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1362B1 - 와치 모듈이 마련된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와치 모듈이 마련된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362B1
KR101731362B1 KR1020160069504A KR20160069504A KR101731362B1 KR 101731362 B1 KR101731362 B1 KR 101731362B1 KR 1020160069504 A KR1020160069504 A KR 1020160069504A KR 20160069504 A KR20160069504 A KR 20160069504A KR 101731362 B1 KR101731362 B1 KR 101731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watch module
module
data
termi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9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운
Original Assignee
이재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운 filed Critical 이재운
Priority to KR1020160069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3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4Moun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G04G17/045Mounting of the display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4Suspending devices, supports or stands for time-pieces insofar as they form part of the case
    • G04B37/1486Arrangements for fixing to a bracelet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6Electric connectors, e.g. conductive elastomer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9/00Electric power supply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electronic time-piec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4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6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using voice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8Touch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time-pie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단말 장치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분리형 와치 모듈; 상기 와치 모듈이 착탈되는 단말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와치 모듈이 상기 단말 유니트에 장착되면, 상기 와치 모듈과 상기 단말 유니트는 서로 통신 가능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와치 모듈이 마련된 단말 장치{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와치 모듈 및 와치 모듈이 착탈되는 단말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전과 사용자의 수요 증대가 맞물리면서,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성이 강조되고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단말기 시장이 크게 성장하고 있다.
이런 시장성에 힘입어 스마트폰의 보급이 확대되고, 스마트폰의 크기가 커지면서 스마트폰을 주머니나 가방에서 꺼내지 않고도 스마트폰의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다른 단말기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스마트 와치는 이러한 시장의 요구를 만족할 수 있는 신체 착용형 단말기로 활발이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 시계는 일반 시계와 같이 손목에 착용 가능하고, 스마트폰의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제한된 디스플레이 크기와 배터리 용량으로 인해 스마트폰과 비교해서 활용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 시계가 있더라도 스마트폰을 함께 휴대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스마트 시계에 대한 기대감과 선호도가 낮아지게 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5117호에는 사용자의 행동 패턴 및 신체적 변화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품 선호도를 확인시켜주는 스마트 와치가 개시되고 있으나, 스마트 와치가 갖는 태생적 한계를 그대로 갖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5117호
본 발명의 단말 장치는 와치 모듈을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단말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단말 장치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분리형 와치 모듈; 상기 와치 모듈이 착탈되는 단말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와치 모듈이 상기 단말 유니트에 장착되면, 상기 와치 모듈과 상기 단말 유니트는 서로 통신 가능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와치 모듈은 사람의 손목에 착용되는 손목 시계의 본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손목에 착용되는 손목 밴드에 착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말 장치에 따르면 단말 유니트는 와치 모듈에 착탈될 수 있다. 와치 모듈과 단말 유니트은 서로 분리되어 각각 독립된 객체로 활용될 수 있다. 또는, 와치 모듈과 단말 유니트는 서로 장착되어 기구적으로 하나의 객체로 활용될 수 있다.
서로 구분되는 기능을 갖는 복수의 단말 유니트가 와치 모듈에 각각 착탈될 수 있다. 와치 모듈에 장착되는 단말 유니트는 와치 모듈의 부족한 기능을 보충하거나, 와치 모듈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따라서, 메시지 확인, 생체 신호 센싱 등의 제한된 용도로 사용되던 와치 모듈은 영상 촬영, 내비게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말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단말 유니트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와치 모듈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와치 모듈에 착탈되는 복수 종류의 단말 유니트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연결된 단말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와치 모듈에 입출력 모듈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카메라 기기에 와치 모듈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말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단말 유니트(1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말 유니트(100)의 뒷면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와치 모듈(10)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와치 모듈(10)은 손목 시계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서버와 각종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무선 전화 통화가 가능할 수 있다. 와치 모듈(10)은 현재 시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와치 모듈(10)은 사람의 손목에 착용되는 손목 시계의 본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손목에 감기는 손목 밴드(30)에 착탈 가능할 수 있다. 손목 밴드(30)로부터 이탈된 와치 모듈(10)은 단말 유니트(100)에 장착될 수 있다. 와치 모듈(10)이 장착된 손목 밴드(30)는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기기를 형성할 수 있다. 와치 모듈(10)이 손목 밴드(30)에 장착되면, 손목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기기가 되고, 웨어러블 기기에서 와치 모듈(10)을 분리하면 단말 유니트(100)에 착탈 가능한 상태가 된다.
와치 모듈(10)은 스마트폰과 마찬가지로 독립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가 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와치 모듈(10)과 이동 통신 단말기를 구분해서 사용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와치 모듈(10)은 손목에 차는 시계의 크기를 갖는 단말기로 정의되며, 이동 통신 단말기는 휴대 가능한 범위 내에서 대형의 디스플레이와 케이스(150)를 갖는 단말기로 정의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예로 스마트폰, 스마트폰보다 큰 크기의 스마트 패드가 있을 수 있다.
스마트폰 등의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와 비교해서 와치 모듈(10)은 손목에 차는 시계와 같은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칩 제조 기술의 발달로 인해 와치 모듈(10)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동일한 AP(Application Processor)가 탑재될 수 있으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추종하는 용량의 메모리가 탑재될 수 있다. 따라서, 와치 모듈(10)의 데이터 처리 성능, 데이터 저장 용량, 통신 성능은 이동 통신 단말기와 거의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와치 모듈(10)은 이동 통신 단말기보다 작은 크기로 인해, 작은 용량의 배터리가 적용되고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 및 입력 수단이 적용될 수밖에 없다. 또한, 경우에 따라 스피커와 마이크가 배제되고, 해당 스피커와 마이크가 연결되는 연결 잭만 탑재될 수도 있다.
와치 모듈(10)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하는 동일한 컨텐츠를 처리할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한된 디스플레이 및 제한된 입력 수단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제한된 컨텐츠만 이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와치 모듈(10)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일부 기능만을 구현하는 셈이 되므로, 사용자는 와치 모듈(10)이 있다 하더라도 별도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함께 휴대하게 된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와치 모듈(10)의 기능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와치 모듈(10)에 대한 구입 욕구가 낮아질 수밖에 없다.
사용자의 구입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제조사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비교해서 와치 모듈(10)이 갖는 강점을 꾸준히 탐색하고 연구하는 방향을 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신체에 접촉되는 와치 모듈(10)의 특징을 이용해서 생체 신호를 센싱하고 모니터링하는 기능이 와치 모듈(10)에 부가될 수 있다. 그럼에도 아직까지 사용자의 구매 욕구를 유발하기는 부족한 실정이다.
와치 모듈(10)에서 부족한 부분은 대표적으로 입력 수단, 표시 수단, 배터리일 수 있다.
일 예로, 와치 모듈(1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는 직경이 2인치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로 인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게임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표시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설령, 복잡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처리되고 표시되더라도 제한된 용량의 배터리로 인해 사용 시간이 극도로 단축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와 같이 디스플레이를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한다고 하더라도, 손가락 크기 정도의 터치 스크린으로는 특정 문자를 구분해서 입력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다양한 문자 입력이 요구되는 컨텐츠를 와치 모듈(10)에서 이용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입력 수단, 표시 수단, 배터리의 문제로 인해 와치 모듈(10)에는 극히 제한된 기능의 컨텐츠가 탑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와치 모듈(10)을 갖고 있더라도 별도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함께 이용하게 된다.
반대로 말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이용되는 컨텐츠를 그대로 와치 모듈(10)에서 이용할 수 있다면, 사용자는 굳이 별도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구매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손목에도 차고 다닐 수 있는 와치 모듈(10)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말 장치는 와치 모듈(10) 및 단말 유니트(100)를 포함할 수 있다.
와치 모듈(10)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제2 통신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2 통신부는 서버와 원거리 무선 통신하거나,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와이파이(Wi-Fi) 통신망을 이용해서 단말 유니트(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단말 유니트(100)에는 와치 모듈(10)이 착탈되는 착탈부(110)가 마련될 수 있다. 단말 유니트(100)는 탑재된 요소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해당 기능을 와치 모듈(10)에 부가하기 위해 와치 모듈(10)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치 모듈(10)이 단말 유니트(100)에 장착되면, 와치 모듈(10)과 단말 유니트(100)는 서로 통신 가능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 유니트(100)는 그 자체로 서버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하나의 완성된 이동 통신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단말 유니트(100)는 제1 전화 번호가 부여된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 패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말 유니트(100)는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제1 디스플레이(135), 제1 입력부(133) 등의 데이터 처리 자원을 와치 모듈(10)에 제공할 수 있다.
와치 모듈(10)에서 처리된 제2 데이터는 단말 유니트(100)로 전달되고, 단말 유니트(100)의 제1 디스플레이(135)에 제2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그런데, 단말 유니트(100)에 마련된 제1 디스플레이(135) 등의 각종 자원은 기본적으로 단말 유니트(100)에서 처리되는 제1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처리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와치 모듈(10)로부터 제2 데이터가 수신될 때마다 제2 데이터가 제1 디스플레이(135)에 표시된다면, 단말 유니트(100)는 본래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유니트(100)는 특수한 경우에 한해 자신의 자원을 와치 모듈(1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 유니트(100)는 와치 모듈(10)이 물리적으로 장착된 경우에 한해 제1 디스플레이(135) 등의 자원을 와치 모듈(10)에 제공할 수 있다.
와치 모듈(10)이 단말 유니트(100)로부터 이탈되면, 와치 모듈(10)과 단말 유니트(100)는 각각 독립적인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반면, 와치 모듈(10)이 단말 유니트(100)에 장착되면, 와치 모듈(10)과 단말 유니트(100)는 서로의 자원을 공유하는 하나의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자원'은 특정 데이터의 처리 수단, 표시 수단, 입력 수단, 저장 수단, 통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유니트(100)에는 제1 데이터가 처리되는 제1 자원이 마련될 수 있다. 와치 모듈(10)에는 제2 데이터가 처리되는 제2 자원이 마련될 수 있다.
단말 유니트(100)에 와치 모듈(10)이 장착되면, 제1 자원과 제2 자원이 합쳐진 제3 자원이 형성되고, 제3 자원은 제1 데이터 또는 제2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자원에 제1 저장 용량의 제1 저장부가 포함되고, 제2 자원에 제2 저장 용량의 제2 저장부가 포함될 수 있다. 단말 유니트(100)에 와치 모듈(10)이 장착되면, 제1 저장부 및 제2 저장부는 하나의 제3 저장부로 기능할 수 있다. 이때, 제3 저장부는 제1 저장 용량과 제2 저장 용량을 합한 제3 저장 용량을 가질 수 있다.
특정 데이터는 와치 모듈(10)의 자원과 단말 유니트(100)의 자원에서 병렬로 처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와치 모듈(10)의 자원과 단말 유니트(100)의 자원은 서로 공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치 모듈(10)에 마련된 제2 처리부와 단말 유니트(100)에 마련된 제1 처리부는 하나의 특정 데이터를 나누어 처리할 수 있다. 또는 특정 데이터의 일부는 단말 유니트(100)에 마련된 제1 저장부에 저장되고, 특정 데이터의 나머지는 와치 모듈(10)에 마련된 제2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특정 데이터를 서버로 송신할 경우, 특정 데이터의 일부는 단말 유니트(100)에 마련된 제1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 송신될 수 있다. 특정 데이터의 나머지는 와치 모듈(10)에 마련된 제2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 송신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서버로 특정 데이터를 송신하는 시간은 어느 하나의 통신부만을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2배 빨라질 수 있다.
단말 유니트(100)의 일면에는 와치 모듈(10)이 착탈되는 착탈부(110) 및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170)이 마련될 수 있다.
단말 유니트(100)의 타면에는 제1 디스플레이(135)가 마련될 수 있다.
착탈부(110)에 착탈되는 와치 모듈(10)에는 제2 디스플레이(15)가 마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70)은 단말 유니트(100)를 잡은 촬영자가 단말 유니트(100)의 일면 측에 위치하는 셀프 촬영 모드와 촬영자가 단말 유니트(100)의 타면 측에 위치하는 주변 촬영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착탈부(110)에 와치 모듈(10)이 장착되고, 카메라 모듈(170)이 셀프 촬영 모드로 구동되면, 제2 디스플레이(15)에 카메라 모듈(170)의 영상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70)이 주변 촬영 모드로 구동되면, 제1 디스플레이(135)에 카메라 모듈(170)의 영상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유니트(100)의 앞면과 뒷면에 각각 카메라 모듈(170)을 설치할 필요없이 1개의 카메라 모듈(170)을 이용해서 셀프 촬영 모드와 주변 촬영 모드가 구현될 수 있다.
단말 유니트(100)와 와치 모듈(10)은 서로 독립적으로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유니트(100)는 제1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처리할 수 있다. 와치 모듈(10)은 제2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처리할 수 있다.
단말 유니트(100)에 와치 모듈(10)이 장착되면, 와치 모듈(10)은 제2 데이터를 단말 유니트(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유니트(100)는 제2 데이터를 이용해서 제1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와치 모듈(10)로부터 제2 데이터로서 특정 주소가 수신되면, 단말 유니트(100)는 자동으로 단말 유니트(100)의 현재 위치로부터 특정 주소까지의 이동 경로가 포함된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제1 데이터로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내비게이션 데이터는 제1 디스플레이(135)에 표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단말 유니트(100)는 차량에 장착될 수도 있다. 소방관 또는 경찰관과 같이 긴급 출동이 요구되는 사용자는 손목 밴드(30)를 이용해 와치 모듈(10)을 손목에 차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긴급 출동 상황 발생시 서버는 사용자에게 해당 사실을 알라기 위해 긴급 출동 상황을 와치 모듈(1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긴급 상황이 발생한 주소를 와치 모듈(1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가 긴급 출동을 위해 차량으로 접근하는 과정에서 단말 유니트(100)의 통신 커버리지에 와치 모듈(10)이 진입하거나,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가 와치 모듈(10)을 단말 유니트(100)에 장착하면, 와치 모듈(10)은 서버로부터 수신된 주소를 단말 유니트(100)로 송신할 수 있다. 단말 유니트(100)는 현재 단말 유니트(100)의 위치로부터 해당 주소까지의 차량 이동 경로를 파악해서 제1 디스플레이(135)에 표시할 수 있다.
단말 유니트(100)에는 제1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처리하는 제1 처리부, 제1 데이터 또는 와치 모듈(10)로부터 수신된 제2 데이터가 선택적으로 표시되는 제1 디스플레이(135), 데이터 입력을 위해 사용되는 제1 입력부(133), 케이스(150), 전력이 저장되는 제1 배터리(138)가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150)에는 제1 처리부, 제1 디스플레이(135), 제1 입력부(133), 착탈부(110), 제1 배터리(138)가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150)는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휴대 편의성을 고려해서 케이스(150)는 스마트폰 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형 및 크기를 추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배터리(138)는 단말 유니트(100)의 제1 처리부, 제1 디스플레이(135), 제1 입력부(133) 등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배터리(138)는 착탈부(110)에 와치 모듈(10)이 장착되면, 와치 모듈(10)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배터리(138)의 충전 용량은 와치 모듈(10)에 마련된 제2 배터리의 충전 용량보다 매우 크다. 따라서, 제1 배터리(138)의 전력을 제공받는 와치 모듈(10)은 전력 소모가 많은 각종 컨텐츠를 무리없이 처리할 수 있다.
와치 모듈(10)에도 자체적으로 전력을 충전하거나 방전하는 제2 배터리가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150)에 마련된 제1 배터리(138)의 전력은 와치 모듈(10)을 구동시키는 동시에 와치 모듈(10)에 마련된 제2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보조 배터리의 기능을 겸할 수 있다.
단말 유니트(100)에는 음성 데이터가 출력되는 제1 스피커(139)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스피커(139)는 전화 통화에 이용되거나 음악 청취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제1 입력부(133)는 제1 디스플레이(135)에 제1 데이터가 표시 중이면 입력된 데이터를 제1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135)에 제2 데이터가 표시 중이면 입력된 데이터를 와치 모듈(10)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입력부(133)는 음성 데이터가 입력되는 제1 마이크, 터치 신호가 입력되는 제1 터치 스크린 또는 제1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스크린 또는 제1 키패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 제1 키패드 또는 제1 터치 스크린은 입력된 데이터를 제1 처리부 또는 와치 모듈(10)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터치 스크린은 제1 디스플레이(135)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수단 및 입력 수단은 와치 모듈(10)에도 설치될 수 있다.
단말 유니트(100)에 마련된 표시 수단을 제1 디스플레이(135)로 정의하고, 와치 모듈(10)에 마련된 표시 수단을 제2 디스플레이(15)로 정의한다.
단말 유니트(100)에 마련된 입력 수단을 제1 입력부(133)로 정의하고, 와치 모듈(10)에 마련된 입력 수단을 제2 입력부(13)로 정의한다.
제1 디스플레이(135)에 제2 데이터가 표시 중이면, 제1 처리부에서 생성된 제1 데이터는 단말 유니트(100)에 마련된 제1 저장부에 임시 저장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135)는 제2 데이터의 표시가 종료되면 제1 저장부에 임시 저장된 제1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와치 모듈(10)에는 제2 통신부, 제2 처리부, 제2 디스플레이(15), 제2 배터리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통신부는 단말 유니트(100) 또는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 유니트(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기 위해 제2 통신부에는 블루투스, 와이파이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 제2 통신부에는 LTE(Long Term Evolu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의 원거리 무선 통신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처리부는 제2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처리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15)는 데이터가 표시되는 제2 디스플레이(15) 또는 제2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배터리는 제2 통신부, 제2 처리부 및 제2 디스플레이(15) 등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와치 모듈(10)에는 데이터가 입력되는 제2 입력부(13)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입력부(13)는 와치 모듈(10)에 마련된 제2 터치 스크린 또는 제2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공간적 문제로 인해 제2 키패드는 와치 모듈(10)의 측면에 형성된 버튼으로 대체될 수 있다.
착탈부(110)에는 단말 유니트(100)에 탑재된 제1 배터리(138)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단자(1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자(111)에 대응하여, 와치 모듈(10)에는 제2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단자(11)가 형성될 수 있다.
착탈부(110)에 와치 모듈(10)이 장착되면, 제1 단자(111)와 제2 단자(11)는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제1 배터리(138)의 전력은 제1 단자(111) 및 제2 단자(11)를 거쳐 제2 배터리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통신부는 커버리지 범위 내에서 제1 통신부와 통신하거나, 제1 단자(111)와 제2 단자(11)가 서로 접촉되면 제1 통신부와 통신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1 단자(111)와 제2 단자(11)는 제1 배터리(138)의 충전 전력을 와치 모듈(10)로 제공하는 용도 외에도 와치 모듈(10)과 특정 데이터를 주고 받는 유선 통신 모듈로 기능할 수도 있다.
제1 단자(111)만으로 필요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어려운 경우, 제1 통신부는 와치 모듈(10)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다양한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해서 제2 통신부와 통신할 수 있다. 해당 무선 통신 수단 역시 제1 단자(111)가 제2 단자(11)에 접촉되면 구동될 수 있다.
정리하면, 제1 통신부는 제1 단자(111),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해 와치 모듈(10)과 통신 가능한 채널을 복수로 생성할 수 있다.
홈 형상의 착탈부(110)에 와치 모듈(10)이 안착되면 와치 모듈(10)의 가장자리를 덮는 커버(119)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커버(119)를 분리하기 전까지 와치 모듈(10)은 착탈부(110)에 확실하게 장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커버(119)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해당 나사산에 대응하여 착탈부(110)의 주변에도 커버(119)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119)는 나사 결합 방식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케이스(150) 또는 착탈부(110)에 장착될 수 있다.
케이스(150)의 일면에서 착탈부(110)를 제외한 자리에는 카메라 모듈(170)과 제1 키패드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터치 스크린이 마련된 경우 제1 키패드는 생략될 수 있다.
착탈부(110)가 마련된 케이스(150)의 일면에 반대되는 케이스(150)의 타면에는 제1 디스플레이(135), 제1 스피커(139)가 마련될 수 있다.
통화음의 입력을 위해 케이스(150)의 타면 일측 또는 케이스(150)의 측면에는 제1 마이크가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150)의 착탈부(110)로부터 분리된 와치 모듈(10)은 손목에 채워지는 손목 밴드(30)에 장착될 수 있다.
손목 밴드(30)에는 와치 모듈(10)이 장착되는 안착부(31)가 형성되고, 안착부(31)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 밴드와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2 밴드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밴드의 단부와 제2 밴드의 단부에는 서로 착탈되는 고리, 버클 등의 착탈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 환경에 맞춰 손목 밴드(30)에 와치 모듈(10)을 장착해서 사용하거나, 단말 유니트(100)에 장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와치 모듈(10)의 뒷면에 데이터가 표시되는 제2 디스플레이(15)가 마련될 때, 와치 모듈(10)의 측면 또는 밑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외부 케이블(80)이 연결되는 마이크로 USB(18)(Universal Serial Bus)(18)가 형성될 수 있다.
와치 모듈(10)의 뒷면은 사용자의 손목에 대면되는 면이므로, 와치 모듈(10)의 뒷면에 마이크로 USB(18)가 형성되면, 사용자의 손목에 가려져 먼지 등이 이물질이 마이크로 USB(18)로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잇다.
마이크로 USB(18)는 제2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전원에 연결된 외부 케이블(80)이 마이크로 USB(18)에 장착되면, 외부 전원의 전력은 제2 배터리로 직접 제공될 수 있다.
착탈부(110)는 단말 유니트(100)에 마련된 것으로, 와치 모듈(10)이 수용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와치 모듈(10)이 착탈되는 착탈부(110)에는 와치 모듈(10)의 제2 단자(11)에 접촉되는 제1 단자(111)가 마련될 수 있다.
와치 모듈(10)과 단말 유니트(100)는 제1 단자(111) 및 제2 단자(11)를 이용해 서로 통신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와치 모듈(10)은 이동 통신 단말기 외에도 다양한 기능의 단말 유니트(100)에 착탈될 수 있다.
기능이 다양한 만큼 각 단말 유니트(100)마다 와치 모듈(10)과 주고받는 데이터가 다를 수 있다. 또한, 와치 모듈(10)에 다양한 기능을 동시에 부가하기 위해 복수의 단말 유니트(100)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특정 단말 유니트(100)에 와치 모듈(10) 및 다른 유니트가 장착되면, 다른 단말 유니트(100)와 와치 모듈(10)은 특정 단말 유니트(100)를 거쳐 서로 통신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 종류의 단말 유니트(100)와 통신하기 위해 착탈부(110)에는 와치 모듈(10)의 제2 단자(11)에 접촉되는 제1 단자(11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와치 모듈(10)과 단말 유니트(100)는 제1 단자(111) 및 제2 단자(11)를 이용해 서로 통신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단자(111) 및 제2 단자(11)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1 단자(111) 및 제2 단자(11)는 각각 복수의 세부 단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단자(111)의 세부 단자와 제2 단자(11)의 세부 단자는 서로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세부 단자는 전원 단자 ⓐ, 유니버셜 단자 ⓑ,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 ⓒ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자(111)의 전원 단자는 단말 유니트(100)의 제1 배터리(138)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단자(11)의 전원 단자는 와치 모듈(10)의 제2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착탈부(110)에 와치 모듈(10)이 장착되어 제1 단자(111)의 전원 단자와 제2 단자(11)의 전원 단자가 접촉되면 제1 배터리(138)와 제2 배터리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유니버셜 단자는 각종 디지털 신호 또는 각종 아날로그 신호를 소통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유니버셜 단자는 각 단말 유니트(100)가 사용하는 데이터의 종류에 무관하게 각 단말 유니트(100)의 데이터를 소통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유니버셜 단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연결 핀(20) 또는 리드선이 설정 간격으로 복수로 마련된 것일 수 있다.
USB 단자는 USB 규약을 따르는 단말 유니트(100)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와치 모듈(10)과 단말 유니트(100)는 유니버셜 단자 또는 USB 단자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도 5는 와치 모듈(10)에 착탈되는 복수 종류의 단말 유니트(1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말 유니트(100)는 제1 전화 번호가 부여된 이동 통신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단말 유니트(100)는 디스플레이 모듈, 안테나 모듈, 배터리 모듈, 처리 모듈, 통신 모듈, 센서 모듈, 카메라 기기, 내비게이션 모듈, GPS 모듈, 음향 모듈, 입력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와치 모듈(10)로부터 수신된 제2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와치 모듈(1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 모듈은 와치 모듈(10)의 출력 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 'antenna'는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가 케이스(150)에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와치 모듈(10)은 제한된 수용 공간으로 인해 통신 범위가 넓고 통신 성능이 우수한 안테나의 탑재가 곤란하다. 일 예로, 와치 모듈(10)에서 와이파이의 수신 감도가 낮은 경우, 사용자는 와치 모듈(10)에 안테나 모듈을 장착해서 와이파이의 수신 감도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처리 모듈 'CPU'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중앙 처리 장치 또는 그래픽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치 모듈(10)의 장착된 AP만으로 고사양 게임, 복잡한 연산 프로그램과 같은 컨텐츠를 원활하게 구동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이때, 게임에 특화된 처리 모듈 또는 연산에 특화된 처리 모듈을 와치 모듈(10)에 장착하면 해당 컨텐츠를 무리 없이 구동시킬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형성할 수 있다. 와치 모듈(10)에 기포함된 제2 통신부가 지원하지 않는 통신망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통신망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와치 모듈(10)에 장착시킬 수 있다.
센서 모듈 'sensor'는 피측정물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와치 모듈(10)에 피측정물, 예를 들어 와치 모듈(10)과 함께 움직이는 차량 또는 사용자의 상태를 센싱하는 센서가 없는 경우 센서 모듈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일 예로, 센서 모듈은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고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기기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기기는 설명된 카메라 모듈(170)이 탑재된 이동 통신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카메라 기기는 일반 카메라에 설치되는 망원 렌즈, 줌 렌즈 등과 이미지 센서가 마련된 순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모듈 'navigation'은 차량 운행 정보를 안내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모듈은 자체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생성해서 표시하거나, 와치 모듈(10)로부터 제공된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은 위성의 도움을 받아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와치 모듈(10)이 장착된 GPS 모듈에서 파악된 현재 위치는 와치 모듈(10)의 현재 위치가 될 수 있다.
음향 모듈은 각종 음향 데이터가 출력되는 스피커, 이어폰 단자, 음향 데이터 처리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은 데이터 입력 위해 사용되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 'battery'는 전력이 저장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착탈부(110)에 와치 모듈(10)이 장착되면 와치 모듈(10)에 배터리의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 종류의 단말 유니트(100) 중 원하는 기능을 갖는 단말 유니트(100)에 와치 모듈(10)을 장착할 수 있다. 특정 기능을 갖는 단말 유니트(100)에 장착된 와치 모듈(10)은 자체적으로 갖고 있지 않거나 다소 부족한 기능을 단말 유니트(100)를 통해 보충할 수 있다.
복수의 단말 유니트(100)는 서로 착탈될 수 있다. 복수의 단말 유니트(100)가 서로 장착된 경우, 와치 모듈(10)은 어느 하나의 단말 유니트(100)에만 장착되어도 무방하다.
도 6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연결된 단말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동일 종류의 단말 유니트(100)가 복수로 마련된 경우, 각 단말 유니트(100)는 서로 착탈될 수 있다.
일 예로, 와치 모듈(10)에서 부족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보완하기 위해, 와치 모듈(10)로부터 제공된 제2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연결된 경우 와치 모듈(10)은 복수의 제2 데이터를 단말 유니트(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로 연결된 각 디스플레이 모듈은 각 데이터를 구분해서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와치 모듈(10)로부터 1개의 제2 데이터가 전송되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특정 디스플레이에만 해당 제2 데이터가 표시되고 나머지는 오프(off)될 수 있다.
또는, 1개의 제2 데이터가 분할되어 각 디스플레이 모듈에 나누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합쳐져 하나의 데이터가 표시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형성하게 된다.
도 7은 와치 모듈(10)에 입출력 모듈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단말 유니트(100)는 데이터가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입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입출력 모듈은 디스플레이 모듈이나 입력 모듈일 수 있다. 단말 유니트(100)에 와치 모듈(10)이 장착되면, 입출력 모듈은 와치 모듈(10)의 입출력 장치가 될 수 있다.
도 7에서 와치 모듈(10)은 배터리 모듈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모듈의 일측에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되고, 배터리 모듈의 타측에는 키보드 등의 입력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의 전력은 와치 모듈(10), 디스플레이 모듈, 입력 모듈로 제공될 수 있다.
와치 모듈(10)은 특정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 수단 또는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 수단으로 기능하며, 디스플레이 모듈은 와치 모듈(10)의 출력 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 입력 모듈은 와치 모듈(10)의 입력 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와 비교해서 와치 모듈(10)의 부족한 부분인 입력 수단, 출력 수단, 배터리가 모두 보완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8은 카메라 기기에 와치 모듈(10)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카메라 기기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유사하게 일면에 카메라 모듈(170)이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기기의 타면에는 카메라 모듈(170)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표시되는 제1 디스플레이(135)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135) 등이 구비된 카메라 기기는 와치 모듈(10)과 분리되더라도 그 자체로서 완성된 카메라를 형성할 수 있다.
카메라 기기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170)의 렌즈 또는 이미지 센서는 이동 통신 카메라에 설치된 소형의 렌즈 또는 이미지 센서와 비교해서 대규모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셀프 촬영 모드와 주변 촬영 모드를 제공하기 위해 대규모의 렌즈 또는 이미지 센서를 단말 유니트(100)의 앞뒷면에 각각 마련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1개의 카메라 모듈(170)을 이용해 셀프 촬영 모드와 주변 촬영 모드를 구현하기 위해, 카메라 기기에 마련된 착탈부(110)는 렌즈가 설치된 면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영상 데이터의 확인을 위해 렌즈가 카메라 기기의 일면에 형성될 때, 제1 디스플레이(135)는 카메라 기기의 타면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셀프 촬영 모드시 렌즈 반대편에 위치한 제1 디스플레이(135)를 확인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그런데, 렌즈가 설치된 측에 착탈부(110)가 형성된 경우, 촬영자는 착탈부(110)에 장착된 와치 모듈(10)의 제2 디스플레이(15)를 통해 현재 자신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착탈부(110)에 와치 모듈(10)이 장착되면, 와치 모듈(10)이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해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와치 모듈 11...제2 단자
13...제2 입력부 15...제2 디스플레이
18...마이크로 USB 20...연결 핀
30...손목 밴드 31...안착부
100...단말 유니트 110...착탈부
111...제1 단자 119...커버
133...제1 입력부 135...제1 디스플레이
138...제1 배터리 139...제1 스피커
150...케이스 170...카메라 모듈

Claims (13)

  1. 무선 통신이 가능한 분리형 와치 모듈;
    상기 와치 모듈이 착탈되는 단말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와치 모듈이 상기 단말 유니트에 장착되면, 상기 와치 모듈과 상기 단말 유니트는 서로 통신 가능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단말 유니트에는 제1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처리하는 제1 처리부, 상기 제1 데이터 또는 상기 와치 모듈로부터 수신된 제2 데이터가 선택적으로 표시되는 제1 디스플레이, 데이터 입력을 위해 사용되는 제1 입력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입력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1 데이터가 표시 중이면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제1 처리부로 전달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2 데이터가 표시 중이면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와치 모듈로 전달하는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치 모듈은 사람의 손목에 착용되는 손목 시계의 본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손목에 착용되는 손목 밴드에 착탈되는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유니트에는 상기 와치 모듈이 수용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와치 모듈이 착탈되는 착탈부가 마련되고,
    상기 착탈부에는 상기 와치 모듈의 제2 단자에 접촉되는 제1 단자가 마련되며,
    상기 와치 모듈과 상기 단말 유니트는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를 이용해 서로 통신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유니트는 복수로 마련되고,
    각 단말 유니트는 서로 착탈 가능하며,
    특정 단말 유니트에 상기 와치 모듈 및 다른 단말 유니트가 장착되면, 상기 와치 모듈과 상기 다른 단말 유니트는 상기 특정 단말 유니트를 거쳐 서로 통신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치 모듈이 상기 단말 유니트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와치 모듈과 상기 단말 유니트는 각각 독립적인 단말기가 되고,
    상기 와치 모듈이 상기 단말 유니트에 장착되면, 상기 와치 모듈과 상기 단말 유니트는 서로의 자원을 공유하는 하나의 단말기가 되는 단말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유니트는 데이터가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입출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 유니트에 상기 와치 모듈이 장착되면, 상기 입출력 모듈은 상기 와치 모듈의 입출력 장치가 되는 단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유니트의 일면에는 상기 와치 모듈이 착탈되는 착탈부 및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이 마련되고,
    상기 단말 유니트의 타면에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가 마련되며,
    상기 착탈부에 착탈되는 상기 와치 모듈에는 제2 디스플레이가 마련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촬영자가 상기 단말 유니트의 일면 측에 위치하는 셀프 촬영 모드와 상기 촬영자가 상기 단말 유니트의 타면 측에 위치하는 주변 촬영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며,
    상기 착탈부에 상기 와치 모듈이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셀프 촬영 모드로 구동되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영상 데이터가 표시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주변 촬영 모드로 구동되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상기 영상 데이터가 표시되는 단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유니트는 제1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와치 모듈은 제2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단말 유니트에 상기 와치 모듈이 장착되면, 상기 와치 모듈은 상기 제2 데이터를 상기 단말 유니트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 유니트는 상기 제2 데이터를 이용해서 상기 제1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유니트에는 상기 와치 모듈이 착탈되는 착탈부, 전력이 저장되는 제1 배터리, 상기 착탈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단자가 마련되고,
    상기 와치 모듈에는 상기 착탈부에 장착되면 상기 제1 단자에 접촉되는 제2 단자, 상기 제2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배터리가 마련되며,
    상기 착탈부에 상기 와치 모듈이 장착되면, 상기 제1 배터리의 전력은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를 거쳐 상기 제2 배터리에 제공되는 단말 장치.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2 데이터가 표시 중이면, 상기 제1 처리부에서 생성된 제1 데이터는 상기 단말 유니트에 마련된 제1 저장부에 임시 저장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2 데이터의 표시가 종료되면 상기 제1 저장부에 임시 저장된 상기 제1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말 장치.
  13. 무선 통신이 가능한 분리형 와치 모듈;
    상기 와치 모듈이 착탈되는 단말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와치 모듈이 상기 단말 유니트에 장착되면, 상기 와치 모듈과 상기 단말 유니트는 서로 통신 가능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와치 모듈의 윗면에는 데이터가 표시되는 제2 디스플레이가 마련되고,
    상기 와치 모듈의 측면 또는 밑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외부 케이블이 연결되는 마이크로 USB(Universal Serial Bus)가 형성되며,
    상기 마이크로 USB는 와치 모듈에 마련된 제2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 전원에 연결된 상기 외부 케이블이 상기 마이크로 USB에 장착되면, 상기 외부 전원의 전력은 상기 제2 배터리로 직접 제공되는 단말 장치.
KR1020160069504A 2016-06-03 2016-06-03 와치 모듈이 마련된 단말 장치 KR101731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504A KR101731362B1 (ko) 2016-06-03 2016-06-03 와치 모듈이 마련된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504A KR101731362B1 (ko) 2016-06-03 2016-06-03 와치 모듈이 마련된 단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1362B1 true KR101731362B1 (ko) 2017-04-28

Family

ID=58702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9504A KR101731362B1 (ko) 2016-06-03 2016-06-03 와치 모듈이 마련된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3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709B1 (ko) 2017-11-30 2018-11-29 주식회사 모두앤모두 페이저 케이스
CN111443588A (zh) * 2020-05-19 2020-07-24 吴铭 智能手表拓展底座和智能手表组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80861A1 (en) 2008-05-09 2009-11-12 Ashana Sabana Nisha Khan Multifunctional all-in-one detachable wrist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80861A1 (en) 2008-05-09 2009-11-12 Ashana Sabana Nisha Khan Multifunctional all-in-one detachable wrist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709B1 (ko) 2017-11-30 2018-11-29 주식회사 모두앤모두 페이저 케이스
CN111443588A (zh) * 2020-05-19 2020-07-24 吴铭 智能手表拓展底座和智能手表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84537B1 (en) Smart watch
CN110764730B (zh) 播放音频数据的方法和装置
US9301085B2 (en) Computer headset with detachable 4G radio
EP2813907B1 (en) Watch type mobile terminal
JP6630441B2 (ja) 耳保護デバイス、通信システム、及び保護ヘルメット
EP3300386A1 (en) Bluetooth headset and watch including same
CN110618805B (zh) 调整设备电量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JP2008017442A (ja) 携帯型電子システム
AU2015324551A2 (en) Low-profile lens mount
US20170052561A1 (en) Multifunctional Wearable with Live Cam
KR101731362B1 (ko) 와치 모듈이 마련된 단말 장치
KR20170006075A (ko) 이동 단말기
KR102168692B1 (ko) 송수신기능이 일체로 구비된 안전모
US11445284B2 (en) Portable audio equipment
US20020055368A1 (en) Wireless digital transceiver
KR101110424B1 (ko) 손목시계 겸용 블루투스 헤드셋
KR20190057286A (ko) 이동 단말기
KR101659030B1 (ko) 와치 타입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JP2010136388A (ja) 携帯情報端末用ディジタルカメラ及びディ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
KR101731358B1 (ko) 착탈부가 마련된 단말 장치
US20060246948A1 (en) Reconfigurable peripheral device for use with wireless apparatus
CN104598853B (zh) 一种具有电子设备功能的卡保护套
CN113949751B (zh) 一种可折叠的电子设备
JP2006041787A (ja) 無線通信用ヘッドセット装置
KR101705274B1 (ko) 차량용 단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