 출력한다(S230). 즉, 선택된 전류맵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지령을 전류 제어신호로 출력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one current map selected in step S200 (S210), the motor control device 400 determines a current command outpu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motor required torque and the motor rotation speed (or magnetic flux) from the selected current map And outputs it as a current control signal (S230). That is, the current command outputted from the selected current map is outputted as a current control signal.

모터 제어 장치(400) 전류 제어신호가 생성되면, 이를 토대로 펄스폭 변조(PWM)를 수행함으로써 모터(20)로 인가되는 3상전류를 제어한다(S240).When the current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he motor control apparatus 400 controls the three-phase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20 by performing pulse width modulation (PWM) based on the current control signal (S240).

전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에서는 역기전력이 서로 다른 모터 기준품을 이용하여 복수의 전류맵을 구축하고, 복수의 전류맵 중 모터의 역기전력과 가장 유사한 역기전력에 대응하는 전류맵을 이용하여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모터의 역기전력 편차를 보상하여 모터의 역기전력 편차로 인한 연비 및 성능 저하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urrent maps are constructed using motor reference products having different counter electromotive forces, and a current map corresponding to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most similar to the motor back electromotive force By controlling the applied current,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for the back EMF deviation of the motor, thereby minimizing the fuel consumption and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the back EMF deviation of the moto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모터 제어 방법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기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The moto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ecuted through software. When executed in software, the constituen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de segments that perform the necessary tasks. The program or code segments may be stored in a processor read functional medium.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_ROM, DVD_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device include ROM, RAM, CD-ROM, DVD-ROM, DVD-RAM, magnetic tape, floppy disk, hard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lso,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connected computer device so that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용이하게 선택하여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성요소 중 일부를 성능의 열화 없이 생략하거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구성요소를 추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당업자는 공정 환경이나 장비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방법 단계의 순서를 변경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형태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and explanatory only and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not.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readily select and substitute i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lso appreciate that some of the components described herein can be omitted without degrading performance or adding components to improve performance.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change the order of the method steps described herein depending on the process environment or equipment.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not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Claims (18)

모터 요구토크 및 모터 회전속도 별로 대응하는 전류지령을 매핑시켜 저장하며, 각각 서로 다른 역기전력의 모터 기준품을 이용하여 생성된 복수의 전류맵,
모터의 역기전력을 토대로 상기 복수의 전류맵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모터의 제어용 전류맵으로 선택하고, 상기 제어용 전류맵으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전류맵으로부터 차량의 현재 모터 요구토크 및 현재 모터 회전속도에 대응하는 전류지령을 획득하고, 상기 전류지령을 토대로 전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 그리고
상기 전류 제어신호를 토대로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류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터 제어 장치.
A plurality of current maps generated by using a motor reference product of different back electromotive force,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urrent maps as a current map for control of the motor on the basis of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of the motor, calculating at least one current map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motor required torque and current motor rotational speed A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acquiring a current command and generating a current control signal based on the current command,
And a curren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based on the current control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전류맵에 대응하는 복수의 모터 기준품 중 상기 모터와 역기전력 유사도가 가장 높은 적어도 하나의 모터 기준품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모터 기준품에 대응하는 전류맵을 상기 제어용 전류맵으로 선택하는 모터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selects at least one motor reference product having the highest counter-electromotive force similarity with the motor among the plurality of motor reference product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urrent maps, and calculates a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t least one motor reference product And selects the map as the control current map.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터 기준품은, 대응하는 역기전력이 각각 역기전력 하한품, 역기전력 기준품 및 역기전력 상한품에 대응되는 모터 제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lurality of motor reference products correspond to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lower limit products,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reference products, and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upper limit products, respectivel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어용 전류맵으로 선택된 전류맵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제어용 전류맵으로 선택된 복수의 전류맵으로부터 상기 현재 모터 요구토크 및 현재 모터 회전속도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복수의 전류지령을 수신하고, 수신되는 상기 복수의 전류지령을 보간 처리하여 상기 전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모터 제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generates a plurality of current commands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motor required torque and the current motor rotational speed from a plurality of current maps selected by the control current map, And generates the current control signal by interpolating the plurality of current commands received and receiv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는 상기 모터와 상기 복수의 모터 기준품 간의 쇄교자속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역기전력 유사도를 판단하는 모터 제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compares the flux linkage intensities between the motor and the plurality of motor reference products to determine the back electromotive force similarit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쇄교자속세기는, 상기 모터로 인가되는 d축 전류와 q축 전류를 영전류 제어하여 측정되는 q축 전압으로부터 획득되는 모터 제어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lux linkage strength of the motor is obtained from a q-axis voltage measured by zero current control of a d-axis current and a q-axis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쇄교자속세기는 상기 모터의 레졸버 옵셋 보정 과정에서 획득되는 모터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lux linkage strength of the motor is obtained in a resolver offset correction process of the mo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류맵은, 대응하는 모터 기준품에 대해, 인가되는 전류를 스윕하며 획득한 실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모터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current maps are generated using experimental data obtained by sweeping an applied current for a corresponding motor reference product.
차량의 모터 제어 방법에 있어서,
모터의 역기전력을 토대로, 서로 다른 역기전력에 대응하는 복수의 전류맵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모터의 제어용 전류맵으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어용 전류맵으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전류맵으로부터 차량의 현재 모터 요구토크 및 현재 모터 회전속도에 대응하는 전류지령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류지령을 토대로 전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전류 제어신호를 토대로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전류맵은 모터 요구토크 및 모터 회전속도 별로 대응하는 전류지령을 매핑시켜 저장하며, 각각 서로 다른 역기전력의 모터 기준품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모터 제어 방법.
In a motor control method for a vehicle,
Selecting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current maps corresponding to different counter electromotive forces as a current map for controlling the motor based on the back electromotive force of the motor,
Receiving a current command corresponding to a current motor required torque of the vehicle and a current motor rotational speed from at least one current map selected by the control current map,
Generating a current control signal based on the current command, and
And controlling a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based on the current control signal,
Wherein the plurality of current maps are generated by mapping a corresponding current command for each of the motor required torque and the motor rotational speed, and using the motor reference product of different back electromotive for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전류맵에 대응하는 복수의 모터 기준품 중 상기 모터와 역기전력 유사도가 가장 높은 적어도 하나의 모터 기준품을 상기 제어용 전류맵으로 선택하는 단계인 모터 제어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electing comprises:
And selecting at least one motor reference product having the highest counter-electromotive force similarity degree among the plurality of motor reference product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urrent maps as the control current map.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터 기준품은, 대응하는 역기전력이 각각 역기전력 하한품, 역기전력 기준품 및 역기전력 상한품에 대응되는 모터 제어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plurality of motor reference products correspond to counter-electromotive force lower limit products, counter-electromotive force reference products, and counter electromotive force upper limit products, respectively.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용 전류맵으로 선택된 전류맵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제어용 전류맵으로 선택된 복수의 전류맵으로부터 상기 현재 모터 요구토크 및 현재 모터 회전속도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복수의 전류지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터 제어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receiving comprises:
And receiving, when a plurality of current maps selected by the control current map are present, a plurality of current commands output from the plurality of current maps selected by the control current map in correspondence with the current motor required torque and the current motor rotational speed Motor control metho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용 전류맵으로 선택된 전류맵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의 전류지령을 보간 처리하여 상기 전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터 제어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generating comprises:
And interpolating the plurality of current commands to generate the current control signal when a plurality of current maps are selected as the control current map.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역기전력 유사도가 가장 높은 적어도 하나의 모터 기준품을 상기 제어용 전류맵으로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모터와 상기 복수의 모터 기준품 간의 쇄교자속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역기전력 유사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터 제어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tep of selecting at least one motor reference product having the highest back EMF similarity as the control current map comprises:
And comparing the flux linkage intensities between the motor and the plurality of motor reference articles to determine the back electromotive force similarity.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쇄교자속세기는, 상기 모터로 인가되는 d축 전류와 q축 전류를 영전류 제어하여 측정되는 q축 전압으로부터 획득되는 모터 제어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flux linkage strength of the motor is obtained from a q-axis voltage measured by zero current control of a d-axis current and a q-axis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쇄교자속세기는 상기 모터의 레졸버 옵셋 보정 과정에서 획득되는 모터 제어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flux linkage strength of the motor is obtained in a resolver offset correction process of the moto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류맵은, 대응하는 모터 기준품에 대해, 인가되는 전류를 스윕하며 획득한 실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모터 제어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lurality of current maps are generated using experimental data obtained by sweeping applied currents for a corresponding motor reference product.
제9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18. A program stored on a recording mediu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9 to 17.

KR1020150121875A 2015-08-28 2015-08-28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motor KR1017342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875A KR101734259B1 (en) 2015-08-28 2015-08-28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mo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875A KR101734259B1 (en) 2015-08-28 2015-08-28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mo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437A KR20170025437A (en) 2017-03-08
KR101734259B1 true KR101734259B1 (en) 2017-05-11

Family

ID=58403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1875A KR101734259B1 (en) 2015-08-28 2015-08-28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mo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425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30341A (en) 2013-05-21 2014-12-08 Ntn株式会社 Motor controller
KR101543002B1 (en) 2014-05-29 2015-08-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ompensating a motor torque of green ca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30341A (en) 2013-05-21 2014-12-08 Ntn株式会社 Motor controller
KR101543002B1 (en) 2014-05-29 2015-08-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ompensating a motor torque of green 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437A (en)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0676B2 (en) Control device for hybrid vehicle
EP1646137B1 (en) Motor drive apparatus having oscillation-reducing control function for output torque
JP5354086B2 (en)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28385B1 (en) Control method f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JP6292208B2 (en) Hybrid vehicle
JP5573968B2 (en) Vehicle and vehicle control method
US20100012408A1 (en) Drive control apparatus for rotating electric machine and vehicle
US7973500B2 (en) Control apparatus for motor
CN109672385B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ng offset of resolver
KR101704240B1 (en) Method for correcting resolver offset for conrolling motor
US10336212B2 (en) Torqu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JP6814830B2 (en) Control systems, vehicle systems, and control methods
JP6907506B2 (en) car
US10875407B2 (en) Method and system for driving hybrid vehicle
JP3934130B2 (en) Motor controller for hybrid vehicle
Barcaro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an integrated starter alternator using an interior permanent magnet machine
KR10238324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hybrid vehicle
KR101734259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motor
JP6269328B2 (en) Synchronous motor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JP6128016B2 (en) AC motor control device
JP6691930B2 (en) Vehicle and vehicle control method
JP5598244B2 (en) Rotating machine control device
JP2014117013A (en) Control device for motor and vehicle with motor mounted therein as drive source
KR102331768B1 (en) Hybrid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ic motor thereof
JP2021078337A (en) Vehicular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