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6596B1 - 수박 병저항성 검정방법 - Google Patents

수박 병저항성 검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596B1
KR101726596B1 KR1020140136464A KR20140136464A KR101726596B1 KR 101726596 B1 KR101726596 B1 KR 101726596B1 KR 1020140136464 A KR1020140136464 A KR 1020140136464A KR 20140136464 A KR20140136464 A KR 20140136464A KR 101726596 B1 KR101726596 B1 KR 101726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melon
resistance
disease
strain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6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2506A (ko
Inventor
이혜은
김수진
허윤찬
이우문
안율균
김도선
김정호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40136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596B1/ko
Publication of KR20160042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12Q1/025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자를 파종하여 발생한 본엽을 잘라내는 단계; 상기 잘라낸 본엽을 챔버에 넣고 균주 현탁액을 분무하는 단계; 및 상기 균주 현탁액을 분무한 상기 잘라낸 본엽을 통해서 수박의 병저항성을 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박 병저항성 검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박 병저항성 검정방법{Method to select disease resistence of watermelon}
본 발명은 병저항성을 검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수박의 병저항성을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검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박과작물에 속하는 수박에는 여러가지 병해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덩굴마름병 및 탄저병은 우리나라에서도 그 피해가 점점 증가해 가는 추세이다. 이러한 병해는 진균성 작물병으로 온화한 지역에서 발병되며 시설 및 노지재배에 관계없이 발생한다. 육모기의 떡잎에서부터 생육기간에 걸쳐 발병하여 많은 피해를 주고 있으며 6월 하순에서 7월 상순경에 많이 발생되고 잎, 줄기, 과실 그리고 열매자루에서 발생한다. 특히 덩굴마름병의 병원균은 Didymella bryoniae가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발병이 시작되면 줄기에는 처음 회갈색의 불규칙한 병반이 형성되고 심하면 그루전체가 고사한다. 잎에는 처음 황갈색의 작은 반점이 나타나고 점차 진전되면 큰 원형의 부정형 병반으로 확대되며 병반상에는 흑색의 소립점(병자각)이 형성되고 열매와 열매자루에서는 배꼽부분이 갈색으로 변색되고 열매 전체는 마르고 썩는다.
이러한 대부분의 병원균은 바람을 통하여 비산되어진 포자에 의하여 2차 감염을 야기시키고 비교적 다습한 조건에서 병든 식물체의 표면에서 포자를 형성한다. 발병 초기에 화학농약을 살포하여 초기방제를 하고 있으나, 약제의 살포만으로 효과적인 방제가 불가능하다는 것이 일반적인 의견이고 발병 즉시 식물을 제거하여 소각해야 한다. 그러나 작물에 발병되어지면 작물을 제거하기 보다는 다량의 약제의 살포를 통하여 발병의 억제를 유도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다량의 화학 농약을 사용할 수 밖에 없으며 이로 인한 내성 병원균의 출현과 토양 생태계의 교란을 야기하며 토양 중 잔류하는 화학 농약에 의한 토양의 황폐화가 촉진되고 있다. 따라서 이를 방제하기 보다는 미리 검정하여 제거해야 한다.
박과작물에서 비교적 넓은 기주범위를 가지는 상기 병원균의 병원성 검정이나 이 병원균에 대한 저항성 품종의 선발을 위해서 일반적으로는 잎 접종 검정방법, 즉 유묘나 성체식물에 분생포자 현탁액을 분무접종한 후 기주체에 나타나는 이병 반응으로 병원성 혹은 저항성을 판단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잎 접종에 의한 검정방법은 포자 현탁액을 분무한 후 24시간의 습실처리를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따르며 습실처리 후에도 배양할 넓은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모든 실험조건을 균일하게 조정할 수 있는 단일 생장상 내에서 한꺼번에 취급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식물을 파종하여 접종할 수 있을 정도로 생육시키기 까지 유묘검정의 경우에는 7 내지 10일 정도, 본엽검정의 경우에는 한달 이상의 긴 시간이 소요되며, 접종처리 후의 결과를 확인하기 까지는 다시 10여일 이상의 시간이 걸리게 된다. 이처럼 잎 접종방법은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공간 활용면에 있어서도 불리하기 때문에 보다 간이하고 명확하게 병원균을 검정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학술논문(한국식물병리학회지 14(4) : 339-344(1998)) - 수박 덩굴마름병의 품종 저항성 검정과 감염 후 품종간 단백질 발현의 비교 (홍정래 외 4명)
본 발명은 수박에서 병저항성 품종의 검정을 보다 간단하고 편리하게 하기위한 수박 병저항성 검정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종자를 파종하여 발생한 본엽을 잘라내는 단계; 상기 잘라낸 본엽을 챔버에 넣고 균주 현탁액을 분무하는 단계; 및 상기 균주 현탁액을 분무한 상기 잘라낸 본엽을 통해서 수박의 병저항성을 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박 병저항성 검정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엽을 잘라내는 단계는, 상기 본엽을 가로 및 세로 각각 3 내지 5cm로 잘라내는 수박 병저항성 검정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는 밀폐용기 내부에 마련되며, 25 내지 27℃로 온도 조절이 가능한 수박 병저항성 검정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균주 현탁액은 3×105 내지 4×105 spore·㎖-1 인 수박 병저항성 검정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병저항성의 병은 덩굴마름병 및 탄저병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수박 병저항성 검정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용기 바닥에는 페트리디쉬를 뒤집어 넣고, 상기 페트리디쉬 상부에는 습기를 흡수하기 위한 종이가 마련되며, 상기 종이 위에 상기 잘라낸 본엽이 마련되는 수박 병저항성 검정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박 병저항성 검정방법에 의하면 검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공간적으로 제한이 적고 대량 유전자원을 동시에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여 수박의 내병성 품종 육종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박 병저항성 검정법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2는 수박의 덩굴마름병과 탄저병에 대한 저항성 및 감수성을 유묘접종법에 의해서 검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수박의 덩굴마름병과 탄저병을 유묘접종하고 2주가 지난 뒤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검정법에 의한 병 접종 후 5일이 지난 본 잎의 모습이다.
도 5는 유묘접종법과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검정법과의 소요 일 수를 비교한 막대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수박 병저항성 검정방법은 종자를 파종하여 발생한 본엽을 잘라내는 단계; 상기 잘라낸 본엽을 챔버에 넣고 균주 현탁액을 분무하는 단계; 및 상기 균주 현탁액을 분무한 상기 잘라낸 본엽을 통해서 수박의 병저항성을 검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엽을 잘라내는 단계는 균주 현탁액을 분무하여 수박의 병저항성에 대한 테스트를 하기위한 샘플을 얻는 과정일 수 있다. 따라서 그 크기에는 특별히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나, 가로 및 세로 각각 3 내지 5cm로 할 수 있다. 각각의 길이가 3cm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샘플의 크기가 너무 작아서 실험 결과가 원활하게 나오지 않을 수 있으며, 5cm 보다 큰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샘플로 인해서 실험의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잘라낸 본엽은 챔버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챔버의 내부에서 병저항성 확인을 위한 균주 현탁액을 잘라낸 본엽에 분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챔버는 밀폐용기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는 공기 중의 다른 오염 물질로부터 샘플을 보호하기 위함일 수 있다. 다른 오염 물질에 의해서 실험 결과가 불명확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챔버 내부는 균주가 활성화 될 수 있는 온도로 유지되는데 그 온도에 있어서는 특별히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나, 25 내지 27℃가 될 수 있다. 25℃ 보다 온도가 낮은 경우 및 27℃ 보다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균주가 활성화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챔버는 25 내지 27℃로 온도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균주 현탁액은 균주가 본엽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일정한 농도를 가질 수 있다. 그 농도와 관련하여서는 특별히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나 3×105 내지 4×105 spore·㎖-1 일 수 있다. 3×105 spore·㎖-1 보다 낮은 농도에서는 균주가 필요한 양보다 적게 들어있어서 실험 결과에 지장을 줄 수 있으며, 4×105 spore·㎖-1 보다 높은 농도에서는 필요 이상으로 균주가 포함되어 있어서 실험의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검정하고자 하는 수박이 가지고 있는 저항성의 대상인 병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실험 방법에 의해서 검정할 수 있는 수박에 적용될 수 있는 병이면 특별히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나, 덩굴마름병 및 탄저병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용기 바닥에는 페트리디쉬를 뒤집어 넣고, 상기 페트리디쉬 상부에는 습기를 흡수하기 위한 종이가 마련되며, 상기 종이 위에 상기 잘라낸 본엽이 마련될 수 있다.
페트리디쉬를 뒤집어서 넣는 것은 밀폐용기 안에서 잘라낸 본옆이 무르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며, 그 상부에 마련되는 종이는 습기를 흡수하여 습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잎에 상처가 나지 않게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체적인 실험예를 개시한다. 이는 본 발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제한된다고 볼 수 없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사람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모든 범위를 포함한다고 봄이 타당하다.
1. 시험재료 선발
·덩굴마름병 저항성 선발 유전자원(저항성 2점, 감수성 1점),
·탄저병 저항성 선발 유전자원 및 시판품종(저항성 3점, 감수성 3점)
2. 접종균주
·덩굴마름병 균주(Didymella bryoniae, KACC40937)
·탄저병 균주(Colletorichum orbiculare, KACC40903)
3. 저항성 정도 평가(평균병저항성)
·(∑dr x n)/N : dr=병발생 정도, n= 병발생 정도별 개체수, N=병접종 개체수
·병발생정도(dr) : 1 건전, 3 초기병징, 5 위조, 7 심한위조, 9 고사
4. 병저항성 검정을 위한 실험
·유묘접종법: 덩굴마름병 접종을 위해 본엽이 2~3매 전개된 수박 유묘의 잎에 침을 이용하여 상처를 낸 후 소형분무기로 포자현탁액이 흘러내릴 정도로 충분히 뿌려주고, 습도가 90% 이상 유지되는 챔버(25~27)에서 2~3일간 유지한 후 관찰을 시작하였다. 탄저병 접종을 위해 본엽이 2~3매 전개된 수박유묘 전체에 소형분무기로 포자현탁액이 흘러내릴 정도로 충분히 뿌려주고, 위 덩굴마름병과 같은 환경조건에서 유지한 후 관찰을 시작하였다. 접종농도는 5×105 spore·㎖-1로 처리하였고, 발병조짐이 나타나기 시작하면 서늘한 곳으로 옮겨서 저항성 정도를 평가하였다.
·간이검정법: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검정법을 의미하며, 이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을 참고하면 종자를 파종하여 본엽이 나오면 가로·세로 각각 4cm 크기의 잎을 잘라서 밀폐용기에 넣고 균주 현탁액을 분무하여 온도 조절이 되는 챔버에서 발병시키고 그 결과를 조사한다. 밀폐용기 안에서 잎 조직의 무름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 바닥에 페트리디쉬를 뒤집어서 넣고, 습도유지가 잘 되면서 잎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그 위에 종이를 깐 후 접종할 잎을 올려놓고 균주현탁액(3~4×105 spore·㎖-1)을 골고루 분무하였다.
5. 연구결과
수박 덩굴마름병 병저항성 평가를 위해 이목동 과채류연구실에서 수박 유전자원 및 시판수박 종자를 분양받았고, 국립농업유전자원센터에서 KACC40937 균주를 분양받았다. 유묘접종법을 통해 PI189225, PI482322, 920533 등 선발 유전자원 3점의 덩굴마름병 저항성을 조사한 결과 PI189225, PI482322에서 강한 저항성이 나타났으며, 920533은 감수성을 보였다.
AU-producer 등 수박 3점에 대한 탄저병 저항성을 검정한 결과, 수박 2점(AU-Producer, PI560006)에서 저항성을 나타냈으며, 920533에서는 감수성을 보였다. 또한 2014년도에 수집한 시판수박 43품종의 탄저병 저항성을 조사한 결과, 11종이 저항성을 보였고, 일부 품종에서 강한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도 2에서 나타내었다. 또한, 도 3은 유묘접종법에 의한 수박의 덩굴마름병 및 탄저병을 접종한 뒤 2주가 지난 뒤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위 유묘접종 결과에서 검증된 수박 덩굴마름병과 탄저병 저항성 및 감수성 유전자원을 바탕으로 관행적으로 사용하던 유묘접종 방법과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검정방법을 처리하여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검정방법에 의해서 수박 덩굴마름병 및 탄저병을 접종한 이후 5일이 지난 뒤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잎의 색이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서 병접종이 원활하게 이뤄졌다는 것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검정법을 사용할 경우 기존 유묘접종법보다 빠른 시간에 접종결과를 볼 수 있으며, 이러한 효과를 도 5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기존에 사용되던 유묘접종법에 비해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검정방법이 시간적으로 절반에 가까운 시간만 소요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잎만 사용하기 때문에 한번 파종한 뒤 여러 종류의 병접종 실험을 반복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수많은 반복실험을 통해 병저항성 검정결과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통계처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유묘접종법과 밀폐용기를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검정법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0.95~0.99 사이의 매우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다.
따라서 수박 병저항성 간이 검정법이 기존에 사용하던 유묘접종법과 같은 표현형 결과를 보여주며, 이 방법은 보다 다양하고 많은 유전자원들의 병저항성 스크리닝시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종자를 파종하여 발생한 본엽을 잘라내는 단계;
    상기 잘라낸 본엽을 챔버에 넣고, 덩굴마름병 또는 탄저병 균주 현탁액을 분무하는 단계; 및
    상기 균주 현탁액을 분무한 상기 잘라낸 본엽을 통해서 수박의 병저항성을 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박 병저항성 검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엽을 잘라내는 단계는,
    상기 본엽을 가로 및 세로 각각 3 내지 5cm로 잘라내는 수박 병저항성 검정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밀폐용기 내부에 마련되며, 25 내지 27℃로 온도 조절이 가능한 수박 병저항성 검정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 현탁액은 3×105 내지 4×105 spore·㎖-1 인 수박 병저항성 검정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저항성의 병은 덩굴마름병 및 탄저병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덩굴마름병 균주는 KACC40937이며, 상기 탄저병 균주는 KACC40903인 수박 병저항성 검정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기 바닥에는 페트리디쉬를 뒤집어 넣고,
    상기 페트리디쉬 상부에는 습기를 흡수하기 위한 종이가 마련되며,
    상기 종이 위에 상기 잘라낸 본엽이 마련되는 수박 병저항성 검정방법.
KR1020140136464A 2014-10-10 2014-10-10 수박 병저항성 검정방법 KR101726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464A KR101726596B1 (ko) 2014-10-10 2014-10-10 수박 병저항성 검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464A KR101726596B1 (ko) 2014-10-10 2014-10-10 수박 병저항성 검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506A KR20160042506A (ko) 2016-04-20
KR101726596B1 true KR101726596B1 (ko) 2017-04-18

Family

ID=55917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6464A KR101726596B1 (ko) 2014-10-10 2014-10-10 수박 병저항성 검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5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5561A (zh) * 2018-11-07 2019-01-29 山西省农业科学院农业资源与经济研究所 一种抗病西瓜品种的选育方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otanical Studies, Vol. No. 3, pp. 273-280 (2009)
Euphytica, Vol. 35, Issue 2, pp. 603-613 (1986.06.)
Plant disease, Vol. 81, No. 11, p. 1331 (1997.1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506A (ko) 201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le et al. Diseases, pests and disorders of potatoes: a colour handbook
Tekle et al. Infection process of Fusarium graminearum in oats (Avena sativa L.)
Gevens et al. A detached cucumber fruit method to screen for resistance to Phytophthora capsici and effect of fruit age on susceptibility to infection
Campos-Herrera et al. Management to control citrus greening alters the soil food web and severity of a pest–disease complex
Burgess et al. Towards a best practice methodology for the detection of Phytophthora species in soils
Zaman et al. A Temporal Expression of Cry1Ac Protein in Cotton Plant and its Impact on Soil Health.
Cohen et al. Reevaluation of factors affecting bunch drop in date palm
Gorea et al. Oil palm tree diseases
Dita Rodriguez et al. Practical guidelines for early screening and field evaluation of banana against Fusarium wilt, Pseudocercospora leaf spots and drought
KR101726596B1 (ko) 수박 병저항성 검정방법
Mikaliūnienė et al. Evaluation of red clover (Trifolium pratense L.) resistance to Sclerotinia crown and root rot (Sclerotinia trifoliorum) in the laboratory and field conditions.
Hill et al. Use of nitrate non‐utilizing (nit) mutants to determine phenological stages at which B otrytis cinerea infects wine grapes causing botrytis bunch rot
KR101499759B1 (ko) 벼 키다리병 저항성 품종의 대량 검정방법
Madhav et al. Phenotyping rice for molecular plant breeding
Bao et al. SURVEY OF LESION AND NORTHERN ROOT-KNOT NEMATODES ASSOCIATED WITH VEGETABLES IN VERMONT [MUESTREO DE NEMATODOS LESIONADORES Y AGALLADORES EN HORTALIZAS EN VERMONT]
RU2692655C2 (ru) Штамм Bacillus thuringiensis var. darmstadiensis 56 в качестве поли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средства для растениеводства
Ashrafi et al. Rosemary wilting disease and its management by soil solarization technique in Iran
Chatzidimopoulos et al. Control of bottom rot in hydroponic lettuce, caused by strains of Botrytis cinerea with multiple fungicide resistance
CN111712578A (zh) 微生物取样
LUPAŞCU et al. Variability of Sesamum indicum L. germplasm in the reaction to Alternaria alternata fungus
Kabir et al. Effects of varying temperature on the reproduction and damage potential of Heterodera schachtii to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pekinensis)
Kim et al. Screening of resistance melon germplasm to Phytotpthora rot caused by Phytophthora capsici
Braz et al. Monitoring races of Bremia lactucae in the State of Sã o Paulo from 2003 to 2012
van den Brink et al. Rhizoctonia solani in potatoes and its control: Specific recommendations for seed production in Punjab (India)
Mushore et al. Entomopathogenic fungi associated with cultivated honeybush, Cyclopia spp., in South Africa and their pathogenicity towards a leafhopper pest, Molopopterus sp.(Hemiptera: Cicadellida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