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398B1 -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0398B1
KR101730398B1 KR1020160152648A KR20160152648A KR101730398B1 KR 101730398 B1 KR101730398 B1 KR 101730398B1 KR 1020160152648 A KR1020160152648 A KR 1020160152648A KR 20160152648 A KR20160152648 A KR 20160152648A KR 101730398 B1 KR101730398 B1 KR 101730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ehicle
time
collec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미
Original Assignee
렉스젠(주)
렉스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렉스젠(주), 렉스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렉스젠(주)
Priority to KR1020160152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3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 영역에 진입하는 차량에 대한 입차 정보를 수집하는 입차 정보 수집부와, 상기 영역으로부터 진출하는 상기 차량에 대한 출차 정보를 수집하는 출차 정보 수집부와, 상기 입차 정보 또는 상기 출차 정보를 기초로 관심 차량을 분류하고, 상기 관심 차량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 및 소정 서버로부터 상기 관심 차량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관심 차량의 통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통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관심 차량의 정보를 갱신하는 운영 관리부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게소, 도로의 특정 구간, 주차장 등과 같은 한정된 영역을 이용하는 차량들에 대한 이용 현황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누락 또는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MANAGING VEHICLE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게소, 도로의 특정 구간, 주차장 등과 같은 한정된 영역을 이용하는 차량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터널, 교량, 사고 다발 구간 등과 같은 위험 통행구간 또는 도로 사용 요금을 과금하는 특정 과금 구간 등을 이용하거나 고속도로 휴게소 등과 같은 공간에 존재하는 차량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 하나씩 구축되고 있다.
기존의 관리 시스템은 차량의 입, 출차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입출차 정보를 운영 참고 자료로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하지만, 기존 시스템은 입출차 시에 차량 번호를 정확히 인식하여 매칭하는 경우에만, 해당 영역 내 정확한 잔여 차량 대수를 파악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체 주차면이 350여 개, 일일 출입 차량이 2500~3000건 정도 발생하는 국내 "A" 휴게소를 대상으로 1주일 정도 잔여 차량 대수를 파악해 본 결과, 기존 관리 시스템은 잔여 차량 대수를 350대(100% 만차)로 표시하였으나, 실제 주차된 잔여 차량의 대수는 127대로 약 223대의 편차가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차이가 발생하는 가장 큰 이유는, 현존하는 차량번호 판독장치의 영상 처리 알고리즘으로 입/출차 차량의 차량 번호에 대한 100% 인식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매일 발생하는 오차를 직접 확인하여 보정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오차가 매일 누적되어 나타난다.
이러한 기존 관리 시스템의 누적 오차 현상은 기본 영상 처리와 관리 문제로 연결되어, 개선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기존 관리 시스템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관리자에게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이 절실히 필요하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2012-0051145호(2012.05.22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휴게소, 도로의 특정 구간, 주차장 등과 같은 한정된 영역을 이용하는 차량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소정 영역에 진입하는 차량에 대한 입차 정보를 수집하는 입차 정보 수집부와, 상기 영역으로부터 진출하는 상기 차량에 대한 출차 정보를 수집하는 출차 정보 수집부와, 상기 입차 정보 또는 상기 출차 정보를 기초로 관심 차량을 분류하고, 상기 관심 차량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 및 소정 서버로부터 상기 관심 차량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관심 차량의 통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통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관심 차량의 정보를 갱신하는 운영 관리부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입차 정보가 등록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 상기 출차 정보를 수집하지 못하거나, 상기 입차 정보 없이 상기 출차 정보만 수집한 차량이 발생하면, 해당 차량을 상기 관심 차량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영 관리부는, 상기 통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관심 차량의 상기 입차 정보 또는 상기 출차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입차 정보 및 상기 출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영역을 이용하는 상기 차량에 대한 이용 현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의 통행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교통 정보 수집 서버 및 톨 게이트(Tollgate) 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차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출차 정보 수집부 각각은, 상기 차량의 영상을 기초로 차량을 인식하기 위한 차량 번호 판독 모듈 및 상기 차량을 식별하기 위한 소정 ID(Identification)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번호 판독 모듈은, 상기 차량의 영상을 기초로 상기 관심 차량의 색상 및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며, 상기 운영 관리부는, 상기 색상 및 상기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입차 정보 또는 상기 출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차 정보 및 출차 정보 각각은, 식별 정보, 차량 영상, 입차 시간, 출차 시간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행 정보는, 식별 정보, 차량 영상, 통과 시간,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영 관리부는, 상기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시스템까지의 거리, 상기 통과 시간, 소정 시간에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도로의 지정체 상황과 평균 속도를 포함한 교통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입차 시간 또는 상기 출차 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영 관리부는, 설정된 시간 범위 내 상기 관심 차량과 유사 경로를 갖는 타 차량에 대한 통행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며, 수신한 통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관심 차량의 상기 입차 시간 또는 상기 출차 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소정 영역에 진입하는 차량에 대한 입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영역으로부터 진출하는 상기 차량에 대한 출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입차 정보 또는 상기 출차 정보를 기초로 관심 차량을 분류하고, 상기 관심 차량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소정 서버로부터 상기 관심 차량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관심 차량의 통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통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관심 차량의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관심 차량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입차 정보가 등록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 상기 출차 정보를 수집하지 못하거나, 상기 입차 정보 없이 상기 출차 정보만 수집한 차량이 발생하면, 해당 차량을 상기 관심 차량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심 차량의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통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관심 차량의 상기 입차 정보 또는 상기 출차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심 차량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입차 정보 및 상기 출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영역을 이용하는 상기 차량에 대한 이용 현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의 통행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교통 정보 수집 서버 및 톨 게이트(Tollgate) 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출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각각은, 상기 차량의 영상을 기초로 차량을 인식하기 위한 차량 번호 판독 모듈 및 상기 차량을 식별하기 위한 소정 ID(Identification)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입차 정보 및 상기 출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번호 판독 모듈은, 상기 차량의 영상을 기초로 상기 관심 차량의 색상 및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며, 상기 관심 차량의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색상 및 상기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입차 정보 또는 상기 출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차 정보 및 출차 정보 각각은, 식별 정보, 차량 영상, 입차 시간, 출차 시간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행 정보는, 식별 정보, 차량 영상, 통과 시간,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심 차량의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시스템까지의 거리, 상기 통과 시간, 소정 시간에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도로의 지정체 상황과 평균 속도를 포함한 교통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입차 시간 또는 상기 출차 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심 차량의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는, 설정된 시간 범위 내 상기 관심 차량과 유사 경로를 갖는 타 차량에 대한 통행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며, 수신한 통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관심 차량의 상기 입차 시간 또는 상기 출차 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게소, 도로의 특정 구간, 주차장 등과 같은 한정된 영역을 이용하는 차량들에 대한 이용 현황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누락 또는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공간을 이용한 차량의 이용 현황 정보 중에서도 입차 시간 또는 출차 시간의 누락을 최소화함으로써, 시간의 경과에 따라 누적 발생하는 실제 이용 차량 정보와 산출한 이용 현황 정보 간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영역의 운용 효율을 개선함은 물론, 정보 오차로 인한 이용객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의 차량 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이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이용 현황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은 휴게소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터널, 교량, 위험 구간 등과 같은 도로의 특정 통행 구간, 도로 사용 요금을 과금하는 특정 과금 구간과 주차장 등의 특정 공간 등과 같이 한정된 영역에 적용하여 운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입차 정보 수집부(110), 출차 정보 수집부(120), 정보 제공부(130) 및 운영 관리부(140)를 포함하며, 휴게소를 이용하는 차량들에 대한 이용 현황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입차 정보 수집부(110)와 출차 정보 수집부(120)는 휴게소의 입구 및 출구를 통과하는 차량에 대한 입차 정보 및 출차 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입차 정부 수집부(110) 및 출차 정보 수집부(120) 각각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 영상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인식할 수 있는 차량 번호 판독 모듈(생략)을 이용하여, 입차/출차 정보를 수집하며, 차량 번호 판독 모듈(생략) 이 외에, ETCS(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무선 통신 모듈(생략)을 이용하여 입차/출차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입차 정보는 차량 영상, 식별 정보와 입차 시간 등을 포함하며, 출차 정보는 차량 영상, 식별 정보, 출차 시간 등을 포함한다.
이때, 식별 정보는 영상 처리를 통해 인식한 차량 번호와 무선 통신 모듈(생략)을 통해 인식한 차량 고유 번호(예를 들어, ID; Identification)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차 정보 수집부(110) 및 출차 정보 수집부(120) 각각은 차량 번호 판독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차량을 인식하나, 차량을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포함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번호 판독 모듈은 촬영한 차량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모듈이라면 그 구성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추가적인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차량의 색상, 차량의 종류(모델)를 수집할 수도 있다. 물론, 차량 번호 판독 모듈은 차량의 색상, 차량의 종류 외에 차량의 특징 정보를 추가로 수집할 수도 있다.
정보 제공부(130)는 입차 정보 수집부(110)와 출차 정보 수집부(120)로부터 각각 수집한 입차 정보와 출차 정보를 기초로 휴게소를 이용한 차량들에 대한 이용 현황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이용 현황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생략)를 통해 제공한다.
이때, 이용 현황 정보는 입차 시간, 출차 시간, 이용 시간 및 식별 정보 등의 이용 정보를 포함하며, 각 이용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한 통계 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계 정보는 특정 차량(위법 차량)의 입/출차 시간 및 실시간 차량 잔여 수, 일/월별 누적 이용 차량 수, 소정 시간대별 이용 차량 정보, 장시간 이용 차량 정보 등을 포함하며, 이외에도 이용 정보를 활용한 다양한 통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부(130)는 차량의 입차 정보가 등록된 후 기 설정된 이용 시간(예를 들어, 1시간) 동안에 출차 정보가 수집되지 않거나, 입차 정보 없이 출차 정보만 수집된 차량이 발생하면, 해당 차량을 관심 차량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관심 차량의 정보를 운영 관리부(140)로 제공한다. 여기서, 관심 차량의 정보는 존재하는 입차 정보 또는 출차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정보 제공부(130)는 관심 차량이 발생하면, 팝업, 소리 등을 통해 소정 알림을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운영 관리부(140)는 입차 정보 수집부(110), 출차 정보 수집부(120) 및 정보 제공부(130)를 제어 및 관리하며, 통행 정보 관리 서버(200)가 수집한 차량의 통행 정보를 활용하여 시간 정보, 위치 정보, 차량 번호 등에 대응하는 통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통행 정보 관리 서버(200)는 도로의 소정 지점에 대한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집하는 교통 정보 수집 서버(210) 및 톨 게이트 서버(220; Tollgate System) 등과 같이 도로 상의 차량 통행과 관련한 통행 정보(차량식별정보, 수집시각, 정보 수집 위치)를 수집 및 저장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운영 관리부(140)는 정보 제공부(130)에 의해 분류된 관심 차량의 정보를 기초로, 통행 정보 관리 서버(200)가 수집한 관심 차량의 통행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한 관심 차량의 통행 정보를 수신하여 정보 제공부(130)의 관심 차량의 정보에서 누락된 입차 정보 또는 출차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행 정보는 도로의 소정 지점에서 수집된 차량 영상, 식별 정보, 통과 시간, 수집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한다. 물론, 수집 위치 정보는 차량의 통행이 검지된 해당 지점의 위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운영관리부(140)는 통행 정보 관리 서버(200)의 통행 정보를 검색하여 수신하지만, 통행 정보 관리 서버(200)로부터 임의로(혹은 관리자에 의해) 선택한 통행 정보를 수신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운영 관리부(140)는 통행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 또는 통과 시간을 기초로 관심 차량의 입차 또는 출차 시간을 추정할 수 있으며, 추정한 시간을 이용하여 이용 시간을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만일, 입차 정보 없이 출차 정보만 수집된 관심 차량의 경우, 통행 정보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집된 통행 정보를 기초로 출차 시간을 추정함으로써 이용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입차 시간은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해 휴게소 이전에 위치한 도로 지점에서 수집된 통행 정보를 기초로 추정될 수 있고, 출차 시간은 휴게소 이후에 위치한 도로 지점에서 수집된 통행 정보를 기초로 추정될 수 있다. 이때, 도로 지점과 휴게소 간 거리, 관심 차량이 도로 지점을 통과한 시간, 지점의 속도 정보(차량들 평균 속도 또는 규정(제한) 속도) 등을 활용하면 누락된 입차 시간 또는 출차 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운영 관리부(140)는 입차 시간 또는 출차 시간을 추정하는 경우, 관심 차량의 통행 정보(통과 시간, 위치) 외에, 휴게소에서 도로 지점까지의 거리 및 해당 도로 지점의 교통 정보 등을 추가로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교통 정보는 소정 시간(또는 시간 범위)에 해당 도로 지점의 지/정체 상황(정체, 지체, 원활) 및 평균 속도(통행 차량들의 평균 속도)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운영 관리부(140)는 설정 시간 범위 내 유사 경로를 갖는 타 차량에 대한 통행 정보를 통행 정보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집하여 수집한 정보를 기초로 관심 차량의 입차 시간 또는 출차 시간을 추정할 수도 있다.
또한, 운영 관리부(140)는 관심 차량이 발생하면, 관심 차량의 누락된 입차 정보 또는 누락된 출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입/출차 정보 수집부(110, 120)가 수집한 관심 차량의 색상 및 차량의 종류(모델)를 기초로 입차 정보 또는 출차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영 관리부(14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출차 정보가 없는 관심 차량 "A"가 발생하면, 입차 정보로부터 수집한 관심 차량의 색상 "붉은색", 차량의 종류 "97년형 아반떼"를 기초로 출차 정보를 검색하여, 동일한 차량의 색상, 차량의 종류를 갖는 차량의 출차 정보를 제공한다. 물론, 입차 정보가 없는 관심 차량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하여 출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운영 관리부(140)는 출차 정보가 수집되지 않은 관심 차량에 대하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해당 관심 차량에 대한 정보를 삭제(Clear)할 수 있으며, 삭제한 관심 차량에 대한 정보는 저장부(생략)에 별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된 시간 간격은 휴게소 평균 이용 시간 또는 평균 이용 시간에 소정 시간이 더해진 시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휴게소에 적용하여 휴게소를 이용한 차량들에 대한 이용 현황 정보를 제공하지만, 휴게소와 유사한 특정 구간, 주차장 등과 같이 입/출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한정된 영역에 적용하여 해당 영역을 이용하거나 통과하는 차량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 및 가공한 이용 현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은 휴게소, 도로의 특정 구간, 주차장과 같이 한정된 영역을 이용하는 차량 정보를 보다 정확히 산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 누락 또는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도 2은 도 1의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의 차량 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100)의 입차 정보 수집부(110)는 휴게소를 이용하기 위해 입차하는 차량들에 대한 입차 정보를 수집하고, 출차 정보 수집부(120)는 해당 휴게소를 출차하는 차량들에 대한 출차 정보를 수집한다(S100).
정보 제공부(130)는 입차 정보와 출차 정보를 이용하여 휴게소 내 존재하는 차량에 대한 이용 현황 정보를 생성하고(S102), 생성한 이용 현황 정보를 관리자 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정보 제공부(130)는 차량의 입차 정보가 등록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 출차 정보가 수집되지 않거나 입차 정보 없이 출차 정보만 수집된 차량이 발생하면, 해당 차량을 관심 차량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관심 차량의 정보를 운영 관리부(140)로 제공한다.
예를 들면, 정보 제공부(130)는 차량 "A"의 입차 정보를 등록한 후 기 설정된 이용 시간(예를 들어, 1시간) 동안 출차 정보를 수집하지 못한 경우에, 해당 "A" 차량을 관심 차량으로 분류한다.
또한, 정보 제공부(130)는 입차 정보가 존재하지 않고, 출차 정보만 존재하는 차량 "A"가 등록되면, 해당 "A" 차량을 관심 차량으로 분류한다.
운영 관리부(140)는 정보 제공부(130)에 의해 분류된 관심 차량에 대응하는 통행 정보를 검색한다. 이때, 운영 관리부(140)는 통행 정보 관리 서버(200)가 수집한 통행 정보를 활용하여 관심 차량의 통행 정보를 검색한다(S104).
이때, 운영 관리부(140)는 기 설정된 시간 범위(예를 들어, 2시간 내), 기 설정된 위치 범위(예를 들어, 경기도 안양시 등) 또는 경로상 통행 예상 지점을 기초로 관심 차량의 통행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경로상 통행 예상 지점은 입차 정보는 존재하나 출차 정보가 없는 관심 차량에 대해, 해당 관심 차량이 진행하는 도로 상의 통행 정보를 수집하는 장치 중에서 출차 정보 수집부(120) 이후에 위치한 장치의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운영 관리부(140)는 통행 정보 관리 서버(200)로부터 해당 관심 차량의 통행 정보가 검색되면, 해당 통행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관심 차량의 정보에 누락된 입차 정보 또는 출차 정보를 대체하여 이용 현황 정보를 갱신한다(S106).
구체적으로, 운영 관리부(140)는 관심 차량의 통행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로부터 입차 정보 수집부(110) 또는 출차 정보 수집부(120)까지의 거리, 통행 정보에 포함된 통과 시간, 해당 시간의 도로 지정체 상황(정체, 지체, 원활) 및 평균 속도 등에 대한 교통 정보를 기초로 관심 차량의 입차 또는 출차 시간을 추정하여 이용 현황 정보를 갱신한다.
여기서, 입차 또는 출차 시간의 추정 시에 도로의 교통 상황에 따른 가중치를 사용할 수 있다. 가중치를 사용할 경우, 원활 상황과 대비하여 지체 및 정체 상황으로 갈수록 추정 시간이 당겨지거나 미뤄질 수 있다. 즉, 입차 추정 시간의 경우 도로의 지/정체가 있을수록 원활 상태보다 소정 시간 늦춰질 수 있고, 출차 추정 시간의 경우 도로의 지/정체가 있을수록 원활 상태보다 소정 시간 당겨질 수 있다.
한편, 운영 관리부(140)는 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 유사 경로를 갖는 타 차량의 통행 정보를 이용하여 관심 차량의 입차 시간 또는 출차 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게소에 관심 차량이 13:00:05에 진입하였고, "B" 차량이 관심 차량의 입차 시간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범위(예를 들어, 1분)인 13:01:00에 진입하였다고 가정한다. 이때, 관심 차량은 출차 기록이 없으나 서울 톨게이트를 13:45:05에 통과하였고, "B" 차량은 13:30:01에 출차한 후 13:50:01에 서울 톨게이트를 통과하였으면, "B" 차량을 유사 차량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B" 차량의 휴게소-톨게이트간 주행기록(00:20:00)을 이용하여 관심 차량의 휴게소 출차 기록(13:25:05)(='13:45:05'-'00:20:00')을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운영 관리부(140)는 추정한 입차 또는 출차 시간을 기초로 이용 현황 정보를 갱신한다.
이렇게, 운영 관리부(140)는 주변 통행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입차 시간이 인식되지 않은 차량에 대해서 통행 정보를 기초로 입차 시간을 추정할 수 있으며, 출차 시간이 인식되지 않는 차량에 대해서 통행 정보를 기초로 출차 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휴게소에 존재하는 차량의 정보를 갱신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정보의 산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정보 제공부(130)는 갱신한 이용 현황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생략)를 통해 관리자에게 제공한다(S108).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이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이용 현황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제공부(130)는 디스플레이부(생략)를 통해 입/출차 화면, 입차 시간, 출차 시간, 체류 시간(이용 시간), 진입 속도, 관심 차량 여부 등의 이용 정보를 표출하여 제공한다.
또한, 정보 제공부(130)는 이용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한 휴게소 내 잔류 차량에 따른 혼잡 정도, 방문 차량 수, 체류 차량 수, 관심 차량 수 등을 포함하는 통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이용 정보를 기초로 장기 체류 내역, 특정 차량 내역 등도 제공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제공부(130)가 관리하는 저장 정보를 설명하면, 정보 제공부(130)는 차량 번호, 입차 시간, 출차 시간, 통행 정보, 이용 시간 및 기타 정보 등의 이용 정보와, 해당 이용 정보를 활용하여 산출한 특정 차량(위법 차량)의 입/출차 시간 및 실시간 차량 잔여 수, 일/월별 누적 이용 차량 수, 소정 시간 별 차량 정보, 장시간 이용한 차량 정보 등의 통계 정보가 포함된 이용 현황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물론, 입차 시간이 누락된 식별번호 103의 관심 차량도 역시 해당 차량의 통행 정보를 검색하여, 입차 시간을 추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관심 차량 여부 란에는 입차 정보 없음, 출차 정보 없음, 통행 정보 대체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제공부(130)는 관심 차량(식별번호 102, 103)이 발생하였음을 알리기 위해 소정 알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식별번호 102의 관심 차량과 같이 기 설정된 이용 시간(예를 들어, 1시간)이 지난 차량에 대하여 통행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한 통행 정보를 이용하여 출차 시간을 대체할 수 있다.
물론, 입차 시간이 누락된 식별번호 103의 관심 차량도 해당 차량의 통행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통행 정보를 기초로 누락된 입차 시간을 추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은 영역에 대한 차량들의 이용 현황 정보 중에서도 입차 시간 또는 출차 시간에 대한 누락을 최소화함으로써, 시간의 경과에 따라 누적 발생하는 실제 이용 차량 정보와 산출한 이용 현황 정보 간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하여 휴게소, 특정 구간, 주차장 등과 같은 한정된 영역을 이용하는 차량들에 대한 이용 현황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어, 영역의 운용 효율을 개선함은 물론, 정보 오차로 인한 이용객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 110: 입차 정보 수집부
120: 출차 정보 수집부 130: 정보 제공부
140: 운영 관리부 200: 통행 정보 관리 서버

Claims (22)

  1. 소정 영역에 진입하는 차량에 대한 입차 시간을 포함한 입차 정보를 수집하는 입차 정보 수집부;
    상기 영역으로부터 진출하는 상기 차량에 대한 출차 시간을 포함한 출차 정보를 수집하는 출차 정보 수집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입차 정보만 수집한 제1 차량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1 차량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 및
    통과 시간과 위치가 포함된 통행 정보를 수집하는 소정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차량의 통행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통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차량의 출차 정보를 변경하는 운영 관리부
    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출차 정보만 수집한 제2 차량이 발생하면, 상기 제2 차량의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운영 관리부는,
    상기 제2 차량의 통행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2 차량의 입차 정보를 변경하는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입차 정보 및 상기 출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영역을 이용하는 상기 차량에 대한 이용 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의 통행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교통 정보 수집 서버 및 톨 게이트(Tollgate) 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차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출차 정보 수집부 각각은,
    상기 차량의 영상을 기초로 차량을 인식하기 위한 차량 번호 판독 모듈 및 상기 차량을 식별하기 위한 소정 ID(Identification)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차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출차 정보 수집부 각각은,
    상기 차량의 영상을 기초로 상기 제1 차량을 인식하여 색상 및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며,
    상기 운영 관리부는,
    상기 입차 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제1 차량의 색상 및 종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일치하는 차량에 대한 출차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차 정보 및 출차 정보 각각은,
    식별 정보, 차량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영 관리부는,
    상기 위치로부터 상기 시스템까지의 거리, 상기 통과 시간, 소정 시간의 도로 지정체 상황과 평균 속도를 포함한 상기 위치의 교통 정보를 기초로 상기 출차 시간을 추정하는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영 관리부는,
    설정된 시간 범위 내 상기 제1 차량과 유사 경로를 갖는 타 차량에 대한 통행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며, 수신한 통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출차 시간을 추정하는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
  12.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소정 영역에 진입하는 차량에 대한 입차 시간을 포함한 입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영역으로부터 진출하는 상기 차량에 대한 출차 시간을 포함한 출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입차 정보만 수집한 제1 차량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1 차량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통과 시간과 위치가 포함된 통행 정보를 수집하는 소정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차량의 통행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통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차량의 출차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 관리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출차 정보만 수집한 제2 차량이 발생하면, 상기 제2 차량의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차량의 통행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2 차량의 입차 정보를 변경하는 차량 정보 관리 방법.
  14. 삭제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입차 정보 및 상기 출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영역을 이용하는 상기 차량에 대한 이용 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정보 관리 방법.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의 통행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교통 정보 수집 서버 및 톨 게이트(Tollgate) 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 관리 방법.
  17.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입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출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각각은,
    상기 차량의 영상을 기초로 차량을 인식하기 위한 차량 번호 판독 모듈 및 상기 차량을 식별하기 위한 소정 ID(Identification)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입차 정보 및 상기 출차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 정보 관리 방법.
  18.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입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출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각각은,
    상기 차량의 영상을 기초로 상기 제1 차량을 인식하여 색상 및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며,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입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에 의해 수집된 상기 제1 차량의 색상 및 종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일치하는 차량에 대한 출차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차량 정보 관리 방법.
  19.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입차 정보 및 출차 정보 각각은,
    식별 정보, 차량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정보 관리 방법.
  20. 삭제
  21.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로부터 상기 시스템까지의 거리, 상기 통과 시간, 소정 시간의 도로 지정체 상황과 평균 속도를 포함한 상기 위치의 교통 정보를 기초로 상기 출차 시간을 추정하는 차량 정보 관리 방법.
  22.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설정된 시간 범위 내 상기 제1 차량과 유사 경로를 갖는 타 차량에 대한 통행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며, 수신한 통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출차 시간을 추정하는 차량 정보 관리 방법.
KR1020160152648A 2016-11-16 2016-11-16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30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648A KR101730398B1 (ko) 2016-11-16 2016-11-16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648A KR101730398B1 (ko) 2016-11-16 2016-11-16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0398B1 true KR101730398B1 (ko) 2017-04-27

Family

ID=58702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648A KR101730398B1 (ko) 2016-11-16 2016-11-16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39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081B1 (ko) 2017-09-06 2018-12-03 한국도로공사 영상기반 회차차량 자동톨링시스템 및 자동통링방법
KR20190070450A (ko) 2017-12-13 2019-06-21 (주)자스텍엠 운전 위험도 분석 차량 정보 처리 장치
KR101995813B1 (ko) * 2018-12-31 2019-07-03 렉스젠(주) 영상 기반의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09542A (ko) * 2019-03-13 2020-09-23 한국도로공사 시간 정보를 활용한 톨링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230001893A (ko) * 2021-06-29 2023-01-05 (주)파크앤소프트 정확성을 높인 주차장 잔류차량 대수 검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953B1 (ko) * 2014-01-10 2014-09-05 주식회사 스마트비전 Dsrc를 이용한 지능형 교통 시스템
KR101625384B1 (ko) 2016-02-26 2016-06-13 (주)토마토전자 차량 식별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953B1 (ko) * 2014-01-10 2014-09-05 주식회사 스마트비전 Dsrc를 이용한 지능형 교통 시스템
KR101625384B1 (ko) 2016-02-26 2016-06-13 (주)토마토전자 차량 식별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081B1 (ko) 2017-09-06 2018-12-03 한국도로공사 영상기반 회차차량 자동톨링시스템 및 자동통링방법
KR20190070450A (ko) 2017-12-13 2019-06-21 (주)자스텍엠 운전 위험도 분석 차량 정보 처리 장치
KR101995813B1 (ko) * 2018-12-31 2019-07-03 렉스젠(주) 영상 기반의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0141683A1 (ko) * 2018-12-31 2020-07-09 렉스젠(주) 영상 기반의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09542A (ko) * 2019-03-13 2020-09-23 한국도로공사 시간 정보를 활용한 톨링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207478B1 (ko) 2019-03-13 2021-01-26 한국도로공사 시간 정보를 활용한 톨링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230001893A (ko) * 2021-06-29 2023-01-05 (주)파크앤소프트 정확성을 높인 주차장 잔류차량 대수 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102604773B1 (ko) * 2021-06-29 2023-11-21 (주)파크앤소프트 정확성을 높인 주차장 잔류차량 대수 검출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0398B1 (ko)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99659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assifying a traffic jam from probe data
CN112489433B (zh) 交通拥堵分析方法及装置
CN102289936B (zh) 使用来自移动数据源的数据估算道路交通状况
EP3322960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a closure and/or opening of a navigable element
EP2203717B1 (en) A method of processing positioning data
CN104937650B (zh) 用于定位可用停车位的系统及方法
CN100468994C (zh) 交通信息管理系统
US2016014826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ffic monitoring and analysis
US201002113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traffic flow
US978616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stimating road traffic
US201903854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tomatic on-street parking control and unoccupied parking spot availability detection
US2016027578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a closure of a navigable element
US20100211304A1 (en) Personalized User Routing and Recommendations
CN112702692A (zh) 基于智能交通系统的路况信息提供方法以及智能交通系统
EP3671126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road closure graph inconsistency resolution
JPH11272983A (ja) 経路計画装置,到着時間予測装置,走行記録保存装置および経路計画/到着時間予測システム
JP2004287500A (ja) 道路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EP4266190A1 (en) Electronic map correction method and apparatus, navigation information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navigation method and apparatus
JP2004038695A (ja) 到着時間予測方法および到着時間予測プログラム
Schneider et al. Traveller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real-time toll data in Austria
Hu Short-term prediction of freeway travel times using data from bluetooth detectors
KR100667478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이용한 교통 예보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TW200532511A (en) Method for obtaining traffic information using billing information of mobile terminal
KR100667477B1 (ko) 위성 방송을 이용한 교통 예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