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1358B1 - 착탈부가 마련된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착탈부가 마련된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358B1
KR101731358B1 KR1020160069497A KR20160069497A KR101731358B1 KR 101731358 B1 KR101731358 B1 KR 101731358B1 KR 1020160069497 A KR1020160069497 A KR 1020160069497A KR 20160069497 A KR20160069497 A KR 20160069497A KR 101731358 B1 KR101731358 B1 KR 101731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ch module
unit
module
display
w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9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운
Original Assignee
이재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운 filed Critical 이재운
Priority to KR1020160069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3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4Moun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G04G17/045Mounting of the display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4Suspending devices, supports or stands for time-pieces insofar as they form part of the case
    • G04B37/1486Arrangements for fixing to a bracelet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6Electric connectors, e.g. conductive elastomer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8Housing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9/00Electric power supply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electronic time-piec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4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6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using voice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8Touch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time-pie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단말 장치는 서버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분리형 와치 모듈이 착탈되는 착탈부; 상기 와치 모듈과 데이터를 주고 받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착탈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설치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착탈부에 상기 와치 모듈이 장착되면 동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착탈부가 마련된 단말 장치{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와치 모듈이 착탈되는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전과 사용자의 수요 증대가 맞물리면서,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성이 강조되고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단말기 시장이 크게 성장하고 있다.
이런 시장성에 힘입어 스마트폰의 보급이 확대되고, 스마트폰의 크기가 커지면서 스마트폰을 주머니나 가방에서 꺼내지 않고도 스마트폰의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다른 단말기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스마트 와치는 이러한 시장의 요구를 만족할 수 있는 신체 착용형 단말기로 활발이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 시계는 일반 시계와 같이 손목에 착용 가능하고, 스마트폰의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제한된 디스플레이 크기와 배터리 용량으로 인해 스마트폰과 비교해서 활용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 시계가 있더라도 스마트폰을 함께 휴대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스마트 시계에 대한 기대감과 선호도가 낮아지게 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5117호에는 사용자의 행동 패턴 및 신체적 변화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품 선호도를 확인시켜주는 스마트 와치가 개시되고 있으나, 스마트 와치가 갖는 태생적 한계를 그대로 갖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5117호
본 발명은 와치 모듈을 일반 스마트폰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단말 장치는 무선 전화 통화가 가능한 분리형 와치 모듈이 착탈되는 착탈부; 상기 와치 모듈과 데이터를 주고 받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착탈부와 인터페이스부가 설치되고 휴대 가능한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착탈부에 상기 와치 모듈이 장착되면 동작될 수 있다.
이때, 와치 모듈은 손목에 감기는 손목 밴드에 착탈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말 장치는 일반 스마트폰과 비교하여 와치 모듈의 부족한 부분을 와치 모듈에 부가할 수 있다.
따라서, 와치 모듈이 장착되면 본 발명의 단말 장치는 스마트폰과 동일한 이동 통신 단말기가 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와치 모듈 외에 별도의 스마트폰을 구입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와치 모듈에 대한 관심과 구매 의욕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 장치는 기장착된 와치 모듈의 입력 장치와 출력 장치로 기능하므로, 커다란 디스플레이 화면과 커다란 키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의 입력과 확인이 어려운 와치 모듈의 단점이 해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말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와치 모듈이 장착된 상태의 본 발명의 단말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단말 장치의 타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손목 밴드에 착탈되는 와치 모듈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말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단말 장치는 서버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분리형 와치 모듈(10), 와치 모듈이 착탈되는 단말 유니트(10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분리형 와치 모듈(10)은 손목 시계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서버와 각종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무선 전화 통화가 가능할 수 있다.
와치 모듈(10)은 손목에 감기는 손목 밴드(30)에 착탈 가능할 수 있다. 손목 밴드(30)로부터 이탈된 와치 모듈(10)은 착탈부(110)에 장착될 수 있다. 와치 모듈(10)은 현재 시각을 표시하는 기본 기능 외에도 다양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와치 모듈(10)은 스마트폰과 마찬가지로 이동 통신 단말기가 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와치 모듈(10)과 이동 통신 단말기를 구분해서 사용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와치 모듈(10)은 손목에 차는 시계의 크기를 갖는 단말기로 정의되며, 이동 통신 단말기는 휴대 가능한 범위 내에서 대형의 디스플레이와 케이스(150)를 갖는 단말기로 정의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예로 스마트폰, 스마트폰보다 큰 크기의 스마트 패드가 있을 수 있다.
스마트폰 등의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와 비교해서 와치 모듈(10)은 손목에 차는 시계와 같은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칩 제조 기술의 발달로 인해 와치 모듈(10)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동일한 AP(Application Processor)가 탑재될 수 있으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추종하는 용량의 메모리가 탑재될 수 있다. 따라서, 와치 모듈(10)의 데이터 처리 성능 및 데이터 저장 용량은 이동 통신 단말기와 거의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와치 모듈(10)은 이동 통신 단말기와 비교하여 작은 크기로 인해, 작은 용량의 배터리가 적용되고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 및 입력 수단이 적용될 수 밖에 없다. 또한, 경우에 따라 스피커와 마이크가 배제되고, 해당 스피커와 마이크가 연결되는 연결 잭만 탑재될 수도 있다.
와치 모듈(10)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하는 동일한 컨텐츠를 처리할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한된 디스플레이 및 제한된 입력 수단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제한된 컨텐츠만 활용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와치 모듈(10)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일부 기능만을 구현하는 셈이 되므로, 사용자는 와치 모듈(10)이 있다 하더라도 별도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함께 휴대하게 된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와치 모듈(10)의 기능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와치 모듈(10)에 대한 구입 욕구가 낮아질 수밖에 없다.
사용자의 구입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제조사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비교해서 와치 모듈(10)이 갖는 강점을 꾸준히 탐색하고 연구하는 방향을 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신체에 접촉되는 와치 모듈(10)의 특징을 이용해서 생체 신호를 센싱하고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와치 모듈(10)에 부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아직까지 사용자의 구매 욕구를 유발하기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단말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비교하여 와치 모듈(10)에 부족한 부분을 메우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와치 모듈(10)에서 부족한 부분은 대표적으로 입력 수단, 표시 수단, 배터리일 수 있다.
일 예로, 와치 모듈(1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는 직경이 2인치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로 인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게임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표시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설령, 복잡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처리되고 표시되더라도 제한된 용량의 배터리로 인해 사용 시간이 극도로 단축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와 같이 디스플레이를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한다고 하더라도, 손가락 크기 정도의 터치 스크린으로는 특정 문자를 구분해서 입력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다양한 문자 입력이 요구되는 컨텐츠를 와치 모듈(10)에서 이용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입력 수단, 표시 수단, 배터리의 문제로 인해 와치 모듈(10)에는 극히 제한된 기능의 컨텐츠가 탑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와치 모듈(10)을 갖고 있더라도 별도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함께 이용하게 된다.
반대로 말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이용되는 컨텐츠를 그대로 와치 모듈(10)에서 이용할 수 있다면, 사용자는 굳이 별도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구매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손목에도 차고 다닐 수 있는 와치 모듈(10)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이용되는 컨텐츠를 와치 모듈(10)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단말 유니트(100)는 착탈부(110), 인터페이스부(130), 케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착탈부(110)에는 서버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와치 모듈(10)이 착탈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이미 완성된 단말기에 해당하는 와치 모듈(10)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부(130)는 와치 모듈(10)의 입력 수단 또는 표시 수단이 될 수 있으며, 착탈부(110)에 와치 모듈(10)이 장착되면 동작되는 것이 좋다.
착탈부(110)와 인터페이스부(130)는 케이스(150)에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150)는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휴대 편의성을 고려해서 케이스(150)는 스마트폰 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형 및 크기를 추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탈부(110)에 와치 모듈(10)이 장착되면, 와치 모듈(10)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 수단과 서버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 수단이 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와치 모듈(1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가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되는 표시 수단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인터페이스부(130)는 이미지 데이터가 표시되는 제1 디스플레이(135)를 포함하거나, 음성 데이터가 출력되는 제1 스피커(139)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와치 모듈(10)로 제공되는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 수단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인터페이스부(130)는 음성 데이터가 입력되는 제1 마이크, 터치 신호가 입력되는 제1 터치 스크린 또는 제1 키패드(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스크린 또는 제1 키패드(133)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 제1 키패드(133) 또는 제1 터치 스크린은 입력된 데이터를 와치 모듈(10)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키패드(133)는 착탈부(110)가 형성된 케이스(15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터치 스크린은 제1 디스플레이(135)와 함께 케이스(150)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터치 스크린이 마련된 경우 제1 키패드(133)는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착탈부(110) 및 인터페이스부(130)는 케이스(150)에 탑재되므로, 와치 모듈(10)이 장착된 케이스(150)는 처리 수단, 통신 수단, 표시 수단, 입력 수단이 모두 구비된 하나의 완성된 이동 통신 단말기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와치 모듈(10)이 장착된 케이스(150)는 그 자체가 스마트폰 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와치 모듈(10)이 미장착되면, 케이스(150)에는 표시 수단과 입력 수단만 구비된 상태가 되며, 표시 수단과 입력 수단은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못할 수 있다.
케이스(150)에는 착탈부(110)에 장착된 와치 모듈(10)로 전력을 제공하는 제1 배터리가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150)의 크기는 와치 모듈(10)과 비교해서 크므로, 케이스(150)에 수납되는 제1 배터리 역시 와치 모듈(10)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1 배터리의 전력이 와치 모듈(10)로 제공되면, 와치 모듈(10)의 사용 시간이 연장될 뿐만 아니라 많은 전력을 소모하는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구동시킬 수 있는 기반이 제공될 수 있다.
와치 모듈(10)에도 자체적으로 전력을 충전하거나 방전하는 제2 배터리가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150)에 마련된 제1 배터리의 전력은 와치 모듈(10)을 구동시키는 동시에 와치 모듈(10)에 마련된 제2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보조 배터리의 기능을 겸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에 마련된 표시 수단 및 입력 수단은 와치 모듈(10)에도 설치된 상태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에 마련된 표시 수단을 제1 표시부로 정의하고, 와치 모듈(10)에 마련된 표시 수단을 제2 표시부로 정의한다.
인터페이스부(130)에 마련된 입력 수단을 제1 입력부로 정의하고, 와치 모듈(10)에 마련된 입력 수단을 제2 입력부로 정의한다.
제1 표시부는 와치 모듈(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표시되며, 제1 디스플레이(135) 또는 제1 스피커(13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입력부는 와치 모듈(10)로 제공되는 데이터가 입력되고, 음성 데이터가 입력되는 제1 마이크, 터치 신호가 입력되는 제1 터치 스크린 또는 제1 키패드(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착탈부(110)에 와치 모듈(10)이 장착되면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와치 모듈(10)에 마련된 제2 표시부를 대신해서 제1 표시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30)는 와치 모듈(10)에 마련된 제2 입력부를 대신해서 제1 입력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제2 입력부는 와치 모듈(10)에 마련된 제2 터치 스크린 또는 제2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공간적 문제로 인해 제2 키패드는 와치 모듈(10)의 측면에 형성된 버튼(13)으로 대체될 수 있다.
와치 모듈(10)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가 출력되는 제1 스피커(139), 와치 모듈(10)로 제공되는 음성 데이터가 입력되는 제1 마이크가 인터페이스부(130)에 마련된 경우, 제1 스피커(139)는 케이스(15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마이크는 케이스(150)의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와 유사한 형상과 크기로 케이스(150)가 형성되므로, 전화 통화시 제1 스피커(139)는 귀에 대고 착신음을 들을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제1 마이크는 사용자의 입과 가깝게 배치되고 발신음을 생성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스테레오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제1 스피커(139)는 케이스(15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마련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30)에는 와치 모듈(10)과 통신하는 제1 통신부가 마련될 수 있다. 와치 모듈(10)에는 제1 통신부와 통신하는 제2 통신부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통신부는 다양한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제1 표시부는 제1 통신부에 수신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는 제1 통신부를 거쳐 와치 모듈(10)로 전달될 수 있다.
착탈부(110)에는 와치 모듈(10)이 장착되면 와치 모듈(10)에 마련된 제2 단자(11)에 접촉하는 제1 단자(111)가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150)에는 제1 단자(1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배터리가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150)에 마련된 제1 배터리는 착탈부(110)에 와치 모듈(10)이 장착되면, 제1 단자(111) 및 제2 단자(11)를 순서대로 거쳐 와치 모듈(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배터리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와치 모듈(10)에 기충전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통신부는 제1 단자(111)가 제2 단자(11)에 접촉되면 와치 모듈(10)과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부(130)는 와치 모듈(10)의 입출력 수단이 되는 요소이므로, 처리 수단 또는 통신 수단에 해당하는 와치 모듈(10)이 배제되면 구동될 필요가 없다. 와치 모듈(10)이 연결된 상태는 제1 단자(111)에 접촉된 제2 단자(11)를 통해 파악될 수 있다. 와치 모듈(10)이 연결된 것으로 파악되면, 제1 통신부가 동작되고, 제1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제1 입력부 및 제1 출력부 역시 동작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1 단자(111)는 제1 배터리의 충전 전력을 제공하는 용도 외에도 와치 모듈(10)과 특정 데이터를 주고 받는 유선 통신 모듈로 기능할 수도 있다.
제1 단자(111)만으로 필요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어려운 경우, 제1 통신부는 와치 모듈(10)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다양한 무선 모듈,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와이파이(Wi-Fi)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해당 무선 모듈 역시 제1 단자(111)가 제2 단자(11)에 접촉되면 구동될 수 있다.
정리하면, 제1 통신부는 제1 단자(111), 무선 모듈을 이용해 와치 모듈(10)과 통신 가능한 채널을 복수로 생성할 수 있다.
복수의 채널을 통해 각종 데이터가 송수신되므로, 인터페이스부(130)에 포함된 각종 입력 수단과 표시 수단은 와치 모듈과 일체로 형성된 것과 유사하게 신속하고 정확하게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와치 모듈(10)에는 카메라 모듈(170)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손목 밴드(30)에 착탈되는 제한된 크기의 와치 모듈(10)에는 카메라 모듈(170)이 배제된 상태일 수 있다. 가용 자원이 낭비되는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인터페이스부(130)에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170)이 마련될 수 있다. 해당 카메라 모듈(170)은 특정 데이터를 와치 모듈(10)로 제공하는 입력 수단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70)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는 와치 모듈(10)로 전달되며, 와치 모듈(10)에서 처리될 수 있다. 와치 모듈(10)에서 처리된 영상 데이터는 와치 모듈(10)의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인터페이스부(130)의 표시 수단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70)은 착탈부(110)가 형성된 케이스(150)의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150)의 타면에는 카메라 모듈(170)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표시되는 제1 디스플레이(135)가 마련될 수 있다.
와치 모듈(10)이 착탈부(110)에 장착되면, 인터페이스부(130)는 영상 데이터를 와치 모듈(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영상 데이터는 제1 디스플레이(135) 및 와치 모듈(10)의 제2 디스플레이(15)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디스플레이(15) 표시된 영상 데이터를 확인하며서 자신의 사진, 소위 셀카를 찍을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제2 디스플레이(15)에 표시된 영상 데이터를 확인하면서 주변의 사진을 찍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150)의 앞면과 뒷면 모두에 디스플레이가 마련되고, 앞면에만 카메라가 설치된 단말기가 제공되는 셈이 된다. 따라서, 저성능의 셀카용 카메라가 배제되고 고성능의 카메라 1대로 셀카와 주변 사진을 모두 찍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와치 모듈(10)이 장착된 상태의 본 발명의 단말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케이스(150)의 일면에는 홈 형상의 착탈부(110)가 마련될 수 있다.
홈 형상의 착탈부(110)에 와치 모듈(10)이 안착되면 와치 모듈(10)의 가장자리를 덮는 커버(119)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커버(119)를 분리하기 전까지 와치 모듈(10)은 착탈부(110)에 확실하게 장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커버(119)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해당 나사산에 대응하여 착탈부(110)의 주변에도 커버(119)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119)는 나사 결합 방식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케이스 또는 착탈부(110)에 장착될 수 있다.
케이스(150)의 제1 면에서 착탈부(110)를 제외한 자리에는 카메라 모듈(170)과 제1 키패드(133)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135)와 제1 터치 스크린이 케이스(150)에 마련된 경우 제1 키패드(133)는 생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단말 장치의 타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착탈부(110)가 마련된 케이스(150)의 일면에 반대되는 케이스(150)의 타면에는 제1 디스플레이(135), 제1 스피커(139)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135)에는 제1 터치 스크린이 함께 설치된 상태일 수 있다. 제1 터치 스크린이 내재된 제1 디스플레이(135)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와 동일하게 동작될 수 있다.
제1 스피커(139)는 케이스(150)의 타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스테레오 음성 데이터를 구분해서 출력할 수 있다. 통화음의 입력을 위해 케이스(150)의 타면 일측 또는 케이스(150)의 측면에는 제1 마이크가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손목 밴드(30)에 착탈되는 와치 모듈(10)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케이스(150)의 착탈부(110)로부터 분리된 와치 모듈(10)은 손목에 채워지는 손목 밴드(30)에 장착될 수 있다. 와치 모듈(10)이 장착된 손목 밴드(30)는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기기를 형성할 수 있다. 와치 모듈(10)이 손목 밴드(30)에 장착되면, 손목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기기가 되고, 웨어러블 기기에서 와치 모듈(10)을 분리하면 단말 유니트(100)에 착탈 가능한 상태가 된다.
손목 밴드(30)에는 와치 모듈(10)이 장착되는 안착부(31)가 형성되고, 안착부(31)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 밴드와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2 밴드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밴드의 단부와 제2 밴드의 단부에는 서로 착탈되는 고리, 버클 등의 착탈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 환경에 맞춰 손목 밴드(30)에 와치 모듈(10)을 장착해서 사용하거나, 본 발명의 단말 장치에 장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스마트 와치를 일반적인 스마트 시계로 활용하게 되고, 후자의 경우 스마트 와치와 본 발명의 단말 장치를 결합해서 일반적인 스마트폰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치 모듈(10)의 사용 환경을 다각화시킨 본 발명의 단말 장치에 따르면, 스마트 와치가 널리 보급될 수 있다.
제1 단자(111)와 제2 단자(11)가 서로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제1 통신부의 무선 모듈이 와치 모듈(10)과 통신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본 발명의 단말 장치는 와치 모듈(10)의 무선 입출력 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
케이스(150)에 제1 디스플레이(135) 및 제1 터치 스크린이 배제되고, 제1 키패드(133)가 설치된 경우 각종 데이터의 표시 수단으로 와치 모듈(10)에 장착된 제2 디스플레이(15)가 이용될 수 있다. 이때, 모습은 흡사 스마트폰 이전의 폴더폰 또는 2G 폰과 유사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와치 모듈 11...제2 단자
13...버튼 15...제2 디스플레이
30...손목 밴드 31...안착부
100...단말 유니트 110...착탈부
111...제1 단자 130...인터페이스부
133...제1 키패드 135...제1 디스플레이
139...제1 스피커 150...케이스
170...카메라 모듈

Claims (11)

  1. 서버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분리형 와치 모듈이 착탈되는 착탈부;
    상기 와치 모듈과 데이터를 주고 받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착탈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설치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와치 모듈은 입력 수단에 해당하는 제2 입력부, 표시 수단에 해당하는 제2 표시부,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 수단,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완성된 단말기로 손목에 감기는 손목 밴드에 착탈 가능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에는 상기 와치 모듈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표시되는 제1 표시부, 상기 와치 모듈로 제공되는 데이터가 입력되는 제1 입력부가 마련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착탈부에 상기 와치 모듈이 장착되면 동작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착탈부에 상기 와치 모듈이 장착되면 상기 와치 모듈에 마련된 제2 표시부를 대신해서 상기 제1 표시부를 구동시키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착탈부에 상기 와치 모듈이 장착되면 상기 와치 모듈에 마련된 제2 입력부를 대신해서 상기 제1 입력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2 표시부를 대신해서 구동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마련된 상기 제1 표시부는 상기 제2 표시부를 대신해서 상기 와치 모듈의 표시 수단이 되며,
    상기 제2 입력부를 대신해서 구동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마련된 상기 제1 입력부는 상기 제2 입력부를 대신해서 상기 와치 모듈의 입력 수단이 되는 단말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제1 배터리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배터리의 전력은 상기 착탈부에 장착된 상기 와치 모듈로 제공되는 단말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에는 상기 와치 모듈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가 출력되는 제1 스피커, 상기 와치 모듈로 제공되는 음성 데이터가 입력되는 제1 마이크가 마련되고,
    상기 제1 스피커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마이크는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마련되는 단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데이터가 입력되는 제1 키패드가 마련되고,
    상기 제1 키패드는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데이터를 상기 와치 모듈로 전달하는 단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에는 상기 와치 모듈과 통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제1 통신부에 수신된 데이터가 표시되는 상기 제1 표시부, 상기 와치 모듈로 제공되는 데이터가 입력되는 상기 제1 입력부가 마련되고,
    상기 착탈부에는 상기 와치 모듈이 장착되면 상기 와치 모듈에 마련된 제2 단자에 접촉되는 제1 단자가 마련되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배터리가 마련되고,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제1 단자가 상기 제2 단자에 접촉되면 상기 와치 모듈과 통신하는 단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치 모듈에는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 수단이 마련되고,
    손목 밴드에 착탈되는 제한된 크기의 상기 와치 모듈에는 카메라 모듈이 배제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에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이 마련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와치 모듈로 전달되며, 상기 와치 모듈에서 처리되는 단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가 형성된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는 카메라 모듈이 마련되고,
    상기 케이스의 타면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표시되는 제1 디스플레이가 마련되는 단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와치 모듈이 상기 착탈부에 장착되면,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와치 모듈로 제공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와치 모듈의 제2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되며,
    사용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확인하면서 자신의 사진을 찍거나,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확인하면서 주변의 사진을 찍는 단말 장치.
KR1020160069497A 2016-06-03 2016-06-03 착탈부가 마련된 단말 장치 KR101731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497A KR101731358B1 (ko) 2016-06-03 2016-06-03 착탈부가 마련된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497A KR101731358B1 (ko) 2016-06-03 2016-06-03 착탈부가 마련된 단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1358B1 true KR101731358B1 (ko) 2017-04-28

Family

ID=58701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9497A KR101731358B1 (ko) 2016-06-03 2016-06-03 착탈부가 마련된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3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709B1 (ko) * 2017-11-30 2018-11-29 주식회사 모두앤모두 페이저 케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7324A (ja) 2005-01-04 2008-07-24 グローバル・ウォッチ・インダストリーズ・ソシエタ・ア・レスポンサビリタ・リミタータ イヤホン機能付き腕時計
US20090280861A1 (en) 2008-05-09 2009-11-12 Ashana Sabana Nisha Khan Multifunctional all-in-one detachable wrist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7324A (ja) 2005-01-04 2008-07-24 グローバル・ウォッチ・インダストリーズ・ソシエタ・ア・レスポンサビリタ・リミタータ イヤホン機能付き腕時計
US20090280861A1 (en) 2008-05-09 2009-11-12 Ashana Sabana Nisha Khan Multifunctional all-in-one detachable wrist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709B1 (ko) * 2017-11-30 2018-11-29 주식회사 모두앤모두 페이저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1520B1 (ko) 이동 단말기
EP2984537B1 (en) Smart watch
US20160142093A1 (en) Protective Case Accessory With Multi-Function Button For Smart-phone Device
CN111148271B (zh) 一种控制助听器的方法及终端
US20040063475A1 (en) Wrist mobile phone device having voice activated wireless headset
US20230033660A1 (en) Eyewear supporting messages
US9904254B1 (en) Customizable smart watch and housing
WO2020063605A1 (zh) 一种生成截图的方法、控制方法及电子设备
US20230057654A1 (en) Wireless headset supporting messages and hearing enhancement
KR101613953B1 (ko) 휴대 단말기
KR20090102241A (ko) 휴대 단말기
ATE445963T1 (de) Tragbares endgerät mit digitalkamerafunktion
CN112532145B (zh) 马达振动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09035180A (zh) 视频播放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160277052A1 (en) Modular Portable Power Device
CN111103689A (zh) 一种可穿戴设备
US9191482B1 (en) Watch, mobile telephone and video camera system
US20240289088A1 (en) Volume Adjustment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KR102168692B1 (ko) 송수신기능이 일체로 구비된 안전모
KR101731358B1 (ko) 착탈부가 마련된 단말 장치
US7353043B2 (en) Mobile communication peripheral device
KR101731362B1 (ko) 와치 모듈이 마련된 단말 장치
US7266392B2 (en) Reconfigurable peripheral device for use with wireless apparatus
JP7452440B2 (ja) ウェアラブル装置
CN210954486U (zh) 一种可穿戴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