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887B1 - 전자 기기 보호 커버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보호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887B1
KR101733887B1 KR1020150159493A KR20150159493A KR101733887B1 KR 101733887 B1 KR101733887 B1 KR 101733887B1 KR 1020150159493 A KR1020150159493 A KR 1020150159493A KR 20150159493 A KR20150159493 A KR 20150159493A KR 101733887 B1 KR101733887 B1 KR 101733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cover
delete delete
rear cover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9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팝
Priority to KR1020150159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8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기기용 보호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보호 커버는 전자 기기의 전면을 덮을 수 있는 전면 커버와 전자 기기의 후면에 위치하는 후면 커버를 포함하는 커버부, 그리고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 사이에 구비되어 전자 기기와 접촉하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거치부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홈을 포함하여 절첩이 가능하며, 거치부는 일측이 전자 기기와 접촉하고 상기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이 후면 커버에 고정되어, 거치부의 절첩에 의해 전자 기기의 일단이 후면 커버상에서 이동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전자 기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에 더하여 전자 기기의 거치 각도를 보다 쉽게 조절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Description

전자 기기 보호 커버 {ELECTRONIC DEVICE PROTECTIVE COVER}
본 발명은 전자 기기용 보호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휴대폰이나 테블릿 PC와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를 보호하면서 그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전자 기기용 보호 커버에 관한 것이다.
IT 기술이 발달하면서 휴대폰,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테블릿 PC 및 전자책 단말기와 같은 다양한 전자 기기들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다양한 전자 기기를 휴대하면서 다양한 컨텐츠를 접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테블릿으로 통용되는 전자기기가 보급되면서 기존의 피처 폰(feature phone)이 제공하지 못했던 편리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기능들(맞춤 애플리케이션, 직감적인 유저 인터페이스, 편리한 운영체제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대다수의 사용자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적어도 하나씩은 구비하고 다닌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 기기는 기술이 발전하면서 점점 소형화 및 경량화됨으로써, 사용자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손으로 들고 다니거나 옷 주머니 또는 가방에 보관하고 다니면서 이동 중에 사용한다. 따라서 휴대용 전자 기기의 보관 및 휴대에 따른 분실 및 파손의 위험이 상존하고 있고, 특히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인 충격에 의해 휴대용 전자 기기가 망가지는 일이 발생할 수 있는바, 이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서 별도의 보호 커버를 사용한다.
종래의 휴대용 전자 기기 보호 커버는 단순히 보호 커버의 수납실에 휴대용 전자 기기를 수납하고 이를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보호 커버는 외관이 단조로울 뿐만 아니라 별도의 지지 수단이나 파지 수단이 없어 휴대용 전자 기기를 책상 등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전자 기기의 컨텐츠를 즐기는 것에 불편함이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 기기의 거치를 위해 보호 커버에 거치 수단이나 절첩 기능을 삽입하는 시도를 하고 있으나, 휴대용 전자 기기의 무게를 지탱할 만큼 보호 커버의 지지력이 크지 않으며, 거치 수단 자체가 복잡하고 깔끔하게 구비되지 못함에 따라 심미성이 떨어지고 제조 비용 상승 및 사용 편의성의 저하라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휴대용 전자 기기는 대부분이 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어 별도의 물리적 입력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데, 이러한 휴대용 전자 기기를 거치식으로 고정하고 사용하는 경우 터치 입력 만으로는 컨텐츠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용 전자 기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휴대용 전자 기기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기능 보호 커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휴대용 전자 기기의 거치 각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하고 사용하기 편하게 설정하면서 휴대용 전자 기기의 무게를 버틸 수 있는 충분한 지지력과 지지각도를 제공할 수 있는 보호 커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별도의 물리적 입력 수단을 일체로 구비하거나 탈착식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휴대용 전자 기기의 컨텐츠를 최대한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호 커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휴대용 전자 기기를 지지하거나 거치하는 수단을 다양한 방법으로 하나 이상 구현하면서도 이러한 수단들이 휴대용 전자 기기를 공간적으로 제약하지 않도록 하여 소형화와 심미성이 뛰어난 보호 커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보호 커버는 전자 기기의 전면을 덮을 수 있는 전면 커버와 전자 기기의 후면에 위치하는 후면 커버를 포함하는 커버부, 그리고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 사이에 구비되어 전자 기기와 접촉하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거치부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홈을 포함하여 절첩이 가능하며, 거치부는 일측이 전자 기기와 접촉하고 상기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이 후면 커버에 고정되어, 거치부의 절첩에 의해 전자 기기의 일단이 후면 커버상에서 이동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전자 기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에 더하여 전자 기기의 거치 각도를 보다 쉽게 조절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일측에 따르면,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 사이에 구비되어 전자 기기를 보호 커버 내에 수용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전자 기기를 보호 커버 내에 보다 확실하게 수용할 수 있고 그 고정력이 증대된다.
일측에 따르면, 결합부는 전자 기기와 결합되는 케이스, 자력 수단, 점착 수단, 스냅 결합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다양한 방식으로 전자 기기를 보호 커버 내에 수용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수용부는 전자 기기와 결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케이스는 전자 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단자부 및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단자부를 포함하며, 제1 단자부와 제2 단자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전자 기기의 정해진 단자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바꾸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특히 테블릿 PC를 옆으로 눕혀 사용하는 경우 짧은 면에 위치한 단자의 위치를 긴 면으로 실질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키보드의 연결 등 부가 기기를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보호 커버와 일체로 구비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전자 기기에 입력 신호를 제공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전자 기기에 키보드와 같은 별도의 물리적 입력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전자 기기의 활용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수단의 탈부착이 가능하여 커버를 덮은 상태에서 충전 또는 주변기기의 연결이 가능하다.
일측에 따르면, 입력부는 전면 커버가 전자 기기를 덮은 상태에서 전면 커버 상에 놓이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커버를 덮은 상태에서 전자 기기의 화면에 키보드와 같은 입력 수단이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키보드 자판의 배열 자국이 전자 기기의 화면에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입력부가 보호 커버와 일체로 구비되는 경우, 입력부는 전면 커버 내부에 구비되는 전도체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전도체의 타측은 전자 기기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입력 수단의 전선처리가 깔끔하고 추가적인 외부 케이블이 필요하지 않아 보호 커버의 심미성을 높이고 소형화가 가능하다.
일측에 따르면, 후면 커버상에 전자 기기의 일단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전자 기기를 거치할 때 가이드부, 예컨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자 기기의 부드럽고 안전한 이동을 보장할 수 있고, 거치 상태에서 전자 기기가 뒤로 넘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전자 기기의 일단이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기설정된 위치에 놓이게 하도록 하는 지지홈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전자 기기를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각도로 효과적으로 거치할 수 있고, 거치를 위해 자성체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전자 기기에 대한 자성체의 안좋은 영향을 차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전자 기기에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전자 기기가 가이드부의 기설정된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탄성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초기에 전자 기기를 살짝 들어올리거나 미는 행동 만으로도 전자 기기가 정해진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보다 쉽게 전자 기기의 거치가 가능하다.
일측에 따르면, 전자 기기의 일단이 후면 커버상의 기설정된 위치에 놓이도록, 후면 커버는 전자 기기의 일단과 자력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전자 기기를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각도로 보다 쉽게 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기기의 보호 커버는, 전자 기기의 전면을 덮을 수 있는 전면 커버와 전자 기기의 후면에 위치하는 후면 커버를 포함하는 커버부, 그리고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 사이에 구비되어 전자 기기와 접촉하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거치부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홈을 포함하여 절첩이 가능하고, 거치부는 일측이 전자 기기와 접촉하고, 거치부의 상기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이 상기 후면 커버상에서 이동 가능하여, 거치부의 절첩에 의해 상기 전자 기기는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전자 기기를 움직이지 않고 거치부만 움직임으로써 전자 기기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일측에 따르면, 거치부는 절곡홈에 의해 구분되는 복수의 거치면을 포함하고, 전자 기기를 후면 커버에 대해 경사지게 거치하는 경우, 서로 나란히 배치된 2개 이상의 거치면이 후면 커버와 자력 결합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전자 기기를 경사지게 거치할 경우 거치부와 후면 커버가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됨으로써 마찰계수가 커지고 후면 커버에 대한 전자 기기의 지지력이 향상된다.
일측에 따르면, 거치부는 절곡홈에 의해 구분되는 복수의 거치면을 포함하고, 전자 기기를 후면 커버에 대해 경사지게 거치하는 경우, 서로 나란히 배치된 2개 이상의 거치면이 전자 기기를 지지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전자 기기의 터치 화면을 조작하기 위해 후면 커버에 대해 전자 기기를 작은 각도로 경사지게 거치할 경우 전자 기기를 지지하는 거치면의 지지 각도가 90도 내외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후면 커버에 대한 전자 기기의 지지력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기기의 보호 커버는 전자 기기의 전면을 덮는 전면 커버, 전자 기기를 수용 결합하는 후면 커버, 그리고 후면 커버상에 부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절곡홈을 포함하여 절첩이 가능한 절첩 커버를 포함하고, 절첩 커버를 절첩시켜 전자 기기를 경사지게 거치하는 경우, 전자 기기의 일단이 전면 커버상에 놓인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전자 기기의 보호 및 거치 기능을 제공하면서 소형화 및 경량화된 보호 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전면 커버는 전자 기기의 일단이 안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안착홈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전자 기기를 경사지게 거치할 때 보다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고, 안착홈의 형상을 조절하여 전자 기기를 다양한 각도에서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안착홈과 절곡홈의 개수를 조절하여 전자 기기의 배치 각도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안착홈은 전자 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단자를 포함한다. 또한, 전면 커버는 전자 기기에 입력 신호를 제공하는 입력 수단이 내장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보호 커버의 전면 커버에 별도의 입력 수단을 내장했을 때 별도의 케이블을 구비하지 않고도 입력 수단과 전자 기기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후면 커버는 전자 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단자부 및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단자부를 포함하며, 제1 단자부와 제2 단자부는 상기 후면 커버에 내장된 케이블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1 단자부와 제2 단자부는 후면 커버의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전자 기기의 정해진 단자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바꾸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보호 커버에 의하면, 전자 기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전자 기기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자 기기를 각도지게 거치하는 경우 전자 기기의 무게를 버틸 수 있는 충분한 지지력과 지지각도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별도의 입력 수단을 제공하여 전자 기기의 컨텐츠를 최대한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고, 가이드부나 안착홈 등이 보호 커버 내에 효과적으로 배치되어 뛰어난 심미성을 제공하고 소형화와 경량화를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력부를 포함한 보호 커버(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거치부의 절첩에 의해 전자 기기의 일단이 후면 커버상에서 이동하면서 전자 기기가 거치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에 수용된 전자 기기가 경사지게 거치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보호 커버를 이용해 전자 기기를 각도지게 거치시키는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후면 커버의 단자 연결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그리고,
도 12는 안착홈과 절곡홈의 개수를 조절하여 전자 기기의 거치 각도를 여러 단계로 조절할 수 있는 보호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보호 커버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하고 오로지 예시를 위한 실시예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보호 커버(100)는 전자 기기(10)에 장착되어 전자 기기(10)를 보호하고 그 사용성을 증대시킨다. 전자 기기(10)는 휴대폰,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테블릿 PC 및 전자책 단말기 등의 다양한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통신 단말기, 게임기, 멀티미디어기기, 휴대형 컴퓨터, 촬영 장치 등의 휴대가 가능한 전자 기기일 수 있다. 전자 기기(10)는 바람직하게 디스플레이부와 몸체부를 포함한다. 보호 커버(100)는 전자 기기(10)의 몸체부에 끼워지거나 부착되어 전자 기기(1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디스플레이부까지 완전히 덮을 수 있고, 전자 기기(10)를 사용할 때는 디스플레이부가 노출되면서 전자 기기(10)를 눕히거나 각도지게 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100)는 전자 기기(10)의 전면을 덮을 수 있는 전면 커버(111)와 전자 기기(10)의 후면에 위치하는 후면 커버(112)를 포함하는 커버부(110), 그리고 전면 커버(111)와 후면 커버(112) 사이에 구비되어 전자 기기(10)와 접촉하는 거치부(12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커버부(110)는 전자 기기(10)의 전면, 즉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된 면을 보호하는 전면 커버(111)와 전자 기기(10)의 후면, 즉 전자 기기(10)의 몸체부를 보호하는 후면 커버(1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 커버(111)와 후면 커버(112)는 서로 이어져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서로에 대해 상대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다. 일측에 따르면, 전면 커버(111)와 후면 커버(112) 중 적어도 하나에는 명함이나 카드 등을 수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절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거치부(120)는 커버부(11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거치부(120)는 후면 커버(112)상에 놓이고 거치부(120) 위로 전자 기기(10)가 놓일 수 있다. 이러한 거치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홈을 포함한다. 따라서 거치부(120)는 절곡홈을 중심으로 절첩이 가능하다. 이러한 절첩 기능은 전자 기기(10)가 각도지게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보호 커버(100)는 전자 기기(10)를 수용하는 수용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30)는 바람직하게 전자 기기(10)용 케이스로 예시된다. 이러한 케이스는 일면이 개방되어 전자 기기(10)가 수용될 경우 전자 기기(10)의 디스플레이부가 노출되도록 할 수 있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전자 기기(10)를 보호하는 동시에 보호 커버(100) 내에 전자 기기(10)가 확실하게 지지되게 할 수 있다. 케이스는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고무, 실리콘, 플라스틱, 또는 다른 탄성 재질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스 형태의 수용부(130)가 구비된 경우, 거치부(120)는 후면 커버(112)와 수용부(130) 사이에 개재될 수 있고, 전자 기기(10)를 각도 지게 거치하는 경우 수용부(130)와 접촉하면서 전자 기기(10)를 지지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거치부(120)가 전자 기기(10)와 접촉하는 실시예의 경우 거치부(120)가 전자 기기(10)에 직접 접촉하거나 케이스 형태의 수용부(130)에 접촉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케이스 형태의 수용부(130)는 그 내부에 전자 기기(10)와 접속되는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기기(10)에는 충전용 단자가 고정된 위치에 구비되는데, 수용부(130)는 전자 기기(10)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단자부를 일면에 포함하고, 외부 기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단자부를 상기 일면과 같은 면 또는 다른 면에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자부와 제2 단자부는 수용부(130)에서 플랫 케이블과 같은 연결 수단으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기기(10)가 수용부(130)에 수용된 상태에서 단자가 노출될 수 있고, 전자 기기(10)의 단자가 형성된 원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로 단자를 실질적으로 이동 형성시킬 수 있다.
수용부(130)는 케이스 이외에도 자력 수단, 점착 수단, 스냅 결합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케이스가 구비되지 않고, 거치부(120) 또는 후면 커버(112)가 전자 기기(10)와 자력 결합, 점착 결합 또는 스냅 결합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보호 커버(100)는 입력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도 2를 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력부(140)를 포함한 보호 커버(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입력부(140)는 전자 기기(10)에 입력 신호를 제공한다. 이러한 입력부(140)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드, 전자펜 입력판 등 다양한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입력부(140)는 키보드가 배치된 키보드부(141)와 사람의 손바닥이 놓이는 손바닥 지지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손바닥 지지부(142)에는 마우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입력이 가능한 터치 패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입력부(140)는 보호 커버(100)와 일체형으로 구비되거나, 탈부착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입력부(140)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경우, 입력부(140)는 전면 커버(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전면 커버(111) 내에는 전도체가 구비되며, 이 전도체는 전자 기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입력부(140)의 입력이 전자 기기(10)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입력부(140)가 탈부착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입력부(140)의 커넥터가 전자 기기(10)의 단자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입력부(140)는 전자 기기(10)가 보호 커버(100) 내에 수용되고 전면 커버(111)가 전자 기기(10)를 덮은 상태에서 전면 커버(111)의 위에 놓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입력부(141)의 키보드부(141) 및 손바닥 지지부(142)가 전자 기기(10)의 디스플레이부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는다. 또한 입력부(140) 탈부착 형태의 경우, 전면 커버(111)가 전자 기기(10)를 덮은 상태에서 입력부(140)만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거치부(120)의 절첩에 의해 전자 기기(10)의 일단이 후면 커버(112)상에서 이동하면서 전자 기기(10)가 거치되는 것을 도시한다. 거치부(120)는 제1 절곡홈(121), 제2 절곡홈(122) 및 제3 절곡홈(123)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제1 거치면(124), 제2 거치면(125), 제3 거치면(126) 및 제4 거치면(127)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절곡홈과 거치면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거치부(120)의 제1 거치면(126)은 전자 기기(10)의 일면에 접촉한다. 이러한 접촉은 자성체에 의한 자력 접촉, 마찰 계수가 높은 표면을 활용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는 접촉, 버튼 결합식 접촉 등 전자 기기(10)를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접촉을 포함한다. 거치부(120)의 제4 거치면(127)는 후면 커버(112)에 고정된다. 이를 통해 거치부(120)는 고정된 제4 거치면(127)을 중심으로 절첩될 수 있고, 이러한 절첩은 제1 거치면(126)에 접촉 지지되는 전자 기기(10)의 일단을 이동시킴으로써 전자 기기(10)의 경사진 거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일측에 따르면, 후면 커버(112) 상에는 전자 기기(10)의 일단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150)를 가이드 레일로 예시하고, 전자 기기(10)가 수용부(130)에 수용되어 수용부(130)에 형성된 돌출부(131)가 가이드부(150)에 걸린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으로 예시한다.
가이드부(150)는 후면 커버(112)의 좌우 측면이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31)는 T자 형태로 구비되어 가이드부(150)에 걸릴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 기기(10)를 경사지게 거치하고자 하는 경우, 제1 절곡홈(121) 및 제2 절곡홈(122)에서 거치부(120)가 절첩된다. 이 경우 거치부(120)는 고정된 제4 거치면(127)으로 인해 이동 없이 절첩만 이루어진다. 절첩에 따라 수용부(130)와 접촉한 제1 거치면(124)이 전자 기기(10)를 당기면서 돌출부(131)가 가이드부(15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고, 이를 통해 전자 기기(10)의 일단이 후면 커버(112)상에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제3 거치면(126)과 제4 거치면(127)은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후면 커버(112)와 자력 결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거치부(120)와 후면 커버(112) 사이의 마찰 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 기기(10)를 보다 확실히 지지할 수 있다.
전자 기기(10)를 보다 낮은 경사 각도로 거치하는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절곡홈(122) 및 제3 절곡홈(123)에서 거치부(120)의 절첩이 일어나고, 제1 거치면(124) 및 제2 거치면(125)이 수용부(130)와 접촉한다. 이 경우, 제3 거치면(126)과 제4 거치면(127) 사이의 지지각도(α)가 90도에 근접하고 너무 커지지 않아 전자 기기(10)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된다.
일측에 따르면, 가이드부(150)는 하나 이상의 지지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홈이 복수개 형성된 경우 가이드부(150)를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홈이 형성됨으로써 전자 기기(10)의 일단이 이동 중에 상기 지지홈에 걸릴 수 있다. 이는 전자 기기(10)가 기설정된 위치에 놓이게 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전자 기기(10)의 이동은 별도의 탄성 수단(미도시)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가이드부(150)상에서의 전자 기기(10)의 일단의 이동을 탄성 수단과 연계시킴으로써, 최초 전자 기기(10)를 들어 올리거나 전자 기기(10)에 외력을 가할 때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그 이후에는 저절로 전자 기기(10)의 일단이 기설정된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전자 기기(10)의 반자동 거치가 가능해진다.
한편 가이드부(150)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자 기기(10)의 일단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컨대, 가이드부(150)가 레일과 레일 상에서의 이동하는 이동 수단(미도시)을 포함하고, 수용부(130) 없이 전자 기기(10)가 직접 이동 수단에 결합되어 레일 상에서 슬라이딩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5와 같이 가이드부(150)가 자성체로 구비되어 전자 기기(10)의 일단이 후면 커버(112)상의 자성체와 자력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보호 커버(100)의 구성 및 기능 중 앞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100)를 도시한다. 도 6에 따르면 보호 커버(100)는 거치부(120)의 일측이 후면 커버(112)에 고정되지 않아, 거치부(120)가 절첩 및 이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거치부(120)의 절첩 및 이동에 따라 전자 기기(10)는 그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100)에 수용된 전자 기기(10)가 회동을 통해 경사지게 거치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거치부(120)의 제1 거치면(124)이 전자 기기(10)와 접촉한다. 일측에 따르면, 전자 기기(10)가 별도의 수용부(130)에 수용되어 거치부(120)의 제1 거치면(124)이 수용부(130)와 접촉할 수 있고, 수용부(130) 없이 전자 기기(10)가 직접 제1 거치면(124)에 접촉할 수도 있다. 거치부(120)의 일측(제1 거치면(124)의 단부 부분)은 후면 커버(112)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은 탈부착이 가능한 고정일 수 있다. 반면에 거치부(120)의 타측, 즉 제4 거치면(127)은 후면 커버(112)에 고정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따르면 제1 절곡홈(121) 및 제2 절곡홈(122)에서 거치부(120)가 절첩되고 이에 따라 제4 거치면(127)이 제1 거치면(124)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전자 기기(10)는 그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경사지게 거치된다. 이 경우, 제3 거치면(126)과 제4 거치면(127)은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후면 커버(112)와 자력 결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거치부(120)와 후면 커버(112) 사이의 마찰 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 기기(10)를 보다 확실히 지지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제2 절곡홈(122) 및 제3 절곡홈(123)에서 거치부(120)의 절첩이 일어나고, 제1 거치면(124) 및 제2 거치면(125)이 수용부(130)와 접촉한다. 이 경우, 제3 거치면(126)과 제4 거치면(127) 사이의 지지각도(α)가 90도에 근접하고 너무 커지지 않아 전자 기기(10)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200)를 설명하기 위해 도 9를 제시한다.
도 9를 참고하면, 보호 커버(200)는 전면 커버(210), 후면 커버(220), 그리고 절첩 커버(230)를 포함한다. 전면 커버(210)는 전자 기기(20)의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된 전면을 보호한다. 전면 커버(210)는 키보드부(211)와 손바닥 지지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키보드부(211)는 키보드 이외의 다른 입력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면 커버(210)는 적어도 하나의 안착홈(213)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홈(213)은 전자 기기(20)를 경사지게 거치하는 경우 전자 기기(20)의 일단을 안착시켜 전자 기기(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안착홈(213)은 사용자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거치 위치에 하나 형성될 수 도 있고, 복수개 구비되어 전자 기기(20)의 거치 각도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안착홈(213)은 자성체, 고 마찰 재질, 스냅 결합 수단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후면 커버(220)는 전자 기기(20)의 후면에 결합되어 일종의 케이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후면 커버(220)는 전자 기기(20)의 후면 전체에 덮으면서 전자 기기(20)에 결합될 수 있고, 또는 전자 기기(20)의 후면의 일부분을 덮으면서 전자 기기(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후면 커버(220)는 별도로 구비될 수 있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절첩 커버(230)와 일체로 형성되어 절첩 커버(230)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도 있다.
후면 커버(220)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후면 커버(220)는 전자 기기(20)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단자부 및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단자부는 전자 기기(20)의 충전용 단자에 접속될 수 있고, 제1 단자부와 제2 단자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외부 기기와 전자 기기(2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1 단자부와 제2 단자부는 후면 커버(220)의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기기(20)를 아이 패드와 같은 테블릿 PC로 예를 들면, 제1 단자부는 전자 기기(20)의 충전용 단자가 형성된 짧은 면에 형성되고, 제2 단자부는 짧은 면과 90도 각도로 배치된 긴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절첩 커버(230)는 하나 이상의 절곡홈을 포함하여 절첩이 가능하다. 절첩 커버(230)의 절첩을 통해 전자 기기(20)는 각도지게 거치될 수 있다.
도 10은 상술한 전면 커버(210), 후면 커버(220) 및 절첩 커버(230)를 갖는 보호 커버(200)를 이용해 전자 기기(20)를 각도지게 거치시키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을 참고하면, 절첩 커버(230)는 제1 절곡홈(231) 및 제2 절곡홈(232)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제1 거치면(233), 제2 거치면(234) 및 제3 거치면(235)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절곡홈과 거치면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 거치면(235)은 후면 커버(220)에 자력 또는 마찰력에 의해 부착 고정될 수 있다.
거치를 위해 전자 기기(20)를 들어 올리면 제1 절곡홈(231) 또는 제2 절곡홈(232)에서 절첩 커버(230)의 절첩이 일어나고, 그에 따라 전자 기기(20)의 일단이 전면 커버(210) 상에 놓이게 된다. 이때 전자 기기(20)의 일단은 전면 커버(210) 상에 형성된 안착홈(213)에 놓인다. 안착홈(213)에는 키보드부(2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자(214)가 구비되고, 단자(214)는 전자 기기(20)에 접속되면서 키보드부(211)를 통한 입력이 전자 기기(20)로 제공된다.
이 경우, 전자 기기(20)를 아이 패드와 같은 테블릿 PC로 예시하면 충전용 단자가 짧은 면에 형성되는바, 전자 기기(20)를 가로로 길게 눕혀 거치하는 경우에는 전자 기기(20)의 단자가 측면에 위치하게 되어 키보드부(211)의 전기적 접속이 어렵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후면 커버(220)의 제1 단자부가 전자 기기(20)의 단자와 접속하고 제1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단자부가 전자 기기(20)의 긴 면에 위치함으로써, 전자 기기(20)를 안착홈(213)에 놓는 것 만으로도 안착홈(213)의 단자(214)와 제2 단자부가 직접 연결되어 키보드부(211)와 전자 기기(20)의 전기적 접속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후면 커버(220)의 단자 연결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a를 참고하면, 후면 커버(220)가 범퍼케이스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후면 커버(220)의 짧은 면에는 제1 단자부(221)가 구비된다. 제1 단자부(221)는 후면 커버(220)가 전자 기기(20)에 끼워질 때 전자 기기(20)의 단자와 접속된다. 제2 단자부(222)는 후면 커버(220)의 긴 면에 구비된다. 후면 커버(220)의 내부로 제1 단자부(221)와 제2 단자부(22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223)이 내장된다. 한편, 후면 커버(220)의 일 면에는 하나 이상의 자성체(224)가 구비되어 전면 커버(210)에 안착홈(213) 대신 자성체가 형성된 경우에 전자 기기(20)가 자력으로 전면 커버(210) 상에서 경사지게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b를 참고하면, 후면 커버(220)는 스냅케이스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후면 커버(220)의 짧은 면에는 제1 단자부(221)가 구비되고, 긴 면에는 제2 단자부(222)가 구비되며 후면 커버(220)의 내부로 플랫 타입의 케이블(223)이 구비되어 제1 단자부(221)와 제2 단자부(222)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전자 기기(20)의 단자의 위치에 따라 제1 단자부가 긴 면에 형성되고 제2 단자부가 짧은 면에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제2 단자부는 복수개 형성되어 여러 외부 기기와 접속될 수도 있다.
도 12는 안착홈(213)과 절곡홈(231, 232)의 개수를 조절하여 전자 기기(20)의 거치 각도를 여러 단계로 조절할 수 있는 보호 커버(200)를 도시한다.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안착홈(213)이 2개 그리고 절곡홈(231, 232)이 2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전자 기기(20)의 거치 각도는 4단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착홈과 절곡홈의 개수와 위치를 효과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장 많이 그리고 가장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자 기기(20)의 거치 각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200: 보호 커버 110: 커버부
120: 거치부 130: 수용부
140: 입력부 150: 가이드부
210: 전면 커버 220: 후면 커버
230: 절첩 커버

Claims (26)

  1. 전자 기기의 보호 커버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전면을 덮을 수 있는 전면 커버와 상기 전자 기기의 후면에 위치하는 후면 커버를 포함하는 커버부;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전자 기기와 접촉하는 거치부; 및
    상기 전면 커버가 상기 전자 기기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전면 커버 상에 놓이도록, 상기 보호 커버와 일체로 구비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전자 기기에 입력 신호를 제공하는 입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홈을 포함하여 절첩이 가능하며,
    상기 거치부는 일측이 상기 전자 기기와 접촉하고 상기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이 상기 후면 커버에 고정되어, 상기 거치부의 절첩에 의해 상기 전자 기기의 일단이 상기 후면 커버상에서 이동하는, 전자 기기의 보호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전자 기기를 상기 보호 커버 내에 수용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보호 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전자 기기와 결합되는 케이스, 자력 수단, 점착 수단, 스냅 결합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보호 커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전자 기기와 결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전자 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단자부 및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자부와 상기 제2 단자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기기의 보호 커버.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상기 보호 커버와 일체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전면 커버 내부에 구비되는 전도체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전도체의 타측은 상기 전자 기기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자 기기의 보호 커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상에 상기 전자 기기의 일단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보호 커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일단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기설정된 위치에 놓이게 하도록 하는 지지홈을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보호 커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에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가이드부의 기설정된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탄성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보호 커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일단이 상기 후면 커버상의 기설정된 위치에 놓이도록, 상기 후면 커버는 상기 전자 기기의 일단과 자력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보호 커버.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150159493A 2015-11-13 2015-11-13 전자 기기 보호 커버 KR101733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493A KR101733887B1 (ko) 2015-11-13 2015-11-13 전자 기기 보호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493A KR101733887B1 (ko) 2015-11-13 2015-11-13 전자 기기 보호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3887B1 true KR101733887B1 (ko) 2017-05-08

Family

ID=60163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493A KR101733887B1 (ko) 2015-11-13 2015-11-13 전자 기기 보호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8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4246A (ja) * 2011-09-30 2013-05-09 Sony Corp 保護カバー及び情報処理装置
KR101472033B1 (ko) * 2014-08-08 2014-12-11 (주)씨에스테크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4246A (ja) * 2011-09-30 2013-05-09 Sony Corp 保護カバー及び情報処理装置
KR101472033B1 (ko) * 2014-08-08 2014-12-11 (주)씨에스테크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57438B1 (en) An electronic device case
KR101469609B1 (ko) 이동단말 거치용 접이식 파우치
US9001511B2 (en) Portable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2708974B1 (en) Case for mobile terminal including stylus pen holding means
JP3182771U (ja) 保護シース
EP2722728B1 (en) Portable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66058Y1 (ko) 받침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US11974118B2 (en) Portable device accessory
US20080225471A1 (en) Housing protective cover and electronic apparatus system
KR101265220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KR20120035705A (ko) 휴대용 단말기의 보호 커버
US11528820B2 (en) Low profile computer support
KR20160018306A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101733887B1 (ko) 전자 기기 보호 커버
KR200471353Y1 (ko)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US9780825B2 (en) Computing device sleeves
CN213750816U (zh) 键盘皮套
KR101794915B1 (ko)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
KR20140127935A (ko)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게임 시스템
CN216700059U (zh) 移动终端保护套
KR200463461Y1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491951B1 (ko) 입력수단으로 활용가능한 고정부재가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
KR101437888B1 (ko) 터치팬이 구비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
CN114510115A (zh) 一种实用性高的平板电脑支撑保护套
KR101573037B1 (ko)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