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7664B1 -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7664B1
KR101727664B1 KR1020150169495A KR20150169495A KR101727664B1 KR 101727664 B1 KR101727664 B1 KR 101727664B1 KR 1020150169495 A KR1020150169495 A KR 1020150169495A KR 20150169495 A KR20150169495 A KR 20150169495A KR 101727664 B1 KR101727664 B1 KR 101727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panel
curvature
panel
display pa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한
고정훈
박혜정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9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6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Abstract

본 발명의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는, 제1 방향으로 볼록한 양의 곡률을 갖는 제1 표시패널과,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음의 곡률을 갖는 제2 표시패널과, 인접한 표시패널의 경계면 상부의 조작부, 그리고 제1 및 제2 표시패널과 조작부 상부에 양의 곡률과 음의 곡률을 갖는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표시패널 각각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과 표시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며, 조작부는 제1 또는 제2 표시패널의 비표시영역에 대응한다. 여기서, 조작부와 커버 윈도우 사이에 터치패널이 위치할 수 있으며, 또는 조작부가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인접한 표시패널 사이에 조작부와 대응하는 부가기능부를 배치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Curved Display Device Including Multiple Curvatures}
본 발명은 곡면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시대에 발맞추어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 또한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해서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 장점을 지닌 평판 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 FPD)로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OLED) 등이 개발되어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들 평판 표시장치 중에서, 액정표시장치는 소형화, 경량화, 박형화, 저전력 구동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의 광학적 이방성과 유전율 이방성을 이용하는 것으로, 두 기판과 두 기판 사이의 액정층, 그리고 액정층의 액정분자를 구동하기 위한 제1 및 제2 전극을 포함한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는, 제1 및 제2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생성되는 전기장에 의해 액정분자의 배열을 조절하고, 이에 따라 달라지는 빛의 투과율에 의해 화상을 표현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휴대폰이나 멀티미디어장치와 같은 휴대용 기기부터 노트북 또는 컴퓨터 모니터, 그리고 대형 텔레비전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적용된다.
최근, 평판 표시장치를 대신하여 곡면 표시장치(curved display device)가 널리 개발되고 있으며, 다양한 적용이 요구되고 있다. 즉, 곡면 표시장치가 적용되는 공간의 형태 등에 따라 곡면 표시장치의 형태 또한 다양하게 요구되고 있으며, 일례로, 서로 다른 방향의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곡면 표시장치는 평판 표시장치에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곡률을 부여함으로써 형성되므로, 서로 다른 방향의 곡률을 갖는 표시장치를 구현하기가 쉽지 않으며, 구현하더라도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응력이 발생하여 빛샘 등을 유발하게 되므로,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화질 저하 없이 서로 다른 방향의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를 구현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는, 제1 방향으로 볼록한 양의 곡률을 갖는 제1 표시패널과,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음의 곡률을 갖는 제2 표시패널과, 인접한 표시패널의 경계면 상부의 조작부, 그리고 제1 및 제2 표시패널과 조작부 상부에 양의 곡률과 음의 곡률을 갖는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표시패널 각각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과 표시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며, 조작부는 제1 또는 제2 표시패널의 비표시영역에 대응한다.
여기서, 조작부와 커버 윈도우 사이에 터치패널이 위치할 수 있으며, 또는 조작부가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는 인접한 표시패널 사이에 조작부와 대응하는 부가기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부가기능부는 동작인식 센서 또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방향의 곡률을 갖는 다수의 표시패널을 이용하여 화질저하 없이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인접한 표시패널의 비표시영역에 대응하여 조작부를 배치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조작부에만 터치 기능을 부여하여, 차량에 적용할 경우 안전성을 높이고 조작을 유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표시패널 사이에 동작인식 센서나 카메라를 포함하는 부가기능부를 배치하여 다양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의 조작부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가 적용된 차량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의 제1 내지 제3 표시패널을 각각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의 각 표시패널의 한 화소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는, 제1 방향으로 볼록한 양의 곡률을 갖는 제1 표시패널과,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음의 곡률을 갖는 제2 표시패널과, 인접한 표시패널의 경계면 상부의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표시패널 각각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 표시패널의 비표시영역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표시패널과 상기 조작부 상부에 양의 곡률과 음의 곡률을 갖는 커버 윈도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표시패널과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터치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조작부는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는 상기 인접한 표시패널 사이에 부가기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가기능부는 상기 조작부와 대응하고 동작인식 센서 또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표시패널은 서로 다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조작 버튼이나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패널과 상기 제2 표시패널 각각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순차 배열되는 제1 편광판과, 제1 기판, 액정층, 제2 기판, 그리고 제2 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패널의 제1 편광판은 상기 제1 표시패널의 제2 편광판보다 두껍고, 상기 제2 표시패널의 제2 편광판은 상기 제2 표시패널의 제1 편광판보다 두꺼울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는 상기 제1 표시패널과 상기 제2 표시패널 사이에 평판 형태의 제3 표시패널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의 조작부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100)는 제1 내지 제3 표시패널(110, 120, 130)과 제1 및 제2 조작부(control unit)(142, 144)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표시패널(110, 120, 130)은 액정표시패널일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를 차량 내부에 적용할 경우, 일례로, 제1 표시패널(110)은 차량의 운행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고, 제2 표시패널(120)은 엔터테인먼트 관련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제3 표시패널(130)은 차량의 실내 온도와 청정도 등의 공조 상태, 외부 온도와 습도 등의 외부 환경, 및/또는 카메라 등을 통한 후방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표시패널(110, 120, 130)의 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내지 제3 표시패널(110, 120, 130) 각각은 앞서 언급한 것들 및 그 이외의 표시 가능한 정보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제1 표시패널(110)은 제1 방향으로 볼록한 양의 곡률을 가지며, 제2 표시패널(120)은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음의 곡률을 가진다. 제1 및 제2 표시패널(110, 120)의 곡률 반경은 동일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및 제2 표시패널(110, 120)의 곡률 반경은 다를 수 있다.
제1 및 제2 표시패널(110, 120)의 곡률 방향은 바뀔 수 있다. 즉, 제1 표시패널(110)이 음의 곡률을 가지며, 제2 표시패널(120)이 양의 곡률을 가질 수도 있다.
제3 표시패널(130)은 제1 및 제2 표시패널(110, 120) 사이에 위치하며, 실질적으로 평판(flat) 상태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제3 표시패널(130)은 곡률을 가질 수도 있으며, 제3 표시패널(130)은 양의 곡률 또는 음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3 표시패널(130)의 곡률은 제1 및 제2 표시패널(110, 120)의 곡률보다 클 수 있다. 제3 표시패널(130)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인접한 표시패널(110, 120, 130)의 경계에 대응하여 조작부(142, 144)가 위치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1 표시패널(110)과 제3 표시패널(130)의 경계에 대응하여 제1 조작부(142)가 위치하고, 제2 표시패널(120)과 제3 표시패널(130)의 경계에 대응하여 제2 조작부(144)가 위치한다.
제1 및 제2 조작부(142, 144)는 각 표시패널(110, 120, 130)의 제어와 관련된 조작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및 제2 조작부(142, 14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가 적용되는 공간의 제어와 관련된 조작 버튼이나 부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조작부(142, 144)는 블랙의 백그라운드(backgroun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를 차량 내부에 적용할 경우, 제1 및 제2 조작부(142, 142)는 제1 내지 제3 표시패널(110, 120, 130)의 조절 장치나, 차량 조절 장치 또는 동작인식 센서나 카메라 등의 부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조작부(142)는 차량 조절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조작부(144)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제1 및 제2 조작부(142, 144)의 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른 방향의 곡률을 갖는 다수의 표시패널을 이용하여 화질 저하 없이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인접한 표시패널의 경계는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베젤(bezel) 영역으로, 이에 대응하여 조작부를 배치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양의 곡률 갖는 표시패널과 음의 곡률을 갖는 표시패널을 포함하여 이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양의 곡률 또는 음의 곡률을 갖는 표시패널을 더 추가하여 삼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도 있으며, 그 이상의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는 차량 내부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가 적용된 차량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100)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대시보드(dashboard)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센터페시아(center fascia)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앞서 언급한 것처럼,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100)의 제1 표시패널(도 1의 110)은 차량의 운행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고, 제2 표시패널(도 1의 120)은 엔터테인먼트 관련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제3 표시패널(도 1의 130)은 차량의 실내 온도와 청정도 등의 공조 상태, 외부 온도와 습도 등의 외부 환경 및/또는 카메라 등을 통한 후방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100)의 제1 및 제2 조작부(도 1의 142, 144)는 제1 내지 제3 표시패널(도 1의 110, 120, 130)의 제어 관련 조작 버튼이나, 차량 조절 장치 또는 동작인식 센서나 카메라 등의 부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차량 내에 설치된 기기들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100)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차량 내부에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고, 배치되는 영역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곡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의 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100)는 제1 내지 제3 표시패널(110, 120, 130)과, 제1 및 제2 조작부(142, 144), 터치패널(150), 그리고 커버 윈도우(160)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표시패널(110, 120, 130)은 액정표시패널일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표시패널(110, 120, 130)의 각각은 표시영역(DA)과 비표시영역(NDA)을 포함한다. 표시영역(DA)은 다수의 화소영역을 포함하여 영상을 표시하며, 비표시영역(NDA)은 표시영역(DA)을 둘러싸고 표시영역(DA)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패드 등이 위치한다.
제1 표시패널(110)은 도면 상에서 위로 볼록한 양의 곡률을 가지며, 제2 표시패널(120)은 도면 상에서 아래로 볼록한 음의 곡률을 가진다. 제1 및 제2 표시패널(110, 120)의 곡률 반경은 동일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및 제2 표시패널(110, 120)의 곡률 반경은 다를 수 있다.
제3 표시패널(130)은 제1 및 제2 표시패널(110, 120) 사이에 위치하며, 실질적으로 평판 상태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제3 표시패널(130)은 곡률을 가질 수도 있으며, 제3 표시패널(130)은 양의 곡률 또는 음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3 표시패널(130)의 곡률은 제1 및 제2 표시패널(110, 120)의 곡률보다 클 수 있다. 제3 표시패널(130)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인접한 표시패널(110, 120, 130)의 경계면 상부에는 조작부(142, 144)가 위치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1 표시패널(110)과 제3 표시패널(130)의 경계면 상부에는 제1 조작부(142)가 위치하고, 제2 표시패널(120)과 제3 표시패널(130)의 경계면 상부에는 제2 조작부(144)가 위치한다. 제1 조작부(142)는 인접한 제1 표시패널(110)의 비표시영역(NDA)과 제3 표시패널(130)의 비표시영역(NDA)에 대응하며, 제2 조작부(144)는 인접한 제2 표시패널(120)의 비표시영역(NDA)과 제3 표시패널(130)의 비표시영역(NDA)에 대응한다.
제1 및 제2 조작부(142, 144)는 각 표시패널(110, 120, 130)의 제어와 관련된 조작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및 제2 조작부(142, 14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가 적용되는 공간의 제어와 관련된 조작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조작부(142, 144)는 블랙의 백그라운드(backgroun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표시패널(110, 120, 130)과 제1 및 제2 조작부(142, 144) 상부에는 터치패널(150)이 위치한다. 터치패널(150)은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통해 제1 내지 제3 표시패널(110, 120, 130)과 제1 및 제2 조작부(142, 144)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패널(150)을 터치함으로써 제1 내지 제3 표시패널(110, 120, 130)의 영상을 개별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널(150)을 터치함으로써 제1 및 제2 조작부(142, 144)의 조작 버튼을 실행할 수 있다.
터치패널(150) 상부에는 커버 윈도우(cover window, 160)가 위치한다. 커버 윈도우(160)는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부 충격으로부터 터치패널(150)과 제1 내지 제3 표시패널(110, 120, 130)을 보호한다. 커버 윈도우(160)와 터치패널(150) 사이에는 접착제 또는 점착제가 위치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60)는 다중 곡률을 가진다. 즉, 제1 표시패널(110)에 대응하는 커버 윈도우(160)의 일부는 양의 곡률을 가지며, 제2 표시패널(120)에 대응하는 커버 윈도우(160)의 일부는 음의 곡률을 가진다. 여기서, 제1 및 제2 표시패널(110, 120)은 곡면 상태로 다중 곡률을 갖는 커버 윈도우(160)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및 제2 표시패널(110, 120)은 평판 상태로 다중 곡률을 갖는 커버 윈도우(160)에 부착되어 곡면 상태가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중 곡률을 갖는 커버 윈도우(160)를 이용함으로써, 제1 및 제2 표시패널(110, 120)이 곡면 상태를 유지하는데 유리하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의 제1 내지 제3 표시패널을 각각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표시패널(110)은 제1 및 제2 기판(112a, 112b)과 제1 및 제2 기판(112a, 112b) 사이의 액정층(112c)을 포함한다. 또한, 제1 표시패널(110)은 제1 기판(112a) 외면의 제1 편광판(114)과 제2 기판(112b) 외면의 제2 편광판(116)을 포함한다. 제1 표시패널(110)은 제1 방향, 즉, 도면 상에서 위로 볼록한 양의 곡률을 가져, 제2 편광판(116)이 볼록한 바깥쪽에 위치한다.
제1 기판(112a)과 제1 편광판(114) 사이 및 제2 기판(112b)과 제2 편광판(116) 사이에는 점착층이 위치할 수 있으며, 점착층은 감압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일 수 있다.
제1 편광판(114)은 제1 편광필름(114a)과 제1 보호필름(114b) 및 제2 보호필름(114c)을 포함한다. 제1 편광필름(114a)은 제1 및 제2 보호필름(114b, 114c) 사이에 위치하며, 제1 보호필름(114b)이 제1 기판(112a)에 부착된다. 따라서, 제1 기판(112a)의 외면으로부터 제1 보호필름(114b)과 제1 편광필름(114a), 그리고 제2 보호필름(114c)이 순차적으로 위치한다.
제2 편광판(116)은 제2 편광필름(116a)과 제3 보호필름(116b) 및 제4 보호필름(116c)을 포함한다. 제2 편광필름(116a)은 제3 및 제4 보호필름(116b, 116c) 사이에 위치하며, 제3 보호필름(116b)이 제2 기판(112b)에 부착된다. 따라서, 제2 기판(112b)의 외면으로부터 제3 보호필름(116b)과 제2 편광필름(116a), 그리고 제4 보호필름(116c)이 순차적으로 위치한다.
제1 편광필름(114a)과 제2 편광필름(116a)은 요오드 이온(iodine ions)이나 이색성 염료(dichroic dyes)가 염착되어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보호필름(114b, 114c)과 제3 및 제4 보호필름(116b, 116c)의 각각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TAC)와, 환상 올레핀 고분자(cyclic olefin polymer: COP), 그리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로부터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제1 보호필름(114b)과 제3 보호필름(116b)은 위상지연을 가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 편광판(116)의 제2 편광필름(116a)의 흡수축은 제1 편광판(114)의 제1 편광필름(114a)의 흡수축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다.
볼록한 바깥쪽의 제2 편광판(116)의 두께는 제1 편광판(114)의 두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 편광필름(116a)의 두께는 제1 편광필름(114a)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일례로, 제1 편광필름(114a)의 두께는 약 25 nm일 수 있고, 제2 편광필름(116a)의 두께는 약 15 nm일 수 있다.
또한, 제3 및 제4 보호필름(116b, 116c)의 두께는 제1 및 제2 보호필름(114b, 114c)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보호필름(114b, 114c)의 두께는 제3 및 제4 보호필름(116b, 116c)의 두께의 두 배일 수 있다. 또한, 제2 보호필름(114c)의 두께는 제1 보호필름(114b) 두께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일례로, 제1 및 제2 보호필름(114b, 114c)의 두께는 약 60 nm보다 클 수 있으며, 제3 및 제4 보호필름(116b, 116c)의 두께는 약 60 nm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다음,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표시패널(120)은 제1 및 제2 기판(122a, 122b)과 제1 및 제2 기판(122a, 122b) 사이의 액정층(122c)을 포함한다. 또한, 제2 표시패널(120)은 제1 기판(122a) 외면의 제1 편광판(124)과 제2 기판(122b) 외면의 제2 편광판(126)을 포함한다. 제2 표시패널(120)은 제1 방향과 반대 방향, 즉, 도면 상에서 아래로 볼록한 음의 곡률을 가져, 제1 편광판(124)이 볼록한 바깥쪽에 위치한다.
제1 기판(122a)과 제1 편광판(124) 사이 및 제2 기판(122b)과 제2 편광판(126) 사이에는 점착층이 위치할 수 있으며, 점착층은 감압 점착제일 수 있다.
제1 편광판(124)은 제1 편광필름(124a)과 제1 보호필름(124b) 및 제2 보호필름(124c)을 포함한다. 제1 편광필름(124a)은 제1 및 제2 보호필름(124b, 124c) 사이에 위치하며, 제1 보호필름(124b)이 제1 기판(122a)에 부착된다. 따라서, 제1 기판(122a)의 외면으로부터 제1 보호필름(124b)과 제1 편광필름(124a), 그리고 제2 보호필름(124c)이 순차적으로 위치한다.
제2 편광판(126)은 제2 편광필름(126a)과 제3 보호필름(126b) 및 제4 보호필름(126c)을 포함한다. 제2 편광필름(126a)은 제3 및 제4 보호필름(126b, 126c) 사이에 위치하며, 제3 보호필름(126b)이 제2 기판(122b)에 부착된다. 따라서, 제2 기판(122b)의 외면으로부터 제3 보호필름(126b)과 제2 편광필름(126a), 그리고 제4 보호필름(126c)이 순차적으로 위치한다.
제1 편광필름(124a)과 제2 편광필름(126a)은 요오드 이온이나 이색성 염료가 염착되어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보호필름(124b, 124c)과 제3 및 제4 보호필름(126b, 126c)의 각각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TAC)나 환상 올레핀 고분자(cyclic olefin polymer: COP), 그리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로부터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제1 보호필름(124b)과 제3 보호필름(126b)은 위상지연을 가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 편광판(126)의 제2 편광필름(126a)의 흡수축은 제1 편광판(124)의 제1 편광필름(124a)의 흡수축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다.
볼록한 바깥쪽의 제1 편광판(124)의 두께는 제2 편광판(126)의 두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편광필름(124a)의 두께는 제2 편광필름(126a)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일례로, 제1 편광필름(124a)의 두께는 약 15 nm일 수 있고, 제2 편광필름(126a)의 두께는 약 25 nm일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보호필름(124b, 124c)의 두께는 제3 및 제4 보호필름(126b, 126c)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 제3 및 제4 보호필름(126b, 126c)의 두께는 제1 및 제2 보호필름(124b, 124c)의 두께의 두 배일 수 있다. 또한, 제4 보호필름(126c)의 두께는 제3 보호필름(126b) 두께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일례로, 제1 및 제2 보호필름(124b, 124c)의 두께는 약 60 nm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으며, 제3 및 제4 보호필름(126b, 126c)의 두께는 약 60 nm보다 클 수 있다.
다음,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표시패널(130)은 제1 및 제2 기판(132a, 132b)과 제1 및 제2 기판(132a, 132b) 사이의 액정층(132c)을 포함한다. 또한, 제3 표시패널(130)은 제1 기판(132a) 외면의 제1 편광판(134)과 제2 기판(132b) 외면의 제2 편광판(136)을 포함한다. 제3 표시패널(130)은 실질적으로 평판 상태일 수 있다.
제1 기판(132a)과 제1 편광판(134) 사이 및 제2 기판(132b)과 제2 편광판(136) 사이에는 점착층이 위치할 수 있으며, 점착층은 감압 점착제일 수 있다.
제1 편광판(134)은 제1 편광필름(134a)과 제1 보호필름(134b) 및 제2 보호필름(134c)을 포함한다. 제1 편광필름(134a)은 제1 및 제2 보호필름(134b, 134c) 사이에 위치하며, 제1 보호필름(134b)이 제1 기판(132a)에 부착된다. 따라서, 제1 기판(132a)의 외면으로부터 제1 보호필름(134b)과 제1 편광필름(134a), 그리고 제2 보호필름(134c)이 순차적으로 위치한다.
제2 편광판(136)은 제2 편광필름(136a)과 제3 보호필름(136b) 및 제4 보호필름(136c)을 포함한다. 제2 편광필름(136a)은 제3 및 제4 보호필름(136b, 136c) 사이에 위치하며, 제3 보호필름(136b)이 제2 기판(132b)에 부착된다. 따라서, 제2 기판(132b)의 외면으로부터 제3 보호필름(136b)과 제2 편광필름(136a), 그리고 제4 보호필름(136c)이 순차적으로 위치한다.
제1 편광필름(134a)과 제2 편광필름(136a)은 요오드 이온이나 이색성 염료가 염착되어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보호필름(134b, 134c)과 제3 및 제4 보호필름(136b, 136c)의 각각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TAC)나 환상 올레핀 고분자(cyclic olefin polymer: COP), 그리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로부터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제1 보호필름(134b)과 제3 보호필름(136b)은 위상지연을 가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 편광판(136)의 제2 편광필름(136a)의 흡수축은 제1 편광판(134)의 제1 편광필름(134a)의 흡수축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다.
제1 편광판(134)의 두께는 제2 편광판(136)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표시패널(110, 120)은 볼록한 바깥쪽의 편광판(116, 124)의 두께를 안쪽의 편광판(114, 126)의 두께보다 작게 하여, 곡면 상태가 풀려 평판 상태로 변함으로써 응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른 빛샘을 막을 수 있다.
그러나, 편광판(114, 116, 124, 126, 134, 136)의 구성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편광판(114, 116, 124, 126, 134, 136)은 반응성 메소겐(reactive mesogen)과 이색성 염료를 코팅하여 형성된 편광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편광판(114, 116, 124, 126, 134, 136)의 두께는 동일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의 각 표시패널의 한 화소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기판(210) 내면에는 게이트 배선(도시하지 않음)과 게이트 전극(221)이 형성된다. 제1 기판(210)은 투명한 절연 물질로 이루어지며,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게이트 배선은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게이트 전극(221)은 게이트 배선에 연결된다. 게이트 전극(221)은 게이트 배선으로부터 연장되거나 게이트 배선의 일부일 수 있다. 게이트 배선과 게이트 전극(221)은 알루미늄(aluminum)이나 몰리브덴(molybdenum), 니켈(nickel), 크롬(chromium), 구리(copper)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일층 또는 다중층 구조일 수 있다.
게이트 배선과 게이트 전극(221) 상부에는 게이트 절연막(222)이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222)은 질화 실리콘(SiNx)이나 산화 실리콘(SiO2)의 무기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222) 위에는 게이트 전극(221)에 대응하여 반도체층(223)이 형성된다. 반도체층(223)은 진성 비정질 실리콘(intrinsic amorphous silicon)의 액티브층(223a)과 불순물 도핑된 비정질 실리콘(impurity-doped amorphous silicon)의 오믹 콘택층(223b)을 포함한다.
반도체층(223) 상부에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224, 225)이 형성되는데, 소스 및 드레인 전극(224, 225)은 반도체층(223) 상부에서 이격되어 위치하며, 오믹 콘택층(223b)은 소스 및 드레인 전극(224, 225)과 동일한 모양을 가진다. 소스 및 드레인 전극(224, 225) 사이에는 액티브층(223a)이 노출되며, 액티브층(223a)은 소스 및 드레인 전극(224, 225) 사이를 제외하고 소스 및 드레인 전극(224, 225)과 동일한 모양을 가진다. 이러한 반도체층(223)은 소스 및 드레인 전극(224, 225)과 동일 마스크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시하지 않았지만, 액티브층(223a)의 상면 가장자리는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반도체층(223)은 소스 및 드레인 전극(224, 225)과 다른 마스크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소스 및 드레인 전극(224, 225)은 오믹 콘택층(223b) 및 액티브층(223a)의 측면을 덮을 수도 있다.
게이트 전극(221)과 반도체층(223), 소스 전극(224), 그리고 드레인 전극(225)은 박막트랜지스터를 이루며, 소스 및 드레인 전극(224, 225) 사이에 노출된 액티브층(223a)은 박막트랜지스터의 채널이 된다.
여기서, 박막트랜지스터는 반도체층(223)의 하부에 게이트 전극(221)이 위치하고 반도체층(223)의 상부에 소스 및 드레인전극(224, 225)이 위치하는 역 스태거드(inverted staggered) 구조를 가진다.
이와 달리, 박막트랜지스터는 반도체층의 일측, 즉, 반도체층의 상부에 게이트 전극과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이 위치하는 코플라나(coplanar)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반도체층은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반도체층의 양측에는 불순물이 도핑될 수 있다.
한편, 반도체층은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역 스태거드 구조일 경우, 오믹 콘택층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배선(도시하지 않음)이 소스 및 드레인 전극(224, 225)과 동일한 층에 동일 물질로 형성된다. 데이터 배선은 게이트 배선과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한다. 이때, 데이터 배선은 게이트 배선과 수직하게 교차할 수 있으며, 또는 일정 각도를 가지고 비스듬하게 교차할 수도 있다. 데이터 배선은 소스 전극(224)과 연결되고, 데이터 배선 하부에는 반도체층(223)과 동일한 물질로 동일 적층 구조를 갖는 더미 반도체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데이터 배선은 더미 반도체 패턴 없이 게이트 절연막(222)과 직접 접촉하며 형성될 수도 있다.
소스 및 드레인 전극(224, 225)과 데이터 배선은 알루미늄(aluminum)이나 몰리브덴(molybdenum), 니켈(nickel), 크롬(chromium), 구리(copper)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일층 또는 다중층 구조일 수 있다.
소스 및 드레인 전극(224, 225)과 데이터 배선 상부에는 보호층(226)이 형성된다. 보호층(226)은 평탄한 표면을 가지며, 드레인 전극(225)을 노출하는 드레인 콘택홀(226a)을 가진다. 보호층(226)은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BCB)이나 포토 아크릴(photo acryl)의 유기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보호층(226) 하부에 산화 실리콘(SiO2)나 질화 실리콘(SiNx)의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진 무기절연막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226) 상부의 화소영역에는 화소 전극(227)과 공통 전극(228)이 형성된다. 화소 전극(227)은 드레인 콘택홀(226a)을 통해 드레인 전극(225)과 접촉하며, 공통 전극(228)의 패턴들은 화소 전극(227)의 패턴들과 이격되어 번갈아 배치된다. 화소 전극(227) 및 공통 전극(228)은 인듐-틴-옥사이드(indium tin oxide)나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도전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 배선과 동일 층에 동일 물질로 게이트 배선에 평행한 공통 배선(도시하지 않음)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호층(226)은 게이트 절연막(222)과 함께 공통 배선을 노출하는 공통 콘택홀(도시하지 않음)을 가지며, 공통 전극(228)은 공통 콘택홀을 통해 공통 배선과 접촉할 수 있다.
또는, 화소 전극(227)과 공통 전극(228)은 화소영역에 대응하여 서로 중첩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화소 전극(227)과 공통 전극(228) 중 상부에 위치하는 전극은 다수의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기판(210)은 어레이 기판이라고 일컬어진다.
한편, 제2 기판(240)이 제1 기판(210)과 이격되어 위치한다. 제2 기판(240)은 투명한 절연 물질로 이루어지며,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기판(240) 내면, 즉, 제2 기판(240)의 하면에는 블랙 매트릭스(252)가 형성된다. 블랙 매트릭스(252)는 화소영역에 대응하여 개구부를 가지며, 게이트 배선(도시하지 않음)과 데이터 배선(도시하지 않음) 및 박막트랜지스터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252)는 블랙 수지(black resin)로 형성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252) 하부에는 블랙 매트릭스(252)의 개구부에 대응하여 컬러필터층(254)이 형성된다. 컬러필터층(254)은 적, 녹, 청 컬러필터를 포함하며, 하나의 컬러필터가 하나의 화소영역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반복 배열된다.
컬러필터층(254) 하부에는 컬러필터층(254)의 보호 및 평탄화를 위해 오버코트층(256)이 형성된다. 오버코트층(256)은 열경화성 에폭시계 물질이나 광경화성 아크릴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기판(240)은 컬러필터 기판이라고 일컬어진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화소 전극(227)과 공통 전극(228) 상부에는 제1 배향막이 형성되고, 오버코트층(256) 하부에는 제2 배향막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배향막은 폴리이미드(polyimide)계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러빙배향법 또는 광배향법에 의해 제1 및 제2 배향막의 표면은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질 수 있다.
제1 배향막과 제2 배향막 사이에는 액정층(270)이 위치한다. 액정층(270)의 액정분자들은 제1 및 제2 배향막의 배향 방향에 따라 초기 배열 상태를 가진다.
여기서, 컬러필터층(254)이 제2 기판(240)에 형성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컬러필터층은 제1 기판(2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표시패널은 컬러필터층이 제1 기판(210) 상의 박막트랜지스터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컬러필터 온 어레이(color filter on array)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컬러필터 온 어레이 구조는 제1 및 제2 기판(210, 240)의 합착 마진을 줄여 개구율을 높일 수 있다. 이때, 블랙 매트릭스는 제1 기판(210) 상에 형성되거나 생략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개구율을 더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른 방향의 곡률을 갖는 다수의 표시패널(110, 120)을 이용하여 화질 저하 없이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100)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인접한 표시패널(110, 120, 130)의 비표시영역(NDA)에 대응하여 조작부(142, 144)를 배치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동일한 부분에 대해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100)는 제1 내지 제3 표시패널(110, 120, 130)과, 제1 및 제2 조작부(142a, 144a), 투명절연필름(152), 그리고 커버 윈도우(160)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표시패널(110, 120, 130)은 액정표시패널일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표시패널(110, 120, 130)의 각각은 표시영역(DA)과 비표시영역(NDA)을 포함한다. 표시영역(DA)은 다수의 화소영역을 포함하여 영상을 표시하며, 비표시영역(NDA)은 표시영역(DA)을 둘러싼다.
제1 표시패널(110)은 도면 상에서 위로 볼록한 양의 곡률을 가지며, 제2 표시패널(120)은 도면 상에서 아래로 볼록한 음의 곡률을 가진다. 제1 및 제2 표시패널(110, 120)의 곡률 반경은 동일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및 제2 표시패널(110, 120)의 곡률 반경은 다를 수 있다.
제3 표시패널(130)은 제1 및 제2 표시패널(110, 120) 사이에 위치하며, 실질적으로 평판 상태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제3 표시패널(130)은 곡률을 가질 수도 있으며, 제3 표시패널(130)은 양의 곡률 또는 음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3 표시패널(130)의 곡률은 제1 및 제2 표시패널(110, 120)의 곡률보다 클 수 있다. 제3 표시패널(130)은 생략될 수도 있다.
제1 표시패널(110)은 도 5a의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2 표시패널(120)은 도 5b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제3 표시패널(130)은 도 5c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표시패널(110, 120, 130) 각각은 도 6의 화소영역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표시패널(110, 120, 130) 상부에는 조작부(142a, 144a)와 투명절연필름(152)이 위치한다.
투명절연필름(152)은 제1 내지 제3 표시패널(110, 120, 130)의 표시영역(DA)에 대응하고, 조작부(142a, 144a)는 제1 내지 제3 표시패널(110, 120, 130)의 비표시영역(NDA), 즉, 인접한 표시패널(110, 120, 130)의 경계에 대응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1 표시패널(110)과 제3 표시패널(130)의 경계면 상부에는 제1 조작부(142a)가 위치하고, 제2 표시패널(120)과 제3 표시패널(130)의 경계면 상부에는 제2 조작부(144a)가 위치한다. 제1 조작부(142a)는 인접한 제1 표시패널(110)의 비표시영역(NDA)과 제3 표시패널(130)의 비표시영역(NDA)에 대응하며, 제2 조작부(144a)는 인접한 제2 표시패널(120)의 비표시영역(NDA)과 제3 표시패널(130)의 비표시영역(NDA)에 대응한다.
제1 및 제2 조작부(142a, 144a)는 각 표시패널(110, 120, 130)의 제어와 관련된 조작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및 제2 조작부(142a, 144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가 적용되는 공간의 제어와 관련된 조작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조작부(142a, 144a)는 블랙의 백그라운드(background)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조작부(142a, 144a)는 터치패널을 포함하며, 투명절연필름(152)은 터치패널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및 제2 조작부(142a, 144a)를 터치함으로써 제1 및 제2 조작부(142a, 144a)의 조작 버튼을 실행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부(142a, 144a)와 투명절연필름(152)은 제1 내지 제3 표시패널(110, 120, 130)에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부(142a, 144a)와 투명절연필름(152) 상부에는 커버 윈도우(cover window, 160)가 위치한다. 커버 윈도우(160)는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부 충격으로부터 조작부(142a, 144a)와 표시패널(110, 120, 130)을 보호한다. 커버 윈도우(160)와 제1 및 제2 조작부(142a, 144a) 그리고 투명절연필름(152) 사이에는 접착제 또는 점착제가 위치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60)는 다중 곡률을 가진다. 즉, 제1 표시패널(110)에 대응하는 커버 윈도우(160)의 일부는 양의 곡률을 가지며, 제2 표시패널(120)에 대응하는 커버 윈도우(160)의 일부는 음의 곡률을 가진다. 여기서, 제1 및 제2 표시패널(110, 120)은 곡면 상태로 다중 곡률을 갖는 커버 윈도우(160)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및 제2 표시패널(110, 120)은 평면 상태로 다중 곡률을 갖는 커버 윈도우(160)에 부착되어 곡면 상태가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중 곡률을 갖는 커버 윈도우(160)를 이용함으로써, 제1 및 제2 표시패널(110, 120)이 곡면 상태를 유지하는데 유리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른 방향의 곡률을 갖는 다수의 표시패널(110, 120)을 이용하여 화질 저하 없이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100)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인접한 표시패널(110, 120, 130)의 비표시영역(NDA)에 대응하여 조작부(142a, 144a)를 배치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조작부(142a, 144a)에만 터치 기능을 부여하여, 차량에 적용할 경우 제1 실시예에 비해 안전성을 높이고 조작이 유리한 장점을 가진다.
-제3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동일한 부분에 대해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100)는 제1 내지 제3 표시패널(110, 120, 130)과, 제1 및 제2 조작부(142b, 144b), 제1 및 제2 부가기능부(146, 148), 투명절연필름(152), 그리고 커버 윈도우(160)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표시패널(110, 120, 130)은 액정표시패널일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표시패널(110, 120, 130)의 각각은 표시영역(DA)과 비표시영역(NDA)을 포함한다. 표시영역(DA)은 다수의 화소영역을 포함하여 영상을 표시하며, 비표시영역(NDA)은 표시영역(DA)을 둘러싼다.
제1 표시패널(110)은 도면 상에서 위로 볼록한 양의 곡률을 가지며, 제2 표시패널(120)은 도면 상에서 아래로 볼록한 음의 곡률을 가진다. 제1 및 제2 표시패널(110, 120)의 곡률 반경은 동일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및 제2 표시패널(110, 120)의 곡률 반경은 다를 수 있다.
제3 표시패널(130)은 제1 및 제2 표시패널(110, 120) 사이에 위치하며, 실질적으로 평판 상태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제3 표시패널(130)은 곡률을 가질 수도 있으며, 제3 표시패널(130)은 양의 곡률 또는 음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3 표시패널(130)의 곡률은 제1 및 제2 표시패널(110, 120)의 곡률보다 클 수 있다. 제3 표시패널(130)은 생략될 수도 있다.
제1 표시패널(110)은 도 5a의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2 표시패널(120)은 도 5b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제3 표시패널(130)은 도 5c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표시패널(110, 120, 130) 각각은 도 6의 화소영역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인접한 표시패널(110, 120, 130) 사이에는 부가기능부(146, 148)가 위치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1 표시패널(110)과 제3 표시패널(130) 사이에는 제1 부가기능부(146)가 위치하고, 제2 표시패널(120)과 제3 표시패널(130) 사이에는 제2 부가기능부(148)가 위치한다. 제1 및 제2 부가기능부(146, 148)는 동작인식 센서나 카메라 등의 부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부가기능부(146)는 동작인식 센서를 포함하고, 제2 부가기능부(148)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표시패널(110, 120, 130)과 제1 및 제2 부가기능부(146, 148) 상부에는 조작부(142b, 144b)와 투명절연필름(152)이 위치한다.
투명절연필름(152)은 제1 내지 제3 표시패널(110, 120, 130)의 표시영역(DA)에 대응하고, 조작부(142b, 144b)는 제1 내지 제3 표시패널(110, 120, 130)의 비표시영역(NDA), 즉, 인접한 표시패널(110, 120, 130)의 경계에 대응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1 표시패널(110)과 제3 표시패널(130)의 경계면 상부에는 제1 조작부(142b)가 위치하고, 제2 표시패널(120)과 제3 표시패널(130)의 경계면 상부에는 제2 조작부(144b)가 위치한다. 제1 조작부(142b)는 인접한 제1 표시패널(110)의 비표시영역(NDA)과 제3 표시패널(130)의 비표시영역(NDA) 및 제1 부가기능부(146)에 대응하며, 제2 조작부(144b)는 인접한 제2 표시패널(120)의 비표시영역(NDA)과 제3 표시패널(130)의 비표시영역(NDA) 및 제2 부가기능부(148)에 대응한다.
제1 및 제2 조작부(142b, 144b)는 각 표시패널(110, 120, 130)의 제어와 관련된 조작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및 제2 조작부(142b, 144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가 적용되는 공간의 제어와 관련된 조작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조작부(142b, 144b)는 블랙의 백그라운드(background)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조작부(142b, 144b)는 터치패널을 포함하며, 투명절연필름(152)은 터치패널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및 제2 조작부(142b, 144b)를 터치함으로써 제1 및 제2 조작부(142b, 144b)의 조작 버튼을 실행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부(142b, 144b)와 투명절연필름(152)은 제1 내지 제3 표시패널(110, 120, 130)에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부(142b, 144b)와 투명절연필름(152) 상부에는 커버 윈도우(cover window, 160)가 위치한다. 커버 윈도우(160)는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부 충격으로부터 조작부(142b, 144b)와 표시패널(110, 120, 130)을 보호한다. 커버 윈도우(160)와 제1 및 제2 조작부(142b, 144b) 그리고 투명절연필름(152) 사이에는 접착제 또는 점착제가 위치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60)는 다중 곡률을 가진다. 즉, 제1 표시패널(110)에 대응하는 커버 윈도우(160)의 일부는 양의 곡률을 가지며, 제2 표시패널(120)에 대응하는 커버 윈도우(160)의 일부는 음의 곡률을 가진다. 여기서, 제1 및 제2 표시패널(110, 120)은 곡면 상태로 다중 곡률을 갖는 커버 윈도우(160)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및 제2 표시패널(110, 120)은 평면 상태로 다중 곡률을 갖는 커버 윈도우(160)에 부착되어 곡면 상태가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중 곡률을 갖는 커버 윈도우(160)를 이용함으로써, 제1 및 제2 표시패널(110, 120)이 곡면 상태를 유지하는데 유리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른 방향의 곡률을 갖는 다수의 표시패널(110, 120)을 이용하여 화질 저하 없이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100)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인접한 표시패널(110, 120, 130)의 비표시영역(NDA)에 대응하여 조작부(142b, 144b)를 배치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조작부(142b, 144b)에만 터치 기능을 부여하여, 차량에 적용할 경우 제1 실시예에 비해 안전성을 높이고 조작이 유리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인접한 표시패널(110, 120, 130) 사이에 부가기능부(146, 148)를 배치하여 공간 활용도를 더욱 높이면서 다양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곡면 표시장치 110: 제1 표시패널
120: 제2 표시패널 130: 제3 표시패널
142, 142a, 142b: 제1 조작부 144, 144a, 144b: 제2 조작부
146: 제1 부가기능부 148: 제2 부가기능부
150: 터치패널 152: 투명절연필름
160: 커버 윈도우

Claims (9)

  1. 영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영역과 상기 제1 표시영역을 둘러싸는 제1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며 제1 방향으로 볼록한 양의 곡률을 갖는 제1 표시패널과;
    영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영역과 상기 제2 표시영역을 둘러싸는 제2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음의 곡률을 갖는 제2 표시패널과;
    인접한 표시패널 사이의 경계면 상부의 조작부
    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1 표시패널의 제1 표시영역과 상기 제2 표시패널의 제2 표시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표시패널과 상기 조작부 상부에 양의 곡률과 음의 곡률을 갖는 커버 윈도우를 더 포함하는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표시패널과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터치패널을 더 포함하는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표시패널 사이에 부가기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가기능부는 상기 조작부와 대응하고 동작인식 센서 또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표시패널은 서로 다른 영상을 표시하는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조작 버튼이나 키패드를 포함하는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패널과 상기 제2 표시패널 각각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순차 배열되는 제1 편광판과, 제1 기판, 액정층, 제2 기판, 그리고 제2 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패널의 제1 편광판은 상기 제1 표시패널의 제2 편광판보다 두껍고, 상기 제2 표시패널의 제2 편광판은 상기 제2 표시패널의 제1 편광판보다 두꺼운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패널과 상기 제2 표시패널 사이에 평판 형태의 제3 표시패널을 더 포함하는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
KR1020150169495A 2015-11-30 2015-11-30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 KR101727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495A KR101727664B1 (ko) 2015-11-30 2015-11-30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495A KR101727664B1 (ko) 2015-11-30 2015-11-30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7664B1 true KR101727664B1 (ko) 2017-04-17

Family

ID=58702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495A KR101727664B1 (ko) 2015-11-30 2015-11-30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76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4237A (ja) 2010-10-06 2012-04-26 Denso Corp スイッチ装置
KR101565310B1 (ko) 2015-04-29 2015-11-03 (주)딥스원 투명과 불투명 상태로 가변되는 스마트 칠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4237A (ja) 2010-10-06 2012-04-26 Denso Corp スイッチ装置
KR101565310B1 (ko) 2015-04-29 2015-11-03 (주)딥스원 투명과 불투명 상태로 가변되는 스마트 칠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29623B (zh) Display device
US10001676B2 (en) Display device
TWI529454B (zh) 具有反相液晶顯示器之電子器件
US1072534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334956B2 (en)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10656476B2 (en) Liquid crystal panel
JP5489267B2 (ja) 液晶装置、電子機器
US11362159B2 (en) Display device having a bending region
KR20130045180A (ko) 표시 장치, 전자 기기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0261357B2 (en) Displays with color filter material in border regions
US9964820B2 (en) Displays with flipped panel structures
US8212978B2 (en) Liquid crystal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US10571753B2 (en) Liquid crystal panel
US10649253B2 (en)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panel
KR101727664B1 (ko)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
US847726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8083324A (ja) 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9020315A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US11754886B1 (en) Pixel layouts for electronic device displays
US11978745B2 (en) Electro-optical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10620468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panel substrate
US20230308616A1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N115390297A (zh) 液晶显示装置
JP2019066719A (ja) 表示パネル
JP2004077701A (ja) 平面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