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597B1 - 이차전지 충방전 시스템 및 이차전지 충방전기 냉각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충방전 시스템 및 이차전지 충방전기 냉각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597B1
KR101725597B1 KR1020140150454A KR20140150454A KR101725597B1 KR 101725597 B1 KR101725597 B1 KR 101725597B1 KR 1020140150454 A KR1020140150454 A KR 1020140150454A KR 20140150454 A KR20140150454 A KR 20140150454A KR 101725597 B1 KR101725597 B1 KR 101725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condary battery
cooling
power supply
cool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0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1064A (ko
Inventor
송종현
조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150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597B1/ko
Publication of KR20160051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9Overheat or overtemperature prot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6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connection detect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 충방전 시스템 및 이차전지 충방전기 냉각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차전지를 충전 또는 방전시키는 충방전기; 상기 충방전기에 인가되는 전원을 관리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를 냉각하는 냉각부; 상기 전원부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상기 전원부의 상태에 따라 상기 냉각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차전지 충방전기의 전원부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부의 전원을 제어하여 비가동시 소모되는 대기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차전지 충방전 시스템 및 이차전지 충방전기 냉각제어방법{Secondary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Cooling}
본 발명은 이차전지 충방전 시스템 및 이차전지 충방전기 냉각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방전기 전원부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부를 제어하여 비가동 시 소모되는 대기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이차전지 충방전 시스템 및 이차전지 충방전기 냉각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로서, 대표적인 예로는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등이 있으며, 저용량의 이차전지는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이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널리 사용되고, 대용량의 이차전지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 및 전력 저장용 전지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외부의 전기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의 형태로 바꾸어 저장해 두는 충전 과정과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의 형태로 바꾸어 사용하는 방전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충방전 공정 시, 이차전지 셀은 충방전기로 인입되고 전류 및 전압을 인가 받아 충전 및 방전을 통하여 활성화된다.
한편, 충방전기는 별도의 전원부에 의하여 전원이 관리된다. 도 1은 이러한 충방전기의 전원부(20)를 도시한 도면이다. 충방전기 전원부(20)의 내부 소자가 열화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원부(20)에는 내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미도시)가 마련된다. 냉각부(미도시)는 팬(fan)과 같이 바람을 송풍하는 부재로 마련되며, 전원부(20)의 온도를 일정 온도 이하로 유지하기 위하여 전원부(20)의 비가동시에도 항상 가동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항상 냉각부(미도시)가 구동됨에 따라 전원부(20)가 비가동시에도 대기 전력을 소모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차전지 충방전기의 전원부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부의 전원을 제어하여 비가동시 소모되는 대기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이차전지 충방전 시스템 및 이차전지 충방전기 냉각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충방전 시스템은, 이차전지를 충전 또는 방전시키는 충방전기; 상기 충방전기에 인가되는 전원을 관리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를 냉각하는 냉각부; 상기 전원부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상기 전원부의 상태에 따라 상기 냉각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제어부가 전원부 상태에 따라 냉각부의 구동을 제어하여 냉각부 구동에 따라 소모되는 대기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전원부의 구동 여부를 감지하는 구동 감지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부가 구동될 경우 상기 냉각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전원부의 구동이 중단된 경우 상기 냉각부의 구동이 중단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전원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냉각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전원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낮을 경우 상기 냉각부의 구동이 중단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충방전기에 이차전지의 인입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이차전지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차전지가 상기 충방전기에 인입되면 상기 냉각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이차전지가 상기 충방전기로부터 반출되면 상기 냉각부의 구동이 중단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차전지가 상기 충방전기에 인입되면 상기 냉각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이차전지가 상기 충방전기로부터 반출되면 기설정된 시간 후 상기 냉각부의 구동이 중단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충방전 시스템 및 이차전지 충방전기 냉각제어방법에 따르면, 이차전지 충방전기의 전원부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부의 전원을 제어하여 비가동시 소모되는 대기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이차전지 충방전기의 전원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충방전 시스템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다른 이차전지 충방전 시스템의 제어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충방전기 냉각제어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차전지 충방전 시스템 및 이차전지 충방전기 냉각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충방전 시스템을 먼저 설명한 후, 이차전지 충방전기 냉각제어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차전지 충방전 시스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충방전 시스템은, 이차전지를 충전 또는 방전시키는 충방전기(10); 충방전기(10)에 인가되는 전원을 관리하는 전원부(20); 전원부(20)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부(30); 전원부(20)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40); 및 센서(40)로부터 감지된 상기 전원부(20)의 상태에 따라 상기 냉각부(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한다.
충방전기(10)는 이차전지가 인입되어 충방전되기 위한 것으로, 소형 또는 자동차에 사용되기 위한 대형 이차전지를 충방전하여 활성화시키기 위한 장치이고, 전원부(20)는 이와 같은 충방전기(10)의 전원을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냉각부(30)는 전원부(20)를 냉각시키기 위한 것이다. 냉각부(30)는 전원부(20) 내부의 온도를 강하시켜 전원부(20) 내부 소자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하여 냉각부(30)는 전원부(20) 내부에 바람을 송풍하는 팬으로 마련된다. 냉각부(30)는 제어부(60)에 의하여 그 구동이 제어된다.
센서(40)는 냉각부(30)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감지하여 제어부(60)로 전달한다. 센서(40)는 다양한 종류로 구비되며, 센서(40)의 종류에 따라 감지하는 정보 역시 상이하므로 제어부(60)의 구동 역시 상이하다. 이에, 센서(40)의 종류에 따라 실시예로 구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충방전 시스템의 냉각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충방전 시스템은 센서(40)가 전원부(20)의 구동 여부를 감지하는 구동 감지 센서로 구비된다.
센서(40)가 구동 감지 센서로 구비됨에 따라, 제어부(60)는 센서(40)로부터 전원부(20)의 구동 여부 정보를 전달받는다. 제어부(60)는 전원부(20)가 구동될 경우 냉각부(30)를 구동시키고, 전원부(20)의 구동이 중단된 경우 상기 냉각부(30)의 구동이 중단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전원부(20)의 가동 시에만 냉각부(30)를 구동시키므로 대기 전력 소모를 저감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충방전 시스템의 냉각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충방전 시스템은 센서(40)가 전원부(2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로 구비된다. 온도 센서는 전원부(20) 내부 온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이를 제어부(60)에 전달한다.
센서(40)가 온도 센서로 구비됨에 따라, 제어부(60)는 센서(40)로부터 전원부(20) 내부 온도 정보를 전달 받는다. 제어부(60)는 전원부(20)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을 경우 냉각부(30)를 구동시키고, 전원부(20)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낮을 경우 냉각부(30)의 구동이 중단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전원부(20) 내부 온도가 45℃이상일 경우 내부의 소자들이 열화될 우려가 있다. 이에, 기설정된 온도는 45℃이며, 전원부(20) 내부 온도가 45℃보다 높은 경우 냉각부(30)를 구동시키고, 45℃보다 낮은 경우 냉각부(30)의 구동을 중지한다. 이에, 전원부(20) 내부 온도에 따라 냉각부(30)를 구동시키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전원부(20)를 냉각시킴과 동시에 대기 전력을 소모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충방전 시스템의 냉각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충방전 시스템은 충방전기(10)에 이차전지의 인입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이차전지 감지센서(50)를 더 포함한다. 이차전지 감지센서(50)는 충방전기(10)에 이차전지가 충방전 공정을 위하여 인입하는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이에, 이차전지 감지센서(50)는 충방전기(10)에 이차전지가 인입되거나 반출되는 것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60)에 전달한다.
제어부(60)는 충방전기(10)에 이차전지의 인입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는다. 제어부(60)는 이차전지가 충방전기(10)에 인입되면 냉각부(30)를 구동시키고, 충방전공정이 완료된 후, 이차전지가 충방전기(10)로부터 반출되면 냉각부(30)의 구동이 중단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0)는 냉각부(30)의 구동이 중단되는 시점을 조절하여, 이차전지가 충방전기(10)로부터 반출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냉각부(30)의 구동이 중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이차전지가 충방전기(10)로부터 반출된 이후에도 전원부(20) 내부에는 구동에 따른 잔열이 남아 있으므로, 이와 같은 잔열까지 냉각하기 위해서는 구동이 중단된 이후에도 소정 시간 냉각부(30)의 구동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차전지 충방전기 (10) 냉각제어방법>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충방전기(10) 냉각제어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 충방전기(10)의 전원을 관리하는 전원부(20)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싱 단계(S1); 전원부(20)의 상태에 따라 전원부(20)가 냉각되도록 냉각부(30)를 구동시키는 냉각부 구동 단계(S3)를 포함한다.
센싱 단계(S1)는 센서(40)가 전원부(20)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이다. 센싱 단계(S1)는 구비되는 센서(40)에 따라 감지하는 정보 역시 달라지게 되며 이에 따라 냉각부 구동 단계(S3) 역시 달라지게 된다.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같이, 센서(40)가 전원부(20)의 구동 여부를 감지하는 구동 감지 센서로 구비되는 경우, 센싱 단계(S1)는 전원부(20)의 구동 여부를 감지한다.
이에 따라, 냉각부 구동 단계(S2)는 구동 감지 센서가 감지한 전원부(20)의 구동 여부 정보를 바탕으로 냉각부(30)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냉각부(30) 구동 단계는 전원부(20)가 구동될 경우 냉각부(30)를 구동시키고, 전원부(20)의 구동이 중단된 경우 냉각부(30)의 구동을 중단시킨다.
앞서 설명한 제2 실시예와 같이, 센서(40)가 전원부(20)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로 구비되는 경우, 센싱 단계(S1)는 전원부(20)의 내부 온도를 감지한다.
이에 따라, 냉각부 구동 단계(S2)는 온도 센서가 감지한 전원부(20)의 내부 온도를 바탕으로 냉각부(30)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전원부(20)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을 경우 냉각부(30)를 구동시키고, 전원부(20)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낮을 경우 냉각부(30)의 구동을 중단시킨다.
앞서 설명한 제3 실시예와 같이, 이차전지 감지센서(50)가 마련되는 경우, 이를 이용하여 충방전기(10)에 이차전지의 인입여부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이차전지 센싱 단계(S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차전지 센싱 단계(S2)는 충방전기(10) 내에 이차전지가 인입되거나 반출되는 것을 감지한다.
이에 따라, 냉각부 구동 단계(S3)는 이차전지 감지센서(50)가 감지한 이차전지의 충방전기(10) 인입여부를 바탕으로 냉각부(30)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이차전지가 충방전기(10)에 인입되면 냉각부(30)를 구동시키고, 이차전지가 충방전기(10)로부터 반출되면 냉각부(30)의 구동을 중단시킨다.
한편, 이차전지가 충방전기(10)로부터 반출되어도 이차전지 전원부(20) 내부에는 구동에 따른 잔열이 남아 있을 수 있다. 이에, 냉각부 구동 단계(S3) 시, 냉각부(30)의 구동이 중단되는 시점을 조절하여, 이차전지가 충방전기(10)로부터 반출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냉각부(30)의 구동을 중단시킨다.
전술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충방전기
20: 전원부
30: 냉각부
60: 제어부

Claims (16)

  1. 이차전지를 충전 또는 방전시키는 충방전기;
    상기 충방전기에 인가되는 전원을 관리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를 냉각하는 냉각부;
    상기 전원부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상기 전원부의 상태에 따라 상기 냉각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충방전기에 이차전지의 인입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이차전지 감지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차전지가 상기 충방전기에 인입되면 상기 냉각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이차전지가 상기 충방전기로부터 반출되면 기설정된 시간 후 상기 냉각부의 구동이 중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충방전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전원부의 구동 여부를 감지하는 구동 감지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충방전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부가 구동될 경우 상기 냉각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전원부의 구동이 중단된 경우 상기 냉각부의 구동이 중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충방전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전원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충방전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냉각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전원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낮을 경우 상기 냉각부의 구동이 중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충방전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이차전지 충방전기의 전원을 관리하는 전원부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싱 단계;
    상기 센싱 단계로부터 감지한 상기 전원부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전원부가 냉각되도록 냉각부를 구동시키는 냉각부 구동 단계; 및
    상기 충방전기에 이차전지의 인입 여부를 감지하는 이차전지 센싱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부 구동 단계는 상기 이차전지가 상기 충방전기에 인입되면 상기 냉각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이차전지가 상기 충방전기로부터 반출되면 기설정된 시간 후 상기 냉각부의 구동이 중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충방전기 냉각제어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센싱 단계는 상기 전원부의 구동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충방전기 냉각제어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 구동 단계는 상기 전원부가 구동될 경우 상기 냉각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전원부의 구동이 중단된 경우 상기 냉각부의 구동이 중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충방전기 냉각제어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센싱 단계는 상기 전원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충방전기 냉각제어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 구동 단계는 상기 전원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냉각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전원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낮을 경우 상기 냉각부의 구동이 중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충방전기 냉각제어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40150454A 2014-10-31 2014-10-31 이차전지 충방전 시스템 및 이차전지 충방전기 냉각제어방법 KR101725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454A KR101725597B1 (ko) 2014-10-31 2014-10-31 이차전지 충방전 시스템 및 이차전지 충방전기 냉각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454A KR101725597B1 (ko) 2014-10-31 2014-10-31 이차전지 충방전 시스템 및 이차전지 충방전기 냉각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064A KR20160051064A (ko) 2016-05-11
KR101725597B1 true KR101725597B1 (ko) 2017-04-10

Family

ID=56025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0454A KR101725597B1 (ko) 2014-10-31 2014-10-31 이차전지 충방전 시스템 및 이차전지 충방전기 냉각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5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5202A (ko) 2020-04-08 2021-10-18 (주)하나기술 이차전지 충방전기 고장 예측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59064B (zh) * 2016-10-27 2019-04-30 许继电源有限公司 一种换热器及使用该换热器的充电机机柜及充电机
KR102314575B1 (ko) 2018-01-12 2021-10-2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의 충방전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활성화 공정 장치
CN108520993A (zh) * 2018-04-10 2018-09-11 深圳市隆宸科技有限公司 电池恒温系统以及电池充放电管理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3387A (ja) * 1998-07-07 2000-01-21 Nec Corp 充電回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8933B2 (ja) * 1996-09-11 2000-06-05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充電器
KR100495158B1 (ko) * 2003-07-11 2005-06-10 (주)동성이엔씨 대용량 충전기
KR100658623B1 (ko) * 2005-03-11 2006-1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온도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3387A (ja) * 1998-07-07 2000-01-21 Nec Corp 充電回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5202A (ko) 2020-04-08 2021-10-18 (주)하나기술 이차전지 충방전기 고장 예측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064A (ko)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1994B2 (en) Temperature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battery pack
US10553911B2 (en) Battery pack and battery driving apparatus
KR101725597B1 (ko) 이차전지 충방전 시스템 및 이차전지 충방전기 냉각제어방법
JP6656396B2 (ja) 蓄電池充電のための制御装置および蓄電池を充電する方法
EP2685589B1 (en) Battery pack, method of charging the sam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9209637B2 (en) Battery control apparatus
KR20180103081A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102285145B1 (ko) 전기 이동 수단 및 그 제어 방법
US20160294021A1 (en) Charging apparatus, electricity storage system, charging method, and program
KR20180032084A (ko) 밸런싱 배터리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12645B1 (ko) 축전 장치 관리 시스템
JP2011187227A (ja) バッテリーパック、電子機器、機器システム、バッテリーパック冷却部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600386A (zh) 一种脉冲节能充电方法及脉冲节能充电器
KR101601717B1 (ko) 밸런싱 소요시간을 이용한 배터리 셀 밸런싱 장치 및 방법
KR101644217B1 (ko) 배터리 팩 보호 장치 및 방법
JP2006203978A (ja) 無停電電源装置
KR20180020717A (ko) 1차 전지를 이용한 2차 전지 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3311966A (zh) 应用于并联电池组的电池自适应控制装置和方法
JP2001169471A (ja) 二次電池装置
KR100544998B1 (ko) 대용량 충전기
JP2002320339A (ja) 組電池の放電方法、組電池の放電回路、及び蓄電装置
KR101638105B1 (ko) 고온 구동형 이차전지 모듈
CN104949455A (zh) 冰箱及冰箱的照明控制装置和方法
JP2002190326A (ja) 二次電池装置
KR101363133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배터리 보호를 위한 제어 시스템 및 시스템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