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2760B1 - 폴리락트산 입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락트산 입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2760B1
KR101732760B1 KR1020130120451A KR20130120451A KR101732760B1 KR 101732760 B1 KR101732760 B1 KR 101732760B1 KR 1020130120451 A KR1020130120451 A KR 1020130120451A KR 20130120451 A KR20130120451 A KR 20130120451A KR 101732760 B1 KR101732760 B1 KR 101732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lactic acid
particles
acetone
less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0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1907A (ko
Inventor
최재훈
김현주
신종민
변영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30120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760B1/ko
Publication of KR20150041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1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폴리락트산 입자의 제조방법과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폴리락트산 입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락트산 입자의 제조방법 {PREPARING METHOD FOR FINE PARTICLES OF POLYLACTIC ACID}
본 명세서는 폴리락트산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폴리락트산 입자에 관한 것이다.
석유화학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소재의 플라스틱이 개발되어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그 용도도 확대되고 있으나, 석유화학계 플라스틱의 폐기물은 자연 상태에서 분해 속도가 느려 환경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분해 속도가 느린 석유화학계 플라스틱을 대체할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석유화학계 플라스틱에 비하여 내열성이 떨어지는 특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폴리락트산은 생분해성 플라스틱이며, 광활성탄소인 L-락트산과 D-락트산이 공중합체를 형성하여 210 ℃ 이상의 높은 녹는점을 갖는다.
따라서, 생분해성 플라스틱이면서도 석유화학계 플라스틱의 장점을 갖는 폴리락트산을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기 위하여 마이크론 또는 나노 단위의 균일한 미세입자의 석출이 요구되고 있다.
Langmuir, 2012, 28 (36), pp. 12948-2954 Theories and Applications of Chem. Eng., 2003, Vol.9, No.2, pp.2018-2021
본 명세서는 폴리락트산 입자의 제조방법과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폴리락트산 입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는 폴리락트산을 아세톤에 용해시키는 단계; 및 상기 폴리락트산이 용해된 아세톤에 비용매를 첨가하여 폴리락트산 입자를 석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락트산 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폴리락트산 입자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폴리락트산 입자의 제조방법은 용매로 아세톤을 사용하여 인체에 보다 덜 유해한 장점이 있다.
다른 케톤계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와는 달리, 용매로 아세톤을 사용하고, 비용매의 함량을 조절하여 더 미세한 입자를 얻을 수 있다.
아세톤에 용해된 폴리락트산이 비용매와 직접 접촉하여 균일한 미세입자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라서 제조된 폴리락트산 입자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시예 2에 따라서 제조된 폴리락트산 입자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시예 3에 따라서 제조된 폴리락트산 입자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는 폴리락트산을 아세톤에 용해시키는 단계; 및 상기 폴리락트산이 용해된 아세톤에 비용매를 첨가하여 폴리락트산 입자를 석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락트산 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비용매는 물; 및 메탄올, 에탄올 등과 같은 알코올류이다.
아세톤의 비용매로 물을 사용하는 경우, 아세톤은 물과 완전히 섞여 액적이 만들어지지 않아 폴리락트산의 펠렛이 비용매인 물과 직접 접촉하므로, 간단한 공정으로 나노 또는 마이크론 크기의 미세입자를 균일한 크기로 석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폴리락트산은 nature works 사에서 제조된 상품명 4060D, 4032D 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락트산은 펠렛 형태로 아세톤에 용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락트산은 비결정질 (fully amorphorous) 폴리락트산을 포함한다.
상기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비결정질 폴리락트산은 L-락트산 : D-락트산의 공중합 비율이 0 : 100 초과이고 88 : 12 이하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비결정질 폴리락트산 중 D-락트산의 공중합 비율은 12 이상 100 미만이며, L-락트산의 공중합 비율은 0 초과 88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비결정질 폴리락트산은 L-락트산 : D-락트산의 공중합 비율이 88 : 12 이하이면 아세톤에 녹아 미세입자로 석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비결정질 폴리락트산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130,000 이상이고 180,000 이하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아세톤과 상기 비용매의 부피비는 92 : 8 이상이고 55 : 45 이하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아세톤과 상기 비용매의 총 부피를 기준으로, 아세톤의 부피의 백분율은 55 vol.% 이상 92 vol.% 이하이며, 비용매의 부피의 백분율은 8 vol.% 이상 45 vol.%이하일 수 있다.
상기 아세톤에 대한 상기 비용매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크기가 작은 폴리락트산 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아세톤과 비용매의 총 부피를 기준으로 비용매의 함량이 8 vol.% 이상일 경우에는 폴리락트산 입자를 석출시킬 수 있으며, 아세톤에 대한 폴리락트산의 용해도를 충분히 낮춰 줄 수 있다. 또한, 비용매의 함량이 45 vol.% 이하일 경우에는 폴리락트산의 입자의 크기를 효율적으로 작게 석출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락트산, 상기 아세톤 및 상기 비용매의 중량의 합에 대하여, 상기 폴리락트산의 중량의 백분율은 0.5 wt.% 이상이고 5 wt.% 이하이다. 이 경우 균일한 크기의 입자를 제조할 수 있고 폴리락트산의 거대한 입자 또는 덩어리가 형성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석출하는 단계의 온도는 0 ℃ 이상이고 50 ℃ 이하이다. 이 경우에는 아세톤의 증류가 일어나지 않고 폴리락트산을 석출하는 동안 아세톤에 대한 상기 비용매의 비율이 일정한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는 전술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폴리락트산 입자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락트산 입자의 직경은 1 nm 이상이고 10 μm 미만이며, 구체적으로 1 nm 이상이고 5 μm 이하일 수 있다. 이 경우 폴리락트산 입자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폴리락트산 입자의 가공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종래의 폴리락트산의 석출방법은 마이크론 또는 나노 단위의 균일한 미세 입자를 석출하기 위하여, 메틸 클로라이드 등을 용매를 사용하고 있으나, 메틸 클로라이드와 같은 용매는 인체에 유해하다.
본 명세서는 폴리락트산 입자를 제조하기 위하여 아세톤을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인체에 덜 유해한 장점이 있다.
다른 케톤계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와는 달리, 아세톤에 용해된 폴리락트산이 비용매와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미세하고 균일한 폴리락트산의 입자를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용매인 아세톤과 비용매의 함량을 조절하여 더 미세한 입자를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락트산 입자는 구형이다. 이때, 구형은 표면이 곡면인 입자의 형태를 의미하며, 완벽한 구형뿐만 아니라 타원형 및 울퉁불퉁한 형태 등 표면이 곡면인 입자를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락트산 입자의 구형도의 평균은 95초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98이상일 수 있다. 상기 입자의 구형도의 평균은 후술할 실험예 1의 식 1에 의해 계산된 결과의 평균을 의미하며, 100에 가까울수록 완벽한 구형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의 입도 분포의 폭은 6 이하일 수 있다. 입도 분포의 폭은 후술할 실험예 2의 식 2에 의해 계산된 결과이며, 입자의 분포가 넓으면 수치가 크게 나타나고 좁으면 수치가 작게 나타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상온 (25 ℃)에서 비결정질 폴리락트산 2 g을 아세톤 100 g 에 용해시킨 후 비용매로 증류수 10 g 를 투입하여 직경이 300 nm 내지 3 μm인 구형 폴리락트산의 미세입자를 석출하였다.
<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비용매로 증류수 20 g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조건으로 하여, 직경이 200 nm 내지 1 μm인 구형 폴리락트산의 미세입자를 석출하였다.
<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비용매로 증류수 30 g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조건으로 하여, 직경이 500 nm 이하인 구형 폴리락트산의 미세입자를 석출하였다.
< 비교예 >
상온 (25 ℃)에서 폴리락트산 2.5 g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Methylene chloride) 50 ml에 용해시켰다. 이러한 폴리머 용매를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이 총 중량에 대하여 0.2 wt.% 로 섞인 물 100 ml에 부은 후 0 ℃에서 15 분 동안 500 rpm으로 교반하여 에멀젼화 시켰다. 이 용매를 상온 (25 ℃)에서 교반하여 용매로 사용된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증류시키고 남은 폴리락트산 입자는 증류수로 씻어내고 필터링하여 1주일 정도 건조시켜 직경이 10 ㎛ 내지 20 ㎛인 폴리락트산 입자를 얻었다.
도 1, 도 2 및 도 3의 폴리락트산 입자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아세톤에 대한 비용매인 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더 미세한 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에서, 물에 섞이지 않는 메틸렌 클로라이드는 에멀젼화되어 분산된 액적 내의 폴리락트산을 석출시키므로, 균일하지 않고 직경의 크기가 수십 마이크로미터 이상인 폴리락트산 입자가 제조된다.
비교예의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에멀젼화되어 분산된 폴리락트산은 액적의 크기에 따라 입자로 석출되므로, 액적의 크기에 따라 석출되는 입자의 크기가 결정되어 입자의 크기를 임의로 조절할 수 없으며, 입자의 크기가 불균일하고, 10 마이크로미터 미만의 입자를 제조할 수 없다.
반면, 실시예 1, 2 및 3에 따른 폴리락트산 입자는 균일하면서도 비용매의 함량에 따라 입자의 크기가 조절되며, 10 마이크로미터 미만의 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
<실험예 1>
구형도 측정
상기 입자의 구형도는 SEM 이미지를 바탕으로 한 입자의 지름의 길이를 바탕으로 계산했다. 이때 상기 입자가 완벽한 구가 아닐 경우 장축을 DL 단축을 DS 로 하여 그 비율 DS/DL 의 합을 측정한 입자들의 개수(n)로 나누어 구형도를 계산했다. 구체적인 계산식은 하기 식 1과 같다.
[식 1]
구형도 ΦP =
Figure 112013091450715-pat00001
상기 식 1에 의해 계산한 결과,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구형도는 98 이상이며, 비교예의 구형도는 80 내지 95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거의 완벽한 구 형태를 이루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입자 분포의 폭(span)
Scatteroscope 장비로 DLS 방법을 통해 측정 하였고 입자 분포의 폭은 입도 분포의 폭을 의미하며 다음의 식 2에 의하여 계산된다.
[식 2]
입자 분포의 폭(span) =
Figure 112013091450715-pat00002
상기 D10, D50 및 D90는 입자 크기의 누적분포에서 최고 큰 값에 대하여 각각 10%, 50%, 90%에 해당하는 크기 값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크기에 따른 입자의 상대적인 누적 양을 곡선으로 나타내는 입도 분포 곡선을 측정 및 도식화한 후 입도 분포 곡선에서 입자 크기의 최저값과 최고값 사이를 10등분하여 1/10, 5/10, 9/10에 해당하는 입자의 크기값이 각각 D10, D50, D90이다.
상기 식 2의 결과는 입자의 분포가 넓으면 수치가 크게 나타나고 좁으면 수치가 작게 나타나며, 대략적인 입자의 분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입자 분포의 폭은 각각 실시예 1은 5.78, 실시예 2는 1.41, 실시예 3은 0.64 및 비교예는 3.59로 나타났다.

Claims (12)

  1. L-락트산 및 D-락트산을 포함하는 비결정질 폴리락트산을 아세톤에 용해시키는 단계; 및
    상기 비결정질 폴리락트산이 용해된 아세톤에 물을 첨가하여 비결정질 폴리락트산 입자를 석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비결정질 폴리락트산 중 L-락트산 : D-락트산의 공중합 비율은 0 : 100 초과이고 88 : 12 이하이며,
    상기 비결정질 폴리락트산, 상기 아세톤 및 상기 물의 중량의 합에 대하여, 상기 비결정질 폴리락트산의 중량의 백분율은 0.5 wt.% 이상이고 5 wt.% 이하인 것인 폴리락트산 입자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결정질 폴리락트산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130,000 이상이고 180,000 이하인 것인 폴리락트산 입자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세톤과 상기 물의 부피비는 92 : 8 이상이고 55 : 45 이하인 것인 폴리락트산 입자의 제조방법.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결정질 폴리락트산을 용해시키는 단계의 온도는 0 ℃ 이상이고 50 ℃ 이하인 것인 폴리락트산 입자의 제조방법.
  9. 청구항 1, 5, 6 및 8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L-락트산 및 D-락트산을 포함하는 비결정질 폴리락트산 입자의 직경은 1 nm 이상이고 10 μm 미만이고,
    상기 비결정질 폴리락트산 중 L-락트산 : D-락트산의 공중합 비율은 0 : 100 초과이고 88 : 12 이하이며,
    상기 비결정질 폴리락트산 입자는 구형인 것인 폴리락트산 입자.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30120451A 2013-10-10 2013-10-10 폴리락트산 입자의 제조방법 KR101732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451A KR101732760B1 (ko) 2013-10-10 2013-10-10 폴리락트산 입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451A KR101732760B1 (ko) 2013-10-10 2013-10-10 폴리락트산 입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1907A KR20150041907A (ko) 2015-04-20
KR101732760B1 true KR101732760B1 (ko) 2017-05-24

Family

ID=53035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0451A KR101732760B1 (ko) 2013-10-10 2013-10-10 폴리락트산 입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7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123A (ko) * 2020-10-12 2022-04-19 (주)엘엑스하우시스 표면 개질된 폴리락틱산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8885A (ja) * 2008-04-28 2011-06-30 ノバルティス アーゲー 医薬組成物における使用のためのナノ粒子
JP2012214524A (ja) 2009-08-04 2012-11-08 Senju Pharmaceut Co Ltd ポリ乳酸粒子含有凍結乾燥組成物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8885A (ja) * 2008-04-28 2011-06-30 ノバルティス アーゲー 医薬組成物における使用のためのナノ粒子
JP2012214524A (ja) 2009-08-04 2012-11-08 Senju Pharmaceut Co Ltd ポリ乳酸粒子含有凍結乾燥組成物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1907A (ko) 201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29702B (zh) Cellulose microparticles with their dispersions and dispersions
CN107108906B (zh) 聚酰胺微粒
CN105440663B (zh) 一种选择性激光烧结用尼龙微粉的制备方法
Matuana et al. Study of cell nucleation in microcellular poly (lactic acid) foamed with supercritical CO2 through a continuous-extrusion process
Wang et al. Preparation of PA12 microspheres with tunable morphology and size for use in SLS processing
Liu et al. Fabrication of degradable polymer microspheres via pH-responsive chitosan-based Pickering emulsion photopolymerization
JP2007154166A (ja) 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微粒子、その製造方法及び分散液
JP6528403B2 (ja) エチレン−ビニルアルコール系共重合体微粒子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分散液と樹脂組成物並びにその微粒子の製造方法
CN105504713A (zh) 一种3d打印用聚乳酸微球改性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732760B1 (ko) 폴리락트산 입자의 제조방법
US20210284542A1 (en) Recyclable and/or reusable polymer templates for producing hollow silica particles
Zhang et al. Facile fabrication of poly (acrylic acid) hollow nanogels via in situ Pickering miniemulsion polymerization
TW201414754A (zh) 偏二氟乙烯樹脂微粒之製造方法、及偏二氟乙烯樹脂微粒
JP2009173878A (ja) ポリフェニレンサルファイド微粒子、その分散液、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Bukhari et al. Effect of organic and aqueous dispersion medium on the development of polystyrene nanoparticles in nanoprecipitation method
KR20130035456A (ko) 초소수성 표면의 형성 방법
Su et al. Preparation of polyamide 12 powder for additive manufacturing applications via 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KR102608918B1 (ko) 폴리프로필렌 미세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미세입자
Kausar Novel Polyamide Nanocomposite with Montmorillonite Clay and Gold Nanoparticle Nanofillers
JP6343269B2 (ja) 凝集構造物の分解方法、および、それを工程として含む、一次粒子、または/および、一次粒子から構成される微細凝集物の製造方法
JP5918736B2 (ja) ポリ乳酸微粒子の製造方法
KR101343628B1 (ko) 산화철 입자가 고분자 내부에 캡슐화된 하이브리드 구상입자를 제조하는 방법
JP2023060758A (ja) ポリマーナノ粒子の製造方法及びポリマーナノ粒子
Zhang et al. Preparation of magnetic poly (vinyl alcohol) microspheres via inverse miniemulsion technique
Tunc et al. Fabrication of Micron-Sized Polymer Spheres by Precipitation Polymerization Techni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