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962B1 -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962B1
KR101728962B1 KR1020150139027A KR20150139027A KR101728962B1 KR 101728962 B1 KR101728962 B1 KR 101728962B1 KR 1020150139027 A KR1020150139027 A KR 1020150139027A KR 20150139027 A KR20150139027 A KR 20150139027A KR 101728962 B1 KR101728962 B1 KR 101728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part
sub
side plates
assembled
exercise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9891A (ko
Inventor
문봉주
Original Assignee
문봉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봉주 filed Critical 문봉주
Priority to KR1020150139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962B1/ko
Publication of KR20170039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3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1Back

Abstract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두 개의 측판(100); 및 상기 두 개의 측판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대들(200);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연결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대(210)는 단지 기하학적 커플링 만으로 상기 두 개의 측판에 분해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기하학적 커플링에 의해 상기 복수의 연결대들(200)과 상기 두 개의 측판(100) 간의 폭 방향 분해가 방지된다.

Description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Fitness apparatus for correcting backbone}
본 발명은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특정적으로는, 조립 및 분해가 반복 가능한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명 '쿠룬타'라고 종종 불리우는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는 척추의 교정 내지 재활 등에 주로 사용되는 운동기구로서 스트레칭 동작이나 요가 등의 실내 운동에 널리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시중에 유통 중인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들의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는 한 쌍의 측판(10)과 이를 연결하는 연결대들(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통상적인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들에서 측판(10)과 연결대(20)는 일반적으로 나사못과 같은 체결 수단 내지는 접착제와 같은 접착 수단을 통해 상호 결합된다.
따라서 통상적인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들의 경우 측판(10)과 연결대(20)는 제조 과정에서 일단 조립되면 다시 분해되기 어렵다. 다시 말해서, 일반적으로 측판(10)과 연결대(20)는 분해, 조립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는 대략 1 내지 2 미터 사이의 비교적 큰 사이즈로 인해 배송하기가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보관 시 큰 공간을 차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배송의 불편함이 해소되고 보관에 필요한 공간의 크기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두 개의 측판(100); 및 상기 두 개의 측판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대들(200);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연결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대(210)는 단지 기하학적 커플링 만으로 상기 두 개의 측판에 분해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기하학적 커플링에 의해 상기 복수의 연결대들(200)과 상기 두 개의 측판(100) 간의 폭 방향 분해가 방지되는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연결대들(200) 전부는 단지 기하학적 커플링 만으로 상기 두 개의 측판에 분해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대(210)는 주먹장 맞춤 기법에 의해 상기 두 개의 측판에 분해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대(210)의 양단에는 주먹장 맞춤을 위한 삽입돌기(212)가 구비되고, 상기 측판(100)에는 상기 삽입돌기(212)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삽입홈(101)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돌기(212) 및 상기 삽입홈(101)은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대(210)를 제외한 나머지 연결대(220)는 딴혀쪽매 맞춤 기법에 의해 상기 측판(100)에 분해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대(210)는, 몸체(211), 및 상기 몸체(211)의 연장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상기 몸체(211)의 저면에 형성된 한 쌍의 삽입돌기(2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측판(100)의 상측 모서리면(105)에 상기 삽입돌기(213)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삽입홈(10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B)는 대형 사이즈로 사용되는 제1 형태와 상기 대형 사이즈보다 작은 중형 사이즈로 사용되는 제2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선택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측판(100)은, 메인 파트(110); 및 상기 메인 파트(110)의 양단에 분해가능하게 조립되는 한 쌍의 서브 파트(120);를 포함하며, 상기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B)가 상기 제1 형태로 사용될 때 상기 서브 파트(120)는 상기 메인 파트(110)에 조립되며, 상기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B)가 상기 제2 형태로 사용될 때 상기 서브 파트(120)는 상기 메인 파트(110)로부터 분해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메인 파트(110)는 서로 분해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 및 제2 부분(111, 112)으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부분(111, 112)은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접합면(113)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부분(111, 112)은 주먹장 맞춤 기법에 의해 서로 분해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 부분(111)의 접합면(113a)에는 주먹장 맞춤을 위한 삽입돌기(115)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부분(112)의 접합면(113b)에는 상기 삽입돌기(115)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삽입홈(1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111)에는 상기 삽입돌기(115) 위에 형성되는 위치결정용 돌출부(117)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부분(112)에는 상기 삽입돌기(115)가 상기 삽입홈(116) 안으로 삽입될 때 상기 위치결정용 돌출부(117)가 안착되는 위치결정용 안착턱(11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파트(120)는 상기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B)가 상기 제1 형태로 사용될 때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착지되는 착지면(121)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메인 파트(110)와 상기 서브 파트(120) 사이의 접합면(122)은 상기 착지면(121)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파트(110)와 상기 서브 파트(120)는 딴혀쪽매 기법에 의해 서로 분해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또한, 조립 및 분해가 반복 가능한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B)로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며 아치 형상을 가진 두 개의 측판(100); 및 상기 두 개의 측판(100)을 연결하며 상기 측판에 분해가능하게 조립되는 연결대들(200);을 포함하며, 상기 측판(100)은, 메인 파트(110); 및 상기 메인 파트(110)의 양단에 분해가능하게 조립되는 한 쌍의 서브 파트(120);를 포함하며, 상기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B)가 대형 사이즈로 사용될 때 상기 서브 파트(120)는 상기 메인 파트(110)에 조립되며, 상기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B)가 상기 대형 사이즈보다 작은 중형 사이즈로 사용될 때 상기 서브 파트(120)는 상기 메인 파트(110)로부터 분해되는,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든 연결대들이 별도의 체결수단 내지 접착수단이 사용됨 없이 서로 분해가능하게 조립되 조립 및 분해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따라서 배송 내지 보관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각 측판이 상측의 메인 파트와 그에 분해가능하게 조립되는 하측의 한 쌍의 서브 파트로 구성됨으로써 배송 및 보관의 편의성이 보다 증대될 수 있다. 이때, 대형 사이즈로 사용 시 메인 파트와 서브 파트를 모두 사용하고 중형 사이즈로 사용 시 메인 파트 만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의 사이즈를 대형과 중형 중 어느 하나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의하면 각 측판의 메인 파트가 상호 분해가능하게 조립된 두 개의 부분으로 구성됨으로써, 배송 내지 보관의 편의성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시중에 유통 중인 척추 교정용 운동기기의 예들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의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의 분해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예의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의 분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의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의 측면도로서 대형 사이즈로 사용될 때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8은 제2 실시예의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의 측면도로서 중형 사이즈로 사용될 때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대한 설명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제1 실시예의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의 분해도이며, 도 4는 제2 실시예의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A)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며 아치 형상을 가진 두 개의 측판(100)과, 두 개의 측판(100)을 연결하는 연결대들(200)을 포함한다.
모든 연결대들(200)은 측판(100)에 분해가능하게 조립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A)의 조립 및 분해를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A)는 도 2에 도시된 조립 상태 및 도 3에 도시된 분해 상태 사이에서의 전환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연결대들(200)은 제1 연결대들(220)과 제2 연결대들(210)로 구분된다.
제1 연결대들(220)은 한 쌍의 측판(100)에 결합되어 한 쌍의 측판(100)을 연결한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제1 연결대들(220)에 의해 측판(100)의 길이 방향(Y 축 방향) 및 높이 방향(Z 방향)에서의 이탈이 방지될 수는 있지만, 폭 방향(X 방향)에서의 이탈은 방지될 수 없다.
제1 연결대들(220)은 별도의 체결 수단이나 접착 수단의 도움을 받지 않고 단지 기하학적 커플링 만으로 측판(100)에 결합된다. 일 예로써, 제1 연결대들(220)은 딴혀쪽매 기법에 의해 측판(100)과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대(220)는 길다란 몸체(221)와 그 양단에 구비된 삽입돌기(222)로 구성되며, 각 측판(100)의 테두리부에는 그 삽입돌기(222)가 삽입되는 삽입홈(102)이 형성된다.
제1 연결대(220)는 단지 삽입돌기(222)와 삽입홈(102) 간의 결합에 의해 측판(100)에 연결될 뿐이며, 그 연결을 위해 나사못 등의 체결수단이나 접착제 등의 접착수단이 전혀 사용되지 않는다. 즉,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연결대들(220)은 별도의 체결 수단이나 접착 수단의 도움을 받지 않고 단지 기하학적 커플링 만으로 측판(100)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1 연결대(220)는 측판(100)으로부터 필요시 분해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연결대(220)와 측판(100) 간의 조립과 분해는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2 연결대들(210)도 한 쌍의 측판(100)에 조립됨으로써 한 쌍의 측판(100)을 연결한다. 제2 연결대들(210)에 의해 측판(100)의 폭 방향(X 방향)에서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연결대들(210)에 의해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A)의 조립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제2 연결대들(220)도 역시 별도의 체결 수단이나 접착 수단의 도움을 받지 않고 단지 기하학적 커플링 만으로 측판(100)에 결합된다. 일 예로써, 제2 연결대(210)는 주먹장 기법에 의해 각 측판(100)에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대(210)는 길다란 몸체(211)와 그 양단에 구비된 삽입돌기(212)로 구성되며, 각 측판(100)의 테두리부에는 그 삽입돌기(212)가 삽입되는 조립유지용 삽입홈(101)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돌기(212) 및 그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조립유지용 삽입홈(101)은 X축 방향에서 볼 때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는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형상에 기인하여, 제2 연결대(210)가 한 쌍의 측판(100)에 연결된 후에는 한 쌍의 측판(100)에 폭 방향(X축 방향)의 힘이 작용하더라도 제2 연결대(210)와 한 쌍의 측판(100) 간의 조립 상태가 유지될 있으며, 이에 따라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A)의 전체적인 조립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연결대(210)와 측판(100) 간의 주먹장 맞춤 기법을 통한 기하학적 커플링에 의해 연결대들(200)과 측판(100) 간의 폭 방향 분해가 방지될 수 있다.
하지만, 제2 연결대(210)도 단지 삽입돌기(212)와 삽입홈(101) 간의 결합에 의해 측판(100)에 연결될 뿐이고, 그 연결을 위해 별도의 체결수단이나 접착수단이 전혀 사용되지 않으므로, 필요시 제2 연결대(210)도 역시 측판(1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따라서 제2 연결대(220)와 측판(100) 간의 조립과 분해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경우, 연결대들(200) 중에서 일부인 제1 연결대들(210) 만이 주먹장 맞춤 기법에 의해 측판(100)에 조립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대안적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대들(200) 모두가 주먹장 맞춤 기법에 의해 측판(100)에 조립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에 대한 설명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의 분해도이며, 도 7은 제2 실시예의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의 측면도로서 대형 사이즈로 사용될 때의 모습을 나타내며, 도 8은 제2 실시예의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의 측면도로서 중형 사이즈로 사용될 때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5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B)는 전술한 실시예의 척추 교정용 운동기(1B)와 마찬가지로 두 개의 측판(100)과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대들(200)을 포함한다.
제2 실시예의 연결대들(20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연결대들(20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기로 한다. 반면,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B)가 대형 사이즈와 중형 사이즈로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될 수 있도록, 제2 실시예의 측판(10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측판(100)과 다른 추가적인 특징을 갖는 바, 이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측판(100)은 상부의 메인 파트(110)와 그 양단에 분해가능하게 조립되는 하부의 한 쌍의 서브 파트(120)로 구성되고, 여기서 메인 파트(110)는 서로 분해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 및 제2 부분(111, 1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파트(110)와 서브 파트(120)는 접합면(122)을 경계로 서로 분해가능하게 조립된다.
예로써, 메인 파트(110)와 서브 파트(120)는 딴혀쪽매 기법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파트(120) 측 접합면(122a)에는 딴혀쪽매 맞춤용 삽입돌기(125)가 구비되고 메인 파트(110) 측 접합면(122b)에는 그 삽입돌기(125)에 대응되는 삽입홈(126)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 파트(110)와 서브 파트(120)는 상호 딴혀쪽매 기법에 의해 상호 결합되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메인 파트(110)와 서브 파트(120)는 주먹장 기법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파트(110)의 제1 및 제2 부분(111, 112)은 상하 방향의 접합면(113)을 따라 서로 분해가능하게 조립된다.
이러한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트(111) 측 접합면(113a)에는 주먹장 맞춤용 삽입돌기(115)가 그 접합면을 따라 상하로 형성되고 제2 파트(112) 측 접합면(113b)에는 그 삽입돌기(115)에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홈(116)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111)에는 전술한 삽입돌기(115) 위에 형성되는 위치결정용 돌출부(117)가 구비되고 제2 부분(112)에는 그 삽입돌기(115)가 삽입홈(116) 안으로 삽입될 때 위치결정용 돌출부(117)가 안착되는 위치결정용 안착턱(118)이 형성된다. 이러한 위치결정용 돌출부(117) 및 안착턱(118)에 의해 제1 부분(111)과 제2 부분(112) 간의 결합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B)의 경우는 측판(100)이 메인 파트(110)와 한 쌍의 서브 파트(120)로 구성됨으로써, 사용자 선택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대형 사이즈의 형태로 또는 도 8에 도시된 중형 사이즈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B)가 대형 사이즈로 사용될 경우에는 측판(100)의 메인 파트(110)와 서브 파트(120)가 모두 사용되며, 이때 서프 파트(120)의 착지면(121)이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착지되어진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B)가 대형 사이즈로 사용될 경우에는 측판(100)의 메인 파트(110)만이 사용되고 한 쌍의 서브 파트(120)는 사용되지 않는다. 이처럼 중형 사이즈로 사용될 경우에는, 메인 파트(110) 측 접합면(122)이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착지되어진다. 이에 메인 파트(110)와 상기 서브 파트(120) 사이의 접합면(122)은 서브 파트(120)의 착지면(121)에 평행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3 실시예에 대한 설명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C) 또한 두 개의 측판(100)과 복수의 연결대들(200)을 포함한다.
연결대들(210) 각각은, 몸체(210) 및 한 쌍의 삽입돌기(213)를 포함한다. 몸체(210)는 대략 길다란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몸체(210)의 저면 상의 양단부에 삽입돌기(213)가 형성되며, 각 삽입돌기(213)는 몸체(210)의 연장 방향(X 방향, 즉 운동 기구의 폭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측판(100)의 상측 모서리면(105)에는 삽입돌기(213)에 대응하는 형상의 삽입홈(106)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삽입돌기(213)가 그에 대응하는 한 쌍의 삽입홈(106)에 삽입됨으로써, 각 연결대(210)가 한 쌍의 측판(100)에 조립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대들(200)은 별도의 체결수단 내지 접착수단의 도움 없이 단지 기하학적 커플링 만으로 한 쌍의 측판(100)에 조립된다. 따라서 연결대들(200)은 필요시에 한 쌍의 측판(100)으로부터 간단히 분해될 수 있다.
또한, 도 9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대들(200)에 의해 각 측판(100)의 폭 방향(X) 움직임이 구속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대들(200)과 측판들(100) 간의 기하학적 커플링 만으로 그 부재들(200, 100) 간의 조립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제3 실시예에서 연결대들(200) 모두가 동일하게 한 쌍의 삽입돌기(213)를 갖는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연결대들(200) 중에서 일부 만이 그러한 삽입돌기(213)를 갖는 형태를 가지고, 나머지 일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먹장 맞춤 기법 적용을 위한 연결대(210)의 형태를 갖거나 또는 딴혀쪽매 맞춤 기법 적용을 위한 연결대(220)의 형태 등을 가질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A, 1B, 1C)에 의하면 두 개의 측판(100)과 모든 연결대들(200)이 별도의 체결수단 내지 접착수단이 사용됨 없이 서로 분해가능하게 조립됨으로써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의 조립 및 분해가 매우 편리하게 반복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그 운동기구의 배송 내지 보관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A, 1B)에 의하면 측판(100)이 메인 파트(110)와 그에 분해가능하게 조립되는 한 쌍의 서브 파트(120)로 구성됨으로써 사용자 선택에 따라 대형 크기와 중형 크기 중 하나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A, 1B)에 의하면 측판(100)이 메인 파트(110)와 한 쌍의 서브 파트(120)로 구성되고 또한 그 메인 파트(110)가 상호 분해가능하게 조립된 두 개의 부분(111, 112)으로 구성됨으로써, 배송 내지 보관의 편의성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A, 1B, 1C :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
100 : 측판
101, 102 : 삽입홈
110 : 메인 파트
111 : 제1 부분
112 : 제2 부분
113 : 접합면
115 : (주먹장 맞춤용) 삽입돌기
116 : 삽입홈
117 : 위치결정용 돌출부
118 : 위치결정용 안착턱
120 : 서브 파트
122 : 접합면
200 : 연결대
210 : 제2 연결대
211 : 몸체
212 : (주먹장 맞춤용) 삽입돌기
220 : 제1 연결대
221 : 몸체
222 : (딴혀쪽매 맞춤용) 삽입돌기

Claims (16)

  1.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두 개의 측판(100); 및
    상기 두 개의 측판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대들(200);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연결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대(210)는 단지 기하학적 커플링 만으로 상기 두 개의 측판에 분해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기하학적 커플링에 의해 상기 복수의 연결대들(200)과 상기 두 개의 측판(100) 간의 폭 방향 분해가 방지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대(210)는 주먹장 맞춤 기법에 의해 상기 두 개의 측판에 분해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대(210)를 제외한 나머지 연결대(220)는 딴혀쪽매 맞춤 기법에 의해 상기 측판(100)에 분해가능하게 조립되는,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대들(200) 전부가 단지 기하학적 커플링 만으로 상기 두 개의 측판에 분해가능하게 조립되는,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대(210)의 양단에는 주먹장 맞춤을 위한 삽입돌기(212)가 구비되고, 상기 측판(100)에는 상기 삽입돌기(212)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삽입홈(101)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돌기(212) 및 상기 삽입홈(101)은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는 단면 형상을 갖는,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대(210)는, 몸체(211), 및 상기 몸체(211)의 연장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상기 몸체(211)의 저면에 형성된 한 쌍의 삽입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측판(100)의 상측 모서리면(105)에는 상기 삽입돌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삽입홈(106)이 형성되는,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B)는 대형 사이즈로 사용되는 제1 형태와 상기 대형 사이즈보다 작은 중형 사이즈로 사용되는 제2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선택 사용 가능한,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100)은,
    메인 파트(110); 및
    상기 메인 파트(110)의 양단에 분해가능하게 조립되는 한 쌍의 서브 파트(120);를 포함하며,
    상기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B)가 상기 제1 형태로 사용될 때 상기 서브 파트(120)는 상기 메인 파트(110)에 조립되며, 상기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B)가 상기 제2 형태로 사용될 때 상기 서브 파트(120)는 상기 메인 파트(110)로부터 분해되는,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파트(110)는 서로 분해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 및 제2 부분(111, 112)으로 구성되는,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분(111, 112)은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접합면(113)을 갖는,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분(111, 112)은 주먹장 맞춤 기법에 의해 서로 분해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제1 부분(111)의 접합면(113a)에는 주먹장 맞춤을 위한 삽입돌기(115)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부분(112)의 접합면(113b)에는 상기 삽입돌기(115)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삽입홈(116)이 형성되는,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111)에는 상기 삽입돌기(115) 위에 형성되는 위치결정용 돌출부(117)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부분(112)에는 상기 삽입돌기(115)가 상기 삽입홈(116) 안으로 삽입될 때 상기 위치결정용 돌출부(117)가 안착되는 위치결정용 안착턱(118)이 형성되는,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파트(120)는 상기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B)가 상기 제1 형태로 사용될 때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착지되는 착지면(121)을 가지며,
    상기 메인 파트(110)와 상기 서브 파트(120) 사이의 접합면(122)은 상기 착지면(121)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파트(110)와 상기 서브 파트(120)는 딴혀쪽매 기법에 의해 서로 분해가능하게 조립되는,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
  15. 조립 및 분해가 반복 가능한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B)로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두 개의 측판(100); 및
    상기 두 개의 측판(100)을 연결하며 상기 측판에 분해가능하게 조립되는 연결대들(200);을 포함하며,
    상기 측판(100)은,
    메인 파트(110); 및
    상기 메인 파트(110)의 양단에 분해가능하게 조립되는 한 쌍의 서브 파트(120);를 포함하며,
    상기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B)가 대형 사이즈로 사용될 때 상기 서브 파트(120)는 상기 메인 파트(110)에 조립되며, 상기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B)가 상기 대형 사이즈보다 작은 중형 사이즈로 사용될 때 상기 서브 파트(120)는 상기 메인 파트(110)로부터 분해되며,
    상기 메인 파트(110)는 서로 분해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 및 제2 부분(111, 1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부분(111, 112)은 주먹장 맞춤 기법에 의해 서로 분해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제1 부분(111)의 접합면(113a)에는 주먹장 맞춤을 위한 삽입돌기(115)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부분(112)의 접합면(113b)에는 상기 삽입돌기(115)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삽입홈(116)이 형성되는,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
  16. 조립 및 분해가 반복 가능한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B)로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두 개의 측판(100); 및
    상기 두 개의 측판(100)을 연결하며 상기 측판에 분해가능하게 조립되는 연결대들(200);을 포함하며,
    상기 측판(100)은,
    메인 파트(110); 및
    상기 메인 파트(110)의 양단에 분해가능하게 조립되는 한 쌍의 서브 파트(120);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파트(110)에 대한 상기 한 쌍의 서브 파트(120)의 조립 및 분해에 따라 상기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B)의 사이즈가 조절 가능하며,
    상기 메인 파트(110)는,
    설치장소에 접지 가능한 메인 파트측 접합면(122b); 및
    아치 형상의 메인 파트 상측모서리면;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 파트(120)는,
    상기 메인 파트측 접합면(122b)에 접합 가능한 서브 파트측 접합면(122a);
    상기 설치장소에 접지 가능하도록 상기 서브 파트측 접합면(122a)에 평행하게 형성된 서브 파트 착지면(121); 및
    상기 서브 파트측 접합면(122a)이 상기 메인 파트측 접합면(122b)에 접합될 때 상기 메인 파트 상측모서리면에 연결되는 곡선형의 서브 파트 외측모서리면;을 포함하는,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
KR1020150139027A 2015-10-02 2015-10-02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 KR101728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027A KR101728962B1 (ko) 2015-10-02 2015-10-02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027A KR101728962B1 (ko) 2015-10-02 2015-10-02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891A KR20170039891A (ko) 2017-04-12
KR101728962B1 true KR101728962B1 (ko) 2017-04-20

Family

ID=58580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027A KR101728962B1 (ko) 2015-10-02 2015-10-02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89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3074A (ko) 2019-08-22 2021-03-04 (주)에이치에스피라이프 신체 교정 운동기구
KR102357586B1 (ko) * 2020-02-13 2022-01-28 김종대 요가 자세 교정용 의자형 운동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2042B2 (ja) * 1994-04-27 2001-07-03 三菱電機株式会社 開閉装置の操作機構
KR200399189Y1 (ko) 2005-07-26 2005-10-20 우성미 척추이완 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2042B2 (ja) * 1994-04-27 2001-07-03 三菱電機株式会社 開閉装置の操作機構
KR200399189Y1 (ko) 2005-07-26 2005-10-20 우성미 척추이완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891A (ko) 201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2783B2 (en) Ankle rehabilitation device
US988894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rrecting spinal deformity
US7951054B2 (en) Rehabilitation and exercise apparatus
CN110214041A (zh) 可折叠独立运动设备
KR101728962B1 (ko)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
US10173102B2 (en) Back machine
US9616267B2 (en) Back strengthening and therapy device
US9446284B2 (en) Squat exercising
US20190344116A1 (en) Hip flexor bench
KR101625518B1 (ko) 정형용 교정장치
EP3768201A1 (en) Forward head posture correction collar
KR101602603B1 (ko) 목 운동기구
JP2008006230A (ja) 姿勢矯正用運動器具
US20190111309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 exercise device
US10625116B1 (en) Exercise device for neck and upper body
US11833388B1 (en) Exercise device for neck and upper body
CN115154979A (zh) 一种辅助助产装置及其使用方法
US20110152047A1 (en) Calf Exerciser
JP2007244907A (ja) 姿勢矯正用運動器具
JP4233449B2 (ja) 骨盤矯正装置
CN107198853B (zh) 深蹲辅助装置
TWI623290B (zh) Auxiliary guiding device for human pelvic system
CN215538201U (zh) 一种医疗康复用腿部肌肉恢复训练装置
US20220347521A1 (en) Ankle exerciser device
US11833381B2 (en) Stretching exercise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