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206B1 - Electric scooter having removal body structure - Google Patents

Electric scooter having removal body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206B1
KR101733206B1 KR1020150091531A KR20150091531A KR101733206B1 KR 101733206 B1 KR101733206 B1 KR 101733206B1 KR 1020150091531 A KR1020150091531 A KR 1020150091531A KR 20150091531 A KR20150091531 A KR 20150091531A KR 101733206 B1 KR101733206 B1 KR 101733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wheel
wheel
base frame
present
steering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15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01478A (en
Inventor
권용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루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루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루이엔지
Priority to KR1020150091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206B1/en
Publication of KR20170001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4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2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27Motorcycles with thre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6Frames for tr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2/00Motorised scoo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식 차체 구조를 갖는 전동 스쿠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프레임과 후륜부를 상호 착탈식으로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착탈식 차체 구조를 갖는 전동 스쿠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차체 구조를 갖는 전동 스쿠터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방측에 지면에 대해 구름 회전가능한 앞바퀴가 구비된 전륜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방측에 지면에 대해 구름 회전가능한 뒷바퀴가 구비된 후륜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앞바퀴 또는 상기 뒷바퀴의 조향각을 조절하는 조향각조절부와; 동력원에 의해 상기 앞바퀴 또는 상기 뒷바퀴를 회전시키는 주행구동부를; 포함하는 전동 스쿠터에 있어서, 상기 후륜부는, 하부로 상기 뒷바퀴가 연결되고 전방측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방측에 연결되는 후륜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방측과 상기 후륜바디의 전방측은 상호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scooter having a detachable body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scooter having a detachable body structur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base frame and a rear wheel portion can b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An electric scooter having a detachable bod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frame; A front wheel having a front wheel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on the front side of the base frame; A rear wheel having a rear wheel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on the rear side of the base frame; A steering angl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 steering angle of the front wheel or the rear wheel by a user's operation; 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front wheel or the rear wheel by a power source; Wherein the rear wheel portion includes a rear wheel body having a rear wheel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front portion connected to a rear side of the base fram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detachable manner.

Description

착탈식 차체 구조를 갖는 전동 스쿠터{ELECTRIC SCOOTER HAVING REMOVAL BODY STRUCTURE}ELECTRIC SCOOTER HAVING REMOVAL BODY STRUCTURE,

본 발명은 착탈식 차체 구조를 갖는 전동 스쿠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프레임과 후륜부를 상호 착탈식으로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착탈식 차체 구조를 갖는 전동 스쿠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scooter having a detachable body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scooter having a detachable body structur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detachably connecting a base frame and a rear wheel portion.

일반적으로 전동 스쿠터는 배터리에 의해 모터를 구동하여 이동하는 이동수단으로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어 장애인 및 노약자들도 많이 이용한다.In general, an electric scooter drives a motor by a battery, and can be easily operated as a moving means for moving, so that anyone can learn easily, so that a person with a disability and an elderly person often use it.

한편, 전동 스쿠터는 2륜 방식이 대부분이며, 3륜 방식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93171호에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ic scooter is mostly a two-wheel system, and a three-wheel system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93171.

하지만, 종래기술의 경우 전동 스쿠터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차량에의 탑재시 부피를 많이 차지하거나, 부피 문제로 차량에의 탑재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lectric scooter is integrally formed, so that it takes a lot of volume when mounted on a vehicle or is impossible to mount on a vehicle due to a volume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프레임과 후륜부를 상호 착탈식으로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착탈식 차체 구조를 갖는 전동 스쿠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ic scooter having a detachable body structure in which a base frame and a rear wheel portion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차체 구조를 갖는 전동 스쿠터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방측에 지면에 대해 구름 회전가능한 앞바퀴가 구비된 전륜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방측에 지면에 대해 구름 회전가능한 뒷바퀴가 구비된 후륜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앞바퀴 또는 상기 뒷바퀴의 조향각을 조절하는 조향각조절부와; 동력원에 의해 상기 앞바퀴 또는 상기 뒷바퀴를 회전시키는 주행구동부를; 포함하는 전동 스쿠터에 있어서, 상기 후륜부는, 하부로 상기 뒷바퀴가 연결되고 전방측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방측에 연결되는 후륜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방측과 상기 후륜바디의 전방측은 상호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lectric scooter having a detachable bod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frame; A front wheel having a front wheel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on the front side of the base frame; A rear wheel having a rear wheel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on the rear side of the base frame; A steering angl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 steering angle of the front wheel or the rear wheel by a user's operation; 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front wheel or the rear wheel by a power source; Wherein the rear wheel portion includes a rear wheel body having the rear wheel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thereof and the front portion thereof connected to a rear side of the base fram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detachable mann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차체 구조를 갖는 전동 스쿠터는, 상기 후륜바디는, 전방측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걸림힌지축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힌지축의 상부 위치에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면에 록크핀삽입홀이 형성된 끼움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후방측에 상기 걸림힌지축에 걸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 걸림후크와, 상기 걸림힌지축에 상기 걸림후크가 걸린 상태에서 상기 걸림힌지축을 회전중심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끼움돌기가 삽입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후륜부결합하우징과, 상기 후륜부결합하우징의 상면에 지지되되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후륜부결합하우징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록크핀삽입홀을 향하여 출몰되며 상기 후륜부결합하우징과 상기 끼움돌기를 상호 고정하는 록크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electric scooter having the detachable car bod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wheel body is provided with a hinge shaft which is long in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front side, and protrudes forward at an upper position of the hinge shaft of the hinge, The base frame having a hook formed in a shape that can be hooked to the hooking hinge shaft on the rear side and a hooking hook formed on the hooking shaft in a state in which the hooking hook is hooked on the hooking shaft, A rear wheel coupling housing having a shape that allows the fitting protrusion to be inserted and coupled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is pivoted to the rear wheel coupling housing, And a lock pin protruding toward the lock pin insertion hole and fixing the rear wheel coupling housing and the fitting protrusion to each other And a go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차체 구조를 갖는 전동 스쿠터는, 상기 끼움돌기와 상기 후륜부결합하우징이 상호 끼움 결합되는 결합되는 경우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후륜부 사이에 전기적인 배선이 연결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electric scooter having a detachable bod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fitting protrusion and the rear wheel coupling housing are coupled to each other, electric wiring is connected between the base frame and the rear wheel, do.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차체 구조를 갖는 전동 스쿠터는 베이스프레임과 후륜부를 상호 분리한 상태로 차량에 탑재하여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목적지 도착 후 베이스프레임과 후륜부를 간편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With the above construction, the electric scooter having the detachable car bod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on the vehicle while the base frame and the rear wheel par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can be moved, and the base frame and the rear wheel part can be easily combined There are advantages to be able to.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 스쿠터의 정면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 스쿠터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륜조향유닛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 스쿠터의 주요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시주행모드의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모드의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향연동모드의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륜부의 주요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륜부의 주요부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틸팅각조절부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 스쿠터의 틸팅 사용상태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 스쿠터의 착탈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행구동부의 단면도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scoo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scoo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ar wheel steer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main part of an electric scoo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normal travel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rotat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teering interlock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a rear wh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of a main portion of a rear wh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tilting angle adjus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ide view of a tilting state of an electric scoo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achable structure of an electric scoo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riving driv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스쿠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lectric scoo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 스쿠터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 스쿠터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륜조향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 스쿠터의 주요부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시주행모드의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모드의 개념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향연동모드의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륜부의 주요부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륜부의 주요부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틸팅각조절부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 스쿠터의 틸팅 사용상태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 스쿠터의 착탈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행구동부의 단면도이다.FIG.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scoo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scoo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rear-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normal travel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teering interlock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ortion of a rear wh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ross-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tilting angle adjus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side view of a tilting state of an electric scoo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achable structure for an electric scoo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unning drive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1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 스쿠터는 베이스프레임(10)과, 전륜부(20)와, 후륜부(30)와, 조향각조절부(40)와, 틸팅각조절부(50)와, 주행구동부(60)와, 모드선택부(70)와, 주행제어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13, an electric scoo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frame 10, a front wheel 20, a rear wheel 30, a steering angle adjuster 40, A driving unit 60, a mode selection unit 70, and a driving control unit 80. The control unit 50 includes a control unit 50, a driving unit 60, a mode selection unit 70,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스쿠터의 뼈대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 포크지지프레이트(11)와, 포스트연결플레이트(12)와, 걸림후크(13)와, 후륜부결합하우징(14)과, 록크핀(15)과, 시트(16)와, 발판(1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ase frame 10 serves as a skeleton of the electric scoo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fork support plate 11, a post connection plate 12, a locking hook 13, a rear wheel coupling housing 14, A lock pin 15, a seat 16, and a foot plate 17. [0031]

상기 포크지지플레이트(11)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전방측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앞바퀴(21)가 장착된 포크(414)가 조향을 위해 좌우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이다.The fork support plate 11 is horizontally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base frame 10 so that the fork 414 on which the front wheel 21 is mounted is rotatably supported for steering.

상기 포스트연결플레이트(12)는 상기 포크지지플레이트(11)의 양측단에서 각각 절곡되며 상방으로 연장된 구성으로 후술할 틸팅각조절부(50)의 핸들포스트커버(51)가 전후 틸팅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post connection plate 12 is bent at both ends of the fork support plate 11 and extends upward so that the handle post cover 51 of the tilting angle control unit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상기 걸림후크(13)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후방측에서 후륜바디(32)의 전방측에 형성된 걸림힌지축(321)에 걸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이다.The hooking hook 13 is formed to be hooked on a hooking hinge shaft 321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rear wheel body 32 from the rear side of the base plate 10.

상기 후륜부결합하우징(14)은 상기 걸림힌지축(321)에 상기 걸림후크(13)가 걸린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 또는 후륜부(30)가 상기 걸림힌지축(321)을 회전중심으로 회동되는 경우 후륜바디(32)의 전방에 돌출된 끼움돌기(322)가 삽입되며 결합되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rear wheel coupling housing 14 is configured such that the base frame 10 or the rear wheel portion 30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hinge shaft 321 in a state in which the engagement hook 13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hinge shaft 321, The fitting protrusion 322 protruding in front of the rear wheel body 32 is inserted and engaged.

상기 록크핀(15)은 상기 후륜부결합하우징(14)의 상면에 지지되고, 상기 끼움돌기(322)가 상기 후륜부결합하우징(14)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끼움돌기(322)의 상면에 형성된 록크핀삽입홀(322a)을 향하여 출몰되며 상기 후륜부결합하우징(14)과 상기 끼움돌기(322)를 상호 고정하는 구성이다. The lock pin 15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wheel coupling housing 14 and is inserted into the rear wheel coupling housing 14 by an external force in a state where the fitting projection 322 is inserted into the rear wheel coupling housing 14, And the rear wheel coupling housing 14 and the fitting protrusion 322 are fixed to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끼움돌기(322)와 상기 후륜부결합하우징(14)이 상호 끼움 결합되는 결합되는 경우 상기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후륜부(30) 사이에 전기적인 배선이 연결되도록 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tting protrusions 322 and the rear wheel coupling housing 14 are coupled with each other, the electric wiring is formed between the base frame 10 and the rear wheel portion 30 do.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의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스쿠터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후방측과 상기 후륜바디(32)의 전방측은 상호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후륜부(30)를 상호 분리한 상태로 차량에 탑재하여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목적지 도착 후 상기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후륜부(30)를 간편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12, the rear side of the base frame 10 and the front side of the rear wheel body 32 are detachable from each other due to the organic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components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base frame 10 and the rear wheel part 30 can be mounted on the vehicle while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base frame 10 and the rear wheel part 30 can be easily moved So that they can be used in combination.

상기 시트(16)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구성이고, 상기 발판(17)은 주행 중 사용자의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구성이다.The seat 16 is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sit, and the footrest 17 is configured to put a user's foot on the road.

상기 전륜부(2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전방측에 지면에 대해 구름 회전가능한 앞바퀴(21)가 구비된 구성이다.The front wheel 20 has a front wheel 21 rotatably rotatable relative to the ground on the front side of the base frame 10.

상기 앞바퀴(21)의 조향각은 후술한 전륜조향유닛(41)에 의해 조절된다.The steering angle of the front wheel 21 is adjusted by the front wheel steering unit 41 described later.

상기 후륜부(3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후방측에 지면에 대해 구름 회전가능한 뒷바퀴(31)가 구비된 구성이다.The rear wheel unit 30 includes a rear wheel 31 rotatably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on the rear side of the base frame 10.

상기 뒷바퀴(31)의 조향각은 후술할 후륜조향유닛(42)에 의해 조절된다.The steering angle of the rear wheel 31 is regulated by a rear wheel steering unit 42 to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전동 스쿠터는 상기 앞바퀴(21)가 1개이고, 뒷바퀴(31)가 제1뒷바퀴(311), 제2뒷바퀴(312)로 이루어진 총 3개의 바퀴로 이루어진 3륜 전동 스쿠터로 구성된다.An electric scoo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wheel 21 and a rear wheel 31. The rear wheel 311 includes a rear wheel 311 and a rear wheel 312, .

상기 제1뒷바퀴(311), 제2뒷바퀴(312)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각각은 후륜바디(32) 양측단 하부로 배치된다.The first rear wheel 311 and the second rear wheel 31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frame 10 and are disposed below the rear ends of the rear body 32.

또한, 상기 후륜부(30)는 후륜바디(32)와, 서스펜션(33)과 회전제한스토퍼(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rear wheel portion 30 includes a rear wheel body 32, a suspension 33, and a rotation restricting stopper 34. [

상기 후륜바디(32)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후방측에 연결되고, 상기 서스펜션(33)이 연결되기 위한 지지대의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The rear wheel body 32 is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base frame 10 and functions as a support for the suspension 33 to be connected thereto.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상기 후륜바디(3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걸림힌지축(321)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힌지축(321)의 상부 위치에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면에 록크핀삽입홀(322a)이 형성된 끼움돌기(322)가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후방측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대한 설명에서 전술한 바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12, the rear wheel body 3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inge shaft 321 which is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n the front side, And a fitting protrusion 322 protruding forward from the base frame 10 and formed with a locking pin insertion hole 322a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base frame 10,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후륜바디(32)의 내부에는 도 3에 도시된 후륜조향유닛(42)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이 내장된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rear wheel steering unit 42 shown in FIG. 3 are built in the rear wheel body 32.

상기 서스펜션(33)은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며 상기 뒷바퀴(31)를 상기 후륜바디(32)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너클(331)과, 어퍼암(332)과, 로어암(333)과, 피봇하우징(334)과, 쇼크업소버(335)와, 코일스프링(3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uspension 33 absorbs an impact from the road surface and connects the rear wheel 31 to the rear wheel body 32. Referring to FIGS. 8 and 9, the suspension 33 includes a knuckle 331, an upper arm 332, A lower arm 333, a pivot housing 334, a shock absorber 335, and a coil spring 336.

상기 너클(331)은 상기 뒷바퀴(31)가 장착되기 위한 구성으로,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어퍼암(332)과, 로어암(333)이 힌지연결된다.The upper knuckle 331 is configured to mount the rear wheel 31 and the upper arm 332 and the lower arm 333 are hingedly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respectively.

상기 어퍼암(332)은 상기 너클(331)에 장착된 뒷바퀴(31)의 회전축선 상측에서 일단부가 상기 너클(331)에 힌지연결된다.One end of the upper arm 332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knuckle 331 on the rotational axis of the rear wheel 31 mounted on the knuckle 331.

상기 로어암(333)은 상기 너클(331)에 장착된 뒷바퀴(31)의 회전축선 하측에서 일단부가 상기 너클(331)에 힌지연결된다.One end of the lower arm 333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knuckle 331 below the rotational axis of the rear wheel 31 mounted on the knuckle 331.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33)은 상기 어퍼암(332)과 상기 로어암(333)이 구비되어 편안한 승차감을 담보할 수 있는 더블 위시본 타입의 서스펜션(33)이 되는 것이다.That is, the suspension 3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uble wishbone type suspension 33 that is provided with the upper arm 332 and the lower arm 333 to ensure a comfortable ride feeling .

상기 피봇하우징(334)은 상기 어퍼암(332) 및 로어암(333)의 타단부가 각각 힌지연결되고 상단부가 상기 후륜바디(32)에 후륜피봇축(421)을 회전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이다.The upper arm 332 and the lower arm 333 are hingedly connected to the other ends of the upper arm 332 and the upper body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ar wheel body 32 by a pivot shaft 421 .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상기 피봇하우징(334)은 상기 후륜피봇축(421)이 연결되는 상단부에 상기 후륜피봇축(421)과 연직하게 형성된 수평부(334a)와, 상기 수평부(334a)의 일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되며 연장되되 쇼크업소버(335)의 상단이 연결되는 수직연장부(334b)와, 상기 수직연장부(334b)의 일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어퍼암(332) 및 로어암(333)의 타단부가 각각 힌지연결되는 어퍼힌지부(334c) 및 로어힌지부(334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ivot housing 33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334a formed vertically to the rear wheel pivot shaft 421 at an upper end to which the rear wheel pivot shaft 421 is connected, A vertical extension part 334b which is bent and extended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vertical extension part 334a and 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shock absorber 335 is connected; And an upper hinge portion 334c and a lower hinge portion 334d to which the other ends of the arms 333 are hinge-connected, respectively.

또한, 상기 피봇하우징(334)은 상기 수평부(334a)의 하부로 상기 뒷바퀴(31)가 배치되고, 상기 수직연장부(334b)는 상기 뒷바퀴(31)의 안쪽으로 배치되며, 상기 어퍼힌지부(334c) 및 로어힌지부(334d)는 상기 수직연장부(334b)에서 상기 뒷바퀴(31)가 배치된 반대측 방향으로 돌출된다.The pivot housing 334 has the rear wheel 31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 334a and the vertical extension portion 334b disposed at an inner side of the rear wheel 31, And the lower hinge portion 334c and the lower hinge portion 334d protrude from the vertical extension portion 334b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ar wheel 31 is disposed.

상기와 같은 피봇하우징(334)의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33)은 상기 후륜피봇축(421)을 회전중심으로 조향이 가능하면서도 상기 어퍼힌지부(334c) 및 로어힌지부(334d)가 상기 수직연장부(334b)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구성되어 더블 위시본 타입의 서스펜션 구조를 최택하면서도 최대한 콤팩트한 외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suspension 33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eer the rear wheel pivot shaft 421 with the center of rotation while the upper hinge portion 334c and the lower hinge portion 334c, And the protruding portion 334d is protruded to one side of the vertical extension portion 334b. Thus, the double wishbone type suspension structure can be maintained at the most compact size.

상기 쇼크업소버(335)는 하단부는 상기 로어암(333)에 연결되고 상단부는 상기 피봇하우징(334)에 고정되는 구성이다.The lower end of the shock absorber 335 is connected to the lower arm 333 and the upper end of the shock absorber 335 is fixed to the pivot housing 334.

상기 쇼크업소버(335)의 상단부가 상기 피봇하우징(334)에 고정되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33)은 상기 후륜피봇축(421)을 회전중심으로 조향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By adopting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shock absorber 335 is fixed to the pivot housing 334, the suspension 3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teering the rear wheel pivot shaft 421 .

상기 코일스프링(336)은 상기 쇼크업소버(335)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구성이다.The coil spring 336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shock absorber 335.

상기 회전제한스토퍼(34)는 상기 후륜바디(32)와 상기 피봇하우징(334)의 수평부(334a)와의 사이에 상기 피봇하우징(334)이 상기 후륜피봇축(421)을 회전중심으로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피봇하우징(334)의 수평부(334a)에서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스토퍼돌기(341)와, 상기 후륜바디(32)의 하부면에 상기 스토퍼돌기(341)가 걸릴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 스토퍼걸림턱(342)으로 이루어진다.The rotation restricting stopper 34 is disposed between the rear wheel body 32 and the horizontal portion 334a of the pivot housing 334 so that the pivot housing 334 rotates the rear wheel pivot shaft 421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stopper protrusion 341 protruded upward from the horizontal portion 334a of the pivot housing 334 and the stopper protrusion 341 protruding upward from the lower portion 334a of the rear wheel body 334, And the stopper protrusion 341 is formed in a shape that allows the stopper protrusion 341 to be caught.

상기 조향각조절부(4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앞바퀴(21) 또는 상기 뒷바퀴(31)의 조향각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전륜조향유닛(41)과, 후륜조향유닛(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teering angle adjusting unit 40 is configured to adjust the steering angle of the front wheel 21 or the rear wheel 31 by a user's opera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wheel steering unit 41, the rear wheel steering unit 42).

상기 전륜조향유닛(41)은 상기 앞바퀴(21)의 조향각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상기 앞바퀴(21)가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전방측에 전륜조향축(411)을 회전중심으로 좌우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포크(414)와, 하단부가 상기 포크(414)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핸들포스트(415)와, 상기 앞바퀴의 조향각을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핸들포스트(415)의 상단부에 연결된 핸들(412)과, 상기 전륜조향축(411)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륜조향축(411)의 회전량으로부터 상기 앞바퀴(21)의 조향각을 감지하는 전륜조향각 감지센서(4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ront wheel steering unit 41 is configured to adjust the steering angle of the front wheel 21 so that the front wheel 21 is rotatably supported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wheel steering unit 41, A handle post 415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ork 414 at a lower end to extend upward and a steering post 415 extending upward from the fork 414, A handle 412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andle post 415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steering angle of the front wheel 21 from a rotational amount of the front wheel steering shaft 411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front wheel steering shaft 411, And a front wheel steering angle detecting sensor 413 for detecting the steering angle.

또한, 상기 핸들포스트(415)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전후 틸팅 가능함과 동시에 회전력을 상기 포크(414)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단부가 상기 포크(414)의 상단부와 유니버셜조인트(416)로 연결된다.The handle post 415 may be tilted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frame 10 by a user's operation and a lower end of the handle post 415 may be connected to the fork 414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the fork 414. [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portion and the universal joint 416.

상기와 같은 전륜조향유닛(41)의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는 상기 앞바퀴(21)의 조향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전동력에 의해 상기 앞바퀴(21)의 조향각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할 것이다.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steering angle of the front wheel 21 by the configuration of the front wheel steering unit 41 as described above and can adjust the steering angle of the front wheel 21 by the electric power .

상기 후륜조향유닛(42)은 상기 뒷바퀴(31)의 조향각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륜피봇축(421)에 벨트(424)로 연결되어 상기 후륜피봇축(421)을 회전시킬 수 있는 후륜조향모터(422)와, 상기 후륜피봇축(421)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후륜피봇축(421)의 회전량으로부터 상기 뒷바퀴(31)의 조향각을 감지하는 후륜조향각 감지센서(4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rear wheel steering unit 42 is configured to adjust the steering angle of the rear wheel 31.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rear wheel steering unit 42 is connected to a rear wheel pivot shaft 421 by a belt 424, A rear wheel steering motor 422 capable of rotating the pivot shaft 421 and a rear wheel steering motor 422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rear wheel pivot shaft 421 to detect a steering angle of the rear wheel 31 from a rotational amount of the rear wheel pivot shaft 421, And a rear wheel steering angle sensor 423 for detecting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상기와 같은 후륜조향유닛(42)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뒷바퀴(31)의 조향각을 전동력에 의해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뒷바퀴(31)가 제1뒷바퀴(311) 및 제2뒷바퀴(312)로 구성되고, 상기 제1뒷바퀴(311) 및 제2뒷바퀴(312)는 각각 조향각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rear wheel 31 is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the steering angle of the rear wheel 31 by means of the electric power by the configuration of the rear wheel steering unit 42.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econd rear wheel 312. The first rear wheel 311 and the second rear wheel 312 are each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the steering angle.

상기 틸팅각조절부(50)는 상기 포크(414)와 유니버셜조인트(416)로 연결되어 일정 각도로 틸팅된 상기 핸들포스트(415)를 고정 및 고정해제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포스트커버(51)와, 핀삽입홀(52)과, 틸팅가이드홀(53)과, 핀이탈방지구(54)와, QR레버(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tilting angle adjusting unit 50 is configured to fix and unlock the handle post 415 which is connected to the fork 414 by a universal joint 416 and is tilt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0, includes a handle post cover 51, a pin insertion hole 52, a tilting guide hole 53, a pin releasing ring 54, and a QR lever 55 .

상기 핸들포스트커버(51)는 상기 핸들포스트(415)의 좌우 회전은 구속하지 않되 상기 핸들포스트(415)와 일체로 전후 틸팅가능하도록 상기 핸들포스트(415)를 감싼 상태에서 하단부가 상기 포스트연결플레이트(12)에 틸팅힌지축(H)을 회전중심으로 힌지연결되는 구성이다.The handle post 41 is wrapped around the handle post 415 so that the handle post 415 can be tilted back and forth integrally with the handle post 415 without constraining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handle post 415, And the tilting hinge axis H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tilting hinge 12 at the center of rotation.

상기 핀삽입홀(52)은 상기 틸팅힌지축(H)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포스트연결플레이트(12) 또는 상기 핸들포스트커버(51)에 관통 형성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포스트연결플레이트(12)에 형성되도록 구성되었다.The pin insertion hole 52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post connection plate 12 or the handle post cover 51 with a certain distance from the tilting hinge axis H. In this embodiment, Is formed on the post connection plate (12).

상기 틸팅가이드홀(53)은 상기 핸들포스트(415)가 전후 틸팅되는 경우 상기 핀삽입홀(52)의 회전 궤적을 따라 상기 핀삽입홀(52)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포스트연결플레이트(12) 또는 상기 핸들포스트커버(51)에 길게 형성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핸들포스트커버(51)에 형성되도록 구성되었다.The tilting guide hole 53 may be formed in the post connecting plate 12 or the post connecting plate 12 in which the pin insertion hole 52 is not formed along the rotational locus of the pin insertion hole 52 when the handle post 415 is tilted back and forth And is formed on the handle post cover 51 in a configuration of the handle post cover 5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삽입핀(54)은 상기 핀삽입홀(52) 및 상기 틸팅가이드홀(53)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구성이다.The insertion pin 54 passes through the pin insertion hole 52 and the tilting guide hole 53 and is fastened.

상기 핀이탈방지구(55)는 상기 삽입핀(54)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삽입핀(54)의 일단부에 체결되는 구성이다.The pin release claw 55 is fastened to one end of the insertion pin 54 so that the insertion pin 54 is not released.

상기 QR레버(56)는 상기 삽입핀(54)의 타단부에 체결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지렛대 및 캠의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포스트연결플레이트(12) 및 상기 핸들포스트커버(51)를 상호 압착시켜 고정하는 구성이다.The QR lever 56 is fastened to the other end of the insertion pin 54 and is pressed against the post connection plate 12 and the handle post cover 51 by the user's operation, .

상기와 같은 틸팅각조절부(50)의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는 용이하게 상기 핸들포스트(415)의 틸팅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몸에 맞는 상기 핸들(41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나아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포스트(415) 부분을 접어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차량에의 탑재 또는 보관의 용이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tilting angle of the handle post 415 by the configuration of the tilting angle adjuster 50 as described abov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handle 412 in accordance with the body of the user, As shown in FIG. 11, the handle post 415 is folded to minimize the volume, thereby facilitating mounting or storage on the vehicle.

상기 주행구동부(6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내장된 배터리(미도시)와 같은 동력원에 의해 상기 앞바퀴(21) 또는 상기 뒷바퀴(31)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휠모터(61)와 방열수단(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travel driving unit 60 is configured to rotate the front wheel 21 or the rear wheel 31 by a power source such as a battery (not shown) built in the base frame 10, And includes an in-wheel motor 61 and a heat dissipating means 62 as shown in Fig.

상기 인휠모터(61)는 회전을 위한 상기 앞바퀴(21) 또는 상기 뒷바퀴(31)의 축에 스테이터(611)가 고정되고, 상기 스테이터(611)를 감싸며 회전되는 로터(612)에 상기 앞바퀴(21) 또는 상기 뒷바퀴(31)의 림 휠이 연결된다.The in-wheel motor 61 has a stator 611 fixed to a shaft of the front wheel 21 or the rear wheel 31 for rotation and a rotor 612 rotating around the stator 611. The front wheel 21 Or the rim wheel of the rear wheel 31 is connected.

상기 스테이터(611)의 내부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의 코일(coil)이 배치되고, 상기 로터(612) 내에는 둘레 방향으로 다수의 마그네트(magnet)가 배치된다.A plurality of coils are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tator 611 and a plurality of magnets are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or 612.

이에, 상기 스테이터(611)의 각 코일에 순차적으로 전력이 공급되면 코일의 여자에 수반되어 마그네트와의 사이에 자계가 발생되어 상기 로터(612)에 회전력, 즉 모터 토크를 발생시키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앞바퀴(21) 또는 상기 뒷바퀴(31)가 일체로 회전됨에 따라 노면과의 사이에 구동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When electric power is sequentially supplied to the coils of the stator 611, a magnetic field is generated between the coils and the magnets to generate a torque, that is, a motor torque, The front wheel 21 or the rear wheel 31 are integrally rotated so that driving can be generated between the front wheel 21 and the road surface.

상기 방열수단(62)은 상기 인휠모터(61)에 발생된 열을 방열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핀(621)과, 송풍팬(6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2 and 13, the heat dissipating means 62 includes a heat dissipating fin 621, a blowing fan 622, and a blowing fan 622. The heat dissipating means 621 is configured to dissipate heat generated in the in- ).

상기 방열핀(621)은 다수개가 상기 림 휠 상에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펼쳐지고 돌출부가 공기와 접촉되어 공냉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radiating fins 621 are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the radiating fins 621 are radially spread from the center on the rim wheel and the protrusions are air-cooled by being in contact with air.

상기 송풍팬(622)은 상기 스테이터(611)와 상기 로터(612) 사이의 간극으로 공기를 송풍하여 상기 인휠모터(61)를 냉각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방열핀(621)에 공기유도경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림 휠이 회전되는 경우 상기 방열핀(621)이 상기 스테이터(611)와 상기 로터(612) 사이의 간극으로 공기를 송풍하도록 구성된다.The blower fan 622 is configured to cool the in-wheel motor 61 by blowing air to a gap between the stator 611 and the rotor 612.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induction slope is formed in the rotor 612 so that the radiating fin 621 blows air to the gap between the stator 611 and the rotor 612 when the rim wheel is rotated.

상기와 같이 상기 주행구동부(60)로 인휠모터(61)를 채택함으로써 심플한 구성으로 상기 앞바퀴(21) 또는 뒷바퀴(31)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방열수단(62)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인휠모터(61)의 안정적인 동작 및 제어를 구현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인휠모터(1)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 front wheel 21 or the rear wheel 31 can be driven with a simple structure by adopting the in-wheel motor 61 as the traveling driving unit 60. As a resul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heat dissipating means 62, The stable operation and control of the motor 61 can be realized and the lifetime of the in-wheel motor 1 can be improved.

상기 모드선택부(7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운전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조작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핸들(412)의 전면에 설치된 클러스터로 구현하였다.The mode selection unit 70 is configured to select an operation mode by a user's opera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e selection unit 70 is implemented as a cluster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andle 412 for convenience of opera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모드선택부(70)에서 선택 가능한 운전모드는 평시주행모드(71), 자전모드(72) 및 조향연동모드(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mode selectable by the mode selection unit 70 includes a normal traveling mode 71, a rotation mode 72, and a steering interlock mode 73.

상기 주행제어부(80)는 상기 모드선택부(70)에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라 상기 조향각조절부(40) 및 상기 주행구동부(60)를 제어하는 구성이다.The travel control unit 80 controls the steering angle control unit 40 and the travel driving unit 60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selected by the mode selection unit 7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행제어부(80)는 상기 모드선택부(70)에 평시주행모드(71)가 선택된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뒷바퀴(31)의 조향각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후륜조향유닛(42)을 제어한다.5, when the mode selecting unit 70 selects the normal traveling mode 71, the steering control unit 80 determines that the steering angle of the rear wheel 31 is greater than the steering angle of the rear wheel 31, And controls the rear wheel steering unit 42 so as to be fix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 경우 사용자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전륜조향유닛(41)을 조작함으로써 조향이 가능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user can steer by operating the front wheel steering unit 41 by an external force.

한편, 상기 주행제어부(80)는 상기 모드선택부(70)에 자전모드(71)가 선택된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3개로 이루어진 상기 앞바퀴(21) 및 뒷바퀴(31, 311, 312)가 지면과 접촉하는 3개의 점을 연결하는 자전원의 접선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전륜조향유닛(41) 및 상기 후륜조향유닛(42)을 제어한다.6, when the rotation mode 71 is selected in the mode selection unit 70, the travel control unit 80 controls the front wheels 21 and the rear wheels 31, 311, and 312, Controls the front wheel steering unit (41) and the rear wheel steering unit (42) so as to be arranged in a tangential direction of a power source for connecting three points in contact with the ground.

또한, 상기 주행제어부(80)는 상기 모드선택부(70)에 조향연동모드(73)가 선택된 경우 상기 뒷바퀴(31)의 조향각이 상기 전륜조향각 감지센서(413)에 감지된 상기 앞바퀴(21)의 조향각에 대응되게 상기 후륜조향유닛(42)을 제어한다.When the steering interlocking mode 73 is selected in the mode selection unit 70, the travel control unit 80 determines that the steering angle of the rear wheel 31 is greater than the steering angle of the front wheel 21 detected by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detection sensor 413, And controls the rear wheel steering unit 42 to correspond to the steering angle of the rear wheels.

즉, 상기 주행제어부(80)는 상기 모드선택부(70)에 조향연동모드(73)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전륜조향각 감지센서(413)로부터 조향각 변화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후륜조향모터(422)를 작동시키고, 상기 후륜조향각 감지센서(423)에 감지된 뒷바퀴(31)의 조향각이 상기 전륜조향각 감지센서(413)에 감지된 앞바퀴(21)의 조향각과 일치할 경우 상기 후륜조향모터(422)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That is, when the steering interlocking mode 73 is selected in the mode selection unit 70, the travel control unit 80 receives the steering angle change signal from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sensor 413 and operates the rear wheel steering motor 422 And when the steering angle of the rear wheel 31 sensed by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sensor 423 coincides with the steering angle of the front wheel 21 sensed by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sensor 413, the operation of the rear wheel steering motor 422 .

상기와 같은 모드선택부(70)와 주행제어부(80)의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조향이 가능한 전동 스쿠터는 다양한 조향이 가능하여 좁은 통로 엘리베이터와 같은 좁은 공간 내외로 출입시에도 하차하지 않고 탑승상태로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e electric scoo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steering by the organic combination of the mode selection unit 70 and the travel control unit 80 as described above so that it is possible to perform various steering operations even when entering or leaving a narrow space such as a narrow passenger elevator It is possible to move and rotate in a desired direction in a boarding state without getting off.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도시된 전동 스쿠터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 electric scooter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is only one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matter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and the embodiments improv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bvious to those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10 베이스프레임
11 포크지지플레이트
12 포스트연결플레이트
13 걸림후크
14 후륜부결합하우징
15 록크핀
16 시트
17 발판
20 전륜부
21 앞바퀴
30 후륜부
31 뒷바퀴
311 제1뒷바퀴
312 제2뒷바퀴
32 후륜바디
321 걸림힌지축
322 끼움돌기
322a 록크핀삽입홀
33 서스펜션
331 너클
332 어퍼암
333 로어암
334 피봇하우징
334a 수평부
334b 수직연장부
334c 어퍼힌지부
334d 로어힌지부
335 쇼크업소버
336 코일스프링
34 회전제한스토퍼
341 스토퍼돌기
342 스토퍼걸림턱
40 조향각조절부
41 전륜조향유닛
411 전륜조향축
412 핸들
413 전륜조향각 감지센서
414 포크
415 핸들포스트
416 유니버셜조인트
42 후륜조향유닛
421 후륜피봇축
422 후륜조향모터
423 후륜조향각 감지센서
424 벨트
50 틸팅각조절부
H 틸팅힌지축
51 핸들포스트커버
52 핀삽입홀
53 틸팅가이드홀
54 삽입핀
55 핀이탈방지구
56 QR레버
60 주행구동부
61 인휠모터
611 스테이터
612 로터
62 방열수단
621 방열핀
622 송풍팬
70 모드선택부
71 평시주행모드
72 자전모드
73 조향연동모드
80 주행제어부
10 base frame
11 fork support plate
12 post connection plate
13 Hanging hook
14 Rear wheel coupling housing
15 lock pin
16 sheets
17 Scaffolding
20 front wheel section
21 Front wheel
30 rear wheel part
31 Rear wheel
311 1st rear wheel
312 second rear wheel
32 rear body
321 Jam Hinge Shaft
322 insertion projection
322a lock pin insertion hole
33 Suspension
331 knuckles
332 upper arm
333 Lower arm
334 Pivot housing
334a horizontal portion
334b vertical extension
334c Upper hinge part
334d Lower Hinge
335 Shock Absorber
336 coil spring
34 Restricted stopper
341 Stopper projection
342 Stopper jaws
40 steering angle control section
41 Front steering unit
411 Front steering shaft
412 Handle
413 Front wheel steering angle sensor
414 fork
415 handle post
416 universal joint
42 rear wheel steering unit
421 Rear pivot axis
422 Rear wheel steering motor
423 Rear wheel steering angle sensor
424 belt
50 tilting angle adjusting section
H tilting hinge shaft
51 Handle post cover
52-pin insertion hole
53 Tilting guide hole
54 insertion pin
55-pin release room
56 QR lever
60 running drive
61 In-wheel motor
611 stator
612 rotor
62 Heat dissipation means
621 heat sink fin
622 blowing fan
70 mode selection unit
71 Regular driving mode
72 Rotation mode
73 Steering mode
80 running control unit

Claims (3)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방측에 지면에 대해 구름 회전가능한 앞바퀴가 구비된 전륜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방측에 지면에 대해 구름 회전가능한 뒷바퀴가 구비된 후륜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앞바퀴 또는 상기 뒷바퀴의 조향각을 조절하는 조향각조절부와; 동력원에 의해 상기 앞바퀴 또는 상기 뒷바퀴를 회전시키는 주행구동부를; 포함하는 전동 스쿠터에 있어서,
상기 후륜부는, 하부로 상기 뒷바퀴가 연결되고 전방측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방측에 연결되는 후륜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방측과 상기 후륜바디의 전방측은 상호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주행구동부는, 인휠모터와 방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인휠모터는 상기 앞바퀴 및 뒷바퀴의 축에 고정된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를 감싸며 회전되는 로터로 구성되며,
상기 앞바퀴 및 뒷바퀴의 림 휠은 상기 로터에 연결되고,
상기 방열수단은 상기 림 휠상에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펼쳐지고 돌출부가 공기와 접촉되는 방열핀이 포함되어 구성되되,
상기 방열핀은 상기 림 휠이 회전되는 경우 상기 스테이터와 상기 로터 사이의 간극으로 공기를 송풍하게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차체 구조를 갖는 전동 스쿠터.
A base frame; A front wheel having a front wheel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on the front side of the base frame; A rear wheel having a rear wheel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on the rear side of the base frame; A steering angl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 steering angle of the front wheel or the rear wheel by a user's operation; 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front wheel or the rear wheel by a power source; The electric scooter according to claim 1,
The rear wheel unit includes a rear wheel body to which the rear wheel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and the front side is connected to a rear side of the base frame,
The rear side of the base frame and the front side of the rear wheel body are detachably connected,
The traveling drive unit includes an in-wheel motor and a heat dissipation unit,
Wherein the in-wheel motor includes a stator fixed to a shaft of the front wheels and a rear wheel, and a rotor rotating around the stator,
Wherein the front and rear wheel wheels are connected to the rotor,
Wherein the heat dissipating means includes a heat dissipating fin extending radially from the center on the rim wheel and having a protrusion contacted with air,
Wherein the radiating fin is inclined to blow air to a gap between the stator and the rotor when the rim wheel is rot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바디는, 전방측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걸림힌지축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힌지축의 상부 위치에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면에 록크핀삽입홀이 형성된 끼움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후방측에 상기 걸림힌지축에 걸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 걸림후크와, 상기 걸림힌지축에 상기 걸림후크가 걸린 상태에서 상기 걸림힌지축을 회전중심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끼움돌기가 삽입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후륜부결합하우징과, 상기 후륜부결합하우징의 상면에 지지되되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후륜부결합하우징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록크핀삽입홀을 향하여 출몰되며 상기 후륜부결합하우징과 상기 끼움돌기를 상호 고정하는 록크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차체 구조를 갖는 전동 스쿠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ar wheel body is provided with a fitting protrusion provided with a locking hinge shaft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n the front side and protruding forward at an upper position of the locking hinge shaft and having a locking pin insertion hole formed in its upper surface,
Wherein the base frame includes a locking hook formed on the rear side so as to be hung on the locking hinge shaft and a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locking protrusion when the locking protrusion is pivoted when the locking hinge shaft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center, The rear wheel coupling housing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wheel coupling housing and protrudes and retracts toward the lock pin insertion hole by an external force in a state where the fitt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rear wheel coupling housing. And a lock pin for fixing the rear wheel coupling housing and the fitting projection to each oth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기와 상기 후륜부결합하우징이 상호 끼움 결합되는 경우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후륜부 사이에 전기적인 배선이 연결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차체 구조를 갖는 전동 스쿠터.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n electric wire is connected between the base frame and the rear wheel when the fitting protrusion and the rear wheel coupling housing are fitted to each other.
KR1020150091531A 2015-06-26 2015-06-26 Electric scooter having removal body structure KR1017332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531A KR101733206B1 (en) 2015-06-26 2015-06-26 Electric scooter having removal body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531A KR101733206B1 (en) 2015-06-26 2015-06-26 Electric scooter having removal body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478A KR20170001478A (en) 2017-01-04
KR101733206B1 true KR101733206B1 (en) 2017-05-08

Family

ID=57831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1531A KR101733206B1 (en) 2015-06-26 2015-06-26 Electric scooter having removal body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20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1017A (en) 2021-03-19 2022-09-27 주식회사 만도 Independent driving device and steering module for independent driv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8790B2 (en) * 1993-06-25 2000-06-05 三洋電機株式会社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8790B2 (en) * 1993-06-25 2000-06-05 三洋電機株式会社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478A (en) 201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6087B2 (en) Electric vehicle
KR101793171B1 (en) Electric scooter capable of various steering
JP6409060B2 (en) Roller with driven wheel, luggage cart and operating device with roller with driven wheel
TW552206B (en) Wheel structure
JP5916463B2 (en) Electric vehicle
WO2010109969A1 (en) Electric straddled vehicle
US20200237586A1 (en) Motorized wheelchai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3002277A (en) Electric power unit, motor vehicle and power-assisted two wheeler
TWI486283B (en) Straddle type electric vehicle power unit and cross-type electric vehicles
KR101793167B1 (en) Electric scooter having radiant heat function wheel
KR101733206B1 (en) Electric scooter having removal body structure
US6845835B2 (en) Seat holding structure for a two-wheel vehicle and two-wheel vehicle
KR101733200B1 (en) Electric scooter having tilting structure of steering part
JP4486443B2 (en) Wheel drive device for vehicle
JP2009234331A (en) Wheel cover device covering outer surface of wheel
CN213292568U (en) Electric balance car
JP4133802B2 (en) Motor drive vehicle
KR20180096014A (en) Electric scooter with heat dissipation function
KR20200031271A (en) An electric scooter having tilting structure
KR102464448B1 (en) A steering apparatus for an electric-power cart
JP5226446B2 (en) Parking brake device for electric vehicle
JP4109852B2 (en) Throttle opening detection device for electric motorcycle
JP2004230956A (en) Baggage hanger for small electric vehicle
JP6799453B2 (en) Electric wheelchair
CN111372803B (en) In-wheel motor driving device and moving device compri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