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918B1 - 드릴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드릴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918B1
KR101723918B1 KR1020150078632A KR20150078632A KR101723918B1 KR 101723918 B1 KR101723918 B1 KR 101723918B1 KR 1020150078632 A KR1020150078632 A KR 1020150078632A KR 20150078632 A KR20150078632 A KR 20150078632A KR 101723918 B1 KR101723918 B1 KR 101723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workpiece
block
hol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2640A (ko
Inventor
이영록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8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918B1/ko
Publication of KR20160142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9/0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on boring machines for positioning or guiding the drill; Devices for indicating failure of drills during boring; Centering devices for holes to be bo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8Drill jigs for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054Drill gui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70/00Detail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machines, processes or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2270/34Means for gui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곡면을 가지는 피절삭물에 홀을 가공하기 위해 드릴을 가이드하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릴 가이드 장치는 상기 피절삭물의 곡면에 지지되는 베이스, 상기 피절삭물의 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제 1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는 제 1회전축, 상기 제 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1회전블록, 상기 제 1방향에 교차되는 제 2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 1회전블록에 지지되는 제 2회전축, 상기 제 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2회전블록 및 상기 제 2회전블록에 지지되고 상기 드릴의 비트가 회전가능하게 상기 드릴을 지지하는 드릴 부쉬를 포함하므로, 드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피절삭물에 형성되는 홀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므로, 홀 가공 공정의 공정 효율이 향상되고, 피절삭물에 형성되는 홀의 품질 및 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드릴 가이드 장치{Apparatus for guiding drill}
본 발명은 드릴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곡면을 가지는 피절삭물에 홀을 가공하기 위해 드릴을 가이드하는 드릴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드릴은 항공기 생산 공장이나, 정비 회사 등의 폭넓은 작업 현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공구이다. 이와 같은 드릴을 사용하여 피절삭물에 홀을 형성시키는 홀 가공 작업을 할 때에는, 작업시 드릴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드릴의 유동에 의한 작업 불량의 발생을 억제시키기 위해 홀을 가공할 때마다 드릴 가이드를 해당 작업 부위에 클램핑 시킨 후 드릴링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드릴가이드 장치에 대해서는 이미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바 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95245호;직각 홀 가공 치공구 및 이를 이용한 직각 홀 가공 방법"에 의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고리형 홀더 및 직각 교정 회전 볼을 포함하며, 피절삭물의 표면상의 홀 가공 위치와 직각이 되도록 하는 드릴 안내홀이 직각 교정 회전 볼에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 등록특허는 피절삭물의 표면과 직각 교정 회전 볼의 하부면이 접촉되며, 고리형 홀더 내에 삽입된 직각 회전 볼이 자유롭게 회전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피절삭물의 표면이 곡면과 같이 평탄하지 않다면 드릴의 지지상태가 불안정하여 문제점이 발생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95245호(2011. 12. 20.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곡면을 가지는 피절삭물에 홀을 가공하는 드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피절삭물에 형성되는 홀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드릴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곡면을 가지는 피절삭물에 홀을 가공하기 위해 드릴을 가이드하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릴 가이드 장치는 상기 피절삭물의 곡면에 지지되는 베이스, 상기 피절삭물의 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제 1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는 제 1회전축, 상기 제 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1회전블록, 상기 제 1방향에 교차되는 제 2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 1회전블록에 지지되는 제 2회전축, 상기 제 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2회전블록 및 상기 제 2회전블록에 지지되고 상기 드릴의 비트가 회전가능하게 상기 드릴을 지지하는 드릴 부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릴 가이드 장치는 상기 제 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상기 제 1회전블록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 1위치고정부 및 상기 제 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상기 제 2회전블록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 2위치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위치고정부는 상기 제 1회전축의 둘레에 복수로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는 복수의 제 1위치조절공, 복수의 제 1위치조절공 중 어느 하나에 연통되도록 상기 제 1회전블록을 관통하는 제 1위치결정공 및 상기 제 1위치결정공과 상기 제 1위치조절공에 삽입되는 제 1위치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 2위치고정부는 상기 제 2회전축의 둘레에 복수로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는 복수의 제 2위치조절공, 복수의 제 2위치조절공 중 어느 하나에 연통되도록 상기 제 2회전블록을 관통하는 제 2위치결정공 및 상기 제 2위치결정공과 상기 제 1위치조절공에 삽입되는 제 1위치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는 상기 피절삭물과의 접촉면적을 줄이기 위한 복수의 레그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레그의 모서리는 상기 피절삭물 표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모따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드릴 가이드 장치는 곡면을 가지는 피절삭물에 홀을 가공하는 드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피절삭물에 형성되는 홀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므로, 홀 가공 공정의 공정 효율이 향상되고, 피절삭물에 형성되는 홀의 품질 및 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 가이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 가이드 장치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 가이드 장치를 일측방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 가이드 장치를 타측방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 가이드 장치에 드릴이 가이드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 가이드 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 가이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 가이드 장치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 가이드 장치를 일측방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 가이드 장치를 타측방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 가이드 장치(100)는 베이스(110), 제 1회전축(120), 제 1회전블록(130), 제 2회전축(140), 제 2회전블록(150) 및 드릴 부쉬(16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평판 형태의 본체(111)와, 본체(111)로부터 돌출되는 한쌍의 축 홀더(1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쌍의 축 홀더(113)에는 제 1회전축(120)을 지지하기 위한 제 1지지공(113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10)의 저면에는 베이스(110)의 저면과 피절삭물과의 접촉면적을 줄이기 위한 복수의 레그(115)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레그(115)는 각 레그(115)의 모서리에 의해 피절삭물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모따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회전축(120)은 피절삭물의 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제 1방향으로 배치된다. 제 1회전축(120)은 제 1지지공(113a)에 삽입되어 베이스(110)에 지지된다. 제 1회전블록(130)은 제 1회전축(120)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제 1회전블록(130)에는 제 1회전축(120)이 관통되는 제 1관통공(131)과, 제 2회전축(140)을 지지하는 제 2지지공(132)이 형성된다.
제 2회전축(140)은 제 1방향에 교차하는 제 2방향으로 배치된다. 제 2회전축(140)은 제 2지지공(132)에 삽입되어 제 1회전블록(130)에 지지된다. 제 2회전블록(150)은 제 2회전축(140)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제 2회전블록(150)에는 제 2회전축(140)이 관통되는 제 2관통홀(151)과, 드릴 부쉬(160)를 지지하는 제 3지지공(152)이 형성된다.
드릴 부쉬(160)는 제 2회전블록(150)에 지지되고 드릴의 비트가 회전가능하게 드릴을 지지한다. 드릴의 비트가 관통하고 드릴의 척이 안착될 수 있도록, 드릴 부쉬(160)로는 중공이 형성되는 부시(bush)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피절삭물에 형성되는 홀의 위치 및 각도가 결정되면, 드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제 1회전블록(130) 및 제 2회전블록(150)은 회전되지 않아야 하며 그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 가이드 장치(100)는 제 1위치고정부(170) 및 제 2위치고정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위치고정부(170)는 제 1회전축(120)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1회전블록(130)의 위치를 고정한다. 제 1위치고정부(170)는 복수의 제 1위치조절공(171), 제 1위치결정공(172) 및 제 1위치고정핀(17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위치조절공(171)은 제 1회전축(120)을 중심으로 제 1관통공(131)의 둘레에 복수로 배치되어 제 1회전블록(130)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위치결정공(172)은 복수의 제 1위치조절공(171) 중 어느 하나에 연통되도록 축 홀더(113)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위치고정핀(173)은 제 1위치결정공(172)과 제 1위치조절공(171)에 삽입되어 제 1회전블록(130)이 회전되지 않도록 제 1회전블록(130)의 위치를 고정한다.
제 2위치고정부(180)는 제 2회전축(140)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2회전블록(150)의 위치를 고정한다. 제 2위치고정부(180)는 복수의 제 2위치조절공(181), 제 2위치결정공(182) 및 제 2위치고정핀(18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 2위치조절공(181)은 제 2회전축(140)을 중심으로 제 2관통공(151)의 둘레에 복수로 배치되어 제 1회전블록(130)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위치결정공(182)은 복수의 제 2위치조절공(181) 중 어느 하나에 연통되도록 제 2회전블록(150)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위치고정핀(183)은 제 2위치결정공(182)과 제 2위치조절공(181)에 삽입되어 제 2회전블록(150)이 회전되지 않도록 제 2회전블록(150)의 위치를 고정한다.
상술된 설명에서, 제 1회전블록(130)과 제 2회전블록(150)의 위치를 고정하는 구성으로, 제 1위치결정공(172)과 제 1위치조절공(171)에 삽입되는 제 1위치고정핀(173)을 포함하는 제 1위치고정부(170)와, 제 2위치결정공(182)과 제 2위치조절공(181)에 삽입되는 제 2위치고정핀(183)을 포함하는 제 2위치고정부(180)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1위치고정부(170)와 제 2위치고정부(180)는 축 홀더(113)를 향하는 제 1회전블록(130)의 일측면과, 제 2회전블록(150)을 향하는 제 1회전블록(130)의 타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톱니바퀴가 형성되는 래칫 휠과, 래칫 휠의 역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래칫 폴의 조합으로 변형실시 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 가이드 장치의 작용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 가이드 장치에 드릴이 가이드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곡면을 포함하는 피절삭물(예를 들어, 항공기의 날개 등)에 홀 가공을 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 가이드 장치(100)는 피절삭물(1) 위에 배치될 수 있다.
게속해서, 작업자는 드릴 부쉬(160)에 드릴(10)을 거치한다.
계속해서, 작업자는 피절삭물(1)에 형성될 홀의 각도, 깊이 등에 따라 드릴(10)의 위치를 정밀 조절한다.
즉, 작업자는 제 1위치결정공(172)과 제 1위치조절공(171)에 삽입된 제 1위치고정핀(173)을 분리한다. 작업자는 제 1회전축(120)을 중심으로 제 1회전블록(130)의 회전각도를 조절한다. 제 1회전블록(130)의 조절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제 1위치고정핀(173)을 제 1위치결정공(172)과 제 1위치조절공(171)에 삽입하여 제 1회전블록(130)이 회전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작업자는 제 1회전블록(13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작업자는 제 2위치결정공(182)과 제 2위치조절공(181)에 삽입된 제 2위치고정핀(183)을 분리한다. 작업자는 제 2회전축(140)을 중심으로 제 2회전블록(150)의 회전각도를 조절한다. 이어, 제 2회전블록(150)의 조절이 완료되면 제 2위치고정핀(183)을 제 2위치결정공(182)과 제 2위치조절공(181)에 삽입하여 제 2회전블록(150)이 회전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작업자는 제 2회전블록(15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제 1회전블록(130)의 각도를 조절하는 공정과 제 2회전블록(150)의 각도를 조절하는 공정은 그 순서가 뒤바뀌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제 1회전블록(130)과 제 2회전블록(150)의 위치가 고정되면, 작업자는 한손으로 베이스(110)를 잡고, 나머지 한손으로 드릴(10)을 파지하여 홀 가공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 가이드 장치(100)는 피절삭물에 형성되는 홀의 각도, 깊이 등을 고려하여 베이스의 평탄도 조절, 제 1회전블록과 제2 회전블록의 각도 조절이 자유롭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 가이드 장치(100)는 드릴(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피절삭물의 홀 가공 공정의 공정 효율이 향상되고, 피절삭물에 형성되는 홀의 품질 및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 : 피절삭물 10 : 드릴
100 : 드릴 가이드 장치 110 : 베이스
120 : 제 1회전축 130 : 제 1회전블록
140 : 제 2회전축 150 : 제 2회전블록
160 : 드릴 부쉬 170 : 제 1위치고정부
180 : 제 2위치고정부

Claims (4)

  1. 곡면을 가지는 피절삭물에 홀을 가공하기 위해 드릴을 가이드하는 드릴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절삭물의 곡면에 지지되는 베이스;
    상기 피절삭물의 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제 1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는 제 1회전축;
    상기 제 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1회전블록;
    상기 제 1방향에 교차되는 제 2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 1회전블록에 지지되는 제 2회전축;
    상기 제 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2회전블록;및
    상기 제 2회전블록에 지지되고 상기 드릴의 비트가 회전가능하게 상기 드릴을 지지하는 드릴 부쉬;를 포함하며,
    상기 피절삭물의 곡면에 따라 상기 제 1회전블록 또는 상기 제 2회전블록 중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켜 상기 드릴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가이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상기 제 1회전블록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 1위치고정부;및
    상기 제 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상기 제 2회전블록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 2위치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가이드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위치고정부는
    상기 제 1회전축의 둘레에 복수로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는 복수의 제 1위치조절공;
    복수의 제 1위치조절공 중 어느 하나에 연통되도록 상기 제 1회전블록을 관통하는 제 1위치결정공;및
    상기 제 1위치결정공과 상기 제 1위치조절공에 삽입되는 제 1위치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 2위치고정부는
    상기 제 2회전축의 둘레에 복수로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는 복수의 제 2위치조절공;
    복수의 제 2위치조절공 중 어느 하나에 연통되도록 상기 제 2회전블록을 관통하는 제 2위치결정공;및
    상기 제 2위치결정공과 상기 제 2위치조절공에 삽입되는 제 2위치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가이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는 상기 피절삭물과의 접촉면적을 줄이기 위한 복수의 레그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레그의 모서리는 상기 피절삭물 표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모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가이드 장치.
KR1020150078632A 2015-06-03 2015-06-03 드릴 가이드 장치 KR101723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632A KR101723918B1 (ko) 2015-06-03 2015-06-03 드릴 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632A KR101723918B1 (ko) 2015-06-03 2015-06-03 드릴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640A KR20160142640A (ko) 2016-12-13
KR101723918B1 true KR101723918B1 (ko) 2017-04-10

Family

ID=57575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632A KR101723918B1 (ko) 2015-06-03 2015-06-03 드릴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918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5605U (ko) * 1971-02-13 1972-09-19
JPS6141474U (ja) * 1984-08-13 1986-03-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溶接ト−チ角度調整用治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640A (ko) 201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5155B2 (en) Universal fixture based machine tool
JP6214138B2 (ja) 手動チャック
US8651777B2 (en) Adjustable doweling jig
US9370828B2 (en) Adjustable doweling jig
EP2861367A1 (en) Adjustable doweling jig
KR101723918B1 (ko) 드릴 가이드 장치
US11077501B2 (en) Method of machining a rotationally symmetric surface of a workpiece and turning apparatus
JP5597035B2 (ja) ワークレスト
JP6732611B2 (ja) ワーククランプ装置
JP2013043258A (ja) 工作機械用ワーク位置決め治具
KR101993993B1 (ko) 링크 클램프 하우징 제작방법
KR20140133017A (ko) 절삭가공용 공작물의 고정베이스 회전장치
KR101612540B1 (ko) 공작기계의 피가공물 고정장치
KR20170077788A (ko) 홀더 조인트
KR20180068242A (ko) 가공 조립용 지그 테이블
CN106041143A (zh) 用于深孔加工的刀具夹具
CN209363673U (zh) 板簧下料刀钻孔夹紧装置
KR101876004B1 (ko) 선반의 센터 장치
KR20040071901A (ko) 수직홀 가공용 드릴링 머신
KR101491954B1 (ko) 반구형 곡면상에 홀 가공 장치 및 방법
KR102085265B1 (ko) 콜렛 어답터
JP7417660B2 (ja) ケガキ治具及びケガキ線の刻印方法
KR20090012433A (ko) 연삭기용 회전식 지그
KR20100002179U (ko) 공작기계용 척 보조고정구
KR20240060138A (ko) 다각도 공작기계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