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528B1 - 원웨이 클러치를 이용한 간극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원웨이 클러치를 이용한 간극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0528B1
KR101730528B1 KR1020150156122A KR20150156122A KR101730528B1 KR 101730528 B1 KR101730528 B1 KR 101730528B1 KR 1020150156122 A KR1020150156122 A KR 1020150156122A KR 20150156122 A KR20150156122 A KR 20150156122A KR 101730528 B1 KR101730528 B1 KR 101730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y clutch
adjusting member
clearance adjusting
gap
press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준호
김민수
이호용
이우동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56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5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38Slack adjusters
    • F16D65/40Slack adjusters mechanical
    • F16D65/52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38Slack adjusters
    • F16D65/40Slack adjusters mechanical
    • F16D65/52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 F16D65/54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by means of direct linear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웨이 클러치를 이용한 간극 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로 사용자가 유격을 조절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유격을 조절하여 안정적인 제동을 가능하게 하며, 그 구성 역시 단순하게 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원웨이 클러치를 이용한 간극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스크와 접하는 패드를 가압하는 가압축과, 상기 가압축의 외측에 구비되어 가압축의 이동 범위를 조절하는 유격조절부재와, 상기 유격조절부재의 외측에 구비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축의 외주면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유격조절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플랜지가 이동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웨이 클러치를 이용한 간극 유지장치{a gap keeping device using one-way clutch}
본 발명은 원웨이 클러치를 이용한 간극 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로 사용자가 유격을 조절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유격을 조절하여 안정적인 제동을 가능하게 하며, 그 구성 역시 단순하게 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원웨이 클러치를 이용한 간극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륜이나 스핀들 등과 같이 회전운동을 통해 동력을 전달시키는 회전체에서 회전운동 부분의 속도를 감속 또는 정지시키기 위해, 운동부분이 갖는 운동에너지를 흡수하여 정지시키도록 브레이크(brake)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브레이크에 의한 제동방식은 회전체가 가진 회전에너지를 마찰열로 변환시켜 제동하는 마찰 브레이크방식이 대부분 사용되는데, 마찰브레이크 방식으로는 브레이크패드를 이용해 회전하는 회전체의 디스크(disk)를 제동시키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마찰을 이용한 브레이크 방식은 브레이크패드를 이용하여 회전하는 디스크의 회전속도를 감속하거나 회전하는 디스크를 정지시키는 방식은 장기간동안 반복되는 제동동작에 의해 브레이크패드가 심하게 마모된다.
따라서, 일정한 주기가 경과되면 브레이크패드와 디스크 사이의 간격조정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일정주기를 체크하거나 브레이크패드의 마모정도를 파악한 후에 브레이크패드와 디스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브레이크패드와 디스크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조절되지 않는 경우, 디스크와의 마찰에 의해 브레이크패드의 편마모가 발생될 수 있고, 간격조절이 정확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동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1217096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측방으로 관통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고정프레임(10)과 고정프레임(10)의 측방으로 왕복되도록 가이드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샤프트(20)와 가이드샤프트(20)의 일단에 고정되고 관통홀이 관통 형성된 구동프레임(30)과 디스크(D)의 일측면을 가압하도록 관통홀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관통샤프트의 일단이 고정 설치된 금속재의 구동패드프레임(42)에 고정된 구동브레이크패드(40)와 구동프레임(30)에 마련되어서 구동브레이크패드(40)를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는 브레이크구동수단(50)과 구동프레임(30)과 대응되면서 가이드샤프트(20)의 타단에 고정되고 나사홀(61)이 관통 형성된 피동프레임(60)과 구동브레이크패드(40)와 대응되면서 피동브레이크프레임(71)에 고정된 상태로 디스크(D)의 타측면을 가압하는 피동브레이크패드(70)와 피동브레이크패드(70)를 디스크(D)의 타측면으로 전진시키는 피동브레이크전진수단(80) 및 피동브레이크전진수단(80)을 전진시켜서 구동브레이크패드(40)와 피동브레이크패드(70)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1217096호에 기재된 기술은 브레이크 제동시 브레이크패드가 마찰에 의해 마모되는 마모량만큼 브레이크 패드와 회전체의 간격을 간격조절수단(90)을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간격조절수단(90)은 나사형태의 피동브레이크전진수단(80)을 회전시켜야 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 디스크(D)의 일측의 유격만을 조절하기 때문에 디스크(D)가 휘어지는 등의 변형에 의해 안정적인 제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브레이크를 구성하는 디스크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는 패드를 가압하는 가압축의 위치를 패드의 마모 정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도록 하여 안정적인 제동을 가능하게 하는 원웨이 클러치를 이용한 간극 유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압축의 이동 범위를 제어하는 유격조절부재가 가압축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유격조절부재의 외측에 하우징이 구비되며, 상기 유격조절부재와 하우징 사이에는 원웨이 클러치가 구비되어 유격조절부재의 위치를 패드의 마모정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도록 하여 보다 단순한 구성으로 안정적으로 유격을 조절할 수 있는 원웨이 클러치를 이용한 간극 유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스크와 접하는 패드를 가압하는 가압축과, 상기 가압축의 외측에 구비되어 가압축의 이동 범위를 조절하는 유격조절부재와, 상기 유격조절부재의 외측에 구비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축의 외주면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유격조절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플랜지가 이동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유격조절부재와 하우징의 사이에는 원웨이 클러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원웨이 클러치는 유격조절부재의 외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멈춤부와, 상기 멈춤부에 구비되는 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멈춤부는 단면이 경사면과 걸림턱으로 이루어지는 톱니형상으로 형성되되, 경사면은 전부로 갈수록 하우징과 가깝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브레이크를 구성하는 디스크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는 패드를 가압하는 가압축의 위치를 패드의 마모 정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도록 하여 안정적인 제동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압축의 이동 범위를 제어하는 유격조절부재가 가압축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유격조절부재의 외측에 하우징이 구비되며, 상기 유격조절부재와 하우징 사이에는 원웨이 클러치가 구비되어 유격조절부재의 위치를 패드의 마모정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도록 하여 보다 단순한 구성으로 안정적으로 유격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간격조절이 가능한 브레이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간격조절이 가능한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하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웨이 클러치를 이용한 간극 유지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웨이 클러치를 이용한 간극 유지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웨이 클러치를 이용한 간극 유지장치에서 패드가 마모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웨이 클러치를 이용한 간극 유지장치의 원웨이 클러치에서 이유격조절부재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상태의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웨이 클러치를 이용한 간극 유지장치의 원웨이 클러치에서 이유격조절부재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상태의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웨이 클러치를 이용한 간극 유지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웨이 클러치를 이용한 간극 유지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웨이 클러치를 이용한 간극 유지장치에서 패드가 마모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웨이 클러치를 이용한 간극 유지장치의 원웨이 클러치에서 이유격조절부재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상태의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웨이 클러치를 이용한 간극 유지장치의 원웨이 클러치에서 이유격조절부재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상태의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브레이크 등에 사용되어 디스크(600)와 패드(500)의 유격을 조절하기 위한 원웨이 클러치를 이용한 간극 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디스크(600)와 접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패드(500)를 가압하는 가압축(300)과 상기 가압축(300)의 외측에 구비되는 유격조절부재(200)와 상기 유격조절부재(200)의 외측에 구비되는 하우징(10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유격조절부재(20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각통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가압축(300)의 이동 범위를 조절하여 패드(500)와 디스크(600) 사이의 유격을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가압축(300)의 외주면에는 플랜지(310)가 형성되고, 상기 유격조절부재(200)의 내측에는 상기 플랜지(3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210)이 형성되어, 상기 가압축(300)의 이동 범위를 조절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유격조절부재(200)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가압축(300)이 패드(500)를 가압하여 디스크(600)와 접하도록 함으로써 발생하는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패드(500)의 마모에 따라 유격조절부재(200)의 위치를 조절하여 적절한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안정적인 제동을 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가압축(300)은 설치된 장치에 따라 유압이나 공압 또는 모터의 힘이나 솔레노이드의 힘 등 다양한 힘에 의해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격조절부재(200)와 하우징(100)의 사이에는 원웨이 클러치(400)가 구비되는데, 상기 원웨이 클러치(400)는 유격조절부재(200)가 일측 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패드(500)가 위치한 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원웨이 클러치(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격조절부재(200)의 외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멈춤부(410)와 상기 멈춤부(410)에 구비되는 롤러(4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멈춤부(410)는 그 단면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경사지게 형성되는 다수의 경사면(412)과 각 경사면(412)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턱(41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단턱부(414)의 전부에는 롤러(420)이 구비되게 된다.
그래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격조절부재(200)가 전방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상기 롤러(420)의 후단이 단턱부(414)에 걸리게 되어 롤러(420)는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안정적으로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격조절부재(200)가 후방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상기 롤러(420)는 경사면(412)에 의해 외측으로 밀리게 되고 롤러(420)는 하우징(100)의 내측면을 가압하게 됨으로써, 롤러(420)가 경사면과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끼이게 되어 유격조절부재(200)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원웨이 클러치(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멈춤부(410)의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탈방지부(430)가 형성되어, 상기 멈춤부(410)에 구비되는 롤러(420)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면에는 상기 이탈방지부(430)에 대응되도록 가이드부재(440)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의 유격조절부재(20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하우징(100)의 내측에서 직선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한편, 본원 발명인 간극 유지장치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패드(500)가 마모되지 않은 상태일 경우에는 유격조절부재(200)가 하우징(100)의 내측 후단에 위치하게 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시간 사용으로 인하여 패드(500)가 마모될 경우에는 가압축(300)이 전방으로 이동하더라도 유격조절부재(200)의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홈(210)에 의해 가압축(300)의 플랜지(310)가 일정 이상 이동할 수 없어서 상기 패드(500)는 디스크(600)와 이격되게 되어 안정적인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없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축(300)을 가압하는 힘에 의해 플랜지(310)가 가이드홈(210)의 단부를 가압하게 되어 유격조절부재(200)를 전방으로 가압하게 되고, 그에 따라 유격조절부재(200)는 전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원웨이 클러치(400)는 유격조절부재(200)가 전방으로는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게 하므로 유격조절부재(200)는 안정적으로 전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축(200)을 가압하는 힘이 해소될 경우 가압축(200)은 다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그때 상기 가압축(300)의 복귀력에 의해 플랜지(310)가 가이드홈(210)의 후단을 가압하게 되더라도 상기 원웨이 클러치(400)는 유격조절부재(200)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패드(500)의 마모에 의해 한번 간극이 조절되면 조절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웨이 클러치를 이용한 간극 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로 사용자가 유격을 조절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유격을 조절하여 안정적인 제동을 가능하게 하며, 그 구성 역시 단순하게 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원웨이 클러치를 이용한 간극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100 : 하우징 200 : 유격조절부재
210 : 가이드홈 300 : 가압축
310 : 플랜지 400 : 원웨이 클러치
410 : 멈춤부 412 : 경사면
414 : 걸림턱 420 : 롤러
430 : 이탈방지부 440 : 가이드부재
500 : 패드 600 : 디스크

Claims (7)

  1. 디스크와 접하는 패드를 가압하는 가압축과,
    상기 가압축의 외측에 구비되어 가압축의 이동 범위를 조절하는 유격조절부재와,
    상기 유격조절부재의 외측에 구비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축의 외주면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유격조절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플랜지가 이동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가 유격조절부재의 내측 전단을 가압하여 유격조절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유격을 줄여주며,
    상기 유격조절부재와 하우징의 사이에는 원웨이 클러치가 구비되되,
    상기 원웨이 클러치는 유격조절부재의 외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멈춤부와, 상기 멈춤부에 구비되는 롤러로 이루어지며,
    상기 멈춤부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롤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상기 이탈방지부에 대응되도록 가이드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웨이 클러치를 이용한 간극 유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부는 단면이 경사면과 걸림턱으로 이루어지는 톱니형상으로 형성되되, 경사면은 전부로 갈수록 하우징과 가깝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웨이 클러치를 이용한 간극 유지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50156122A 2015-11-06 2015-11-06 원웨이 클러치를 이용한 간극 유지장치 KR101730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122A KR101730528B1 (ko) 2015-11-06 2015-11-06 원웨이 클러치를 이용한 간극 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122A KR101730528B1 (ko) 2015-11-06 2015-11-06 원웨이 클러치를 이용한 간극 유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0528B1 true KR101730528B1 (ko) 2017-04-27

Family

ID=58702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122A KR101730528B1 (ko) 2015-11-06 2015-11-06 원웨이 클러치를 이용한 간극 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5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782A (ko) * 2018-12-19 2020-06-30 한국자동차연구원 브레이크 슈 마모 보상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1951A (ja) * 2006-02-13 2007-08-23 Nsk Ltd 直動一方向クラッチ
WO2012175355A2 (en) 2011-06-23 2012-12-27 Agco International Gmbh Disc brakes
KR101477650B1 (ko) * 2014-06-11 2014-12-30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마모보상 기능을 갖는 전기기계브레이크
US20150275977A1 (en) 2012-12-21 2015-10-01 Chr. Mayr Gmbh + Co. Kg Linear brake operated by means of external energ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1951A (ja) * 2006-02-13 2007-08-23 Nsk Ltd 直動一方向クラッチ
WO2012175355A2 (en) 2011-06-23 2012-12-27 Agco International Gmbh Disc brakes
US20150275977A1 (en) 2012-12-21 2015-10-01 Chr. Mayr Gmbh + Co. Kg Linear brake operated by means of external energy
KR101477650B1 (ko) * 2014-06-11 2014-12-30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마모보상 기능을 갖는 전기기계브레이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782A (ko) * 2018-12-19 2020-06-30 한국자동차연구원 브레이크 슈 마모 보상 장치
KR102173602B1 (ko) 2018-12-19 2020-11-04 한국자동차연구원 브레이크 슈 마모 보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3820B1 (en) Electric-motor brake apparatus
KR101511437B1 (ko) 전자기계식 브레이크 장치
KR101251507B1 (ko) 전동 브레이크 장치
KR20100084177A (ko) 전기 기계식 마찰 브레이크
KR101816396B1 (ko) 전동식 브레이크
KR20160011283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2383339B1 (ko) 볼 스크루 타입 전동식 브레이크
KR102383332B1 (ko) 볼 스크루 타입 전동식 브레이크
CN208565339U (zh) 制动系统
KR101699070B1 (ko) 전자 브레이크 장치
KR101730528B1 (ko) 원웨이 클러치를 이용한 간극 유지장치
KR101217096B1 (ko) 브레이크패드 간격조절 가능한 브레이크장치
US20140083804A1 (en) Disk brake device
US5137126A (en) Electromechanical control having a centrifugal structure
KR101188275B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KR100855952B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US3682279A (en) Brake actuating mechanism for rapid take up of running clearance and gradual application of brake setting force
KR20090096033A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KR101045905B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KR100894720B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KR101040947B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KR20140103431A (ko) 볼 램프 구조를 이용한 모터 브레이크
JPS61174452A (ja) 織機用飛翔体ブレーキ
JPH0536603Y2 (ko)
JP5416817B2 (ja) 電動ブレー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