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635B1 - 전도성 바이오-나노 융합 사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도성 바이오-나노 융합 사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635B1
KR101723635B1 KR1020100093600A KR20100093600A KR101723635B1 KR 101723635 B1 KR101723635 B1 KR 101723635B1 KR 1020100093600 A KR1020100093600 A KR 1020100093600A KR 20100093600 A KR20100093600 A KR 20100093600A KR 101723635 B1 KR101723635 B1 KR 101723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uclein
alpha
chain
nanoparticles
prote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3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2139A (ko
Inventor
백승렬
이대견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93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635B1/ko
Priority to PCT/KR2011/007119 priority patent/WO2012044048A2/ko
Publication of KR20120032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C07K14/4701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not used
    • C07K14/4711Alzheimer's disease; Amyloid plaque core prot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7/00Carrier-bound or immobilised peptides; Preparation thereof
    • C07K17/14Peptides being immobilised on, or in, an inorganic carri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Abstract

전도성 바이오-나노 융합 사슬 및 이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사슬은 비전도성 알파-시뉴클린 아밀로이드 섬유(a-synuclein amyloid fibrils) 내에 전도성 나노입자 사슬이 선형으로 배열된 것이다. 이러한 사슬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알파-시뉴클린과 전도성 나노입자를 혼합하여 상기 전도성 나노입자를 상기 알파-시뉴클린으로 제1 코팅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제1 코팅된 알파-시뉴클린을 야생형 알파-시뉴클린과 혼합하여 제2 코팅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2 코팅된 알파-시뉴클린 다수를 조립하여 아밀로이드 섬유를 제조하도록 한다. 다기능성 광도전성 나노 사슬이 구현된다.

Description

전도성 바이오-나노 융합 사슬 및 이의 제조방법{CONDUCTIVE BIO-NANO CHAIN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도성 바이오-나노 융합 사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알파-시뉴클린 단백질의 아밀로이드 나노 섬유 속에 전도성 나노입자를 사슬 형태로 배열하여 제조되는 전도성 바이오-나노 융합 사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속 나노입자를 비전도성 매트릭스 내에 캡슐화 시키는 기술은 빛에 대한 금속 나노입자 특유의 표면 플라즈몬 공명(SPR; surface plasmon resonance)으로 인한 3차 비선형성 광학 감수율(third-order nonlinear optical susceptibility)을 증진시키고, 이를 이용한 고속 광반응 시스템(fast optical response system)의 개발 측면에서 많이 주목 받는 부분이다. 이러한 융합 나노물질은 광가이드(light-guide) 시스템으로서 빛 에너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해 이동 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나노 광학 장치의 소형화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가운데 금속 나노입자를 비전도성 매트릭스 내에 배열시키려는 노력은 졸-겔 반응법(sol-gel process), 금속-이온 주입법(metal-ion implantation), 금속 증착법(metal sputtering)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시도되고 있다. 특히 빛의 회절 한계(diffraction limit of light) 이하에서 적용될 수 있는 나노 크기의 집적 광학 장치(integrated optical device)의 개발에 있어서 금속 나노입자의 비등방성(anisotropic) 일차원 배열을 통한 광가이드 사슬의 제작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금속 나노입자 뿐 아니라 반도체나 산화 나노입자 등을 사슬 형태로 배열시키는 것을 통해서 나노입자 고유의 전기적, 광학적, 자성, 촉매적 특성들을 극대화 시키거나 새로운 유용한 특성을 나타낼 수도 있다.
방법적인 측면에서 나노입자를 사슬 형태로 배열하는 것 뿐 아니라 이를 비전도성 매트릭스로 싸는 것은 쉽지 않은 과정이다. 나노입자를 기능적 형태로 배열하는 다양한 시도들 중에서, 단백질과 같은 생체 분자를 이용하는 것은 나노물질을 기반으로 한 초분자 구조체(supramolecular structure)를 제작하는 데 있어서 효율적이고 신뢰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매우 각광받고 있다. DNA 사슬을 주형으로 사슬을 따라 나노입자의 침착을 유도, 선형 배열의 초분자 나노 구조를 얻을 수 있으며, 액틴 필라멘트(actin filament)나 미세소관(microtubule)과 같은 단백질 초분자 구조체를 주형으로 구조를 따라 나노입자의 침작을 유도함으로써, 나노 와이어 등과 같은 나노 구조체를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방법들은 DNA나 단백질의 조립화된 아키택쳐를 플랫폼으로 나노 입자의 배열을 유도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형태로의 나노입자 배열을 유도하거나 나노-바이오 융합 물질로서의 특성을 극대화하는 데 한계가 있고, 비전도성 매트릭스 내의 캡슐화가 어렵기 때문에 앞서 소개한 효율적인 고속 광반응 시스템 및 광가이드 시스템의 개발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아밀로이드 섬유는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다양한 퇴행성 질환에 대한 병리학적 영향으로 인하여 광범위하게 연구되었다. 이러한 단백질 나노섬유는 전도성 나노와이어의 제작, 약물 부착으로부터 세포 성장에 까지 사용되는 나노-매트릭스 제작, 액정 형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응용 가능한 것으로 제안되었다. 특히, 이들의 기계적 강도는 거미줄에 비견할 만큼 강한 것으로 보고 되었다.
본 출원인에 의해 2010년 4월 5일 "알파-시뉴클레인 유래 곱슬 아밀로이드 섬유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하이드로젤의 제조 방법 및 그 이용방법"이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출원된 특허 출원 제 2010-0030742호에 의하면, 알파-시뉴클린 올리고머종의 단위 조립 과정을 통하여 알파-시뉴클린 아밀로이드 섬유를 형성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전단 스트레스나 핵산 처리와 같은 물리적 또는 화학적 영향에 의해 올리고머의 미세한 구조적 재배열에 이어 섬유화가 수행된다. 섬유화 과정에 의존적으로 아밀로이드 섬유는 알파-시뉴클린의 단일 단백질로부터 곱슬 또는 직쇄 아밀로이드 섬유를 형성하는 형태학적 다형성을 나타낸다. 아밀로이드 하이드로겔로 변환하는 것은 곱슬 섬유이고 이러한 신규한 메카니즘은 이전의 핵의존성 섬유화 메카니즘에 비교하여 이중-협동 섬유화(double-concerted fibrillation) 모델로 명명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밀로이드 섬유 형성 단백질인 알파-시뉴클린을 이용하여 금속 나노입자의 표면을 코팅함으로써 얻어지는 바이오분자 융합 나노입자를 만들어 내고, 이를 이용하여 전도성 바이오-나노 융합 사슬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밀로이드성 단백질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면서도 즉각적으로 상기한 바이오-나노 융합 사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비전도성 알파-시뉴클린 아밀로이드 섬유(a-synuclein amyloid fibrils) 내에 전도성 나노입자 사슬이 선형으로 배열된 전도성 바이오-나노 사슬을 제공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가 금속, 반도체 및 산화물의 나노입자를 포함하며, 특히 상기 나노입자가 금 나노입자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형으로 배열된 사슬이 두 개 이상 배열된 이중 사슬 및 삼중 사슬을 포함하는 다중 사슬 구조를 형성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형으로 배열된 사슬이 단백질 기반 하이브리드 나노사슬이며, 가시광선 영역에서 광전도성을 나타낸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알파-시뉴클린 아밀로이드 섬유가 53번째 아미노산이 시스테인인 돌연변이 알파-시뉴클린의 단백질층이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알파-시뉴클린 아밀로이드 섬유가 상기 돌연변이 알파-시뉴클린 단백질층 및 그 상부에 형성된 야생형 알파-시뉴클린 단백질층을 포함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알파-시뉴클린과 전도성 나노입자를 혼합하여 상기 전도성 나노입자를 상기 알파-시뉴클린으로 제1 코팅하는 단계, 상기 제1 코팅된 알파-시뉴클린을 야생형 알파-시뉴클린과 혼합하여 제2 코팅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코팅된 알파-시뉴클린 다수를 조립하여 아밀로이드 섬유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파-시뉴클린 아밀로이드 섬유 내에 나노입자 사슬이 선형으로 배열된 전도성 바이오-나노 사슬의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코팅된 알파-시뉴클린을 조립하는 단계가 핵산을 포함하는 유기 용매로 처리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선형으로 배열된 사슬이 주로 단일 사슬을 포함하게 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코팅된 알파-시뉴클린을 조립하는 단계가 완충액의 pH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pH 를 4.7 이하로 조절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선형으로 배열된 사슬이 이중 사슬 및 삼중 사슬을 포함하는 다중 사슬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전도성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비전도성 유전성 알파-시뉴클린 아밀로이드 섬유 사슬은 단일 내지 다중 사슬 형태로 용이하게 제조가능하며, 전기 전도성 뿐 아니라 가시광선 영역에서 광전도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나노사슬은 나노입자를 단백질로 피복한 구조를 가지므로 절연 특성을 가지면서도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여 다기능성 나노물질로서 나노바이오 기술에 응용 가능하며, 광민감성으로 인하여 빠른 광반응 시스템의 개발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금 나노입자를 돌연변이 알파-시뉴클린 및 야생형 알파-시뉴클린으로 코팅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알파-시뉴클린으로 코팅된 금 나노입자의 표면 알파-시뉴클린을 구조적으로 재배열하여 금 나노입자가 알파-시뉴클린의 아밀로이드 섬유 내에 사슬 형태로 배열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금 나노입자에 단백질이 코팅된 모습을 단계에 따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이미지로서, 도 3은 직경이 약 10nm 인 코팅되기 전의 기본 금 나노입자 AuNP에 대한 것이고, 도 4는 돌연변이 알파-시뉴클린으로 첫 번째 코팅층이 형성된 AuNP-A53C에 대한 것이고, 도 5는 야생형 알파-시뉴클린으로 두 번째 코팅층이 형성된 AuNP-A53C-wt에 대한 것이다.
도 6은 AuNP-A53C를 유기용매 처리하여 제조된 사슬 구조체에 대한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7 및 도 8은 AuNP-A53C-wt를 유기용매 처리하여 제조된 사슬 구조체에 대한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pH 조절법에 의해 제조된 이중 사슬 또는 다중 사슬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12는 금 나노입자 사슬이 흡착된 실리콘 웨이퍼에 대한 디지털 카메라와 전계방출 주사전자현미경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이미지이다.
도 13은 다양한 물질이 흡착된 실리콘 웨이퍼에 대한 전압의 변화에 따른 전류의 흐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다양한 물질이 흡착된 실리콘 웨이퍼에 대한 광전도성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바이오 분자 융합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광전도성 바이오-나노 융합 사슬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광전도성 바이오-나노 융합 사슬은 아밀로이드 섬유 형성 단백질인 알파-시뉴클린을 사용하여 금속 나노입자의 표면을 코팅함으로써 바이오 분자 융합 나노입자를 만드는 기술이다.
본 발명에서는 금속 나노입자를 알파-시뉴클린으로 코팅하고, 상술한 이중 협동 섬유화 모델을 적용하며, 유기 용매인 핵산 처리 또는 완충 용액의 pH 조절 등의 방법을 응용하여 단백질의 비전도성 아밀로이드 나노섬유 내에 선형으로 금속 나노입자가 배열된 사슬 형태의 비등방성 초분자 구조체를 제작한 것이다.
참고로, 이중 협동 섬유화 모델에 의하면 아밀로이드성 단백질 섬유의 생성은 단백질 자기조립화 과정에서 관찰되는 단백질 4차 구조물인 소중합체(oligomers)/과립구(granules)가 분자조립화의 기본 단위로 작용하며, 이들 구조물의 선택적이며 전체적인 구조 변형을 통하여 초분자 구조물인 단백질 나노섬유가 유도된다.
비전도성 단백질 섬유에 싸인 금속 나노입자 사슬 구조체는 전기 전도성 (conductance) 뿐 아니라, 인공 태양의 빛에 의한 전기 전도성의 증폭, 즉 광전도성(photoconductance)을 나타낸다. 이는 금속 나노입자로부터 나온 전자의 비전도성 단백질 섬유 내에서의 터널링과 금속 나노입자 고유의 파장 (금의 경우, 520nm)에서의 표면 플라즈몬 공명 현상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아밀로이드성 단백질을 매개로 조립화의 기본 단위인 바이오분자 융합 나노입자를 만들어 나노입자의 비등방성 일차원 배열을 유도하는 기술은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는 매우 손쉽고 즉각적인 반응으로 구현 가능하다. 금속 나노입자로서는 금 나노입자를 구체적이고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으나 이 뿐 아니라 반도체, 산화물, 양자점 등 다양한 나노입자의 선형 배열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단백질 자가 조립 원리를 이용함으로써 나노입자의 이차원, 삼차원 조립에도 적용가능하다.
아밀로이드 단백질 섬유는 금속 나노입자 사슬을 싸고 있는 바이오-무기물 하이브리드 물질이기 때문에 생체적합성(biocompatilibity)을 가지고, 다양한 화학적 변형을 통해 구조체의 기능화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아밀로이드 섬유의 거미줄에 비등할 만한 기계적 강도, 나노입자로 인한 광전도성 및 나노입자 고유의 특성들을 이용해 미래 나노기술 분야에서 생체 시스템과의 경계면에 적용되는 전기적, 광학적 장비 또는 센서의 개발에 응용 가능성이 크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나노입자 사슬의 제조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도성 나노입자로서 금 나노입자를 사용하였으나 그 외에도 전도성을 갖는 다양한 나노입자가 적용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금 나노입자를 돌연변이 알파-시뉴클린 및 야생형 알파-시뉴클린으로 코팅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먼저, 금 나노입자(AuNP)의 표면을 시스테인 돌연변이 알파-시뉴클린으로 코팅하여 금 나노입자를 제1 단백질층으로 제1 코팅하도록 한다. 이후, 제1 단백질층으로 코팅된 입자(AuNP-A53C)를 야생형 알파-시뉴클린으로 코팅하여 제2 단백질층으로 제2 코팅된 입자(AuNP-A53C-wt)를 제조하도록 한다. 야생형 알파-시뉴클린은 모두 140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갖는다. 초기 구조 내에는 시스테인 잔기가 없으나 53번 알라닌 잔기 Ala-53을 시스테인 잔기로 대체하여 돌연변이 시스테인 알파-시뉴클린을 제조하도록 한다. 제1 단백질층은 단백질을 AuNP 표면에 공유결합으로 부착시키기 위하여 시스테인 잔기를 포함하는 돌연변이 알파-시뉴클린으로 제조하여 적용한 것이다. 이어서, 제2 단백질층은 고유의 자기 조립 특성을 유도하기 위하여 야생형 알파-시뉴클린으로 형성하였다.
도 2는 알파-시뉴클린으로 코팅된 금 나노입자의 표면 알파-시뉴클린을 구조적으로 재배열하여 금 나노입자를 알파-시뉴클린의 아밀로이드 섬유 내에 사슬 형태로 배열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금 나노입자를 비등방성 사슬 구조로 제조하기 위하여 금 나노입자 주변에 코팅된 알파-시뉴클린에 특이적인 구조적 배열 단계가 수행되었다. 5% 핵산으로 처리하거나 완충액의 pH를 조절하여 알파-시뉴클린 올리고머 과립종의 즉각적인 섬유화를 유도하였다.
이러한 단위 조립 과정에 의하면, AuNP를 포함하여 다양한 나노입자를 알파-시뉴클린의 유전성 단백질 나노섬유 내에 비등방성 방식으로 삽입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알파-시뉴클린 자가 조립을 위한 화학적 환경은 핵산과 같은 유기용매의 처리에 의해서도 가능하지만 반응 매체의 pH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조절 가능하다. 완충액을 20mM Mes, pH 6.5에서 10mM 시트르산염 pH 4.2로 변경하는 것에 의해 알파-시뉴클린의 등전위점(pH 4.7) 보다 약간 더 낮춰서 산성이 약 pH 4.2 정도가 되면 AuNP-A53C-wt 입자는 사슬 구조로 배열된다. 낮은 pH는 단백질의 네트 음전하를 최소화시키는 것에 의해 알파-시뉴클린의 아밀로이드 섬유화를 증가시키게 된다.
제2 단백질 층이 없는 AuNP-A53C 의 경우에는 사슬 형성이 용이하지 않았는데, 이는 나노-사슬 형성 과정에서 비공유적으로 결합된 야생형 알파-시뉴클린과 이의 구조적 재배열이 중요한 요인임을 의미한다. 핵산 유도된 나노사슬은 대부분이 단일 가닥인 반면에 pH 유도된 사슬은 나노입자의 이중 또는 다중 가닥으로 구성되며 길이가 약 10㎛ 이상으로 연장되었다.
또한 사슬내의 AuNP는 평균 입자간 거리가 핵산 유도된 사슬의 경우 약 14.52±5.4nm 인 반면, 다중 사슬 구조내에서는 AuNP 입자간의 평균 거리가 약 85% 감소되어 약 2.02±0.38 nm 정도이다. 입자간 거리가 가까울수록 비전도성 매트릭스를 통한 전자의 터널링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바이오-나노 융합 사슬의 제조 방법을 금 나노입자를 도입한 경우를 예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알파-시뉴클린의 발현 및 정제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통하여 알파-시뉴클린 유전자가 포함된 발현 벡터 (pRK172/α-synuclein)를 제작하였다. 단백질 발현에 이용되는 대장균, E.coli BL21 (DE3)에 제작된 벡터를 넣고 IPTG(isopropyl β-D-1-thiogalactopyranoside)를 처리하여 단백질의 대량 발현을 유도한 후 원심분리를 통해 세포를 모았다. 라이시스 완충액(Lysis buffer)를 세포에 처리하여 세포를 용해시키고,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약 100℃에서 약 20분 동안 열처리 하였다. 원심분리 하여 알파-시뉴클린 단백질이 포함된 상층액을 분리하였다.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크기배재(size-exclusion) 크로마토그래피,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고순도로 정제된 알파-시뉴클린 단백질(야생형)을 수득하였다.
돌연변이 단백질의 제작
알파-시뉴클린 단백질 아미노산 서열 중 53번째 알라닌이 시스테인으로 치환된 시스테인 돌연변이 알파-시뉴클린(A53C)을 발현하는 벡터의 제작은 부위 지정 돌연변이 (site-directed mutagenesis)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이후 단백질 확보를 위하여 위에서 기술한 방법과 유사하게 수행하되, 라이시스 과정과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사용되는 완충액에 환원제인 DTT(dithiothreitol)를 1mM 포함시켜서 사용하였다.
바이오 융합 금 나노입자의 제작
직경이 약 10nm인 금 나노입자를 사용하였다. 일차적으로 금 나노입자 표면과 돌연변이 알파-시뉴클린(A53C)의 시스테인 잔기에 포함된 -SH 간 공유결합을 유도하여 나노입자 표면에 첫 번째 단백질 층이 형성된 AuNP-A53C를 확보하였다. 즉, 0.83 A520 units/㎖의 금 나노입자와 1㎎/㎖의 돌연변이 단백질을 부피비로 2:1로 혼합하고 약 4℃에서 약 12시간 이상 반응시켰다. 원심분리 (16,000 x g, 20분) 및 완충액 세정을 수행하여 금 나노입자의 표면에 붙지 않은 단백질을 제거하였다.
야생형 알파-시뉴클린 단백질을 이용하여 두 번째 코팅을 수행하였다. 두 번째 코팅은 0.49 A520 units/㎖의 AuNP-A53C 나노입자에 50μM의 야생형 알파-시뉴클린을 넣고 교반기(약 200 rpm, 약 37℃)에서 약 6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러한 과정을 두 번 반복한 후 원심분리 (16,000 x g, 20분) 및 완충액 세정을 수행하여 금 나노입자의 표면에 붙지 않은 단백질을 제거하였고, 두 번째 알파-시뉴클린 층이 형성된 금 나노입자(AuNP-A53C-wt)를 제조하였다.
도 3 내지 도 5에는 금 나노입자에 단백질이 코팅되는 모습을 단계에 따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도 3은 직경이 약 10nm 인 금 나노입자로서, 코팅되기 전의 기본 AuNP에 대한 것이고, 도 4는 돌연변이 알파-시뉴클린으로 첫 번째 코팅층이 형성된 AuNP-A53C에 대한 것이고, 도 5는 야생형 알파-시뉴클린으로 두 번째 코팅층이 형성된 AuNP-A53C-wt에 대한 것이다. 도 4 및 도 5에서 금 나노입자 주변에 형성된 코로나 같이 밝은 흰색 단백질 층이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 번째 코팅층은 약 2.08±0.43nm의 두께로 형성되고 두 번째 코팅층은 약 4.20±0.35nm의 두께로 형성되었다. 연이은 두 번의 코팅에 의해 단위 조립에 필수적인 구조적 배열을 위한 단백질 두께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금 나노입자 사슬 구조체의 제작
먼저, 유기용매 처리법에 의한 제작 방법은 다음과 같다. 2.0 A520 units/㎖ 이상의 고농도 AuNP-A53C 또는 AuNP-A53C-wt에 유기용매인 5% 핵산을 처리하고 실온에서 5분간 반응시켰다. 단백질 섬유로 둘러싸인 사슬 형태의 나노구조가 얻어졌다.
도 6은 AuNP-A53C를 유기용매 처리하여 제조된 사슬 구조체에 대한 전자현미경 사진으로서 나노입자간 간격이 약 6.17± 0.52nm 정도의 짧은 사슬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사슬 주변으로 어둡게 나타나는 부분이 단백질 섬유다.
도 7 및 도 8은 AuNP-A53C-wt를 유기용매 처리하여 제조된 사슬 구조체에 대한 전자현미경 사진으로서 나노입자 간의 간격이 약 10.46± 3.7nm 또는 약 14.52± 5.4nm 정도의 비교적 긴 사슬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완충 용액의 pH 조절법에 의한 사슬 구조체의 제작 방법은 다음과 같다. AuNP-A53C-wt가 녹아 있는 20mM MES 완충액 (pH 6.5)을 간단한 스핀-다운 (16,000 x g) 방법을 통해서 10mM 시트르산염 완충액 (pH 4.2)으로 치환하였다. 약 37℃에서 약 1 시간 동안 반응시키면 단백질 섬유로 둘러싸인 나노입자의 사슬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다.
도 9 내지 도 11은 pH 조절법에 의해 제조된 이중 사슬 또는 다중 사슬의 전자현미경 사진으로서 나노입자간 간격이 유기용매 처리를 통해 확보된 사슬에 비해 1/7 정도로 가까워지고 (2.02±0.38nm) 약 10μm 정도의 긴 사슬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유기용매 처리법과 pH 조절법을 통해 만들어진 나노입자의 사슬이 알파-시뉴클린의 아밀로이드 단백질 섬유에 싸여 있다는 사실은 아밀로이드 섬유 특이적 염료로 알려진 콩고 레드 (congo red) 결합에 의한 복굴절 (birefringence) 현상과 티오플라빈 티 (thioflavin T) 결합에 의한 형광 관찰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AuNP가 포함되지 않은 알파-시뉴클린 아밀로이드 섬유의 경우, 콩고 레드 염색후 400배율 편광 현미경으로 관찰시 애플 그린에서 복굴절 특성을 나타낸다. 반면에 AuNP 및 알파-시뉴클린 코팅된 AuNP는 편광기에서 적색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복굴절이 없음을 의미한다. 핵산 유기용매를 처리하여 얻어진 AuNP 함유 아밀로이드 섬유는 콩고 레드 결합에서 밝은 녹색 복굴절을 나타낸다. 이는 통상적인 아밀로이드 섬유 형성에서 관찰되는 알파-시뉴클린 분자 조립이 실제로 AuNP 조립 과정에서 동작함을 의미한다.
AuNP 포함 단백질 나노섬유의 티오플라빈 T 결합 형광 역시 알파-시뉴클린 코팅된 AuNP가 유기 용매 내에서 배열되었음을 확인해 준다. 이러한 데이터는 통상적인 아밀로이드 섬유에서 발견되는 바와 같이 AuNP 배열이 알파-시뉴클린 분자간의 정돈된 베타-쉬트 구조에 의해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단백질 섬유로 싸인 금 나노입자 사슬의 전기 전도성 및 광전도성
금 나노입자 사슬의 전기 전도성 및 광전도성은 입자간 간격이 매우 좁고 다중 사슬이며 매우 길게 형성될 수 있는 pH 조절법을 통해 만들어진 사슬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산화막이 형성되어 있는 실리콘 웨이퍼 상에 제조된 금 나노입자 사슬을 올려 놓고 실온에서 약 30분 정도 정치한 후, 충분한 양의 증류수로 씻어 내어 금 나노입자 사슬이 흡착된 실리콘 웨이퍼를 제조하였다. 실리콘 웨이퍼의 양쪽 끝에 은 페이스트를 입혀 전극을 형성시켰다.
도 12는 금 나노입자 사슬이 흡착된 실리콘 웨이퍼에 대한 디지털 카메라와 전계방출 주사전자현미경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이미지이다.
양쪽에 전극을 연결하고 전위차계(potentiometer)를 통해서 0-2V의 전압을 걸어주면서 전류 흐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실리콘 웨이퍼나 알파-시뉴클린의 아밀로이드 섬유만 흡착되어 있는 실리콘 웨이퍼에 대하여도 동일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도 13은 다양한 물질이 흡착된 실리콘 웨이퍼에 대한 전압의 변화에 따른 전류의 흐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실리콘 웨이퍼(그래프 a)나 알파-시뉴클린의 아밀로이드 섬유만 흡착된 실리콘 웨이퍼(그래프 b)에서는 전압의 변화에 따른 전류의 흐름이 나타나지 않는 반면에, 단백질 섬유로 싸인 금 나노입자 사슬이 흡착된 실리콘 웨이퍼(그래프 c)에서는 전류의 흐름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래프 c의 경우, 초기의 비반응 유도기(non-responding lag phase)를 거쳐 1.2V 이후부터는 전류의 흐름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4는 다양한 물질이 흡착된 실리콘 웨이퍼에 대한 광전도성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광전도성의 측정을 위하여 인공 태양(solar simulator)을 사용하였다. 실리콘 웨이퍼의 양쪽에 전극을 연결한 상태에서 0.5V의 일정한 전압을 걸고 인공 태양광을 약 10초 간격으로 반복하여 온/오프 하였다. 실리콘 웨이퍼(그래프 a)나 알파-시뉴클린의 아밀로이드 섬유만 흡착된 실리콘 웨이퍼(그래프 b)에서는 인공 태양의 조사에 따른 전류의 흐름이 나타나지 않는 반면에, 단백질 섬유로 싸인 금 나노입자 사슬이 흡착된 실리콘 웨이퍼(그래프 c)에서는 단백질 섬유 하이브리드 금 나노입자 사슬에 의해 즉각적인 광반응이 나타나고 그로 인하여 매우 빠른 시간 안에 전류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금속성 및/또는 전도성 나노입자를 비도전성 매트릭스 내에 캡슐화 시키는 기술로서, 빛에 대한 금속 나노 입자 특유의 표면 플라즈몬 공명으로 인한 3차 비선형성 광학 감수율을 증진시키고, 이를 이용한 고속 광반응 시스템의 개발 측면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융합 나노 물질은 광가이드 시스템으로서 빛에너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해 이동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노 광학 장치의 소형화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광에너지는 대체로 빛의 파장 보다 짧은 크기를 갖는 나노입자를 통하여 이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미세한 파장 크기의 광가이드 시스템은 나노 광학의 최소화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나노물질은 단백질 피복으로 인한 생체적합성 등으로 인하여 미래 나노바이오 기술에 적절하게 응용할 수 있으며, 광 데이터 저장, 정보 처리 및 통신을 포함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광스위치 시스템으로도 도입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6)

  1. 비전도성 알파-시뉴클린 아밀로이드 섬유(a-synuclein amyloid fibrils) 내에 전도성 나노입자 사슬이 선형으로 배열된 전도성 바이오-나노 사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가 금속, 반도체 및 산화물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가 금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으로 배열된 사슬이 두 개 이상 배열된 이중 사슬 및 삼중 사슬을 포함하는 다중 사슬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으로 배열된 사슬이 단백질 기반 하이브리드 나노사슬이며, 가시광선 영역에서 광전도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파-시뉴클린 아밀로이드 섬유가 53번째 아미노산이 시스테인인 돌연변이 알파-시뉴클린의 단백질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알파-시뉴클린 아밀로이드 섬유가 상기 돌연변이 알파-시뉴클린 단백질층 및 그 상부에 형성된 야생형 알파-시뉴클린 단백질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슬.
  8. 알파-시뉴클린과 전도성 나노입자를 혼합하여 상기 전도성 나노입자를 상기 알파-시뉴클린으로 제1 코팅하는 단계;
    상기 제1 코팅된 알파-시뉴클린을 야생형 알파-시뉴클린과 혼합하여 제2 코팅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코팅된 알파-시뉴클린 다수를 조립하여 아밀로이드 섬유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파-시뉴클린 아밀로이드 섬유 내에 나노입자 사슬이 선형으로 배열된 전도성 바이오-나노 사슬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알파-시뉴클린은 아미노산 서열 중에서 53번째 위치의 단백질이 시스테인(cysteine)으로 치환된 돌연변이 알파-시뉴클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가 금속, 반도체 및 산화물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가 금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팅된 알파-시뉴클린을 조립하는 단계가 핵산을 포함하는 유기 용매로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으로 배열된 사슬이 단일 사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팅된 알파-시뉴클린을 조립하는 단계가 완충액의 pH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pH 를 4.7 이하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으로 배열된 사슬이 이중 사슬 및 삼중 사슬을 포함하는 다중 사슬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KR1020100093600A 2010-09-28 2010-09-28 전도성 바이오-나노 융합 사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23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600A KR101723635B1 (ko) 2010-09-28 2010-09-28 전도성 바이오-나노 융합 사슬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11/007119 WO2012044048A2 (ko) 2010-09-28 2011-09-28 전도성 바이오-나노 융합 사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600A KR101723635B1 (ko) 2010-09-28 2010-09-28 전도성 바이오-나노 융합 사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139A KR20120032139A (ko) 2012-04-05
KR101723635B1 true KR101723635B1 (ko) 2017-04-05

Family

ID=45893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600A KR101723635B1 (ko) 2010-09-28 2010-09-28 전도성 바이오-나노 융합 사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23635B1 (ko)
WO (1) WO201204404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204B1 (ko) * 2014-03-04 2015-12-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oP 나노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약물 전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010A (ja) * 1990-04-21 1992-01-08 Toyo Tokushi Kogyo Kk 内燃機関用オイルフィルター用濾材
JP2882910B2 (ja) * 1991-06-27 1999-04-19 富士通株式会社 画像立体認識方法
US6184351B1 (en) * 1998-09-25 2001-02-06 Amgen Inc. α-synuclein super-mutants accelerate α-synuclein aggregation
US20010047032A1 (en) * 1999-12-30 2001-11-29 Castillo Gerardo M. Polyhydroxylated aromatic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amyloidosis and alpha-synuclein fibril diseases
US20090280480A1 (en) * 2005-06-09 2009-11-12 Susan Lindquist Devices from Prion-Like Proteins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 Colby, J. 등. J. Nanosci. Nanotechnol. Vol. 8, No. 2, 페이지 973-978 (2008.)
S Padalkar 등. Nanotechnology. Vol. 18, No. 5, 페이지 055609 (2007.)
Tuomas P J Knowles 등. Nanotechnology. Vol. 18, No. 4, 페이지 044010 (20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44048A2 (ko) 2012-04-05
WO2012044048A3 (ko) 2012-05-31
KR20120032139A (ko) 2012-04-05
WO2012044048A9 (ko) 201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rst et al. Multisegmented one‐dimensional nanorods prepared by hard‐template synthetic methods
Muller et al. Plasmonic library based on substrate-supported gradiential plasmonic arrays
Singh et al. Spider silk as an active scaffold in the assembly of gold nanoparticles and application of the gold–silk bioconjugate in vapor sensing
Lu et al. Discrete nanocubes as plasmonic reporters of molecular chirality
Dujardin et al. Organization of metallic nanoparticles using tobacco mosaic virus templates
Gazit Use of biomolecular templates for the fabrication of metal nanowires
Kim et al. Development of toroidal nanostructures by self-assembly: rational designs and applications
Acar et al. Self-assembled peptide nanofiber templated one-dimensional gold nanostructures exhibiting resistive switching
Sotiropoulou et al. Biotemplated nanostructured materials
Zahr et al. Solution phase gold nanorings on a viral protein template
Sohn et al. Construction of evolutionary tree for morphological engineering of nanoparticles
Minko et al. Mineralization of single flexible polyelectrolyte molecules
Chen et al. Functional architectures based on self-assembly of bio-inspired dipeptides: structure modulation and its photoelectronic applications
Chandrasekharan et al. Assembling gold nanoparticles as nanostructured films using an electrophoretic approach
Bittner Biomolecular rods and tubes in nanotechnology
Wang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f template-synthesized multi-component nanowires: From interfacial design to sensing and actuation applications
WO2012050533A1 (en) A memristor comprising a protei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Castillo-León et al. Self–assembled peptide nanostructure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advantages and challenges
Tian et al. Fabrication of one-and two-dimensional gold nanoparticle arrays on computationally designed self-assembled peptide templates
Vera-Robles et al. A biological approach for the synthesis of bismuth nanoparticles: using thiolated M13 phage as scaffold
Chuang et al. Simple synthesis of eco-friendly multifunctional silk-sericin capped zinc oxide nanorods and their potential for fabrication of hydrogen sensors and UV photodetectors
Ma et al. Optically active chiral Ag nanowires
Petrescu et al. Viral‐based nanomaterials for plasmonic and photonic materials and devices
Qi et al. Novel insights into the selection to electron's spin of chiral structure
Weissman et al. Fabrication of dipole-aligned thin films of Porphyrin J-aggregates over large surfa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