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188B1 - 치과 치료방식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치과 치료방식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4188B1
KR101734188B1 KR1020160038811A KR20160038811A KR101734188B1 KR 101734188 B1 KR101734188 B1 KR 101734188B1 KR 1020160038811 A KR1020160038811 A KR 1020160038811A KR 20160038811 A KR20160038811 A KR 20160038811A KR 101734188 B1 KR101734188 B1 KR 101734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al
image
arch
dental
edentul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홍서
Original Assignee
양홍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홍서 filed Critical 양홍서
Priority to KR1020160038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1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2Orthodontic computer assist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방식 제공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탑재된 단말기가 상악과 하악 각각에 대한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상악과 하악 각각에 대한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매칭되는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를 체계적으로 저장하여, 사용자 조작에 따른 부분무치악 정보에 대응하는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 검색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치과 치료방식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치과 치료방식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dental treatment}
본 발명은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스마트 TV 등과 같이 와이파이(Wi-Fi), LTE 상용망 또는 인터넷망에 상시 접속 가능한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치과 치료방식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부분무치악 정보를 입력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해당 부분무치악 정보에 대응하는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예를 들어, 고정성 보철, 임플란트, 또는 틀니)를 자동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치과 치료방식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 시술, 인레이 시술, 보철 시술, 미백치료 등 다양한 치과 치료를 하기 위한 상담과정에서는 예제자료와 이에 해당하는 시술 과정이나 시술 후 결과를 설명해 줄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해당 치과 치료의 시술 과정이나 시술 후 결과를 치과용 진료대에서 말로 설명하거나 진료실 이외의 장소에서 기존 책자 또는 별도의 자료집 등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의사 등이 환자에게 시술과정 등을 설명하기 용이하지 않고 환자의 이해도도 떨어져서 치료에 대한 동기 유발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 책자나 별도의 자료집 등을 이용하는 경우, 상담하기 위해 치과용 진료대가 아닌 진료실 이외의 장소로 자리를 옮겨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2001호(이하,‘선행문헌’이라 함.)는 치과 치료 시술과 관련된 상담 이미지들을 환자에게 용이하게 제시하여 치료상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치료상담을 위한 치과용 이미지 표시방법에 관해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에서 개시하고 있는 치료상담을 위한 치과용 이미지 표시방법은, 치과 치료 시술과 관련된 상담 이미지 종류를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된 종류의 이미지를 읽어 메모리에 로드하는 단계와, 표시화면에 이미지가 보여질 하나 이상의 박스를 배치하고 그 박스에 메모리에 있는 이미지들을 보여주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행문헌에 따르면, 치과 치료 시술과 관련된 상담 이미지들을 장소에 상관없이 환자에게 용이하게 제시하여 치료상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선행문헌에서 개시한 치과용 이미지의 표시방법 중 상담이미지 선택시 화면은 자료목록창, 자료목록창 하부의 편집버튼 및 닫기버튼으로 구성된 화면을 표시한다. 자료목록창은 그림파일 형태의 상담이미지들이 들어 있는 하나 이상의 폴더 또는 파일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편집버튼은 상담이미지들을 편집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폴더들은 치과 치료 종류별로 구성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하나 이상의 하위 폴더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에서 개시한 내용을 살펴보면, 치과 치료 시술과 관련된 상담 이미지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철치료, 예방치료, 보존치료, 심미치료, 교정치료, 치주치료, 지르코늄크라운, 울세라믹크라운, 임플란트와 같은 폴더에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치과 치료 시술과 관련된 상담 이미지를 화면으로 보려면 사용자(의사 또는 환자)가 일일이 폴더를 열어서 적당한 이미지를 선택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이는 상담 이미지 검색시간과 치과 치료 시술과 관련된 상담 시간을 많이 필요로 하는 원인이 된다.
한편, 치열(tooth arrangement)은 좌우 대칭이고 건강한 치열은 편측(unilateral)에 7개의 치아가 있기 때문에 편측에서 가능한 치아의 상실 경우의 수는 2의 7승인 128 가지이고, 좌우 양측에서 동시(bilateral)에 발생할 수 있는 치아의 상실 경우의 수는 128 × 128(=16,384) 가지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일반인이 치과 치료 시술과 관련하여 부분무치악 정보에 대응하는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를 확인하고 싶어도 자신의 치아 상실 상태에 따른 기본적인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조차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치과에서도 치과 치료 시술 관련 상담 시 시각적인 자료를 제대로 제공하지 못하고, 말이나 수기에 의한 개략적인 그림으로 도시하여 설명할 수 밖에 없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2001호(공개일 2009.02.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는 부분무치악 정보를 입력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스마트 TV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가 탑재된 단말기에서 해당 부분무치악 정보에 대응하는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를 자동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탑재된 단말기가 상악과 하악 각각에 대한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상악과 하악 각각에 대한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매칭되는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를 체계적으로 저장하여, 사용자 조작에 따른 부분무치악 정보에 대응하는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 검색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치과 치료방식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방식 제공방법은, 좌 편측 또는 우 편측 부분무치악 치아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상기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1:1로 매칭하는 3개의 디지트(digit) 숫자를 갖는 식별번호(ID index) 정보를 이용해,
상악과 하악 각각에 대한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상기 상악과 하악 각각에 대한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1:1로 매칭하는 7개의 디지트(digit) 숫자를 갖는 치열궁 이미지 파일명을 생성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방식 제공방법은, 상악과 하악 각각에 대한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와, 상기 상악과 하악 각각에 대한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1:1로 매칭하는 7개의 디지트(digit) 숫자를 갖는 치열궁 이미지 파일명을 이용해,
상기 상악과 하악 각각에 대한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가 1:1 매칭하도록 8개의 디지트(digit) 숫자를 갖는 치료방식 이미지 파일명을 생성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방식 제공방법은, 사용자로 하여금 부분무치악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입력한 부분무치악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를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대응하는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를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방식 제공방법은, 사용자로 하여금 부분무치악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단계가 사용자의 이름, 나이, 성별, 상악 치열궁 또는 하악 치열궁, 및 치아 위치를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안내하는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방식 제공방법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부분무치악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를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표시하는 단계가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를 열람할 수 있는 전자 코인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확인 결과 전자 코인이 있다면 사용자가 입력한 부분무치악 정보에 대응하는 무치악 치열궁 이미지를 표시하고, 확인 결과 전자 코인이 없다면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를 열람할 수 없음을 안내하는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대응하는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를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표시하는 단계에서,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는 고정성 보철, 임플란트, 또는 틀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와이파이(Wi-Fi), LTE 상용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앱 서버에 접속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치과 치료방식 제공방법으로서, 상기 치과 치료방식 제공방법이 구현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앱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치과 치료방식 제공방법이 구현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로딩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이름, 나이, 성별, 및 무치악 정보를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안내하는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를 열람할 수 있는 전자 코인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확인 결과 전자 코인이 있다면 사용자가 입력한 부분무치악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를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표시하고, 확인 결과 전자 코인이 없다면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를 열람할 수 없음을 안내하는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와,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대응하는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를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방식 제공방법이 구현된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스마트 TV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단말기를 통해, 무치악 정보를 입력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해당 부분무치악 정보에 대응하는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예를 들어, 고정성 보철, 임플란트, 또는 틀니)를 자동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둘째,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단말기가 상악과 하악 각각에 대한 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상악과 하악 각각에 대한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매칭되는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를 체계적으로 저장하여, 사용자 조작에 따른 부분무치악 정보에 대응하는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에 대한 검색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셋째, 상악과 하악 각각에 대한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매칭되는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를 체계적으로 저장함으로써, 상악 또는 하악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대응하는 치과 치료 방식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시스템 구성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방식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7d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방식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종래 치료상담을 위한 치과용 이미지의 표시방법에 의한 화면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을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치열궁(dental arch)은 치아 존재의 유무에 관계없이 상악과 하악에 각각 14개씩의 다른 위치에 0∼14개의 치아의 조합이 말발굽 모양의 악골 상에 배치되어 있는 형상을 의미한다. 무치악 치열궁(edentulous dental arch)은 상악이나 하악에 0개의 치아가 배치된, 즉 모든 치아가 빠진 경우 악골 상태를 의미한다. 부분무치악 치열궁(partially edentulous dental arch)은 상악이나 하악에 1∼13개의 치아가 잔존한 상태(혹은 1∼13개의 치아가 발치되어 상실된 상태)로 발생하는 치아의 다양한 조합으로 말발굽 모양의 악골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선 및 무선 인터넷망으로 연결되는 앱 서버(120)와 운영 서버(140)와 관리자 단말기(160)와 사용자 단말기(18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앱 서버(120)는 예를 들어 음악, 영화, 도서 등 기존에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대적으로 작은 스마트폰에서 표시하며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된 앱을 저장한다. 본 명세서에서 “앱”이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앱 서버에서 제공되는 앱은 무료 또는 유료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방식 제공방법이 구현된 앱은 무료로 제공되나 사용자 단말기(180)에서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방식 제공방법이 구현된 앱을 이용하려면 다운받은 앱을 통해 대금결제를 해서 전자 코인을 구매해야 한다. 대금결제 방식은 스마트폰의 경우, 기존의 통신사 서버에 소액결제를 요청하는 방식처럼 통신요금에 부과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방식 제공방법이 구현된 앱은 타인이 구매한 전자 코인을 수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운영 서버(140)는 데이터센터에서 관리하는 하드 드라이브 또는 대용량 웹 서버일 수 있다. 운영 서버(140)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방식 제공방법이 구현된 앱을 다운받아 설치한 사용자 단말기(180)와 인터넷망을 통해 정보를 교환한다.
운영 서버(140)와 사용자 단말기(180) 사이에 교환되는 정보
1. 사용자 단말기(180)에서 운영 서버(140)로 전송되는 정보 : 사용자의 이름, 나이, 성별, 스마트폰 식별정보, 치료가 필요한 상악 치열궁 또는 하악 치열궁 선택정보, 및 상악 또는 하악에서의 부분 무치아 위치정보
2. 운영 서버(140)에서 사용자 단말기(180)로 전송되는 정보 : 잔여 전자 코인, 좌 편측 또는 우 편측 부분무치악 치아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 및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
본 발명에서 전자 코인은 운영 서버(140)에서 사용자 단말기(180)로 이미지가 전송될 때마다 차감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운영 서버(140)는 인터넷망을 통해 관리자 단말기(160)와 정보를 교환한다.
운영 서버(140)와 관리자 단말기(160) 사이에 교환되는 정보
1. 관리자 단말기(160)에서 운영 서버(140)로 전송되는 정보 : 좌 편측 또는 우 편측 부분무치악 치아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1:1로 매칭하는 3개의 디지트(digit) 숫자를 갖는 식별번호(ID index) 정보, 상악과 하악 각각에 대한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 상악과 하악 각각에 대한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1:1로 매칭하는 7개의 디지트(digit) 숫자를 갖는 치열궁 이미지 파일명,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 상악과 하악 각각에 대한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가 1:1 매칭하도록 8개의 디지트(digit) 숫자를 갖는 치료방식 이미지 파일명, 특정 사용자에게 부여된 전자 코인
2. 운영 서버(140)에서 관리자 단말기(160)로 전송되는 정보 : 사용자의 이름, 나이, 성별, 스마트폰 식별정보, 및 잔여 전자 코인
관리자 단말기(16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 수정, 삭제, 추가한다. 여기서 이미지 데이터는 좌 편측 또는 우 편측 부분무치악 치아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를 포함한다. 관리자 단말기(160)는 특정 사용자에게 전자 코인을 부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80)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방식 제공방법이 구현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단말기로서, 와이파이(Wi-Fi), LTE 상용망 또는 인터넷망에 상시 접속 가능한 단말기, 예를 들어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스마트 TV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부분무치악 정보를 입력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스마트 TV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단말기에서 해당 부분무치악 정보에 대응하는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를 자동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 내지 5는 관리자 단말기에서 실시되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방식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2의 단계 S210에서 좌 편측 또는 우 편측 부분무치악 치아 위치에 대응하는 좌 편측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 또는 우 편측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좌 편측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 또는 우 편측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1:1로 매칭하는 3개의 디지트(digit) 숫자를 갖는 식별번호(ID index) 정보 생성한다.
일반적으로 치열은 좌우 대칭이고 건강한 치열은 편측에 7개의 치아가 있기 때문에 편측에서 가능한 치아의 상실 경우 수는 2의 7승 숫자인 128 가지이고, 좌우 양측에서 함께 발생할 수 있는 부분무치악 치열궁의 경우 수는 16,384(=128 × 128) 가지이다.
도 3a는 상악에 대한 우 편측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우 편측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1:1로 매칭하는 3개의 디지트(digit) 숫자를 갖는 식별번호(ID index) 정보에 관한 예시도이다. 일례로, 우 편측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는 치아가 하나의 닫힌 공간을 형성하도록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하여 도시하고 상실 치아를 검은색으로 표현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우 편측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를 제작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우 편측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1:1로 매칭하는 3개의 디지트(digit) 숫자는 1부터 128까지의 디지트(digit) 숫자가 부여된다.
한편, 상악에 대한 좌 편측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는 일례로 도 3a에 도시한 상악에 대한 우 편측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좌우 대칭으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악에 대한 좌 편측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1:1로 매칭하는 3개의 디지트(digit) 숫자를 갖는 식별번호(ID index) 정보 또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3b는 하악에 대한 우 편측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우 편측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1:1로 매칭하는 3개의 디지트(digit) 숫자를 갖는 식별번호(ID index) 정보에 관한 예시도이다. 하악에 대한 좌 편측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는 도 3b에 도시한 하악에 대한 우 편측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좌우 대칭으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하악에 대한 좌 편측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1:1로 매칭하는 3개의 디지트(digit) 숫자를 갖는 식별번호(ID index) 정보 또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후, 도 2의 단계 S220에서 상악과 하악 각각에 대한 좌 편측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우 편측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를 포함하는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상기 상악과 하악 각각에 대한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1:1로 매칭하는 7개의 디지트(digit) 숫자를 갖는 치열궁 이미지 파일명을 생성하여 저장부에 저장한다.
일례로, 상악과 하악 각각에 대한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1:1로 매칭하는 7개의 디지트(digit) 숫자를 갖는 치열궁 이미지 파일명은, 도 4a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악과 하악을 구분하는 1개의 디지트(digit) 숫자와, 우 편측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에 대응하는 3개의 디지트(digit) 숫자와, 좌 편측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에 대응하는 3개의 디지트(digit) 숫자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4a와 도 4b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상악에 대한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는, 숫자‘1’, 하악에 대한 무치악 치열궁 이미지는, 숫자‘6’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도 3a에서 우 편측 모든 치아가 다 있는 상악에 대한 우 편측 치열궁 이미지와 1:1로 매칭하는 3개의 디지트(digit) 숫자는‘001’이다. 좌 편측 모든 치아가 다 있는 상악에 대한 좌 편측 치열궁 이미지와 1:1로 매칭하는 3개의 디지트(digit) 숫자도‘001’인 경우, 도 4a에서 우 편측과 좌 편측 모든 치열이 다 있는 상악에 대한 치열궁 이미지와 1:1로 매칭하는 7개의 디지트(digit) 숫자는‘1001001’이다.
다른 예로, 도 3a에서 좌 편측 치열 중 첫 번째 치아가 없는 상악에 대한 좌 편측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1:1로 매칭하는 3개의 디지트(digit) 숫자는‘002’이다. 이 같은 실시예에서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 편측 모든 치아가 다 있고 좌 편측 치열 중 첫 번째 치아가 없는 경우, 상악에 대한 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1:1로 매칭하는 7개의 디지트(digit) 숫자는‘1001002’이다.
이러한 규칙적인 방식으로 초보 치과의사나 치과기공사들은 상악과 하악 각각에 대한 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1:1로 매칭하는 7개의 디지트(digit) 숫자를 갖는 치열궁 이미지 파일명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도 2의 단계 S230에서 상악과 하악 각각에 대한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와, 상악과 하악 각각에 대한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1:1로 매칭하는 7개의 디지트(digit) 숫자에 1개의 디지트(digit) 숫자를 추가하여, 상악과 하악 각각에 대한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가 1:1 매칭하도록 8개의 디지트(digit) 숫자를 갖는 치료방식 이미지 파일명을 생성하여 저장부에 저장한다.
일례로,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대응하는 치과 치료 방식 이미지는, 고정성 보철, 임플란트, 또는 틀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상악에 대한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51)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52, 53)를 도시한다. 상악에 대한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51)는 우 편측 치열 중 두 번째 치아가 없고 좌 편측 치열 중 두 번째 치아가 없는 상악에 대한 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이며, 그러한 상악에 대한 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1:1로 매칭하는 7개의 디지트(digit) 숫자는‘1003003’이다.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52)는 임플란트를 사용하는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이고,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53)는 세라믹 크라운을 사용하는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이다. 이러한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52, 53)는 상악에 대한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51)와 매칭되는 것으로, 상악에 대한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51)와 1:1로 매칭하는 7개의 디지트(digit) 숫자에 1개의 디지트(digit) 숫자를 추가하여, 8개의 디지트(digit) 숫자를 갖는 치료방식 이미지 파일명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임플란트를 사용하는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52)는 7개의 디지트(digit) 숫자는‘1003003’에‘5’라는 디지트(digit) 숫자를 추가하여, ‘10030035’라는 8개의 디지트(digit) 숫자를 갖는 치료방식 이미지 파일명을 생성한다.
다른 예로, 도 5에서 세라믹 크라운을 사용하는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53)는 7개의 디지트(digit) 숫자는‘1003003’에‘1’이라는 디지트(digit) 숫자를 추가하여, ‘10030031’이라는 8개의 디지트(digit) 숫자를 갖는 치료방식 이미지 파일명을 생성한다.
도 6 내지 도 7d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방식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사용자 단말기는 일례로, 와이파이(Wi-Fi), LTE 상용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앱 서버에 접속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단말기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는, 치과 치료방식 제공방법이 구현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앱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저장부에 저장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치과 치료방식 제공방법이 구현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킨다.
이후, 도 6의 단계 S610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이름(Name), 나이(Age), 및 남성(Male)과 여성(Female)을 포함하는 성별(Sex)을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안내하는 화면정보를 표시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악(Upper)과 하악(Lower)을 포함하는 치열궁(Dental Arch)과 좌 편측과 우 편측 부분무치악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70)를 포함하는 부분무치악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는 잔여 전자 코인(Coin)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후, 도 6의 단계 S620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가 입력한 부분무치악 정보에 대응하는 무치악 치열궁 이미지를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표시한다. 이후, 도 6의 단계 S630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대응하는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를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표시한다.
도 6의 단계 S620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를 열람할 수 있는 전자 코인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전자 코인이 있다면 사용자가 입력한 부분무치악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를 표시하고, 확인 결과 전자 코인이 없다면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를 열람할 수 없음을 안내하는 화면정보를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7a에서 사용자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70)에서 좌 편측 2번과 우 편측 2번을 선택한 후,‘OK’를 터치하면, 도 7b와 같은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를 표시한다.
도 7b에서, 참조부호 71은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이고, 참조부호 72는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71)와 1:1로 매칭하는 7개의 디지트(digit) 숫자와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71)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포함하는 화면이다. 참조부호 73, 74, 75는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71)와 대응하는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를 섬네일(thumbnail)과 같이 표시한 것이다.
사용자가 도 7b에서, 참조부호 74, 75를 각각 터치하면, 사용자 단말기는 도 7c와 도 7d와 같은 상세한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와 예상 치료 견적을 알려주는 안내화면을 표시한다. 도 7c는 임플란트를 사용하는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와 예상 치료 견적을 알려주는 안내화면이고,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53)는 세라믹 크라운을 사용하는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와 예상 치료 견적을 알려주는 안내화면이다. 도 7c와 도 7d에서 임플란트를 사용하는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와 세라믹 크라운을 사용하는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는 각 타입(A, B, C, D, E)별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각 타입(A, B, C, D, E)별로 예상 치료 견적도 제공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유선 및 무선 인터넷망으로 서로 연결되는 운영 서버와 관리자 단말기와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치과 치료방식 제공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치과 치료방식 제공방법으로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가 좌 편측 또는 우 편측 부분무치악 치아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상기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1:1로 매칭하는 3개의 디지트(digit) 숫자를 갖는 식별번호(ID index) 정보를 이용해,
    상악과 하악 각각에 대한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상기 상악과 하악 각각에 대한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1:1로 매칭하는 7개의 디지트(digit) 숫자를 갖는 치열궁 이미지 파일명을 생성하여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자 단말기가 상기 상악과 하악 각각에 대한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와, 상기 상악과 하악 각각에 대한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1:1로 매칭하는 7개의 디지트(digit) 숫자를 갖는 치열궁 이미지 파일명을 이용해,
    상기 상악과 하악 각각에 대한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가 1:1 매칭하도록 8개의 디지트(digit) 숫자를 갖는 치료방식 이미지 파일명을 생성하여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로 하여금 부분무치악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가 입력한 부분무치악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를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대응하는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를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치과 치료방식 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로 하여금 부분무치악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이름, 나이, 성별, 상악 치열궁 또는 하악 치열궁, 및 치아 위치를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안내하는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과 치료방식 제공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가 입력한 부분무치악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를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를 열람할 수 있는 전자 코인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확인 결과 전자 코인이 있다면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부분무치악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를 표시하고, 확인 결과 전자 코인이 없다면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를 열람할 수 없음을 안내하는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치과 치료방식 제공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부분무치악 치열궁 이미지와 대응하는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를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치과 치료방식 이미지는 고정성 보철, 임플란트, 또는 틀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방식 제공방법.
  5. 삭제
KR1020160038811A 2016-03-31 2016-03-31 치과 치료방식 제공방법 KR101734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811A KR101734188B1 (ko) 2016-03-31 2016-03-31 치과 치료방식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811A KR101734188B1 (ko) 2016-03-31 2016-03-31 치과 치료방식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4188B1 true KR101734188B1 (ko) 2017-05-11

Family

ID=58740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811A KR101734188B1 (ko) 2016-03-31 2016-03-31 치과 치료방식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41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361B1 (ko) * 2020-07-08 2020-12-04 원태희 치과치료 상담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3594A (ja) 2003-03-21 2004-10-14 Sirona Dental Systems Gmbh データを格納するためのデータベース、歯牙モデル、該歯牙モデルの設計方法ならびに歯牙補綴部材
KR101068011B1 (ko) 2008-11-28 2011-09-26 이한나 검색 시스템, 검색 시스템에서 치아 교정/성형 상담 서비스를 중계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3594A (ja) 2003-03-21 2004-10-14 Sirona Dental Systems Gmbh データを格納するためのデータベース、歯牙モデル、該歯牙モデルの設計方法ならびに歯牙補綴部材
KR101068011B1 (ko) 2008-11-28 2011-09-26 이한나 검색 시스템, 검색 시스템에서 치아 교정/성형 상담 서비스를 중계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361B1 (ko) * 2020-07-08 2020-12-04 원태희 치과치료 상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619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onymizing patent images in relation to a clinical data file
JP5784381B2 (ja) 歯科診療システム
Fung et al. Implementing digital dentistry into your esthetic dental practice
KR101866519B1 (ko) 추천 진료 상담 스토리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090037222A1 (en) Clinical data file
JP2016174903A (ja) 歯科診療システム
Lin et al. Endodontic considerations of survival rate for autotransplanted third molars: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WO2021044693A1 (ja) 指示書管理システム、指示書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指示書管理方法
JP6697200B1 (ja) 指示書管理システム、指示書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指示書管理方法
KR101734188B1 (ko) 치과 치료방식 제공방법
JP2012143528A (ja) 口腔内撮影表示システム
KR20180060362A (ko) 치아 진단 및 치료 계획 시스템
Christensen Implant therapy versus endodontic therapy
KR101839784B1 (ko)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
Tuverson Letters to the editor*: Close space to treat missing lateral incisors
JP6732354B1 (ja) 指示書管理システム、指示書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指示書管理方法
Alani et al. Update on guidelines for selecting appropriate patients to receive treatment with dental implants: priorities for the NHS–the position after 15 years
EP2377060B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erson and multi-site, interactive treatment simulation
KR102452171B1 (ko) 보철물 관리 시스템
Mai et al. Non‐Radiological Method for Fabrication of a Screw‐Channel Drilling Guide in Cement‐Retained Implant Restorations Using Intraoral Digital Scanning and Imaging Superimposition: A Clinical Report
Ford et al. The dental technician as a member of the hypodontia multidisciplinary team, with practical considerations for anterior restoration design
Rosen et al. Evidence-Based Decision Making in Dentistry: Multidisciplinary Management of the Natural Dentition
US20220028554A1 (en) System for decision management
KR20230067240A (ko) 사랑니 진단/관리 통합 솔루션 프로그램.
Maidment Restoration longevity: Q:“How long will my crown last?” A:“78 years, Madame”–A case re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