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9577B1 - 무게 감지 센서를 구비한 세탁기 - Google Patents

무게 감지 센서를 구비한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9577B1
KR101729577B1 KR1020110019135A KR20110019135A KR101729577B1 KR 101729577 B1 KR101729577 B1 KR 101729577B1 KR 1020110019135 A KR1020110019135 A KR 1020110019135A KR 20110019135 A KR20110019135 A KR 20110019135A KR 101729577 B1 KR101729577 B1 KR 101729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weight
detection sensor
suspension bar
weight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0325A (ko
Inventor
문태철
김영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9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9577B1/ko
Priority to EP11825382.2A priority patent/EP2616581B1/en
Priority to US13/228,147 priority patent/US8910335B2/en
Priority to CN201180048963.3A priority patent/CN103403245B/zh
Priority to PCT/KR2011/006688 priority patent/WO2012036422A2/en
Publication of KR20120100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0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8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suspension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52Weighing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e.g. furni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게 감지 센서를 구비한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케비넷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 양단이 각각 상기 케비넷과 터브에 연결되어 터브를 현가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서스펜션 바; 상기 서스펜션 바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에 수용되는 세척대상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서스펜션 바는 상부 바와 하부 바로 분할되고, 상기 상부 바와 하부 바의 사이에 상기 무게 감지 센서가 결합되되, 너트 형태의 어댑터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너트 형태의 어댑터는 상기 서스펜션 바와의 결합부분과 상기 무게 감지 센서와의 결합부분이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게 감지 센서를 구비한 세탁기{A WASHING MACHINE WITH LOAD SENSOR}
본 발명은 무게 감지 센서를 구비한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스펜션 바에 무게 감지 센서인 로드 셀을 안정적으로 장착하여 무게를 감지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드럼 내의 세탁수의 수류를 강제적으로 형성함으로서, 세제의 화학적인 작용을 촉진시키는 것과 더불어 세탁물에 마찰 또는 충격과 같은 물리적 작용을 가하여 세탁 효과를 향상시켜 세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장치다.
도 1은 세탁기 중에서 세탁축이 수직으로 되어 있어서 세탁기의 상부로 세척대상물을 넣는 탑 로드 방식의 세탁기를 예로 들어 보여준다. 도 1을 참고하면, 세탁기(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비넷(8)의 내부에 저수조(또는 터브)(1)를 구비하고, 저수조 내부에 회전 가능한 드럼(2)을 구비한다. 상기 드럼은 하부에 회전가능한 펄세이터(3)를 구비하며, 이들은 구동모터(7)에 연결된 수직방향의 세탁축(5)에 연결되어 구동된다.
상기 케비넷(8)은 직육면체의 통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측에는 세탁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도어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저수조(1)는 상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케비넷(8)의 내부에 서스펜션 바(6)에 의해 현가 지지 되어 있다.
상기 서스펜션 바(6)에는 로드 셀(4,road cell)이 구비될 수 있다. 로드 셀은 인장력에 의해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의 일종으로, 그 일예가 도 1에 원안에 확대되어 있다. 도 1에서 상기 서스펜션 바(6)는 상부 바(6a)와 하부 바(6b)로 나누어 질 수 있으며, 그 사이에 상기 로드 셀(4)이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스펜션 바와 로드 셀의 결합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상부 바(6a)의 단부(6c)를 구부려 로드 셀에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드럼의 회전에 의해 진동이 서스펜션 바에 전달되어 구부러진 단부(6c)가 펴져서 서스펜션 바와 로드 셀과의 결합이 해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 상부 바의 단부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로드 셀에 나사결합을 하여 결합시키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드럼의 회전에 의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나사 결합이 해제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서스펜션 바와 무게 감지 센서의 용이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의 회전에 의한 진동이 전달되어도 서스펜션 바와 무게 감지 센서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드럼의 회전에 의해 서스펜션 바가 회전하더라도 서스펜션 바와 무게 감지 센서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무게 감지 센서를 구비한 세탁기는, 케비넷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 양단이 각각 상기 케비넷과 터브에 연결되어 터브를 현가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서스펜션 바; 상기 서스펜션 바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에 수용되는 세척대상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서스펜션 바는 상부 바와 하부 바로 분할되고, 상기 상부 바와 하부 바의 사이에 상기 무게 감지 센서가 너트 형태의 어댑터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너트 형태의 어댑터는 상기 서스펜션 바와의 결합부분과 상기 무게 감지 센서와의 결합부분이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너트 형태의 어댑터는 상기 서스펜션 바와의 결합부분에 오른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무게 감지 센서와의 결합부분에 왼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는, 상기 너트 형태의 어댑터는 상기 서스펜션 바와의 결합부분에 왼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무게 감지 센서와의 결합부분에 오른 나사산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서스펜션 바의 결합부분의 외경과 상기 무게 감지 센서의 결합부분의 외경은 서로 다르고, 상기 너트 형태의 어댑터는 상기 서스펜션 바와의 결합부분과 상기 무게 감지 센서와의 결합부분의 내경이 서로 다르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서스펜션 바의 결합부분의 외경보다 상기 무게 감지 센서의 결합부분의 외경이 더 크고, 상기 너트 형태의 어댑터는, 상기 서스펜션 바와의 결합부분 보다 상기 무게 감지 센서와의 결합부분의 내경이 더 크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서스펜션 바의 결합부분 중 일부는 상기 무게 감지 센서의 결합부분에 형성된 중공에 추가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서스펜션 바의 결합부분 중 상기 무게 감지센서의 중공에 추가적으로 결합되는 부분은, 상기 서스펜션 바의 결합부분 중 상기 너트 형태의 어댑터와 결합되는 부분과 동일한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너트 형태의 어댑터는 상기 상부 바와 무게 감지 센서 또는 상기 하부 바와 무게 감지 센서 또는 상기 상부 바와 하부 바 모두와 무게 감지 센서와의 결합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수단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나사 형태의 어댑터를 사용하여 서스펜션 바와 무게 감지 센서의 용이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의 회전에 의한 진동이 전달되어도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을 형성한 나사 형태의 어댑터를 사용하여 서스펜션 바와 무게 감지 센서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드럼의 회전에 의해 서스펜션 바가 회전하더라도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을 형성한 나사 형태의 어댑터를 사용하여 서스펜션 바와 무게 감지 센서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세탁기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무게 감지 센서를 구비한 세탁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
도 3은 도 2의 실시예의 무게 감지 센서의 결합 구조를 상세히 보여주는 분해도.
도 4는 도 2의 실시예의 무게 감지 센서의 결합 구조를 상세히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무게 감지 센서를 구비한 세탁기는, 케비넷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110), 양단이 각각 상기 케비넷(180)과 터브(110)에 연결되어 터브를 현가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서스펜션 바(160), 상기 서스펜션 바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에 수용되는 세척대상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 센서(140)를 포함하고, 상기 서스펜션 바(140)는 상부 바(161)와 하부 바(162)로 분할되고, 상기 상부 바와 하부 바의 사이에 상기 무게 감지 센서(140)가 너트 형태의 어댑터(145)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너트 형태의 어댑터(145)는 상기 서스펜션 바와의 결합부분(145b)과 상기 무게 감지 센서와의 결합부분(145a)이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 도시되는 상기 실시예가 적용되는 세탁기는 수조를 지지하는 서스펜션 바(160)에 무게 감지 센서(140)가 구비되어 세척대상물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세탁기에 해당된다.
도 1을 참고하면, 세탁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비넷(180)의 내부에 저수조(또는 터브)(110)를 구비하고, 저수조 내부에 회전 가능한 드럼(120)을 구비한다. 상기 드럼은 하부에 회전가능한 펄세이터(130)를 구비하며, 이들은 구동모터(170)에 연결된 수직방향의 세탁축(150)에 연결되어 구동된다.
상기 케비넷(180)은 직육면체의 통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측에는 세탁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도어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저수조(110)는 상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케비넷(180)의 내부에 서스펜션 바(160)에 의해 현가 지지 되어 있다.
상기 서스펜션 바(160)에는 인장력에 의해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무게 감지 센서(1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무게 감지 센서(140)로 로드 셀(road cell)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원안에 확대된 도면에서, 상기 서스펜션 바(160)는 상부 바(161)와 하부 바(162)로 나누어 질 수 있으며, 그 사이에 상기 무게 감지 센서(140)가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무게 감지 센서는 상기 서스펜션 바의 상부측에 장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상부 바와 하부 바로 나뉘는 서스펜션 바의 분리부분은 상부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서스펜션 바(160)와 무게 감지 센서(140)와의 결합은 도 3과 도 4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다. 도 3과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어댑터(145)는 상기 상부 바(161)와 무게 감지 센서(140)의 상부, 또는 상기 하부 바(162)와 무게 감지 센서(140)의 하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너트 형태의 결합 보조 수단이다.
상기 어댑터(145)는 내부가 두 개의 서로 다른 부분으로 나뉜다. 즉, 상기 서스펜션 바와의 결합부분(145b)과 상기 무게 감지 센서와의 결합부분(145a)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너트 형태의 어댑터(145)의 상기 서스펜션 바와의 결합부분(145b)과 상기 무게 감지 센서와의 결합부분(145a)은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서스펜션 바와의 결합부분(145b)에 오른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무게 감지 센서와의 결합부분(145a)에 왼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로, 상기 서스펜션 바와의 결합부분(145b)에 왼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무게 감지 센서와의 결합부분(145a)에 오른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측면은, 상기 너트 형태의 어댑터(145)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서스펜션 바와 무게 감지 센서를 결합할 수 있어서 작업에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어댑터의 서스펜션 바와의 결합부분과 무게 감지 센서와의 결합부분에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드럼의 회전에 의해 서스펜션 바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고 하더라도 다른 방향의 나사산에 의한 결합에 의해, 무게 감지 센서와 서스펜션 바와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스펜션 바의 결합부분(161a)의 외경과 상기 무게 감지 센서의 결합부분(141)의 외경은 서로 다르고, 상기 너트 형태의 어댑터는 상기 서스펜션 바와의 결합부분(145b)의 내경과 상기 무게 감지 센서와의 결합부분(145a)의 내경이 서로 다르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4와 같이 상기 서스펜션 바의 결합부분(161a)의 외경보다 상기 무게 감지 센서의 결합부분(141)의 외경이 더 크고, 상기 너트 형태의 어댑터(145)는 상기 서스펜션 바와의 결합부분(145b)의 내경보다 상기 무게 감지 센서와의 결합부분(145a)의 내경이 더 크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경우, 상기 서스펜션 바의 결합부분 중 일부(161b)는 상기 무게 감지 센서의 결합부분에 형성된 중공(143)에 추가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서스펜션 바의 결합부분 중 상기 무게 감지센서의 중공에 추가적으로 결합되는 부분(161b)은, 상기 서스펜션 바의 결합부분 중 상기 너트 형태의 어댑터와 결합되는 부분(161a)과 동일한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측면은, 상기 너트 형태의 어댑터 외에 상기 서스펜션 바의 일부분이 추가적으로 상기 무게 감지 센서에 직접 나사 결합이 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이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드럼의 회전에 의해 상기 서스펜션 바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고 하더라도, 어댑터에 의한 결합이 해제되지 않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에서 상기 무게 감지 센서가 오른쪽으로 회전하고 상기 서스펜션 바의 결합부분 중 상기 무게 감지 센서의 결합부분에 형성된 중공(143)에 추가적으로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된 나사산이 오른 나사산이라면, 상기 무게 감지 센서와 서스펜션 바와의 결합은 더욱 공고히 된다. 또한, 상기 무게 감지 센서가 왼쪽으로 회전한다면, 상기 어댑터와 상기 무게 감지 센서와의 결합이 왼나사산에 의해 더욱 공고히 된다.
한편, 상기 너트 형태의 어댑터(145)는 상기 상부 바와 무게 감지 센서 또는 상기 하부 바와 무게 감지 센서 또는 상기 상부 바와 하부 바 모두와 무게 감지 센서와의 결합에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상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그러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수정 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는 점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세탁기 110 : 수조(터브)
120 : 드럼 130 : 펄세이터
140 : 무게 감지 센서 141 : 무게 감지 센서의 어댑터와의 결합부분
142 : 무게 감지 센서의 서스펜션 바와의 결합부분
143 : 중공 145 : 어댑터
145a : 어댑터의 무게 감지 센서와의 결합부분
145b : 어댑터의 서스펜션 바와의 결합부분
150 : 세탁축 160 : 서스펜션 바
161 : 상부 바 162 : 하부 바
161a,161b : 서스펜션 바의 어댑터 또는 무게 감지 센서와의 결합부분
170 : 구동모터 180 : 케비넷

Claims (8)

  1. 케비넷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
    양단이 각각 상기 케비넷과 터브에 연결되어 터브를 현가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서스펜션 바;
    상기 서스펜션 바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에 수용되는 세척대상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서스펜션 바는 상부 바와 하부 바로 분할되고,
    상기 상부 바와 하부 바의 사이에 상기 무게 감지 센서가 너트 형태의 어댑터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너트 형태의 어댑터는 상기 서스펜션 바와의 결합부분과 상기 무게 감지 센서와의 결합부분이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 감지 센서를 구비한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형태의 어댑터는 상기 서스펜션 바와의 결합부분에 오른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무게 감지 센서와의 결합부분에 왼 나사산이 형성되는,
    무게 감지 센서를 구비한 세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형태의 어댑터는 상기 서스펜션 바와의 결합부분에 왼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무게 감지 센서와의 결합부분에 오른 나사산이 형성되는,
    무게 감지 센서를 구비한 세탁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바의 결합부분의 외경과 상기 무게 감지 센서의 결합부분의 외경은 서로 다르고,
    상기 너트 형태의 어댑터는 상기 서스펜션 바와의 결합부분과 상기 무게 감지 센서와의 결합부분의 내경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 감지 센서를 구비한 세탁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바의 결합부분의 외경보다 상기 무게 감지 센서의 결합부분의 외경이 더 크고,
    상기 너트 형태의 어댑터는, 상기 서스펜션 바와의 결합부분 보다 상기 무게 감지 센서와의 결합부분의 내경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 감지 센서를 구비한 세탁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바의 결합부분 중 일부는 상기 무게 감지 센서의 결합부분에 형성된 중공에 추가적으로 결합되는,
    무게 감지 센서를 구비한 세탁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바의 결합부분 중 상기 무게 감지센서의 중공에 추가적으로 결합되는 부분은, 상기 서스펜션 바의 결합부분 중 상기 너트 형태의 어댑터와 결합되는 부분과 동일한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 감지 센서를 구비한 세탁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형태의 어댑터는 상기 상부 바와 무게 감지 센서 또는 상기 하부 바와 무게 감지 센서 또는 상기 상부 바와 하부 바 모두와 무게 감지 센서와의 결합에 사용되는, 무게 감지 센서를 구비한 세탁기.
KR1020110019135A 2010-09-14 2011-03-03 무게 감지 센서를 구비한 세탁기 KR101729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135A KR101729577B1 (ko) 2011-03-03 2011-03-03 무게 감지 센서를 구비한 세탁기
EP11825382.2A EP2616581B1 (en) 2010-09-14 2011-09-08 Method of controlling a washing machine
US13/228,147 US8910335B2 (en) 2010-09-14 2011-09-08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washing machine
CN201180048963.3A CN103403245B (zh) 2010-09-14 2011-09-08 洗衣机和洗衣机的控制方法
PCT/KR2011/006688 WO2012036422A2 (en) 2010-09-14 2011-09-08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135A KR101729577B1 (ko) 2011-03-03 2011-03-03 무게 감지 센서를 구비한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325A KR20120100325A (ko) 2012-09-12
KR101729577B1 true KR101729577B1 (ko) 2017-04-24

Family

ID=47110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135A KR101729577B1 (ko) 2010-09-14 2011-03-03 무게 감지 센서를 구비한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95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08886A1 (en) 2019-10-15 2021-04-2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08886A1 (en) 2019-10-15 2021-04-2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325A (ko)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0335B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20110053719A (ko) 세탁기 및 이의 포량감지장치
KR101729577B1 (ko) 무게 감지 센서를 구비한 세탁기
KR20090001074A (ko) 드럼세탁기
JP2008054950A (ja) 洗濯機
CN107923099B (zh) 洗衣机
CN101487180B (zh) 洗衣机
CN107923105B (zh) 洗衣机
KR20130037410A (ko) 임펠러를 구비하는 세탁기
CN211437223U (zh) 一种超声波清洗机
JP2016146983A (ja) 洗濯機
EP1774080B1 (en) Spacer device
CN102286867B (zh) 具有双重减振功能的全自动洗衣机
CN202115895U (zh) 用于洗衣机的包装装置和设置有该包装装置的洗衣机
CN109629169A (zh) 一种多筒洗衣机
JP5762057B2 (ja) 洗濯機
CN107923107B (zh) 洗衣机
JP2010284514A (ja) モップ洗浄機
CN219141183U (zh) 一种红外线检测装置固定结构及制冰机
CN220132591U (zh) 滚筒洗衣机
CN107190470A (zh) 一种洗衣机的减振部件及洗衣机
KR100203856B1 (ko) 압축형 세탁기
JP4539331B2 (ja) 洗濯機
JP2003190696A (ja) 洗濯機
JP2008054939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