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4583B1 - 압축공기포소화설비(cafs) 및 일반 포소화장치에 사용가능한 1% 합성계면활성제 포소화약제 - Google Patents

압축공기포소화설비(cafs) 및 일반 포소화장치에 사용가능한 1% 합성계면활성제 포소화약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4583B1
KR101724583B1 KR1020160099863A KR20160099863A KR101724583B1 KR 101724583 B1 KR101724583 B1 KR 101724583B1 KR 1020160099863 A KR1020160099863 A KR 1020160099863A KR 20160099863 A KR20160099863 A KR 20160099863A KR 101724583 B1 KR101724583 B1 KR 101724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oam
fire
pour point
stabiliz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종찬
이수환
김현우
Original Assignee
(주)한중유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중유화 filed Critical (주)한중유화
Priority to KR1020160099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5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58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28Liquid extinguishing substances
    • A62D1/0035Aqueous solutions
    • A62D1/0042"Wet" water, i.e. containing surfacta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28Liquid extinguishing substances
    • A62D1/005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71Foa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압축공기포소화설비(CAFS) 및 일반 포소화장치에 사용가능한 포소화약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기포제 40~72중량%; 탄소수가 8~18인 알코올을 포함하는 포안정제 2~10중량%; 유동점 강하제 25~35중량%; 부식방지제 0.5~5중량%; 및 pH 조절제 0.5~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소화약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압축공기포소화설비(CAFS) 및 일반 포소화장치에 사용가능한 1% 합성계면활성제 포소화약제{fire-fighting foam composition comprising 1% synthetic surfactant applicable compressed air foam system(CAFS) and general foam extinguishing system}
본 발명은 압축공기포소화설비(CAFS) 및 일반 포소화장치에 사용가능한 포소화약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기포제 40~72중량%, 탄소수가 8~18인 알코올을 포함하는 포안정제 2~10중량%, 유동점 강하제 25~35중량% 및 기타 첨가제로 이루어짐에 따라, 포에 담수 및 해수 모두를 적용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1%의 소량의 포소화약제만으로도 일반화재(A급화재) 및 유류화재(B급화재) 모두에 우수한 소화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소화약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화재(A급화재)나 유류화재(B급화재) 발생 시 사용되는 포소화약제는 소량의 액체 중에 다량의 기체를 분산시켜 놓은 것을 말하며, 기체의 분산방법에 따라 화학포(케미칼폼)와 기계포(메카니칼폼)로 크게 2가지로 나누어지며, 일반적으로 화학적 반응으로 기체가 생성되는 경우 화학포, 기체로 공기가 사용되어지는 경우 기계포 또는 공기포(에어폼)라 불리어지며 공기포의 작동원리는 소량의 포소화약제를 다량의 물에 용해하여 얻은 포수용액을 발포기로 보내어 기계적 방법으로 공기를 혼합시켜 포를 발생시키는데 이것을 기계포 또는 공기포라 한다. 여기서 상기 기계포 소화약제는 그 원료의 성분 및 성질에 따라 단백포소화약제, 수성막포소화약제, 알콜포소화약제, 계면활성제포소화약제 또는 고발포소화약제등으로 구분된다.
또한, 포소화약제의 포는 가볍고 견고한 미세한 기포의 집합체로 연소물을 기포에 있는 수분으로 냉각시키고 화재표면을 기포층으로 피복하여 가연물로 부터 발생하는 증기와 산소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시켜 질식 소화하는 효과를 얻는다. 이와 같이 포소화약제의 소화원리는 냉각효과와 질식효과, 봉쇄효과에 의하여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계면활성제 포소화약제는 유동성이 좋고 소화속도가 빨라서 화력이 세지 않고 포가 깨질 염려가 없는 곳에 사용하거나 저발포부터 고발포까지 빠르게 발포배율을 올릴 수 있어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지하공간화재나, 밀폐공간화재, 탄광화재 등에 주로 고발포로 주입하여 화재진압을 하는 용도로 사용되어져 왔으나 그 사용범위가 점차 확대되어 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존의 합성계면활성제 포소화약제는 알킬나프탈렌설포네이트, 알킬벤젠설폰산염, 알킬황산설페이트, 알킬황산에테르설페이트, 알킬황산설폰산염등의 음이온 탄화수소계면활성제에 불소계 계면활성제나 할로겐류를 혼합 사용하거나 보강제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비이온계면활성제를 기포보조제로 사용하였으며 특히 NP(Nonyl Phenol)계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하여 왔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합성계면활성제 포소화약제는 통상 불소계 계면활성제가 들어가 있다. 불소계의 경우 잔류성 유기화합물(PFOS/PFOA)규정이 2009년5월 스톡홀름협약에 의하여 잠정적 발암물질로 규정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2011년4월부터 이에 대한 규제가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어서 비친환경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 부식성이 강하고 하천 등에 노출 시 생분해성이 매우 떨어지는 알킬나프탈렌설포네이트, 알킬벤젠설폰산염, 알킬황산설페이트류 등이 소화성능을 위하여 무분별하게 사용되어져 왔으나, 사용 시 진압대원이나 진압대상에 대한 약제접촉 및 침투에 의한 추가피해, 대상물에 대한 2차 피해와 하천 및 환경에 노출 시 생태계파괴나 해가 일어 날 수 있어 점점 그 사용이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등록특허 제10-1049426호에서 확인할 수 있듯, 알킬베타인 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하고 기포안정제로 셀룰로오즈와 폴리아마이드를 혼합사용하고 부동제 등을 첨가하여 친환경적인 합성계면활성제 포소화약제를 개발하였다.
그러나 상기 포소화약제의 경우, 친환경적이기는 하나 3% 농도의 포소화약제로 성능을 발휘하므로 소화약제의 사용량이 많아 대형화재 시 소방차에 내장된 약제의 부족으로 제때 포소화 발포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었다. 특히, 3% 포소화약제를 사용함에 따라, 적은 양의 물과 포소화약제를 투입하여 포의 질을 향상시키고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방사거리를 높여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설비인 CAFS(압축공기포소화설비)에 사용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포소화약제 1%만으로도 우수한 발표 효율로 A급 및 B급 모두에서 향상된 소화성능을 나타내도록 함은 물론이고, 유동점을 -22.5℃로 낮게 유지할 수 있는, 압축공기포소화설비(CAFS) 및 일반 포소화장치 모두에 적용가능한 포소화약제를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기포제 40~72중량%;
탄소수가 8~18인 알코올을 포함하는 포안정제 2~10중량%;
유동점 강하제 25~35중량%;
부식방지제 0.5~5중량%; 및
pH 조절제 0.5~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소화약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높은 함량의 계면활성제, 유동점 강하제 및 탄소수 8~18의 알코올을 포함하는 포안정제를 포소화약제에 포함함에 따라, 계면활성제에 의해 발생되는 포 안정성이 개선되어 발포배율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포 안정성 개선에 의해 발포배율이 향상됨에 따라, 1%의 낮은 농도의 포소화약제만으로도 A급 및 B급 모두에서 우수한 소화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포안정제로 탄소수가 8~18인 알코올을 포함하고, 상기 포안정제와 유동점 강하제가 1 : 3 ~ 8 중량비로 포소화약제에 포함됨에 따라, 포소화약제의 유동점을 -22.5℃로 유지함은 물론이고, 유동점 강하제 증가에 의해 발생되는 소화성능 저하 문제를 개선하여, 저농도의 포소화약제만으로도 한국소방산업기술원에서 제시하는 소화성능을 만족하도록 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1% 포소화약제의 저발포 소화성능 측정 시험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1% 포소화약제의 고발포 소화성능 측정 시험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압축공기포소화설비(CAFS) 및 일반 포소화장치에 사용가능한 포소화약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기포제 40~72중량%, 탄소수가 8~18인 알코올을 포함하는 포안정제 2~10중량%, 유동점 강하제 25~35중량% 및 기타 첨가제로 이루어짐에 따라, 포에 담수 및 해수 모두를 적용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1%의 소량의 포소화약제만으로도 일반화재(A급화재) 및 유류화재(B급화재) 모두에 우수한 소화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소화약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기포제 40~72중량%;
탄소수가 8~18인 알코올을 포함하는 포안정제 2~10중량%;
유동점 강하제 25~35중량%;
부식방지제 0.5~5중량%; 및
pH 조절제 0.5~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소화약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포제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이 혼합되어 이루어지고, 40~72중량%의 함량으로 포소화약제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는 지방산코코일 아마이드, 알킬폴리알킬렌 글리콜,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 및 알킬폴리글루코시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알킬디메틸베타인, 알킬프로필베타인 및 알킬암포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양쪽성 계면활성제이며, 상기 알킬기는 8~14개의 탄소수임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기포제는 생분해성이 우수한 식물성 오일의 유도체나 베타인계 천연계면활성제인 알킬프로필베타인을 포함하여 친환경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포제는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베타인과 알킬암포아세테이트를 포함하여, 40~72중량%로 포함됨에 따라, 기포 형성을 향상시켜 고발포 및 저발포 모두에서 높은 발포배율을 나타내고, 포 형성 시 담수는 물론이고 해수 또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포안정제는 탄소수가 8~18인 알코올을 포함하고, 2~10중량%로 포소화약제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포안정제는 셀룰로오즈, 폴리아마이드, 전분, 덱스트린, 올리고당, 물엿, 설탕 및 탄소수가 8~18인 알코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포안정제로, 상기 포안정제 100중량%에 대해, 상기 탄소수가 8~18인 알코올을 30~45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탄소수가 8~18인 알코올을 상기 포안정제 100중량%에 대해 30~45중량%로 포함하는 것은 상기 계면활성제의 포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유동점 강하제 첨가에 따라 발생되는 소화성능 저하 현상을 방지하지 위한 것으로, 이때 탄소수가 8 미만의 알코올을 포안정제로 포함할 경우, 포 안정제로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탄소수가 18을 초과한 알코올을 포안정제로 포함할 경우, 저온에서 결정화가 쉽게 이루어져 유동점을 저온으로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음에 따라, 본 발명은 포안정제로 탄소수가 8~18인 알코올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안정제에 탄소수가 8~14인 알코올이 상기 포안정제 100중량%에 대해, 30~4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안정제와 관련하여, 상기 포안정제와 유동점 강하제는 1 : 3 ~ 8 중량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유동점 강하제는 본 발명의 포소화약제에 있어서 25~35중량%로 포함됨에 따라, 유동점을 -22.5℃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포안정제와의 중량비에 있어서, 포안정제: 유동점 강하제가 1: 3~8 중량비를 나타냄에 따라, 상기 유동점을 -22.5℃로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유동점 강하제에 의해 소화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동점 강하제는 에틸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및 디에틸렌글리콜 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동점 강하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포소화약제는 첨가제로서 부식방지제 0.5~5중량% 및 pH 조절제 0.5~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부식방지제는 탄소수가 8~18인 지방산 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pH 조절제로는 카프릴산(Caprylic acid), 수산화칼륨(KOH)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포소화약제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포소화약제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제조하였다.
단, 이때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포안정제에 있어서 포함하는 알코올의 성분만을 달리하였다. 즉, 실시예 1은 탄소수 8의 1-옥탄올(1-Octanol)을 포함하였으며, 실시예 2는 탄소수 14의 미리스틸 알코올(Myristyl alcohol)을 포함하도록 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함량(%)
기포제
베타인 베타인 55.50
코코암포카복시글리시네이트 코코암포카복시글리시네이트 5.18
포안정제
올리고당 올리고당 4.00
1-octanol 미리스틸 알코올 2.50
유동점 강하제
글리세린 글리세린 6.00
Butyl carbitol Butyl carbitol 24.50
부식방지제 N-isopropanol oleamide N-isopropanol oleamide 0.60
pH 조절제 KOH 45%, 카프릴산 KOH 45%, 카프릴산 1.72
비중 측정
상기 제조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포소화약제에 대해, KS M 0004에 따라 20℃온도에서 비중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비중은 각각 1.038 및 1.039로 측정되었으며, 이는 포소화약제의 형식승인 및 검정기술기준검정시험세칙(KOFEIS 0103)의 합성계면활성제 포소화약제의 비중범위인 0.90이상 1.20이하를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동점 측정
상기 제조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포소화제 원액을 각각 유동점 튜브에 45ml 눈금선까지 넣고 저온 베스에 넣은 다음 온도가 2.5℃ 떨어질 때마다 유동 여부를 확인하고, 유동하지 않는 온도에 2.5℃를 더한 그 값을 유동점으로 측정하였다.(KS M 2016에 따름)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유동점이 모두 -22.5℃로 측정됨에 따라, KOFEIS 0103의 유동점 온도를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점도 측정
상기 제조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포소화제에 대한 동점도는 KS M 2014에 따라 측정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온도(℃) 실시예 1 실시예 2
-10 80.25 85.66
20 17.52 20.82
50 6.12 7.83
상기 표 2를 참고하면,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 모두 KOFEIS 0103의 동점도 기준을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발포성능 시험
상기 제조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포소화약제에 대한 발포성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먼저 상기 포소포약제 각각을 1% 농도의 포수용액(포소화약제 원액 1중량%와, 물 99중량%로 이루어짐)으로 희석하여 준비하였다.
(1) 저발포성능
20±2℃인 상기 포수용액(1%농도) 각각을 수압력이 0.7MPa, 방수량이 매분 10L인 조건에서 표준발포 노즐을 이용하여 발포하여, 노즐 선단에서 10cm정도 떨어진 위치에 용량을 아는 2개의 포수집용기에 포(거품)를 수집하였다. 이때 포수집용기에 수집된 포의 양을 g수로 측정하여 하기 식(1)에 따라 포팽창율을 계산하였다.
또한, 상기 포수집용기에 폼(거품)이 가득 차는 때부터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거품)로부터 포수용액이 25% 환원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Figure 112016076166625-pat00001
(1)
Q : 발포기의 1분간 당 방출량(ℓ)
S : 거품수집시간(초)
V : 포수집 용기의 용적(ℓ)
하기 표 3은 저발포 성능시험에 따른 포팽창율 및 25% 환원시간을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1 실시예 2
포팽창율 12.0배 12.3배
25% 환원시간 7분 13초 7분 50초
상기 표 3을 참고하면, 실시예 1 및 실시예 2 모두는 12배 이상의 포팽창율을 나타냄은 물론이고, 7분 이상의 25% 환원시간을 나타냄에 따라, KOFEIS 0103의 저발포 팽창율 기준 조건인 6배 이상 및 1분 이상의 25% 환원 시간 조건을 모두 만족함은 물론이고, 현저히 향상된 저발포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고발포성능
20±2℃인 상기 포수용액(1%농도) 각각을 수압력이 0.1MPa, 방수량이 매분 6L, 풍량이 매분 13㎠인 조건에서 표준발포장치를 이용하여 2m×2m×1m의 금망 용기로 발포하고, 상기 금망에 포가 가득차는 시간을 잰 뒤, 포팽창율 및 포수집에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금망에 가득한 포(거품)로부터 포수용액이 25% 환원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이때 포팽창율은 상기 식(1)에 따라 고발포성능을 2회 측정한 산술평균값으로 하였다.
하기 표 4는 고발포 성능시험에 따른 포배율 및 25% 환원시간을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1 실시예 2
포수집에 걸리는 시간 1분 17초 1분 08초
포팽창율 520 588
25% 환원시간 9분 45초 11분 05초
상기 표 4를 참고하면, 실시예 1 및 실시예 2 모두는 520배 이상의 포팽창율을 나타냄은 물론이고, 9분 이상의 25% 환원시간을 나타냄에 따라, KOFEIS 0103의 고발포 팽창율 기준 조건인 500배 이상 및 3분 이상의 25% 환원 시간 조건을 모두 만족함은 물론이고, 현저히 향상된 고발포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화성능 시험
상기 제조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포소화약제에 대한 소화성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먼저 상기 포소포약제 각각을 1% 농도의 포수용액(포소화약제 원액 1중량%와, 물 99중량%로 이루어짐)으로 희석하여 준비하였다.
(1) 저발포 소화성능
한국소방산업기술원에서 제시하고 있는 포소화약제의 형식승인 및 검정기술기준검정시험세칙(KOFEIS 0103)에 따라, 저발포 B급화재 소화성능 시험을 실시하였다.
물 320L와 휘발유(n-Heptane) 200±5L를 B급화재 모형에 담고 불을 붙인 다음 1분 후에 20±2℃의 상기 포수용액을 화원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8분간 방사하였다. 이때, 포가 완전히 형성되어 화재에 포가 적용되고 이에 따라 소화되는 시간까지 기록(소화시간)하였다. 또한, 8분간의 발포가 끝난 후, 점화기로 거품 표면에 12분간 불꽃을 가까이 하는 경우 재발화하는지 밀봉성 여부를 관찰하였다. 또한 거품 표면의 중앙부에 1변의 길이가 15cm인 정방형으로 연료면을 노출시킨 후 이에 다시 불을 붙여 재점화 시킨 후, 소화성능을 측정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으며, 도 1은 저발포 B급화재 소화성능 시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저발포 소화성능
B급 화재
실시예 1 실시예 2
소화시간 1분43초 1분 40초
밀봉성 재발화 않음 재발화 않음
내화성 재점화 후 10초 이내 소화 재점화 후 10초 이내 소화
상기 표 5 및 도 1을 참고하면, 실시예 1 및 실시예 2 모두는 2분 이내에 소화됨은 물론이고, 소화 후 재발화하지 않았으며, 재점화 후에도 10 초 이내에 소화가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KOFEIS 0103의 B급 저발포 소화 성능 기준인 5분 이내 소화 시간을 만족함은 물론이고, 소화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하였음을 알 수 있다.
(2) 고발포 소화성능
한국소방산업기술원에서 제시하고 있는 포소화약제의 형식승인 및 검정기술기준검정시험세칙(KOFEIS 0103)에 따라, 먼저 고발포 B급화재 소화성능 시험을 실시하였다.
고발포 B급화재모형에 규정량의 물과 휘발유(n-Heptane)를 주입하고, 즉시 금망을 둘렀다. 이후, 화재모형 점화와 동시에 표준발포장치를 가동시켜 포수용액만을 송수하되 점화 30초 후에 발포시켜 소화를 개시하였다. 이때 소화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또한, 소화개지 2분 30초 후 발포를 중지하고, 소화시험개시 3분 후에는 화염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또한, 고발포 A급화재 소화성능 시험을 실시하였다.
A급화재 모형에 1.5L휘발유로 점화한 후, 점화 1분 30초 후에 표준발포장치를 가동시켜 포수용액을 발포시켜 소화를 개시하였다.
소화개시 5분 후에 발포를 중지하고 잔염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잔염이 없는 경우에는 10분간 재연 여부를 검사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으며, 도 2는 고발포 A급 및 B급화재 소화성능 시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고발포 소화성능
B급 화재 A급 화재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소화시간 24초 23초 2분23초 2분 23초
기타 재발화 없음 재발화 없음 잔염없음 잔염 없음
상기 표 6 및 도 2를 참고하면, 실시예 1 및 실시예 2 모두는 B급 고발포 시, 30초 이내의 소화시간을 나타냄은 물론이고, 재발화되지 않음에 따라, KOFEIS 0103의 B급 고발포 소화 성능 기준(3분 이내)을 만족함은 물론이고, 소화시간을 현저히 단축하여 소화성능을 향상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 모두는 A급 고발포 시, 3분 이내에 소화됨은 물론이고, 소화 후 잔염이 없음에 따라, KOFEIS 0103의 A급 고발포 소화 성능 기준(5분 이내)을 만족함은 물론이고, 소화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하여 소화성능을 향상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포소화약제는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기포제 40~72중량%, 탄소수가 8~18인 알코올을 포함하는 포안정제 2~10중량%, 유동점 강하제 25~35중량% 및 기타 첨가제로 이루어짐에 따라, 압축공기포소화설비(CAFS) 및 일반 포소화장치에 모두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특히 1%의 소량의 포소화약제만으로도 일반화재(A급화재) 및 유류화재(B급화재) 모두에 대해 현저히 향상된 소화성능을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6)

  1.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기포제 40~72중량%;
    탄소수가 8~14인 알코올과, 셀룰로오즈, 폴리아마이드, 전분, 덱스트린, 올리고당, 물엿 및 설탕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포안정제 2~10중량%;
    유동점 강하제 25~35중량%;
    부식방지제 0.5~5중량%; 및
    pH 조절제 0.5~5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포안정제는 상기 탄소수가 8~14인 알코올을 포안정제 100중량%에 대해 30~45중량%로 포함하며,
    상기 포안정제와 유동점 강하제는 1 : 3 ~ 8 중량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소화약제에 있어서,
    상기 포소화약제는 KS M 2014에 따라 측정된 영하 10℃에서의 동점도가 80 내지 86cSt이고, KS M 2016에 따라 측정된 유동점이 -2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소화약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는 지방산코코일 아마이드, 알킬폴리알킬렌 글리콜,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 및 알킬폴리글루코시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소화약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알킬디메틸베타인, 알킬프로필베타인 및 알킬암포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양쪽성 계면활성제이며, 상기 알킬기는 8~14개의 탄소수임을 특징으로 하는, 포소화약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점 강하제는 에틸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및 디에틸렌글리콜 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동점 강하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소화약제.
KR1020160099863A 2016-08-05 2016-08-05 압축공기포소화설비(cafs) 및 일반 포소화장치에 사용가능한 1% 합성계면활성제 포소화약제 Active KR101724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863A KR101724583B1 (ko) 2016-08-05 2016-08-05 압축공기포소화설비(cafs) 및 일반 포소화장치에 사용가능한 1% 합성계면활성제 포소화약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863A KR101724583B1 (ko) 2016-08-05 2016-08-05 압축공기포소화설비(cafs) 및 일반 포소화장치에 사용가능한 1% 합성계면활성제 포소화약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4583B1 true KR101724583B1 (ko) 2017-04-10

Family

ID=58581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863A Active KR101724583B1 (ko) 2016-08-05 2016-08-05 압축공기포소화설비(cafs) 및 일반 포소화장치에 사용가능한 1% 합성계면활성제 포소화약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5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461A (ko) * 2018-06-01 2019-12-11 주식회사 맥테크놀로지 압축공기 포소화시스템용 고발포성 포소화용액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0796A (ko) * 2005-03-01 2008-07-31 솔베르그 스칸디나비아 에이/에스 소방용 발포 농축물
KR20090075445A (ko) * 2008-01-04 2009-07-08 (주)세이지 유류화재 진압용 고농축 폼 소화약제
KR101049426B1 (ko) * 2009-10-22 2011-07-14 (주)한중유화 친환경 합성 계면활성제 포소화약제
KR20120116927A (ko) * 2009-10-30 2012-10-23 바스프 에스이 포말 소화제 생산에 적합한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0796A (ko) * 2005-03-01 2008-07-31 솔베르그 스칸디나비아 에이/에스 소방용 발포 농축물
KR20090075445A (ko) * 2008-01-04 2009-07-08 (주)세이지 유류화재 진압용 고농축 폼 소화약제
KR101049426B1 (ko) * 2009-10-22 2011-07-14 (주)한중유화 친환경 합성 계면활성제 포소화약제
KR20120116927A (ko) * 2009-10-30 2012-10-23 바스프 에스이 포말 소화제 생산에 적합한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461A (ko) * 2018-06-01 2019-12-11 주식회사 맥테크놀로지 압축공기 포소화시스템용 고발포성 포소화용액 조성물
KR102068668B1 (ko) 2018-06-01 2020-01-21 주식회사 맥테크놀로지 압축공기 포소화시스템용 고발포성 포소화용액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76294B2 (en) Trimethylglycine as a freeze suppressant in fire fighting foams
EP3218070B1 (en) Fire fighting foaming compositions
RU2757302C1 (ru) Экологически безвредный вспененный гель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самовозгорания угля и борьбы с таким самовозгоранием
US11577110B2 (en) Post-foaming composition for protection against fire and/or heat
KR101346190B1 (ko) 친환경 중성계 강화액 소화약제 조성물
US11712592B2 (en) Wetting agent composition for extinguishing fires
US3258423A (en) Method of extinguishing liquid hydrocarbon fires
CN101559270B (zh) 一种环保水系灭火剂
US9597538B2 (en) Flame retardant and fire extinguishing product for fires in liquids
US7005082B2 (en) Fluorine-free fire fighting agents and methods
CN1314374C (zh) 不含氟类表面活性剂的泡沫灭火剂
EP2969053A1 (en) Low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glycol (peg) in fluorine containing fire fighting foam concentrates
US6231778B1 (en) Aqueous foaming fire extinguishing composition
Kawahara et al. Development of eco-friendly soap-based firefighting foam for forest fire
KR100852964B1 (ko) 소화약제
KR101049426B1 (ko) 친환경 합성 계면활성제 포소화약제
KR101724583B1 (ko) 압축공기포소화설비(cafs) 및 일반 포소화장치에 사용가능한 1% 합성계면활성제 포소화약제
KR101366308B1 (ko) 친환경 포소화약제 조성물
JP2023001130A (ja) 火災の消火方法
JP5469825B2 (ja) 大容量泡放射システム用泡消火薬剤
RU2290240C1 (ru) Огнетушащий состав
KR101358249B1 (ko) 친환경 수성막포소화약제 조성물
KR102068668B1 (ko) 압축공기 포소화시스템용 고발포성 포소화용액 조성물
JPS6147103B2 (ko)
US20020030176A1 (en) Freeze-protected, firefighting foam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1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9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1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11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703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1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11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4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