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177B1 - 테더링 서비스 지원 시스템 및 지원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 Google Patents

테더링 서비스 지원 시스템 및 지원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0177B1
KR101730177B1 KR1020100120810A KR20100120810A KR101730177B1 KR 101730177 B1 KR101730177 B1 KR 101730177B1 KR 1020100120810 A KR1020100120810 A KR 1020100120810A KR 20100120810 A KR20100120810 A KR 20100120810A KR 101730177 B1 KR101730177 B1 KR 101730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thering
terminal
communication
data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9168A (ko
Inventor
박덕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0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177B1/ko
Publication of KR20120059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9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17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테더링 서비스 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조사나 단말기 모델 별로 서로 다른 통신 스펙에 맞추어 동적으로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는 테더링 단말기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테더링 단말기에 테더링 서비스를 요청한다.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는 통신 단말기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테더링 서비스 요청 수신 시 통신 단말기 간의 테더링 서비스 지원을 위한 데이터 통신 규격을 사전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통신 단말기의 테더링 서비스를 지원하는 테더링 단말기, 테더링 서비스 지원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테더링 단말기를 거쳐 통신 단말기에 전송한다.

Description

테더링 서비스 지원 시스템 및 지원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Tethering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은 테더링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 단말기가 테더링 단말기를 기반으로 안정적인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테더링 서비스 시스템 및 지원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사용자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로서, 그 이용의 편리성과 휴대의 용이성 등으로 인하여 매우 폭넓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사용자 기능 지원을 위하여 특정 기능 모듈을 탑재하고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음악 파일 재생을 위하여 MP3 플레이어 모듈, 영상 수집 기능을 위하여 카메라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테더링(Tethering) 서비스는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통신망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망에 직접적으로 접속이 불가능한 단말기에도 통신망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테더링 서비스는 근거리 통신 기술 예를 들면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기술이나 USB 케이블 등과 같은 유선 접속 기술을 통해 통신망 접속 가능 단말기와 불가능 단말기를 연결하여 통신망 직접 접속 불가능 단말기에 통신망 기반의 서비스를 지원한다. 이때, 통신망 직접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는 다른 단말기의 모뎀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테더링 서비스는 제조사별로 단말기들의 통신 사양이 다르기 때문에, 제조사 혹은 단말기들의 모델 별로 적용 가능한 통신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만들어야 구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안정적인 통신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조사나 단말기 모델 별로 서로 다른 통신 스펙에 맞추어 동적으로 통신을 제어할 수 있는 테더링 서비스 시스템 및 지원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사나 모델 별로 서로 다른 통신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할 필요 없이, 하나의 통신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최초 통신 시도 시에 패킷 단위별 안정성을 테스트함으로써 최적의 통신 환경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단말기 특성에 관계없이 최적의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테더링 서비스 시스템 및 지원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테더링 서비스 시스템은 통신 단말기와 테더링 단말기 및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단말기는 테더링 단말기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테더링 단말기에 테더링 서비스를 요청하며, 상기 테더링 단말기는 상기 통신 단말기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테더링 서비스 요청 수신 시 상기 통신 단말기 간의 테더링 서비스 지원을 위한 데이터 통신 규격을 사전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통신 단말기의 테더링 서비스를 지원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테더링 서비스 지원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상기 테더링 단말기를 거쳐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전송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제1 근거리 통신 모듈, 제1 제어부 및 제1 표시부를 포함하는 테더링 서비스를 지원하는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모듈은 테더링 단말기와의 통신 채널 형성을 지원하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테더링 서비스 지원을 위한 상기 테더링 단말기 검색을 제어하며, 검색된 테더링 단말기와 테더링 서비스 지원을 위한 데이터 통신 규격을 사전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1 표시부는 상기 테더링 서비스 운용에 따른 데이터를 상기 테더링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제2 근거리 통신 모듈, 제2 제어부,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테더링 서비스를 지원하는 테더링 단말기의 구성을 개시한다.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은 통신 단말기와의 통신 채널 형성을 지원하며,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테더링 서비스 지원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통신 단말기와 테더링 서비스 지원을 위한 데이터 통신 규격을 사전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무선통신부는 상기 테더링 서비스 운용을 위한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 접속을 지원한다.
본 발명은 또한 통신 단말기와 테더링 단말기 간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통신 단말기가 상기 테더링 단말기에 테더링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통신 단말기의 테더링 서비스 운용을 위한 데이터 통신 규격을 결정하는 규격 결정 단계, 상기 결정된 데이터 통신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테더링 단말기가 테더링 서비스를 지원하는 테더링 서비스 지원 단계를 포함하는 테더링 서비스 지원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상기 테더링 서비스 지원 방법에서 상기 데이터 규격 결정 단계는 상기 테더링 단말기가 스펙 상에 정의된 최대 패킷 사이즈 또는 상기 테더링 단말기가 운용 가능한 최대 패킷 사이즈의 일정 규격 데이터 및 일정 규격 데이터에서 일정 크기씩의 패킷 사이즈를 줄인 데이터들을 순차적으로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순차적으로 전송한 데이터 중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정상 응답을 수신한 데이터 규격을 상기 테더링 서비스 운용을 위한 데이터 통신 규격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규격 결정 단계는 상기 정상 응답을 수신한 데이터 규격의 패킷 사이즈를 가지는 데이터를 일정 횟수만큼 반복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에 추가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추가 전송에 따른 정상 응답 수신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데이터 규격 결정 단계는 상기 통신 단말기가 자신이 운용 가능한 데이터 통신 규격 정보를 상기 테더링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신 단말기가 전송한 데이터 통신 규격 정보를 상기 테더링 단말기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통신 단말기가 전송한 상기 데이터 통신 규격이 상기 테더링 단말기가 수용할 수 있는 규격인 경우 상기 테더링 단말기가 해당 데이터 통신 규격을 상기 테더링 서비스 지원을 위한 데이터 통신 규격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상기 데이터 규격 결정 단계는 상기 통신 단말기가 전송한 상기 데이터 통신 규격이 상기 테더링 단말기가 수용할 수 없는 규격인 경우 상기 테더링 단말기가 자신이 운용 가능한 데이터 통신 규격 정보를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고, 자신이 운용 가능한 데이터 통신 규격을 테더링 서비스 지원을 위한 데이터 통신 규격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테더링 서비스 지원 단계는 상기 통신 단말기가 전송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테더링 단말기가 특정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 검색, 접속 및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테더링 단말기가 상기 특정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테더링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통신 규격에 맞도록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테더링 서비스 지원 단계는 상기 통신 단말기가 전송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테더링 단말기가 특정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 검색, 접속 및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테더링 단말기가 상기 결정된 데이터 통신 규격을 상기 특정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특정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결정된 데이터 통신 규격에 맞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테더링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더링 서비스 시스템 및 지원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규격을 테더링 서비스 초기 단계에서 안정적으로 설정한 후, 테더링 서비스를 수행함으로써, 제조사나 단말기 모델 별로 서로 다른 통신 스펙에 맞추어 동적으로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조사나 모델 별로 서로 다른 통신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할 필요 없이, 하나의 통신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최초 통신 시도 시에 패킷 단위별 안정성을 테스트함으로써 최적의 통신 환경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단말기 특성에 관계없이 최적의 통신 환경을 제공하여 통신 단말기의 테더링 서비스를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테더링이 되지 않은 통신 단말기를 이용해서 보다 다양한 통신 서비스 이용을 달성할 수 있으며, 단말기 특성에 관계없이 일정한 통신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여 테더링 서비스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더링 서비스 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더링 단말기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더링 서비스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더링 단말기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는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접속된 통신망에 직접적인 접속이 불가능하여 테더링 서비스를 요청하고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통신 단말기로 명명하기로 하며, 통신망에 직접 접속이 가능하며 테더링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기를 테더링 단말기로 명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술한 명칭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통신 단말기의 경우 테더링 단말기를 거쳐서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구성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테더링 단말기는 통신 단말기의 테더링 서비스 요청에 따라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와 통신 단말기 간에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단말기로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더링 서비스 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이하 설명에서는 테더링 서비스 지원을 위하여 테더링 단말기(200)와 통신 단말기(100)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테더링 단말기(200)와 통신 단말기(100)는 근거리 통신 채널 이외에 유선 케이블 등을 이용한 케이블 통신 채널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근거리 통신 채널은 테더링 단말기(200)와 통신 단말기(100) 간에 테더링 서비스 지원을 위한 신호 송수신을 지원하는 통신 채널의 한 종류로 이해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보다 다양한 통신 채널 적용도 가능함을 인지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테더링 서비스 지원 시스템(10)은 통신 단말기(100), 테더링 단말기(200), 통신망(300) 및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테더링 서비스 지원 시스템(10)은 통신 단말기(100)가 테더링 단말기(200)에 테더링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테더링 단말기(200)가 통신 단말기(100)와의 안정적 데이터 통신 규격을 확인하고, 확인된 데이터 통신 규격을 기반으로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가 제공하는 다양한 통신 서비스 예를 들면 인터넷 접속 서비스 또는 이동통신 서비스 등을 지원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테더링 서비스 지원 시스템(10)은 통신 단말기(100)와 테더링 단말기(200) 간의 안정적 데이터 송수신을 기반으로 테더링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테더링 서비스 지원 시스템(10)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통신 단말기(100)는 통신망(300)에 직접적으로 접근할 수 없지만 테더링 단말기(200)를 통하여 통신망(300)에 간접 접근할 수 있는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단말기(100)는 장착된 제1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테더링 단말기(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통신 단말기(100)는 테더링 단말기(20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테더링 단말기(200)의 제어에 따라 안정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 규격을 결정한 뒤, 결정된 데이터 통신 규격을 기반으로 테더링 서비스를 이용 수 있다. 통신 단말기(100)는 통신망(300) 직접 접속이 불가능한 랩탑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TV 단말기, 휴대용 대형 스크린 단말기, 휴대 단말기 등이 될 수 있으며, 또한 통신 단말기(100)는 자동차에 구축된 전자 통신 시스템의 일부 구성 또는 전체 구성이 될 수 도 있다. 통신 단말기(100)의 보다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테더링 단말기(200)는 통신망(300)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테더링 단말기(200)는 통신 단말기(100)의 테더링 서비스 요청에 따라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와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테더링 단말기(200)는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테더링 서비스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통신 단말기(100)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근거리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보다 안정적인 테더링 서비스 지원이 가능한 데이터 통신 규격을 검색 및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테더링 단말기(200)는 테더링 서비스 지원을 위한 데이터 통신 규격이 결정되면,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와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중계하여 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테더링 단말기(20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통신망(300)은 테더링 단말기(200)와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 서비스에 필요한 신호 송수신을 지원한다. 즉 테더링 단말기(200)가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에 데이터 통신을 요청하면, 통신망(300)은 테더링 단말기(200)의 서비스 이용을 위한 접속 요청을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에 전송하고,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의 허용 여부에 따라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가 지원하는 데이터를 테더링 단말기(200)에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통신망(300)은 다양한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즉 통신망(300)은 IP를 이용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 및 끊김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IP망, IP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을 통합한 IP망 구조인 ALL-IP망일 수 있다. 또한 통신망(300)은 유선통신망, 이동통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Wi-Fi망을 포함하는 WLAN, 위성통신망 또는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유무선 또는 이들의 결합망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는 통신망(300)을 통하여 테더링 단말기(200)와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통신망(300)에 접속되어 테더링 단말기(200)의 접속 요청에 따라, 해당 데이터 서비스에 필요한 데이터를 테더링 단말기(200)에 전송하는 구성이다.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는 테더링 단말기(200)가 지원하는 통신 규격 방식에 따라 데이터 규격을 조정하고, 조정된 데이터 규격에 따라 해당 테더링 단말기(20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테더링 단말기(200)가 유선 네트워크 기반의 개인용 컴퓨터인 경우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는 해당 유선 네트워크 기반의 개인 컴퓨터에 맞는 데이터 통신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는 테더링 단말기(200)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 기반의 데이터 통신 방식에 따라 제공되는 데이터를 해당 테더링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테더링 서비스 지원 시스템(10)은 통신망(300)에 접속이 가능한 테더링 단말기(200)가 통신 단말기(100)와 안정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 규격을 사전 결정한 뒤, 이를 기반으로 테더링 서비스를 지원함으로써, 테더링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들의 통신 규격이나 통신 지원 어플리케이션에 관계없이 유동적인 데이터 통신 규격 설정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테더링 서비스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통신 단말기(100)는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0), 제1 입력부(120), 제1 오디오 처리부(130), 제1 표시부(140), 제1 저장부(150) 및 제1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통신 단말기(100)는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0)을 기반으로 테더링 단말기(200)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테더링 단말기(20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 통신 규격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통신 단말기(100)는 테더링 서비스에 운용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규격을 테더링 단말기(200)와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단말기(100)는 결정된 데이터 처리 규격에 따라 테더링 단말기(200)를 기반으로 테더링 서비스를 운용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통신 단말기(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0)은 테더링 단말기(200)에 마련된 제2 근거리 통신 모듈과 근거리 통신 채널 또는 케이블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0)은 무선 방식의 통신 모듈과 유선 방식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방식의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모듈, 지그비 모듈, UWB 모듈, NFC 모듈, 와이파이 모듈 등 다양한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그리고 유선 방식의 통신 모듈은 USB 케이블과 같은 유선 케이블 접속 방식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케이블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예를 개시하였다.
또한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0)은 테더링 단말기(200) 간에 형성된 근거리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테더링 서비스 지원에 필요한 다양한 신호를 수신 및 전달할 수 있다. 즉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0)은 테더링 단말기(200)에 테더링 서비스 요청을 위한 신호, 테더링 서비스 요청에 따라 테더링 단말기(200)를 통하여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 접속을 위한 정보 등을 테더링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0)은 테더링 단말기(200)의 제어에 따라 결정된 데이터 통신 규격을 기반으로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가 전송하는 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입력부(120)는 통신 단말기(100) 구동에 필요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제1 입력부(120)는 통신 단말기(10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단말기(100)가 랩 탑 컴퓨터 또는 데스크 탑 컴퓨터인 경우 제1 입력부(120)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이 될 수 있으며, TV 단말기 등인 경우 버튼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입력부(120)는 다수의 버튼 키, 사이드 키, 핫 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입력부(120)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는 테더링 단말기(200) 기반의 테더링 서비스를 요청하는 입력 신호,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 접속을 위한 입력 신호, 통신 서비스 운용 과정에 필요한 다양한 입력 신호, 테더링 서비스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 등이 될 수 있다. 생성된 입력 신호는 제1 제어부(160)에 전달될 수 있다.
제1 오디오 처리부(130)는 통신 단말기(100) 구동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SPK)와, 통화 기능 지원을 위하여 사용자 음성을 수집하는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1 오디오 처리부(130)의 스피커(SPK)는 테더링 단말기(200)를 통하여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표시부(140)는 액정표시장치, OLED표시장치 등 박막트랜지스터를 채용한 평판표시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표시부(140)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 수단 역할을 수행할 수 도 있다. 이러한 제1 표시부(140)는 통신 단말기(100) 운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화면을 출력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제1 표시부(140)는 통신 단말기(100)의 기본 특성에 따른 화면 예를 들면 방송 수신 화면, 자동차 현재 상태 체크 화면, 컴퓨터 부팅 완료 후 스케줄 정보에 따라 출력되는 대기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1 표시부(140)는 테더링 서비스 항목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 테더링 서비스 이용을 위한 테더링 단말기(200) 검색 화면, 검색된 테더링 단말기(200)에 테더링 서비스를 요청하는 화면, 테더링 단말기(200) 제어에 따라 결정된 데이터 통신 규격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 접속 화면,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 접속에 따라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가 제공하는 다양한 통신 서비스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통신 규격 정보 출력 화면은 설계자 의도에 따라 생략될 수 도 있다.
제1 저장부(150)는 통신 단말기(100)의 운영을 위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통신 단말기(100) 운영에 따라 생성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제1 저장부(150)는 특히 본 발명의 테더링 서비스 지원을 위한 테더링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0) 운용을 위한 운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테더링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은 사용자 메뉴 화면이나 핫 키를 이용하여 테더링 서비스 요청을 수행하는 경우 제1 제어부(160)에 로드되어 활성화될 수 있으며, 활성화 시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0)을 자동 활성화하여 주변 단말기 검색을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이때 테더링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은 단말기 검색 시 모뎀을 장착한 테더링 단말기(200)를 검색하고, 검색된 단말기들의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전 테더링 서비스 수행 이력이 존재하는 경우 테더링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은 이전 이력에 포함되는 테더링 단말기(200)의 항목을 전체 검색 리스트의 최상위에 배치하여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테더링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은 입력 신호에 의하여 선택되거나 자동 선택된 테더링 단말기(200) 간의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테더링 단말기(200)의 제어에 따라 테더링 서비스 이용을 위한 데이터 통신 규격을 결정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 규격이 결정되면 테더링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은 테더링 단말기(200)의 중계 기능을 기반으로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 접속 및 통신 서비스 이용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제1 저장부(150)는 통신 단말기(100) 운영에 필요한 데이터들 예를 들면 컨텐츠 파일이나 녹화 또는 녹음 파일, 길 안내를 위한 맵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1 저장부(150)는 테더링 단말기(200) 간에 결정된 데이터 통신 규격과, 테더링 단말기(200) 정보를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저장된 이력 정보는 추후 테더링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동일 테더링 단말기(200)가 검색되고 선택되는 경우 별도의 데이터 통신 규격 결정을 위한 과정을 생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제1 제어부(160)는 통신 단말기(100) 운영에 필요한 다양한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특히 제1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테더링 서비스 요청 입력 신호 생성하면, 입력 신호에 따라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0) 활성화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1 제어부(160)는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0)을 기반으로 주변 단말기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제1 제어부(160)는 검색된 단말기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테더링 단말기(200)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1 제어부(160)는 테더링 단말기(200)의 제어에 따라 테더링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데이터 통신 규격을 결정하고, 결정된 데이터 통신 규격을 기반으로 테더링 서비스가 운용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어부(160)는 테더링 서비스 운용을 위한 주변 단말기 검색 시, 제1 저장부(150)에 저장된 이력을 기반으로 이전 서비스 운용 이력이 있는 테더링 단말기(200)가 검색되면 해당 검색 항목을 제1 표시부(140)의 검색 리스트 최상위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16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이전 이력에 포함된 테더링 단말기(200)가 검색되면, 별도의 입력 신호 발생이 없더라도 해당 테더링 단말기(200)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이전에 저장된 테더링 서비스 운용을 위한 데이터 통신 규격을 기반으로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 접속 및 통신 서비스 운용을 지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160)는 테더링 서비스 설정 과정에서 테더링 단말기(200)로부터 일정 규격의 데이터가 전송되면 해당 규격이 수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수용 불가능한 경우, 불가능 메시지를 테더링 단말기(2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제어부(160)는 수용 가능한 일정 규격 데이터가 전송되면 해당 데이터에 대하여 수용 가능 메시지 예를 들면 “OK” 메시지를 테더링 단말기(2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60)는 테더링 서비스 운용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테더링 단말기(200)에 자신이 운용 가능한 데이터 통신 규격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제어부(160)는 테더링 단말기(200)가 해당 데이터 통신 규격 정보에 대한 허용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를 기반으로 테더링 서비스 운용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신 단말기(100)는 테더링 서비스 운용에 필요한 적당한 데이터 통신 규격을 테더링 서비스 시작 이전에 설정함으로써, 테더링 단말기(200)를 통한 통신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더링 단말기(20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테더링 단말기(200)는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10), 제2 입력부(220), 제2 오디오 처리부(230), 제2 표시부(240), 제2 저장부(250), 무선통신부(270) 및 제2 제어부(2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테더링 단말기(200)는 통신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통신 단말기(100)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한편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와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가 지원하는 데이터들을 통신 단말기(100)에 전달함으로써 테더링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이때 테더링 단말기(200)는 통신 단말기(100)가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 규격을 확인 및 결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테더링 서비스가 지원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테더링 단말기(200)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10)은 통신 단말기(100)에 포함된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0)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10)은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0)과의 통신 호환을 고려하여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0)을 구성하는 통신 모듈과 동일한 통신 모듈 또는 데이터 호환이 가능한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10)은 테더링 단말기(200)의 테더링 서비스 중계 기능을 위하여 다양한 신호 예를 들면 통신 단말기(100)가 전송하는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 접속 요청 데이터,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 인증을 위한 데이터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제2 제어부(260) 제어에 따라 무선통신부(270)를 통하여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10)은 무선통신부(270)를 통하여 수신한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가 제공한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제2 제어부(260) 제어에 따라 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10)은 사전 결정된 데이터 통신 규격에 따라 일정한 사이즈를 가지는 패킷의 형태로 해당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통신 단말기(100)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입력부(2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입력부(220)는 테더링 단말기(200)의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2 제어부(260)에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2 입력부(220)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테더링 서비스 중지를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입력부(220)에 의하여 테더링 서비스 중지를 위한 입력 신호 발생 시, 제2 제어부(260)는 해당 메시지를 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하는 한편,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 접속을 종료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오디오 처리부(230)는 제2 제어부(260)의 제어 하에 무선통신부(270)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 또는 제2 저장부(250)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 재생으로 발생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로 출력하거나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무선통신부(270)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특히 제2 오디오 처리부(230)는 테더링 서비스 지원 시 사용자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오디오 출력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 테더링 서비스 지원 과정에서 수신되는 데이터 중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SPK)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또한 제2 오디오 처리부(23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테더링 서비스 지원 중 통화 연결을 위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알리기 위한 알람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화 연결 알람 신호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진동으로 변경되거나 무음 처리될 수 있다. 한편 제2 오디오 처리부(230)는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테더링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면, 이를 알리는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데이터 통신 규격 결정 이후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 접속에 따라 테더링 서비스가 시작되는 경우, 이를 알리는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알람 신호들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생략될 수 도 있다.
제2 표시부(240)는 통신 단말기(100)의 제1 표시부(140)와 유사하게 테더링 단말기(200)의 각종 메뉴 화면을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여 터치스크린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표시부(24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의 박막트랜지스터를 기반으로 형성된 평판 표시 소자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표시부(240)는 터치 패널을 기반으로 특정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입력수단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제2 표시부(2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더링 서비스 지원을 위한 다양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표시부(240)는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테더링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화면, 테더링 서비스 요청 수락 시 통신 단말기(100)와의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화면, 근거리 통신 채널 형성 과정 중 테더링 서비스 지원을 위한 데이터 통신 규격을 자동 설정하는 화면,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 접속 화면,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가 제공하는 서비스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2 표시부(240)는 테더링 서비스가 지원되고 있음을 지시하는 아이콘이나 메시지 또는 인디케이터 등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화면 출력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전원 절약을 이유로 생략될 수 도 있다.
제2 저장부(250)는 테더링 단말기(20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제2 입력부(22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통신 단말기(100)가 전송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저장부(25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테더링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더링 서비스 지원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테더링 서비스 지원 프로그램은 테더링 단말기(200)를 중계기 역할로 하여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통신 단말기(10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를 위하여 테더링 서비스 지원 프로그램은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테더링 서비스 요청 수신 시, 통신 단말기(100)의 데이터 통신 규격을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규격 결정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규격 결정 루틴은 통신 단말기(100)가 데이터 통신 규격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 통신 규격 정보에 포함된 제1 패킷 사이즈가 테더링 단말기(200)에 적용 가능한지 확인하는 루틴, 적용 불가능한 경우 해당 데이터 통신 규격에 정의된 제1 패킷 사이즈보다 작은 제2 패킷 사이즈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규격 정보를 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하는 루틴 및 제2 패킷 사이즈를 기반으로 테더링 서비스를 지원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규격 결정 루틴은 통신 단말기(100)에 제1 패킷 사이즈로 구성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루틴, 제1 패킷 사이즈로 구성된 데이터에 대한 수용 메시지 미수신 시 제1 패킷 사이즈보다 작은 패킷 사이즈로 구성된 데이터를 수용 메시지 수신 시 까지 전송하는 루틴, 수용 메시지 수신 시점의 패킷 사이즈를 기반으로 테더링 서비스를 운용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테더링 단말기(2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폰 북, 오디오 데이터, 해당 컨텐츠 및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영역은 테더링 서비스를 지원하는 통신 단말기(100) 정보,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가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70)는 테더링 단말기(200)가 테더링 서비스 지원을 위하여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에 접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무선통신부(270)는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망 등의 통신망(300)에 접속하여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형성된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테더링 단말기(200)가 본 발명의 테더링 서비스 지원을 위해 필요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60)는 테더링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 처리 기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2 제어부(260)는 테더링 단말기(200)의 테더링 서비스 기능 지원을 위한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 제어부(260)는 통신 단말기(100)가 테더링 서비스 운용을 위하여 단말기 검색을 수행하는 경우 테더링 단말기(200)의 하드웨어 정보 및 이름(Name) 정보를 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하여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2 제어부(260)는 근거리 통신 채널 형성 이후 또는 형성 과정에서 통신 단말기(100)의 테더링 서비스 지원을 위한 데이터 통신 규격 결정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 제어부(26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100)가 운용 가능한 데이터 통신 규격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이를 기반으로 테더링 서비스 운용을 위한 데이터 통신 규격을 결정하거나, 전송된 데이터 통신 규격 정보와 테더링 단말기(200)가 운용 가능한 데이터 통신 규격 정보를 비교하여 테더링 단말기(200)의 운용 가능한 데이터 통신 규격 즉 패킷 사이즈가 더 작은 경우, 테더링 단말기(200) 기준의 데이터 통신 규격 정보를 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260)는 테더링 단말기(200)가 운용 가능한 최대 데이터 통신 규격의 데이터로부터 일정 크기만큼 작은 패킷 사이즈 형태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하여 통신 단말기(100)가 수용 메시지 예를 들면 전송한 데이터에 대한 정상적인 응답 메시지 수신이 이루어진 시점의 데이터 통신 규격의 패킷 사이즈를 테더링 서비스 데이터 통신 규격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제2 제어부(260)는 서비스 Spec 상 정의되어 있거나 예상되는 최대 사이즈의 패킷 데이터를 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하고, 상기 패킷 데이터의 정상 수신 여부를 확인한 이후, 정상 수신이 이루어지지 못하면, 최대 사이즈에서 일정 단위 사이즈 예를 들어 100Byte씩 Packet 사이즈를 줄인 패킷 데이터를 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하여 정상 수신이 이루어지는 시점의 패킷 데이터 사이즈를 데이터 통신 규격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제어부(260)는 보다 안정적인 테더링 서비스 지원을 위하여 정상 수신이 이루어진 시점의 패킷 데이터 사이즈를 가지는 데이터를 일정 횟수만큼 더 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하여 안정성을 테스트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 규격이 결정되면, 제2 제어부(260)는 통신 단말기(100)가 전송하는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 접속을 위한 정보와 해당 규격을 기반으로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 접속을 제어할 수 있다. 접속이 완료되면, 제2 제어부(260)는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가 제공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통신 단말기(100)에 중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테더링 단말기(200)는 통신 단말기(100)와의 연계를 통하여 사전 설정된 데이터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 접속 및 그에 따른 통한 통신 단말기(100)의 테더링 서비스 지원을 안정적으로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더링 서비스 지원 시스템과 해당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말기들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더링 서비스 지원 시스템의 각 구성들의 운용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100)와 테더링 단말기(200) 간의 테더링 서비스 설정을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테더링 서비스 지원 방법은 먼저, S101 단계에서 통신 단말기(100) 사용자가 테더링 서비스 운용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면, 테더링 서비스 지원을 위한 테더링 단말기(200)를 검색하고, 검색된 테더링 단말기(200)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통신 단말기(100)는 테더링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 항목을 포함하는 화면을 제1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하거나, 특정 키를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핫 키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단말기(100)는 테더링 서비스 운용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0)을 운용하여 인접한 영역에 테더링 서비스를 지원할 테더링 단말기(200)를 검색할 수 있다. 테더링 단말기(200)가 검색되면 통신 단말기(100)는 테더링 단말기(200)에 대응하는 항목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제1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테더링 단말기(200)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테더링 단말기(200)와 근거리 통신 채널 형성을 위하여 신호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단말기(100)는 검색된 테더링 단말기(200)와 이전 테더링 서비스 운용 이력이 있는 경우, 사용자 입력 신호가 없더라도 해당 테더링 단말기(200)와 자동으로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 단말기(100)는 형성된 근거리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테더링 서비스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테더링 단말기(2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테더링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테더링 단말기(200)는 S105 단계에서 일정 규격 예를 들면, 서비스 스펙 상 정의되어 있거나 예상되는 최대 사이즈 예를 들면 테더링 단말기(200)가 운용 가능한 최대 사이즈의 패킷 구조를 가지는 제1 규격 데이터를 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하고, 제1 규격 데이터의 정상 수신 여부를 확인한 이후, 정상 수신이 이루어지지 못하면, 최대 사이즈에서 일정 단위 사이즈 예를 들어 100Byte씩 Packet 사이즈를 줄이면서 반복적으로 제N 규격 데이터를 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후 통신 단말기(100)가 S107 단계에서 정상 수신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 “OK"를 테더링 단말기(200)에 전송하면, 테더링 단말기(200)는 S109 단계에서 제N 데이터 규격을 기반으로 테더링 서비스를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S105 단계에서는 테더링 단말기(200)가 테더링 서비스 지원을 위한 통신 단말기(100)의 운용 가능한 데이터 통신 규격을 알아보기 위하여 통신 단말기(100)가 운용 가능한 데이터 규격에 정상 응답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데이터 통신 규격을 변경하면서 전송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통신 단말기(100)는 안정적인 테더링 서비스 지원을 위한 데이터 통신 규격 정보를 테더링 서비스 요청 이후 S105 단계에서 테더링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테더링 단말기(200)는 통신 단말기(100)가 전송한 데이터 통신 규격 정보를 기반으로 테더링 서비스 시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테더링 단말기(200)는 통신 단말기(100)가 전송한 데이터 통신 규격 정보가 자신에게 적용 가능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즉 자신이 운용하는 패킷 사이즈보다 큰 경우, 자신이 운용하는 패킷 사이즈 정보가 기록된 데이터 통신 규격 정보를 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 통신 규격을 기반으로 테더링 서비스를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더링 서비스 지원 방법은 통신 단말기(100) 및 테더링 단말기(200)가 운용 가능한 적절한 데이터 통신 규격을 기반으로 통신 단말기(100)의 테더링 서비스가 운용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더링 서비스 지원 시 테더링 단말기(200)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테더링 단말기(200) 운용 방법은 먼저, 공급된 전원을 기반으로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고, 초기화 과정이 완료되면 테더링 단말기(200)의 제2 제어부(260)는 기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S201 단계에서 대기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2 표시부(2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테더링 단말기(200)는 S203 단계에서 통신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그리고 테더링 단말기(200)는 S205 단계에서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테더링 서비스 요청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별도의 테더링 서비스 요청이 없는 경우 테더링 단말기(200)는 S207 단계로 분기하여 통신 단말기(100)와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 기능 예를 들면 파일 공유 기능, 파일 재생 기능 등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S207 단계에서 테더링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면, 테더링 단말기(200)는 S209 단계로 분기하여 일정 규격 데이터 예를 들면 스펙 상에 정의된 최대 패킷 사이즈 또는 테더링 단말기(200)가 운용 가능한 최대 패킷 사이즈의 데이터를 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테더링 단말기(200)는 S211 단계에서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정상 응답 수신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정상 응답 수신이 없는 경우, 테더링 단말기(200)는 213 단계로 분기하여 규격 변경 즉 패킷 사이즈를 일정 크기만큼 줄이고, S215 단계에서 변경된 규격 데이터를 통신 데이터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테더링 단말기(200)는 S211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테더링 단말기(200)는 S211 단계에서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정상 응답 수신이 발생하는 경우 S217 단계로 분기하여 정상 응답 수신이 발생한 시점의 해당 규격 기반의 테더링 서비스를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테더링 단말기(200)는 통신 단말기(100)가 전송하는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 검색과, 접속, 인증을 수행하고,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테더링 단말기(200)는 무선통신부(270)를 기반으로 수신한 데이터를 사전 정의된 패킷 사이즈로 변환한 뒤,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10)을 기반으로 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테더링 단말기(200)는 통신 단말기(100)와의 데이터 통신 규격 결정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100)가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 규격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할 수 도 있을 것이다.
또 한편 테더링 단말기(200)는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가 패킷 사이즈 변경 후 전송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통신 단말기(100)와 설정된 패킷 사이즈 정보를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테더링 단말기(200)는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400)가 제공하는 일정 패킷 사이즈의 데이터를 별도의 변환 과정 없이 통신 단말기(100)에 바로 전송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테더링 단말기(200)는 그 제공 형태에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테더링 단말기(200)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디바이스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더링 단말기(200)는 오디오 파일 재생 기능 운용 중 카메라 운용을 통한 영상 수집이 가능한 모든 형태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테더링 단말기(200)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핸드헬드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테더링 서비스 지원 시스템과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제조사나 단말기 모델 별로 서로 다른 통신 스펙에 맞추어 동적으로 통신을 제어할 수 있으며, 특히 제조사나 모델 별로 서로 다른 통신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할 필요 없이, 하나의 통신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최초 통신 시도 시에 패킷 단위별 안정성을 테스트함으로써, 최적의 통신 환경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단말기 특성에 관계없이 최적의 통신 환경을 제공하여 통신 단말기의 테더링 서비스를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테더링이 되지 않은 통신 단말기를 이용해서 보다 다양한 통신 서비스 이용을 달성할 수 있다.
10 : 테더링 서비스 지원 시스템 100 : 통신 단말기
110 : 제1 근거리 통신 모듈 120 : 제1 입력부
130 : 제1 오디오 처리부 140 : 제1 표시부
150 : 제1 저장부 160 : 제1 제어부
200 : 테더링 단말기 210 : 제2 근거리 통신 모듈
220 : 제2 입력부 230 : 제2 오디오 처리부
240 : 제2 표시부 250 : 제2 저장부
260 : 제2 제어부 300 : 통신망
400 :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

Claims (19)

  1. 테더링 단말기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테더링 단말기에 테더링 서비스를 요청하는 통신 단말기;
    상기 통신 단말기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테더링 서비스 요청 수신 시 상기 통신 단말기 간의 테더링 서비스 지원을 위한 데이터 통신 규격을 사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데이터 통신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통신 단말기의 테더링 서비스를 지원하는 상기 테더링 단말기; 및
    상기 테더링 서비스 지원을 위한 데이터를 상기 테더링 단말기를 거쳐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테더링 단말기는,
    상기 테더링 단말기가 운용 가능한 최대 데이터 통신 규격의 데이터를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통신 단말기와의 연동에 의해 상기 전송된 데이터의 정상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데이터의 정상 수신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일 때 상기 테더링 단말기가 운용 가능한 최대 데이터 통신 규격의 데이터로부터 일정 크기만큼 줄어든 패킷 사이즈 형태의 데이터를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정상 응답을 수신한 시점의 패킷 데이터 사이즈를 상기 데이터 통신 규격으로 설정하며, 안정성을 테스트하기 위해서 상기 정상 응답을 수신한 시점의 패킷 사이즈 데이터를 일정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서비스 지원 시스템.
  2. 테더링 단말기와의 통신 채널 형성을 지원하는 제1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테더링 서비스 지원을 위한 상기 테더링 단말기 검색을 제어하며, 검색된 테더링 단말기와 테더링 서비스 지원을 위한 데이터 통신 규격을 사전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테더링 서비스 운용에 따른 데이터를 상기 테더링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하는 제1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테더링 단말기로부터 일정 규격의 패킷 사이즈로 구성된 데이터 및 일정 크기씩 작은 패킷 사이즈로 구성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 중 수용 가능한 데이터 수신 시 정상 응답 메시지를 상기 테더링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테더링 단말기와의 연동에 의해 상기 정상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시점의 패킷 데이터 사이즈를 상기 데이터 통신 규격으로 설정하며, 안정성을 테스트하기 위해서 상기 테더링 단말기로부터 일정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전송되는 상기 정상 응답을 수신한 시점의 패킷 사이즈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상 응답을 수신한 시점의 패킷 사이즈 데이터에 응답하여 정상 응답을 상기 테더링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서비스를 지원하는 통신 단말기.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테더링 서비스 운용 이력에 따라 통신 채널을 형성한 테더링 단말기 정보 및 테더링 서비스 지원을 위한 데이터 통신 규격 정보를 저장하는 제1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서비스를 지원하는 통신 단말기.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통신 채널 형성을 위한 단말기 검색 시 상기 테더링 서비스 운용 이력에 따라 상기 테더링 단말기를 자동 선택하여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서비스를 지원하는 통신 단말기.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통신 채널을 형성한 상기 테더링 단말기에 상기 기 저장된 데이터 통신 규격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서비스를 지원하는 통신 단말기.
  7. 통신 단말기와의 통신 채널 형성을 지원하는 제2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테더링 서비스 지원 요청을 수신할 때, 상기 통신 단말기와 테더링 서비스 지원을 위한 데이터 통신 규격을 사전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테더링 서비스 운용을 위한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 접속을 지원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제어부는,
    일정 크기씩 차이를 가지는 패킷 사이즈의 데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정상 응답을 수신한 시점의 데이터 패킷 사이즈를 테더링 서비스 지원을 위한 상기 데이터 통신 규격으로 결정하고, 안정성을 테스트하기 위해서 상기 정상 응답을 수신한 시점의 패킷 사이즈 데이터를 일정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서비스를 지원하는 테더링 단말기.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통신 규격 정보를 수신할 때, 상기 수신된 데이터 통신 규격 정보가 수용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수용 가능할 때 상기 수신된 데이터 통신 규격 정보를 상기 테더링 서비스 지원을 위한 데이터 통신 규격으로 결정하고, 수용이 불가능할 때 자신이 운용 가능한 데이터 통신 규격을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전송한 후 상기 자신이 운용 가능한 데이터 통신 규격을 상기 테더링 서비스 지원을 위한 데이터 통신 규격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서비스를 지원하는 테더링 단말기.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통신 규격에 맞는 패킷 사이즈로 변환한 뒤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서비스를 지원하는 테더링 단말기.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데이터 통신 규격과 관련한 데이터 통신 규격 정보를 상기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통신 규격 정보에 맞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서비스를 지원하는 테더링 단말기.
  13. 통신 단말기와 테더링 단말기 간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통신 단말기가 상기 테더링 단말기에 테더링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통신 단말기의 테더링 서비스 운용을 위한 데이터 통신 규격을 결정하는 데이터 통신 규격 결정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데이터 통신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테더링 단말기가 테더링 서비스를 지원하는 테더링 서비스 지원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통신 규격 결정 단계는,
    상기 테더링 단말기가 스펙상에 정의된 최대 패킷 사이즈 또는 상기 테더링 단말기가 운용 가능한 최대 패킷 사이즈의 일정 규격 데이터 및 일정 규격 데이터에서 일정 크기씩의 패킷 사이즈를 줄인 데이터들을 순차적으로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순차적으로 전송한 데이터 중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정상 응답을 수신한 데이터 규격을 상기 테더링 서비스 운용을 위한 데이터 통신 규격으로 결정하는 과정;
    안정성을 테스트하기 위해서 상기 정상 응답을 수신한 데이터 규격의 패킷 사이즈를 가지는 데이터를 일정 횟수만큼 반복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에 추가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추가 전송에 따른 정상 응답 수신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서비스 지원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 규격 결정 단계는
    상기 통신 단말기가 자신이 운용 가능한 데이터 통신 규격 정보를 상기 테더링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신 단말기가 전송한 데이터 통신 규격 정보를 상기 테더링 단말기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통신 단말기가 전송한 상기 데이터 통신 규격이 상기 테더링 단말기가 수용할 수 있는 규격인 경우 상기 테더링 단말기가 해당 데이터 통신 규격을 상기 테더링 서비스 지원을 위한 데이터 통신 규격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서비스 지원 방법.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가 전송한 상기 데이터 통신 규격이 상기 테더링 단말기가 수용할 수 없는 규격인 경우 상기 테더링 단말기가 자신이 운용 가능한 데이터 통신 규격 정보를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고, 자신이 운용 가능한 데이터 통신 규격을 테더링 서비스 지원을 위한 데이터 통신 규격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서비스 지원 방법.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서비스 지원 단계는
    상기 통신 단말기가 전송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테더링 단말기가 특정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 검색, 접속 및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테더링 단말기가 상기 특정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테더링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통신 규격에 맞도록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서비스 지원 방법.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서비스 지원 단계는
    상기 통신 단말기가 전송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테더링 단말기가 특정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 검색, 접속 및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테더링 단말기가 상기 결정된 데이터 통신 규격을 상기 특정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특정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결정된 데이터 통신 규격에 맞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테더링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서비스 지원 방법.
KR1020100120810A 2010-11-30 2010-11-30 테더링 서비스 지원 시스템 및 지원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1730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810A KR101730177B1 (ko) 2010-11-30 2010-11-30 테더링 서비스 지원 시스템 및 지원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810A KR101730177B1 (ko) 2010-11-30 2010-11-30 테더링 서비스 지원 시스템 및 지원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168A KR20120059168A (ko) 2012-06-08
KR101730177B1 true KR101730177B1 (ko) 2017-05-11

Family

ID=46610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810A KR101730177B1 (ko) 2010-11-30 2010-11-30 테더링 서비스 지원 시스템 및 지원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1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5339A1 (en) * 2012-07-20 2014-01-23 Par Technology Corporation Communications interface between two non-complimentary communication devices
KR102134886B1 (ko) 2013-07-08 2020-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테더링 분배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중앙 중계기
CN104349401B (zh) * 2013-09-03 2018-10-16 广州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用于在终端中调整数据策略的设备和方法
KR102282103B1 (ko) * 2014-05-14 2021-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데이터의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1581708B1 (ko) * 2014-07-15 2015-12-31 주식회사 앰투앰넷 단말 장치의 자동 테더링 방법
KR102187009B1 (ko) * 2020-07-10 2020-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테더링 분배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중앙 중계기
KR102295091B1 (ko) * 2020-07-10 2021-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테더링 분배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중앙 중계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67368A1 (en) * 2009-04-20 2010-10-21 Cahya Masputra Handheld device capable of providing data tethering services while maintaining suite of handheld service func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67368A1 (en) * 2009-04-20 2010-10-21 Cahya Masputra Handheld device capable of providing data tethering services while maintaining suite of handheld service fun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168A (ko) 201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0177B1 (ko) 테더링 서비스 지원 시스템 및 지원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N108696849B (zh) 数据传输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RU2608948C2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доступом к маршрутизатору
US91250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with bluetooth device in portable terminal
KR101807286B1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 및 장치
KR10176260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무선 장치 탐색 방법
KR101595762B1 (ko)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N103916987B (zh) 用于提供集成的装置信息的设备和方法
KR10135069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다이렉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765486B1 (ko) 근거리 무선통신용 휴대 단말기 사이의 관계 표시 방법
JP5529875B2 (ja) 近距離無線通信網を介してデータ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および方法と、このためのcpnsサーバと移動通信端末
KR102173242B1 (ko)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정보 자동 설정 방법, 장치
US20100330910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e-field in portab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KR101017912B1 (ko) 휴대 단말기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88868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to end-point terminal in CPNS environment, and CPNS serv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nd-point terminal for the same
KR102243027B1 (ko) 하이브리드 방식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US20120176376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electric field information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KR20120068275A (ko) 휴대 단말기의 AP(Access Point) 접속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20069262A (ko) 외부 입력 수단 운용을 위한 동글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 시스템 및 운용 방법
US9734538B2 (en) Integrated operation method for social network service function and system supporting the same
KR102006413B1 (ko)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5081906A1 (zh) 播放控制方法、播放器设备及存储介质
CN105813226A (zh) 一种文件传输方法及装置
US201201098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sns information
KR101723178B1 (ko) 테더링 서비스 과금 지원 방법, 이를 위한 단말기 및 과금 서비스 적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