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1340B1 - 무통 채혈기 - Google Patents

무통 채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340B1
KR101731340B1 KR1020160085674A KR20160085674A KR101731340B1 KR 101731340 B1 KR101731340 B1 KR 101731340B1 KR 1020160085674 A KR1020160085674 A KR 1020160085674A KR 20160085674 A KR20160085674 A KR 20160085674A KR 101731340 B1 KR101731340 B1 KR 101731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holder
needle body
dampe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5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원
최임철
Original Assignee
최정원
최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원, 최임철 filed Critical 최정원
Priority to KR1020160085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3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340B1/ko
Priority to CA3028349A priority patent/CA3028349A1/en
Priority to EP17792887.6A priority patent/EP3453325A4/en
Priority to JP2018558123A priority patent/JP2019519274A/ja
Priority to RU2018142232A priority patent/RU2717636C1/ru
Priority to PCT/KR2017/004661 priority patent/WO2017191985A2/ko
Priority to AU2017260474A priority patent/AU2017260474A1/en
Priority to SG11201809730SA priority patent/SG11201809730SA/en
Priority to EP21150771.0A priority patent/EP3834724A3/en
Priority to CN201780027233.2A priority patent/CN109310379A/zh
Priority to US16/097,871 priority patent/US20190142321A1/en
Priority to IL262760A priority patent/IL262760A/en
Priority to PH12018502326A priority patent/PH12018502326A1/en
Priority to ZA2018/08138A priority patent/ZA201808138B/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within the blood, pH-value of blood
    • A61B5/1405Devices for taking blood samples
    • A61B5/1411Devices for taking blood samples by percutaneous method, e.g. by lanc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 전방캡, 일측이 상기 전방캡과 결합되고 타측이 후방캡과 결합되는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와 결합되는 후방캡으로 이루어진 케이싱부; 상기 케이싱부 내에 내재되고 댐퍼 및 침바디를 발사시켜 피부를 타격하기 위한 격발부; 및 상기 케이싱부 내에 내재되고 연결축에 의해 상기 격발부와 연결되는 댐퍼부로 이루어진 채혈기에 있어서; 댐퍼부는 상부에 형성된 홀더플랜지 및 상기 홀더플랜지 아래에 형성되고 스톱바가 상하 이동하도록 장방형 구멍을 갖고 하부에는 채혈침을 삽입하기 위한 침바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침바디홀더; 상단부가 침바디홀더를 수용하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원통형의 길이방향을 따라 채혈침을 삽입 및 삽탈하기 위한 장방형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침과 침바디스프링이 출입하는 침출입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스톱바를 관통하여 끼우도록 스톱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댐퍼; 및 상기 침바디홀더의 홀더플랜지의 하면과 댐퍼의 상면 사이에서 원통형 몸체를 감싼 채 삽입된 댐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통 채혈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는 채혈기에 고정되어 있는 전방캡을 피부에 접촉한 채 댐퍼가 피부를 타격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타격강도 및 침의 침투깊이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채혈기 사용 편차에 관계없이 무통효과의 항시성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댐퍼와 채혈침 바디의 스프링이 2차에 걸쳐 순간 시차를 두고 타격함으로써 완벽한 무통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사용 후 채혈침만을 폐기함으로써 자원낭비는 물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무통 채혈기{Pain-Free Lancet Device}
본 발명은 일회용 무통 채혈침을 삽입하여 사용하기 위한 무통 채혈기(사혈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침이 피부를 뚫고 들어가기 전에 피부 관통 점 주변을 댐퍼와 침스프링이 2차에 걸쳐 순간 시차를 두고 타격한 후 침이 피하조직에 침투하게 하고, 또한 피부의 일정 깊이만큼만 침이 들어가도록 조절함으로써 환자가 통증을 완벽하게 느낄 수 없는 무통 채혈기에 관한 것이다.
혈당을 측정하거나 혈액형을 검사하기 위해서, 또는 한의학적으로 필요한 경우, 예를 들면 어혈을 제거하거나 부항 시 노폐물을 제거하기 위해 혈액 샘플로서 소량의 혈액을 채혈해야 할 때가 있는 데, 이 경우 환자는 침에 대한 따가운 통증으로 공포감을 느끼게 된다.
사람의 피부는 크게 표피(약 0.2mm), 진피(약 2 내지 3 mm) 및 피하조직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피하조직에는 동맥과 정맥이 있고, 진피에는 미세 모세혈관이 그물망처럼 분포되어 있다. 따라서, 채혈을 위해서는 모세혈관까지, 즉 피하조직 직전까지만 침이 들어가면 되는데, 종래에는 침이 직접 피부를 뚫고 들어가기 때문에 침이 피하조직을 통과하여 필요 이상으로 과도하게 너무 깊이 들어가서 심한 통증을 일으켰다. 따라서, 시중에서는 길이를 다양하게 한 칫수를 정하여 채혈침을 별도로 판매하고 있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교체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자는 동시 출원중인 특허출원 제 10-2016-0053935 호에서 채혈침에 범프 스프링을 구비하여 침이 피부를 관통하기 직전에 범프 스프링이 관통 점 주변 피부를 타격함으로써 통증을 거의 느끼지 못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채혈침 이외에 채혈기에도 타격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보다 완벽하게 통증을 없애기 위한 채혈기를 발명할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채혈기에 관한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특허 제 10-0932946 호는 채혈침이 피부를 뚫고 들어갈 때 직진성을 확보하기 위한 채혈기에 관한 것이나 통증을 없애주는 기능과는 무관하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제 10-0912202 호에서는 란셋 일체형 캡 및 무통 채혈기에 관해서 기재하고 있다. 이 특허에서는 본 발명에서처럼 타격수단으로서 란셋 몸체(채혈침 바디)(140,220,320,520)를 수납하는 캡(210, 310, 510)에 관해 기재하고 있으나, 타격수단인 캡이 피부로부터 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피부를 타격해야 하는데 사용자에 따라서 일정 거리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피부와 캡의 거리가 적정 거리보다 너무 멀면 침이 피부를 침투하지 못하고, 반대로 피부와 캡의 거리가 적정 거리보다 너무 가까우면 타격효과가 없게 된다. 따라서 타격강도 및 침의 침투깊이가 채혈기 사용자에 따라 달라지게 되어 무통효과의 항시성을 유지할 수 없어 완벽한 무통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란셋 몸체와 캡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 후 란셋 몸체만을 폐기해야 하는데 캡까지 폐기토록 함으로써 자원낭비는 물론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채혈기 사용 편차에 관계없이 무통효과의 항시성을 유지하고 완벽한 무통효과를 얻을 수 있는 무통 채혈기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와 타격수단이 항상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하여 무통효과의 항시성을 확보하고, 댐퍼와 채혈침 바디의 스프링이 2차에 걸쳐 순차적으로 타격함으로써 완벽한 무통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채혈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통형 전방캡, 일측이 상기 전방캡과 결합되고 타측이 후방캡과 결합되는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와 결합되는 후방캡으로 이루어진 케이싱부; 상기 케이싱부 내에 내재되고 댐퍼 및 침바디를 발사시켜 피부를 타격하기 위한 격발부; 및 상기 케이싱부 내에 내재되고 연결축에 의해 상기 격발부와 연결되는 댐퍼부로 이루어진 채혈기에 있어서; 댐퍼부는 상부에 형성된 홀더플랜지 및 상기 홀더플랜지 아래에 형성되고 스톱바가 상하 이동하도록 장방형 구멍을 갖고 하부에는 채혈침을 삽입하기 위한 침바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침바디홀더; 상단부가 침바디홀더를 수용하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원통형의 길이방향을 따라 채혈침을 삽입 및 삽탈하기 위한 장방형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침과 침바디스프링이 출입하는 침출입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스톱바를 관통하여 끼우도록 스톱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댐퍼; 및 상기 침바디홀더의 홀더플랜지의 하면과 댐퍼의 상면 사이에서 원통형 몸체를 감싼 채 삽입된 댐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통 채혈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 침바디 삽입공의 일측은 침바디를 옆으로 삽입 및 삽탈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고, 침바디 삽입공의 상하면은 편평한 침바디의 상하면과 결합하도록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통 채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 원통형 몸체의 하단은 채혈침의 침과 침스프링이 들어갈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고, 상기 홀더플랜지의 상단에는 상기 연결축의 하단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원형 결착홈에 결착되도록 링형 돌기가 홀더 플랜지의 내측을 향해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홀더 플랜지의 외주면에는 깊이조절부재의 내측에 형성된 나선과 결합하기 위한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통 채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 침바디 삽입공의 상하면에는 각각 침바디를 고정하기 위한 침바디 고정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통 채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에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직육면체의 침바디, 하나의 돌출부 상에 침스프링을 삽입 고정하기 위한 돌기, 상기 돌기를 관통하여 침바디에 매립된 침, 및 상기 침바디 삽입공의 상하면에 구비된 침바디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통 채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침의 피부 침투 깊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하단이 개구되어 있고, 상부 내주면에는 침바디홀더의 홀더플랜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와 결합하기 위한 나선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에는 조절부재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가 침바디홀더의 원통형 몸체의 상부에 있는 홀더플랜지에 형성된 나사와 결합되는 깊이조절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통 채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에 따라, 본 발명의 채혈기는 침이 피부를 침투하는 깊이를 조절하기 위한 깊이조절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깊이조절부재는 상하단이 개구되어 있고, 상부 내주면에는 침바디홀더의 원통형 몸체의 상부에 있는 홀더플랜지에 형성된 나사와 결합하기 위한 나선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에는 조절부재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깊이조절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 댐퍼부는, 침바디홀더 플랜지의 내측을 향해 형성되어 있는 링형 돌기와 복귀스프링을 삽입고정하기 위한 연결축 플랜지를 갖고 하부에 형성된 원형의 결착홈이 결착됨으로써, 연결축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통 채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는 채혈기에 고정되어 있는 전방캡을 피부에 접촉한 채 댐퍼가 피부를 타격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타격강도 및 침의 침투깊이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채혈기 사용 편차에 관계없이 무통효과의 항시성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댐퍼와 채혈침 바디의 스프링이 2차에 걸쳐 순간 시차를 두고 타격함으로써 완벽한 무통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사용 후 채혈침만을 폐기함으로써 자원낭비는 물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캡, 슬리브 및 후방캡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를 90도 각도로 절개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전방캡, 슬리브 및 후방캡이 생략된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격발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댐퍼부가 연결축과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댐퍼부와 연결축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부의 침바디홀더와 깊이조절부재가 분해되고, 침바디홀더와 연결축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의 댐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댐퍼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깊이조절부재와 침바디홀더가 결합되고, 침바디가 침바디홀에 삽입 또는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 댐퍼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댐퍼부의 종단면 확대도로서, 도 11(a)는 채혈침의 발사전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b)는 채혈침의 발사 직후 침이 피부에 침투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도시된 내용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채혈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부(100); 피부를 타격하도록 댐퍼(320) 및 침바디(341)를 포함한 댐퍼부(300)를 발사시키기 위한 격발부(200); 그리고 피부를 1차적으로 타격하는 댐퍼(320) 및 피부를 2차 타격하는 침스프링(342)을 포함하는 침바디홀더(310)를 갖는 댐퍼부(300)로 구성된다.
댐퍼부(300)는 발사 관성에 의해 댐퍼(320)가 피부를 제일 먼저 타격한 후 댐퍼스프링(303)의 압축력에 의해 피부에 접촉한 채로 피부를 계속 압착하고 있으며, 순간적이지만 관셩력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댐퍼(320) 이외에, 채혈침을 포함한 침바디홀더(310)의 관성력으로 인해 댐퍼스프링(303)이 압축되면, 댐퍼(320)의 상단에 안착되어 있는 스톱바(323)는 침바디홀더(312)의 장방향 구멍(313)을 따라 적당하게 조정해둔 조절부재 플랜지(351)의 선단까지 위로 이동하고, 채혈침(340)의 침바디(341)의 침스프링(342)이 피부를 타격하고, 그 직후에 침(343)이 피부의 피하조직까지 침투한 다음, 댐퍼부(300) 전체, 즉 댐퍼(320), 침바디홀더(310), 깊이조절부재(350), 스톱퍼(323), 코터핀(325), 침바디(341), 침스프링(342)이 동시에 복귀스프링(214)에 의해 발사전의 위치로 리턴한다. 이때 스톱바(323)는 조절부재플랜지(351)의 나사 조정 위치 끝까지만 상하 행정 운동을 함으로써 침(342)의 깊이가 조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의 사시도로서 케이싱부(100)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부(100)는 원통형 전방캡(101), 일측이 상기 전방캡(101)과 결합되고 타측이 후방캡(103)과 결합되는 슬리브(102), 및 상기 슬리브(102)와 결합되는 후방캡(10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방캡(101), 슬리브(102) 및 후방캡(103)은 서로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방캡(103)에는 휴대하기에 편리하게 클립(104)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발부(200)는 발사바디(201), 발사스프링(202), 발사공이(203), 사각튜브(204) 및 발사바디 복귀스프링(205)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발사바디(201)는, 도 5 내지 도 7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재(206), 상기 누름부재(206) 선단에 형성된 발사플랜지(207) 및 발사공이(203)와 발사스프링(202)을 수용하기 위해 일측이 개방된 중공형 사면체(208)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7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공형 사면체(208)의 일면과 그 반대면의 하부에는 윗변이 경사진 사각형의 구멍(211)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 두 사각구멍들(211)중 하나의 윗변은 서로 반대방향(즉, '\' 또는 '/')으로 경사져 있다. 상기 발사공이(203)의 일측에는 발사스프링(210)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발사공이(203)의 중간 부분에는 트리거핀(212)이 관통하여 결합되어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각튜브(204)의 상부에는 발사바디(201)의 중공형 사면체(208)가 삽입되도록 사각형 구멍(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는 원주형 연결축(213)을 삽입하도록 원형 구멍(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사각튜브(204)는, 도 6 및 도 7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축(213), 댐퍼부 복귀스프링(214) 및 발사바디(201)의 사면체(208)의 절반을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각튜브(204)의 일면과 그 반대면의 상부에는 각각 'ㄱ'자형 슬릿(215)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 두 'ㄱ'자형 슬릿들(215)은 비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ㄱ'자형 슬릿들(215) 중 하나의 횡방향 슬릿은 'ㄱ'자형이고, 또 다른 하나의 횡방향 슬릿은 '┌'자형이다. 상기 슬릿들(215)에는 트리거핀(212)이 이동하도록 끼워져 있다.
상기 사각튜브(204)의 상단과 발사플랜지(207)의 사이에는 발사바디(201)를 복귀시키기 위한 발사바디 복귀스프링(205)이 개재되어 있다.
도 7을 참고로, 격발부(2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격발하기 전, 트리거핀(212)은 사각구멍(211)의 하변과 'ㄱ'자형 슬릿(215)의 횡방향 슬릿에 위치한다. 상기 댐퍼(301) 및 침바디 홀더(302)를 발사시키기 위해서 누름부재(206)를 손으로 약 10mm 정도 누르면, 중공형 사면체(208) 내에 있는 발사공이(203)와 연결된 발사스프링(210)을 압축하게 되고, 발사스프링(210)에 연결되어 있는 발사공이(203)에 관통되어 있는 트리거핀(212)은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사각구멍(211)의 윗변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소위 '트위스트'되어 'ㄱ'자형 슬릿들(215)의 힝방향 슬릿을 따라 밀리다가 순간적으로 'ㄱ'자형 슬릿(215)의 종방향 슬릿의 아래까지 떨어지게 됨으로써 발사공이(203)가 발사된다. 발사공이(203)가 'ㄱ'자형 슬릿의 횡방향 슬릿 끝까지 내려가면, 연결축(213)을 통해 댐퍼부(300)에 발사힘이 전달되어 댐퍼(301)가 피부를 타격하게 된다. 다시 누름부재(206)를 누르면, 발사바디(201)와 발사공이(203)는 'ㄱ'자형 슬릿(215)의 횡방향 슬릿으로 복귀되어 발사전 상태로 원위치된다.
도 6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부(300)는 크게 침바디홀더(310), 댐퍼(320) 및 댐퍼스프링(30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침바디홀더(310)는, 도 9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에 형성된 홀더플랜지(311) 및 상기 홀더플랜지(311) 아래에 형성된 원통형 몸체(312)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원통형 몸체(312)에는 스톱바(323)가 상하 이동하도록 장방형 구멍(3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312)의 하부에는 채혈침(340)을 삽입하기 위한 침바디 삽입공(3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침바디 삽입공(314)의 일측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바디(341)를 옆으로 삽입 및 삽탈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고, 침바디 삽입공(314)의 상하면은 편평한 침바디의 상하면과 결합하도록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원통형 몸체(312)의 하단은 채혈침(340)의 침(343)과 침스프링(342)이 출입할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다. 상기 침바디 삽입공(314)의 상부 벽에는 침바디(341)의 고정홈(345)에 고정 삽입되는 고정돌기(3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더플랜지(311)의 상단에는 상기 연결축(213)의 하단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원형 결착홈(217)에 결착되도록 링형 돌기(315)가 홀더 플랜지(311)의 내측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홀더 플랜지(311)의 외주면에는 깊이조절부재(350)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와 결합하기 위한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축(213)은 원주형이며, 복귀스프링(214)을 삽입고정하기 위한 연결축 플랜지(216)를 갖고, 그 하부에는 홀더플랜지(311)의 내측을 향해 형성되어 있는 링형 돌기(315)와 결착되도록 결착홈(217)이 형성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바디 삽입공(314)의 상하 벽에는 각각 침바디(341)를 고정하기 위한 침바디 고정돌기(3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침바디 고정돌기(316)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구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및 도 11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댐퍼(320)는 원통형이며, 그 상부는 침바디홀더(310)를 수용하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원통형의 길이방향을 따라 채혈침(340)을 삽입 및 삽탈하기 위한 장방형 구멍(321)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침(341)과 침스프링(342)이 출입하도록 침출입 구멍(3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댐퍼(320)의 상단에는 스톱바(323)를 관통하여 끼우도록 스톱바 삽입구(324)가 형성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11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톱바(323)는 침바디홀더(310)의 장방형 구멍(313) 및 스톱바 삽입구(324)에 관통하여 끼워진다. 상기 스톱바(323)의 양단에는 스톱바(323)가 댐퍼(3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코터핀(cotter pin)(325)이 끼워진다.
도 5, 도 8, 도 10 및 도 13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댐퍼스프링(303)은 침바디홀더(310)의 플랜지(311)의 하면과 댐퍼(320)의 상면 사이에서 원통형 몸체(312)를 감싼 채 삽입된다.
도 11, 도 12 및 도 13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채혈침(340)은 침바디(341), 침스프링(342), 침(343)으로 구성되며, 침바디(341)는 침바디(3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에 돌출부(344)가 형성되어 있으며, 침바디 삽입공(314)의 형상과 일치하여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침바디(341)의 침(343) 측에 있는 돌출부(344) 위에는 침스프링(342)을 삽입 고정하기 위한 돌기가 침(343)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침(343)은 침바디(341) 내에 매립된다. 또한, 침바디(341)의 상하에는 침바디홀더(310)의 침바디 삽입공(314)의 상하면에 구비된 고정돌기(316)와 체결되는 고정홈(345)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채혈침(340)은 일회용으로서 침스프링(342)이 침(343)을 완전 감싸고 있어서, 취급부주의로 인한 간염, 에이즈 등의 2차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람의 피부 상태에 따라 바늘 침투 깊이를 조절하기 위해 깊이조절부재(35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 도 5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깊이조절부재(350)는 원통형이며, 그 상하단이 개구되어 있고, 상부 내주면에는 침바디홀더(310)의 홀더플랜지(311)에 형성된 나사와 결합하기 위한 나선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에는 조절부재 플랜지(351)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재 플랜지(351)는 깊이조절부재(350)의 상부가 침바디홀더(310)의 원통형 몸체(312)의 상부에 있는 홀더플랜지(311)에 형성된 나사와 결합되어 있어 깊이조절부재(350)를 좌우로 돌려 침의 침투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침(343)이 피부에 보다 깊게 침투하게 하려면, 조절부재 플랜지(351)를 우측으로 돌리고, 그 결과 스톱바(323)가 장방형구멍(313)을 따라 이동할 때 행정 운동거리가 길어져 피부에 보다 깊이 침투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침(343)이 피부에 보다 얕게 침투하게 하려면, 조절부재 플랜지(351)를 좌측으로 돌리고, 그 결과 스톱바(323)가 장방형구멍(313)을 따라 이동할 때 행정 운동거리가 짧아져 피부에 보다 얕게 침투하게 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 도 8, 도 11 및 도 13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의 댐퍼부(300)의 작동을 설명한다.
상기 격발부(200)의 누름부재(206)를 눌러 격발시키면 발사공이(203)가 연결축(213)을 치게되고, 상기 연결축(213)의 결착홈(217) 및 이와 결합되는 홀더플랜지(311)의 내측을 향해 형성된 링형 돌기(315)를 통해 침바디홀더(310)에 힘이 전달된다. 이때 댐퍼스프링(303)은 발사힘을 댐퍼(320)에 전달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져야 한다. 이 발사관성의 힘에 의하여 댐퍼(320)의 하단면이 피부를 타격하고, 연이어서 댐퍼스프링(303)이 압축되면서 침바디홀더(310)에 삽입 장착된 침바디(341)의 침스프링(342)이 피부를 타격하고, 그 직후에 침(343)이 피부의 피하조직까지 침투한 다음, 댐퍼부(300) 전체, 즉 댐퍼(320), 침스프링(342) 및 침(342)이 동시에 복귀스프링(214)에 의해 리턴한다. 댐퍼(320)가 피부를 타격하여 피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침바디홀더(310)에 삽입 장착된 침스프링(342)이 피부를 타격하고, 침스프링(342)이 피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이어서 즉시 침(343)이 피부를 침투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스톱바(323)는 침바디홀더(310)의 장방형 구멍(313)을 따라 올라가서 상기 조절부재플랜지(351)의 하단 끝까지 가서 멈추게 되는데, 이 상태가 침(343)이 피부를 침투하는 리미트(한계)가 되는 것이다. 이때 스톱바(323)로 하여금 조절부재플랜지(351)의 나사 조정위치 끝단까지만 상하 행정운동을 하게 함으로써 침(342)의 피부 침투 깊이가 조절되고 있다. 댐퍼(320)가 피부를 타격한 후 피부와 접촉한 상태에서 침스프링(342)이 다시 타격하고, 댐퍼(320) 및 침스프링(342)이 피부와 접촉한 상태에서 침(343)이 피부를 찌른 후, 댐퍼(320), 침스프링(342) 및 침(343)이 동시에 댐퍼부 복귀스프링(214)에 의해서 피부로부터 분리된다. 침스프링(342)은 침(343)보다 약간 길게 연장되어 있고, 침(343)을 감싸면서 돌출부(344) 위에 형성된 돌기(346)에 삽입하여 고정된다.
이와 같이, 댐퍼(320)가 피부를 1차 타격하고, 연이어 0.1초 정도 시차를 두고 침스프링(342)이 2차 타격함과 거의 동시에 침(343)이 피부를 찌르게 되므로 통증을 완전히 없애주게 된다.
본 발명자는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의 사용에 의한 무통증의 실험을 하기 위해서 성인 남녀 50명(평균 나이 42.5세)에게 직접 실험하였다. 약지 손가락에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를 사용하여 피부에 발사하였으며, 피는 조금 흘렀으나 50명 모두 통증을 느끼지 못하였다고 하였다.
100 : 케이싱부
101: 전방캡 102: 슬리브
103: 후방캡 104: 클립
200 : 격발부
201: 발사바디 202: 발사스프링
203: 발사공이 204: 사각 튜브
205: 발사바디 복귀스프링 206: 누름부재
207: 발사플랜지 208: 중공형 사면체
211: 사각구멍 212: 트리거핀
213: 연결축 214: 댐퍼부 복귀스프링
215: ‘ㄱ’자형 슬릿 216: 연결축 플랜지
217: 결착홈
300 : 댐퍼부
303: 댐퍼스프링 310: 침바디 홀더
311: 홀더플랜지 312 원통형 몸체
313: 장방형 구멍 314: 침바디 삽입공
315: 링형 돌기 316: 침바디 고정돌기
320: 댐퍼 321: 장방형 구멍
322: 침출입 구멍 323: 스톱바
324: 스톱바 삽입구 340: 채혈침
341: 침바디 342: 침스프링
343: 침 344: 돌출부
345: 고정홈 346: 돌기
350: 깊이조절부재

Claims (7)

  1. 원통형 전방캡(101), 일측이 상기 전방캡(101)과 결합되고 타측이 후방캡(103)과 결합되는 슬리브(102) 및 상기 슬리브(102)와 결합되는 후방캡(103)으로 이루어진 케이싱부(100); 상기 케이싱부(100) 내에 내재되고 댐퍼(320) 및 침바디(341)를 발사시켜 피부를 타격하기 위한 격발부(200); 및 상기 케이싱부(100) 내에 내재되고 연결축(213)에 의해 상기 격발부와 연결되는 댐퍼부(300)로 이루어진 채혈기에 있어서,
    댐퍼부(300)는 상부에 형성된 홀더플랜지(311) 및 상기 홀더플랜지(311) 아래에 형성되고 스톱바(323)가 상하 이동하도록 장방형 구멍(313)을 갖고 하부에는 채혈침(340)을 삽입하기 위한 침바디 삽입공(314)이 형성되어 있는 침바디홀더(310); 상단부가 침바디홀더(310)를 수용하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원통형의 길이방향을 따라 채혈침(340)을 삽입 및 삽탈하기 위한 장방형 구멍(321)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침(341)과 침스프링(342)이 출입하는 침출입 구멍(322)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스톱바(323)를 관통하여 끼우도록 스톱바 삽입구(324)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댐퍼(320); 및 상기 침바디홀더(310)의 홀더플랜지(311)의 하면과 댐퍼(320)의 상면 사이에서 원통형 몸체(312)를 감싼 채 삽입된 댐퍼스프링(30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통 채혈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바디 삽입공(314)의 일측은 침바디(341)를 옆에서 삽입 및 삽탈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고, 침바디 삽입공(314)의 상하면은 편평한 침바디(341)의 상하면과 일치결합하도록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통 채혈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몸체(312)의 하단은 채혈침(340)의 침(343)과 침스프링(342)이 출입할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고, 상기 홀더플랜지(311)의 상단에는 상기 연결축(213)의 하단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원형 결착홈(217)에 결착되도록 링형 돌기(315)가 홀더 플랜지(311)의 내측을 향해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홀더 플랜지(311)의 외주면에는 깊이조절부재(350)의 내측에 형성된 나선과 결합하기 위한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통 채혈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바디 삽입공(314)의 상하면에는 각각 침바디(341)를 고정하기 위한 침바디 고정돌기(31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통 채혈기.
  5. 제 1항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에 돌출부(344)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직육면체의 침바디(341), 하나의 돌출부(344) 상에 침스프링(342)을 삽입 고정하기 위한 돌기(346), 상기 돌기(346)를 관통하여 침바디(341)에 매립된 침(343), 및 상기 침바디 삽입공(314)의 상하면에 구비된 침바디 고정돌기(316)가 삽입되는 고정홈(345)을 갖는 채혈침(340)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통 채혈기.
  6. 제 1항에 있어서, 침(343)의 피부 침투 깊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하단이 개구되어 있고, 상부 내주면에는 침바디홀더(310)의 홀더플랜지(31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와 결합하기 위한 나선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에는 조절부재 플랜지(35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가 침바디홀더(310)의 원통형 몸체(312)의 상부에 있는 홀더플랜지(311)에 형성된 나사와 결합되는 깊이조절부재(35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통 채혈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300)는, 침바디홀더 플랜지(311)의 내측을 향해 형성되어 있는 링형 돌기(315)와 복귀스프링(214)을 삽입고정하기 위한 연결축 플랜지(216)를 갖고 하부에 형성된 원형의 결착홈(217)이 결착됨으로써, 연결축(213)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통 채혈기.
KR1020160085674A 2016-05-02 2016-07-06 무통 채혈기 KR101731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674A KR101731340B1 (ko) 2016-07-06 2016-07-06 무통 채혈기
US16/097,871 US20190142321A1 (en) 2016-05-02 2017-05-02 Disposable painless lancet and lancing device
PCT/KR2017/004661 WO2017191985A2 (ko) 2016-05-02 2017-05-02 일회용 무통 채혈침 및 채혈기
EP17792887.6A EP3453325A4 (en) 2016-05-02 2017-05-02 DISPOSABLE PAINLESS LANZETTE AND PICKING DEVICE
JP2018558123A JP2019519274A (ja) 2016-05-02 2017-05-02 使い捨て無痛穿刺針及び穿刺器具
RU2018142232A RU2717636C1 (ru) 2016-05-02 2017-05-02 Одноразовый ланцет для безболезненного прокола кожи и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прокалывания, содержащий указанный ланцет
CA3028349A CA3028349A1 (en) 2016-05-02 2017-05-02 Disposable painless lancet and lancing device for use therewith
AU2017260474A AU2017260474A1 (en) 2016-05-02 2017-05-02 Disposable painless lancet and lancing device
SG11201809730SA SG11201809730SA (en) 2016-05-02 2017-05-02 Disposable painless lancet and lancing devices for use therewith
EP21150771.0A EP3834724A3 (en) 2016-05-02 2017-05-02 Disposable painless lancet and lancing devices for use therewith
CN201780027233.2A CN109310379A (zh) 2016-05-02 2017-05-02 一次性无痛刺血针和穿刺装置
IL262760A IL262760A (en) 2016-05-02 2018-11-04 Disposable painless lancet and lancing devices for use therewith
PH12018502326A PH12018502326A1 (en) 2016-05-02 2018-11-05 Disposable painless lancet and lancing devices for use therewith
ZA2018/08138A ZA201808138B (en) 2016-05-02 2018-11-30 Disposable painless lancet and lanc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674A KR101731340B1 (ko) 2016-07-06 2016-07-06 무통 채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1340B1 true KR101731340B1 (ko) 2017-04-28

Family

ID=58702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674A KR101731340B1 (ko) 2016-05-02 2016-07-06 무통 채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3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211B1 (ko) 2017-06-28 2018-04-23 (주) 로아메드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한 채혈기
WO2019066419A1 (ko) * 2017-09-29 2019-04-04 주식회사 로아메드 가압-작동식 일회용 무통 채혈기
KR20190121246A (ko) * 2018-04-17 2019-10-25 최민기 채혈기
KR102090538B1 (ko) * 2019-03-14 2020-03-19 (주)로아메드 무통 채혈침 전용 누름 장전식 채혈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162B1 (ko) 2015-03-03 2015-12-11 이승욱 일정한 찌름 깊이를 가지는 플라스틱 안전 란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162B1 (ko) 2015-03-03 2015-12-11 이승욱 일정한 찌름 깊이를 가지는 플라스틱 안전 란셋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211B1 (ko) 2017-06-28 2018-04-23 (주) 로아메드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한 채혈기
WO2019066419A1 (ko) * 2017-09-29 2019-04-04 주식회사 로아메드 가압-작동식 일회용 무통 채혈기
KR20190121246A (ko) * 2018-04-17 2019-10-25 최민기 채혈기
KR102277465B1 (ko) 2018-04-17 2021-07-15 최민기 채혈기
KR102090538B1 (ko) * 2019-03-14 2020-03-19 (주)로아메드 무통 채혈침 전용 누름 장전식 채혈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212B1 (ko) 일회용 무통 채혈침 및 이를 사용하기 위한 채혈기
US5540709A (en) Lancet device
KR101731340B1 (ko) 무통 채혈기
US4416279A (en) Capillary blood sampling device
US6283982B1 (en) Lancing device and method of sample collection
US4462405A (en) Blood letting apparatus
US4976724A (en) Lancet ejector mechanism
US20120253231A1 (en) Confuser crown skin pricker
KR102277465B1 (ko) 채혈기
WO2017191985A2 (ko) 일회용 무통 채혈침 및 채혈기
KR20210032258A (ko) 성능 및 구조가 개선된 가압-작동식 일회용 무통 채혈기
RU2717636C1 (ru) Одноразовый ланцет для безболезненного прокола кожи и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прокалывания, содержащий указанный ланцет
JPH0337935B2 (ko)
KR200404886Y1 (ko) 일회용 사혈침 기구
KR20210132281A (ko) 무통 채혈침 전용 당김 장전식 채혈기
JPH034284Y2 (ko)
SU103950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флексотерапии
AU668533C (en) Lance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