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4095B1 - 관절용 지황파스 - Google Patents

관절용 지황파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4095B1
KR101724095B1 KR1020160101804A KR20160101804A KR101724095B1 KR 101724095 B1 KR101724095 B1 KR 101724095B1 KR 1020160101804 A KR1020160101804 A KR 1020160101804A KR 20160101804 A KR20160101804 A KR 20160101804A KR 101724095 B1 KR101724095 B1 KR 101724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medicament
medicine
delete delete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좌진
Original Assignee
김좌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좌진 filed Critical 김좌진
Priority to KR1020160101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0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 A61F13/0246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 adhering layer
    • A61F13/025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 adhering layer having a special distribution arrangement of the adhes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92Transdermal patches having multiple drug layers or reservoirs, e.g. for obtaining a specific release pattern, or for combining different drugs

Abstract

본 발명은 관절용 지황파스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약제부를 두개 구비하여 관절 뿐만 아니라 관절주변까지 약제가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는 관절용 지황파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절개부를 구비하여 관절의 구부러짐에도 떨어지지 않고 파스의 부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관절용 지황파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부에 다수개의 홈을 형성하여 파스 부착으로 인한 피부 짓무름 또는 가려움을 방지할 수 있는 관절용 지황파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관절용 지황파스 {Rehmannia glutinosa medicated patch for joint}
본 발명은 관절용 지황파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약제부를 두개 형성하여 관절 뿐만 아니라 관절 주변까지 약제가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는 관절용 지황파스에 관한 것이다.
지황은 현삼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초본식물로써, 중국이 원산지이고 약용식물로 재배한다. 뿌리는 굵고 육질이며 옆으로 뻗고 붉은빛이 도는 갈색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20∼30cm이며 선모가 있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뭉쳐나고 긴 타원 모양이며 끝이 둔하고 밑 부분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고, 잎 표면은 주름이 있으며, 뒷면은 맥이 튀어나와 그물처럼 된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난다.
한방에서는 뿌리의 생것을 생지황, 건조시킨 것을 건지황, 쪄서 말린 것을 숙지황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지황은 발목이나 관절을 삐었을 때 잘 찧어서 바르면 특효가 있고, 훈증하여 생즙을 먹으면 어혈을 잘 풀어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숙지황은 보혈제로 쓰이고 생리불순 · 허약체질 · 어린이의 발육 부진 · 치매 · 조루증 · 발기부전에 사용하며, 생지황은 허약체질 · 토혈 · 코피 · 자궁 출혈 · 생리불순 · 변비에 사용하고, 건지황은 열병 후에 생기는 갈증과 장기 내부의 열로 인한 소갈증에 효과가 있으며 토혈과 코피를 그치게 한다. 이처럼, 지황은 그 자체로는 다방면으로 약리적으로 우수한 효능을 지니고 있으나 지황이 지닌 본래의 성질을 최대한 끌어낼 수 없기 때문에 지황을 접목시키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파스는 종래 허리, 관절, 목 등의 근육통이나 타박상, 요통, 관절통, 신경통, 관절염, 류마티스 등의 진통 완화 및 치료를 목적으로 진통제, 소염제, 관절염 치료제 등이 포함된 제제는 경구용 내복제나 광범위하고 파스, 연고류, 겔류, 에어졸 , 로션, 물파스 등으로 구분되는 비경구용 경피 투여제가 있으나, 비경구용 치료제(소염진통제)중에서 연고, 젤, 에어졸, 로션 타입은 붙이는 제품에 비해 지속성이 떨어지고 땀이나 물에 잘 지워지며 유효 성분이 공기 중으로 날아가 버리기 때문에 자주 발라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서 붙이는 파스를 선호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파스는 땀이 잘 빠져 나가지 못하여 부착력과 소취효과가 좋지 않고 수분 함습도가 낮아 피부의 자극 발진, 발작, 피부염 등 알레르기 증상 등이 일어나서 약제의 장기간 사용을 방해하는 부작용이 있으며, 진통소염효과를 가지는 화학약품을 사용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그로인한 추가의 부작용이 일어나 문제가 된다. 또한, 무릎, 팔꿈치 등과 같은 관절부위에 부착하였을 경우에는 관절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파스가 탈착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파스의 약제층에 약제부를 두개 구비하여 관절 뿐만 아니라 관절주변까지 약제가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는 관절용 지황파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절개부를 구비하여 관절의 구부러짐에도 떨어지지 않고 파스의 부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관절용 지황파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트부에 다수개의 홈을 형성하여 파스 부착으로 인한 피부 짓무름 또는 가려움을 방지할 수 있는 관절용 지황파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신축성을 갖고 일면을 구비한 시트부; 상기 시트부의 일면상에 도포되며 점착성분을 함유한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부; 상기 점착부 위에 도포되며 제1 및 제2지황분말을 구비한 제1약제부 및 제2약제부를 포함하는 약제부; 및 상기 제1약제부 및 제2약제부 위에 부착되어 가역적으로 박리되는 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황분말은 평균직경이 70 내지 200㎛이고, 제2지황분말의 평균직경은 10 내지 50㎛ 이고, 상기 점착부는 상기 시트부에 대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시트부를 전체적으로 덮고, 상기 약제부는 상기 점착부의 테두리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점착부의 테두리부에서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1약제부는 상기 점착부의 중심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약제부는 상기 제1약제부의 주변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관절용 지황파스를 포함한다.
상기 시트부의 두께는 0.1~1.0cm일 수 있다.
상기 시트부는 폴리우레탄 섬유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의 성분은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 아크릴 폴리머(acrylic polymer),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PVB(PolyVinyl Butyral), PVP(PolyVinyl Pyrrolidone), PVA(PolyVinyl Acetate), PEG(Polythylene Glycol), 아라비아 고무 및 젤라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1약제부에 대한 제2약제부의 함량비는 1 : 2 내지 1 : 4일 수 있다.
상기 제1약제부 및 제2약제부는 각각 지황분말, 살리실산메틸, 산화아연, 유향, 몰약 및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약제부에 포함되는 지황분말의 함량은 상기 제1약제부 총 함량에 대하여 10 내지 15중량%일 수 있다.
상기 제2약제부에 포함되는 지황분말의 함량은 상기 제2약제부 총 함량에 대하여 40 내지 50중량%일 수 있다.
상기 점착부와, 상기 제1 및 제2약제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홈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홈부는 깊이방향으로 상기 제1약제부 및 제2약제부에서 상기 점착부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시트부의 일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홈부는 제1말단과 제2말단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V자형을 포함하고, 상기 홈부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이웃하는 복수개의 V자형으로 구비되되, 상기 V자형의 제1말단과 이웃하는 V자형의 제2말단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홈부는 0.3~0.8mm의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시트부에는 초승달 형상의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는 2~4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착부 상에는 상기 제1약제부 및 제2약제부와 나란히 구비되나, 상기 제1약제부 및 제2약제부와 이격되어 상기 점착부의 테두리부(121)에 구비되는 보조점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약제부를 두개 구비하여 관절 뿐만 아니라 관절주변까지 약제가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는 관절용 지황파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절개부를 구비하여 관절의 구부러짐에도 떨어지지 않고 파스의 부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관절용 지황파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부에 다수개의 홈을 형성하여 파스 부착으로 인한 피부 짓무름 또는 가려움을 방지할 수 있는 관절용 지황파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지황파스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지황파스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점착부 및 약제부에 홈부가 형성된 파스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점착부 및 약제부에 홈부가 형성된 모습을 위에서 내려다본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점착부 및 약제부에 홈부가 형성되었을 때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부에 초승달 형상의 절개부를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점착부의 테두리부에 보조접착층이 형성되었을 때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지황파스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황으로부터 지황 추출물을 수득하는 전처리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매체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지황파스는 신축성을 갖고 일면을 구비한 시트부(110); 상기 시트부의 일면상에 도포되며 점착성분을 함유한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부(120); 상기 점착부(120) 위에 도포되며 제1 및 제2지황분말을 구비한 제1약제부(131) 및 제2약제부(132)를 포함하는 약제부(130); 및 상기 제1약제부(131) 및 제2약제부(132) 위에 부착되어 가역적으로 박리되는 필름부 (1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황분말은 평균직경이 70 내지 200㎛이고, 제2지황분말은 10 내지 50㎛ 이고, 상기 점착부(120)는 상기 시트부에 대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시트부(110)를 전체적으로 덮고, 상기 약제부(130)는 상기 점착부(120)의 테두리부(121)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점착부(120)의 테두리부(121)에서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1약제부(131)는 상기 점착부(120)의 중심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약제부(132)는 상기 제1약제부(131)의 주변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황을 포함하는 파스에 대한 것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지황파스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지황파스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시트부(110)는 두께가 0.1~1.0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부(110)의 두께가 0.1cm 미만인 경우 상기 파스를 인체 등에 접착 및 탈착시키는 경우 외력에 의하여 시트부(110)가 쉽게 손상되어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시트부(110)의 두께가 1.0cm를 초과할 경우에는 파스의 신축성이 저하되어 쉽게 탈착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시트부(110)는 폴리우레탄 섬유 재질로 형성되어 유연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폴리우레탄 섬유는 신축성이 우수하며 자유로운 합성섬유로써, 자외선과 열에도 강할 뿐만 아니라 땀이나 물에도 강해 파스를 부착하였을 때 팔, 다리, 어깨 뿐만 아니라 관절과 같이 구부러짐 및 움직임이 많은 부위에서도 떨어지지 않고 피부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땀이나 물 등에 의해 파스가 젖게 되더라도 부착성이 저하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점착부(120)는 상기 시트부(110) 위에 도포되며 점착성분을 함유한 점착제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시트부(110)에 대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시트부(110)를 전체적으로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착제의 성분은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 아크릴 폴리머(acrylic polymer),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PVB(PolyVinyl Butyral), PVP(PolyVinyl Pyrrolidone), PVA(PolyVinyl Acetate), PEG(Polythylene Glycol), 아라비아 고무 및 젤라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점착제는 상기 서술한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점착제의 종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점착제를 더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약제부(130)는 상기 점착부(120) 위에 도포되며 제1 및 제2지황분말을 구비한 제1약제부(131) 및 제2약제부(132)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황분말은 평균직경이 70 내지 200㎛이고, 제2지황분말의 평균직경은 10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지황분말의 평균직경이 70㎛ 미만일 경우 불필요한 분쇄과정으로 인하여 공정비용이 상승하여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제1지황분말의 평균직경이 200㎛를 초과할 경우에는 지황의 약리성분이 피부에 잘 흡수되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제2지황분말의 평균직경이 10㎛ 미만일 경우 불필요한 분쇄과정으로 인하여 공정비용이 상승하여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제2지황분말의 평균직경이 50㎛를 초과할 경우에는 관절 주변부에 지황의 약리성분이 빠르게 흡수되지 못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제1약제부(131) 및 제2약제부는 상기 점착부(120)의 테두리부(121)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점착부(120)의 테두리부(121)에서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1약제부(131)는 상기 점착부(120)의 중심에 구비되고 상기 제2약제부(132)는 상기 제1약제부(131)의 주변부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약제부(130)를 점착부(120)의 중심에 구비하며 상기 점착부(120)의 테두리부(121)에서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약제의 약리적 성분이 관절과 관절 주변에 잘 스며들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약제를 파스의 전면에 도포하지 않아도 되어 공정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1약제부(131) 및 제2약제부(132)는 지황분말, 살리실산메틸, 산화아연, 유향, 몰약 및 점착제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1약제부(131)에 대한 제2약제부(132)의 함량비는 1 : 2 내지 1 : 4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약제부(131)에 대한 제2약제부(132)의 함량비가 1 : 2 미만일 경우 제1약제부(131)와 제2약제부(132)의 함량차이가 미미하여 파스의 통증완화 효과가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약제 함량비가 1 : 4를 초과할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많은 약제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경제적이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약제부(131)에 포함되는 지황분말의 함량은 상기 제1약제부(131) 총 함량에 대하여 10 내지 1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약제부(132)에 포함되는 지황분말의 함량은 상기 제2약제부 총 함량에 대하여 40 내지 5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약제부(131)와 제2약제부(132)에 포함되는 지황분말의 함량을 상기와 같이 상이하게 조절하여 투입함으로써, 최소한의 약제를 사용하면서도 효과적으로 파스의 약리적 성분이 피부 속으로 흡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황을 포함하는 파스는 관절부위에 부착하였을 때, 제1약제부(131)가 관절뼈와 접촉하여 관절뼈에 약제가 흡수되도록 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제2약제부(132)는 관절뼈 주변부를 감싸면서 접촉하기 때문에 관절뼈 주변부로 약제가 흡수될 수 있도록 한다. 제2약제부(132)에서는 제1약제부(131)에서보다 지황분말의 평균입자가 더 작고, 약제의 함량이 더 높게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빠르고 강하게 약제성분이 관절뼈 주변부로 스며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약제의 성분이 모두 동일하게 도포되어 있는 종래의 파스에 비하여 본원발명의 지황을 포함하는 파스는 투입되는 약제의 함량 및 평균직경을 상이하게 조절하여 파스 전체에 약제를 도포하지 않고도 효율적으로 파스의 약제를 피부에 흡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후술할 내용을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점착부(120) 및 약제부(130)에 홈부(321)가 형성된 파스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3b는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점착부(120) 및 약제부(130)에 홈부(321)가 형성된 모습을 위에서 내려다본 도면이다. 또한, 도 3c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점착부(120) 및 약제부(130)에 홈부(321)가 형성되었을 때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점착부(120)와 상기 제1약제부(131) 및 제2약제부(132)의 적어도 일부에 내측으로 오목한 홈부(32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파스류 표면에 도포되어 있는 접착제 및 약제 등은 파스를 피부에 부착하였을 때, 피부표면을 적극적으로 폐쇄시킴으로써 피부의 호흡작용을 방해하며, 땀이나 피지 등과 같은 피부 분비물을 각질층 아래에 축적시켜 미생물의 번식 또는 피부 자극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장기간 동일한 부위에 반복적으로 파스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파스를 피부로부터 탈착했을 때 파스와 피부가 접촉하는 부위에 홍반, 피부탈락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점착부(120)와 제1약제부(131) 및 제2약제부(132)의 적어도 일부에 내측으로 오목한 홈부(321)를 구비하여 파스를 피부에 부착하였을 때에도 피부가 파스에 의하여 완전히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구비된 홈부(321)를 통하여 공기가 드나들 수 있게 되어 피부가 짓무르거나 파스의 탈착 시 홍반이나 피부탈락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홈부(321)는 깊이방향으로 상기 제1약제부(131) 및 제2약제부(132)에서 상기 점착부(320)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공기가 파스를 관통하여 드나들 수 있어 피부가 파스에 의하여 완전히 폐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홈부(321)는 제1말단(321a)과 제2말단(321b)을 구비한 V자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홈부(321)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이웃하는 복수개의 V자형으로 구비되되, 상기 V자형의 제1말단(321a)과 이웃하는 V자형의 제2말단(321b)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홈부(321)의 형상이 V자형이 아닌 직선형으로 구비될 경우에는 접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으나, 본 발명에서는 홈부(321)의 형상을 V자형으로 구비하여 피부와 파스가 접촉될 수 있는 부위의 표면적을 넓혀 접착력을 우수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홈부(321)는 0.3~0.8mm의 너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부(321)의 너비가 0.3mm 미만일 경우 좁은 너비로 인하여 공기가 상기 홈부(321)로 드나들도록 하는 효과가 미미하여 피부가 파스에 의하여 폐쇄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홈부(321)의 너비가 0.8mm를 초과할 경우에는 넓어진 너비로 인하여 파스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파스가 쉽게 탈착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후술할 내용을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부(110)에 초승달 형상의 절개부(211)를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시트부(110)에 초승달 형상의 절개부(2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파스는 팔목, 발목, 무릎, 팔꿈치 등과 같은 관절부위에 부착했을 경우에는 관절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피부가 이완 및 수축을 반복하게 되면 파스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피부로부터의 탈리가 쉽게 일어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트부(110)에 초승달 형상의 절개부(211)를 형성함으로써, 파스를 관절부위에 부착하여 관절을 구부렸을 때 상기 형성된 절개부(211)로 인하여 파스가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어 피부가 당기거나 파스가 탈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211)는 2 내지 4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절개부(211)가 2개 미만일 경우에는 관절의 움직임에 따라 파스가 용이하게 가변하기가 어려워 파스의 탈리가 쉽게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절개부(211)가 4개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도한 절개부(211)의 형성으로 인하여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후술할 내용을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점착부의 테두리부(121)에 보조접착층(433)이 형성되었을 때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점착부 상에는 상기 제1약제부(431) 및 제2약제부(432)와 나란히 구비되나, 상기 제1약제부(431) 및 제2약제부(432)와 이격되어 상기 점착부(420)의 테두리부(121)에 구비되는 보조점착층(4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점착층(433)은 점착부의 테두리부(121)에 구비함으로써, 움직임이 많은 관절부위에 장시간 파스를 부착하였을 때에도 더욱 견고하게 피부에 부착되어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보조점착층(433)에 도포되는 점착제의 성분은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 아크릴 폴리머(acrylic polymer),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PVB(PolyVinyl Butyral), PVP(PolyVinyl Pyrrolidone), PVA(PolyVinyl Acetate), PEG(Polythylene Glycol), 아라비아 고무 및 젤라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접착제는 상기 서술한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접착제의 종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접착제를 더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지황파스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지황파스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지황파스의 제조방법은 생지황, 건지황, 숙지황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추출한 지황 추출물을 분쇄하여 70 내지 200㎛의 제1지황분말 및 10 내지 50㎛인 제2지황분말을 제조하는 제1단계(S100), 상기 제1지황분말, 살리실산메틸, 산화아연, 유향 및 몰약 및 점착제를 혼합하여 제1약제부(131)를 제조하는 제2단계(S200), 상기 제2지황분말, 살리실산메틸, 산화아연, 유향 및 몰약 및 점착제를 혼합하여 제2약제부(132)를 제조하는 제3단계(S300), 시트 위에 점착제를 도포하는 제4단계(S400), 상기 점착제 위에 제1약제부(131) 및 제2약제부(132)를 1 : 2 내지 1 : 4의 함량범위로 도포하되, 상기 제1약제부(131)는 상기 점착제의 중심부에 도포되며, 상기 제2약제부(132)는 상기 제1약제부(131)의 주변부를 감싸도록 도포하는 제5단계(S500), 상기 제1약제부(131) 및 제2약제부(132) 위에 필름지를 합지하여 30~70℃의 온도로 적층성형하는 제6단계(S600)를 포함한다.
제 1단계(S100)에서는 생지황, 건지황, 숙지황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추출한 지황 추출물을 분쇄하여 70 내지 200㎛의 제1지황분말 및 10 내지 50㎛인 제2지황분말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지황은 생지황, 건지황, 숙지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한방에서 지황은 뿌리의 생것을 생지황, 건조시킨 것은 건지황, 쪄서 말린 것은 숙지황이라고 하며, 지황은 발목이나 관절을 삐었을 때 잘 찧어서 바르면 특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류마티스 관절염, 근육통 등에도 효과가 있다.
상기 제 1단계(S100)에서 지황으로부터 지황 추출물을 수득하는 전처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황으로부터 지황 추출물을 수득하는 전처리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제1지황분말 및 제2지황분말은 상기 제1지황분말 및 제2지황분말을 생지황, 건지황, 숙지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세척 및 건조한 후, 90~150℃에서 가열하여 지황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S110), 상기 지황 추출물을 여과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지황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S120), 상기 불순물이 제거된 지황 추출물을 동결건조 후 분쇄하는 단계(S130)를 더 포함하여 제조한다.
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은 깨끗한 물에 2~3회 세척하여 상기 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물기가 남지 않도록 건조한다. 상기 건조된 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은 90 내지 150℃의 온도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가열하여 지황 추출물을 수득한다. 상기 가열온도가 90℃ 미만일 경우, 낮은 온도로 인하여 지황의 추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으며, 가열온도가 150℃를 초과할 경우에는 높은 온도로 인하여 지황의 약리성분이 파괴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가열시간이 1시간 미만일 경우에는 지황추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가열시간이 2시간을 초과할 경우에는 시간대비 추출효율이 저하되므로 경제적인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방법으로 수득된 지황추출물은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한다. 지황추출물의 여과는 필터 또는 여과지를 사용하여 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여과방법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여과방법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여과를 마친 지황추출물은 동결건조 후 분쇄하여 제1지황분말 및 제2지황분말을 제조한다. 상기 동결건조 또한 여과와 마찬가지로 통상의 동결건조 방법을 사용하여 지황추출물을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쇄과정에서 제1지황분말은 70 내지 200㎛의 사이즈로 분쇄하고, 제2지황분말은 10 내지 50㎛의 사이즈로 분쇄한다.
다음으로는 상기 제1지황분말, 살리실산메틸, 산화아연, 유향, 몰약 및 점착제를 혼합하여 제1약제부(131)를 제조하는 제2단계(S200)를 수행한다. 제1약제부(131)에는 제1지황분말을 포함하여 제조하며, 제1지황분말은 평균직경이 70 내지 2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지황분말의 평균직경이 70㎛ 미만일 경우 불필요한 분쇄과정으로 인하여 공정비용이 상승하여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제1지황분말의 평균직경이 200㎛를 초과할 경우에는 지황의 약리성분이 피부에 잘 흡수되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제1약제부(131)에 포함되는 약제 중 살리실산메틸 및 몰약은 약제에 포함되었을 때 통증을 완화시키는 진통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산화아연은 염증을 진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점착제의 성분은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 아크릴 폴리머(acrylic polymer),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PVB(PolyVinyl Butyral), PVP(PolyVinyl Pyrrolidone), PVA(PolyVinyl Acetate), PEG(Polythylene Glycol), 아라비아 고무 및 젤라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접착제는 상기 서술한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접착제의 종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접착제를 더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상기 제2지황분말, 살리실산메틸, 산화아연, 유향, 몰약 및 점착제를 혼합하여 제2약제부(132)를 제조하는 제3단계(S300)를 수행한다. 제2약제부(132)에는 제2지황분말을 포함하여 제조하며, 제2지황분말은 평균직경이 10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지황분말의 평균직경이 10㎛ 미만일 경우 불필요한 분쇄과정으로 인하여 공정비용이 상승하여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제2지황분말의 평균직경이 50㎛를 초과할 경우에는 관절 주변부에 지황의 약리성분이 빠르게 흡수되지 못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제2약제부(132)에서 사용되는 점착제는 제1약제부(131)에서 사용되는 점착제를 동일하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약제부(131) 및 제2약제부(132)의 성분은 제1, 2지황분말과 살리실산메틸, 산화아연, 유향, 몰약 및 점착제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용도 및 목적에 따라 멘톨, 캄파, 박하유 등을 더 포함하여 파스를 부착하였을 때 피부에 시원한 감각을 주어 상쾌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시트 위에 점착제를 도포하는 제4단계(S400)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시트는 두께가 0.1~1.0cm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시트의 두께가 0.1cm 미만인 경우 상기 파스를 인체 등에 접착 및 탈착시키는 경우 외력에 의하여 시트가 쉽게 손상되어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시트의 두께가 1.0cm를 초과할 경우에는 파스의 신축성이 저하되어 쉽게 탈착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시트는 폴리우레탄 섬유 재질로 형성되어 유연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폴리우레탄 섬유는 신축성이 우수하며 자유로운 합성섬유로써, 자외선과 열에도 강할 뿐만 아니라 땀이나 물에도 강해 파스를 부착하였을 때 팔, 다리, 어깨 뿐만 아니라 관절과 같이 구부러짐 및 움직임이 많은 부위에서도 떨어지지 않고 피부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땀이나 물 등에 의해 파스가 젖게 되더라도 부착성이 저하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점착제는 시트의 일면상에 도포되며 상기 시트를 전체적으로 덮도록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는 상기 서술한 제1약제부(131) 및 제2약제부(132)를 제조할 때 사용하였던 점착제와 동일하므로 별도의 서술을 생략한다.
다음으로는 상기 점착제 위에 제1약제부(131) 및 제2약제부(132)를 1 : 2 내지 1 : 4의 함량범위로 도포하되, 상기 제1약제부(131)는 상기 점착제의 중심부에 도포되며, 상기 제2약제부(132)는 상기 제1약제부(131)의 주변부를 감싸도록 도포하는 제5단계(S500)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1약제부(131)에 포함되는 지황분말의 함량은 상기 제1약제부(131) 총 함량에 대하여 10 내지 15중량%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약제부(132)에 포함되는 지황분말의 함량은 제2약제부(132) 총 함량에 대하여 40 내지 50중량%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제1약제부(131)와 제2약제부(132)에 포함되는 지황분말의 함량을 상기와 같이 상이하게 조절하여 투입함으로써, 최소한의 약제를 사용하면서도 효과적으로 파스의 약리적 성분이 피부 속으로 흡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단계(S500)에서 상기 제1약제부(131) 및 제2약제부(132)는 상기 점착부(120)의 테두리부(121)가 노출되도록 상기 점착부(120)의 테두리부(121)에서 이격되게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약제부(131) 및 제2약제부(132)는 상기 점착부(120)의 테두리부(121)에서 이격되게 도포됨으로써, 점착부(120)의 중심부에 구비되어 본 발명에 따른 파스를 관절부위에 부착하였을 때, 정확하게 관절과 관절주변부에 약제의 약리성분이 흡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약제부(130)가 점착부(120)를 전체적으로 덮지 않고 테두리부(121)는 노출시킨 채 점착부(120)의 중심부에만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약제부(130)의 도포범위를 줄일 수 있어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는 상기 제1약제부(131) 및 제2약제부(132) 위에 필름지를 합지하여 30~70℃의 온도로 적층성형하는 제6단계(S600)를 수행한다. 상기 적층성형은 통상적인 적층성형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층성형 온도가 30℃ 미만일 경우에는 저온으로 인하여 필름지가 제대로 합지되지 못하고 탈리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적층성형 온도가 70℃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1약제부(131) 및 제2약제부(132)의 성분 및 필름지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에서,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후술할 내용을 제외하고는 상기 도 6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5단계에서 제1약제부(331) 및 제2약제부(332)를 도포한 후, 상기 점착제와 상기 제1약제부(331) 및 제2약제부(332)의 적어도 일부에 내측으로 오목한 0.3~0.8mm의 너비를 가지는 홈부(321)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홈부(321)는 깊이방향으로 상기 제1약제부(331) 및 제2약제부(332)에서 상기 점착부(320)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제1말단(321a)과 제2말단(321b)을 구비한 V자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홈부(321)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이웃하는 복수개의 V자형으로 구비되되, 상기 V자형의 제1말단(321a)과 이웃하는 V자형의 제2말단(321b)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홈부(321)는 V자형상대로 상기 점착제와 제1약제부(331) 및 제2약제부(332)를 긁어내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V자 형상의 금형을 이용하여 V자 형태의 홈부(321)를 찍어내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파스에 홈부(321)를 구비하여 파스를 피부에 부착하였을 때에도 피부가 파스에 의하여 완전히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구비된 홈부(321)를 통하여 공기가 드나들 수 있게 되어 피부가 짓무르거나 파스의 탈착 시 홍반이나 피부탈락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홈부(321)의 너비는 0.3~0.8m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부(321)의 너비가 0.3mm 미만일 경우에는 좁은 너비로 인하여 공기가 상기 홈부(321)로 드나들기 어렵게 되어 피부가 파스에 의하여 폐쇄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홈부(321)의 너비가 0.8mm를 초과할 경우에는 넓어진 너비로 인하여 파스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파스가 쉽게 탈착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후술할 내용을 제외하고는 상기 도 6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4단계에서 시트 위에 점착제를 도포하기 전에, 상기 시트에 초승달 형상의 절개부(211)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211)를 구비함으로써 파스를 관절부위에 부착하여 관절을 구부렸을 때 상기 형성된 절개부(211)로 인하여 파스가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어 피부가 당기거나 파스가 탈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211)는 2 내지 4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절개부(211)가 2개 미만일 경우에는 관절의 움직임에 따라 파스가 용이하게 가변하기가 어려워 파스의 탈리가 쉽게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절개부(211)가 4개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도한 절개부(211)의 형성으로 인하여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후술할 내용을 제외하고는 상기 도 6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5단계에서 제1약제부(431) 및 제2약제부(432)를 도포한 후, 상기 제1약제부(431) 및 상기 제2약제부(432)와 이격되어 상기 점착부(420)의 테두리부(121)에 구비되는 보조점착층(433)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점착층(433)을 점착부(420)의 테두리부(121)에 구비함으로써, 움직임이 많은 관절부위에 장시간 파스를 부착하였을 때에도 더욱 견고하게 피부에 부착되어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보조점착층(433)의 도포는 상기 점착부(420), 제1약제부(431) 및 제2약제부(432)의 도포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포한다. 또한, 상기 보조점착층(433)에 도포되는 점착제의 성분은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 아크릴 폴리머(acrylic polymer),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PVB(PolyVinyl Butyral), PVP(PolyVinyl Pyrrolidone), PVA(PolyVinyl Acetate), PEG(Polythylene Glycol), 아라비아 고무 및 젤라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접착제는 상기 서술한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접착제의 종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접착제를 더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파스
110, 210, 310, 410 : 시트부 211 : 절개부
120, 320, 420 : 점착부 121 : 테두리부
321 : 홈부 321a : 제1말단부
321b : 제2말단부 130, 330, 430 : 약제부
131, 331, 431 : 제1약제부 132, 332, 432 : 제2약제부
433 : 보조접착층

Claims (15)

  1. 신축성을 갖고 일면을 구비한 시트부;
    상기 시트부의 일면상에 도포되며 점착성분을 함유한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부;
    상기 점착부 위에 도포되며 제1 및 제2지황분말을 구비한 제1약제부 및 제2약제부를 포함하는 약제부; 및
    상기 제1약제부 및 제2약제부 위에 부착되어 가역적으로 박리되는 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황분말은 평균직경이 70 내지 200㎛이고, 제2지황분말의 평균직경은 10 내지 50㎛ 이고,
    상기 점착부는 상기 시트부에 대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시트부를 전체적으로 덮고, 상기 약제부는 상기 점착부의 테두리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점착부의 테두리부에서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1약제부는 상기 점착부의 중심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약제부는 상기 제1약제부의 주변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시트부의 두께는 0.1cm 내지 1.0cm이고,
    상기 제1약제부에 대한 제2약제부의 함량비는 1 : 2 내지 1 : 4이며,
    상기 제1약제부 및 제2약제부는 각각 지황분말, 살리실산메틸, 산화아연, 유향, 몰약 및 점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약제부에 포함되는 지황분말의 함량은 상기 제1약제부 총 함량에 대하여 10 내지 15중량%며, 상기 제2약제부에 포함되는 지황분말의 함량은 상기 제2약제부 총 함량에 대하여 40 내지 50중량%이고,
    상기 점착부와, 상기 제1 및 제2약제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홈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홈부는 상기 점착부의 일측 모서리에서 타측 모서리로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홈부는 복수개로 구비되되 서로 이웃하는 홈부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홈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및 제2약제부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며,
    상기 홈부는 깊이방향으로 상기 제1약제부 및 제2약제부에서 상기 점착부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시트부의 일면을 노출시키고,
    상기 홈부는 제1말단과 제2말단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V자형을 포함하고, 상기 홈부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이웃하는 복수개의 V자형으로 구비되되, 상기 V자형의 제1말단과 이웃하는 V자형의 제2말단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홈부는 0.3mm 내지 0.8mm의 너비를 가지며,
    상기 시트부에는 초승달 형상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개부는 4개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는 시트부 4개의 꼭지점에 대응하도록 각각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2약제부의 외형에 대응하도록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점착부 상에는 상기 제1약제부 및 제2약제부와 나란히 구비되고, 상기 제1약제부 및 제2약제부와 이격되어 상기 점착부의 테두리부에 구비되는 보조점착층을 더 포함하는 관절용 지황파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폴리우레탄 섬유 재질로 형성되는 관절용 지황파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의 성분은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 아크릴 폴리머(acrylic polymer),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PVB(PolyVinyl Butyral), PVP(PolyVinyl Pyrrolidone), PVA(PolyVinyl Acetate), PEG(Polythylene Glycol), 아라비아 고무 및 젤라틴 중 어느 하나인 관절용 지황파스.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60101804A 2016-08-10 2016-08-10 관절용 지황파스 KR101724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804A KR101724095B1 (ko) 2016-08-10 2016-08-10 관절용 지황파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804A KR101724095B1 (ko) 2016-08-10 2016-08-10 관절용 지황파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4095B1 true KR101724095B1 (ko) 2017-04-06

Family

ID=58583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804A KR101724095B1 (ko) 2016-08-10 2016-08-10 관절용 지황파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0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0882A (ja) * 1994-07-29 1996-02-13 Ichimaru Pharcos Co Ltd 皮膚貼付用シート
KR20020038808A (ko) * 1999-10-11 2002-05-23 김윤 이중 점착제 경피 약물전달체계
KR200396505Y1 (ko) * 2005-07-01 2005-09-22 정영순 관절용 파스
JP2006299123A (ja) * 2005-04-21 2006-11-02 Big Technos Kk 凹部付き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0882A (ja) * 1994-07-29 1996-02-13 Ichimaru Pharcos Co Ltd 皮膚貼付用シート
KR20020038808A (ko) * 1999-10-11 2002-05-23 김윤 이중 점착제 경피 약물전달체계
JP2006299123A (ja) * 2005-04-21 2006-11-02 Big Technos Kk 凹部付き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96505Y1 (ko) * 2005-07-01 2005-09-22 정영순 관절용 파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04166B (zh) 一种治疗小儿皮炎湿疹的中药组合物
KR101690927B1 (ko) 관절용 지황파스 제조방법
CN100542585C (zh) 一种具有镇痛和抗炎作用的外用药物组合物
CN104547188B (zh) 一种治疗静脉曲张的外用制剂及其制备方法
CN113768975A (zh) 一种治疗关节疼痛的中药组合物、中药贴剂及其制备方法与使用方法
CN101757600B (zh) 治疗骨质增生、风湿性关节炎的外敷药膏及其制备方法
KR101724095B1 (ko) 관절용 지황파스
CN100515447C (zh) 一种治疗寻常型银屑病的药膏及其制备方法
CN105194444A (zh) 一种制备治疗中耳炎的药物组合物胶囊制剂的方法
KR19980067592A (ko) 한약 조성물 및 이의 제약학적 제제
CN102145070B (zh) 一种治疗风湿性心脏病的中药
CN101337026A (zh) 一种治疗痛风的外用药物组合物
CN103656139B (zh) 外用膏药及制备方法
CN103550340A (zh) 一种用于治疗烧烫伤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3961676A (zh) 一种用于治疗脑供血不足的中药方剂
CN104825809A (zh) 一种治疗周围性面瘫的药剂
CN106267035B (zh) 一种复方冻疮搽剂及其制备方法
CN106266061A (zh) 一种治疗牙龈炎的中药组合物、直接粘附于牙龈的水凝胶膜剂和水凝胶薄膜及其制备方法
CN105770278A (zh) 一种治疗鸡眼的中药膏
JP2009023976A (ja) 肝機能障害改善用貼付剤
CN104027720B (zh) 一种治疗带状疱疹消除剧痛的外用中药
CN105663376A (zh) 治疗皮肤癣病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4490997A (zh) 一种治疗口腔溃疡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Ye et al. Medicinal Angiosperms of Ulmaceae
CN103520560B (zh) 一种治疗肥胖症的中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