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1377B1 -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 - Google Patents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31377B1 KR101731377B1 KR1020140078211A KR20140078211A KR101731377B1 KR 101731377 B1 KR101731377 B1 KR 101731377B1 KR 1020140078211 A KR1020140078211 A KR 1020140078211A KR 20140078211 A KR20140078211 A KR 20140078211A KR 101731377 B1 KR101731377 B1 KR 1017313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d
- lid members
- concave groove
- floor
- mattres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침대는 상기 바닥면(1)에 형성된 오목홈(2)에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승강구동기구(20)에 의해 상승됨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오목홈(2)에 삽입하고, 필요할 때만 상측으로 상승시켜 사용할 수 있음으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침대는 상기 바닥면(1)에 형성된 오목홈(2)에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승강구동기구(20)에 의해 상승됨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오목홈(2)에 삽입하고, 필요할 때만 상측으로 상승시켜 사용할 수 있음으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하측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구비되는 매트리스로 구성되어 건축물의 실내 바닥면에 설치된다.
그런데, 이러한 침대는 사용하지 않을 때 불필요하게 공간을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18045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하지 않을 때 수직으로 세워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침대가 개발되었지만, 이러한 침대는 세워 보관을 함으로, 눕힌 상태로 보관하는 종래의 침대에 비해서는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세워놓더라도 적지 않은 공간을 차지할 뿐 아니라, 인테리어적으로 좋지 않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 인기를 끌고 있는 오피스텔의 경우, 사무공간과 거주공간의 기능을 함께 함으로, 침대와 같은 물품이 보이게 될 경우, 좋지 않은 이미지를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공간활용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간활용도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새로운 구조의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따른 침대장치는 바닥면(1)에 설치되는 침대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1)에는 하측으로 오목한 오목홈(2)이 형성되고, 상기 침대는 상기 오목홈(2)의 내부에 구비된 지지패널(11)과 상기 지지패널(11)의 상면에 올려진 매트리스(12)를 포함하는 침대본체(10)와, 상기 지지패널(11)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패널(11)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기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가 제공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측면이 개방된 통형상의 박스를 양측으로 분할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매트리스(12)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된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와,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와 상기 지지패널(11)을 연결하여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가 상호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연결링크(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링크(40)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양단이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의 전후측면과 상기 지지패널(11)의 전후측면에 각각 힌지결합된 한 쌍의 링크부재(41,42)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상호 근접되어 상기 매트리스(12)의 상부를 덮거나, 상호 이격되어 상기 매트리스(1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승강구동기구(2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오목홈(2)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패널(11)의 하측면에 연결된 실린더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승강구동기구(20)는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 상면이 상기 바닥면(1)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침대본체(10)를 하강시키고, 상기 지지패널(11)의 상기 바닥면(1)의 상부로 상승되도록 상기 침대본체(10)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패널(11)의 둘레면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부(11a)가 형성되어, 상기 침대본체(10)가 상승될 때 상기 승강구동기구(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 상면에는 결합부(50)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5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의자부재(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50)는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의 상면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의자부재(60)의 하측면에는 상기 결합부(50)에 결합되는 결합봉(61)이 하향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목홈(2)에 구비되어 오목홈(2)을 개폐하는 도어(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70)는 일단부가 상기 오목홈(2)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중간부에는 절첩선(71)이 형성되어, 도어(70)를 상측으로 회동시켜 연 후 상기 절첩선(71)을 중심으로 도어(70)를 접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침대본체(10) 내부에는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부에는 스프링매트를 포함하며, 타측부에는 황토매트를 포함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는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로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펀,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는 상기 바닥면(1)에 형성된 오목홈(2)에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승강구동기구(20)에 의해 상승됨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오목홈(2)에 삽입하고, 필요할 때만 상측으로 상승시켜 사용할 수 있음으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참고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참고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이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참고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참고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이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침대는 건축물의 실내 바닥면(1)에 설치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바닥면(1)에는 하측으로 오목한 오목홈(2)이 형성되고, 상기 침대는 상기 오목홈(2)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오목홈(2)의 내부에 구비된 지지패널(11)과 상기 지지패널(11)의 상면에 올려진 매트리스(12)로 구성된 침대본체(10)와, 상기 지지패널(11)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패널(11)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기구(20)와, 상기 매트리스(12)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된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와,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와 상기 지지패널(11)을 연결하여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가 상호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연결링크(4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패널(11)은 상기 매트리스(12)에 비해 넓은 사각의 패널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둘레면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부(11a)가 형성되어, 전체형상이 하측면이 개방된 사각박스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매트리스(12)는 일반적인 침대에서 사용하는 매트리스(12)와 동일한 것을 이용한다.
상기 승강구동기구(2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오목홈(2)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패널(11)의 하측면에 연결된 실린더기구를 이용한다.
이러한 실린더기구는 에어실린더나 유압실린더 또는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기계식 실린더를 포함하여 다양한 것이 사용되고 있음으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는 하측면이 개방된 통형상의 박스를 양측으로 분할한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링크(40)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양단이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의 전후측면과 상기 지지패널(11)의 전후측면에 각각 힌지결합된 한 쌍의 링크부재(41,42)를 이용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가 상호 인접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매트리스(12)의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를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밀면,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재(41,42)가 회동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가 평행을 유지한 상태로 외측으로 벌어져, 상기 매트리스(1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승강구동기구(20)는 상기 침대본체(10)가 하강될 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의 상면이 상기 바닥면(1)과 평면을 이루도록 하강시키며, 상기 침대(10)가 상승될 때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매트리스(12)가 상기 바닥면(1)의 상부로 충분히 상승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가 상호 인접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매트리스(12)의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승강기구(20)를 이용하여 침대본체(10)를 하강시키면, 상기 침대본체(10)가 상기 오목홈(2)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어, 외부에서 볼 때 침대본체(10)가 보이지 않게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승강구동기구(20)를 조작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침대본체(10)를 상승시킨 후,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를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밀면,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링크(20)에 지지된 상태로 외측으로 벌어져, 상기 매트리스(12)가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는 상기 연결링크(20)에 의해 원형의 궤적을 그리면서 하강되어, 하단이 상기 바닥면(1)에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침대의 사용이 끝나면, 사용자가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를 상호 인접방향으로 밀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트리스(12)가 가려지도록 하고,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구동기구(20)를 조작하여 침대본체(10)를 하강시킴으로써, 침대본체(10)를 오목홈(2)에 수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침대는 상기 바닥면(1)에 형성된 오목홈(2)에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승강구동기구(20)에 의해 상승됨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오목홈(2)에 삽입하고, 필요할 때만 상측으로 상승시켜 사용할 수 있음으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매트리스(12)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된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와,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와 상기 지지패널(11)을 연결하여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가 상호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연결링크(40)상기 가 구비되어, 매트리스(12)를 하강시켰을 때는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를 이용하여 매트리스(12)의 상부를 덮음으로써, 매트리스(12)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연결링크(40)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양단이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의 전후측면과 상기 지지패널(11)의 전후측면에 각각 힌지결합된 한 쌍의 링크부재(41,42)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상호 근접되어 상기 매트리스(12)의 상부를 덮거나, 상호 이격되어 상기 매트리스(1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의 상면에 다른 물건이 올려진 상태에서도,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를 덮거나 열 수 있어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승강구동기구(2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오목홈(2)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패널(11)의 하측면에 연결된 실린더기구를 이용함으로, 구조가 매우 간단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구동기구(20)는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의 상면이 상기 바닥면(1)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침대본체(10)를 하강시키고, 상기 지지패널(11)의 상기 바닥면(1)의 상부로 상승되도록 상기 침대본체(10)를 상승시킴으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패널(11)의 둘레면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부(11a)가 형성되어, 상기 침대본체(10)가 상승될 때 상기 승강구동기구(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침대본체(10)를 상승시켰을 때, 상기 승강구동기구(20)가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1 또는 제2 덮개부재(31,32)의 상면에는 결합부(50)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50)에 의자부재(60)를 탈착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50)는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의 상면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의자부재(60)의 하측면에는 상기 결합부(50)에 결합되는 결합봉(61)이 하향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침대본체(10)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50)에 의자부재(60)를 결합함으로서, 침대본체(10)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오목홈(2)에는 오목홈(2)을 개폐하는 도어(70)가 구비된다.
이때, 전술한 실시예에 구비된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 및 연결링크(40)의 구조는 생략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70)는 일단부가 상기 오목홈(2)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중간부에는 절첩선(71)이 형성되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70)를 상측으로 회동시켜 연 후 상기 절첩선(71)을 중심으로 도어(70)를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도어(70)는 바닥면(1)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70)가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연 후,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침대본체(10)를 상승시켜 침대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침대의 사용이 끝나면, 상기 침대본체(10)를 하강시킨 후, 상기 도어(70)를 닫아서 매트리스(12)를 보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대본체(10) 내부에는 침대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부에는 스프링매트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다른 타측부에는 황토매트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취향 및 사용상태에 맞게 서로다른 매트를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침대는 상기 침대본체(10)를 오목홈(2)의 내부로 하강시킨 후, 상기 도어(70)를 닫아서 매트리스(12)를 보호할 수 있음으로,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 및 연결링크(40)를 이용하는 전술한 실시예에 비해 구조가 간단할 뿐 아니라, 상기 도어(70)를 열면 도어(70)가 수직으로 세워져, 침대본체(10)를 상승시켰을 때 상기 도어(70)가 침대본체(10)의 머리쪽 단부를 가리는 수직판의 기능을 하여, 침대에서 자는 사용자가 안정감을 느낄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는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모든 형태의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침대본체 20: 승강구동기구
31: 제1 덮개부재 32: 제2 덮개부재
40: 연결링크 50: 결하부
60: 의자부재 70: 도어
31: 제1 덮개부재 32: 제2 덮개부재
40: 연결링크 50: 결하부
60: 의자부재 70: 도어
Claims (11)
- 바닥면(1)에 설치되는 침대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1)에는 하측으로 오목한 오목홈(2)이 형성되고, 상기 침대는 상기 오목홈(2)의 내부에 구비된 지지패널(11)과 상기 지지패널(11)의 상면에 올려진 매트리스(12)를 포함하는 침대본체(10)와, 상기 지지패널(11)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패널(11)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기구(20)를 포함하며,
하측면이 개방된 통형상의 박스를 양측으로 분할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매트리스(12)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된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와,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와 상기 지지패널(11)을 연결하여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가 상호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연결링크(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링크(40)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양단이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의 전후측면과 상기 지지패널(11)의 전후측면에 각각 힌지결합된 한 쌍의 링크부재(41,42)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상호 근접되어 상기 매트리스(12)의 상부를 덮거나, 상호 이격되어 상기 매트리스(1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지며,
상기 승강구동기구(20)는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의 상면이 상기 바닥면(1)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침대본체(10)를 하강시키고, 상기 지지패널(11)의 상기 바닥면(1)의 상부로 상승되도록 상기 침대본체(10)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기구(2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오목홈(2)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패널(11)의 하측면에 연결된 실린더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널(11)의 둘레면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부(11a)가 형성되어, 상기 침대본체(10)가 상승될 때 상기 승강구동기구(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의 상면에는 결합부(50)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5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의자부재(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50)는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재(31,32)의 상면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의자부재(60)의 하측면에는 상기 결합부(50)에 결합되는 결합봉(61)이 하향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2)에 구비되어 오목홈(2)을 개폐하는 도어(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70)는 일단부가 상기 오목홈(2)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중간부에는 절첩선(71)이 형성되어, 도어(70)를 상측으로 회동시켜 연 후 상기 절첩선(71)을 중심으로 도어(70)를 접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 -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본체(10) 내부에는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부에는 스프링매트를 포함하며, 타측부에는 황토매트를 포함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8211A KR101731377B1 (ko) | 2014-06-25 | 2014-06-25 |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8211A KR101731377B1 (ko) | 2014-06-25 | 2014-06-25 |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0705A KR20160000705A (ko) | 2016-01-05 |
KR101731377B1 true KR101731377B1 (ko) | 2017-04-28 |
Family
ID=55164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78211A KR101731377B1 (ko) | 2014-06-25 | 2014-06-25 |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31377B1 (ko) |
-
2014
- 2014-06-25 KR KR1020140078211A patent/KR101731377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0705A (ko) | 2016-01-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09226B1 (ko) | 침대 겸용 책상 | |
CN104586135A (zh) | 双层翻转沙发床 | |
KR101832620B1 (ko) | 접철식 캠핑용 그릴 | |
KR101731377B1 (ko) | 주거 건물용 바닥매립식 침대장치 | |
CN206518393U (zh) | 一种屏风 | |
US10165853B2 (en) | Foldable table attached to the ceiling | |
WO2012071900A1 (zh) | 电动升降式吸油烟机外壳 | |
KR100592348B1 (ko) | 건축물 출입구 붙박이 구조물 | |
CN205890682U (zh) | 用于房车的三折式多功能升降吊床 | |
CN108720411B (zh) | 一种可拆分的电动床框架 | |
KR101090195B1 (ko) |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절첩장치 | |
CN210248928U (zh) | 一种多功能桌子 | |
JP6959722B2 (ja) | 間仕切り装置 | |
CN109077872A (zh) | 智能助浴护理床 | |
KR101191826B1 (ko) | 공동주택의 돌출형 베란다시스템 | |
KR20210000775U (ko) | 이동식 평상 | |
KR20150012699A (ko) | 용도에 따른 가변형 벤치 | |
CN104414477A (zh) | 电饭煲铰链安装结构及电饭煲 | |
CN206053407U (zh) | 一种一体化集成变形模块化住宅 | |
JP3041680U (ja) | ベッド | |
CN110522237B (zh) | 一种升降床 | |
CN204343724U (zh) | 一种具有复数个储水腔的移动式水池 | |
JPH0131841Y2 (ko) | ||
EP1914361A1 (en) | Outdoor framework structure for awnings | |
CN116711943A (zh) | 一种隐私性好的公寓床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