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153B1 -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 전문인력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 전문인력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153B1
KR101723153B1 KR1020150120236A KR20150120236A KR101723153B1 KR 101723153 B1 KR101723153 B1 KR 101723153B1 KR 1020150120236 A KR1020150120236 A KR 1020150120236A KR 20150120236 A KR20150120236 A KR 20150120236A KR 101723153 B1 KR101723153 B1 KR 101723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chnology
information
career
commercialization
nee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0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4780A (ko
Inventor
김구영
송주영
김아영
박태규
Original Assignee
비즈니스전략연구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즈니스전략연구소(주) filed Critical 비즈니스전략연구소(주)
Priority to KR1020150120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153B1/ko
Publication of KR20170024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4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공공기관 및 기업체에서 퇴직한 고경력과학기술인의 경력정보를 분석하고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에 매칭시켜 전문인력을 효과적으로 배분하고 수행시키기 위한 전문인력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경력과학기술인 정보 및 기업(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니즈(needs)에 대한 정보를 입력으로 정보별로 저장하는 생성부와, 상기 생성부에 저장된 정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필수항목 정보와 비교를 실시하여 기재 누락된 사항에 대해 재요청하여 항목별 기재 사항이 충족되는지 분석하는 분석부와,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 확인된 정보를 기반으로 고경력과학기술인의 영역 유형 및 등급을 분류하고, 또한 기업(관)의 니즈 유형을 분류하여 분류된 니즈 유형별로 생성부에서 저장된 고경력과학기술인정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유형 산출부와, 상기 유형 산출부에서 분류된 고경력과학기술인과 기업(관)의 니즈 유형을 매칭 연계시켜 매칭되는 고경력과학기술인에게 사업 및 역할 배분을 수행하는 분류부와, 상기 분류부에서 수행된 자료를 기반으로 업무 수행 종료 후 고경력과학기술인의 분류된 등급을 반영하여 사업별 수익을 산출하여 배분하는 수익 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Description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 전문인력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pecialists management in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business}
본 발명은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에 있어 전문인력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공기관 및 기업체에서 퇴직한 고경력과학기술인의 경력정보를 분석하고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별 특성을 고려해 전문인력을 매칭시킴으로써 업무를 배분하고 수행시키기 위한 전문인력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축적된 무형의 연구개발을 유형화시키는 활동 및 그에 따른 경제적 이익을 획득하도록 하는 제반 활동인 기술사업화에 대한 사회적, 국가적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기술사업화 전주기에 대한 단계별 구성요소가 체계화되어지고 있다. 기술사업화 전주기는 일반적으로 기술 현황파악 및 발굴, 사업성 심층분석, 전략수립, 실행관리, 비즈니스 계획 수립 등으로 구분되며, 일반적인 기술사업화 전주기 전후단에 각각 기획과 실행이 추가된다.
이를 위해, 기술사업화 생태계에서는 기술사업화 전문가, MOT 전문가, 고경력과학기술인 등을 활용한 시장, 기술 및 사업성에 대한 예측분석 및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예측분석 및 평가 수행의 일환으로 정부는 퇴직 과학기술인(고경력과학기술인)이 보유한 노하우와 전문지식의 사회적 활용을 도모하고 개인 잠재력의 지속 발전 기회 제공을 위해 활용 체계 구축 및 운용이 추진되고 있으며, 이는 고경력과학기술인 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즉, 기술사업화 전주기 프로세스별 요구되는 결과물을 도출하기 위한 활동에 대해 고경력과학기술인을 배치함으로써, 전문가적 견해를 기술사업화 전주기에 반영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고경력과학기술인 지원서비스는 단발적이고 한시적이며 수동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한계가 지적되고 있다. 이는 고경력과학기술인 입장에서 신규 아이디어가 있어도 반영할 수 있는 루트가 제한적이며 정부에서 마련한 사업 및 재원을 중심으로 한 사업 영역이 단순 일자리 창출에 치중되어 있어 사업이 단발적이고 수동적이라는 문제점에 기인한다.
뿐만 아니라, 주요 지원기관의 재원이 복권기금 및 정부지원금으로 운영되고 있어 예산이 매년 감소되고 있는 추세로 사업의 지속성 확보가 제한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고경력과학기술인 보유 역량이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정부사업 특성상 동시에 여러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없는 등의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전문인력의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51600호 : 기술 사업화 지원 방법 및 시스템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04127호 : 기술전문가와 수요자간의 온라인 인력수급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공공기관 및 기업체에서 퇴직한 고경력과학기술인의 경력정보를 분석하고 기획부터 비즈니스 실행 범위까지 확장시킨 개념의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에 매칭시켜 전문인력을 효과적으로 배분하고 수행시키기 위한 전문인력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 전문인력 관리 장치의 특징은 고경력과학기술인 정보 및 기업(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니즈(needs)에 대한 정보를 입력으로 정보별로 저장하는 생성부와, 상기 생성부에 저장된 정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필수항목 정보와 비교를 실시하여 기재 누락된 사항에 대해 재요청하여 항목별 기재 사항이 충족되는지 분석하는 분석부와,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 확인된 정보를 기반으로 고경력과학기술인의 영역 유형 및 등급을 분류하고, 또한 기업(관)의 니즈 유형을 분류하여 분류된 니즈 유형별로 생성부에서 저장된 고경력과학기술인 정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유형 산출부와, 상기 유형 산출부에서 분류된 고경력과학기술인과 기업(관)의 니즈 유형을 매칭 연계시켜 매칭되는 고경력과학기술인에게 사업 및 역할 배분을 수행하는 분류부와, 상기 분류부에서 수행된 자료를 기반으로 업무 수행 종료 후 고경력과학기술인의 분류된 등급을 반영하여 사업별 수익을 산출하여 배분하는 수익 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경력과학기술인은 공공기관 및 기업체에서 퇴직한 경력 전문인력 중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의 파트너로서 활동하는 대상으로, 과제기획, 기초ㆍ응용ㆍ개발기술의 확산 활동 전개, 협업사업에 이르기까지의 기술사업화 전주기의 각 단계에서 필요한 사항에 관해 기획ㆍ평가ㆍ컨설팅ㆍ멘토링을 수행하는 전문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생성부는 고경력과학기술인 정보를 입력으로 저장하는 KBOS 정보 생성부와, 기업(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니즈(needs)에 대한 정보를 입력으로 저장하는 KBOC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입력양식은 예비 대상자의 이름, 생년월일, 주소지, 연락처, 최종학력 및 경력사항 등 기본적인 정보들을 입력하는 기본정보 입력란과, 예비 대상자의 과거 경력을 바탕으로 하는 모태기술 및 선행기술 정보, 관련 기술시장 및 생산 제품, 관련시장 및 사업화 등 경제적 파급효과 등을 입력하는 과거역량 입력란과, 예비 대상자의 현재 경력을 바탕으로 하는 주전공 분야, 세부 전공 및 나만의 보유기술, 대표적인 연구 및 사업성과 등을 입력하는 현재역량 입력란과, 예비 대상자의 과거역량 및 현재역량을 바탕으로 내 기술 관련 미래 출현 가능한 기술, 본인 지원 가능 활동 영역(공동개발, 상용화 아이디어 창출, 개발용역 파견, 기술자문/컨설팅, 상용화 전략기회, 기술이전/마케팅, 세계 기업 교류 협력, 기업 M&A) 등을 입력하는 미래역량 입력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형 산출부는 분석부에서 분석 확인된 고경력과학기술인 정보를 기반으로 고경력과학기술인의 영역 유형 및 등급을 분류하는 KBOS 유형 산출부와, 분석부에서 분석 확인된 기업(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니즈(needs)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기업(관)의 니즈 유형을 분류하는 KBOC 유형 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형 산출부는 분류되는 니즈 유형에 따른 활동 영역별로 입력양식에 기재된 과거역량 입력란, 현재역량 입력란과, 미래역량 입력란의 입력정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각각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 전문인력 관리 방법의 특징은 (A) 생성부를 통해 고경력과학기술인의 예비 대상자에게 미리 제공된 입력양식을 기반으로 보유 역량 및 향후 기대성과에 대한 정보를 기재받아 저장하는 단계와, (B) 분석부를 통해 상기 확보된 예비 대상자의 정보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필수항목 정보와 비교하여 기재 누락된 사항에 대해 재요청하며, 항목별 기재 사항이 충족되는지 분석하는 단계와, (C) 상기 분석 확인된 예비 대상자의 정보를 기반으로 고경력과학기술인의 영역 유형 및 등급을 분류하여 고경력과학기술인으로 선정하는 단계와, (D)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가 신청되면, 생성부를 통해 기업(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니즈(needs)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유형 산출부를 통해 활동 영역별 니즈 유형을 분류하는 단계와, (E) 유형 산출부에서 이렇게 분류되는 니즈 유형에 따른 활동 영역별로 상기 입력양식에 기재된 과거역량, 현재역량 및 미래역량의 입력정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각각 부여하여 과거 경력정보, 현재 경력정보, 미래 경력정보를 각각 산출하는 단계와, (F) 상기 산출된 과거 경력정보, 현재 경력정보, 미래 경력정보를 기반으로 분류부에서 고경력과학기술인과 기업(관)의 니즈 유형을 매칭 연계시켜 매칭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매칭되는 고경력과학기술인을 분류하여 해당 사업 및 역할 배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입력양식으로 기재받는 정보는 예비 대상자의 이름, 생년월일, 주소지, 연락처, 최종학력 및 경력사항을 포함하는 기본적인 정보와, 예비 대상자의 과거 경력을 바탕으로 하는 모태기술 및 선행기술 정보, 관련 기술시장 및 생산 제품, 관련시장 및 사업화, 경제적 파급효과를 포함하는 과거역량 정보와, 예비 대상자의 현재 경력을 바탕으로 하는 주전공 분야, 세부 전공 및 나만의 보유기술, 대표적인 연구 및 사업성과를 포함하는 현재역량 정보와, 예비 대상자의 과거역량 및 현재역량을 바탕으로 내 기술 관련 미래 출현 가능한 기술과, 공동개발, 상용화 아이디어 창출, 개발용역 파견, 기술자문/컨설팅, 상용화 전략기회, 기술이전/마케팅, 세계 기업 교류 협력, 기업 M&A를 포함하는 본인 지원 가능 활동 영역을 포함하는 미래역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여되는 가중치는 ① Planning & Consulting : TFT 활동/기술로드맵 기획/전략로드맵 기획인 경우에는 고경력과학기술인의 미래역량(future)에 가장 많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현재역량(present) 및 과거역량(past)에는 이보다 작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와, ② Report & Documentation : RFP 작성/조사분석/성과평가인 경우에는 고경력과학기술인의 현재역량에 가장 많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미래역량 및 과거역량에는 이보다 작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와, ③ Strategy & Value Creation : 기술발굴/미래수요기술 예측/상용화 아이디어 창출/기술상용화 시나리오 플래닝/기업(관) 발굴/기업 M&A인 경우에는 고경력과학기술인의 미래역량에 가장 많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현재역량 및 과거역량에는 이보다 작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와, ④ Technology Transfer & Commercialization : 멘토링/애로기술 지원/컨설팅/마케팅/기술이전협상/Global 기업 교류 협력인 경우에는 고경력과학기술인의 미래역량에 가장 많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현재역량 및 과거역량에는 이보다 작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와, ⑤ Outer Project : 기술지도/공동연구개발/개발용역 파견의 경우에는 고경력과학기술인의 미래역량에 가장 많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현재역량 및 과거역량에는 이보다 작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와, ⑥ Seminar : 포럼/심포지엄의 경우에는 고경력과학기술인의 미래역량 및 현재역량에 가장 많은 가중치를 각각 부여하고, 과거역량에는 이보다 작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여되는 가중치는 각 과거역량, 현재역량 및 미래역량에 포함되는 각 항목별로도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니즈 유형별로 전문인력을 배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E) 단계에서 과거 경력정보는 모태기술/선행기술(PS), 관련 시장(M), 관련 제품(P), 경제적 효과(EE)에 대하여 기업(관) 니즈 유형별 가중치를 곱한 값을 합산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E) 단계에서 현재 경력정보는 전공분야(MS), 연구성과(RP)에 대하여 기업(관) 니즈 유형별 가중치를 곱한 값을 합산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E) 단계에서 미래 경력정보는 미래 출연 가능 기술(FT), 지원 가능 영역(SP)에 대하여 기업(관) 니즈 유형별 가중치를 곱한 값을 합산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F) 단계 이후 업무 수행이 종료되면, 수익 산출부를 통해 수행된 자료를 기반으로 고경력과학기술인의 분류된 등급을 반영하여 사업별 수익을 산출하여 고경력과학기술인에게 배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 전문인력 관리 장치 및 방법은 전문인력의 경력정보를 이용하여 전문인력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의 특성별로 전문인력을 효과적으로 배분하고 수행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한정된 수의 전문인력으로 다수의 기업 및 기술에 대해 분석 및 평가할 수 있어. 기업의 기술 사업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 전문인력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 전문인력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이전 사업화 비즈니스 전문인력 관리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 전문인력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고경력과학기술인 정보 및 기업(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니즈(needs)에 대한 정보를 입력으로 정보별로 저장하는 생성부(100)와, 상기 생성부(100)에 저장된 정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필수항목 정보와 비교를 실시하여 기재 누락된 사항에 대해 재요청하여 항목별 기재 사항이 충족되는지 분석하는 분석부(200)와, 상기 분석부(200)에서 분석 확인된 정보를 기반으로 고경력과학기술인의 영역 유형 및 등급을 분류하고, 또한 기업(관)의 니즈 유형을 분류하여 분류된 니즈 유형별로 생성부(100)에서 저장된 고경력과학기술인 정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유형 산출부(300)와, 상기 유형 산출부(300)에서 분류된 고경력과학기술인과 기업(관)의 니즈 유형을 매칭 연계시켜 매칭되는 고경력과학기술인에게 사업 및 역할 배분을 수행하는 분류부(400)와, 상기 분류부(400)에서 수행된 자료를 기반으로 업무 수행 종료 후 고경력과학기술인의 분류된 등급을 반영하여 사업별 수익을 산출하여 배분하는 수익 산출부(5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경력과학기술인은 공공기관 및 기업체에서 퇴직한 경력 전문인력 중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의 파트너로서 활동하는 대상을 말한다. 이들은 사업의 핵심 플레이어이며, 기술적 역량과 경험을 가치화하는 레인메이커(rainmaker)로서, 과제기획, 기초ㆍ응용ㆍ개발기술의 확산 활동 전개, 협업사업에 이르기까지의 기술사업화 전주기의 각 단계에서 필요한 사항에 관해 기획ㆍ평가ㆍ컨설팅ㆍ멘토링을 수행하는 전문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생성부(100)는 고경력과학기술인 정보를 입력으로 저장하는 KBOS 정보 생성부(110)와, 기업(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니즈(needs)에 대한 정보를 입력으로 저장하는 KBOC 정보 생성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KBOS 정보 생성부(110)는 고경력과학기술인(Knowledge Bridging Office Specialist : KBOS)의 예비 대상자에게 미리 제공된 입력양식을 기반으로 보유 역량(Past, Present) 및 향후 기대성과(Future)에 대한 정보를 기재받고 이를 확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렇게 확보된 정보는 분석부(200)에서 입력 내용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재요청 또는 산출부(300)에서의 고경력과학기술인의 등급을 분류하는 자료로 활용된다.
이때, 상기 입력양식은 예비 대상자의 이름, 생년월일, 주소지, 연락처, 최종학력 및 경력사항 등 기본적인 정보들을 입력하는 기본정보 입력란과, 예비 대상자의 과거 경력을 바탕으로 하는 모태기술 및 선행기술 정보, 관련 기술시장 및 생산 제품, 관련시장 및 사업화 등 경제적 파급효과 등을 입력하는 과거역량 입력란과, 예비 대상자의 현재 경력을 바탕으로 하는 주전공 분야, 세부 전공 및 나만의 보유기술, 대표적인 연구 및 사업성과 등을 입력하는 현재역량 입력란과, 예비 대상자의 과거역량 및 현재역량을 바탕으로 내 기술 관련 미래 출현 가능한 기술, 본인 지원 가능 활동 영역(공동개발, 상용화 아이디어 창출, 개발용역 파견, 기술자문/컨설팅, 상용화 전략기회, 기술이전/마케팅, 세계 기업 교류 협력, 기업 M&A) 등을 입력하는 미래역량 입력란을 포함한다.
상기 과거역량 입력란의 모태기술 및 선행기술 정보는 본인 보유기술의 뿌리가 되는 모태기술(기초, 기반) 또는 선행기술(특허, 논문 등)을 입력받고, 모태 및 선행기술이 없을 시 본인 기술이 세계 최초 기술이라고 기재하도록 하여 입력받는다. 그리고 상기 관련 기술시장 및 생산 제품은 구체적 기술 또는 제품명을 기재하도록 하며, 매스컴, 보도자료 등의 인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입력받는다. 또한 관련시장 및 사업화 등 경제적 파급효과는 국내시장 및 세계 시장을 통한 시장규모, 사회적 생활문화에 대한 영향력 등을 기재하도록 하여 입력받는다.
그리고 상기 KBOC 정보 생성부(120)는 기업(관)(Knowledge Bridging Office Client : KBOC)에서 보유하고 있는 니즈(needs)에 대한 정보를 기재하고 이를 확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렇게 확보된 정보는 분석부(200)에서 입력 내용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KBOS 활동 영역과의 연계를 위한 산출부(300)에서의 니즈 유형별을 분류하는 자료로 활용된다.
또한 상기 유형 산출부(300)는 분석부(200)에서 분석 확인된 고경력과학기술인 정보를 기반으로 고경력과학기술인의 영역 유형 및 등급을 분류하는 KBOS 유형 산출부(310)와, 분석부(200)에서 분석 확인된 기업(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니즈(needs)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기업(관)의 니즈 유형을 분류하는 KBOC 유형 산출부(320)로 구성된다.
상기 KBOS 유형 산출부(310)에서 분류되는 등급은 S등급, A등급, B등급 등으로 구분되어 분류되며, 등급별ㆍ수행 역할별 수익 배분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된다. 또한 지원 가능 영역에 대한 영역 유형을 분류함으로써 분류부(400)에서의 사업 매칭 및 연계의 자료로 활용된다.
그리고 상기 KBOC 유형 산출부(320)에서 분류되는 자료는 분류부(400)에서 연계를 통한 사업 매칭 자료로 활용된다.
상기 KBOC 유형 산출부(320)에서 분류되는 니즈 유형은 ① Planning & Consulting : TFT 활동/기술로드맵 기획/전략로드맵 기획, ② Report & Documentation : RFP 작성/조사분석/성과평가, ③ Strategy & Value Creation : 기술발굴/미래수요기술 예측/상용화 아이디어 창출/기술상용화 시나리오 플래닝/기업(관) 발굴/기업 M&A, ④ Technology Transfer & Commercialization : 멘토링/애로기술 지원/컨설팅/마케팅/기술이전협상/Global 기업 교류 협력, ⑤ Outer Project : 기술지도/공동연구개발/개발용역 파견 및 ⑥ Seminar : 포럼/심포지엄으로 6 단계로 분류된다.
그리고 다음 표 1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상기 6 단계로 분류되는 니즈 유형에 따른 활동 영역별로 상기 KBOS 정보 생성부(110)의 입력양식에 기재된 과거역량 입력란, 현재역량 입력란과, 미래역량 입력란의 입력정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각각 부여하고, 각 활동 영역별로 KBOS 경력 정보사항과 사항별 가중치를 곱하여 합산하는 형태로 활동 영역별 점수를 산출한다. 이때, 부여되는 가중치는 니즈 유형별로 필요로 하는 고경력과학기술인의 경력정보가 서로 다름에 따라, 미리 정의되어 있는 기준에 의해 가중치가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는 바람직한 하나의 일 실시예로서, 관리자에 따라 니즈 유형별로 필요로 하는 고경력과학기술인의 경력정보가 달리 해석될 수 있음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Figure 112015082865829-pat00001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 전문인력 관리 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 전문인력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생성부(100)를 통해 고경력과학기술인(Knowledge Bridging Office Specialist : KBOS)의 예비 대상자에게 미리 제공된 입력양식을 기반으로 보유 역량(Past, Present) 및 향후 기대성과(Future)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확보한다(S10).
이때, 상기 입력양식으로 기재받는 정보는 예비 대상자의 이름, 생년월일, 주소지, 연락처, 최종학력 및 경력사항을 포함하는 기본적인 정보와, 예비 대상자의 과거 경력을 바탕으로 하는 모태기술 및 선행기술 정보, 관련 기술시장 및 생산 제품, 관련시장 및 사업화, 경제적 파급효과를 포함하는 과거역량 정보와, 예비 대상자의 현재 경력을 바탕으로 하는 주전공 분야, 세부 전공 및 나만의 보유기술, 대표적인 연구 및 사업성과를 포함하는 현재역량 정보와, 예비 대상자의 과거역량 및 현재역량을 바탕으로 내 기술 관련 미래 출현 가능한 기술과, 공동개발, 상용화 아이디어 창출, 개발용역 파견, 기술자문/컨설팅, 상용화 전략기회, 기술이전/마케팅, 세계 기업 교류 협력, 기업 M&A를 포함하는 본인 지원 가능 활동 영역을 포함하는 미래역량 정보를 포함한다.
이어 분석부(200)를 통해 상기 확보된 예비 대상자의 정보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필수항목 정보와 비교하여 기재 누락된 사항에 대해 재요청하며, 항목별 기재 사항이 충족되는지 분석한다(S20).
이렇게 분석 확인된 예비 대상자의 정보를 기반으로 고경력과학기술인의 영역 유형 및 등급을 분류하여 KBOS 대상의 고경력과학기술인으로 선정한다(S30). 이때, 분류되는 등급은 S등급, A등급, B등급 등으로 구분되어 분류되며, 이렇게 분류되는 등급은 등급별ㆍ수행 역할별로 차후 수익 배분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된다.
이후,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가 신청되면(S40), 생성부(100)를 통해 기업(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니즈(needs)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유형 산출부(300)를 통해 활동 영역별 니즈 유형을 분류한다(S50). 이때, 분류되는 니즈 유형은 ① Planning & Consulting : TFT 활동/기술로드맵 기획/전략로드맵 기획, ② Report & Documentation : RFP 작성/조사분석/성과평가, ③ Strategy & Value Creation : 기술발굴/미래수요기술 예측/상용화 아이디어 창출/기술상용화 시나리오 플래닝/기업(관) 발굴/기업 M&A, ④ Technology Transfer & Commercialization : 멘토링/애로기술 지원/컨설팅/마케팅/기술이전협상/Global 기업 교류 협력, ⑤ Outer Project : 기술지도/공동연구개발/개발용역 파견 및 ⑥ Seminar : 포럼/심포지엄으로 6 단계로 분류된다.
이어, 유형 산출부(300)는 이렇게 분류되는 니즈 유형에 따른 활동 영역별로 상기 생성부(100)의 입력양식에 기재된 과거역량 입력란, 현재역량 입력란과, 미래역량 입력란의 입력정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각각 부여한다(S60).
상기 부여되는 가중치는 ① Planning & Consulting : TFT 활동/기술로드맵 기획/전략로드맵 기획인 경우에는 고경력과학기술인의 미래역량(future)에 가장 많은 62.2%의 가중치를 부여하고, 현재역량(present) 및 과거역량(past)에는 이보다 작은 29.7% 및 8.1%의 가중치를 부여한다. 그리고 ② Report & Documentation : RFP 작성/조사분석/성과평가인 경우에는 고경력과학기술인의 현재역량에 가장 많은 65.5%의 가중치를 부여하고, 미래역량 및 과거역량에는 이보다 작은 25.0% 및 9.5%의 가중치를 부여한다. 또한 ③ Strategy & Value Creation : 기술발굴/미래수요기술 예측/상용화 아이디어 창출/기술상용화 시나리오 플래닝/기업(관) 발굴/기업 M&A인 경우에는 고경력과학기술인의 미래역량에 가장 많은 74.0%의 가중치를 부여하고, 현재역량 및 과거역량에는 이보다 작은 20.4% 및 5.6%의 가중치를 부여한다. 또한 ④ Technology Transfer & Commercialization : 멘토링/애로기술 지원/컨설팅/마케팅/기술이전협상/Global 기업 교류 협력인 경우에는 고경력과학기술인의 미래역량에 가장 많은 54.2%의 가중치를 부여하고, 현재역량 및 과거역량에는 이보다 작은 38.2% 및 7.7%의 가중치를 부여한다. 또한, ⑤ Outer Project : 기술지도/공동연구개발/개발용역 파견의 경우에는 고경력과학기술인의 미래역량에 가장 많은 54.0%의 가중치를 부여하고, 현재역량 및 과거역량에는 이보다 작은 29.7% 및 16.3%의 가중치를 부여한다. 또한 ⑥ Seminar : 포럼/심포지엄의 경우에는 고경력과학기술인의 미래역량 및 현재역량에 가장 많은 40.0%의 가중치를 각각 부여하고, 과거역량에는 이보다 작은 20.0%의 가중치를 부여한다.
또한 상기 부여되는 가중치는 각 과거역량, 현재역량 및 미래역량에 포함되는 각 항목별로도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니즈 유형별로 전문인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배분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처럼, 상기 부여되는 가중치는 니즈 유형별로 필요로 하는 고경력과학기술인의 경력정보가 서로 다름에 따라, 미리 정의되어 있는 기준에 의해 가중치가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는 바람직한 하나의 일 실시예로서, 관리자에 따라 니즈 유형별로 필요로 하는 고경력과학기술인의 경력정보가 달리 해석될 수 있음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어 분류부(400)에서는 상기 가중치를 기반으로 다음 수학식 1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각 활동 영역별로 KBOS별 경력 정보항목에 기업(관) 니즈 유형별 가중치를 곱한 값을 합산한 후, 해당 결과물에 대한 점수를 기반으로 KBOS별 경력 정보 지수를 산출한다. 그리고 KBOS와 기업(관)의 니즈 유형을 매칭 연계시켜 매칭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매칭되는 KBOS를 분류한다(S70).
Figure 112015082865829-pat00002
Figure 112015082865829-pat00003
이때, 상기
Figure 112015082865829-pat00004
는 KBOS별 경력 정보 지수를 나타내고, 상기
Figure 112015082865829-pat00005
는 KBOS 경력 정보사항별 총합을 나타내고, 상기
Figure 112015082865829-pat00006
은 KBOS 경력 정보항목 중 과거 경력정보를 나타내며, 상기
Figure 112015082865829-pat00007
는 KBOS 경력 정보항목 중 현재 경력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Figure 112015082865829-pat00008
은 KBOS 경력 정보항목 중 미래 경력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Figure 112015082865829-pat00009
는 KBOC 니즈 유형별 가중치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KBOS 경력 정보항목 중 과거 경력정보(
Figure 112016094636863-pat00010
)는 다음 수학식 2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모태기술/선행기술(PS), 관련 시장(M), 관련 제품(P), 경제적 효과(EE)에 대하여 기업(관) 니즈 유형별 가중치를 곱한 값을 합산하여 산출된다.
Figure 112015082865829-pat00011
이때, 상기
Figure 112015082865829-pat00012
는 모태기술/선행기술 지수를 나타내고, 상기
Figure 112015082865829-pat00013
은 관련 시장 지수를 나타내고, 상기
Figure 112015082865829-pat00014
는 관련 제품 지수를 나타내며, 상기
Figure 112015082865829-pat00015
는 경제적 효과 지수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KBOS 경력 정보항목 중 현재 경력정보(
Figure 112015082865829-pat00016
)는 수학식 3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전공분야(MS), 연구성과(RP)에 대하여 기업(관) 니즈 유형별 가중치를 곱한 값을 합산하여 산출된다.
Figure 112015082865829-pat00017
이때, 상기
Figure 112015082865829-pat00018
는 전공분야 지수를 나타내고, 상기
Figure 112015082865829-pat00019
는 연구성과 지수를 나타낸다.
또한, 그리고 상기 KBOS 경력 정보항목 중 미래 경력정보(
Figure 112015082865829-pat00020
)는 수학식 4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미래 출연 가능 기술(FT), 지원 가능 영역(SP)에 대하여 기업(관) 니즈 유형별 가중치를 곱한 값을 합산하여 산출된다.
Figure 112015082865829-pat00021
이때, 상기
Figure 112015082865829-pat00022
는 미래 출연 가능 기술 지수를 나타내고, 상기
Figure 112015082865829-pat00023
는 지원 가능 영역 지수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매칭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매칭되어 분류된 KBOS를 기반으로 우수한 점수가 배정된 활동 영역으로 고경력과학기술인을 해당 사업 및 역할 배분을 수행한다(S80). 이렇게 해당 사업 및 역할에 배분된 고경력과학기술인은 과제기획, 기초ㆍ응용ㆍ개발기술의 확산 활동 전개, 협업사업에 이르기까지의 기술사업화 전주기의 각 단계에서 필요한 사항에 관해 기획ㆍ평가ㆍ컨설팅ㆍ멘토링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업무 수행이 종료되면(S90), 수익 산출부(500)를 통해 분류부(400)에서 수행된 자료를 기반으로 고경력과학기술인의 분류된 등급을 반영하여 사업별 수익을 산출하여 고경력과학기술인에게 배분한다(S100). 이때, 산출되는 사업별 수익은 미리 작성되는 수익배분표를 기준으로 하며, 수입배분에 대한 별도 협의가 이루어질 경우, 별도 협의에 준하는 수익배분을 실시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생성부를 통해 고경력과학기술인의 예비 대상자에게 미리 제공된 입력양식을 기반으로 보유 역량 및 향후 기대성과에 대한 정보를 입력으로 정보별로 저장하는 생성부와,
    상기 생성부에 저장된 정보에 대하여 상기 입력양식의 항목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 중 필수항목으로 미리 설정된 항목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와 비교를 실시하여 기재 누락된 사항에 대해 재요청하여 항목별 기재 사항이 충족되는지 분석하는 분석부와,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 확인된 정보를 기반으로 고경력과학기술인의 영역 유형 및 등급을 분류하고, 또한 기업(관)의 니즈 유형을 분류하여 분류된 니즈 유형별로 생성부에서 저장된 고경력과학기술인 정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유형 산출부와,
    상기 유형 산출부에서 분류된 고경력과학기술인과 기업(관)의 니즈 유형을 매칭 연계시켜 매칭되는 고경력과학기술인에게 사업 및 역할 배분을 수행하는 분류부와,
    상기 분류부에서 수행된 자료를 기반으로 업무 수행 종료 후 고경력과학기술인의 분류된 등급을 기준으로 등급별ㆍ수행 역할별 수익 배분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하여 미리 작성되는 수익배분표를 기준으로 사업별 수익을 산출하여 배분하는 수익 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 전문인력 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경력과학기술인은 공공기관 및 기업체에서 퇴직한 경력 전문인력 중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의 파트너로서 활동하는 대상으로, 과제기획, 기초ㆍ응용ㆍ개발기술의 확산 활동 전개, 협업사업에 이르기까지의 기술사업화 전주기의 각 단계에서 필요한 사항에 관해 기획ㆍ평가ㆍ컨설팅ㆍ멘토링을 수행하는 전문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 전문인력 관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고경력과학기술인 정보를 입력으로 저장하는 KBOS 정보 생성부와,
    기업(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니즈(needs)에 대한 정보를 입력으로 저장하는 KBOC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 전문인력 관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KBOS 정보 생성부는 고경력과학기술인(Knowledge Bridging Office Specialist : KBOS)의 예비 대상자에게 미리 제공된 입력양식을 기반으로 보유 역량(Past, Present) 및 향후 기대성과(Future)에 대한 정보를 기재받고 이를 확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 전문인력 관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양식은
    예비 대상자의 이름, 생년월일, 주소지, 연락처, 최종학력 및 경력사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본적인 정보들을 입력하는 기본정보 입력란과,
    예비 대상자의 과거 경력을 바탕으로 하는 모태기술 및 선행기술 정보, 관련 기술시장 및 생산 제품, 관련시장 및 사업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입력하는 과거역량 입력란과,
    예비 대상자의 현재 경력을 바탕으로 하는 주전공 분야, 세부 전공 및 나만의 보유기술, 대표적인 연구 및 사업성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입력하는 현재역량 입력란과,
    예비 대상자의 과거역량 및 현재역량을 바탕으로 내 기술 관련 미래 출현 가능한 기술, 본인 지원 가능 활동 영역(공동개발, 상용화 아이디어 창출, 개발용역 파견, 기술자문/컨설팅, 상용화 전략기회, 기술이전/마케팅, 세계 기업 교류 협력, 기업 M&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입력하는 미래역량 입력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 전문인력 관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형 산출부는
    분석부에서 분석 확인된 고경력과학기술인 정보를 기반으로 고경력과학기술인의 영역 유형 및 등급을 분류하는 KBOS 유형 산출부와,
    분석부에서 분석 확인된 기업(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니즈(needs)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기업(관)의 니즈 유형을 분류하는 KBOC 유형 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 전문인력 관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KBOS 유형 산출부에서 분류되는 등급은 S등급, A등급, B등급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되어 분류되며, 등급별ㆍ수행 역할별 수익 배분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 전문인력 관리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KBOC 유형 산출부에서 분류되는 니즈 유형은
    ① Planning & Consulting : TFT 활동/기술로드맵 기획/전략로드맵 기획, ② Report & Documentation : RFP 작성/조사분석/성과평가, ③ Strategy & Value Creation : 기술발굴/미래수요기술 예측/상용화 아이디어 창출/기술상용화 시나리오 플래닝/기업(관) 발굴/기업 M&A, ④ Technology Transfer & Commercialization : 멘토링/애로기술 지원/컨설팅/마케팅/기술이전협상/Global 기업 교류 협력, ⑤ Outer Project : 기술지도/공동연구개발/개발용역 파견 및 ⑥ Seminar : 포럼/심포지엄으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 전문인력 관리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형 산출부는
    분류되는 니즈 유형에 따른 활동 영역별로 입력양식에 기재된 과거역량 입력란, 현재역량 입력란과, 미래역량 입력란의 입력정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각각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 전문인력 관리 장치.
  10. 생성부를 통해 고경력과학기술인의 예비 대상자에게 미리 제공된 입력양식을 기반으로 보유 역량 및 향후 기대성과에 대한 정보를 입력으로 정보별로 저장하는 생성부와, 상기 생성부에 저장된 정보에 대하여 상기 입력양식의 항목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 중 필수항목으로 미리 설정된 항목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와 비교를 실시하여 기재 누락된 사항에 대해 재요청하여 항목별 기재 사항이 충족되는지 분석하는 분석부와,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 확인된 정보를 기반으로 고경력과학기술인의 영역 유형 및 등급을 분류하고, 또한 기업(관)의 니즈 유형을 분류하여 분류된 니즈 유형별로 생성부에서 저장된 고경력과학기술인 정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유형 산출부와, 상기 유형 산출부에서 분류된 고경력과학기술인과 기업(관)의 니즈 유형을 매칭 연계시켜 매칭되는 고경력과학기술인에게 사업 및 역할 배분을 수행하는 분류부와, 상기 분류부에서 수행된 자료를 기반으로 업무 수행 종료 후 고경력과학기술인의 분류된 등급을 기준으로 등급별ㆍ수행 역할별 수익 배분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하여 미리 작성되는 수익배분표를 기준으로 사업별 수익을 산출하여 배분하는 수익 산출부로 구성되는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 전문인력 관리 장치를 통한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 전문인력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생성부를 통해 고경력과학기술인의 예비 대상자에게 미리 제공된 입력양식을 기반으로 보유 역량 및 향후 기대성과에 대한 정보를 기재받아 저장하는 단계와,
    (B) 분석부를 통해 확보된 예비 대상자의 정보를 상기 입력양식의 항목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 중 필수항목으로 미리 설정된 항목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와 비교하여 기재 누락된 사항에 대해 재요청하며, 항목별 기재 사항이 충족되는지 분석하는 단계와,
    (C) 상기 분석하는 단계를 통해 확인된 예비 대상자의 정보를 기반으로 고경력과학기술인의 영역 유형 및 등급을 분류하여 고경력과학기술인으로 선정하는 단계와,
    (D)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가 신청되면, 생성부를 통해 기업(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니즈(needs)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유형 산출부를 통해 활동 영역별 니즈 유형을 분류하는 단계와,
    (E) 유형 산출부에서 이렇게 분류되는 니즈 유형에 따른 활동 영역별로 상기 입력양식에 기재된 과거역량, 현재역량 및 미래역량의 입력정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각각 부여하여 과거 경력정보, 현재 경력정보, 미래 경력정보를 각각 산출하는 단계와,
    (F) 상기 산출된 과거 경력정보, 현재 경력정보, 미래 경력정보를 기반으로 분류부에서 고경력과학기술인과 기업(관)의 니즈 유형을 매칭 연계시켜 매칭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매칭되는 고경력과학기술인을 분류하여 해당 사업 및 역할 배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 전문인력 관리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양식으로 기재받는 정보는
    예비 대상자의 이름, 생년월일, 주소지, 연락처, 최종학력 및 경력사항을 포함하는 기본적인 정보와, 예비 대상자의 과거 경력을 바탕으로 하는 모태기술 및 선행기술 정보, 관련 기술시장 및 생산 제품, 관련시장 및 사업화, 경제적 파급효과를 포함하는 과거역량 정보와, 예비 대상자의 현재 경력을 바탕으로 하는 주전공 분야, 세부 전공 및 나만의 보유기술, 대표적인 연구 및 사업성과를 포함하는 현재역량 정보와, 예비 대상자의 과거역량 및 현재역량을 바탕으로 내 기술 관련 미래 출현 가능한 기술과, 공동개발, 상용화 아이디어 창출, 개발용역 파견, 기술자문/컨설팅, 상용화 전략기회, 기술이전/마케팅, 세계 기업 교류 협력, 기업 M&A를 포함하는 본인 지원 가능 활동 영역을 포함하는 미래역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 전문인력 관리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되는 니즈 유형은 ① Planning & Consulting : TFT 활동/기술로드맵 기획/전략로드맵 기획, ② Report & Documentation : RFP 작성/조사분석/성과평가, ③ Strategy & Value Creation : 기술발굴/미래수요기술 예측/상용화 아이디어 창출/기술상용화 시나리오 플래닝/기업(관) 발굴/기업 M&A, ④ Technology Transfer & Commercialization : 멘토링/애로기술 지원/컨설팅/마케팅/기술이전협상/Global 기업 교류 협력, ⑤ Outer Project : 기술지도/공동연구개발/개발용역 파견 및 ⑥ Seminar : 포럼/심포지엄으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 전문인력 관리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여되는 가중치는
    ① Planning & Consulting : TFT 활동/기술로드맵 기획/전략로드맵 기획인 경우에는 고경력과학기술인의 미래역량(future)에 가장 많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현재역량(present) 및 과거역량(past)에는 이보다 작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와,
    ② Report & Documentation : RFP 작성/조사분석/성과평가인 경우에는 고경력과학기술인의 현재역량에 가장 많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미래역량 및 과거역량에는 이보다 작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와,
    ③ Strategy & Value Creation : 기술발굴/미래수요기술 예측/상용화 아이디어 창출/기술상용화 시나리오 플래닝/기업(관) 발굴/기업 M&A인 경우에는 고경력과학기술인의 미래역량에 가장 많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현재역량 및 과거역량에는 이보다 작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와,
    ④ Technology Transfer & Commercialization : 멘토링/애로기술 지원/컨설팅/마케팅/기술이전협상/Global 기업 교류 협력인 경우에는 고경력과학기술인의 미래역량에 가장 많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현재역량 및 과거역량에는 이보다 작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와,
    ⑤ Outer Project : 기술지도/공동연구개발/개발용역 파견의 경우에는 고경력과학기술인의 미래역량에 가장 많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현재역량 및 과거역량에는 이보다 작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와,
    ⑥ Seminar : 포럼/심포지엄의 경우에는 고경력과학기술인의 미래역량 및 현재역량에 가장 많은 가중치를 각각 부여하고, 과거역량에는 이보다 작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 전문인력 관리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여되는 가중치는 각 과거역량, 현재역량 및 미래역량에 포함되는 각 항목별로도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니즈 유형별로 전문인력을 배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 전문인력 관리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과거 경력정보는 모태기술/선행기술(PS), 관련 시장(M), 관련 제품(P), 경제적 효과(EE)에 대하여 기업(관) 니즈 유형별 가중치를 곱한 값을 합산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 전문인력 관리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현재 경력정보는 전공분야(MS), 연구성과(RP)에 대하여 기업(관) 니즈 유형별 가중치를 곱한 값을 합산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 전문인력 관리 방법.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미래 경력정보는 미래 출연 가능 기술(FT), 지원 가능 영역(SP)에 대하여 기업(관) 니즈 유형별 가중치를 곱한 값을 합산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 전문인력 관리 방법.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 이후 업무 수행이 종료되면, 수익 산출부를 통해 수행된 자료를 기반으로 고경력과학기술인의 분류된 등급을 기준으로 등급별ㆍ수행 역할별 수익 배분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하여 미리 작성되는 수익배분표를 기준으로 사업별 수익을 산출하여 고경력과학기술인에게 배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 전문인력 관리 방법.
KR1020150120236A 2015-08-26 2015-08-26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 전문인력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723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236A KR101723153B1 (ko) 2015-08-26 2015-08-26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 전문인력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236A KR101723153B1 (ko) 2015-08-26 2015-08-26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 전문인력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780A KR20170024780A (ko) 2017-03-08
KR101723153B1 true KR101723153B1 (ko) 2017-04-05

Family

ID=58404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236A KR101723153B1 (ko) 2015-08-26 2015-08-26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 전문인력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1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064B1 (ko) * 2018-03-24 2019-11-08 재단법인 한국연구재단 기술분야별 인력양성을 위한 인력수요 예측 방법 및 시스템
KR102222991B1 (ko) * 2019-12-23 2021-03-04 김보언 전문성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 플랫폼의 전문가 풀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11815153A (zh) * 2020-07-07 2020-10-23 河南大有作为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数字化双胞胎的科技成果转化运维监控云平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9801A (ja) 2000-11-13 2002-05-24 Human Science Kenkyusho:Kk インターネットを介した就職求人仲介システム
JP2003256551A (ja) 2002-03-05 2003-09-12 Honda Motor Co Ltd 再雇用支援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127A (ko) 2000-07-03 2002-01-16 박지열 기술전문가와 수요자간의 온라인 인력수급 시스템
KR20090109449A (ko) * 2008-04-15 2009-10-20 박승호 업종 전문가 발굴 구인구직시스템
KR101251600B1 (ko) 2011-03-22 2013-04-08 박정미 기술 사업화 지원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9801A (ja) 2000-11-13 2002-05-24 Human Science Kenkyusho:Kk インターネットを介した就職求人仲介システム
JP2003256551A (ja) 2002-03-05 2003-09-12 Honda Motor Co Ltd 再雇用支援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780A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nbari et al. Post-project reviews as a key project management competence
Thamhain Linkages of project environment to performance: lessons for team leadership
Meher et al. Assessing the influence of knowledge management practice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 ISM approach
Atilgan et al. Improving supply chain performance through auditing: a change management perspective
Noor et al. Adoptio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bim): factors contribution and benefits
Ramos et al. An analysis of maturity models and current state assessment of organizations for industry 4.0 implementation
Capece et al. A practical proposal for a “competence plan fulfillment” key performance indicator
Kim et al. A Six Sigma‐based method to renovate information services: Focusing on information acquisition process
Ferreira et al. Project management practices in private Portuguese organizations
Jasti et al. Development of a framework for lean enterprise
KR101723153B1 (ko) 기술이전·사업화 비즈니스 전문인력 관리 장치 및 방법
Mansour et al. Development of conceptual framework for knowledge management process
Balen et al. Essential determinants for assessing the strategic agility framework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Mercado et al. Benefits of multiskilling in the retail industry: k-chaining approach with uncertain demand
Nundlall et al. Task allocation and coordination in distributed agile software development: a systematic review
Mughal et al. Applications of lean six sigma (LSS) in production systems
Golabchi et al. Estimating labor resource requirements in construction projects using machine learning
RU2480830C2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й обработки данных для принятия управленческих решений по проекту и портфелю проектов
Mateen Measuring Project Management Maturity-A framework for better and efficient Projects delivery
Simão Filho et al. Analysis of task allocation in distributed software development through a hybrid methodology of verbal decision analysis
Bazrkar et al. IDENTIFYING AND SELECTING THE STRATEGIC PROCESS USING THE CROSS-EFFICIENCY APPROACH BASED ON SATISFACTION LEVEL AND EXTENDDED BALANCED SCORECARD.
Noaman et al. Application Innovation Strategy For Digital Maintenance Management Of School Building In Iraq
Kasim et al. Enhancing material tracking practices of material management in construction project
Pereira et al. Methodology for the management of discrete event simulation projects based on pmbok®: action research in a high-tech company
Hassanzadeh et al. Cloud manufacturing: from a concept to a way for being le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