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776B1 - 높이 조절기능을 갖는 모듈형 밸브실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기능을 갖는 모듈형 밸브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776B1
KR101723776B1 KR1020160128308A KR20160128308A KR101723776B1 KR 101723776 B1 KR101723776 B1 KR 101723776B1 KR 1020160128308 A KR1020160128308 A KR 1020160128308A KR 20160128308 A KR20160128308 A KR 20160128308A KR 101723776 B1 KR101723776 B1 KR 101723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valve chamber
height adjustment
pip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8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주
Original Assignee
주성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성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8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7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1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between shaft elements, e.g. of rings forming said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 조절기능을 갖는 모듈형 밸브실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일측에 유입관과 배출관 사이에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유입관과 상기 배출관의 양측이 관통되는 밸브실본체, 상기 밸브실본체 상부에 조립되는 상부커버, 상기 상부커버 상부에 상향설치되는 하부통로관, 하부측이 상기 하부통로관의 상측과 끼움식으로 결합되는 상부통로관 및 상기 상부통로관의 상측에 형성된 맨홀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커버의 상부와 상기 맨홀프레임간의 상하 조절이 가능한 밸브실에 있어서, 상기 상부통로관의 내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며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다수의 상하 슬라이딩관; 상기 상하 슬라이딩관 내부에 삽입되며, 나사산부가 형성되어 축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상하 슬라이딩관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높이조절샤프트; 상기 높이조절샤프트 각각의 하단을 상기 하부통로관 하부측에 고정시키는 샤프트 고정용 브라켓; 상기 높이조절샤프트 각각의 하단측에 설치되며 외측으로 돌기가 형성된 스프라켓; 상기 스프라켓 각각을 연결하며 상기 돌기와 맞물려 회전되는 연결체인; 및 높이 조절 후, 상기 스프라켓의 회동을 구속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라켓을 회전시켜, 상기 높이조절샤프트 전체가 회전되면서 상기 상하 슬라이딩관이 상하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통로관 및 상기 맨홀프레임이 상하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기능을 갖는 모듈형 밸브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높이 조절기능을 갖는 모듈형 밸브실{Module type valve room including height control fuction}
본 발명은 높이 조절기능을 갖는 모듈형 밸브실에 대한 것이다.
종래에 밸브실본체의 상측에 맨홀프레임을 수개의 스크류로서 높이를 조절하는 발명에 대해 특허등록 제949710호, 특허등록 제 928469호, 특허등록 제314257호 등이 존재한다.
위의 종래 밸브실은 모두 통상 원형으로 형성되는 맨홀프레임과 밸브실본체 사이에 수개의 스크류를 빙 둘러서 수직방향으로 설치하였으며, 각각의 스크류를 개별적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밸브실본체의 상측에 설치된 맨홀프레임을 지면에 높이에 맞게 승하강 조절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 모두가 원형으로 형성된 맨홀프레임에 빙 둘러서 설치되는 각각의 스크류를 개별적으로 회전시킬 때, 어느 한 쪽의 스크류를 높게 올리면 그 스크류를 올린 쪽의 맨홀프레임은 올라가고, 회전시키지 않은 반대편은 올라가지 않고 제자리에 있어서 맨홀프레임이 경사지게 된다.
수평하게 승하강해야 할 맨홀프레임이 경사짐에 따라 스크류가 체결된 나사구멍에 스크류가 꽉 끼게 되어 타측의 스크류를 회전시지 못하게 된다. 그럼에 따라 각각의 스크류를 각기 1~2회전만큼 조금씩 번갈아가면서 회전시키면서 맨홀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위와 같은 맨홀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는 작업현장에 따라 달라지지만 최고 30㎝ 내외로 조절 길이가 길은데, 수개의 스크류를 한 번에 5㎜내외 만큼씩 번갈면서 조금씩 높이를 조절하게 됨에 따라 맨홀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스크류를 수십 내지 수백 번을 회전시켜야 하는 비효율적인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방수 기능이 존재하지 않아 높이 조절을 위한 부재들이 부식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모든 부재들이 용접 등으로 일체로 구성되어 조립, 교체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하고,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립식으로 부품들의 교체가 용이한 높이 조절 기능과 방수기능을 갖는 밸브실이 요구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94971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97322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98880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밸브실의 상부측에 하부통로관과 상부통로관을 갖고, 상하 슬라이딩관 각각에 삽입설치되는 높이조절샤프트 각각의 하단에 스프라켓이 구비됨으로써 하나의 스트라켓을 작동함으로써 높이조절샤프트 전체가 상하로 이동되지는 않으나 일체로 회전되어, 상하슬라이딩관을 상하로 이동시켜, 높이를 조절이 가능하며, 상부커버와 좌, 우측으로 분할된 분할 밸브실 본체가 서로 조립되는 모듈형 구조를 채용하게 됨으로써, 종래처럼 터파기 면적을 필요 이상으로 넓힐 필요없이 적어도 터파기 면적을 밸브실 구조물의 바닥 넓이 만큼만 파더라도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시간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터파기 면적의 축소에 따른 공사시 도로 교통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동시에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높이 조절기능을 갖는 모듈형 밸브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 일측에 유입관과 배출관 사이에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유입관과 상기 배출관의 양측이 관통되는 밸브실본체, 상기 밸브실본체 상부에 조립되는 상부커버, 상기 상부커버 상부에 상향설치되는 하부통로관, 하부측이 상기 하부통로관의 상측과 끼움식으로 결합되는 상부통로관 및 상기 상부통로관의 상측에 형성된 맨홀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커버의 상부와 상기 맨홀프레임간의 상하 조절이 가능한 밸브실에 있어서, 상기 상부통로관의 내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며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다수의 상하 슬라이딩관; 상기 상하 슬라이딩관 내부에 삽입되며, 나사산부가 형성되어 축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상하 슬라이딩관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높이조절샤프트; 상기 높이조절샤프트 각각의 하단을 상기 하부통로관 하부측에 고정시키는 샤프트 고정용 브라켓; 상기 높이조절샤프트 각각의 하단측에 설치되며 외측으로 돌기가 형성된 스프라켓; 상기 스프라켓 각각을 연결하며 상기 돌기와 맞물려 회전되는 연결체인; 및 높이 조절 후, 상기 스프라켓의 회동을 구속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라켓을 회전시켜, 상기 높이조절샤프트 전체가 회전되면서 상기 상하 슬라이딩관이 상하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통로관 및 상기 맨홀프레임이 상하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기능을 갖는 모듈형 밸브실로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통로관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확관부; 상기 상부통로관의 외측으로 삽입되며, 하단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확관부의 내측에 끼워지는 삽입턱과, 다수의 삽입홀을 갖는 링형태의 압륜;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며 갈고리부에 의해 상기 확관부 하단을 고정하는 갈고리형 볼트; 상기 갈고리형 볼트를 상기 압륜에 고정시키기 위한 너트; 상기 확관부와 상기 갈고리형 볼트 사이에 구비되는 볼트 걸이용 링; 및 상기 확관부와 상기 삽입턱 사이에 구비되는 수밀용 고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통로관과 상기 하부통로관 각각에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높이 조절 후에, 상기 상부통로관과 상기 하부통로관을 고정하기 위하여,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내부위치 고정용 브라켓을 통로관 내부에 위치시키고,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된 외부 위치 고정용 브라켓을 통로관 외측에 위치시켜,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상부통로관과 상기 하부통로관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의 하단에 형성되며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된 하부플랜지; 상기 밸브실 본체의 상단에 형성되며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된 상부플랜지; 상기 하부플랜지와 상기 상부플랜지 사이에 구비되는 고무패킹; 상기 하부플랜지와 상기 상부플랜지를 체결하기 위한 커버 조립부재; 상기 밸브실 본체 전방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관이 장착되도록 형성된 유입관 장착단과, 상기 유입관 장착단의 끝단에 구비되며 다수의 고정홀이 형성된 유입관측 플랜지; 상기 밸브실 본체 후방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관이 장착되도록 형성된 배출관 장착단과, 상기 배출관 장착단의 끝단에 구비되며 다수의 고정홀이 형성된 배출관측 플랜지; 다수개로 분할되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유입관측 플랜지와 상기 배출관측 플랜지 각각에 고정되는 체결플랜지; 및 상기 체결플랜지와 상기 유입관측플랜지 사이 및, 상기 체결플랜지와 상기 배출관측플랜지 사이 각각에 구비되는 오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실 본체의 하부판에는 다수의 바닥면 보강재가 구비되며, 상기 밸브실 본체는 일측과 타측 대칭형으로 분할되어 구성되고, 일측분할본체와 타측분할본체의 결합단에는 다수의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단 사이에 패킹부재를 밀착시켜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일측분할본체와 상기 타측분할본체가 조립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밸브실의 상부측에 하부통로관과 상부통로관을 갖고, 상하 슬라이딩관 각각에 삽입설치되는 높이조절샤프트 각각의 하단에 스프라켓이 구비됨으로써 하나의 스트라켓을 작동함으로써 높이조절샤프트 전체가 상하로 이동되지는 않으나 일체로 회전되어, 상하슬라이딩관을 상하로 이동시켜, 높이를 조절이 가능하며, 상부커버와 좌, 우측으로 분할된 분할 밸브실 본체가 서로 조립되는 모듈형 구조를 채용하게 됨으로써, 종래처럼 터파기 면적을 필요 이상으로 넓힐 필요없이 적어도 터파기 면적을 밸브실 구조물의 바닥 넓이 만큼만 파더라도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시간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터파기 면적의 축소에 따른 공사시 도로 교통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동시에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느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갖는 모듈형 밸브실의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갖는 모듈형 밸브실의 정면도,
도 2a는 도 2a에서 상부통로관이 상부측으로 이동된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도 2a의 A-A 단면도,
도 4a는 도 3의 B-B 단면도,
도 4b는 도 4a에서 상부통로관이 상부측으로 이동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체인으로 연결된 6개의 스프라켓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샤프트 회전방지 스토퍼의 평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로관의 분해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맨홀뚜껑이 부착된 상부 통로관의 사시도,
도 7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로관의 사시도,
도 7d는 도 7c에서 상부통로관이 상부측으로 이동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밸브실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실 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실 본체와 오링, 체결플랜지, 고정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갖는 모듈형 밸브실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갖는 모듈형 밸브실(1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갖는 모듈형 밸브실(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갖는 모듈형 밸브실(100)은 전체적으로, 일측과 타측으로 분할되어 조립되어질 수 있는 밸브실 본체와, 밸브실 본체에 조립되어지는 상부커버(110)와, 상부 커버(110)의 상측에 구비되는 통로관과, 통로관 상측에 맨홀 뚜껑(1)이 결합될 수 있는 맨홀 프레임(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갖는 모듈형 밸브실(100)은, 밸브실 본체가 일측과 타측으로 분할되어 조립될 수 있으며, 상부커버(110) 역시 밸브실 본체에 조립될 수 있어 모듈형으로 구성되며, 통로관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부통로관(10)과 하부통로관(20)으로 구성되어 상부통로관(10)이 상하로 이동됨으로써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통로관의 높이를 조절하게 되는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갖는 모듈형 밸브실(100)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2a는 도 2a에서 상부통로관(10)이 상부측으로 이동된 상태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a의 A-A 단면도, 도 4a는 도 3의 B-B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4b는 도 4a에서 상부통로관(10)이 상부측으로 이동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체인(30)으로 연결된 6개의 스프라켓(26)을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샤프트 회전방지 스토퍼(28)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로관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맨홀뚜껑(1)이 부착된 상부 통로관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로관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d는 도 7c에서 상부통로관(10)이 상부측으로 이동된 상태의 사시도를도시한 것이다.
하부통로관(20)은 상부커버(110) 상부에 상향설치되며, 상부통로관(10)은 하부측이 상기 하부통로관(20)의 상측과 끼움식으로 결합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통로관(10)은, 도 4a 및 도 4b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통로관(10)의 내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며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다수의 상하 슬라이딩관(11)이 설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하부통로관(20)에는 상하 슬라이딩관(11) 내부에 삽입되며, 나사산부(25)가 형성되어 축방향 회전에 의해 상하 슬라이딩관(11)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높이조절샤프트(24)가 구비된다. 그리고, 하부통로관(20) 내면 하부측에 이러한 높이조절샤프트(24) 각각의 하단을 고정시키 위해 샤프트 고정용 브라켓(22)이 구비되게 된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샤프트(24) 각각의 하단측에는 외측으로 돌기가 형성된 스프라켓(26)이 스프라켓 고정용 너트(27)에 의해 결합되게 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체인(30)은 스프라켓(26) 각각을 서로 연결하여 돌기와 맞물려 회전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스프라켓(26)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게 되면 연결체인(30)에 연결된 모든 스프라켓(26)이 회동되면서, 높이조절샤프트(24) 전체가 회전되어 상하 슬라이딩관(11)이 상하이동되게 된다. 또한, 높이조절샤프트(24)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샤프트 고정용 브라켓(22) 상부측에는 니들롤러 베어링(23)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높이 조절이 완료된 후, 스프라켓(26)의 회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4a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스프라켓(26)에 샤프트 회전 방지 스토퍼(28)를 장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하부통로관(20)의 상부측에는 도 4a,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관부(21)가 형성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a, 도 4b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통로관(10)의 외측으로 링형태의 압륜(40)이 삽입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압륜(40)에는 하단측으로 돌출되어 하부통로관(20) 확관부(21)의 내측에 끼워지는 삽입턱(41)이 구비되며, 다수의 삽입홀이 형성되어 진다.
그리고, 압륜(40)이 삽입된 상태에서 압륜(40)의 삽입홀에 갈고리형 볼트(44)가 삽입되며 볼트의 갈고리부에 의해 확관부(21) 하단을 고정하고, 너트(45)에 의해 갈고리형 볼트(44)를 압륜(40)에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확관부(21)와 갈고리형 볼트(44) 사이에는 볼트 걸이용 링(42)과 구비되고, 확관부(21)와 삽입턱(41) 사이에는 수밀용 고무링(43)이 구비되어 통로관의 수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통로관(10)과 하부통로관(20) 각각에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특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높이 조절 후에, 상기 상부통로관(10)과 하부통로관(20)을 고정하기 위하여, 도 3,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내부위치 고정용 브라켓(50)을 통로관 내부에 위치시키고,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된 외부 위치 고정용 브라켓(51) 통로관 외측에 위치시켜, 체결수단(52)을 통해 상부통로관(10)과 하부통로관(20)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모듈형 밸브실(100)은 상부커버(110)와 밸브실 분할본체(120, 130)가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밸브실(1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실 본체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실 본체와 오링, 체결플랜지, 고정부재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갖는 모듈형 밸브실(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커버(110)의 하단에는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된 하부플랜지(111)가 구비되며, 또한, 밸브실 본체(120, 130)의 상단에도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된 상부플랜지(121, 131)가 구비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하부플랜지(111)와 상부플랜지(121,131) 사이에 고무패킹(112)을 두고 수밀을 유지하며 커버 조립부재를 체결홀에 삽입하여 하부플랜지(111)와 상부플랜지(121, 131)를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즉, 상부커버(110)와 밸브실 본체(120, 130)를 조립하게 된다.
또한, 밸브실 본체(120, 130) 전방측에는 유입관(3)이 장착되도록 형성된 유입관 장착단(123,133)이 구비되며, 유입관 장착단(123, 133)의 끝단에는 다수의 고정홀이 형성된 유입관측 플랜지(124, 134)가 구비되게 된다. 또한, 밸브실 본체(120, 130) 후방측에는 배출관(4)이 장착되도록 형성된 배출관 장착단(126, 136)이 구비되며, 배출관 장착단(126, 136)의 끝단에는 다수의 고정홀이 형성된 배출관측 플랜지(127, 137)가 구비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유입관측 플랜지(124, 134)와 배출관측 플랜지(127, 137) 내측 각각에는 오링(140)이 장착될 수 있도록 오링장착단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아 같이, 유입관(3)을 유입관 장착단(123, 133)에 위치시키고, 배출관(4)을 배출관 장착단(126, 136)에 위치시킨 후, 오링(140)과 체결플랜지(150)를 고정부재(151)를 고정홀에 삽입하여 유입관(3)과 배출관(4)을 완전히 고정시키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체결플랜지(150)는 다수개로 분할되며, 고정부재(151)에 의해 유입관측 플랜지(124, 134)와 배출관측 플랜지(127, 137) 각각에 고정되게 된다. 또한, 체결플랜지(150)와 유입관측플랜지(124, 134) 사이 및, 체결플랜지(150)와 배출관측플랜지(127, 137) 사이 각각에 오링(140)이 구비되게 된다. 또한, 밸브실 본체(120, 130)의 하부판에는 도 8, 도 9, 도 1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바닥면 보강재(125, 135)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실 본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과 타측 대칭형으로 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일측분할본체(120)와 타측분할본체(130) 각각의 상부에 상부플랜지(121, 131)가 형성된다. 그리고, 일측분할본체(120)와 타측분할본체(130)의 결합단(122, 132) 각각에는 다수의 결합홀이 형성되며, 이러한 결합단 사이에 패킹부재(160)를 밀착시켜 결합부재에 의해 일측분할본체(120)와 타측분할본체(130)가 서로 조립되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일측분할본체(120)와 타측분할본체(130)는 서로 대칭형으로 구성되며 일측분할본체(120) 전방측에는 유입관이 장착되도록 형성된 일측분할본체 유입관 장착단(123)이 구비되며, 유입관 장착단(123)의 끝단에는 다수의 고정홀이 형성된 유입관측 플랜지(124)가 구비되게 된다. 또한, 일측분할본체(120) 후방측에는 배출관이 장착되도록 형성된 일측분할본체 배출관 장착단(126)이 구비되며, 배출관 장착단(126)의 끝단에는 다수의 고정홀이 형성된 배출관측 플랜지(127)가 구비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유입관측 플랜지(124)와 배출관측 플랜지(127) 내측 각각에는 오링(140)이 장착될 수 있도록 오링장착단이 형성된다. 그리고, 일측분할본체(120)의 하부판에는 다수의 바닥판보강재(125)가 구비되게 된다.
또한, 타측분할본체(130) 역시, 타측분할본체(130) 전방측에는 유입관이 장착되도록 형성된 타측분할본체 유입관 장착단(133)이 구비되며, 유입관 장착단(133)의 끝단에는 다수의 고정홀이 형성된 유입관측 플랜지(134)가 구비되게 된다. 또한, 타측분할본체(130) 후방측에는 배출관(4)이 장착되도록 형성된 타측분할본체 배출관 장착단(136)이 구비되며, 배출관 장착단(136)의 끝단에는 다수의 고정홀이 형성된 배출관측 플랜지(137)가 구비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유입관측 플랜지(134)와 배출관측 플랜지(137) 내측 각각에는 오링(140)이 장착될 수 있도록 오링장착단이 형성된다. 그리고, 타측분할본체(130)의 하부판에는 다수의 바닥판보강재(135)가 구비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맨홀뚜껑
2:맨홀프레임
3:유입관
4:배출관
10:상부통로관
11:상하슬라이딩관
20:하부통로관
21:확관부
22:샤프트 고정용 브라켓
23:니들롤러 베어링
24:샤프트
25:나사산부
26:스프라켓
27:스프라켓 고정용 너트
28:샤프트 회전방지 스토퍼
30:연결체인
40:압륜
41:삽입턱
42:볼트 걸이용 링
43:수밀용 고무링
44:갈고리형 볼트
45:너트
50:내부 위치고정용 브라켓
51:외부 위치고정용 브라켓
52:체결수단
100:높이 조절기능을 갖는 모듈형 밸브실
110:상부커버
111:하부플랜지
112:고무패킹
120:일측분할본체
121:일측분할본체 상부플랜지
122:일측분할본체 결합단
123:일측분할본체 유입관 장착단
124:일측분할본체 유입관측 플랜지
125:일측분할본체 바닥판 보강재
126:일측분할본체 배출관 장착단
127:일측분할본체 배출관측 플랜지
130:타측분할본체
131:타측분할본체 상부플랜지
132:타측분할본체 결합단
133:타측분할본체 유입관 장착단
134:타측분할본체 유입관측 플랜지
135:타측분할본체 바닥판 보강재
136:타측분할본체 배출관 장착단
137:타측분할본체 배출관측 플랜지
140:오링
150:체결 플랜지
151:고정부재

Claims (5)

  1. 내부 일측에 유입관과 배출관 사이에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유입관과 상기 배출관의 양측이 관통되는 밸브실본체, 상기 밸브실본체 상부에 조립되는 상부커버, 상기 상부커버 상부에 상향설치되는 하부통로관, 하부측이 상기 하부통로관의 상측과 끼움식으로 결합되는 상부통로관 및 상기 상부통로관의 상측에 형성된 맨홀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커버의 상부와 상기 맨홀프레임간의 상하 조절이 가능한 밸브실에 있어서,
    상기 상부통로관의 내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며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다수의 상하 슬라이딩관;
    상기 상하 슬라이딩관 내부에 삽입되며, 나사산부가 형성되어 축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상하 슬라이딩관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높이조절샤프트;
    상기 높이조절샤프트 각각의 하단을 상기 하부통로관 하부측에 고정시키는 샤프트 고정용 브라켓;
    상기 높이조절샤프트 각각의 하단측에 설치되며 외측으로 돌기가 형성된 스프라켓;
    상기 스프라켓 각각을 연결하며 상기 돌기와 맞물려 회전되는 연결체인; 및
    높이 조절 후, 상기 스프라켓의 회동을 구속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통로관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확관부;
    상기 상부통로관의 외측으로 삽입되며, 하단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확관부의 내측에 끼워지는 삽입턱과, 다수의 삽입홀을 갖는 링형태의 압륜;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며 갈고리부에 의해 상기 확관부 하단을 고정하는 갈고리형 볼트;
    상기 갈고리형 볼트를 상기 압륜에 고정시키기 위한 너트;
    상기 확관부와 상기 갈고리형 볼트 사이에 구비되는 볼트 걸이용 링;
    상기 확관부와 상기 삽입턱 사이에 구비되는 수밀용 고무링;
    상기 상부커버의 하단에 형성되며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된 하부플랜지;
    상기 밸브실 본체의 상단에 형성되며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된 상부플랜지;
    상기 하부플랜지와 상기 상부플랜지 사이에 구비되는 고무패킹;
    상기 하부플랜지와 상기 상부플랜지를 체결하기 위한 커버 조립부재;
    상기 밸브실 본체 전방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관이 장착되도록 형성된 유입관 장착단과, 상기 유입관 장착단의 끝단에 구비되며 다수의 고정홀이 형성된 유입관측 플랜지;
    상기 밸브실 본체 후방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관이 장착되도록 형성된 배출관 장착단과, 상기 배출관 장착단의 끝단에 구비되며 다수의 고정홀이 형성된 배출관측 플랜지;
    다수개로 분할되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유입관측 플랜지와 상기 배출관측 플랜지 각각에 고정되는 체결플랜지; 및
    상기 체결플랜지와 상기 유입관측플랜지 사이 및, 상기 체결플랜지와 상기 배출관측플랜지 사이 각각에 구비되는 오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라켓을 회전시켜, 상기 높이조절샤프트 전체가 회전되면서 상기 상하 슬라이딩관이 상하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통로관 및 상기 맨홀프레임이 상하이동되며,
    상기 상부통로관과 상기 하부통로관 각각에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높이 조절 후에, 상기 상부통로관과 상기 하부통로관을 고정하기 위하여,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내부위치 고정용 브라켓을 통로관 내부에 위치시키고,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된 외부 위치 고정용 브라켓을 통로관 외측에 위치시켜,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상부통로관과 상기 하부통로관을 고정하고,
    상기 밸브실 본체의 하부판에는 다수의 바닥면 보강재가 구비되며, 상기 밸브실 본체는 일측과 타측 대칭형으로 분할되어 구성되고, 일측분할본체와 타측분할본체의 결합단에는 다수의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단 사이에 패킹부재를 밀착시켜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일측분할본체와 상기 타측분할본체가 조립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기능을 갖는 모듈형 밸브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128308A 2016-10-05 2016-10-05 높이 조절기능을 갖는 모듈형 밸브실 KR101723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308A KR101723776B1 (ko) 2016-10-05 2016-10-05 높이 조절기능을 갖는 모듈형 밸브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308A KR101723776B1 (ko) 2016-10-05 2016-10-05 높이 조절기능을 갖는 모듈형 밸브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3776B1 true KR101723776B1 (ko) 2017-04-05

Family

ID=58587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308A KR101723776B1 (ko) 2016-10-05 2016-10-05 높이 조절기능을 갖는 모듈형 밸브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77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8782B1 (ko) * 2017-05-22 2018-02-13 주식회사 우리스틸 탈부착형 높이 조절장치가 적용된 밸브실
KR101857957B1 (ko) * 2017-08-25 2018-06-28 주식회사 서영금속 밸브실 맨홀프레임 높이 조절장치 및 조절방법
KR102263374B1 (ko) * 2019-12-20 2021-06-11 주식회사 서영금속 맨홀 뚜껑 높이 조절 장치를 구비한 밸브실
KR102468552B1 (ko) * 2022-01-24 2022-11-22 주식회사 광성이엔지 아연 아크 용사 코팅이 적용된 밸브실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479B1 (ko) * 2005-11-01 2007-07-30 (주)화신엔지니어링 긴급공사용 하수맨홀의 설치구조
KR100949710B1 (ko) 2010-01-07 2010-03-29 (주) 디케이금속 높이조절이 가능한 밸브실
KR100973229B1 (ko) 2010-04-20 2010-07-30 (주) 디케이금속 맨홀프레임의 높이조절이 용이한 밸브실
KR100988800B1 (ko) 2010-07-07 2010-10-20 (주) 디케이금속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밸브실
KR20100121206A (ko) * 2009-05-08 2010-11-17 주식회사 신진수도 맨홀장치와 이의 시공방법
KR101329095B1 (ko) * 2013-07-16 2013-11-14 신이피엔씨 주식회사 높이 조절 기능과 방수기능을 갖는 밸브실
KR20150017281A (ko) * 2013-08-06 2015-02-16 (주) 디케이금속 맨홀프레임의 경사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밸브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479B1 (ko) * 2005-11-01 2007-07-30 (주)화신엔지니어링 긴급공사용 하수맨홀의 설치구조
KR20100121206A (ko) * 2009-05-08 2010-11-17 주식회사 신진수도 맨홀장치와 이의 시공방법
KR100949710B1 (ko) 2010-01-07 2010-03-29 (주) 디케이금속 높이조절이 가능한 밸브실
KR100973229B1 (ko) 2010-04-20 2010-07-30 (주) 디케이금속 맨홀프레임의 높이조절이 용이한 밸브실
KR100988800B1 (ko) 2010-07-07 2010-10-20 (주) 디케이금속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밸브실
KR101329095B1 (ko) * 2013-07-16 2013-11-14 신이피엔씨 주식회사 높이 조절 기능과 방수기능을 갖는 밸브실
KR20150017281A (ko) * 2013-08-06 2015-02-16 (주) 디케이금속 맨홀프레임의 경사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밸브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8782B1 (ko) * 2017-05-22 2018-02-13 주식회사 우리스틸 탈부착형 높이 조절장치가 적용된 밸브실
KR101857957B1 (ko) * 2017-08-25 2018-06-28 주식회사 서영금속 밸브실 맨홀프레임 높이 조절장치 및 조절방법
KR102263374B1 (ko) * 2019-12-20 2021-06-11 주식회사 서영금속 맨홀 뚜껑 높이 조절 장치를 구비한 밸브실
KR102468552B1 (ko) * 2022-01-24 2022-11-22 주식회사 광성이엔지 아연 아크 용사 코팅이 적용된 밸브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776B1 (ko) 높이 조절기능을 갖는 모듈형 밸브실
US8486260B2 (en) Adjustable drain
US20120224933A1 (en) Compression seal assembly
KR101276620B1 (ko) 높이 조절 기능과 방수기능을 갖는 밸브실
US6026521A (en) Two-piece water closet ring
US7850213B2 (en) Coupling with crossable means for couplings to connect endportions of pipes and valves
KR101329095B1 (ko) 높이 조절 기능과 방수기능을 갖는 밸브실
KR101125206B1 (ko) 높이 조절과 설치가 용이한 맨홀
KR101683426B1 (ko) 결로방지 및 수충격흡수가 가능한 밸브실
US20120098254A1 (en) Adapters and connector assemblies for flow managing apparatuses
KR101758081B1 (ko)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US9987569B2 (en) Underdrain for a filter system for filtering water or wastewater and a method of washing a filter system
KR100561191B1 (ko) 상수관용 밸브 교체장치
KR101828782B1 (ko) 탈부착형 높이 조절장치가 적용된 밸브실
KR102161932B1 (ko) 높이와 경사 조절이 가능한 밸브실용 맨홀장치 및 그 맨홀장치를 갖는 밸브실
BR122012013165A2 (pt) Método de manufatura de uma balaustrada e balaustrada
JP4804738B2 (ja) 水道用等のメータユニット
KR100943942B1 (ko) 밀봉소켓 조립체
KR20130004571U (ko) 관로에 설치되어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배관용 피팅
JP2008190700A (ja) 縮径継手部を有するバルブ
KR101012275B1 (ko) 배관 파이프 지지장치
KR102601897B1 (ko) 신축형 버터플라이 밸브
CN219673307U (zh) 一种阀门连接用法兰
JP7398826B2 (ja) 変形防止枠、これを用いた支保及び変形防止枠の作製方法
JP3106372U (ja) 配管分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