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2980B1 - Submersible pump with water immersion discharge function - Google Patents
Submersible pump with water immersion discharge fun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32980B1 KR101732980B1 KR1020170019963A KR20170019963A KR101732980B1 KR 101732980 B1 KR101732980 B1 KR 101732980B1 KR 1020170019963 A KR1020170019963 A KR 1020170019963A KR 20170019963 A KR20170019963 A KR 20170019963A KR 101732980 B1 KR101732980 B1 KR 1017329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mp
- sensor
- space
- disposed
- flui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04D13/08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the pump and drive motor are both submerg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08—Stop safety or alarm devices, e.g. stop-and-go control; Disposition of check-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8—Sealings
- F04D29/10—Shaft sealings
- F04D29/106—Shaft sealing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중펌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water pump.
도 1은 배수펌프장의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of a drainage pumping station.
도 1을 참조하면, 배수펌프장의 집수정(10)에는 일종의 배관구조물인 컬럼파이프(2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컬럼파이프(20) 내에는 배수, 양수 등을 위한 수중펌프(30)가 배치될 수 있다.1, a
도 2는 도 1의 컬럼파이프(20)에 수중펌프(30)가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도 2를 참조하면, 수중펌프(30)는 컬럼파이프(20) 내에서 유체를 펌핑하여 이송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수중펌프(30)는 컬럼파이프(20) 하단의 유입구로 유체를 펌핑하여 상측으로 이송하고, 컬럼파이프(20) 측부의 유출구로 펌핑된 유체를 배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상기와 같은 수중펌프(30)는 수중(水中)에 배치되는 특성상 항상 침수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특히, 수중펌프(30) 내부에는 임펠러의 구동을 위한 전기적 모터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일부 내부공간의 침수는 장치에 심각한 파손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수중펌프(30)는 침수방지를 위한 실링구조를 포함하고 있다.The
그러나 수중펌프(30)는 기본적으로 로터축이 회전 구동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완벽한 수밀구조를 구현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즉, 수중펌프(30)의 특성상 전술한 실링구조는 로터축을 중심으로 한 기계적 실링구조로 이뤄질 수 밖에 없으며, 이와 같은 기계적 실링구조는 항상 침수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However, since the
따라서 종래 침수에 대응하기 위한 방법으로, 수중펌프(30) 내 침수여부를 감지하여 알림을 제공하거나 구동을 중단하는 등의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일 예로, 등록특허공보 제10-1457051호는 모터부의 오일챔버에 침수감지수단을 설치하여 침수시 알림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을 제안한 바 있다. 다른 예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4775호에서는 침수(누수)뿐만 아니라 수중펌프의 전체적인 작동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구성을 제안한 바 있다.Therefore, as a method for dealing with flooding in the past, a technology has been proposed in which a flood in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침수에 대한 수동적 대응에 그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즉, 침수여부를 감시나 모니터링할 수는 있으나, 능동적으로 침수에 대한 조치를 취하지는 못한다. 따라서 상기의 특허문헌 등과 같은 감시수단을 갖춘다 하여도 결국엔 수중펌프(30)의 구동 중단이 요구된다. 또한, 침수의 확산을 저지하기 위한 수단이 없으므로, 감시수단에 의한 알림이나 경보에 사용자가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모터 등 중요부품에 대한 손상이 예견되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method as described above has a limitation only in passive countermeasures against flooding. In other words, it can monitor or monitor the flooding, but it can not actively take measures against flooding. Therefore, even if a monitoring means such as the above-described patent document is provided, the driving of the
침수가 발생된 수중펌프(30)의 수리나 정비를 위한 기간도 문제될 수 있다. 수리나 정비를 위해 장기간 해당 수중펌프(30)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는 배수펌프장 등 수중펌프(30)가 설치된 설비의 전반적인 운용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특히, 수중펌프(30)는 수중에 배치되는 설치환경의 특성상 육상의 펌프에 비해 수리나 정비를 위한 기간이 보다 많이 소요되는 점도 고려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수중펌프(30)에 침수 발생시 모터의 손상이 없는 경우에도 일주일 정도의 정비기간이 소요되고 있으며, 모터에까지 손상이 미친 경우에는 권선 교체 등에 따라 4 내지 12주의 장기간 정비가 불가피하다.The period for repairing or repairing the submerg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내부 침수에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수중펌프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n underwater pump capable of actively responding to internal flooding.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단의 유입구로부터 상단의 유출구에 이르는 펌핑 유체의 유로를 형성하는 석션케이싱; 상기 유로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베인을 구비하고 상기 석션케이싱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에 체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상하방향의 로터축; 상기 로터축이 배치되는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 상단에 체결되어 상기 로터축을 회전 지지하는 로워베어링을 지지하며, 상면에 침수저장공간이 구비되는 베어링하우징; 상기 베어링하우징 하부에 체결되어, 상기 로터축의 밀봉을 위한 기계적 축봉장치가 배치되는 수밀(水密) 구조의 실링공간을 형성하는 실링챔버; 상기 베어링하우징 상부에 체결되어 모터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모터프레임; 로터 및 스테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설치공간에 배치되는 모터; 및 상기 베어링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침수저장공간으로 침수된 유체를 외부 배출시키는 침수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침수배출부는, 상기 침수저장공간에 설치되어 측부를 향해 배치된 흡입구를 구비하는 배수펌프; 상기 배수펌프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침수저장공간의 유체를 상기 유출구에 인접한 상기 베어링하우징의 측부로 외부 배출시키는 배수관; 소정높이로 배치된 제1센서와, 상기 제1센서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 배치된 제2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침수저장공간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배수펌프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의 감지신호가 수신되고, 순차적으로 상기 제2센서의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배수펌프를 구동시키도록 형성된 수중펌프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pump comprising: a suction casing forming a flow path of a pumping fluid from an inlet at a lower end to an outlet at an upper end; An impeller having at least one vane disposed in the flow passage and rotatably disposed in the suction casing; A vertical rotor shaft coupled to the impeller to provide a rotational driving force; A lower frame forming a mounting space in which the rotor shaft is disposed; A bearing housing that supports a lower bearing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lower frame and rotatably supports the rotor shaft, and has a flooded storage space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sealing chamber which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earing housing to form a sealing space of a watertight structure in which a mechanical shaft sealing device for sealing the rotor shaft is disposed; A motor fram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earing housing to form a motor installation space; A motor having a rotor and a stator and disposed in the motor installation space; And a submerged discharge unit installed in the bearing housing for discharging the fluid immersed in the submergence storage space to the outside, wherein the submergence discharge unit includes a drainage pump installed in the submergence storage space and having an inlet disposed toward the side, ; A drain pipe connected to an outlet of the drain pump for discharging the fluid in the flood storage space to the side of the bearing housing adjacent to the outlet; A sensor unit having a first sensor dispos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second sensor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bove the first sensor and sensing a water level of the water immersion storage spac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rive and control the drain pump, wherein when the sensing signal of the first sensor is received and the sensing signal of the second sensor is sequentially received,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drive the drain pump An underwater pump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수중펌프는 침수배출부를 통해 모터설치공간 등으로 유입된 유체를 능동적으로 외부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침수로 인한 모터 등 중요부품의 손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침수로 인한 정비나 수리작업이 최소화되어 설비의 효율적 운용이 가능하게 된다.The submerged pump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tively discharge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motor installation space or the like through the submergence discharge unit. Therefore, damage of important parts such as a motor due to flooding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In addition, maintenance and repair work due to flooding is minimized, enabling efficient operation of faciliti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수중펌프는 배수펌프의 흡입구 배치, 펌프커버 등을 통해 장치 내부의 공기가 침수된 유체와 함께 외부 배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펌프의 구동에도 불구하고, 내부압력 강하로 인한 침수성능의 저하 또한 적절히 방지될 수 있다.Further, the submerged pump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air inside the apparatus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ogether with the infiltrated fluid through the suction port arrangement of the drain pump, the pump cover, and the like. Therefore, in spite of the drive of the drain pump, deterioration of flooding performance due to internal pressure drop can also be suitably prevented.
도 1은 배수펌프장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컬럼파이프에 수중펌프가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펌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중펌프의 작동 및 정상적인 상태에서 침수구역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수중펌프에 있어 실링공간 및 모터설치공간의 침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침수배출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침수배출부에 펌프커버가 추가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펌프커버 내에 배수펌프가 배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펌프커버의 작동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of a drainage pumping sta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ubmersible pump disposed in the column pipe of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underwater pu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ubmersible pump shown in Fig. 3 and the submergence zone in a normal state; Fig.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immersion of the sealing space and the motor installation space in the submerged pump shown in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bmerged discharge unit shown in FIG. 1.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ump cover is added to the submergence discharge unit shown in FIG.
8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rain pump is disposed in the pump cover shown in Fig.
9 is an operational view of the pump cover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more fully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펌프(A)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underwater pump 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수중펌프(A)는 석션케이싱(110)을 구비할 수 있다. 석션케이싱(110)은 펌핑 유체의 유로(111)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석션케이싱(110)은 수중펌프(A) 하단의 유입구(112)와, 유입구(112)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유출구(113)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석션케이싱(110)은 유입구(112)로부터 유출구(113)로 이어지는 유체의 유로(111)를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submersible pump A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필요에 따라, 석션케이싱(110)의 하단 외면에는 회전방지리브(114)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방지리브(114)는 복수개가 석션케이싱(110) 외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컬럼파이프 내면에는 회전방지리브(114)에 대응되는 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방지리브(114)는 상기의 리브에 접촉 지지되어 수중펌프(A)의 상하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If necessary, a
본 실시예의 수중펌프(A)는 임펠러(120)를 구비할 수 있다. 임펠러(120)는 유로(111)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베인(121)을 구비하고, 석션케이싱(1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임펠러(120)는 상하방향의 로터축(130)에 연결되어 석션케이싱(110) 내에서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유체는 임펠러(120)의 회전에 의해 유로(111) 내에서 상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The submerged pump A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the
본 실시예의 수중펌프(A)는 로터축(130)을 구비할 수 있다. 로터축(130)은 수중펌프(A)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로터축(130) 하단은 전술한 임펠러(120)와 축 결합될 수 있다.The submersible pump A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a
로터축(130)은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수중펌프(A) 내부에 지지될 수 있다. 로터축(130) 상단은 어퍼베어링(131)에 의해 어퍼프레임(190)에 회전 지지될 수 있으며, 로터축(130) 중단은 로워베어링(132)에 의해 베어링하우징(160)에 회전 지지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의 수중펌프(A)는 로워프레임(140)을 구비할 수 있다. 로워프레임(140)은 석션케이싱(110)의 내측 상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로워프레임(140) 하단은 임펠러(120) 상단 외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단, 임펠러(120)는 회전 구동되는 구성으로, 로워프레임(140)과 임펠러(120) 간에는 간극이 존재할 수 있다. 로워프레임(140) 상단은 후술할 베어링하우징(160)에 결합될 수 있다.The submersible pump A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a
로워프레임(140)은 내부에 장착공간(141)을 형성할 수 있다. 로터축(130)은 장착공간(14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장착공간(141) 내에서 로터축(130)과 임펠러(120)가 축 결합될 수 있다. 단, 장착공간(141)은 반드시 수밀(水密) 구조로 이뤄지지 않아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의 수중펌프(A)에 있어 장착공간(141)은 침수가 예정된 범위이다(도 4 참조).The
본 실시예의 수중펌프(A)는 실링챔버(150)를 구비할 수 있다. 실링챔버(150)는 장착공간(141)의 내측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베어링하우징(160)에 장착 지지될 수 있다. 실링챔버(150) 중앙으로는 로터축(130)이 관통될 수 있다.The submerged pump A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a sealing
실링챔버(150)는 베어링하우징(160)과 함께 실링공간(151)을 형성할 수 있다. 실링공간(151)은 수밀 구조로 이뤄질 수 있다. 즉, 통상적인 운전환경에서 실링공간(151)은 유체가 침수되지 않도록 설계 의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링공간(151)에 배치된 로터축(130)에는 실링수단으로 기계적 축봉장치(133)가 구비될 수 있다.The sealing
본 실시예의 수중펌프(A)는 베어링하우징(160)을 구비할 수 있다. 베어링하우징(160)은 로워프레임(140) 상단에 장착 배치될 수 있다. 베어링하우징(160) 중앙으로는 로터축(130)이 관통될 수 있으며, 전술한 로워베어링(132)은 베어링하우징(160)과 로터축(130) 간에 설치되어 로터축(130)을 회전 지지할 수 있다.The submerged pump A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bearing
로터축(130)이 배치된 수중펌프(A)의 내부는 베어링하우징(160)에 의해 침수구역과 수밀구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베어링하우징(160) 상측은 전기적 모터(180)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베어링하우징(160)은 침수에 대해 경계점으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베어링하우징(160) 하측에는 실링챔버(150)에 의해 실링공간(151)이 구비되고 있다.The interior of the submersible pump A in which the
본 실시예의 수중펌프(A)는 모터프레임(170)을 구비할 수 있다. 모터프레임(170)은 베어링하우징(160) 상부에 장착 배치될 수 있으며, 모터(180)의 배치를 위한 모터설치공간(171)을 형성할 수 있다.The submersible pump A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a
본 실시예의 수중펌프(A)는 모터(180)를 구비할 수 있다. 모터(180)는 전기적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모터프레임(170) 내 모터설치공간(171)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180)는 로터축(130)과 함께 회전되는 로터(181)와, 모터프레임(170) 내부에 장착 고정되어 로터(181)와 전기적 상호작용하는 스테이터(18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ubmersible pump A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본 실시예의 수중펌프(A)는 어퍼프레임(190)을 구비할 수 있다. 어퍼프레임(190)은 모터프레임(170) 상부에 장착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어퍼베어링(131)은 어퍼프레임(190)과 로터축(130) 사이에 설치되어 로터축(130)을 회전 지지할 수 있다. 어퍼프레임(190) 내부에는 기판설치공간(191)이 형성될 수 있다. 기판설치공간(191)에는 모터(180)를 구동 제어하기 위한 기판, 케이블 배선 등이 설치될 수 있으며, 수밀구조로 이뤄질 수 있다.The submerged pump A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the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중펌프(A)의 작동 및 정상적인 상태에서 침수구역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ubmersible pump A shown in Fig. 3 and the submergence zone in a normal state.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수중펌프(A)는 모터(180)에 의해 로터축(130)이 회전 구동되고, 임펠러(120)가 회전하면, 석션케이싱(110) 내부의 유로(111)를 통해 유체가 상방향으로 유동(펌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유체의 이동경로는 도면상 화살표로 표시되고 있다.4, when the
상기와 같은 구동 상태에서 로워프레임(140)과 임펠러(120) 간에는 간극이 존재하므로, 유체는 간극을 통해 로워프레임(140) 내 장착공간(14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정상적인 작동상태에서 로워프레임(140) 내 장착공간(141)은 침수가 예정되어 있다. 도 4에서는 이와 같은 침수구역(W)을 무늬로 구분하여 표시하고 있다.Since there is a gap between the
단, 실링챔버(150) 내부의 실링공간(151)을 전술한 기계적 축봉장치(133)에 의해 수밀구역으로 존재하게 된다. 즉, 유체는 장착공간(141)까지만 침수가 예정되며, 실링공간(151)의 침수는 설계상 의도되지 않는다.However, the sealing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수중펌프(A)에 있어 실링공간(151) 및 모터설치공간(171)의 침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immersion of the sealing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수중펌프(A)는 로워프레임(140) 내 장착공간(141)까지가 침수구역으로 의도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 실링공간(151) 또는 모터설치공간(171)까지 유체가 침수될 수 있다. 많은 경우, 이와 같은 침수는 로터축(130)을 밀봉하는 기계적 축봉장치(133)가 파손됨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기계적 축봉장치(133)는 본질적으로 미량의 침수를 허용하고 있기 때문에, 장기간의 사용에 따라 실링공간(151)에는 누적된 침수가 발생될 수도 있다.5, the submersible pump 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designed to be a water immersion area up to the mounting
축봉장치(133)가 파손되는 경우, 로터축(130)이 배치된 장착공간(141)으로 침수가 발생될 수 있으며, 침수된 유체는 로워베어링(132)을 통해 베어링하우징(160) 상부, 즉, 모터설치공간(171)까지 유입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이와 같은 유체의 침수경로를 화살표를 통해 표시하고 있다.If the
상기와 같은 베어링하우징(160) 상부 또는 모터설치공간(171)의 침수는 모터(180)에 치명적인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수중펌프(A)는 이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Such flooding of the bearing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베어링하우징(160)은 상면에 침수저장공간(161)을 구비할 수 있다. 침수저장공간(161)은 베어링하우징(160) 상면이 소정정도 움푹 패인 형태로, 중앙의 로터축(130)을 중심으로 원형 고리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도 6 참조). 이와 같은 침수저장공간(161)은 베어링하우징(160) 상면으로 침수된 유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1, the bearing
또한, 본 실시예의 수중펌프(A)는 침수저장공간(161)에 설치되는 침수배출부(200)를 구비할 수 있다. 침수배출부(200)는 침수저장공간(161)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부(240)와 배수펌프(210)를 구비하고, 침수저장공간(161) 내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즉, 침수배출부(200)는 베어링하우징(160) 상부로의 침수여부를 감지하여 이를 능동적으로 외부 배출시킴으로써, 모터(180) 등 중요부품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ubmersible pump A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ubmerged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침수배출부(2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bmerged
도 6을 참조하면, 침수배출부(200)는 배수펌프(21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펌프(210)는 베어링하우징(160) 상면에 설치되어 침수저장공간(161)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바람직하게, 침수저장공간(161)을 형성하는 베어링하우징(160)의 상면은 배수펌프(210)를 향해 소정정도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침수된 유체가 경사로 인해 자연스럽게 배수펌프(210) 쪽으로 포집되어, 배수펌프(210)를 통한 배출이 보다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bearing
배수펌프(210)는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211)를 구비할 수 있다. 침수저장공간(161) 내 유체는 흡입구(211)를 통해 배수펌프(210)로 흡입될 수 있다.The
바람직하게, 흡입구(211)는 배수펌프(210)의 측부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침수저장공간(161)의 유체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공기가 흡입구(211)로 함께 흡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Preferably, the
부연하면, 흡입구(211)가 배수펌프(210) 상측을 향해 배치된 경우, 흡입구(211)를 통해 수중펌프(A) 내부의 공기가 유체와 함께 흡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수중펌프(A) 내부압력이 낮아져 침수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도 9 참조).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흡입구(211)를 배수펌프(210) 측부를 향하게 배치하여 상기의 문제점을 소정정도 방지한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보다 바람직하게, 흡입구(211)는 후술할 제1센서(241)의 높이(제1높이) 이하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흡입구(211)가 수면 하방으로 충분히 이격된 위치에서 유체를 흡입하도록 하여, 전술한 공기의 흡입을 방지하기 위함이다.More preferably, the
배수펌프(210)는 배출구(212)를 구비할 수 있다. 배출구(212)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배수펌프(210) 상측에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전술한 흡입구(211)와 달리 배출구(212)는 내부 공기를 흡입하는 등의 우려가 없기 때문이다.The
침수배출부(200)는 배수관(220)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관(220)은 일단이 배수펌프(210)의 배출구(212)에 연결될 수 있으며, 타단이 베어링하우징(160) 외측, 즉, 모터설치공간(171) 외부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배수펌프(210)를 통해 흡입된 유체는 배수관(220)을 통해 모터설치공간(17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바람직하게, 배수관(220)은 석션케이싱(110)의 유출구(113)와 인접한 베어링하우징(160)의 측부로 유체를 배출 안내할 수 있다(도 3 참조). 즉, 배수관(220)의 타단은 베어링하우징(160) 측부의 배출홀 등으로 연결되어 유출구(113)와 인접한 위치에서 배수펌프(210)를 통해 흡입된 유체를 배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상기와 같은 경우, 석션케이싱(110)의 유로(111)를 따라 유동되는 유체의 흐름이 배수관(220)에 소정의 흡입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흡입압력은 배수펌프(210)의 구동력을 보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침수저장공간(161)의 공간적 제약을 고려하여 보다 소형의 배수펌프(210)를 사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low of the fluid flowing along the
침수배출부(200)는 배수관(220)에 설치되는 역류방지밸브(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역류방지밸브(230)는 배수관(220)을 통해 유체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역류방지밸브(230)는 솔레노이드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The
침수배출부(200)는 센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40)는 침수저장공간(161) 내 유체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센서부(240)는 침수저장공간(161) 내에 제1높이로 설치되는 제1센서(241)와, 제1센서(241)의 상측에 제2높이로 배치되는 제2센서(24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2센서(241, 242)는 각각 제1, 2높이에 대응되는 수위에 대해 감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침수저장공간(161)에 수위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경우, 먼저 제1센서(241)에서 감지신호가 발생되고, 순차적으로 제2센서(242)에서 감지신호가 발생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필요에 따라, 센서부(240)는 제1, 2센서(241, 242)를 지지하는 센서브라켓(2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브라켓(243)은 하단이 베어링하우징(160) 상면에 체결되어 상측으로 소정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센서(241)가 장착 지지되는 제1지지편(243a)과, 제2센서(242)가 장착 지지되도록 제1지지편(243a) 상측에 마련된 제2지지편(243b)을 구비할 수 있다.If necessary, the
도시되지 않았으나, 침수배출부(200)는 배수펌프(210) 및 역류방지밸브(230)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센서부(240)의 감지신호에 따라 배수펌프(210) 및 역류방지밸브(230)를 구동 제어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바람직하게, 제어부는 제1센서(241)의 감지신호가 수신되고, 순차적으로 제2센서(242)의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배수펌프(210)를 구동시키고, 역류방지밸브(230)를 개방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제1센서(241)에서만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1센서(241)에서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센서(242)의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배수펌프(210) 등을 구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sensing signal of the
상기와 같은 구동 제어는 제1, 2센서(241, 242)의 감지오류로 인한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제1센서(241) 또는 제2센서(242)가 오작동하여 독립적으로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 제어부는 이를 감지오류로 판정하고 배수펌프(210) 등을 구동시키지 않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수중펌프(A)는 수중환경에 배치되는 특성상 장치 내부의 습도나 수분 등으로 인해 센서의 감지오류가 상대적으로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음을 고려한 것이다.Such a drive control can minimize malfunction due to detection errors of the first and
또한, 상기와 같은 구동 제어는 제1센서(241)에 대응되는 수위에 대해 배수펌프(210) 등이 작동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즉, 배수펌프(210)는 침수저장공간(161) 내 수위가 제2센서(242)에 대응되는 제2높이까지 상승되어야 구동될 수 있다. 이는 침수저장공간(161)의 수위가 낮은 경우, 모터(180)나 모터설치공간(171)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한 점을 반영한 것이다.In addition, the above drive control means that the
또한, 제2높이에서의 배수펌프(210) 구동은 배수펌프(210)의 흡입구(211)과 수면과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는 효과도 가진다. 즉, 수위가 제2높이 이상으로 상승된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배수펌프(210)를 구동시킴으로써, 제1높이 이하로 배치된 흡입구(211)는 최소한 제1높이와 제2높이의 간격만큼 수면과 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흡입구(211)를 통한 수중펌프(A) 내부 공기의 흡입이 최소화될 수 있다.The driving of the
필요에 따라, 제어부는 제1센서(241)의 감지신호와 제2센서(242)의 감지신호 간 시간간격을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산출된 시간간격이 기 설정된 허용치보다 작으면, 외부의 사용자에게 알림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침수저장공간(161)의 수위가 허용수준보다 빠르게 상승되는 경우, 침수배출부(200)를 통한 배수가 충분치 않을 수 있으므로,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 추가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f necessary, the control unit may calculate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sensing signal of the
한편, 제어부는 배수펌프(210)를 통해 유체가 외부 배출됨에 따라 침수저장공간(161)의 수위가 적절히 낮아지면, 역류방지밸브(230)를 폐쇄하고, 배수펌프(210)를 구동 정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어부는 제2센서(242)에서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기 설정된 소정시간 이후 배수펌프(210) 등을 구동 정지시킬 수 있다.When the level of the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의 수중펌프(A)는 기계적 축봉장치(133)의 파손 등으로 인해 베어링하우징(160) 상부로 유체가 침수되면, 침수배출부(200)를 통해 능동적으로 유체를 외부 배출시킴으로써, 침수로 인해 모터(180) 등 중요 부품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submerged pump A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can actively discharge the fluid through the
구체적으로, 베어링하우징(160) 상부로 유체가 침수되면, 침수된 유체는 베어링하우징(160) 상면의 침수저장공간(161)에 일시적으로 저장되게 된다. 침수저장공간(161)의 수위가 점차 상승되면, 제1, 2센서(241, 242)에서 순차적으로 감지신호가 발생되며, 제2높이 이상의 수위가 상승된 경우, 제어부에 의해 배수펌프(210) 및 역류방지밸브(230)가 구동되어 침수저장공간(161) 내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침수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내부의 유체는 일정높이 이상 차오르지 않게 되며, 모터(180) 등 전기적 장치가 침수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fluid is submerged on the bearing
특히, 본 실시예의 수중펌프(A)는 장치 내부에 능동적 배수 기능을 갖춘 침수배출부(200)가 구비됨으로써, 수중펌프(A)의 정비나 수리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수중펌프(A)의 경우, 설치환경의 특성상 정비나 수리작업을 위해 육상으로의 인양이 요구되며, 이로 인해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설비의 운영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이는 결코 무시할 수 없는 기술적 이점이다.Particularly, the submersible pump 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submerged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침수배출부(200)에 펌프커버(250)가 추가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펌프커버(250) 내에 배수펌프(210)가 배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도 7 및 8을 참조하면, 필요에 따라 침수배출부(200)는 펌프커버(25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펌프커버(250)는 배수펌프(210)를 내부에 수용하는 판형부재로 이뤄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펌프커버(250)는 적어도 배수펌프(210)의 상측 및 양측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and 8, if necessary, the
펌프커버(250)는 배수펌프(210)의 흡입구(211)를 향해 개구된 유통구(251)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체는 유통구(251)를 통해 펌프커버(250) 내부로 유입되어 흡입구(211)로 흡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유통구(251)는 흡입구(211)와 유체의 흡입방향으로 소정간격(G)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도 9에서 후술할 바와 같이, 유통구(251)와 흡입구(211) 간의 거리를 유지하여 수중펌프(A) 내부의 공기가 흡입구(21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또한, 도 8에서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펌프커버(250) 내부에는 측면상 제1높이(H1)를 가지는 유입공간(252)과, 제2높이(H2)를 가지는 펌프배치공간(253)이 구비될 수 있다.8, an
유입공간(252)은 유통구(251)로부터 펌프커버(250) 내측으로 연장된 소정범위의 공간을 지칭하며, 측면상 제1높이(H1)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유통구(251) 또한 유입공간(252)과 같은 제1높이(H1)로 형성될 수 있다. 펌프배치공간(253)은 유입공간(252) 후단에 형성된 공간으로 측면상 제1높이(H1)보다 소정정도 큰 제2높이(H2)로 형성될 수 있다. 펌프배치공간(253)에는 배수펌프(210)가 배치될 수 있다.The
상기와 같이 각각 상이한 높이로 형성된 유입공간(252) 및 펌프배치공간(253)은 펌프커버(250) 내부에 일종의 단차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단차는 유체의 흡입시 수면에서부터 발생되는 소용돌이가 유통구(251)를 통해 흡입구(211)에 다다르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결국 흡입구(211)를 통한 내부 공기의 유입이 보다 안전하게 방지될 수 있다. 이는 아래에서 도 9를 참조하여 부연한다.The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펌프커버(250)의 작동도이다. 도 9의 (a)는 펌프커버(250)가 없는 경우, (b)는 펌프커버(250)가 구비된 경우의 배수펌프(210)에 의한 유체의 흡입을 각각 도시하고 있음을 알려둔다.FIG. 9 is an operational view of the
도 9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펌프커버(250)는 유체의 흡입시 수중펌프(A) 내부의 공기가 흡입구(211)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내부 공기가 흡입구(211)로 유입되어 유체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수중펌프(A)의 내부 압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외부의 유체가 수중펌프(A) 내부로 보다 쉽게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Referring to FIG. 9, the
구체적으로, 도 9의 (a)와 같이 펌프커버(250)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흡입구(211)로 유체가 흡입됨에 따라, 수면으로부터 일종의 소용돌이(V)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용돌이(V)가 흡입구(211)까지 다다르는 경우, 배수펌프(210)는 유체와 함께 수중펌프(A) 내부의 공기까지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특히, 도 9의 (a)와 같이 별도의 펌프커버(250)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소용돌이(V)는 수면으로부터 쉽게 흡입구(211)에 다다를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반면, 도 9의 (b)와 같이 펌프커버(250)가 구비된 경우, 수면과 흡입구(211) 간에 충분한 거리가 유지됨에 따라 소용돌이(V)는 쉽게 흡입구(211)에 다다르지 못하게 된다. 또한, 소용돌이(V)가 일부 펌프커버(250) 내측으로 유입되더라도 펌프커버(250) 내부의 단차에 의해 흡입구(211)에 다다르기 전 소멸될 수 있으며, 결국 흡입구(211)로의 내부 공기 유입이 최소화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한편, 펌프커버(25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내부 공기의 유입 차단 기능 외에 모터(180)의 자기장을 차폐하는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즉, 본 실시예의 수중펌프(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80)와 배수펌프(210)가 하나의 공간에 함께 배치되게 된다. 또한, 통상적으로 모터(180)는 수중펌프(A)의 구동을 위해 대용량으로 설계되는바, 모터(18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배수펌프(210) 내부의 구동모터에 영향을 미쳐 배수펌프(210)의 오작동을 야기할 수 있다. 펌프커버(250)는 배수펌프(210)를 모터(180)로부터 차폐하여 이와 같은 오작동을 방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펌프커버(250)는 자기장 차폐를 위해 용융아연도금강판 또는 전기아연도금강판을 재질로 포함할 수 있다.That is, in the underwater pump A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the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many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수중펌프 110: 석션케이싱
120: 임펠러 130: 로터축
140: 로워프레임 150: 실링챔버
160: 베어링하우징 170: 모터프레임
180: 모터 190: 어퍼프레임
200: 침수배출부 210: 배수펌프
220: 배수관 230: 역류방지밸브
240: 센서부 250: 펌프커버A: Submersible pump 110: Suction casing
120: impeller 130: rotor shaft
140: lower frame 150: sealing chamber
160: Bearing housing 170: Motor frame
180: motor 190: upper frame
200: flood discharge unit 210: drain pump
220: Water pipe 230: Non-return valve
240: Sensor part 250: Pump cover
Claims (5)
상기 유로(111)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베인(121)을 구비하고 상기 석션케이싱(110)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임펠러(120);
상기 임펠러(120)에 체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상하방향의 로터축(130);
상기 로터축(130)이 배치되는 장착공간(141)을 형성하는 로워프레임(140);
상기 로워프레임(140) 상단에 체결되어 상기 로터축(130)을 회전 지지하는 로워베어링(132)을 지지하며, 상면에 침수저장공간(161)이 구비되는 베어링하우징(160);
상기 베어링하우징(160) 하부에 체결되어, 상기 로터축(130)의 밀봉을 위한 기계적 축봉장치(133)가 배치되는 수밀(水密) 구조의 실링공간(151)을 형성하는 실링챔버(150);
상기 베어링하우징(160) 상부에 체결되어 모터설치공간(171)을 형성하는 모터프레임(170);
로터(181) 및 스테이터(182)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설치공간(171)에 배치되는 모터(180); 및
상기 베어링하우징(160)에 설치되어 상기 침수저장공간(161)으로 침수된 유체를 외부 배출시키는 침수배출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침수배출부(200)는,
상기 침수저장공간(161)에 설치되어 측부를 향해 배치된 흡입구(211)를 구비하는 배수펌프(210);
상기 배수펌프(210)의 배출구(212)에 연결되어 상기 침수저장공간(161)의 유체를 상기 유출구(113)에 인접한 상기 베어링하우징(160)의 측부로 외부 배출시키는 배수관(220);
소정높이로 배치된 제1센서(241)와, 상기 제1센서(241)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 배치된 제2센서(242)를 구비하고, 상기 침수저장공간(161)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부(240); 및
상기 배수펌프(210)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241)의 감지신호가 수신되고, 순차적으로 상기 제2센서(242)의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배수펌프(210)를 구동시키도록 형성된 수중펌프.A suction casing (110) forming a flow path (111) of a pumping fluid from a lower inlet port (112) to an upper outlet port (113);
An impeller 120 having one or more vanes 121 disposed in the flow path 111 and rotatably disposed in the suction casing 110;
A vertical rotor shaft 130 coupled to the impeller 120 to provide rotational driving force;
A lower frame 140 forming a mounting space 141 in which the rotor shaft 130 is disposed;
A bearing housing 160 which supports a lower bearing 132 fastened to an upper end of the lower frame 140 to rotate and support the rotor shaft 130 and has a flood storage space 161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sealing chamber 150 formed under the bearing housing 160 to form a sealing space 151 having a watertight structure in which a mechanical shaft sealing device 133 for sealing the rotor shaft 130 is disposed;
A motor frame 170 coupled to the bearing housing 160 to form a motor mounting space 171;
A motor 180 having the rotor 181 and the stator 182 and disposed in the motor installation space 171; And
And a flood discharge unit (200) installed in the bearing housing (160) to discharge the fluid immersed in the flood storage space (161) to the outside,
The submerged water discharging part (200)
A drain pump (210) installed in the water immersion storage space (161) and having a suction port (211) arranged toward the side;
A drain pipe 220 connected to the drain port 212 of the drain pump 210 for discharging the fluid in the flood storage space 161 to the side of the bearing housing 160 adjacent to the outlet 113;
A first sensor 241 dispos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second sensor 242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sensor 241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ensor 241, A sensor unit 240; And
And a control unit for drivingly controlling the drain pump 210,
Wherein,
And the drain pump (210) is driven when a sensing signal of the first sensor (241) is received and a sensing signal of the second sensor (242) is received sequentially.
상기 침수배출부(200)는,
상기 배수관(220)에 설치되는 역류방지밸브(2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241)의 감지신호와 상기 제2센서(242)의 감지신호 간 시간간격을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간격이 기 설정된 허용치 이하이면, 사용자에게 알림신호를 제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펌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bmerged water discharging part (200)
And a check valve (230) installed in the drain pipe (220)
Wherein,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sensing signal of the first sensor 241 and the sensing signal of the second sensor 242 is calculated and the notification signal is provided to the user when the calculated time interval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tolerance value Underwater pump.
상기 침수배출부(200)는,
상기 배수펌프(210)를 내부에 수용하는 펌프커버(250);를 더 포함하되,
상기 펌프커버(250)는,
상기 흡입구(211)를 향해 개구되어 상기 흡입구(211)와 유체의 흡입방향으로 소정간격(G) 이격 배치된 유통구(25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펌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bmerged water discharging part (200)
And a pump cover (250) for receiving the drain pump (210) therein,
The pump cover (250)
And a flow port (251) opened toward the suction port (211) and spaced apart from the suction port (211) by a predetermined gap (G) in the suction direction of the fluid.
상기 펌프커버(250)는,
상기 유통구(251)로부터 연장된 유입공간(252)과, 상기 배수펌프(210)가 배치되는 펌프배치공간(253)이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펌프배치공간(253)은,
상기 유입공간(252)의 제1높이(H1)보다 소정정도 큰 제2높이(H2)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펌프.The method of claim 3,
The pump cover (250)
An inflow space 252 extending from the flow port 251 and a pump arrangement space 253 in which the drain pump 210 is disposed are provided,
In the pump arrangement space 253,
Is formed with a second height (H2) that is a predetermined height larger than the first height (H1) of the inflow space (252).
상기 펌프커버(250)는,
적어도 상기 배수펌프(210)의 상측을 차폐하도록 형성되고,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전기아연도금강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재질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펌프.The method of claim 3,
The pump cover (250)
At least the upper side of the drain pump (210)
A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an electro-galvanized steel sheet, a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and an electro-galvanized steel shee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9963A KR101732980B1 (en) | 2017-02-14 | 2017-02-14 | Submersible pump with water immersion discharge fun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9963A KR101732980B1 (en) | 2017-02-14 | 2017-02-14 | Submersible pump with water immersion discharge fun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32980B1 true KR101732980B1 (en) | 2017-05-08 |
Family
ID=60163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19963A KR101732980B1 (en) | 2017-02-14 | 2017-02-14 | Submersible pump with water immersion discharge fun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32980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8830B1 (en) * | 2019-05-27 | 2020-02-19 | 주식회사 한진펌프 | A under-water pump with modular leak chamber |
KR102239697B1 (en) * | 2020-11-18 | 2021-04-13 | 에스엠코리아 주식회사 | Submersible pump |
CN112879313A (en) * | 2021-01-22 | 2021-06-01 | 东北石油大学 | Submersible centrifugal pump with integrated pump |
KR102544619B1 (en) | 2022-12-16 | 2023-06-16 | 김재구 | Power consumption reduction type submerged motor pump |
KR102573673B1 (en) | 2023-01-19 | 2023-09-01 | 김재구 | Submerged motor pump with heat dissipation structure |
KR102695239B1 (en) * | 2024-01-16 | 2024-08-14 | 주식회사 엔씨테크 | Submersible pump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7051B1 (en) | 2014-05-16 | 2014-11-04 | (주)오비스 | Apparatus for preventing water penetration |
JP2016094862A (en) | 2014-11-13 | 2016-05-26 | 株式会社鶴見製作所 | Submerged electric pump having oil return mechanism |
-
2017
- 2017-02-14 KR KR1020170019963A patent/KR10173298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7051B1 (en) | 2014-05-16 | 2014-11-04 | (주)오비스 | Apparatus for preventing water penetration |
JP2016094862A (en) | 2014-11-13 | 2016-05-26 | 株式会社鶴見製作所 | Submerged electric pump having oil return mechanism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8830B1 (en) * | 2019-05-27 | 2020-02-19 | 주식회사 한진펌프 | A under-water pump with modular leak chamber |
KR102239697B1 (en) * | 2020-11-18 | 2021-04-13 | 에스엠코리아 주식회사 | Submersible pump |
CN112879313A (en) * | 2021-01-22 | 2021-06-01 | 东北石油大学 | Submersible centrifugal pump with integrated pump |
CN112879313B (en) * | 2021-01-22 | 2022-07-01 | 东北石油大学 | Submersible centrifugal pump with integrated pump |
KR102544619B1 (en) | 2022-12-16 | 2023-06-16 | 김재구 | Power consumption reduction type submerged motor pump |
KR102573673B1 (en) | 2023-01-19 | 2023-09-01 | 김재구 | Submerged motor pump with heat dissipation structure |
KR102695239B1 (en) * | 2024-01-16 | 2024-08-14 | 주식회사 엔씨테크 | Submersible pump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32980B1 (en) | Submersible pump with water immersion discharge function | |
KR101236425B1 (en) | A submerged motor pump | |
KR100968384B1 (en) | Underwater motor pump | |
JP6325969B2 (en) | Submersible electric pump with oil return mechanism | |
KR100937338B1 (en) | Water lifting machinery | |
JP4637614B2 (en) | Submersible pump oil monitoring device | |
JP5047586B2 (en) | Vertical shaft support structure | |
JP4283549B2 (en) | Inundation detection mechanism of vertical submersible electric pump | |
JP2012219718A (en) | Bracket and submersible pump | |
JP6469384B2 (en) | Advance standby pump | |
JP6591601B2 (en) | Submersible electric pump with oil return mechanism | |
KR20190131881A (en) | Underwater motor pump to automatically discharge foreign matter | |
JP2008232121A (en) | Centrifugal pump | |
KR102239697B1 (en) | Submersible pump | |
JP3781546B2 (en) | Full water detector and pump equipped with the full water detector | |
JP6754604B2 (en) | Water supply device | |
JP6683553B2 (en) | Pump equipment | |
KR20240037452A (en) | Submersible pump | |
JP5007434B2 (en) | Pump equipment | |
KR20020094757A (en) | Submersible sewage pumps | |
JP6703844B2 (en) | Horizontal shaft pump | |
KR102561221B1 (en) | Submersible pump with impeller jam detection sensor | |
KR101336261B1 (en) | Reverse rotation prevention device submerged motor pump | |
JP4996966B2 (en) | Drainage pump equipment | |
JP7247010B2 (en) | Preceding standby type pum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