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259B1 - 마찰 전기 발전 및 전자기 에너지 발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 Google Patents

마찰 전기 발전 및 전자기 에너지 발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0259B1
KR101730259B1 KR1020150142737A KR20150142737A KR101730259B1 KR 101730259 B1 KR101730259 B1 KR 101730259B1 KR 1020150142737 A KR1020150142737 A KR 1020150142737A KR 20150142737 A KR20150142737 A KR 20150142737A KR 101730259 B1 KR101730259 B1 KR 101730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lectrode
electromagnetic energy
energy
triboelect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3243A (ko
Inventor
김상우
김한
김태윤
김지혜
유한준
하오동 장
곽성수
김태호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42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259B1/ko
Publication of KR20170043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00Electrostatic generators or motors using a solid moving electrostatic charge carrier
    • H02N1/04Friction generator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찰 전기 발전 장치 및 전자기 에너지 발전 소자가 서로 융합된 하이브리드 형태의 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발전소자는 마찰전기 발전소자의 낮은 전류 출력과 전자기에너지 발전소자의 낮은 전압 출력을 상호보완하여 각각의 발전소자보다 출력 퍼포먼스가 안정적이며 충전 퍼포먼스 또한 효과적이다.
또한, 기존의 분리된 두 발전 원리를 이용한 발전소자를 하이브리드 하여 두 가지 에너지원을 이용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의 작은 응력에도 쉽게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마찰 전기 발전 및 전자기 에너지 발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HYBRID ENERGY GENERATOR CAPABLE OF GENERATING TRIBOELECTRIC ENERGY AND ELECTROMAGNETIC ENERGY}
본 발명은 마찰 전기 발전 장치 및 전자기 에너지 발전 소자가 서로 융합된 하이브리드 형태의 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찰전기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하는 마찰전기 발전소자는 일상 생활에서 빈번히 일어나는 마찰 현상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마찰전기 발전소자는 발생하는 전압의 크기에 비하여 전류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코일을 통과하는 자속변화에 의한 전기에너지를 발생하는 유도기전력 발전소자는 발생하는 전류의 크기에 비하여 전압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서로 보완하기 위해, 정전기를 유도하는 방법 중의 하나인 대전이 잘 되는 물질 간의 마찰을 이용하여 생기는 정전기를 이용한 마찰전기 발전소자와 자석과 코일의 상호 간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자기장의 변화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얻는 전자기에너지 발전소자를 하이브리드하여 하나의 소자에 구현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 기술에서 언급된 마찰 전기 발전 소자에서의 전류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문제점 및 전자기 에너지 발전 소자에서의 전압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문제점을 상호 보완하기 위해 마찰전기 발전 소자 및 전자기에너지 발전소자를 서로 융합하여 하이브리드 형태의 소자를 구현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 전기 발전 및 전자기 에너지 발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는,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에 배치된 제 1 마찰 대전체층; 상기 제 1 마찰 대전체층과 대향하여 위치하며 상기 제 1 마찰 대전체층과 접촉 및 비접촉 상태를 반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마찰 대전체층의 대전 특성과 반대의 대전 특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제 2 마찰 대전체층; 상기 제 2 마찰 대전체층 상에 배치된 제 2 전극; 상기 제 2 전극 상에 배치된 고투자율(high permeability) 물질층; 상기 제 1 전극; 상기 제 1 마찰 대전체층; 상기 제 2 마찰 대전체층; 상기 제 2 전극; 및 상기 고투자율 물질층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코일; 및 상기 코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마찰 대전체층가 상기 제 2 마찰 대전체층이 접촉 상태에서 비접촉 상태로 됨에 따라 마찰 전기가 발생되며, 상기 제 1 마찰 대전체층과 연결된 상기 고투자율 물질층의 이동에 따라 자속의 변화가 발생되어 전자기 에너지가 발생된다.
상기 제 1 전극; 상기 제 1 마찰 대전체층; 상기 제 2 마찰 대전체층; 상기 제 2 전극; 및 상기 고투자율 물질층은 상기 코일을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에 연결된 인출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인출부에는 에너지 저장부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코일의 양단부에 연결된 인출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인출부에는 에너지 저장부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인출부와 상기 에너지 저장부 사이에는 각각 정류 다이오드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마찰 전기 발전 및 전자기 에너지 발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는,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에 배치된 제 1 마찰 대전체층; 상기 제 1 마찰 대전체층과 대향하여 위치하며 상기 제 1 마찰 대전체층과 접촉 및 비접촉 상태를 반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마찰 대전체층의 대전 특성과 반대의 대전 특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제 2 전극 역할을 하는 제 2 마찰 대전체층; 상기 제 2 마찰 대전체층 상에 배치된 고투자율(high permeability) 물질층; 상기 제 1 전극; 상기 제 1 마찰 대전체층; 상기 제 2 마찰 대전체층; 및 상기 고투자율 물질층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코일; 및 상기 코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마찰 대전체층가 상기 제 2 마찰 대전체층이 접촉 상태에서 비접촉 상태로 됨에 따라 마찰 전기가 발생되며, 상기 제 1 마찰 대전체층과 연결된 상기 고투자율 물질층의 이동에 따라 자속의 변화가 발생되어 전자기 에너지가 발생된다.
상기 제 1 전극; 상기 제 1 마찰 대전체층; 상기 제 2 마찰 대전체층; 및 상기 고투자율 물질층은 상기 코일을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마찰 대전체층에 연결된 인출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인출부에는 에너지 저장부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코일의 양단부에 연결된 인출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인출부에는 에너지 저장부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인출부와 상기 에너지 저장부 사이에는 각각 정류 다이오드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발전소자는 마찰전기 발전소자의 낮은 전류 출력과 전자기에너지 발전소자의 낮은 전압 출력을 상호보완하여 각각의 발전소자보다 출력 퍼포먼스가 안정적이며 충전 퍼포먼스 또한 효과적이다.
또한, 기존의 분리된 두 발전 원리를 이용한 발전소자를 하이브리드 하여 두 가지 에너지원을 이용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의 작은 응력에도 쉽게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 전기 발전 및 전자기 에너지 발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마찰 전기 발전 및 전자기 에너지 발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마찰 전기 발전 및 전자기 에너지 발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에서 마찰 전기 에너지의 발전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마찰 전기 발전 및 전자기 에너지 발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에서 전자기 에너지의 발전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마찰전기 에너지 발전 원리를 유한 요소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검증한 도면이다.
도 6은 전자기 에너지 발전 원리를 유한 요소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검증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전체 도면에서 걸쳐 유사한 도면번호는 유사한 엘리먼트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설명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발명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특정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구조 및 장치들은 실시예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블록 다이아그램 형태로 제시된다.
하기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간략화된 설명을 제공한다. 본 섹션은 모든 가능한 실시예들에 대한 포괄적인 개요는 아니며, 모든 엘리먼트들 중 핵심 엘리먼트를 식별하거나, 모든 실시예의 범위를 커버하고자 할 의도도 아니다. 그 유일한 목적은 후에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에 대한 도입부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개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마찰 전기 발전 소자에서의 전류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문제점 및 전자기 에너지 발전 소자에서의 전압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문제점을 상호 보완하기 위해 마찰전기 발전 소자 및 전자기에너지 발전소자를 서로 융합하여 하이브리드 형태의 소자를 구현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 전기 발전 및 전자기 에너지 발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의 도면이다.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 전기 발전 및 전자기 에너지 발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는, 제 1 전극(12); 상기 제 1 전극 상에 배치된 제 1 마찰 대전체층(10); 상기 제 1 마찰 대전체층과 대향하여 위치하며 상기 제 1 마찰 대전체층과 접촉 및 비접촉 상태를 반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마찰 대전체층의 대전 특성과 반대의 대전 특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제 2 마찰 대전체층(20); 상기 제 2 마찰 대전체층 상에 배치된 제 2 전극(22); 상기 제 2 전극 상에 배치된 고투자율(high permeability) 물질층(30); 코일(40); 및 상기 코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자석(50)을 포함한다.
제 1 전극(12) 및 제 2 전극(22)은 전극으로 이용 가능한 것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며, 이러한 전극에 대한 특별한 제한 사항은 없다.
제 1 마찰 대전체층(10) 및 제 2 마찰 대전체층(20)은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며 서로 접촉 및 비접촉 상태를 반복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제 2 마찰 대전체층(20)을 포함하는 부분이 A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나 B위치(점선으로 표시됨)로 이동하여 제 1 마찰 대전체층(10)과 제 2 마찰 대전체층(20)이 서로 접촉할 수 있다. 도 1에서 제 2 마찰 대전체층(20)을 포함하는 부분은 A-B-C 사이의 위치로 이동 가능한 것으로 도시되며, 이러한 움직임에 의해 후술하는 것처럼 전자기 에너지가 발생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 2 마찰 대전체층(20)을 포함하는 부분이 이동하고 제 1 마찰 대전체층(10)을 포함하는 부분은 고정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전자기 에너지를 크게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고투자율 물질층(30)을 포함한 부분이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1 마찰 대전체층(10) 및 제 2 마찰 대전체층(20)은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져 있어야 하며,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두 대전체층은 서로 상이한 대전 특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대전 특성이 서로 상이하다는 것은 대전 특성은 트리보일렉트릭 시리즈 상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것을 의미하며, 그 대전 특성의 차이가 클수록 더 큰 마찰 전기가 발생될 수 있다.
고투자율(high permeability) 물질층(30)은 제 2 전극(22) 상에 배치된다. 고투자율 물질층은 투자율이 높은 재료이면 되며, 일반적으로 투자율이 큰 강자성 재료를 의미한다. 이러한 고투자율 재료로는 Si-Fe, Co-Fe, Ni-Fe, 페라이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고투자율 물질층(30)이 부착된 제 2 마찰 대전체 부분(20)이 A-B-C와 같은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고투자율 물질의 이동에 의해 자기장 분포의 변화가 일어나고 이에 의해 코일을 통과하는 자기장이 변화되어, 즉 자속의 변화가 발생되어 전자기 에너지가 발생하게 된다.
코일(40)은 특별한 재질의 한정은 없으며 Cu와 같은 전도성이 높은 물질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코일은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소자에서 상기 제 1 전극; 상기 제 1 마찰 대전체층; 상기 제 2 마찰 대전체층; 상기 제 2 전극; 및 상기 고투자율 물질층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다. 즉, 도 1에서처럼 코일(40)이 상기 제 1 전극; 상기 제 1 마찰 대전체층; 상기 제 2 마찰 대전체층; 상기 제 2 전극; 및 상기 고투자율 물질층을 따라 나란히 배치됨으로써 고투자율 물질층(30)의 이동에 따른 자속의 변화가 발생될 수 있게 된다.
자속의 변화가 커지기 위해서는, 상기 제 1 전극; 상기 제 1 마찰 대전체층; 상기 제 2 마찰 대전체층; 상기 제 2 전극; 및 상기 고투자율 물질층이 상기 코일을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코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코일을 통과하면서 고투자율 물질층이 이동함에따라 자속의 변화가 가장 크게 발생되어 높은 전자기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자석(50)은 코일(4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자석(50)에 대한 특별한 제한은 없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의 마찰 전기 에너지 발전 원리 및 전자기 에너지 발전 원리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마찰 전기 발전 및 전자기 에너지 발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에서 마찰 전기 에너지의 발전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보는 것처럼, 외부에서 힘의 인가 등에 의해 위판과 아래판이 서로 접촉하게 되고 상대적 유전율 차이에 의해 서로 반대로 대전되게 된다. 편의상 위판은 (+)로 아래판은 (-)로 대전된 것으로 표시하였다.
이후 욋판과 아래판이 서로 비접촉 상태가 되면, 두 판 사이의 전위차에 의한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 전하의 이동이 발생되며, 이에 의해 전류가 흐르게 된다. 전하가 이동하여 전기적 평형을 이루면 전하의 흐름은 더이상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외부로부터 힘이 인가된다면,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다시 전류가 흐르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마찰 전기 발전 및 전자기 에너지 발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에서 전자기 에너지의 발전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초기 상태가 도 4의 맨 왼쪽과 같다고 가정하고 설명을 시작하도록 하겠다. 외부에서 힘이 인가되면 위판과 아래판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외부의 힘이 반대 방향으로 인가되면 위판과 아래판의 간격이 넓어지게 된다. 힘의 방향은 변경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다. 이와 같이 외부의 힘에 의해 고투자율 물질이 위치한 위판이 이동함에 따라 자석으로부터 형성된 자기장은 고투자율 물질에 의해 분포의 변화가 일어나게 되며, 자기장 분포의 변형에 의해 코일을 통과하는 자속 밀도가 변하게 된다.
전자기 에너지는 코일을 통과한느 자기장의 양(자속)의 변화에 따라 전류가 흐르게 되어 이를 수득하게 된다. 즉, 투자율이 높은 물질에 의한 자속의 변화를 이용하여 전자기 에너지를 수확하는 것이다.
정리하면, 제 1 마찰 대전체층가 제 2 마찰 대전체층이 접촉 상태에서 비접촉 상태로 됨에 따라 마찰 전기가 발생되며, 제 1 마찰 대전체층과 연결된 고투자율 물질층의 이동에 따라 자속의 변화가 발생되어 전자기 에너지가 발생된다.
한편, 마찰에 의해 발생된 마찰 전기 에너지를 수집하기 위해서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에 연결된 인출부(61)를 추가로 포함하고, 인출부(61)에는 에너지 저장부(63)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인출부(61)와 에너지 저장부(63) 사이에는 정류 다이오드(62)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자속의 변화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 에너지를 수집하기 위해서 코일(40)의 양단부에 연결된 인출부(71)를 추가로 포함하고, 인출부(71)에는 에너지 저장부(73)가 연결될 수 있으며, 인출부(71)와 에너지 저장부(73) 사이에는 정류 다이오드(72)가 연결될 수 있다.
인출부는 전극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이러한 인출부에는 축전지와 같은 에너지 저장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인출부와 에너지 저장부 사이에는 정류 다이오드(미도시)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인출부에는 부하가 연결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직접 전구에 불을 밝힐 수도 있다. 다이오드는 정류 다이오드로서 어느 한쪽 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이에 의해 전류가 반대로 흘러 축전지 등이 방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마찰 전기 발전 및 전자기 에너지 발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의 도면이다. 도 2의 실시예와 도 1의 실시예의 차이는 도 2의 경우에는 제 2 마찰 대전체층에 별도의 전극이 존재하지 아니하고, 제 2 마찰 대전체층이 전도성 물질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그 자체가 제 2 전극 역할을 하는 경우의 실시예이다. 제 2 마찰 대전체층이 제 2 전극 역할을 동시에 하는 것 이외에는 모두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하며, 따라서 중복 설명은 생략하고 도 1의 실시예와의 차이점만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제 2 마찰 대전체층이 제 1 마찰 대전체층과 대전 특성이 상이하면서 동시에 전기적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서 그 자체로 제 2 전극의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따라서,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인출부가 제 1 전극 및 제 2 마찰 대전체 층에 연결된다.
도 5는 마찰전기 에너지 발전 원리를 파인 엘리먼트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검증한 도면이고, 도 6은 전자기 에너지 발전 원리를 유한 요소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검증한 도면이다.
유한 요소 방법(finite element method)을 이용하기 위해 'COMSOL Multiphysics'라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유한 요소 시뮬레이션을 하였고, 도 5 및 6은 이의 결과를 도시한다.
도 5의 경우에는 도 1과 같은 실시예에서 마찰전기 에너지 발전 소자의 부분에 대한 시뮬레이션으로서, 재료로는 각각 알루미늄 및 PDMS를 설정하였고 크기는 3mm로 설정하였다. 도 5에서 보는 것처럼 제 1 마찰 대전체 및 제 2 마찰 대전체의 접촉 상태의 변화에 따라 마찰 전기 에너지가 출력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의 경우에는 도 1과 같은 실시예에서 전자기 에너지 발전 소자의 부분에 대한 시뮬레이션으로서, 네오듐 자석이 이용되었고 고투자율 물질로는 철(iron)을 이용하였다. 도 6에서 보는 것처럼 고투자율 물질의 이동에 따라 자기장의 변화가 발생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로부터 자속의 변화에 의한 전자기 에너지의 발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에 배치된 제 1 마찰 대전체층;
    상기 제 1 마찰 대전체층과 대향하여 위치하며 상기 제 1 마찰 대전체층과 접촉 및 비접촉 상태를 반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마찰 대전체층의 대전 특성과 반대의 대전 특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제 2 마찰 대전체층;
    상기 제 2 마찰 대전체층 상에 배치된 제 2 전극;
    상기 제 2 전극 상에 배치된 고투자율(high permeability) 물질층;
    상기 제 1 전극; 상기 제 1 마찰 대전체층; 상기 제 2 마찰 대전체층; 상기 제 2 전극; 및 상기 고투자율 물질층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코일; 및
    상기 코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마찰 대전체층과 상기 제 2 마찰 대전체층이 접촉 상태에서 비접촉 상태로 됨에 따라 마찰 전기가 발생되며, 상기 제 1 마찰 대전체층과 연결된 상기 고투자율 물질층이 상기 코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코일을 통과하면서 이동함에 따라 자속의 변화가 발생되어 전자기 에너지가 발생되는,
    마찰 전기 발전 및 전자기 에너지 발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상기 제 1 마찰 대전체층; 상기 제 2 마찰 대전체층; 상기 제 2 전극; 및 상기 고투자율 물질층은 상기 코일을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마찰 전기 발전 및 전자기 에너지 발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에 연결된 인출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인출부에는 에너지 저장부가 연결되어 있는,
    마찰 전기 발전 및 전자기 에너지 발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양단부에 연결된 인출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인출부에는 에너지 저장부가 연결되어 있는,
    마찰 전기 발전 및 전자기 에너지 발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와 상기 에너지 저장부 사이에는 각각 정류 다이오드가 연결되어 있는,
    마찰 전기 발전 및 전자기 에너지 발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6.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에 배치된 제 1 마찰 대전체층;
    상기 제 1 마찰 대전체층과 대향하여 위치하며 상기 제 1 마찰 대전체층과 접촉 및 비접촉 상태를 반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마찰 대전체층의 대전 특성과 반대의 대전 특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제 2 전극 역할을 하는 제 2 마찰 대전체층;
    상기 제 2 마찰 대전체층 상에 배치된 고투자율(high permeability) 물질층;
    상기 제 1 전극; 상기 제 1 마찰 대전체층; 상기 제 2 마찰 대전체층; 및 상기 고투자율 물질층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코일; 및
    상기 코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마찰 대전체층과 상기 제 2 마찰 대전체층이 접촉 상태에서 비접촉 상태로 됨에 따라 마찰 전기가 발생되며, 상기 제 1 마찰 대전체층과 연결된 상기 고투자율 물질층이 상기 코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코일을 통과하면서 이동함에 따라 자속의 변화가 발생되어 전자기 에너지가 발생되는,
    마찰 전기 발전 및 전자기 에너지 발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상기 제 1 마찰 대전체층; 상기 제 2 마찰 대전체층; 및 상기 고투자율 물질층은 상기 코일을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마찰 전기 발전 및 전자기 에너지 발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마찰 대전체층에 연결된 인출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인출부에는 에너지 저장부가 연결되어 있는,
    마찰 전기 발전 및 전자기 에너지 발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양단부에 연결된 인출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인출부에는 에너지 저장부가 연결되어 있는,
    마찰 전기 발전 및 전자기 에너지 발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와 상기 에너지 저장부 사이에는 각각 정류 다이오드가 연결되어 있는,
    마찰 전기 발전 및 전자기 에너지 발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KR1020150142737A 2015-10-13 2015-10-13 마찰 전기 발전 및 전자기 에너지 발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KR101730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737A KR101730259B1 (ko) 2015-10-13 2015-10-13 마찰 전기 발전 및 전자기 에너지 발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737A KR101730259B1 (ko) 2015-10-13 2015-10-13 마찰 전기 발전 및 전자기 에너지 발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243A KR20170043243A (ko) 2017-04-21
KR101730259B1 true KR101730259B1 (ko) 2017-05-11

Family

ID=58705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737A KR101730259B1 (ko) 2015-10-13 2015-10-13 마찰 전기 발전 및 전자기 에너지 발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2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533B1 (ko) * 2017-07-31 2019-05-3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 할바흐 배열된 다수의 자석 및 pdms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전자기, 마찰 에너지 하베스터
KR102085846B1 (ko) * 2018-07-06 2020-03-06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비공진형 고출력 하이브리드 에너지 하베스터
US11545915B2 (en) 2020-01-08 2023-01-03 Board Of Trustees Of Michigan State University Power generator, wave energy converter or sensor apparatus for water wave energy harvesting
CN113270933B (zh) * 2021-06-28 2022-09-16 上海大学 一种基于折纸结构的摩擦电-电磁复合能量收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33130A1 (en) 2011-01-28 2013-02-07 Oscilla Power Inc. Energy harvesting methods and devices, and applications thereof
WO2015080387A1 (ko) 2013-11-26 2015-06-04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성유체를 사용한 에너지 하베스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33130A1 (en) 2011-01-28 2013-02-07 Oscilla Power Inc. Energy harvesting methods and devices, and applications thereof
WO2015080387A1 (ko) 2013-11-26 2015-06-04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성유체를 사용한 에너지 하베스트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 Zhang et al. "Hybridized Electromagnetic-Triboelectric Nanogeneratot for Scavenging Biomechanical Energy for Sustainably Powering Wearable Electronics". ACS NANO. 2015.02.
Y. Wu et al. "Hybrid energy cell for harvesting mechanical energy from one motion using two approaches". Nano Energy. 2014.1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243A (ko) 2017-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0259B1 (ko) 마찰 전기 발전 및 전자기 에너지 발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US20160294305A1 (en)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Salauddin et al. High performance human-induced vibration driven hybrid energy harvester for powering portable electronics
Zhong et al. Rotating-disk-based hybridized electromagnetic-triboelectric nanogenerator for scavenging biomechanical energy as a mobile power source
US20080296984A1 (en) Energy converter
US8456059B2 (en) Electric generator
KR102085846B1 (ko) 비공진형 고출력 하이브리드 에너지 하베스터
KR101979148B1 (ko) 에너지 생성부 및 에너지 저장부가 일체화된 에너지 생성 시스템
CN104953785B (zh) 一种能量采集器
JP2022161924A (ja) 発電機
CN104883026A (zh) 滚动振子直线振动能量收集装置
US20150222203A1 (en) Electrostatic energy-harvesting device having 3-dimensional cone shape
KR101907771B1 (ko) 전하 유도형 마찰전기 에너지 발생 장치
WO2018192302A1 (zh) 一种发电装置和智能穿戴设备
US9780587B2 (en) Dynamo docking station
KR101720866B1 (ko) 자기장 변화 및 접촉에 의한 발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하베스터
KR20100114222A (ko) 충전식 마우스
TWM578045U (zh) Magnetic energy cutting power generation device
KR101787843B1 (ko) 스트레쳐블 하이브리드 발전소자
JP6108316B2 (ja) 電力効率改善装置
Lee et al. Slinky-inspired triboelectric–electromagnetic hybrid generator
KR102185838B1 (ko) 에너지 생성부 및 에너지 저장부를 포함한 에너지 생성 시스템
CN108206575B (zh) 一种充电机
JP5273353B2 (ja) 静電誘導型変換素子の電力取り出し回路
KR20060078288A (ko) 진동 발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