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845B1 - Planar heating element using auto charging air mat - Google Patents

Planar heating element using auto charging air m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845B1
KR101725845B1 KR1020150066203A KR20150066203A KR101725845B1 KR 101725845 B1 KR101725845 B1 KR 101725845B1 KR 1020150066203 A KR1020150066203 A KR 1020150066203A KR 20150066203 A KR20150066203 A KR 20150066203A KR 101725845 B1 KR101725845 B1 KR 101725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heating element
gel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62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33612A (en
Inventor
이광용
정민훈
염치선
김준석
김다애
박승태
이승호
강문식
Original Assignee
(주) 파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파루 filed Critical (주) 파루
Priority to KR1020150066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845B1/en
Publication of KR20160133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6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8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Abstract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자동충전식 에어매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쿠션부에 공기가 충전되는 자동충전 에어부와, 전원에 의하여 발열되는 면상발열체를 구비하여 자동충전 에어부의 상면에 적층되는 발열부 및 상기 발열부에서 발열된 열이 핫젤(Hot Gel)로 변환되고, 발열부가 오프되면 쿨젤(Cool Gel)로 변환되는 냉온젤(Hot/Cool Gel)이 충전되어 발열부의 상면에 적층되는 젤충전부를 구비한 것으로, 발열매트와 쿨매트를 일체화시켜 사계절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자 체형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An automatic rechargeable air mat using an area heating element is disclos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priming type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self-priming air portion in which air is filled in a cushion portion extending in one direction; a heating portion which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lf- And a gel filling part which is filled with a hot / cool gel which is converted into a hot gel when the heating part is turned off and which is converted into a cool gel and is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ing part. It can be used in all seasons, and the heigh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hape.

Description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자동충전식 에어매트{PLANAR HEATING ELEMENT USING AUTO CHARGING AIR MA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본 발명은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자동충전식 에어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열매트와 쿨매트를 일체화시켜 사계절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자 체형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자동충전식 에어매트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rechargeable air mat using an area heating ele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rechargeable air mat using an area heating element capable of using four seasons by integrating an exothermic mat and a cool mat, .

일반적으로, 종래의 매트는 사용자의 휴식 또는 수면시 인간의 신체를 지지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안락함과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In general, it is true that conventional mats are used solely to provide comfort and comfort to the user by supporting the human body during rest or sleep.

그러나, 여름과 같이 습도가 높은 경우, 인간의 몸으로부터 배출되는 땀과 공기 중의 수증기 등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매트가 몸에 붙어 불쾌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여름에 매트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취침할 경우에는 별도로 마련된 선풍기 또는 공기컨을 작동하여야 하였다. 특히, 여름 장마철의 경우, 공기 중의 수증기가 매트내에 흡수되어 사용자는 취침시에 끈적거리는 기분 등을 느껴 숙면을 제대로 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when the humidity is high as in the summer, the user often feels uncomfortable due to the sweat coming from the human body and the water vapor in the air. Therefore, in case of resting or sleeping on the mat in summer, a separate fan or air cone should be operated.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summer rainy season, the water vapor in the air is absorbed in the mat, and the user feels a sticky feeling at the time of going to bed, and the user can not sleep well.

한편, 습한 매트내의 환경은 수많은 병원균의 온상이 되어 인간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점도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pointed out that the environment in the humid mat can become a hotbed of many pathogens and harm human health.

또한, 종래의 매트 제품은 옥, 숯, 황토 성분 등을 함유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매트 내부에 열선을 매설하여 추운 날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가의 매트는 무더운 여름 등에는 상대적으로 그 유용성이 떨어진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at product may be configured to contain jade, charcoal, loess, or the like, or it may be used on a cold day by embedding heat rays in the mat. However, such an expensive mat is relatively ineffective in a hot summer.

따라서 종래에는 매트에 다수의 공기방출구가 형성되고 그 내측에 공기 통로가 형성된 지지층을 부착하고, 송풍 장치에 의해 상기 공기 통로를 통하여 온풍, 냉풍 또는 자연풍을 송풍하여 상기 공기방출구로부터 매트 표면측으로 토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여름 또는 장마철 등과 같은 습한 환경에서 습기로 말미암아 유발될 수 있는 인간의 불쾌감을 매트 자체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었다. Therefore, conventionally, a plurality of air outlet ports are formed on a mat, and a supporting layer having an air passage formed therein is attached to the mat, and air is blown by hot air, cold air or natural air through the air passage by a blower to be discharged from the air outlet A technique has been proposed for solving the discomfort of a human being, which can be caused by moisture in a humid environment such as summer or rainy season, by itself.

즉, 종래에는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된 에어매트를 제안하여 무더운 여름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고, 게다가 온풍 조정부 및 냉풍 조정부를 선택적으로 온ㆍ오프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공기 공급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냉풍) 또는 가열(온풍)시키거나 자연풍 그대로 에어매트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That is, conventionally, an air mat having an air passage formed therein is proposed, and the air mat can be usefully used even in a hot summer. Further, by controlling the hot air adjusting unit and the cold air adjusting unit to selectively turn on and off, ) Or heated (hot air), or can be supplied to the air mat as it is natural.

그러나 종래의 에어매트는 온풍을 내측으로 공급하여 온열기능을 갖도록 하였으나, 그 온도가 높지 않고, 미지근한 상태의 온도로만 가열됨에 따라 사계절 모두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에어매트는 발열 가능한 온도가 낮기에 산악지형인 추운 지방에서의 캠핑에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air mat, the warm air is supplied to the inside to provide a warm function. However, since the air mat is not heated at a high temperature only in a lukewarm state, it can not be used for all seasons. Particularly, the conventional air mat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suitable for camping in a cold region, which is a mountainous type, because the heatable temperature is low.

또한 종래의 에어매트는 쿠션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조절할 수 없어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기능이 부족한 실정이다. Also, the air mats of the related art can not adjust the height of the cushion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and the functions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re insufficient.

등록특허공보 제10-0726095(2007.06.01)Patent Registration No. 10-0726095 (Jun. 1, 2007)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발열매트(HEATING MAT)와 쿨매트(COOL MAT)를 일체화시켜 사계절 동안 사용이 모두 가능한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자동충전식 에어매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such problems is to provide an automatic rechargeable air mat using a planar heating element which can be used during all four seasons by integrating a heating mat and a COOL MAT.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서 매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자동충전식 에어매트를 제공함에 있다.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rechargeable air mat using an area heating element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mat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hape.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자동충전식 에어매트는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머리부와, 면상발열체가 구비되어 머리부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쿠션부와, 리모콘 및 리모콘의 조작신호에 따라 쿠션부와 머리부중 선택된 하나의 공기 토출을 제어하여 높이를 조절하는 제어부재를 포함하고, 쿠션부는 PE폼 또는 우레탄폼으로서 제조되어 내측에서 공기가 이동되는 공기유로 사이로 공기가 자동으로 충전되는 자동충전 에어부와, 전원에 의하여 발열되는 면상발열체를 구비하여 상기 자동충전 에어부의 상면에 적층되는 발열부와, 발열부에서 발열된 열이 핫젤(Hot Gel)로 변환되고, 발열부가 오프되면 쿨젤(Cool Gel)로 변환되는 냉온젤(Hot/Cool Gel)이 충전되어 상기 발열부의 상면에 적층되는 젤충전부와, 머리부는 PE폼 또는 우레탄폼으로서 제조되어 내측에서 공기가 이동되는 공기유로 사이로 공기가 자동으로 충전되는 자동충전 에어부로 이루어지고, 제어부재는 리모콘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수신부와, 발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머리부와 쿠션부에 각각 설치된 자동충전 에어부들중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공기를 토출시키는 에어토출부와, 발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 및 리모콘수신부에서 수신된 명령에 따라서 에어토출부를 제어하여 자동충전 에어부에 의해 자동 충전된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제어하고, 전원부를 제어하여 발열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면상발열체는 제1인쇄필름의 일면에서 은나노 잉크로 인쇄되는 발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refore, the automatic rechargeable air mats using the planar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head portion extending to project upward, a cushion portion provided with a planar heating element and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head portion, And a control member for controlling the height of the selected one of the air blowing units and the head air blowing unit, wherein the cushion unit is made of a PE foam or a urethane foam, And a heat generating part which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utomatic filling air part and has heat generated by the power source and is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utomatic filling air part. When the heat generated in the heat generating part is converted into a hot gel and the heat generating part is turned off, A gel filling part which is filled with a hot / cool gel which is converted into a gel, and is lamin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eat generating part, and a head part is made of a PE foam or a urethane foam Wherein the control member includes a remote control receiver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heating unit, An air discharging portion for discharging air selected from any one of the automatic charging air portions provided in the head portion and the cushion portion, a temperature adjust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 generating portion, and an air discharging portion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unit to drive the heating unit, wherein the surface heating element is a heating line printed on one side of the first printing film with silver nano ink, do.

삭제delete

따라서, 본 발명의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자동충전식 에어매트에 의하면, 발열매트와 쿨매트가 일체로 이루어져 냉난방이 모두 가능하여 사계절간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automatic rechargeable air mat using the planar heating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eating mat and the cool mat are integrally formed, cooling and heating are all possible, and the system can be used for four seasons.

또한, 본 발명은 매트에 충전된 공기량을 조절하여 높이의 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는 매트에서 취침 및 휴식을 취할 수 있어 편안하고 안락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height of the mat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air filled in the mat, the user can take a break and relax in a mat according to his or her body shape, thereby improving comfort and comfort.

또한, 본 발명은 자동충전식 에어매트에 면상발열체와 핫젤을 일체로 구비함에 따라 열손실이 적어 설정온도에 도달되기까지의 시간이 짧고, 열의 저장시간이 길기에 설정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nar heating element and a hotgel integrally formed in an automatic rechargeable air mat, the time required for reaching the set temperature is short due to a small heat loss, and the energy consumed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자동충전식 에어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자동충전식 에어매트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자동충전식 에어매트에서 자동충전 에어부의 유로를 도시한 단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자동충전식 에어매트의 제어부재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자동충전식 에어매트에서 발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자동충전식 에어매트의 구동방법에서 높이조절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자동충전식 에어매트의 구동방법에서 발열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자동충전식 에어매트에서 젤충전부에 충전되는 냉온젤의 일예를 도시한 사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rechargeable air mat using the planar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of an automatic rechargeable air mat using the planar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low path of an automatic charging air portion in an automatic rechargeable air mat using the planar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member of an automatic rechargeable air mat using the planar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heating unit in an automatic rechargeable air mat using the planar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teps of adjusting a height in a method of driving an automatic rechargeable air mat using the planar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lowchart showing a heating step in a driving method of an automatic rechargeable air mat using the planar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of a cold gel charged in a gel filling part in an automatic rechargeable air mat using an area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n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examples described herei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word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sense and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light of the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rms such as " part, "" module, " .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s (e.g., a, b, c, ...) are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s do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Unless the specific order is described, it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order specified.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describ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may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when a section is referred to as " including "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ide from other elements, .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전에" 또는 "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또는 어느 장치와 "연계"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장치)가 다른 단계(장치)와 직접 연동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두 단계 사이에 또 다른 단계가 존재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step is referred to as being "before" or "after" another step, or when it is "associated with" a device, But also includes the case where there is another step between the two steps as well as substantially the same case.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A "및/또는" B의 용어는 A 단독, B 단독, A와 B를 포함하는 형태를 모두 지칭하는 것으로 '또는'이 가지는 용어의 정의를 보다 명확히 한 것이다.The terms "A " and / or" B ",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fer to both A alone, B alone, and A and B form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The terms " about ", " substantially ", etc. used to the extent that they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used in their numerical value or in close proximity to the numerical values when the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meanings mentioned are presented, To prevent unauthorized exploitation by an unscrupulous infringer of precisely or absolutely stated disclosur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자동충전식 에어매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자동충전식 에어매트의 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rechargeable air mat using the surface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an automatic rechargeable air mat using the surface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자동충전식 에어매트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머리부(200)와, 머리부(200)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쿠션부(100)와, 상기 쿠션부(100)와 머리부(200)의 공기 조절 및 온도조절을 위한 제어부재(300)와 원격으로 제어부재(300)를 제어하는 리모콘(400)을 포함한다. 1 and 2, an automatic rechargeable air mat using the planar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 portion 200 protruding upward, a cushion portion 100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head portion 200, And a remote control 400 for controlling the control member 300 remotely from the control member 300 for controlling air and temperature of the cushion unit 100 and the head unit 200.

머리부(200)는 하기에서 설명되는 자동충전 에어부(110)로 구성되며, 자동충전 에어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E폼 또는 우레탄폼으로서 제조되어 내측에서 공기가 이동되는 공기유로(210) 사이에 공기가 충전 된다. The head portion 200 is composed of an automatic filling air portion 110 described below and the automatic filling air portion 110 is manufactured as a PE foam or a urethane foam as shown in FIG. Air is filled between the moving air passages 210.

일반적으로 자동충전 에어부(110)는 공지된 바와 같이 내측에 하나 이상의 에어밸브와 같은 공기의 흡입 및 토출 수단이 구비된다. 따라서 자동충전 에어부는 펼쳐지면서 에어밸브(101, 201)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가 PE폼이나 우레탄폼과 같이 재질 자체에 형성된 공기유로(210) 로 충전되면서 자동으로 충전된다. In general, the self-priming air unit 110 is provided with air suction and discharge means such as one or more air valves on the inner side as is well known. Accordingly, the air sucked by the air valves 101 and 201 is automatically charged while being filled in the air passage 210 formed in the material itself, such as PE foam or urethane foam.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후술되는 제어부재(300)에 의하여 자동충전 에어부(110)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토출 또는 충전시켜 그 높이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요지로 한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ember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orcibly discharges or charges the air of the automatically-charged air unit 110 so that the height and thickness thereof can be adjusted.

따라서 머리부(200)는 제어부재(300)의 제어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유로(210)에 공기가 충전되면 팽창되어 높이가 상승 되고, 공기가 토출되면 수축되어 높이가 감소 된다. Accordingly, when air is charged into the flow path 210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mber 300, the head 200 is inflated to increase its height, and when the air is discharged, it shrinks and its height decreases.

쿠션부(100)는 자동충전 에어부(110)와, 자동충전 에어부(110)의 상면에 적층되는 전기에 의하여 발열되는 발열부(120)와, 발열부(120)의 상측에서 적층되어 냉온젤(Hot/Cool Gel)이 충전되는 젤충전부(130)가 포함한다. The cushion unit 100 includes an automatic filling air unit 110, a heating unit 120 that is heated by electricity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utomatic filling air unit 110, And a gel charging unit 130 for charging a hot / cool gel.

자동충전 에어부(1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쿠션부(100) 뿐만 아니라 머리부(200)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머리부(200) 및 쿠션부(100)를 구성하는 자동충전 에어부(110)의 공기유로(210)에 강제적으로 공기를 주입 및 토출시켜 머리부(200)의 높이와 쿠션부(100)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기에서의 주요 실시예는 머리부(200)의 높이조절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The automatic charging air unit 110 may be formed on the head 200 as well as the cushion unit 100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air flow path 210 of the automatic filling air section 110 constituting the head part 200 and the cushion part 100 by forcibly injecting and discharging air,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100 can be adjusted. The main embodiment in the following describes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head 200, for example.

젤충전부(130)는 다 수개의 냉온젤이 충전 되어 발열부(120)에 의해 가열되어 핫젤(Hot Gel)로서 구동하고, 발열부(120)가 오프되면 쿨젤(Cool Gel)로 저온을 유지한다. 이와 같은 냉온젤은 도 7에서 그 일예가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알갱이 형상으로서 플라스틱수지, 고무 또는 직물재질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외피에 의하여 밀폐된 상태로 상기 발열부(120)의 상측에 적층된다. 상기 냉온젤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제품을 적용한 것임에 따라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gel charging unit 130 is filled with a number of cold and hot gels and is heated by the heating unit 120 to be driven as a hot gel. When the heating unit 120 is turned off, the gel charging unit 130 maintains a low temperature with a cool gel . As shown in FIG. 7, the cold gel is stacked on the heating unit 120 in a closed state by a shell made of a plastic resin, rubber, or a fabric material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granules. Since the cold and hot gel is generally known product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발열부(120)는 제어부재(300)의 제어에 의하여 발열되는 면상발열체를 구비하여 젤충전부(130)와 자동충전 에어부(110) 사이에 적층된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The heating unit 120 includes a planar heating element that generates hea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mber 300 and is stacked between the gel filling unit 130 and the automatic filling air unit 110.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제어부재(300)는 머리부(200) 및/또는 쿠션부(100)의 내측에 설치되거나 또는 외측에서 별도로 분리되어 설치된다. 제어부재(300)의 상세구성은 도 3의 블럭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control member 300 is installed inside the head part 200 and / or the cushion part 100 or separately installed from the outside.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control member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block diagram of FI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자동충전식 에어매트에서 제어부재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member in an automatic rechargeable air mat using the planar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재(300)는 리모콘(400)의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400)수신부(330)와, 발열부(120)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320)와, 자동충전 에어부(110)에 공기를 충전시키는 에어흡입부(340)와, 자동충전 에어부(110)의 공기를 토출시키는 에어토출부(350)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60)와, 온도나 온오프 상태 및 에러메세지를 출력하는 표시부(370)와, 리모콘수신부(330)에서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서 온도조절부(320)와 에어흡입부(340) 및 에어토출부(350)와 표시부(370)를 제어하는 제어부(310)와 온도와 전기적 신호의 레벨을 감지하는 센서부(380)를 포함한다. 4, the control member 300 includes a receiver 330 for receiving a remote control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ler 400, a temperature controller 320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120, An air suction portion 340 for charging air into the automatic charging air portion 110, an air discharging portion 350 for discharging the air of the automatic charging air portion 110, a power supply portion 360 for supplying power, A temperature regulating unit 320, an air suction unit 340, and an air discharge unit 350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receiving unit 330. The display unit 370 outputs temperature, A controller 310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370, and a sensor unit 380 for sensing the temperature and the level of the electrical signal.

리모콘수신부(330)는 리모콘(400)에서 송신되는 리모콘(400)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310)에 인가한다. The remote controller receiving unit 330 receives the remote controller 400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400 and applies the signal to the controller 310. [

온도조절부(320)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서 발열부(120)에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의 레벨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조절하여 발열부(120)의 온도를 조절한다. The temperature controller 320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120 by selectively controlling the level of the electric signal applied to the heater 12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10.

전원부(360)는 AC/AC 컨버터와 AC/DC 컨버터를 구비하여 제어부재(300)의 제어용 전원 및 발열부(120)의 구동 전원을 공급한다. 아울러 전원부(360)는 외부계통전원 및/또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연결장치(예를 들면, 전원플러그)가 구비됨도 가능하다. The power supply unit 360 includes an AC / AC converter and an AC / DC converter to supply control power for the control member 300 and driving power for the heat generating unit 120.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360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on device (for example, a power plug) to receive power from an external system power supply and / or a battery.

에어흡입부(340)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자동충전 에어부의 에어밸브(101, 201))를 강제로 구동시키거나 별도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팬 또는 공기밸브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흡입된 공기는 자동충전 에어부(110)의 공기유로(210)에 충전되어 머리부(200) 또는 쿠션부(100)의 높이와 두께를 증가시킨다. The air suction part 340 is provided with a suction fan or air valve capable of forcibly driving the air valve 101 or 201 of the automatic filling air par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part 310 or separately sucking outside air . At this time, the sucked air is filled in the air passage 210 of the automatic charging air unit 110 to increase the height and thickness of the head unit 200 or the cushion unit 100.

에어토출부(350)는 자동충전 에어부(110)의 에어밸브와 별개의 구성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는 토출팬 또는 공기밸브로서 구성하거나 또는 자동충전 에어부의 에어밸브를 강제 구동시켜 내측의 공기를 토출 시키도록 구동될 수 있다. 즉, 에어토출부(350)는 제어부(310)의 제어로 구동되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킨다. The air discharge portion 350 may be constituted as a discharge fan or an air valve capable of discharging air in a configuration different from the air valve of the automatic charging air portion 110 or may be constructed by forcibly driving the air valve of the automatic charging air portion, As shown in Fig. That is, the air discharge unit 350 is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10 to discharge the inside air to the outside.

에어흡입부(340) 및 에어토출부(350)는 사업자 또는 설계자의 선택에 의하여 자동충전 에어부(110)의 에어밸브(101)를 강제로 제어하는 밸브제어 장치나, 별도의 팬이나 밸브로 추가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추가구성 및 밸브제어장치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을 적용함에 따라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air suction part 340 and the air discharge part 350 are connected to a valve control device for forcibly controlling the air valve 101 of the automatic charging air section 110 according to the choice of the operator or designer, Can be installed. The additional configuration and the valve control apparatus are generally known in the art, and their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센서부(380)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도시되지 않음)와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센서(도시되지 않음)와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센서(도시되지 않음)중 하나 이상을 구비한다. 온도센서는 발열부(120)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310)에 온도감지신호를 전송하고, 전압센서는 발열부(120)에 공급되는 전압과 전원부(360)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감지하여 제어부(310)에 전압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전류센서는 발열부(120)에 인가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제어부(310)에 전류감지신호를 출력한다. The sensor unit 380 has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for sensing the temperature, a voltage sensor (not shown) for sensing the voltage and a current sensor (not shown) for sensing the current. The temperature sensor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heat generating unit 120 and transmits a temperature sensing signal to the control unit 310. The voltage sensor senses the voltage supplied to the heat generating unit 120 and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360, The current sensor outputs a current sense signal to the controller 310 by sensing a current applied to the heat generator 120. [

이와 같이 센서부(380)는 온도, 전압 및 전류감지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310)가 온도조절부(320) 및 에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데이타를 제공한다. In this manner, the sensor unit 380 outputs the temperature, voltage, and current detection signals, and the control unit 310 provides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320 and data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 error exists.

표시부(370)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하여 온오프 여부, 에러메세지 및 온도를 문자와 숫자 및/또는 발광표시로서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표시부(370)는 문자나 숫자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도시되지 않음)와, 점등 또는 소등되는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The display unit 370 outputs the on / off status, the error message, and the temperature as letters, numbers, and / or light emitting display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10. [ To this end, the display unit 370 includes a display (not shown) for outputting characters or numbers and at least one light emitting element (not shown) for turning on or off.

제어부(310)는 리모콘수신부(330)를 통하여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부(360)를 구동시켜 발열부(120)에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고, 온도조절부(320)를 제어하여 발열부(120)의 온도를 조절한다. 또한 제어부(310)는 리모콘수신부(330)에서 수신된 머리부(200)의 높낮이 조절신호가 수신되면, 에어흡입부(340)와 에어토출부(350)를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310 drives the power supply unit 360 to turn on or off the power to the heating unit 12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pplied through the remote control receiving unit 330 and controls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320 to control the heating unit 120). The control unit 310 selectively controls the air suction unit 340 and the air discharge unit 350 upon receiving the height adjusting signal of the head 200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receiving unit 330. [

여기서 본 발명의 제어부재(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머리부(200) 또는 자동충전 에어부(110)에 내장되거나 또는 분리 구성됨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에어토출부(350)와 에어흡입부(340)는 머리부(200)에 설치하되, 온도조절부(320) 내지 전원부(360)는 별도 하우징으로 분리될 수 있다. Here, the control member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edded in the head portion 200 or the self-priming air portion 110 as described above, or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For example, the air discharging unit 350 and the air suction unit 340 may be installed on the head 200, and the temperature regulating unit 320 to the power unit 360 may be separated into separate housings.

또한 제어부재(300)는 상기와 같은 리모콘(400)에 의한 원격제어 외에 사용자의 수동조작이 가능하도록 표시부(370)에 터치 패널 또는 스위치패널이 추가로 설치됨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control member 30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touch panel or a switch panel on the display unit 370 so that the user can manually operate the remote control 400 in addition to the remote control.

발열부(120)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자동충전식 에어매트에서 발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The heat generating unit 1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heating unit in an automatic rechargeable air mat using the planar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발열부(120)는 일면에 전도성 잉크로 인쇄되는 발열선(123)과, 발열선(123)이 인쇄되는 제1인쇄필름(121)과, 발열선의 상면에 적층되는 제2인쇄필름(122)과, 제2인쇄필름(122)의 상면에 적층되어 전자파를 차폐시키는 전자파 차폐층(124)과, 제1인쇄필름(121)의 하측에 적층 되어 발열된 열이 하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단열시키는 단열필름(125)과, 전자파 차폐층(124)의 상면 및 단열필름(125)의 하면에 각각 적층되는 탄성재(126)를 포함한다. 5, the heat generating unit 120 includes a heat generating line 123 printed on the first surface thereof with a conductive ink, a first print film 121 on which the heat generating line 123 is printed,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124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rinting film 122 to shield the electromagnetic wave and a heat insulating layer 122 which is lamin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printing film 121 and is heat- And an elastic material 126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124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film 125, respectively.

제1인쇄필름(121)과 제2인쇄필름(122)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나 PI(polyimide) 필름을 사용하며 R2R 그라비아 인쇄 공정 시 사용하게 된다.The first print film 121 and the second print film 122 use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or PI (polyimide) film and are used in the R2R gravure printing process.

여기서 PET는 열가소성이고 PI는 열경화성이나, 본 발명에서는 필요한 경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PET나 PI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Here, PET is thermoplastic and PI is thermosetting,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PET or PI can be used so that it can be selected and used if necessary.

즉, PET는 열가소성이기 때문에 낮은 온도에 적용할 수 있고, PI는 고온에서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각각 원하는 경우에 따라서 PET로 할지 PI로 할지 기판으로 정하고 그 기판에 코팅을 하고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That is, since PET is thermoplastic, it can be applied at low temperature, and PI can be applied at high temperature. Thus, if desired, either PET or PI may be used as the substrate and coated on the substrat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인쇄필름(121)에 전도성 잉크(예를 들면, 은나노 잉크)로 인쇄되는 발열선(123)에 전극을 통하여 전압이 가해지면 전류가 발열체를 통해 면상에 골고루 발열되도록 동작된다. 이를 위하여 제1인쇄필름(121)은 발열선(123)으로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단자가 형성되는 것이 당연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heating wire 123 printed on the first print film 121 with a conductive ink (for example, silver nano ink) through an electrode, the current is operated to uniformly generate heat on the surface through the heating element . For this purpose, it is natural that the first printing film 121 is formed with a power terminal to which power is supplied to the heating wire 123.

발열선(123)은 은나노 젤이 포함된 전도성 은나노 잉크로 제1인쇄필름(121)에 그라비아 방식으로 인쇄하도록 한다.The heating line 123 allows the first printing film 121 to be printed in a gravure manner using a conductive silver nano ink containing a silver nano-gel.

즉, 본 발명의 면상발열체는 제1인쇄필름(121)에 은나노 잉크로 인쇄되는 발열선(123)으로 이루어진다. That is, the planar heating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eating line 123 printed on the first printing film 121 with silver nano ink.

단열필름(125)은 제1인쇄필름(121)의 하면, 즉, 자동충전 에어부(110)에 인접되는 제1인쇄필름(121)의 하면에 적층되어 제1인쇄필름(121)으로부터 전도되는 열이 자동충전 에어부(110)에 전달됨을 차단한다. The heat insulating film 125 is lamin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int film 121, that is,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int film 121 adjacent to the self-charging air portion 110, Thereby blocking the heat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automatic charging air section 110.

전자파 차폐 층(124)은 고분자와, 카본, Al, Ag가 포함된 도전성 페이스트를 실온에서 교반 한 뒤에 3롤밀을 통하여 완성된 전자파 차폐 제조용 잉크이다. 전자파 차폐 잉크는 제2인쇄필름(122)의 일면에서, 예를 들면, 롤투롤 그라비아 인쇄기법에 의하여 인쇄되어 전자파 차폐 필름을 형성한다.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124 is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ink completed by stirring a polymer, a conductive paste containing carbon, Al, and Ag at room temperature, followed by three roll milling.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ink is printed on one side of the second printing film 122, for example, by a roll-to-roll gravure printing technique to form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ilm.

전자파 차폐층(124)과 제2인쇄필름(122)은 발열선(123)의 상측에서 라미네이팅 공정으로 상기 면상발열체의 상면에 적층되어 전자파를 차폐시키는 전자파 차폐 필름으로 적층된다.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124 and the second print film 122 are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by an laminating process on the heating line 123, and are laminated with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ilm which shields electromagnetic waves.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전자파 차폐 필름은 탄소부직포에 모노륨을 합지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duced by laminating mononium on carbon nonwoven fabric.

또한, 전자파 차폐 필름은 보다 효과적으로 자기장을 차폐하기 위하여 퍼멀로이층(124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ilm may further include a permalloy layer 124a to more effectively shield the magnetic field.

퍼멀로이층(permalloy)(124a)는 니켈 약 80%, 철 20%의 합금으로, 투자율(透磁率)이 매우 높고, 자기 히스테리시스(磁氣 hysteresis)의 손실이 작은 우수한 자성재료로 가공성이 쉬워 복잡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이 용이하다The permalloy 124a is an alloy of about 80% of nickel and 20% of iron and has excellent magnetic permeability and low loss of magnetic hysteresis, Easy to shape into shape

또한, 퍼멀로이(Pemalloy)로 벽체를 만들면 외부의 자기는 벽으로 흡수되어 내부로 들어갈 수 없다. 반대로 자계 발생지점을 퍼멀로이(permalloy) 벽체로 막으면 자계는 외부로 나갈 수 없게 된다. In addition, when a wall is made with permalloy, the outside magnet can not be absorbed into the wall and enter the inside. Conversely, if the magnetic field is blocked by a permalloy wall, the magnetic field can not go outside.

탄성재(126)는 젤충전부(130)와 전자파 차폐필름(124) 사이에서 설치되는 제1탄성재(126a)와, 단열필름(124)과 자동충전 에어부(110) 사이에 설치되는 제2탄성재(126b)를 포함한다.The elastic member 126 includes a first elastic member 126a disposed between the gel filling unit 130 and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ilm 124 and a second elastic member 126b disposed between the insulating film 124 and the self- And an elastic material 126b.

이와 같은 탄성재(126)는 발열부(120)의 최상측과 최하측에서 각각 형성됨에 따라 젤충전부(130)와 자동충전 에어부(110)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고, 마모와 열에 강한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The elastic member 126 is formed on the uppermost and lowermost sides of the heat generating unit 120 and has an elastic force so as to absorb impact transmitted from the gel filling unit 130 and the automatic filling air unit 110, It is preferable to apply a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resistant to abrasion and heat.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탄성재(126)는 TPU 펠렛을 압출기를 이용하여 필름형태로 압출하여 제작하며, 물성변화가 거의 없고 부드러운 감촉을 주는 TPU 필름을 적용함도 가능하다. More preferably, the elastic material 126 is manufactured by extruding the TPU pellets in the form of a film using an extruder, and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 TPU film having little physical property change and giving a soft touch.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자동충전식 에어매트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automatic rechargeable air mat using the planar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자동충전식 에어매트는 머리부(200)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어부재(300)의 높이조절단계(S100)와 발열 제어단계(S200)와, 쿠션부(100)의 냉방단계로서 구동된다. The automatic rechargeable air mat using the planar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ight adjustment step S100 and a heating control step S200 of the control member 300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ead 200, .

이중 높이조절단계는 도 6, 발열 제어단계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double height adjustment step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and the heat generation control step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자동충전식 에어매트의 구동방법에서 높이조절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teps of adjusting a height in a method of driving an automatic rechargeable air mat using the planar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높이조절단계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 수신단계(S110)와, 수신된 제어신호가 공기 충전 명령인지를 판단하는 충전판단단계(S120)와, 충전판단단계(S120)에서 공기의 충전명령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공기를 흡입하도록 제어하는 공기흡입단계(S130)와, 충전판단단계(S140)에서 공기 토출명령이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공기토출 판단단계(S140)와, 공기토출 판단단계(S140)에서 공기 토출명령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공기를 토출 하도록 제어하는 공기토출단계(S150)와, 공기토출 및/또는 흡입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단계(S1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the height adjustment step includes receiving a control signal (S110)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a charge determination step (S120) for determining whether the received control signal is an air charge command, a charge determination step (S120) (S130) for controlling the air to be suck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ir charging command is received, an air discharge determining step (S140) for determining whether the air discharging command is received in the charging determining step (S140) (S150) for controlling the air to be discharg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ir discharge command is received in the air discharge determination step (S140), and a display step (S160) for indicating whether the air is discharged and / or sucked.

제어신호 수신단계(S110)는 제어부(310)가 리모콘수신부(330) 또는 스위치패널로부터 인가되는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이다. 사용자는 리모콘(400)을 통하여 높이조절명령 또는 발열 온/오프 명령이 설정된 스위치를 온 하면, 리모콘(400)은 스위치별 및/또는 스위치의 조합에 의하여 설정된 명령을 제어부재(300)에 송신한다. 또는 사용자는 제어부재(300)에서 설치되는 터치패널 또는 스위치패널을 조작하여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The control signal receiving step (S110) is a step in which the control unit 310 receives a command applied from the remote control receiving unit 330 or the switch panel. When the user turns on the switch for which the height adjustment command or the heating ON / OFF command is set via the remote controller 400, the remote controller 400 transmits a command set by switch and / or a combination of switches to the control member 300 . Alternatively, the user can input a control command by operating a touch panel or a switch panel installed in the control member 300. [

이때, 사용자는 머리부(200)의 높이가 낮다면 리모콘(400)을 조작하여 머리부(200)의 높이를 낮추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거나 머리부(200)의 높이가 높다면 머리부(200)의 높이를 낮출 수 있는 명령을 입력한다. At this time, if the height of the head 200 is low,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for lowering the height of the head 200 by operating the remote controller 400, or if the height of the head 200 is high, Enter a command that can lower the height of the file.

충전판단단계(S120)는 제어부(310)가 제어신호 수신단계(S110)에서 수신된 명령이 공기의 충전명령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The charging determination step S120 is a step in which the controller 310 determines whether the command received in the control signal receiving step S110 is an air charging command.

공기흡입단계(S130)는 제어부(310)가 충전판단단계(S120)에서 공기 충전명령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머리부(200)에 공기를 충전하도록 에어흡입부(340)를 제어하는 단계이다. 에어흡입부(340)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하여 외부의 공기를 흡입한다. 흡입된 공기는 머리부(200)의 공기유로(210)에 충전된다. 따라서 머리부(200)는 공기가 충전됨에 따라 팽창되면서 높이가 상승 된다. The air intake step S130 is a step in which the controller 310 controls the air intake part 340 so as to fill the head 200 with ai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ir charge command is received in the charge determination step S120 . The air suction unit 340 sucks outside ai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10. [ The sucked air is filled in the air passage 210 of the head 200. Accordingly, the head 200 is expanded as the air is filled, and the height of the head 200 is increased.

여기서 공기흡입단계는 제어부(310)가 프로그램에 의한 설정으로 회당 공기흡입시간을 설정하여 무리한 공기 흡입으로 인한 머리부(2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사용자가 리모콘(400)을 조작하여 공기흡입의 정지명령과 단계별 흡입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suction step is set so that the controller 310 can set the air suction time per se by the program setting so as to prevent damage to the head 200 due to unreasonable air suction. Or the user may operate the remote controller 400 to set the air suction stop command and the step-by-step suction command to be input.

토출판단단계(S140)는 제어부(310)가 충전판단단계(S120)에서 공기토출명령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The discharge determining step S140 i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controller 310 determines that the air is discharged in the charge determining step S120.

공기토출단계(S150)는 토출판단단계(S140)에서 공기토출명령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10)가 에어토출부(350)를 제어하여 머리부(200)의 공기를 토출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에어토출부(350)는 머리부(200)의 내측을 개방시켜 충전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킨다. The air discharging step S150 is a step in which the controller 310 controls the air discharging unit 350 to discharge air from the head 2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ir discharging command has been received in the discharging determining step S140 . The air discharge unit 350 opens the inside of the head unit 200 to discharge the charged air to the outside.

이때 바람직하게로는 제어부(310)는 리모콘(400)으로부터 정지명령이 인가되면 에어토출부(350)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설정되거나, 또는 단계별로 공기토출량을 설정함도 가능하다. 단계별 공기토출량의 설정은 프로그램에 의해 회당 토출시간과, 완전 토출명령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preferably, the control unit 310 may be set to stop the air discharging unit 350 when a stop command is given from the remote controller 400, or may set the air discharging amount in stages. It is preferable that the setting of the stepwise air discharge amount is set by the program as the synchro discharge time and the full discharge command.

표시단계(S160)는 제어부(310)가 표시부(370)를 제어하여 공기 토출 및/또는 공기흡입 여부와 그 단계를 숫자와 문자 또는 발광소자의 점등으로 표시하는 단계이다. In the display step S160, the control unit 310 controls the display unit 370 to display whether the air is discharged and / or air is sucked, and the steps are displayed as numbers, characters, or lighting devices.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자동충전식 에어매트의 발열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FIG. 7 is a flowchart showing a heating step of an automatic rechargeable air mat using the planar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발열단계(S200)는 발열명령을 수신하는 수신단계(S210)와, 발열부(120)를 구동시키는 발열부 구동단계(S220)와, 발열부 구동단계(S220) 이후에 설정된 온도에 도달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설정온도 판단단계(S230)와, 설정온도 판단단계(S230)에서 설정된 온도에 도달되면 해당 온도를 유지하는 온도유지모드단계(S240)와, 온도 유지모드단계(S240) 이후에 전원 오프 신호가 인가되는 지를 판단하는 전원오프 판단단계(S250)와, 전원오프 판단단계(S250)에서 전원오프 명령이 수신되면 전원을 오프시키는 오프단계(S26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heating step S200 includes a receiving step S210 for receiving a heating command, a heating unit driving step S220 for driving the heating unit 120, and a heating unit driving step S220 A set temperature determination step S230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et temperature has been reached, a temperature maintenance mode step S240 for maintaining the temperature when the set temperature is reached in the set temperature determination step S230, A power off determination step S250 of determining whether a power off signal is applied after the power off command is received, and an off step S260 of turning off the power when the power off command is received in the power off determination step S250.

명령수신단계(S210)는 제어부(310)가 리모콘(400) 또는 스위치패널로부터 발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이다. 제어부(310)는 리모콘수신부(330) 또는 스위치패널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발열명령을 수신한다. The command reception step S210 is a step in which the control unit 310 receives a heat generation command from the remote controller 400 or the switch panel. The control unit 310 receives a heating instruction input by the user from the remote control receiving unit 330 or the switch panel.

여기서 사용자는 리모콘(400) 또는 스위치패널을 조작하여 발열부(120)의 구동명령을 입력함과 동시에 목표온도를 입력할 수 있다. Here, the user can operate the remote controller 400 or the switch panel to input the driving command of the heating unit 120 and input the target temperature.

발열부 구동단계(S220)는 제어부(310)가 전원부(360)를 제어하여 발열부(120)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이다. 전원부(360)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하여 발열부(120)에 전원을 인가한다. 여기서 제어부(310)는 센서부(380)의 온도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온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driving step S220 is a step of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unit 360 to control the power supply unit 360 to apply power to the heating unit 120. The power supply unit 360 applies power to the heat generating unit 12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10. Here, the controller 310 receives the temperature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unit 380 and can confirm the current temperature in real time.

아울러 제어부(310)는 리모콘(400) 또는 스위치패널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가 입력한 목표온도를 설정온도로 설정하여 표시부(370)에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10 sets the target temperature input from the remote controller 400 or the switch panel to the set temperature, and outputs the target temperature to the display unit 370.

따라서 발열선(123)은 제1인쇄필름(121)과 제2인쇄필름(122)으로부터 각각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발열된다. 그러므로 젤충전부(130)는 발열선(123)에 의하여 발열된 열에 의하여 가열된다. Accordingly, the heating line 123 is heated by the power source applied from the first printing film 121 and the second printing film 122, respectively. Therefore, the gel charging unit 130 is heated by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ing wire 123.

젤충전부(1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냉온젤이 수납된 것이며, 냉온젤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체 물성에 의하여 열이 가해지면 핫젤(Hot Gel)로 사용되고, 열이 없으면 냉기를 발산하는 쿨젤(Cool Gel)로 사용된다. 냉온젤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제품을 적용한 것으로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쿠션부(100)는 젤충전부(130)가 발열되면서 핫젤(Hot Gel)로서의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온도가 상승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gel charging unit 130 stores the hot and cold gel. The hot and cold gel is used as a hot gel when heat is applied due to its own propertie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hot gel is used, Gel). The cold gel is generally known product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Therefore, the temperature of the cushion part 100 rises as the gel filling part 130 generates heat and functions as a hot gel.

따라서 사용자는 머리부(200)에 머리가 위치되고, 쿠션부(100)에 머리 이하의 신체를 위치시킨 상태라면, 젤충전부(130)를 통하여 전달된 열에 의하여 보온될 수 있다. Therefore, the user can keep the head by the heat transmitted through the gel charging part 130 if the head is positioned at the head part 200 and the body below the head is positioned at the cushion part 100. [

아울러 본 발명은 전자파 차폐필름(124)을 구비하고 있어 발열선(123)의 발열시에 발생되는 전자파가 차단되어 인체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발열부(120)는 열과 마모 및 충격에 강한 탄성재(126)가 구비됨에 따라 실내 뿐만 아니라 야외에서 사용하더라도 지면이나 사용자의 체중에 의한 손상을 받지 않는다. 이때 자동충전 에어부(110)는 단열필름(125)에 의하여 발열선(123)에 의한 열이 차단된다.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ilm 124, the electromagnetic wave generated at the time of generating heat of the heating wire 123 is cut off and does not affect the human body. Also, since the heat generating part 120 is provided with the elastic material 126 resistant to heat and abrasion and impact, it is not damaged by the weight of the ground or the user even if it is used outdoors as well as indoors. At this time,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ing wire 123 is blocked by the heat insulating film 125 in the automatic charging air portion 110.

설정온도 판단단계(S230)는 제어부(310)가 센서부(380)의 온도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설정온도와 현재온도가 일치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냉온젤이 핫젤(Hot Gel)로서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열의 손실이 적어 빠른 시간내로 설정온도의 상승이 가능하다. The set temperature determination step S230 is a step in which the control unit 310 receives the temperature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unit 380 and determines whether the set temperature matches the current temperatur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ld gel functions as a hot gel as described above, the heat loss can be reduced and the set temperature can be increased within a short time.

온도유지모드단계(S240)는 제어부(310)가 설정온도 판단단계(S230)에서 현재 온도가 설정온도에 해당되면, 온도조절부(320)를 제어하여 발열선(123)의 발열온도가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이다. 온도조절부(320)는 예를 들면, 발열선(123)에 인가되는 전원레벨(예를 들면, 전류)을 조절하여 현재 온도로 유지되도록 조절한다. 여기서 냉각젤은 열의 손실이 적고 저장된 열을 종래의 전기매트에 비하여 장시간 저장할 수 있어 설정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In the temperature maintaining mode step S240, if the current temperature is equal to the set temperature in the set temperature determination step S230, the controller 310 controls the temperature adjusting unit 320 so that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heating line 123 is set to a set temperature . The temperature regulator 320 regulates a power supply level (for example, current) applied to the heating line 123 to maintain the current temperature. Here, the cooling gel has less loss of heat and the stored heat can be stored for a longer period of time than the conventional electric mat, so that the energy consumed to maintain the set temperature can be saved.

전원오프 판단단계(S250)는 제어부(310)가 리모콘(400) 또는 스위치패널로부터 전원오프 명령이 수신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전원오프는 사용자가 리모콘(400)이나 스위치패널의 수동조작에 의한 명령을 입력함도 가능하나, 전원오프 시간을 예약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power off decision step S250 i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controller 310 receives a power off command from the remote controller 400 or the switch panel. Here,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input a command by the manual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400 or the switch panel, but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power off time in advance.

오프 단계(S260)는 전원오프 판단단계(S250)에서 전원 오프 명령 또는 예약설정된 조건에 일치되면, 제어부(310)가 전원부(360)를 제어하여 발열부(120)를 오프시키는 단계이다. The off step S260 is a step in which the control unit 310 controls the power supply unit 360 to turn off the heat generating unit 120 when the power off command or the preset condition is satisfied in the power off determination step S25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보온이 필요한 시기에 발열부(120)를 구동시켜 쿠션부(100)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주변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온도가 하강하는 냉온젤을 구비함에 따라 발열부(120)가 장시간 동안 오프된 상태에서 냉방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cushion unit 100 by driving the heat generating unit 120 at a time when the heat insulation is needed.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ld gel whose temperature is lowered through heat exchange with ambient air as described above, the cooling unit can perform the cooling function while the heating unit 120 is off for a long time.

즉, 냉온젤은 발열부(120)가 오프된 이후에 저장된 열이 모두 손실되면, 핫젤(Hot Gel)에서 쿨젤(Cool Gel)로 변환되어 기능을 수행한다. That is, when all the stored heat is lost after the heating unit 120 is turned off, the hot and cold gel is converted into a cool gel from a hot gel to perform a function.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자동충전식 에어매트는 겨울철에 실내 및 실외에서 종래에 비하여 보다 빠른 시간 내로 설정온도에 도달될 수 있고, 보다 적은 에너지로서 설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여름에는 실내 및 야외에서 냉방매트로 활용할 수 있다. Therefore, the automatic rechargeable air matt using the planar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ch the set temperature in a shorter time in the indoor and the outdoor in winter, and can maintain the set temperature with less energy. In summer, it can be used as a cooling mat both indoors and outdoors.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0 : 쿠션부 110 : 자동충전 에어부
120 : 발열부 121 : 제1인쇄필름
122 : 발열선 123 : 제2인쇄필름
124 : 전자파 차폐층 124a : 퍼멀로이층
125: 단열필름 126 : 탄성재
130 : 젤충전부 200 : 머리부
210 : 공기유로 300 : 제어부재
310 : 제어부 320 : 온도조절부
330 : 리모콘수신부 340 : 에어흡입부
350 : 에어토출부 360 : 전원부
370 : 표시부 380 : 센서부
400 : 리모콘
100: Cushion part 110: Automatic charging air part
120: heating portion 121: first printing film
122: heating wire 123: second printing film
124: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124a: Permalloy layer
125: adiabatic film 126: elastic material
130: Gel filling part 200: Head part
210: air passage 300: control member
310: control unit 320: temperature control unit
330: remote control receiver 340: air inlet
350: Air discharge part 360: Power supply part
370: Display portion 380: Sensor portion
400: Remote control

Claims (7)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머리부와, 면상발열체가 구비되어 상기 머리부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쿠션부;
리모콘; 및
상기 리모콘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쿠션부와 상기 머리부중 선택된 하나의 공기 토출을 제어하여 높이를 조절하는 제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는
PE폼 또는 우레탄폼으로서 제조되어 내측에서 공기가 이동되는 공기유로 사이로 공기가 자동으로 충전되는 자동충전 에어부;
전원에 의하여 발열되는 면상발열체를 구비하여 상기 자동충전 에어부의 상면에 적층되는 발열부;
상기 발열부에서 발열된 열이 핫젤(Hot Gel)로 변환되고, 상기 발열부가 오프되면 쿨젤(Cool Gel)로 변환되는 냉온젤(Hot/Cool Gel)이 충전되어 상기 발열부의 상면에 적층되는 젤충전부;
상기 머리부는 PE폼 또는 우레탄폼으로서 제조되어 내측에서 공기가 이동되는 공기유로 사이로 공기가 자동으로 충전되는 자동충전 에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리모콘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수신부;
상기 발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머리부와 쿠션부에 각각 설치된 상기 자동충전 에어부들중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공기를 토출시키는 에어토출부;
상기 발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 및
상기 리모콘수신부에서 수신된 명령에 따라서 상기 에어토출부를 제어하여 상기 자동충전 에어부에 의해 자동 충전된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발열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면상발열체는
제1인쇄필름의 일면에서 은나노 잉크로 인쇄된 발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자동충전식 에어매트.
A cushion portion having a surface heating element and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head portion;
remote control; And
And a control member for controlling the height of the selected one of the cushion unit and the head unit according to an operation signal of the remote controller,
The cushion portion
An automatic filling air portion which is made of PE foam or urethane foam and is automatically filled with air between air passages through which air moves inside;
A heating unit having a planar heating element that generates heat by a power source and is stack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automatic charging air unit;
When the heat generated in the heating unit is converted into a hot gel and the hot / cool gel is converted into a cool gel when the heating unit is turned off, ;
Wherein the head portion is made of a PE foam or a urethane foam and is composed of an automatic filling air portion in which air is automatically filled between air flow paths in which air moves inside,
The control member
A remote control receiver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heating unit;
An air discharging portion for discharging any one of the automatically-charged air portions provided in the head portion and the cushion portion;
A temperature regulator for regulating a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ir discharge unit to discharge the air automatically charged by the automatic charging air unit in response to a command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receiver unit and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unit to drive the heating unit,
The surface heating element
Wherein the first printed film is a heating line printed with silver nano ink on one side of the first printed fil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면상발열체의 하측에 적층되어 상기 자동충전 에어부에 전달되지 않도록 단열시키는 단열필름;
상기 면상발열체의 상측에 적층되어 전자파를 차폐시키는 전자파 차폐 필름; 및
상기 자동 충전 에어부의 상면과, 상기 젤충전부의 하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상기 단열필름 및 전자파 차폐필름에 각각 적층되어 상기 면상발열체를 보호하는 탄성재;를 포함하는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자동충전식 에어매트.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heat generating portion
A heat insulating film lamin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and insulated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automatic charging air portion;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ilm laminated on the surface heating element to shield the electromagnetic wave; And
And an elastic material laminated on the heat insulating film and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ilm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automatic charging air portio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gel charging portion to protect the surface heating elemen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차폐 필름은
고분자, 카본, Al, Ag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 도전성 페이스트로서 제조된 전자파 차폐 잉크가 제2인쇄필름의 일면에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자동충전식 에어매트.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ilm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n electromagnetic shielding ink prepared as a conductive paste containing at least one of a polymer, carbon, Al, and Ag is printed on one surface of a second printing film.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상기 머리부와 쿠션부의 높이를 증가시키는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높이를 증가시키는 에어흡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자동충전식 에어매트.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member
Further comprising an air suction part for sucking outside air under control of the control part to increase the height when a command for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head part and the cushion part is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Auto rechargeable air mat.
KR1020150066203A 2015-05-12 2015-05-12 Planar heating element using auto charging air mat KR1017258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203A KR101725845B1 (en) 2015-05-12 2015-05-12 Planar heating element using auto charging air m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203A KR101725845B1 (en) 2015-05-12 2015-05-12 Planar heating element using auto charging air m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612A KR20160133612A (en) 2016-11-23
KR101725845B1 true KR101725845B1 (en) 2017-04-13

Family

ID=57541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203A KR101725845B1 (en) 2015-05-12 2015-05-12 Planar heating element using auto charging air m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84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430B1 (en) * 2016-12-13 2019-10-18 천봉우 Air matres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168Y1 (en) * 2006-03-01 2006-09-01 김왕진 Aroma Mattres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0696A (en) * 2004-08-18 2005-05-03 주식회사 미건의료기 Mattress for a heating therapeutic where the air pad is equipped fully
KR100726095B1 (en) 2005-03-14 2007-06-12 차찬열 Air mat with the function to blow a natural wind, artificial warm wind, or cold wind selectively
KR20070000379U (en) * 2007-02-05 2007-03-30 이장훈 sheet type heating element having electron wave interception function
KR20130000319U (en) * 2011-07-05 2013-01-15 이연수 Cold & Heat Gel Ma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168Y1 (en) * 2006-03-01 2006-09-01 김왕진 Aroma Mattr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612A (en)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964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imate controlled seats
US4413857A (en) Seat cover
US10857062B2 (en) Spring bed device with heating function
JP5445919B2 (en) Fixed shape bed mattress with heating and sterilization unit
JP2004338702A (en) Automobile seat, and blowing device for automobile seat
WO2006110808A2 (en) Portable heated padding for pets
CN207125401U (en) A kind of shoe-pad with heating function
CN104643679A (en) Multifunctional cushion
KR101725845B1 (en) Planar heating element using auto charging air mat
US20060015998A1 (en) Heating system for bathing vessels and related structures
KR200422541Y1 (en) Air mattress with hot air, cold air, natural air blowing function and heat function
KR20080005128U (en) Air seat
KR20060091733A (en) Bed used in warm water
CN203543741U (en) Ventilation seat heating cushion
CN211021810U (en) Intelligent mattress adaptive electric blanket system
CN105496082B (en) A kind of Intelligent refrigeration sofa
WO2016166638A1 (en) Improved mattress with temperature control system
KR101485587B1 (en) Assembly type electric heat seat
KR101156641B1 (en) Heating apparatus for car seat
KR101948562B1 (en) Multi-layer heating wire mat
CN107244273A (en) A kind of distributed automobile seat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 based on semiconductive thin film
CN2228309Y (en) Temp.-adjustable balance type air-inflating mattress
CN215015503U (en) Multifunctional intelligent mattress suitable for indoor and outdoor
KR200442839Y1 (en) Mattress for yellow mud bed
KR101610730B1 (en) Heater apparatus for vehicle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