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6336B1 - 실내 조도 자동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실내 조도 자동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336B1
KR101726336B1 KR1020160032424A KR20160032424A KR101726336B1 KR 101726336 B1 KR101726336 B1 KR 101726336B1 KR 1020160032424 A KR1020160032424 A KR 1020160032424A KR 20160032424 A KR20160032424 A KR 20160032424A KR 101726336 B1 KR101726336 B1 KR 101726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lluminance
blind
electricity
indoor
illu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2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용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티스
Priority to KR1020160032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3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18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76Solar c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2009/6809Control
    • E06B2009/6818Control using sensors
    • E06B2009/6827Control using sensors sensing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5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전지 창문의 축전 전력을 공급 받으면서 실내의 조도를 측정하여 블라인드의 개방 정도 및 조명등의 밝기를 조정함으로써, 조명등의 전력 사용량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초절전형의 실내 조도 자동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조명등이 구비되고 벽에는 창호가 구비되는 실내에 설치되는 조도센서와; 상기 창호의 내측에 설치되어 블라인드 모터의 구동을 통해 외부 빛의 개방 정도가 조정되는 블라인드와; 상기 조명등, 조도센서, 블라인드 모터, 상용 전기선이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조명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실내 조도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블라인드의 개방 정도를 조정하거나, 조명등의 밝기 정도를 조정하거나, 또는 블라인드의 개방 정도 및 조명등의 밝기를 조정하여 실내의 조도를 적정범위로 유지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내 조도 자동 제어시스템{Illumination control system of indoor space}
본 발명은 실내 조도 자동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전지 창문의 축전 전력을 공급 받으면서 실내의 조도를 측정하여 블라인드의 개방 정도 및 조명등의 밝기를 조정함으로써, 조명등의 전력 사용량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초절전형의 실내 조도 자동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종래의 실내 조명장치는 실내에 사람의 유무를 판단하여 조명등을 점등시키거나 소등시키는 장치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즉, 종래의 실내 조명의 점소등 장치는 사람의 유무에 따라 조명등을 온 또는 오프 시킴으로써 소비 전력을 줄이는데 그 목적을 가지는 것이다.
이에, 종래에 실내 조명장치의 일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530312호의 "실내 조명 제어 시스템"(이하, "종래의 실내 조명 제어 시스템"이라 한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실내 조명 제어 시스템은 실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조명부; 상기 각 조명부 또는 그 부근에 설치되어 동체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동체감지 센서; 상기 동체감지 센서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복수 개의 동체감지 센서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실내에서의 동체의 이동경로를 검출하여, 미리 설정된 제 1 경로에 해당하는 동체의 이동이 감지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실내에서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방범모드에서 동작하고, 방범모드 상태에서 실내에서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동작상태를 실내조명모드로 변경하며, 방범모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제 2 경로에 해당하는 동체의 이동이 감지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대응 조치를 수행하되, 상기 제 1 경로는 거실에서 현관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경로는 베란다를 시작점 또는 종점으로 하는 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실내 조명 제어 시스템은 실내의 사람 이동 경로의 분석을 통해 조명을 온 또는 오프시켜 전력 소비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실내 조명 제어 시스템은 실내의 천정이나 벽에 설치되는 조명부를 실내에 사람이 없을 경우에 소등시켜 전력의 낭비를 줄이는 효과는 얻을 수 있으나, 그 외의 효과는 전혀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530312호의 "실내 조명 제어 시스템"(2015.06.15.)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의 조도를 측정하여 블라인드의 개방 정도 및 조명등의 밝기를 조정함으로써, 조명등의 전력 사용량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초절전형 실내 조도 자동 제어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내 조도의 적정 조도범위를 사용자가 원하는 데로 설정할 수도 있는 실내 조도 자동 제어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내 조도가 적정 조도범위 보다 높을 경우에는 조명등의 점등 스위치를 온시키더라도 조명등이 점등되지 않게 함으로써, 자연채광으로 실내 조도가 밝을 경우에 조명등의 점등으로 인한 전력 손실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 조도 자동 제어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평상시에는 창호의 유리창문을 통해 외부를 볼 수 있게 하면서, 선택적으로 태양광 발전을 할 수 있도록 하도록 하는 실내 조도 자동 제어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태양광 발전을 통해 얻어진 전기를 사용하여 조명등 및 블라인드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소비전력을 좀 더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실내 조도 자동 제어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조도 자동 제어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조명등이 구비되고 벽에는 창호가 구비되는 실내에 설치되는 조도센서와; 상기 창호의 내측에 설치되어 블라인드 모터의 구동을 통해 외부 빛의 개방 정도가 조정되는 블라인드와; 상기 조명등, 조도센서, 블라인드 모터, 상용 전기선이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조명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실내 조도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블라인드의 개방 정도를 조정하거나, 조명등의 밝기 정도를 조정하거나, 또는 블라인드의 개방 정도 및 조명등의 밝기를 조정하여 실내의 조도를 적정범위로 유지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조도 자동 제어시스템"의 상기 제어부는 조도범위 외부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조도범위 외부 입력부에서 입력된 입력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내의 적정한 적정 조도범위 설정 단계와; 사용자가 점등 스위치를 조작하여 조명등의 점등 신호가 제어부로 입력되면, 상기 조도센서를 동작시켜 조명등의 점등 순간부터 실내 조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입력받고,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실내 조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블라인드의 개방 정도를 조정하거나, 또는 블라인드 개방 정도 및 조명등 밝기를 조정하여 실시간으로 실내 조도를 기 설정된 적정 조도범위로 유지시키는 조도 유지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조도 자동 제어시스템"의 상기 조도 유지단계에서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실내 조도가 적정 조도범위 보다 높을 경우에는 조명등에 전기 공급을 차단하고 블라인드 모터에만 전기를 공급하여 블라인드의 개방 정도의 조정을 통해 실내 조도를 적정 조도범위로 유지되게 하고,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실내 조도가 적정 조도범위 보다 낮을 경우에는 블라인드 모터에만 전기를 공급하여 블라인드의 개방 정도의 조정을 통해 실내 조도를 적정 조도범위로 유지되게 하거나, 조명등에 전기를 공급하여 조명등의 밝기 정도의 조정을 통해 실내 조도를 적정 조도범위로 유지되게 하거나, 또는 블라인드 모터 및 조명등에 전기를 모두 공급하여 블라인드의 개방 정도 및 조명등의 밝기를 함께 조정하여 실내 조도를 적정 조도범위로 유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조도 자동 제어시스템"의 상기 제어부에서는상기 조명등에 전기를 공급하는 과정에서는 전기량을 점차적으로 늘리면서 공급하고, 전기량을 점차적으로 늘려 공급하는 과정에서 실내 조도가 적정 조도범위 안에 들어오게 되는 순간에 공급 전기량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조도 자동 제어시스템"의 상기 제어부는 외부에서 조작이 가능한 블라인드 모터 구동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외부에서 상기 블라인드 모터 구동조작부를 통해 모터 구동 조작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된 모터 구동 조작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블라인드의 개방 정도를 조정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블라인드의 개방 정도가 조정된 후에는 실시간으로 실내 조도를 측정하여 조명등의 밝기의 조정을 통해 실내 조도를 적정 조도범위로 유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조도 자동 제어시스템"의 상기 창호는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개폐식 태양광 발전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개폐식 태양광 발전수단에서 전기가 공급되면 전기를 축전하는 축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축전부에 전기가 축전이 되면 상용 전기선에 공급되는 전기를 차단하고 축전된 전기를 사용하고, 축전부의 축전된 전기가 완전 소모되면 다시 상용 전기선의 전기를 사용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조도 자동 제어시스템"의 상기 개폐식 태양광 발전수단은 상기 창호를 구성하는 창틀의 내측 상부에서 상부 힌지부를 중심으로 개폐되고 외면에는 태양광으로 발전을 일으키는 태양 전지판이 구비되는 태양전지 창문과, 상기 태양전지 창문과 연결되고 제어부의 축전부와 연결되는 전력 변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실내의 조도를 측정하여 블라인드의 개방 정도 및 조명등의 밝기를 조정함에 따라, 조명등의 전력 사용량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초절전형의 실내 조도 자동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 조도의 적정 조도범위를 사용자가 원하는 데로 설정할 수도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실내 조도를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 조도가 적정 조도범위 보다 높을 경우에는 조명등의 점등 스위치를 온시키더라도 조명등이 점등되지 않게 함에 따라, 자연채광으로 실내 조도가 밝을 경우에 조명등의 점등으로 인한 전력 손실을 사전에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창호의 유리창문을 통해 외부를 볼 수 있게 하면서, 선택적으로 태양광 발전을 할 수 있게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을 통해 얻어진 전기를 사용하여 조명등 및 블라인드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소비전력을 좀 더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조도 자동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조도 자동 제어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조도 자동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조도 자동 제어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조도 자동 제어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조명등(2)이 구비되고 벽에는 창호(11)가 구비되는 실내(1)에 설치되는 조도센서(3)와, 상기 창호(11)의 내측에 설치되어 블라인드 모터(41)의 구동을 통해 외부 빛의 개방 정도가 조정되는 블라인드(4)와, 상기 조명등(2), 조도센서(3), 블라인드 모터(41), 상용 전기선(5)이 연결되는 제어부(7)를 포함한다.
상기 조도센서(3)는 실내(1)에 설치되어 실내(1)의 조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실내(1)의 조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실내(1)의 천정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라인드(4)는 창호(11)의 내측에 구비되어 외부의 빛을 차단하거나, 또는 외부의 빛을 실내(1)로 유입시켜 자연채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블라인드(4)는 여러 종류가 알려져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조도 자동제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블라인드(4)는, 블라인드 모터(41)의 구동을 통해 외부 빛의 개방 정도가 조정되는 블라인드(4)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첨부된 도면에서는 블라인드(4)의 일예로, 빛을 차단하는 다수의 날개와, 날개들의 각도를 변경시켜 외부 빛의 개방 정도를 조정하는 블라인드 모터(41)로 구성된 블라인드(4)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제어부(7)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1) 조도를 측정하여 실내(1) 조도를 적정범위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조명등(2)이 점등된 상태에서 실내(1) 조도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블라인드(4)의 개방 정도를 조정하거나, 조명등의 밝기 정도를 조정하거나, 블라인드(4)의 개방 정도 및 조명등(2)의 밝기를 모두 조정하여 실내(1)의 조도를 적정범위로 유지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7)는 사용자에 의해 조도범위를 외부에서 입력할 수 있도록 조도범위 외부 입력부(71)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조도범위 외부 입력부(71)는 자판이나 키패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제어부(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적정한 실내(1) 조도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해 상기 조도범위 외부 입력부(71)에서 입력된 입력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내(1)의 적정한 적정 조도범위를 설정하는 적정 조도범위 설정 단계(100)를 진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실내(1)의 조도의 적정 조도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어부(7)는 상기와 같이 적정한 적정 조도범위를 설정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내(1)에 들어와 조명등(2)의 점등 스위치를 조작하여 조명등(2)의 점등 신호가 제어부(7)로 입력되면, 상기 조도센서(3)를 동작시켜 조명등(2)의 점등 순간부터 실내(1) 조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입력받고,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실내(1) 조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블라인드(4)의 개방 정도를 조정하거나, 또는, 블라인드(4) 개방 정도 및 조명등(2) 밝기를 조정하여 실시간으로 실내(1) 조도를 적정 조도범위로 유지시키는 조도 유지단계(200)를 진행함으로써, 실내(1) 조도를 기 설정된 적정 조도범위로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도 유지단계(200)에서는 실내(1) 조도를 적정 조도범위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실내(1) 조도가 적정 조도범위 보다 높을 경우에는 조명등(2)에 전기 공급을 차단하고 블라인드 모터(41)에만 전기를 공급하여 블라인드(4)의 개방 정도의 조정을 통해 실내(1) 조도를 적정 조도범위로 유지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제어부(7)에 입력되는 실내(1) 조도가 적정 조도범위보다 높을 경우에는 조명등(2)의 점등 스위치를 온(ON)시키더라도 조명등(2)이 점등되지 않게 함으로써, 자연채광으로 실내(1) 조도가 밝을 경우에 조명등(2)의 점등으로 인한 전력 손실을 사전에 예방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조도 유지단계(200)에서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실내(1) 조도가 적정 조도범위 보다 낮을 경우에는 블라인드 모터(41)에만 전기를 공급하여 블라인드(4)의 개방 정도의 조정을 통해 실내(1) 조도를 적정 조도범위로 유지되게 하거나, 조명등에 전기를 공급하여 조명등의 밝기 정도의 조정을 통해 실내 조도를 적정 조도범위로 유지되게 하거나, 또는 블라인드 모터(41) 및 조명등(2)에 전기를 모두 공급하여 블라인드의 개방 정도 및 조명등의 밝기를 함께 조정하여 실내(1) 조도를 적정 조도범위로 유지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제어부(7)에서는 조명등(2)의 전기 공급량을 적정하게 하여 전기의 소모량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조명등(2)에 전기를 공급하는 과정에서는 전기량을 점차 늘리면서 공급하고, 전기량을 점차 늘려 공급하는 과정에서 실내(1) 조도가 적정 조도범위 안에 들어오게 되는 순간에 공급 전기량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은 실내(1)의 조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블라인드(4)의 개방 정도 및 조명등(2)의 밝기를 조정함으로써, 조명등(2)의 전력 사용량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초절전형의 실내 조도 자동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제어부(7)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조작이 가능한 블라인드 모터 구동조작부(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7)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외부에서 상기 블라인드 모터 구동조작부(72)를 통해 모터 구동 조작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된 모터 구동 조작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블라인드(4)의 개방 정도를 조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블라인드(4)의 개방 정도가 조정된 후에는, 상기 제어부(7)에서는 실시간으로 실내(1) 조도를 측정하여 조명등(2)의 밝기의 조정을 통해 실내(1) 조도를 적정 조도범위로 유지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내(1) 조도 자동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창호(11)는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개폐식 태양광 발전수단(6)을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제어부(7)는 개폐식 태양광 발전수단(6)에서 전기가 공급되면 전기를 축전하는 축전부(7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는 축전부(73)에 전기가 축전이 되면 상용 전기선(5)에 공급되는 전기를 차단하고 축전된 전기를 사용하고, 축전부(73)의 축전된 전기가 완전 소모되면 다시 상용 전기선(5)의 전기를 사용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상용 전기를 사용하다가 축전된 전기를 사용하거나, 축전된 전기를 사용하다가 상용 전기를 사용하는 제어부(7)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개폐식 태양광 발전수단(6)은 선택적으로 태양광 발전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창호(11)를 구성하는 창틀의 내측 상부에서 상부 힌지부를 중심으로 개폐되고 외면에는 태양광으로 발전을 일으키는 태양전지판이 구비되는 태양전지 창문(61)과, 상기 태양전지 창문(61)과 연결되고 제어부(7)의 축전부(73)와 연결되는 전력 변환장치(62)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창호(11)가 장착되는 벽의 내측 상부에는 고리가 구비되고, 상기 태양전지 창문(61)에는 태양전지 창문(61)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고리에 걸어 태양전지 창문(61)을 상부에 위치시키는 고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창호(11)를 구성하는 유리창문(111)을 통해 외부를 볼 수 있고,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할 경우에는 태양광 창문을 창틀의 내부에 위치시켜 태양광을 받게 함으로써 선택적으로 태양광 발전도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을 통해 얻어진 전기를 사용하여 조명등(2) 및 블라인드 모터(41)를 구동시킴으로써 소비전력을 좀 더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실내
11 : 창호
111 : 유리창문
2 : 조명등
3 : 조도센서
4 : 블라인드
41 : 블라인드 모터
5 : 상용 전기선
6 : 태양광 발전수단
61 : 태양전지 창문
62 : 전력 변환장치
7 : 제어부
71 : 조도범위 외부 입력부
72 : 블라인드 모터 구동조작부
73 : 축전부

Claims (7)

  1. 하나 이상의 조명등이 구비되고 벽에는 창호가 구비되는 실내에 설치되는 조도센서;
    상기 창호의 내측에 설치되어 블라인드 모터의 구동을 통해 외부 빛의 개방 정도가 조정되는 블라인드;
    조도 범위를 가변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조도범위 외부 입력부;
    외부에서 조작이 가능한 블라인드 모터 구동조작부;
    상기 조명등, 조도센서, 블라인드 모터, 상용 전기선, 조도범위 외부 입력부, 블라인드 모터 구동조작부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조도범위 외부 입력부를 통해 조도 범위가 입력되면, 입력된 입력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내의 조도범위를 설정하고, 사용자가 점등 스위치를 조작하여 조명등의 점등 신호가 제어부로 입력되면, 상기 조도 센서를 동작시켜 조명등의 점등 순간부터 실내 조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입력받고,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실내 조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블라인드의 개방 정도를 조정하거나, 조명등의 밝기 정도를 조정하거나, 블라인드 개방 정도와 조명등 밝기를 동시에 조정하여 실시간으로 실내 조도를 상기 설정한 조도범위로 유지시키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라인드 모터 구동조작부를 통해 모터 구동 조작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된 모터 구동 조작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블라인드의 개방 정도를 조정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블라인드의 개방 정도가 조정된 후에는 실시간으로 실내 조도를 측정하여 조명등의 밝기의 조정을 통해 실내 조도를 설정 조도범위로 유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조도 자동 제어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서, 상기 제어부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실내 조도가 설정 조도 범위보다 높을 경우에는 조명등에 전기 공급을 차단하고 블라인드 모터에만 전기를 공급하여 블라인드의 개방 정도의 조정을 통해 실내 조도를 설정 조도범위로 유지되게 하고,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실내 조도가 설정 조도범위보다 낮을 경우에는 블라인드 모터에만 전기를 공급하여 블라인드의 개방 정도의 조정을 통해 실내 조도를 설정 조도범위로 유지되게 하거나, 조명등에 전기를 공급하여 조명등의 밝기 정도의 조정을 통해 실내 조도를 설정 조도범위로 유지되게 하거나, 또는 블라인드 모터 및 조명등에 전기를 모두 공급하여 블라인드의 개방 정도 및 조명등의 밝기를 함께 조정하여 실내 조도를 설정 조도범위로 유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조도 자동 제어시스템.
  4. 청구항 3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등에 전기를 공급하는 과정에서는 전기량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전기를 공급하고, 전기량을 점차로 증가시켜 공급하는 과정에서 실내 조도가 설정 조도범위 안에 들어오게 되는 순간에 공급 전기량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조도 자동 제어시스템.
  5. 삭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4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창호는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개폐식 태양광 발전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개폐식 태양광 발전수단에서 전기가 공급되면 전기를 축전하는 축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축전부에 전기가 축전이 되면 상용 전기선에 공급되는 전기를 차단하고 축전된 전기를 사용하고, 축전부의 축전된 전기가 완전 소모되면 다시 상용 전기선의 전기를 사용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조도 자동제어 시스템.
  7. 청구항 6에서,
    상기 개폐식 태양광 발전수단은
    상기 창호를 구성하는 창틀의 내측 상부에서 상부 힌지부를 중심으로 개폐되고 외면에는 태양광으로 발전을 일으키는 태양 전지판이 구비되는 태양전지 창문;
    상기 태양전지 창문과 연결되고 제어부의 축전부와 연결되는 전력 변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조도 자동 제어시스템.
KR1020160032424A 2016-03-17 2016-03-17 실내 조도 자동 제어시스템 KR101726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424A KR101726336B1 (ko) 2016-03-17 2016-03-17 실내 조도 자동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424A KR101726336B1 (ko) 2016-03-17 2016-03-17 실내 조도 자동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6336B1 true KR101726336B1 (ko) 2017-04-12

Family

ID=58580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2424A KR101726336B1 (ko) 2016-03-17 2016-03-17 실내 조도 자동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3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25749A (zh) * 2021-05-07 2021-08-31 兰玉华 一种血管造影机防护帘装置控制电路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0779A (ja) * 2007-05-11 2008-11-20 Sekisui Chem Co Ltd 光量調節機能付居室
KR20090038592A (ko) * 2007-10-16 2009-04-2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차양 제어 시스템
KR20110114164A (ko) * 2010-04-13 2011-10-19 (주)티엘씨테크놀로지 실내공간 제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257292B1 (ko) * 2012-08-29 2013-05-02 썬파크 주식회사 태양전지모듈이 적용된 블라인드 시스템
JP2015045129A (ja) * 2013-08-27 2015-03-12 東洋熱工業株式会社 ブラインド制御システム
KR101530312B1 (ko) 2014-01-07 2015-06-22 (주)루빛 실내 조명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0779A (ja) * 2007-05-11 2008-11-20 Sekisui Chem Co Ltd 光量調節機能付居室
KR20090038592A (ko) * 2007-10-16 2009-04-2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차양 제어 시스템
KR20110114164A (ko) * 2010-04-13 2011-10-19 (주)티엘씨테크놀로지 실내공간 제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257292B1 (ko) * 2012-08-29 2013-05-02 썬파크 주식회사 태양전지모듈이 적용된 블라인드 시스템
JP2015045129A (ja) * 2013-08-27 2015-03-12 東洋熱工業株式会社 ブラインド制御システム
KR101530312B1 (ko) 2014-01-07 2015-06-22 (주)루빛 실내 조명 제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25749A (zh) * 2021-05-07 2021-08-31 兰玉华 一种血管造影机防护帘装置控制电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69538A1 (en) Automatic and manual dimm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EP0872163B1 (en) Method of semiautomatic ambient light sensor calibration in an automatic control system
US6522078B1 (en) Remotely controlled power supply switching system
CN201123158Y (zh) 照明管理系统
KR101232465B1 (ko) 복합센서를 구비한 조명장치 및 연동형 조명 시스템
CN106132044A (zh) 室内照明智能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07404794A (zh) 一种用于教室照明的节能型自控系统
CN103958809A (zh) 建筑物中的百叶窗系统的自动校准
ES2350984T3 (es) Procedimiento y sistema para regular la luminosidad en un local iluminado con luz interior y luz exterior.
CN207070428U (zh) 窗帘灯具系统
JP2008202828A (ja) 操作装置
KR20100112439A (ko) 무드조명이 구비된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CN2842980Y (zh) 照明灯控制器
KR101726336B1 (ko) 실내 조도 자동 제어시스템
KR20030029780A (ko) 사람의 감지와 형광등의 밝기를 자동 제어하는 조명 제어장치
CN109819564A (zh) 室内光亮度自适应调节系统
KR100447586B1 (ko) 버티컬 블라인드 장치
JPH07235390A (ja) 蛍光灯照明調光システム
CN107396523B (zh) 窗帘灯具系统及其控制方法
KR100654373B1 (ko) 실외밝기에 따라 가변하는 자동 조정 조명방법
JPH01192991A (ja) ブラインド
CN207939808U (zh) 教室灯光自动控制系统
JP3804194B2 (ja) 照明制御装置
KR20030075536A (ko) 냉장고의 램프 점등장치 및 방법
KR20170048884A (ko) 쇼케이스의 절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