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442B1 - 혈관 탐색 장치 - Google Patents

혈관 탐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0442B1
KR101730442B1 KR1020150104846A KR20150104846A KR101730442B1 KR 101730442 B1 KR101730442 B1 KR 101730442B1 KR 1020150104846 A KR1020150104846 A KR 1020150104846A KR 20150104846 A KR20150104846 A KR 20150104846A KR 101730442 B1 KR101730442 B1 KR 101730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ressing
band
irradiation module
blood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4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2789A (ko
Inventor
이광철
강소라
장예솔
김상묵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104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442B1/ko
Publication of KR20170012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2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87Locating particular structures in or on the body
    • A61B5/489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과 조명을 이용한 혈관 탐색 장치에 있어서, 혈관이 탐색되는 피부가 중앙부에 노출되도록 피부의 주변 영역을 가압하는 고리 형상이고, 내부에 형성된 중공에 하기의 광 조사 모듈이 마련되며, 하면이 개구된 가압대; 가압대의 내부에 설치되어 가압대의 개구된 하면으로 광을 방출하는 광 조사 모듈; 및 가압대의 개구된 하면에 부착되어 광 조사 모듈로부터 방출된 광을 투과시키는 투광창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압대가 내부의 중공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광 조사 모듈의 광원이 가압대의 내측에 광축이 가압대의 내측 하방향을 향하도록 비스듬히 설치되어 탐색 부위의 혈관에 광을 효과적으로 조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혈관 탐색 장치{BLOOD BESSEL SEARCHING DEVICE}
본 발명은 혈관 탐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투과 조명을 이용하여 피부내 혈관 위치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표시하는 혈관 탐색 장치에 관한 것이다.
검사나 치료를 목적으로 환자가 병의원에 방문했을 때 가장 일반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의료 처치 중 하나는 주사바늘을 혈관 내에 찔러 넣어 약액을 주입하는 혈관 삽입이다. 주사는 혈관 중 혈액이 심장으로 들어가는 정맥에 시행되어 정맥 삽입이라고도 불리우며 주로 채혈, 정맥 주사, 약물 경화 요법, 필러 시술, 하지정맥류 시술 등을 위하여 시술된다.
일반적으로 동맥은 심장에서 분출되는 혈액의 통로이기 때문에 혈압이 높은 반면, 정맥은 심장의 펌핑 작용으로 인하여 다시 심장으로 순환되어가는 혈액의 통로이기 때문에 혈압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다. 따라서, 통상 인체에 주사액을 놓거나 채혈하게 될 경우, 정맥을 찾아 정맥 속에 주사바늘을 찔러 넣어 약액을 직접 관 속에 주입하거나 피를 뽑게 된다.
종래에는 주로 고무줄을 사용하여 심장에서 오는 혈관의 가까운 부분의 일정부위를 묶음으로써 천자를 위한 정맥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환자로 하여금 정신적인 스트레스 및 신체에 압박을 주게 된다. 특히, 어린아이와 같이, 혈관이 쉽게 노출되지 않고 가느다란 경우 정맥의 돌출이 가시적으로 확인되기 어려워 1차 혈관 삽입의 실패가 종종 야기되었다. 또한, 지속적인 치료를 받는 환자의 경우, 혈액 채취 시 환자가 긴장하여 혈관이 더욱 수축됨으로써 정맥의 인지가 어려웠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혈관 삽입은 오래된 경력자도 작업에 큰 부담을 느끼는 것이 현 실정이다.
인간의 삶의 질 측면에서 혈관 삽입 처치 실패에 따른 스트레스, 불안감 조성, 압박감 등의 다양한 문제점을 사전에 억제하고 1차 혈관 삽입 실패에 따른 부차적인 시간, 인력 투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최근 혈관 삽입 처치에 도움을 주는 혈관 탐색 장치의 수요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 종래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506707호(선행특허)는 투과 조명을 이용한 혈관 탐색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도 1은 상기 특허문헌에 따른 혈관 탐색 장치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혈관 탐색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는 밴드부(10); 밴드부(10)에 결합되어 탐색 대상 주변의 피부영역을 가압하는 가압대(40); 가압대(40)와 피부영역 사이에 설치되어 피부 속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51); 및 가압대(40)에 구비되어 피부를 확대하는 렌즈부(60)를 구비한다.
이러한 혈관 탐색 장치(1)는 가압대(40)로부터 연장된 본체(30)안에 광 조사부(51)를 구동하는 전원공급부(53, 선행특허 도 3)가 마련된다. LED 패키지(51)는 본체(30)안의 전원공급부(53, 선행특허 도 3)와 전도체를 통해 연결되어 가압대(40)의 하면에 제한된 조사각도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이 경우, 혈관이 탐색되는 가압대(40)의 중앙 부분에는 효율적인 광 조사가 이루어질 수 없는 구조적 한계가 있다.
따라서, 탐색 부위의 혈관에 흡수되는 광량이 적어 혈관의 표시가 선명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혈관 탐색 장치(1)가 사용되는 외부 환경은 암실이 아니기 때문에 투과 조명 이외의 광이 노이즈로 작용하여 피부로부터 방출된 광을 선명하게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53, 선행특허 도 3)가 마련되는 본체(30)가 가압대(40)로부터 연장 형성되기 때문에, 관절 근처의 혈관 탐색시 관절을 굽힐 수 없어 착용감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작버튼(55, 선행특허 도 1)은 외부로 돌출되어 구비되어야 하는 이상, 혈관 탐색 장치(1)의 착용전에 실수로 눌려질 수 있고, 환자의 착용 전에 혈관 탐색 장치(1)가 가동됨으로 인하여 강한 광출력이 환자의 눈 방향으로 방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06707호
본 발명은 가압된 지점의 안쪽으로 노출되는 피부인 탐색 부위의 혈관에 광이 효과적으로 조사될 수 있는 혈관 탐색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광의 노이즈를 차단하여 탐색 부위의 혈관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는 혈관 탐색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을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프레임상에 광 조사를 위한 모듈의 구성을 컴팩트하게 배치하여 부피가 최소화되며 착용감이 뛰어난 혈관 탐색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착용 이전에 광이 방출됨으로써 사용자의 눈에 입사되어 눈부심 현상을 방지하는 혈관 탐색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과 조명을 이용한 혈관 탐색 장치에 있어서, 혈관이 탐색되는 피부가 중앙부에 노출되도록 피부의 주변 영역을 가압하는 고리 형상이고, 내부에 형성된 중공에 하기의 광 조사 모듈이 마련되며, 하면이 개구된 가압대; 가압대의 내부에 설치되어 가압대의 개구된 하면으로 광을 방출하는 광 조사 모듈; 및 가압대의 개구된 하면에 부착되어 광 조사 모듈로부터 방출된 광을 투과시키는 투광창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광 조사 모듈은 광원의 광축이 가압대의 내측 하방향이 되도록, 광원이 개구된 하면의 외측에서 경사지게 결합 설치되어, 투광창으로 광을 비스듬히 방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혈관 탐색 장치는, 가압대의 상면에 씌워지며 외주면에 550nm 내지 700nm의 광 파장 대역만을 투과하는 코팅막이 마련된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는 가압대의 상면에 절첩이 가능하고 투명한 평판의 형상 또는 반구체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부는 접어서 가압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가압대는, 탐색된 혈관에 주사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일측이 개구된 "ㄷ" 또는 "c" 형상이고, 필터부는 가압대의 형상에 대응하여 일측에 절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가압대는, 중앙부 방향으로 상면이 함몰된 분지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혈관 탐색 장치는, 휴대용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내장된 2차 전지를 충전할 수 있고 광 조사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고 광 조사 모듈의 광량을 제어하는 전원부; 및 전원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는 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혈관 탐색 장치는, 가압대의 하면에 부착되어 신체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접촉센서는 감지된 접촉 여부로 전원부의 전원 공급을 단속하여 혈관 탐색 장치의 피부 접촉 전에 광 조사 모듈의 전원이 켜져서 불필요하게 사용자의 눈에 광이 입사되어 눈부심 현상을 유발하는 부작용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광 조사 모듈은, 광원의 출력이 황색광, 적색광, 백색광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압대가 내부의 중공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가압대의 내부상에 광 조사 모듈의 광축이 가압대의 내측 하방향을 향하도록 비스듬히 설치되어 탐색 부위의 혈관에 광을 효과적으로 조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대의 상면에 씌워진 필터부가 혈관 탐색에 기여하는 파장의 광만 투과함에 따라 외부의 광잡음이 최소화되어 혈관 탐색의 선명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촉센서가 신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여 전원부의 전원 공급을 단속함에 따라 환자의 신체에 착용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불필요한 광 방출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혈관 탐색 장치를 나타낸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관 탐색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관 탐색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관 탐색 장치의 측면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관 탐색 장치의 광축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관 탐색 장치(7)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관 탐색 장치(7)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관 탐색 장치(7)의 측면 구성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혈관 탐색 장치(7)는 투과 조명 방식을 이용하여 혈관을 표시할 수 있다. 투과 조명 방식의 혈관 탐색 장치(7)는 정맥 검출 부위를 압박한 상태에서 특정 파장의 광을 조사한다.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층으로 구성되며, 대부분의 정맥은 피하층에 분포되어 있다. 피부에 광을 조사하면 표피, 진피를 투과한 일부의 빛은 피하층의 정맥까지 도달한다. 도달한 빛의 일부는 정맥 내의 헤모글로빈에 의해 흡수되고 나머지는 적혈구에 의해서 대부분 산란된다. 피부 속 깊숙이 광을 투과시키면 혈액 내 헤모글로빈에 의하여 특정 파장대역의 광원이 잘 흡수되므로 피부 세포와 혈관은 구별될 수 있다.
이 때, 동맥으로 공급되는 혈액을 차단하면 산소를 포함하는 산화헤모글로빈(oxy-hemoglobin)이 차단되고, 산소 공급이 차단되어 디옥시헤모글로빈(deoxy-hemoglobin)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산소의 결합여부에 따라 헤모글로빈은 선홍색 또는 암적색을 띠는 데, 이는 특정한 파장대역의 광원을 이용하여 산소가 충분할 때와 충분하지 못한 경우의 헤모글로빈 흡광도 변화를 이용하여 혈관의 위치를 선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정맥 내의 피는 산소가 결핍된 디옥시헤모글로빈이 지배적이다. 디옥시헤모글로빈은 동맥 내에 다수 존재하는 산화헤모글로빈과 파장대역에 따른 광의 흡수도가 상이하다. 따라서, 혈관 탐색시 투과 조명은 디옥시헤모글로빈의 흡광도와 정맥 외 조직이나 동맥 내에서 우세한 옥시헤모글로빈의 흡광도가 상대적으로 차이가 많이 나는 파장 대역을 광원으로 선택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투과 조명 방식으로 정맥과 정맥 이외의 부분을 구별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혈관 탐색 장치(7)는 가압대(71), 광 조사 모듈(72), 투광창(73), 필터부(75), 전원부(77), 접촉센서(78) 및 밴드부(79)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대(71)는 혈관 삽입이 이루어질 탐색 피부의 주변 영역을 가압한다. 가압대(71)는 탐색 피부의 주변 영역을 가압하여 정맥 내에 산소 공급을 차단한다. 이는 정맥 내에 대략 40%정도 존재하는 산화헤모글로빈의 농도를 낮추고 디옥시헤모글로빈의 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정맥의 디옥시헤모글로빈에 흡수되는 광량이 높아지게 되어 혈관의 분별이 보다 정확해질 수 있다.
가압대(71)는 혈관(2, 도 4)이 탐색되는 피부가 중앙부(711)에 노출되도록 피부의 주변 영역을 가압하는 고리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가압대(71)는 탐색되는 피부가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될 수 있도록 중앙부(711)가 뚫린 형태를 갖는다.
본 실시예로, 가압대(71)는 탐색된 혈관(2, 도 4)에 주사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일측이 개구된 "ㄷ" 또는 "c"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의사는 가압대(71)의 개구된 일측으로 탐색된 혈관(2, 도 4)의 위치를 중앙부(711)에서 육안으로 확인하며 주사를 삽입할 수 있다.
가압대(71)는 중앙부(711) 방향으로 상면이 함몰된 분지 형상일 수 있다. 가압대(71)의 내측면(713)은 하방향으로 부드럽게 만곡되어 함몰된다. 이에 따라, 가압대(71)는 중앙부(711)에 노출된 탐색 피부 영역을 의사가 육안으로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넓은 시야각을 제공할 수 있다.
가압대(71)는 내부에 형성된 중공에 광 조사 모듈(72)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광 조사 모듈(72)에서 방출된 광이 가압대(71)로부터 출사되도록 가압대(71)는 하면이 개구된다. 즉, 가압대(71)의 하면은 중앙부(711)의 둘레 형상을 따라 "c" 또는 "ㄷ" 모양으로 소정의 폭만큼 절개된다. 절개된 틈으로 하기의 광 조사 모듈(72)에서 발생된 광이 방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대(71)로부터 방출된 광은 중앙부(711) 방향으로 비스듬히 조사될 수 있다. 이는 중앙부(711)에 노출된 피부의 탐색 영역에 광량을 최대한 흡수시키기 위함이다. 만약, 가압대(71)의 구조 설계를 테이퍼 형상으로 하여 내측에 경도를 형성시키고 내측면에 광 조사 모듈(72) 자체를 비스듬히 설치하게 되면 출사된 광이 중앙부(711) 방향으로 조사되므로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 경우 가압대(71) 또는 광 조사 모듈(72)의 형상이 상부쪽으로 직경이 감소되는 고깔 형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가압대(71)는 탐색되는 피부 영역을 최대한 광범위하게 가압할 수 있어야 한다. 전술한 예시와 같이 가압대(71)를 테이퍼(또는 고깔) 형상으로 설계한다면 가압대(71)의 최외곽만이 피부와 강하게 접촉되어 충분한 가압의 효과를 발현시킬 수 없으며 착용된 부위에 가압대의 둘레 모양의 자국이 남거나 통증이 발생될 수 있어 착용감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혈관 탐색 장치(1)와 같이 가압대(71)는 신체와 접촉되는 면이 편평하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경우 중앙부(711) 방향으로 광이 조사되도록 광 조사 모듈(72)을 결합 설치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가압대(71)를 중공의 구조로 하여 가압대(71)의 내측에 광축이 기울어지도록 광 조사 모듈(72)이 구비되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관 탐색 장치(7)의 광축(z)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광 조사 모듈(72)은 가압대(71)의 내부에 설치되며, 가압대(71)의 개구된 하면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광 조사 모듈(72)은 광원의 광축(z)이 가압대(71)의 내측 하방향이 되도록, 광원이 개구된 하면의 외측에서 경사지게 결합 설치되어, 투광창(73)으로 광을 비스듬히 방출할 수 있다. 광원은 광축(z)이 지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20ㅀ 내지 50ㅀ 기울어지도록 가압대(71)의 내부 중공에 경사지게 결합된다.
광 조사 모듈(72)은 광원의 출력이 황색광, 적색광, 백색광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기의 [표]는 헤모글로빈의 상태와 파장에 따른 광흡수도를 나타낸다.
[표]
Figure 112015072004553-pat00001
디옥시헤모들로빈에 흡수되면서 산화헤모글로빈과 흡광도가 차이나는 파장 대역은 580nm~610nm 대역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 모듈(72)은 580nm~610nm 파장을 갖는 광원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환자의 피부 색상에 따라 흡수되는 파장 대역은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 모듈(72)은 피부가 일반인보다 그을렸거나 피부색이 다른 경우에 피부에 광 흡광도 변화를 주기 위하여 610nm~640nm 파장 대역의 광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로, 광원으로는 황색광, 백색광, 적색광이 사용될 수 있다. 황색광은 파장대역이 595ㅁ15nm로서 혈관을 검출할 수 있는 파장 대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적색광은 피부가 두껍거나 어두운 빛깔인 경우를 감안하여 피부에 잘 투사되는 625ㅁ15nm의 파장 대역으로 황색광에 추가되어 보조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백색광은 평균연색성평가지수(Ra)가 90이상으로, 혈관이 포함된 피하 구조의 밝기 조절과 혈관과 다른 조직 간의 대비(contrast)를 조절하기 위하여 황색광이나 적색광에 추가로 조합될 수 있다.
투광창(73)은 가압대(71)의 개구된 하면에 부착되어 광 조사 모듈(72)로부터 방출된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투광창(73)은 가압대(71)의 하면에 부착되어 일정 두께 만큼 하방향으로 돌출된다. 결과적으로, 혈관 탐색 장치(7)의 착용시 투광창(73)이 신체에 접촉되며, 가압대(71)의 하면으로 돌출됨에 따라 가압 효율이 보다 뛰어나게 된다.
필터부(75)는 가압대(71)의 상면에 씌워지며, 외주면에 550nm 내지 700nm의 광 파장 대역만을 투과하는 코팅막(751)이 마련될 수 있다. 필터부(75)는 외주면에 550nm 내지 700nm의 광 파장 대역만을 통과시키는 대역 통과 필터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로 필터부(75)는 가압대의 상면에 씌워지는 절첩이 가능하고 투명한 평판 또는 반구체로 제공될 수 있다. 필터부(75)의 상면은 특정 대역의 광파장만 투과시키는 코팅막(751)이 코팅되어있다. 일 예시로 필터부는 다단 구조로 제공되어 일측으로 접혀지거나 수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다른 예시로 필터부(75)가 투명한 반구체로 제공된 형태를 도시하였다. 투명한 반구체(75)는 절첩이 가능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투명한 반구체(75)는 혈관 탐색 장치(7)의 휴대성을 고려하여 반이상으로 접혀질 수 있다. 또한 투명한 반구체(75)는 설계에 따라 한쪽 구면이 다른 한쪽 구면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투명한 반구체(75)는 완전하게 접혀져서 가압대(71)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혈관 탐색 작업을 암실에서 수행할 경우 광의 노이즈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지만, 채혈이나 주사액 투입은 병동의 진료실이나 일반 병실 환경에서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혈관 탐색 작업은 일반 병실의 조명 하에 이루어지므로 광 노이즈의 유출입으로 탐색 피부로부터 표출되는 광을 선명하게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이에 따라, 광의 흡수도 차이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분명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광 조사 모듈(72)의 파장 대역인 550nm 내지 700nm의 광 파장 대역만 투과되는 광학적 대역 필터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대(71)의 상면에 투명 반구체(75)가 구비되고, 투명 반구체(75) 상에 광학적 대역 필터 기능을 갖는 코팅막(751)이 마련된다. 투명 반구체(75)는 가압대(71)의 형상에 대응하여 일측에 절개홈(753)이 형성될 수 있다. 의사는 주사를 절개홈(753)을 통해서 탐색된 혈관에 삽입할 수 있다.
전원부(77)는 광 조사 모듈(72)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전원부(77)에 내장된 2차 전지의 전력을 충전하고 광 조사 모듈(72)의 광량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부(77)의 측면에는 전력 충전을 위한 충전단자(771), 충전상태 표시등(773)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로 전원부(77)는 가압대(71)의 양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부(77)는 가압대(71)의 개구된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제1 전원부, 제2 전원부로 배치됨으로써 시계 모양의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 광 조사 모듈(72)은 가압대(71)의 내측에 고리 형태로 하나 이상의 광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원부(77)는 어느 쪽에 배치된 것과 상관없이 제1 전원부와 제2 전원부의 전원이 일체화되어 광 조사 모듈(72) 내부에 배치된 광원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전원부(77)가 제1 전원부, 제2 전원부로 가압대(71)의 양측에 설치됨으로써 혈관 탐색 장치(7)의 디자인을 시계처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전원부(77)가 절개홈(73)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혈관 탐색 장치(7)는 관절과 근접한 부위에도 착용이 가능하며, 착용시 피부를 점유하는 부분이 최소화 되어 착용감이 뛰어날 수 있다.
접촉센서(78)는 가압대(71)의 하면에 부착되어 신체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접촉센서(78)는 정전용량식, 전기저항식, 적외선 광학식, 표면탄성파식, 압전식 등 신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센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로, 접촉센서(78)는 정전용량식 센서로 제공될 수 있다.
접촉센서(78)는 감지된 접촉 여부로 전원부(77)의 전원 공급을 단속할 수 있다. 접촉센서(78)는 가압대(71)가 신체에 착용되어 접촉이 감지될 경우, 조작버튼(775)이 On 상태일 때, 전원부(77)의 전원 공급을 실질적으로 On 한다. 접촉센서(78)는 어떠한 접촉도 감지되지 않을 경우 조작버튼(775)이 On 상태일지라도 전원부(77)의 전원 공급을 실질적으로 Off 상태로 유지한다.
본 실시예로 혈관 탐색 장치는 전원부(77)를 On/Off하는 별도의 조작 버튼(775)이 구비될 수 있다. 접촉센서(78)는 조작 버튼(775)이 On 상태이더라도, 가압대(71)가 신체와 비접촉 시에는 전원부(77)의 전원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광출력에 따른 눈부심 현상을 방지한다.
밴드부(79)는 전원부(77)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혈관 탐색 장치(7)를 장착시킬 수 있다. 밴드부(79)는 탄성이 있는 스트랩 또는 섬유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밴드부(79)의 길이 조절이 용이하게 하면서 밴드부(79)끼리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고 고정부분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2: 혈관 7: 혈관 탐색 장치
71: 가압대 72: 광 조사 모듈
711: 중앙부 713: 가압대의 내측면
73: 투광창 75: 필터부
751: 코팅막 753: 절개홈
77: 전원부 771: 충전단자
773: 충전상태 표시등 775: 조작 버튼
78: 접촉센서 79: 밴드부
z: 광축

Claims (7)

  1. 혈관이 탐색되는 피부가 중앙부에 노출되도록 피부의 주변 영역을 가압하는 고리 형상이고, 내부에 형성된 중공에 하기의 광 조사 모듈이 마련되며, 하면이 개구된 가압대;
    상기 가압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대의 개구된 하면으로 광을 방출하는 광 조사 모듈;
    상기 가압대의 개구된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광 조사 모듈로부터 방출된 광을 투과시키는 투광창; 및
    상기 가압대의 상면에 씌워지며, 외주면에 550nm 내지 700nm의 광 파장대역만을 투과하는 코팅막이 마련된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 조사 모듈은,
    광원의 광축이 상기 가압대의 내측 하방향을 향하도록, 광원이 상기 개구된 하면의 외측에서 경사지게 결합 설치되어, 상기 투광창으로 광을 비스듬히 방출하며,
    상기 가압대는,
    탐색된 혈관에 주사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일측이 개구된 "ㄷ" 또는 "c" 형상이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가압대의 형상에 대응하여 일측에 절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탐색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대는,
    상기 중앙부 방향으로 상면이 함몰된 분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탐색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광 조사 모듈의 광량을 제어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는 밴드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탐색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대의 하면에 부착되어 신체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센서는,
    감지된 접촉 여부로 상기 전원부의 전원 공급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탐색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 모듈은,
    상기 광원의 출력이 황색광, 적색광, 백색광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탐색 장치.
KR1020150104846A 2015-07-24 2015-07-24 혈관 탐색 장치 KR101730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846A KR101730442B1 (ko) 2015-07-24 2015-07-24 혈관 탐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846A KR101730442B1 (ko) 2015-07-24 2015-07-24 혈관 탐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789A KR20170012789A (ko) 2017-02-03
KR101730442B1 true KR101730442B1 (ko) 2017-04-28

Family

ID=58156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4846A KR101730442B1 (ko) 2015-07-24 2015-07-24 혈관 탐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4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920705U (zh) * 2010-12-08 2011-08-10 圆合实业有限公司 血管灯
JP2014528749A (ja) * 2011-08-01 2014-10-30 インフラレッド イメージング システムス,インク.InfraRed Imaging Systems, Inc. 皮下組織の可視化を向上させるディスポーザブル光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707B1 (ko) 2013-05-20 2015-03-30 (주)레츠 투과조명을 이용한 혈관 탐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920705U (zh) * 2010-12-08 2011-08-10 圆合实业有限公司 血管灯
JP2014528749A (ja) * 2011-08-01 2014-10-30 インフラレッド イメージング システムス,インク.InfraRed Imaging Systems, Inc. 皮下組織の可視化を向上させるディスポーザブル光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789A (ko) 2017-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58052A1 (en) Wearable band for health monitoring device
CN108471950B (zh) 用于进行经腹胎儿血氧饱和度监测的系统、装置及方法
EP4248847A2 (en) Wearable device with physiological parameters monitoring
US10537270B2 (en) Method and device for optical measurement of biological properties
US11944418B2 (en) Device,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skin perfusion pressure
US20040015158A1 (en) Transilluminator device
CA2753018C (en) Medical sensor with flexible components and technique for using the same
JP5626943B2 (ja) 動脈可視化装置、および動脈撮像装置
US20050168980A1 (en) Vein locator
US200601733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serting a needle into a blood vessel
JP6047847B1 (ja) 動脈可視化装置
US10357191B2 (en)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on-body sensor
CA3086403A1 (en) Trans-abdominal fetal pulse oximetry and/or uterine tone determination devices and systems with adjustable componen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202191272U (zh) 冷光源皮下血管观察定位仪
EP3086711A1 (en) Vein transillumination device using orange and red light with a white exam light
EP3586727B1 (en) Vein detection device
CN104068830B (zh) 一种双光血管显像仪
JP2017514577A (ja) 静脈穿刺補助装置
KR101730442B1 (ko) 혈관 탐색 장치
KR101506707B1 (ko) 투과조명을 이용한 혈관 탐색장치
KR101740602B1 (ko) 근적외선을 이용한 혈관투시장치
US201801334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Visualizing Blood Vessels
US10206578B1 (en) Combination arterial and vein transillumination device using yellow-orange, lime green and amber LED lights
GB2590984A (en) Improved PPG measurement
CN210992312U (zh) 一种血管显影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