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359B1 - 가변형 조립식 진열대 - Google Patents

가변형 조립식 진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359B1
KR101728359B1 KR1020150011049A KR20150011049A KR101728359B1 KR 101728359 B1 KR101728359 B1 KR 101728359B1 KR 1020150011049 A KR1020150011049 A KR 1020150011049A KR 20150011049 A KR20150011049 A KR 20150011049A KR 101728359 B1 KR101728359 B1 KR 101728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helf
vertical frame
block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1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1011A (ko
Inventor
이상희
Original Assignee
(주)디자인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자인밴드 filed Critical (주)디자인밴드
Priority to KR1020150011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359B1/ko
Publication of KR20160091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47B47/005Combination of corners and 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83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with four vertical uprigh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7Linkable independent elements with the same or similar cross-section
    • A47B87/008Rectangular cabinets or racks in a side-by-side arrang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07Stackable racks, trays or shelf units
    • A47B87/0215Stackable frames, or frame elements, with upright parts connected by inserting the ends or tips of the uprights, e.g. at the corners, into the uprights of the next frame or frame element, e.g. coaxial tubular end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조립식 진열대는,
바닥면으로부터 진열대를 지지하고, 상부에 결합홈이 형성된 지지블럭과,
상기 지지블럭의 상부에 차례로 적층되되, 하부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적층블럭을 포함하는 수직프레임;
단부가 상기 블럭들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움결합되고 이웃하는 수직프레임을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는 가로프레임과, 단부가 상기 블럭들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움결합되고, 이웃하는 수직프레임을 세로방향으로 연결하는 세로프레임을 포함하는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놓여져 진열되는 상품을 지지하는 선반을 포함하되, 상기 블럭들과 프레임들의 결합으로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확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변형 조립식 진열대{VARIABLE TYPE ASSEMBLING DISPLAY}
본 발명은 가변형 조립식 진열대에 관한 것으로서, 진열대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수직프레임이 다수개의 적층 가능한 조립식 블럭 형태로 제작하며, 조립식 블럭의 결합홈에 수평프레임을 끼움결합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고, 다양한 형태로 조립할 수 있는 가변형 조립식 진열대에 관한 것이다.
진열대는 물품이나 상품을 진열하거나 보관하는 기구이다. 가정에서 사용하는 진열대의 경우에는 진열대의 형상을 변화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형상이 고정된 진열대를 주로 사용하나, 상업적인 전시 등을 위해 사용되는 진열대는 전시기간 동안 상품을 진열하고 나면, 분리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며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조립식 진열대가 편리하다.
종래에는 상품을 진열하는 진열대는 복수 개의 앵글 기둥과 앵글 기둥을 연결하고 진열판을 안착할 수 있는 연결대를 조립하여 제조하게 되는데, 이때 앵글 기둥과 연결대만을 사용하여 결합하였는데, 이렇게 하면 진열대를 설치 및 분리하는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조립된 진열대의 외형이 자칫 조악해지기 쉬워 상품성이 높은 제품을 전시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았다.
이러한 진열대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4180호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진열대는 조립 및 해체 작업이 간단하고 제조공정도 축소되어 견고하게 구성된 하이퍼 조립식 앵글 진열대에 관한 것인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의 진열대 중에는 조립식 진열대의 수직프레임이 되는 기둥이 조립하고자 하는 진열대의 전체 길이에 대응되어 기둥의 길이가 사전에결정된 상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임의로 진열대의 높이를 조절하지 못하고, 기둥의 무게가 무겁고 외형이 길고 투박하며 분해된 상태로 운반 및 운송하기가 매우 불편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3462호(진열대용 수직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조립식 진열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에 개시된 기술은 조립식 진열대의 수직프레임을 조립식 블록 형태로 제작한 상태에서 수직프레임을 다단조립되게 구성하여 진열대의 조립성을 높이기 위한 진열대용 수직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조립식 진열대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진열대의 경우에는 조립성이 뛰어나고 깔끔한 외형을 가지는 등 종래의 문제점을 크게 해소하였으나, 조립식 블럭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용이하지 아니하며, 몸체결합돌기 및 몸체결합부재의 구조가 취약하여 반복하여 결합 분리하는 경우에는 몸체결합돌기 등이 파손되어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즉 반복사용에 대한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가로방향으로는 확장이 가능하나 세로방향으로의 확장이 어려워 간단한 다단 수평식 진열대로의 구성은 가능하나, 계단식 진열대 등의 다양한 진열대의 형상을 구현하는 것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418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3462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립식 진열대를 구성하는 수직프레임이 다수개의 블럭들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수직프레임 간을 수평프레임을 간단하게 조립하여 다양한 형태를 구성할 수 있는 조립식 진열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블럭들의 형상이 심플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내구성이 뛰어난 가변형 조립식 진열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조립식 진열대는,
바닥면으로부터 진열대를 지지하고, 상부에 결합홈(111)이 형성된 지지블럭(110)과,
상기 지지블럭(110)의 상부에 차례로 적층되되, 하부에는 결합돌기(122)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결합홈(121)이 형성되는 적층블럭(120)을 포함하는 수직프레임(100);
단부가 상기 블럭들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움결합되고 이웃하는 수직프레임(100)을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는 가로프레임(210)과, 단부가 상기 블럭들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움결합되고, 이웃하는 수직프레임(100)을 세로방향으로 연결하는 세로프레임(220)을 포함하는 수평프레임(200); 및
상기 수평프레임(200)의 상부에 놓여져 진열되는 상품을 지지하는 선반(300)을 포함하되, 상기 블럭들과 프레임들의 결합으로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확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결합홈(121)은 십자형의 홈으로 형성되되, 결합홈(121)의 하부에는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결합되는 가로프레임 결합홈(121a) 및 세로프레임 결합홈(121b)이 형성되어 가로프레임(210)과 세로프레임(220)이 끼움결합되고, 결합홈(121)의 상부에는 상기 십자형의 결합돌기(122)가 결합되어 블럭들이 반복적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선반(300)은 상품을 진열하는 몸체부(310)와, 상기 몸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에 걸어 선반(300)을 지지하는 걸이부(320)를 포함하되,
상기 걸이부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단부(321)가 하방으로 절곡형성되며,
이웃하는 선반(300)의 걸이부들끼리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로프레임(210) 및 세로프레임(220)의 단부에 결합되는 탄성재질의 고정링(230)이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링은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로프레임 결합홈(121a) 및 상기 세로프레임 결합홈(121b)에 각각 형성된 고정링결합홈(121d)에 끼움결합되어 각 프레임들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블럭(110) 및 적층블럭(120)의 중앙부에는 상기 블럭들을 관통하는 관통구(150)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어 수직프레임(100)을 보강하는 보강프레임(14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개의 블럭들을 간단한 조립만으로 적층하여 수직프레임(100)을 형성하고, 수평프레임(200)도 간단하게 결합이 가능하며, 선반(300)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구성요소들의 조립만으로 간단하게 진열대를 구성할 수 있으며, 견고하고 깔끔한 가변형 조립식 진열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조립식 진열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조립식 진열대의 부분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조립식 진열대의 수평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조립식 진열대의 수직프레임을 구성하는 블럭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조립식 진열대를 구성하는 선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조립식 진열대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조립식 진열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조립식 진열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조립식 진열대에 고정링이 사용되는 경우의 수평단면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하기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온전히 완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기보다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들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또는 층 상에 배치되는 또는 연결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는 경우 상기 요소는 상기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되거나 연결될 수도 있으며, 다른 요소들 또는 층들이 이들 사이에 게재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되거나 연결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는 경우, 그들 사이에는 또 다른 요소가 있을 수 없다. 다양한 요소들, 조성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부분들과 같은 다양한 항목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1, 제2, 제3, 가로, 세로, 수직 등의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항목들은 이들 용어들에 의하여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사용된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한, 달리 한정되지 않는 이상, 기술 및 과학 용어들을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갖는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조립식 진열대(1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부분적인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조립식 진열대는, 진열대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골격을 이루는 수직프레임(100), 수직프레임(100)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결합되어 수직프레임(100) 간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프레임(200) 및 수평프레임(200) 위에 결합되어 상품을 진열하는 선반(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100)은 다수개의 블럭의 조립체로써, 지지블럭(110), 커버블럭(13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층블럭(120)을 포함한다.
지지블럭(110)은 하부에는 바닥면에 접촉되는 바닥판(112)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적층블럭(120)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111)이 형성된다. 결합홈(111)은 십자형으로 형성되고, 적층블럭(120)의 하부에 형성된 십자형의 결합돌기(122)가 결합홈(111)에 결합된다. 결합돌기(122)와 결합홈(111)의 결합은 충분한 마찰력을 가지도록 끼움결합된다. 지지블럭(110)의 결합홈(111)의 깊이는 적층블럭(120)의 결합돌기(122)의 길이보다 커서 간극(가로 및 세로프레임 결합홈)이 형성되며, 이 간극에 수평프레임(200)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지지블럭(110)은 수직프레임(100)을 구성하는 필수요소는 아니며,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수직프레임(100)의 상부에는 커버블럭(130)이 위치한다. 커버블럭(130)은 최상층에 위치한 적층블럭(120)의 상부에 결합되는 블럭으로, 적층블럭(120)의 상부에 형성된 십자형 결합홈(121)에 결합되는 십자형 결합돌기(132)가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블럭(120)에 형성된 십자형 결합홈(121)의 깊이는 커버블럭(130)의 하부에 형성된 십자형 결합돌기(132)의 길이보다 커서 간극(가로 및 세로프레임 결합홈)이 형성되며 이 간극에 수평프레임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결합돌기(122)와 결합홈의 결합은 충분한 마찰력을 가지도록 끼움결합된다. 커버블럭(130)은 수직프레임(100)을 구성하는 필수구성요소는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생략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층블럭(120)을 포함한다. 적층블럭(120)을 쌓아 올려 수직프레임(100)을 형성한다. 적층블럭(120)의 상부에는 십자형의 결합홈(121)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십자형의 결합돌기(122)가 형성된다. 결합홈(121) 및 결합돌기(122)의 형상은 십자형으로 제한되지는 않으나, 적층블럭(120)을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형상으로 십자형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부에 형성된 결합홈(121)은 결합돌기 결합홈(121c), 가로프레임 결합홈(121a), 세로프레임 결합홈(121b), 고정링 결합홈(121d)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 결합홈에는 결합돌기(122)가 끼움결합된다. 결합돌기(122)와 결합홈의 사이에는 결합력을 증강시키기 위해서는 일정 정도의 마찰력이 작용한다. 다만 사람의 힘으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을 정도의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결합홈(121)과 결합돌기(122)의 폭을 조절하여야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 결합홈의 아래에는 가로프레임 결합홈과 세로프레임 결합홈이 형성되며, 결합홈(121)의 중앙부에는 가로프레임 결합홈(121a)과 세로프레임 결합홈(121b)을 구획하는 사각의 돌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수평프레임(200)을 형성하는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단부가 가로 및 세로프레임 결합홈에 결합되는데, 사각의 돌부는 각 프레임들의 단부에 대한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조립식 진열대는 고정링(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링(230)은 가로 및 세로프레임의 단부에 끼워 결합하여 사용한다. 고정링(230)은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축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 결합홈에 인접 형성된 고정링 결합홈(121d)에 삽입되어 수평프레임(200)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고정링은 탄성을 가지고 높은 마찰계수를 가지는 고무재질의 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고무링을 이용하여 수평프레임(200)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122)의 하단에 고무재질의 마찰부(122a)를 형성하여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찰부(122a)는 수평프레임(200)에 접촉하여 수평프레임(200)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블럭(120)의 중앙부에는 적층블럭(120)을 관통하는 관통구(150)가 형성되고, 관통구(150)에는 보강프레임(140)이 삽입될 수 있다. 적층블럭(120)에 형성된 결합홈(121)과 결합돌기(122)가 십자형의 안정된 구조를 가지므로 따로 보강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가 많지만, 진열대에 진열하는 상품이 무겁거나 보다 높은 안정성이 필요한 경우, 적층블럭(120)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구(150)에 보강프레임(140)을 삽입함으로써, 보다 견고한 구조를 만들 수 있다.
수직프레임(100)들은 수평프레임(200)에 의해서 연결된다. 수평프레임(200)은 가로방향으로 인접한 두 수직프레임(100)을 연결하는 가로프레임과 세로방향으로 인접한 두 수직프레임(100)을 연결하는 세로프레임을 포함한다.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길이에 따라 선반(300)의 가로 및 세로 폭이 결정된다. 수평프레임(200)은 긴 바 형상을 가지며,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평프레임(2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단면을 가지는 관형의 금속프레임이 가장 바람직하다. 수평프레임(200)의 단면이 원형인 것도 가능하나, 블럭들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결합되기 위해서는 사각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립식 진열대를 장착함에 있어서, 진열대의 높이는 사용하는 적층블럭(120)의 갯수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의 확장은 수직프레임(100)을 어떻게 배치하는냐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가로 및 세로프레임의 길이에 따라 진열대의 폭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조립식 진열대의 서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가변형 조립식 진열대는 가장 단순한 형태의 진열대이고, 도 8은 각 단의 폭을 달리하여 전시효과를 상승시키는 가변형 조립식 진열대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방향, 수평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진열대를 확장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가변형 조립식 진열대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수직프레임(100)과 수평프레임(200)에 의해 진열대의 프레임이 완성되면, 수평프레임(200)의 위에 선반(300)을 설치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300)은 상품을 거치할 수 있는 몸체(310)와 수평프레임(200)의 위에 걸어 선반(300)을 고정하는 걸이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걸이부(320)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단부(321)가 하방으로 절곡 형성된다. 걸이부(320)가 수평프레임(200)의 위에 걸려 거치도되, 절곡 형성된 단부(321)가 수평프레임(200)의 측면에 닿아 선반(300)이 수평프레임(200)에 대하여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이웃하는 선반(300,300')의 걸이부들(320,320')끼리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를 수평프레임(200)에 장착한 경우에 이웃하는 걸이부들(320, 320')끼리 서로 지그재그로 맞물리도록 배치되고, 선반(300)과 수평프레임(200)의 사이에 형성된 틈(330) 사이에 이웃하는 선반(300')의 걸이부(320')의 절곡 단부가 끼움 결합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며, 선반(300)이 유격에 의해 흔들리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조립식 진열대를 조립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수직프레임(100)이 설치될 곳에 수직프레임(100)을 형성하는 지지블럭(110)을 위치시키고, 지지블럭(11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수평프레임(200)을 결합시켜 격자형의 베이스를 형성한다. 각 지지블럭(110)의 위에 적층블럭(120)을 결합한다. 적층블럭(12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22)는 결합홈과 삽입결합됨과 동시에 수평프레임(200)의 단부를 가압하여 수평프레임(20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적층블럭(120)들의 위에 수평프레임(200)들을 배치하고, 그 위에 선반(300)을 배치한다. 선반(300)을 배치한 후 다시 적층블럭(120)들을 쌓아 올리고, 수평프레임(200)들을 배치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 도 1,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가변형 조립식 진열대는 물론, 도시되지 아니한 다양한 형태의 가변형 조립식 진열대를 설치할 수 있다. 진열대를 위치시키는 장소, 진열대를 사용하는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진열대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가정용 또는 사업용 진열대로 활용성이 높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조립식 진열대는 다수개의 조립가능한 구성요소들을 간단한 조립만으로 다양한 형태의 진열대를 구성할 수 있고, 비교적 심플한 구조를 가져 생산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다.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진열대를 구성할 수 있고 깔끔한 외형을 가지므로 앞에서 설명한 선행기술들이 가지는 단점들을 극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가변형 조립식 진열대
100 : 수직프레임
110 : 지지블럭
120 :적층블럭
121 : 결합홈
122 : 결합돌기
130 : 관통구
140 : 보강프레임
200 : 수평프레임
210 : 가로프레임
220 : 세로프레임
300 : 선반
310 : 몸체
320 : 걸이부
300' : 이웃선반
320' : 이웃걸이부

Claims (5)

  1. 가변형 조립식 진열대에 있어서,
    바닥면으로부터 진열대를 지지하고, 상부에 결합홈이 형성된 지지블럭과,
    상기 지지블럭의 상부에 차례로 적층되되, 하부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적층블럭을 포함하는 수직프레임;
    단부가 상기 블럭들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움결합되고 이웃하는 수직프레임을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는 가로프레임과, 단부가 상기 블럭들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움결합되고, 이웃하는 수직프레임을 세로방향으로 연결하는 세로프레임을 포함하는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놓여져 진열되는 상품을 지지하는 선반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홈은 십자형의 홈으로 형성되되, 결합홈의 하부에는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결합되는 가로프레임 결합홈 및 세로프레임 결합홈이 형성되어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끼움결합되고, 결합홈의 상부에는 십자형의 결합돌기가 결합되어 적층블럭들이 반복적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선반은 상품을 진열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에 걸어 선반을 지지하는 걸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걸이부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단부가 하방으로 절곡형성되며,
    이웃하는 선반의 걸이부들끼리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며,
    상기 블럭들과 프레임들의 결합으로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확장이 가능한 가변형 조립식 진열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의 단부에 결합되는 탄성재질의 고정링이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링은 상기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로프레임 결합홈 및 상기 세로프레임 결합홈에 각각 형성된 고정링결합홈에 끼움결합되어 각 프레임들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조립식 진열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적층블럭에는 하부에 십자형 결합돌기가 형성된 커버블럭이 더 결합되고,
    상기 지지블럭 및 적층블럭의 중앙부에는 상기 블럭들을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어 수직프레임을 보강하는 보강프레임이 더 구비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조립식 진열대.

KR1020150011049A 2015-01-23 2015-01-23 가변형 조립식 진열대 KR101728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049A KR101728359B1 (ko) 2015-01-23 2015-01-23 가변형 조립식 진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049A KR101728359B1 (ko) 2015-01-23 2015-01-23 가변형 조립식 진열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011A KR20160091011A (ko) 2016-08-02
KR101728359B1 true KR101728359B1 (ko) 2017-05-19

Family

ID=56708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1049A KR101728359B1 (ko) 2015-01-23 2015-01-23 가변형 조립식 진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83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794B1 (ko) * 2017-01-18 2018-07-12 김예솔 가변형 조립식 가구
KR101956006B1 (ko) * 2017-04-28 2019-03-08 유영배 사용자 기반 맞춤형 조립식 블럭
KR102413085B1 (ko) * 2020-08-14 2022-06-24 하동웅 선반형 전시 매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772B1 (ko) * 2007-07-24 2009-02-23 주식회사 대우테크 조립식 다용도 랙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180Y1 (ko) 2003-08-18 2003-11-22 김영배 하이퍼 조립식 앵글 진열대
KR101253462B1 (ko) 2012-10-22 2013-04-10 재 욱 한 진열대용 수직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조립식 진열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772B1 (ko) * 2007-07-24 2009-02-23 주식회사 대우테크 조립식 다용도 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011A (ko) 201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7834B2 (en) Vertical frame for display stand and multipurpose prefabricated display stand using same
KR101728359B1 (ko) 가변형 조립식 진열대
US10238208B2 (en) Modular food product display stand
US3492772A (en) Structural assembly
KR100776329B1 (ko) 다단선반의 높이간격에 관계없이 다양한 높이를 갖는물품의 전시가 가능한 조립선반
KR101665254B1 (ko) 다용도 조립식 진열대
KR200441498Y1 (ko) 수납가구의 선반 고정시스템
KR101797641B1 (ko) 조립식 앵글 선반
KR200487788Y1 (ko) 행거용 지주받침대
KR200426349Y1 (ko) 상품 진열대용 보조선반
KR102095840B1 (ko) 타공프레임을 이용한 조립식 수납장
KR100934036B1 (ko) 조립식 상품진열대 구조
KR200385887Y1 (ko) 알루미늄 합금형재로 된 진열장
KR101217812B1 (ko) 플라스틱성형에 의한 조립진열대
KR20200134046A (ko) 물품 진열용 케이스
JP3124091U (ja) 商品陳列台
KR102176619B1 (ko) 진열대의 선반 고정지지용 수직프레임
KR20090005562U (ko) 조립식 전시대
JP2011045471A (ja) 商品用陳列台
JP6368119B2 (ja) 商品陳列棚
KR200316814Y1 (ko)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전시대
JP3108262U (ja) 組立て式什器用のプレートと、そのプレートを使用した組立て式什器
JP3190021U (ja) 保管ラックの載置構造
JP3099999U (ja) 組立式ラック
KR101499419B1 (ko) 진열대 프레임 형성용 조립식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