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539B1 - 차량용 단자홀 방수 커넥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단자홀 방수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539B1
KR101728539B1 KR1020150186755A KR20150186755A KR101728539B1 KR 101728539 B1 KR101728539 B1 KR 101728539B1 KR 1020150186755 A KR1020150186755 A KR 1020150186755A KR 20150186755 A KR20150186755 A KR 20150186755A KR 101728539 B1 KR101728539 B1 KR 101728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 hole
sealing cap
hole
out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6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50186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5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Sealing between contact members and housing, e.g. sealing inse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단자홀 방수 커넥터를 개시한다. 개시된 차량용 단자홀 방수 커넥터는, 와이어의 단자가 삽입되는 복수의 단자홀을 구비하며 접속유닛에 접촉되는 아우터 하우징과, 아우터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며 와이어의 단자가 접속되는 이너 하우징과, 단자홀을 밀폐하도록 상기 단자홀의 내부에 일체로 사출성형되며 압력을 가하여 단자홀에서 파단하여 분리하도록 파단홈을 통해 파단스폿을 형성하는 실링캡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와이어의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홀의 내부에 파단(破斷)형 실링캡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미사용 단자홀을 별도의 마감실링재를 이용하여 마감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오작업에 의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단자홀 방수 커넥터{WATERPROOF CONNECT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단자홀 방수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의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홀의 내부에 파단(破斷)형 실링캡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미사용 단자홀을 별도의 마감실링재를 이용하여 마감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오작업에 의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단자홀 방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탄소 에너지가 점차 고갈되고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미국, 유럽, 일본, 한국을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기 자동차에 세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의 경우에는 일반차량에 비해 고전압/고전류를 사용하게 되므로, 차량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량 내부의 부품에 안정적으로 공급 및 분배하기 위한 전기장치를 필요로 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차량의 전자제어를 위하여 많은 부품들이 모듈 형태로 제작되고 있으며, 사용전류나 전기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커넥터가 연결된 전선이나 통신선들의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러한, 커넥터(CONNECTOR)는 자동차의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자동차의 부품에 장착되었을 때 전기적인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여러 가지 안전검사를 거치게 된다.
그리고, 통상의 커넥터는 상호 탈착되는 암하우징과 숫하우징을 구비하며, 상호 결합된 암하우징과 숫하우징이 고정부재(TPA)의 결합을 통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통상의 커넥터는 단자홀에 와이어 단자를 삽입하여 접속한 후, 와이어 단자가 삽입되지 않는 단자홀에는 별도의 마감실링재를 삽입하여 방수처리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커넥터는 단자홀을 별도의 마감실링재를 삽입하여 실링처리할 때 와이어 단자가 삽입된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됨은 물론 작업자가 마감실링재를 삽입하지 않을 경우 제품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한편, 국내 등록실용 제20-0264075호(등록일:2002년01월30일, 명칭: 자동차용 커넥터 조립구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와이어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홀의 내부에 실링캡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미사용 단자홀을 별도의 마감실링재를 이용하여 마감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오작업에 의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단자홀 방수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단자홀 방수 커넥터는, 와이어의 단자가 삽입되는 복수의 단자홀을 구비하며, 접속유닛에 접촉되는 아우터 하우징과,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의 단자가 접속되는 이너 하우징과, 상기 단자홀을 밀폐하도록 상기 단자홀의 내부에 일체로 사출성형되며, 압력을 가하여 상기 단자홀에서 파단하여 분리하도록 파단홈을 통해 파단스폿을 형성하는 실링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링캡은, 상기 단자홀의 내부에서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외측방향으로 압력을 가함에 따라 파단되어 상기 단자홀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링캡은, 파단을 위한 공구가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공구안착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자홀 방수 커넥터는 종래 기술과 달리 와이어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홀의 내부에 파단(破斷)형 실링캡을 일체로 형성하고, 와이어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홀의 실링캡만을 제거하여 와이어 단자를 삽입함으로써, 미사용 단자홀을 별도의 마감실링재를 이용하여 마감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작업에 의한 단자홀의 실링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단자홀 방수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단자홀 방수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단자홀 방수 커넥터를 도시한 요부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자홀 방수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단자홀 방수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단자홀 방수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단자홀 방수 커넥터를 도시한 요부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단자홀 방수 커넥터(100)는, 차량에 구비되는 접속유닛(10)에 결합되는 아우터 하우징(110)과, 와이어 단자(20)가 접속되도록 아우터 하우징(110)의 내부에 결합되는 이너 하우징(120)과, 아우터 하우징(110)에 일체로 형성되는 실링캡(130)을 포함한다.
아우터 하우징(110)은, 와이어 단자(20)가 관통하는 복수의 단자홀(111)을 구비하며, 단자홀(111)이 실링캡(130)에 의해 밀폐된다. 이러한, 아우터 하우징(110)은 와이어 단자(20)를 결합하기 전에 작업자에 의해 단자홀(111)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 실링캡(130)이 제거된다.
이때, 와이어 단자(20)는 터미널이 이너 하우징(120)에 접속되고, 와이어 부위에 와이어 실링재가 구비되어 단자홀(111)과 실링처리된다.
또한, 아우터 하우징(110)은 이너 하우징(120)이 결합되도록 내부에 설치공간(115)이 형성되고, 단자홀(111)의 성형을 위한 홀형성돌부(113)가 돌출 형성된다.
이너 하우징(120)은 단자홀(111)로 삽입되는 와이어 단자(20)의 접속핀이 접촉되도록 핀접속홀(121)이 형성되며, 핀접속홀(121)이 단자홀(111)에 정렬하도록 설치공간(115)에 결합된다.
실링캡(130)은 아우터 하우징(110)의 단자홀(111)을 밀폐하여 실링시킬 수 있도록 단자홀(111)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실링캡(130)은 아우터 하우징(110)을 사출 성형할 때 아우터 하우징(110)에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또한, 실링캡(130)은 작업자가 밀폐된 단자홀(111)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홀표시홈(131)이 형성되도록 단자홀(111)에 형성된다. 즉, 실링캡(130)은 홀표시홈(131)이 형성되도록 단자홀(111)의 끝단에서 단자홀(111)의 내부로 인입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단자홀(111)이 실링캡(130)에 의해 밀폐되어도 홀형성돌부(113)의 외면에 홀표시홈(131)이 형성되므로, 작업자가 단자홀(111)의 위치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작업자가 실링캡(130)의 제거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더하여, 실링캡(130)은 외부에서 압력이 가해지면 단자홀(111)에서 용이하게 파단되어 분리되도록 단자홀(111)의 내경을 따라 파단홈(133)이 형성된다. 파단홈(133)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파단홈의 형성을 통해 단자홀(111)의 내경과 접합되는 실링캡(130)의 파단스폿(135) 크기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실링캡(130)은 단자홀(111)의 내부에서 공구를 삽입하여 아우터 하우징(110)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파단스폿(135)이 파단되면서 단자홀(111)에서 용이하게 분리된다. 이때, 실링캡(130)은, 파단을 위한 공구가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내측면에 공구안착홈부(137)가 형성된다.
실링캡(130)에 공구안착홈부(137)를 형성하는 것은 공구를 실링캡(130)에 지지할 때 공구가 실링캡(130)에서 이탈하여 단자홀(111)의 내면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공구가 단자홀(111)의 내면에 충돌하여 단자홀(111)의 내면을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단자홀 방수 커넥터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와이어 단자(20)를 삽입하여야할 단자홀(111)을 확인한 후, 아우터 하우징(110)의 단자홀(111) 내측에서 실링캡(130) 파단을 위한 공구를 삽입한다. 그리고 공구를 실링캡(130)의 공구안착홈부(137)에 안정되게 지지시키고, 아우터 하우징(110)의 외측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실링캡(130)을 단자홀(111)에서 파단시켜 단자홀(111)의 외측으로 제거한다.
이러한 실링캡(130) 파단작업을 통해 와이어 단자(20)가 삽입되는 단자홀(111)의 실링캡(130) 제거가 완료되면, 이너 하우징(120)을 아우터 하우징(110)에 결합한다. 그리고 아우터 하우징(110)의 외측에서 와이어 단자(20)를 단자홀(111)에 삽입한다. 이때, 와이어 단자(20)가 결합되지 않는 단자홀(111)은 실링캡(130)에 의해 밀폐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를 통해 미사용 단자홀(111)을 별도의 마감실링재를 이용하여 마감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작업에 의한 단자홀의 실링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차량용 단자홀 방수 커넥터 110 : 아우터 하우징
111 : 단자홀 113 : 홀형성돌부
115 : 설치공간 120 : 이너 하우징
121 : 핀접속홀 130 : 실링캡
131 : 홀표시홈 133 : 파단홈
135 : 파단스폿 137 : 공구안착홈

Claims (3)

  1. 와이어의 단자가 삽입되는 복수의 단자홀을 구비하며, 접속유닛에 접촉되는 아우터 하우징;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의 단자가 접속되는 이너 하우징; 및 상기 단자홀을 밀폐하도록 상기 단자홀의 내부에 일체로 사출성형되며, 압력을 가하여 상기 단자홀에서 파단하여 분리하도록 파단홈을 통해 파단스폿을 형성하는 실링캡;을 포함하며,
    상기 실링캡은, 상기 단자홀의 내부에서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외측방향으로 압력을 가함에 따라 상기 단자홀에서 파단되어 분리되고, 파단을 위한 공구가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공구안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 하우징은, 상기 단자홀이 형성되는 홀형성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홀형성돌부의 외면에 홀표시홈이 형성되어 작업자가 상기 단자홀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자홀 방수 커넥터.
  2. 삭제
  3. 삭제
KR1020150186755A 2015-12-24 2015-12-24 차량용 단자홀 방수 커넥터 KR101728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755A KR101728539B1 (ko) 2015-12-24 2015-12-24 차량용 단자홀 방수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755A KR101728539B1 (ko) 2015-12-24 2015-12-24 차량용 단자홀 방수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8539B1 true KR101728539B1 (ko) 2017-04-19

Family

ID=58706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6755A KR101728539B1 (ko) 2015-12-24 2015-12-24 차량용 단자홀 방수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85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2685A (ko) * 2021-05-10 2022-11-17 코리아알프스(주) 전기 접속 커넥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5319A (ja) * 2010-02-04 2011-08-25 Yazaki Corp 防水コネクタ用の弾性シール部材及び防水コネクタ
JP2012069466A (ja) * 2010-09-27 2012-04-05 Yazaki Corp マットシール付きコネクタハウジン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5319A (ja) * 2010-02-04 2011-08-25 Yazaki Corp 防水コネクタ用の弾性シール部材及び防水コネクタ
JP2012069466A (ja) * 2010-09-27 2012-04-05 Yazaki Corp マットシール付きコネクタハウジン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2685A (ko) * 2021-05-10 2022-11-17 코리아알프스(주) 전기 접속 커넥터
KR102630482B1 (ko) * 2021-05-10 2024-01-29 코리아알프스(주) 전기 접속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6075B2 (ja) 電池パック
US9923311B2 (en) Safety system for high current applications
CN104718669B (zh) 头部组件
JP5731614B2 (ja) 自動車分野において高圧電流を伝送するための接続装置
KR101685680B1 (ko) 차량용 방수 조인트 커넥터
US7997917B1 (en) Environmentally sealed electrical connector
CN108271427B (zh) 密封盖
CN102460851A (zh) 用于安全约束系统的连接器
US9209553B2 (en) Plug-connector housing and plug connector
US10256566B2 (en) Waterproof electric connector
US9640920B2 (en) Protective cover structure
KR101728539B1 (ko) 차량용 단자홀 방수 커넥터
US7745745B2 (en) Housing for a pyromechanical disconnecting device with integrated ignition element
KR101494425B1 (ko) 차량용 커넥터
KR101794340B1 (ko) 차량용 커넥터
US10411548B2 (en) Waterproof structure for electric motor
US20090275227A1 (en) Packing Protection Cap and Connector
CN113056845B (zh) 连接器
JP5251726B2 (ja) コネクタ
KR101794339B1 (ko) 차량용 조인트 커넥터
KR101289380B1 (ko) 커넥터용 방수씰
KR200482980Y1 (ko) 파워 커넥터와 버스바의 전원연결 보호 기능이 구비된 브러쉬리스 모터
US20220200193A1 (en) Battery connector for electric bicycle
US12003064B2 (en) Electronic part with integrated fuse
US20220085559A1 (en) Electronic part with integrated f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