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081B1 - 벼 키다리병 저항성을 갖는 벼 식물체 ''밀양299호'' 및 이의 육종방법 - Google Patents

벼 키다리병 저항성을 갖는 벼 식물체 ''밀양299호'' 및 이의 육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081B1
KR101723081B1 KR1020150049865A KR20150049865A KR101723081B1 KR 101723081 B1 KR101723081 B1 KR 101723081B1 KR 1020150049865 A KR1020150049865 A KR 1020150049865A KR 20150049865 A KR20150049865 A KR 20150049865A KR 101723081 B1 KR101723081 B1 KR 101723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milyang
resistance
disease
rice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0860A (ko
Inventor
박동수
황운하
박수권
신동진
이종희
윤영남
조준현
한상익
이지윤
오성환
송유천
곽도연
여운상
허연재
이샛별
남민희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50049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081B1/ko
Publication of KR20160120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2Methods or apparatus for hybridisation; Artificial pollination ; Fertilit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벼 키다리병 저항성을 갖는 벼 식물체 '밀양299호' 및 이의 육종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밀양299호'는 키다리병 저항성 유전자인 qBK1(bakanae disease resistance 1)이 포함되어 키다리병의 저항성을 가지는 최초의 자포니카형 벼 식물체로서, 상기 식물체는 벼 재배시 키다리병 방제를 위한 종자소독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키다리병 저항성 품종 개발시 키다리병 저항성 관련 유전자인 qBK1 유전자 제공을 위한 교배 모본으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벼 키다리병 저항성을 갖는 벼 식물체 '밀양299호' 및 이의 육종방법{A new rice plant 'Milyang299' with bakanae disease resistance and breed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벼 키다리병 저항성을 갖는 벼 식물체 '밀양299호' 및 이의 육종방법에 관한 것이다.
벼 키다리병은 Gibberella fujikuroi 또는 Fusarium moniliforme 등에 의해 발생하는 대표적인 종자전염성병으로, 육묘시부터 본답시까지 발생하는 병해이다. 묘가 비정상적으로 신장하는 병징때문에 Bakanae disease라 명명된다. 일본에서 1898년 처음 보고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960년대 일부 농가에 심하게 발생하여 문제가 되었고, 최근 들어 벼 종자 내부의 심한 감염과 약제에 대한 저항성균의 출현 등에 의하여 그 발병이 급격히 증가하여 보급종 종자에까지 발병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벼 키다리병에 대하여 저항성이 높은 벼 품종이 개발되어있지 않아, 방제를 위한 농약살포에 막대한 농약과 노동력이 소모되고 있고, 이에 따라 생산비 절감과 친환경 농산물의 생산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벼 종자소독법으로는 ⅰ)적당한 온도의 온수탕을 만들어 파종종자를 일정시간동안 침지시킴으로써 병원균 포자나 유해 미생물을 살균·예방하는 방법인 온탕침법(溫湯浸法)이나, ⅱ)hexaconazole, tebuconazole과 같은 새로운 종자소독제들이 개발 보급되고 있으나, ⅰ)온탕침법은 대량의 종자를 균일한 온도로 처리하기가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고, ⅱ)종자소독제와 같은 화학적 처리는 약제 저항성 균의 출현이 우려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벼 키다리병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벼 키다리병 병원균에 대한 저항성 품종의 재배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세계적으로 벼 키다리병에 대한 저항성 자원은 매우 적은 편이며, 특히 우리나라에서 육성된 벼 키다리병에 대한 저항성 품종에 대한 연구도 미미한 수준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일품/신광 BC6F3 집단을 이용하여 1번 염색체에 존재하는 신광벼 유래의 저항성 QTL인 키다리병 저항성 양적형질유전자 qBK1를 확인하여, 이를 포함하는 신광벼의 저항성 근동질 유전자 계통(Near isogenic line ; NIL)라인을 육성하였으며, 이에 존재하는 수많은 분자표지 중 저항성 분자마커인 RM9를 이용하여 저항성 계통을 선발하고 그 중 제반 농업적 특성이 우량한 계통인 밀양299호를 선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광벼와 일품벼의 여교배 품종인 YR24982-9-1를 모본으로 하고, 일품벼를 부본으로 교배하여 육성한 벼 키다리병 저항성 벼 식물체 '밀양299호' 및 이의 육종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신광벼와 일품벼의 여교배 품종인 YR24982-9-1를 모본으로 하고, 일품벼를 부본으로 교배하여 육성한 벼 키다리병 저항성 벼 식물체 '밀양299호'의 육종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밀양299호'를 육종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벼 키다리병에 대한 중간 저항성을 갖는 신광벼를 공여친으로 사용하고, 키다리병에 대한 감수성을 갖는 일품벼를 반복친으로 하여 4회 여교배함으로써 저항성 근동질 유전자계통 YR24982-9-1을 육성하였다.
이후, 상기 YR24982-9-1를 모본으로, 일품벼를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교잡종(F1)을 육성하였고, 상기 교잡종(F1)과 일품벼와의 여교배를 통해 육성된 F2 집단 중 400개체를 수확한 후 이듬해 F3 세대 400계통을 포장에 전개한 후 초형 등 계통의 외관적 특성이 우수한 20계통을 선별하여 생산력을 검정하였다. 생산력 검정시험에 공시한 20계통 중 각종 농업적 특성이 재배품종인 일품벼와 유사하거나 이보다 우수하면서, 신광벼 유래 저항성 유전자인 qBK1을 포함하는 YR28297-1-38을 선발하여 '밀양299호'로 명명하였다.
본 발명에서 부본으로 사용된 '일품벼'는 농촌진흥청에서 육성된 신품종으로 현재 우리나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품종보호출원공고 제2000-52호). 잎모용성의 정도는 중간이고 출수기는 8월 18일경이며 간장은 79cm 정도이다. 부선색이 황백이며 까락이 없으며 이삭 까락분포도 없다. 현미의 길이는 4.96mm 정도이고 장폭비는 1.83 정도이며, 백미 심백정도가 작고 쌀 복백정도가 드문 메벼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공여친으로 사용된 '신광벼'는 벼 키다리병에 대한 중간 정도의 저항성을 갖는 벼 품종으로서, 벼 키다리병 저항성 유전자 qBK1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밀양299호'는 부본인 일품벼의 우수한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벼 키다리병은 물론 줄무늬잎마름병에 대한 강한 저항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양태로서, 상기 육종방법에 의해 얻어진 벼 키다리병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 벼 식물체 '밀양299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밀양299호'의 육종 과정에 대하여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밀양299호'는 하기와 같은 식물학적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75 내지 85 cm의 간장; 20 내지 25 cm의 수장; 10 내지 15개의 수수; 120 내지 130개의 수당 립수; 8월 15 내지 19일의 출수기; 80 내지 85%의 등숙률; 21 내지 27g의 천립중; 75 내지 85%의 정현비율; 550 내지 560 kg/10a의 수량성; 17 내지 21%의 아밀로스 함량; 3.5 내지 6.5%의 단백질 함량 등의 특성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밀양299호'는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둔동 소재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 2014년 9월 18일자 기탁번호 KACC98040P로 기탁하였으며, 상기 기관 등을 통해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밀양299호'는 일품벼 품종의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벼 키다리병은 물론 줄무늬잎마름병에 대한 강한 저항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기존의 벼 품종보다 형질적으로 우수한 식물체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밀양299호'는 생식용, 가공용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밀양299호'는 키다리병 저항성 유전자인 qBK1(bakanae disease resistance 1)이 포함되어 키다리병의 저항성을 가지는 최초의 자포니카형 벼 식물체이다. 상기 식물체는 벼 재배시 키다리병 방제를 위한 종자소독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키다리병 저항성 품종 개발시 키다리병 저항성 관련 유전자인 qBK1 유전자 제공을 위한 교배 모본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근동질 계통 YR24982-9-1의 키다리병 저항성 정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일품/신광 BC6F4세대 근동질 168 계통에 대한 SSR 마커별 PCR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밀양299호에 대한 마커별 PCR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밀양299호의 키다리병 저항성 정도 및 현미품위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키다리병 생물검정을 위한 식물 재료
키다리병에 대한 중간 저항성을 갖는 신광벼를 공여친으로 사용하고, 키다리병에 대한 감수성을 갖는 일품벼를 반복친으로 하여 4회 여교배함으로써 저항성 근동질 유전자계통 YR24982-9-1을 육성하였다. 이후 일품벼를 모본으로 하고, 상기 저항성 근동질 계통 YR24982-9-1을 부본으로 하여 육성된 BC6F4 세대인 168 계통을 이용하여 생물검정, 유전분석 및 분자마커와 연관분석을 수행하였다.
상기 과정에 이용된 일품/신광 BC6F4 세대 168 개체, 저항성 근동질 계통 YR24982-9-1, 일품벼 및 신광벼에서 추출한 게놈 DNA의 PCR 증폭반응 방법 및 조건은 하기와 같다. PCR 반응을 위해 DNA는 각각 50 ng을 사용하였으며, SSR 마커 프라이머 쌍은 각각 10 pmol을 사용하였으며, 증폭을 위한 폴리머라제 및 PCR 완충액이 혼합되어 있는 프리믹스(premix, Cat. No. G2002, (주) 제넷바이오)를 사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PCR 증폭 조건으로는 추출된 50 ng 씩의 각 계통의 게놈 DNA를 이용하여 총 30 ㎕의 부피(100 pM의 각 프라이머, 200 μM 각각의 dNTPs, 10 mM Tris-HCl pH 9.0, 2 mM MgCl2, 50 mM KCl, 0.1% Triton X-100 및 0.5 U Taq 중합효소)로 94.5℃에서 5분, 94℃에서 30초, 55℃에서 30초, 72℃에서 1분씩, 40회 반복 반응시킨 후 마지막으로 72℃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증폭된 생산물은 3% 아가로스 겔(agarose gel) 또는 아크릴아미드 겔(acrylamide gel)에서 확인하였다.
실시예 2: 키다리병 저항성 생물검정
키다리병 저항성 생물검정을 위하여, 조직포매카세트(tissue embedding cassette)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종자들을 서로 다른 제1용기 또는 제2용기의 서로 다른 구획 내에 치상시킨 후, 벼 키다리병 병원균 포자 현탁액이 수용되어 있는 수조(bath)에 동시에 침지하여 접종하였다. 동일한 환경에서 벼 키다리병 병원균을 접종시킨 후, 접종된 종자들을 육묘용 상자에 구별하여 파종하고, 이로부터 품종별 총 발아 식물체 중 정상식물체(건전주)의 비율을 확인하여 객관적이고도 신속하게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벼 키다리병의 병원균은 푸사리움 모닐리포르메(Fusarium moniliforme)로, 국립농업과학원에서 분양받은 푸사리움 모닐리포르메 균계의 CF283을 사용하였다. 벼 키다리병 저항성 품종을 검정하기 위하여 푸사리움 모닐리포르메의 포자를 PDA(potato dextrose agar) 배지에서 3주간 배양하였고 배양된 포자를 물에 현탁하여 포자현탁액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병원균의 포자현탁액의 농도는 물에 현탁된 포자를 현미경으로 확인하여 1×102 spore/㎖, 1×104 spore/㎖, 1×106 spore/㎖로 조절하였다.
포자현탁액 접종 전 균일한 접종을 위해 접종 전 종자에 존재하는 병균을 제거하기 위해 종자소독을 실시하였다. 조직포매카세트에 담긴 종자를 희석된 푸사리움 모닐리포르메 포자현탁액에 침지하여 26℃에서 3일간 접종하였다. 이때, 병원균의 균일한 접종을 위하여 하루 4회 이상 포자현탁액을 흔들어 주었다. 전단계에서 접종된 종자들을 육묘용 상자에 구별하여 파종하고 약 1개월 후 병징이 충분히 나타날 때 까지 생육시킨 후 건전주와 비건전주를 평가하여 전체 품종 또는 계통별 총 생육 식물체 중 건전주의 비율을 조사하였다. 벼 품종별 키다리병 발병에 따른 건전주 및 비건전주에 대한 구분에 있어서, i) 건전주는 병이 전혀 진전되지 않은 건강한 상태의 식물체와, 발병이 되어 약간의 도장이 관찰되나 이후 회복될 정도로 심각하지 않은 식물체를 말하며, ii) 비건전주는 심각하게 도장한 식물체, 신엽과 하위엽의 사이각도가 45°이상 벌어진 식물체, 위축된 식물체, 균에 의해 발아직후 고사된 식물체, 위축 또는 도장 후 고사된 식물체를 말한다. 나아가 접종된 품종의 건전주 비율은, 품종별 총 발아 식물체 중 건전주의 비율로 산출한다.
<2-1> YR24982-9-1의 키다리병 저항성 수준 분석
YR24982-9-1의 키다리병 저항성 정도는 도 1 및 표 1에 나타내었다. 키다리병 균주 CF283을 이용하여 검정한 결과, 1×102 ~ 1×106 spore/㎖의 농도에서 일품벼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건전주 비율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YR24982-9-1의 저항성 공여친인 신광벼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Figure 112015034492451-pat00001
*건전주의 비율은 생물검정 3회 반복 성적의 평균임
**같은 열의 다른 문자는 유의적 차이가 있음을 의미함
<2-2> YR24982-9-1의 유전자 지도
신광벼에 일품벼를 6회 여교배 한 YR24982-9-1의 주요 농업적 특성은 일품벼와 거의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서 이용한 SSR 마커는 Gramene database(http://www.gramene.org)에 등록된 벼 염색체별 SSR 마커정보를 활용하였다. 벼의 12개의 염색체를 모두 포함하는 335개의 SSR 마커를 이용하여 YR24982-9-1에 신광벼의 염색체 단편이 이입된 영역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염색체 1번, 2번, 7번, 8번, 10번, 11번, 12번에 24종의 SSR 마커가 신광형 대립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YR24982-9-1 염색체의 92.8%가 일품벼와 동일하며 7.2%의 염색체는 신광벼에서 유래함을 의미한다.
Figure 112015034492451-pat00002
실시예 3: BC 6 F 4 근동질 168 계통의 키다리병 저항성 검정 및 키다리병 저항성 양적형질유전자좌(quantitative trait locus; QTL) 분석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시한 검정방법을 통해 키다리병 균주 CF283을 이용하여 1×106 spore/mL의 농도에서 접종 후 저항성 정도를 검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서 벼의 12개의 염색체 중 YR24982-9-1에 신광벼의 염색체 단편이 이입된 영역 중 염색체 1번, 2번, 7번, 8번, 10번, 12번을 표지하는 11종의 SSR 마커를 이용하여 BC6F4 근동질 168계통을 대상으로 PCR을 수행한 후 대립유전자형을 조사하고 생물검정 결과와 종합하여 QTL 분석을 수행하였다. QTL 분석은 매킨토시 QGENE 프로그램(Nelson 1997)을 이용한 복합간격지도작성(composite interval mapping)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LOD(logarithm of the odds) 값 2.5 이상인 SSR 마커를 탐색 목표로 지정하였다.
QTL 분석결과 YR24982-9-1의 1번 염색체 중 SSR마커인 RM9가 표지하는 영역에서 LOD 값이 33.21로 매우 높고 표현형 설명력(proportion of variance explained; PVE)이 65%인 주동 QTL이 탐색되어 이를 키다리병 저항성 유전자 qBK1(bakanae disease resistance 1)로 명명하였다.
Figure 112015034492451-pat00003
* 해당 SSR 마커의 키다리병 저항성(정상식물체 비율) 설명력
실시예 4: 키다리병 저항성 양적형질 유전자좌(QTL) 분자마커 개발
<4-1> 키다리병 저항성 유전자 qBK1 의 1번 염색체상 위치 확인
상기 실시예 3에서 탐색된 키다리병 저항성 유전자 qBK1을 탐색할 수 있는 분자마커 개발을 위해 1번 염색체 RM9 마커 영역 인근에 존재하는 12개의 SSR 마커를 Gramene database(http://www.gramene.org)에서 추가로 탐색한 후, 2차 QTL 분석을 통해 키다리병 저항성 QTL qBK1의 정확한 위치를 분석하였다(표 4). 키다리병 저항성 유전자 qBK1은 1번 염색체 SSR 마커 RM24에서 RM11295가 표지하는 RM11295 사이인 19.30 ~ 23.72 Mb 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7종의 SSR 마커는 LOD 값이 21 이상이며 표현형 설명력이 47% 이상으로 매우 높아 키다리병 저항성 유전자 qBK1 선발용 분자마커로 이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키다리병 저항성 유전자 qBK1의 범위를 나타내는 SSR 마커 2종(RM24, RM11295)과 키다리병 저항성 유전자 qBK1 선발용 분자마커인 SSR 마커 7종(RM11180, RM11245, RM11257, RM11258, RM8144, RM9 및 RM11288)의 프라이머 염기서열은 표 5에 개시하였다. 키다리병 저항성 유전자 qBK1 선발용 분자마커인 SSR 마커 7종에 대한 겔 염색 결과는 도 2와 같다. 2차 QTL 분석에서 탐색된 RM9는 LOD 값이 33.22이며 표현형 설명력이 65%로 본 특허에서 탐색된 키다리병 저항성 유전자 qBK1 선발용 SSR 마커 7종 중 가장 우수한 마커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112015034492451-pat00004
해당 SSR 마커의 키다리병 저항성(정상식물체 비율) 설명력
Figure 112015034492451-pat00005
<4-2> 키다리병 저항성 생물검정 결과 및 분자마커 RM9 유전자형과의 일치성
본 발명에서 키다리병 저항성 유전자 qBK1 선발용 분자마커로 발굴한 RM9의 효용성을 검토하였다. 키다리병 생물검정 결과 BC6F4 근동질 168계통의 건전주 비율은 0 ~ 100%까지 고르게 분포하였으며 10회 반복 검정 결과 일품벼의 건전주 비율은 3.5±4.8%(범위 0 ~ 14.3%), 신광벼는 91.7±6.7%(범위 73.7 ~ 100%)이었으며, YR24982-9-1은 91.4±5.9%(범위 83.9 ~ 100%)로 실시예 2에서와 비슷한 경향이었다. BC6F4 근동질 168계통의 계통별 건전주 비율을 2차 QTL 분석 결과 탐색된 RM9에 대한 유전자형과의 일치성을 확인하였다. BC6F4 근동질 168계통 중 RM9에 대해 신광형 유전자형을 가진 계통의 85% 이상이 저항성 계통으로 구분되었고 일품형 유전자형을 가진 계통의 81%는 감수성 또는 중도 이하의 저항성을 나타내어 본 발명에서 발굴된 RM9는 키다리병 저항성 유전자인 qBK1을 효과적으로 선발할 수 있는 분자마커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5: 밀양 299호의 육종 과정
신광벼 유래 저항성 유전자인 qBK1을 포함하고 수량성 등 주요 농업적 특성이 우수한 벼 식물체를 개발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YR24982-9-1를 모본으로 일품벼를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교잡종(F1)을 육성하였다. 상기 교잡종(F1)과 일품벼와의 여교배를 통해 육성된 F2 집단 중 400개체를 수확한 후 이듬해 F3 세대 400계통을 포장에 전개한 후 초형 등 계통의 외관적 특성이 우수한 20계통을 선별하여 생산력을 검정하였다. 생산력 검정시험에 공시한 20계통 중 각종 농업적 특성이 재배품종인 일품벼와 유사하거나 이보다 우수하면서, 신광벼 유래 저항성 유전자인 qBK1을 포함하는 YR28297-1-38을 선발하여 '밀양299호'로 명명하였다.
밀양299호는 서열번호 1 및 2로 표시되는 프라이머 쌍인 키다리병 저항성 분자마카인 RM9를 이용하여 유전자 증폭(PCR)을 수행한 결과, 모든 개체에서 저항성 유전자 qBK1의 공여품종인 신광벼와 동일한 대립유전자형을 나타내며(도 3), 실시예 2에서 기재한 방법에 의한 저항성 생물검정에서도 신광벼와 유사한 수준의 저항성을 나타내었다(도 4).
Figure 112015034492451-pat00006
또한 일품벼는 벼의 주요 바이러스병인 벼줄무늬잎마름병에 감수성인 반면에 '밀양299호(YR28297-1-38-4)'는 상기 표 6의 서열번호 19 및 20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 쌍인 벼줄무늬잎마름병 저항성 유전자 Stv-bi의 분자마커인 Indel7을 이용하여 유전자 증폭(PCR)을 수행한 결과, 모든 개체에서 벼줄무늬잎마름병 저항성 유전자 Stv-bi의 공여품종인 신광벼와 동일한 대립유전자형을 나타내어 벼줄무늬잎마름병 저항성 유전자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3).
실시예 6: 밀양299호의 주요 농업적 특성 및 수량성
밀양299호의 주요 농업적 특성 및 수량성은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112015034492451-pat00007
밀양299호의 출수기는 8월 17일이고 간장, 수장, 수수 등 외관적인 식물체의 특징은 여교배 반복친인 일품벼와 거의 유사하다. 수량구성요소 중 밀양299호의 등숙율은 83.8%로 일품벼 보다 낮으나, 수당립수가 많고 천립중이 무거웠으며 수량성은 일품벼 보다 2.7% 정도 증수된 554kg/10a 수준이었다.
실시예 7: 밀양299호의 주요 내병성 및 미질 특성
밀양299호의 주요 내병성 및 미질특성은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112015034492451-pat00008
밀양299호의 도열병 및 흰잎마름병 저항성은 여교배 반복친인 일품벼와 유사하게 약한 편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줄무늬잎마름병과 키다리병에 대하여는 여교배 공여친인 신광벼에서 도입된 키다리병 저항성 유전자인 qBK1 및 벼줄무늬잎마름병 저항성 유전자인 Stv-bi의 영향으로 강한 저항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밀양299호의 미질특성을 살펴보면, 백미 단백질과 심복백 발현율은 일품벼와 비슷하였으나, 아밀로스 함량이 19.4%로 일품벼보다 약간 낮았고, 식미치가 70.2로 일품벼보다 3.6점 정도 높아 밥의 윤기가 좋았다. 또한 식미 관능점정 결과에서도 일품벼보다 0.2점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KACC98040P 20140918
<110> REPUBLIC OF KOREA(MANAGEMENT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20> A new rice plant 'Milyang299' with bakanae disease resistance and breeding method thereof <130> KPA140794-KR <160> 20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M24 forward primer <400> 1 gaagtgtgat cactgtaacc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M24 reverse primer <400> 2 tacagtggac ggcgaagtcg 20 <210> 3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M11180 forward primer <400> 3 caagaagact taccggtacc atgc 24 <210> 4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M11180 reverse primer <400> 4 gtccgatgcg actaaggtag gg 22 <210> 5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M11245 forward primer <400> 5 agcgtgaatg cacacttctt tcc 23 <210> 6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M11245 reverse primer <400> 6 attcaaacac ggacgacaga cg 22 <210> 7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M11257 forward primer <400> 7 ttctaggagc gaaggagcct acc 23 <210> 8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M11257 reverse primer <400> 8 caaaccctgc gtatggatga gg 22 <210> 9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M11258 forward primer <400> 9 gctccaccat tcatccatac agc 23 <210> 10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M11258 reverse primer <400> 10 attcgattgg ttccttggct tcc 23 <210> 11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M8144 forward primer <400> 11 aaaagtagct atattttggg atggag 26 <210> 12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M8144 reverse primer <400> 12 gtgaggaaat tatcgaaaca gataaa 26 <210> 13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M9 forward primer <400> 13 ggtgccattg tcgtcctc 18 <210> 14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M9 reverse primer <400> 14 acggccctca tcaccttc 18 <210> 15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M11288 forward primer <400> 15 caatatcagc ctagcacaaa gg 22 <210> 16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M11288 reverse primer <400> 16 ctatccaacc agccatttat cc 22 <210> 17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M11295 forward primer <400> 17 ggcgtacggg tgtactagat aggg 24 <210> 18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M11295 reverse primer <400> 18 cacgtacgac catttcacaa acg 23 <210> 19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ndel7 forward primer <400> 19 cagcatggac tgaatggaat cg 22 <210> 20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ndel7 reverse primer <400> 20 cgcaaggcat aaggtgctac g 21

Claims (5)

  1. 신광벼와 일품벼의 여교배 품종인 YR24982-9-1를 모본으로 하고, 일품벼를 부본으로 교배하여 육성한 벼 키다리병 저항성 벼 식물체 '밀양299호'로서, 상기 밀양299호는 기탁번호 KACC98040P로 기탁된 것인, 벼 식물체 '밀양299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양299호는 서열번호 13 및 1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 쌍에 의해 증폭되는 RM9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키다리병 저항성 유전자 qBK1(bakanae disease resistance 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 식물체 '밀양299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양299호는 줄무늬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 식물체 '밀양299호'.
  4. 삭제
  5. 신광벼를 공여친으로 하고, 일품벼를 반복친으로 하여 여교배하는 단계;
    상기 여교배에 의해 육성된 근동질 계통 YR24982-9-1를 부본으로 하고, 일품벼를 모본으로 하여 교잡하는 단계;
    상기 교잡종(F1)의 식물체를 육종 및 세대진전하는 단계;
    서열번호 13 및 1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 쌍에 의해 증폭되는 RM9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키다리병 저항성 유전자 qBK1(bakanae disease resistance 1)를 포함하는 개체를 선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벼 키다리병 저항성 벼 식물체 '밀양299호'의 육종방법으로서, 상기 밀양299호는 기탁번호 KACC98040P로 기탁된 것인, 육종방법.

KR1020150049865A 2015-04-08 2015-04-08 벼 키다리병 저항성을 갖는 벼 식물체 ''밀양299호'' 및 이의 육종방법 KR101723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865A KR101723081B1 (ko) 2015-04-08 2015-04-08 벼 키다리병 저항성을 갖는 벼 식물체 ''밀양299호'' 및 이의 육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865A KR101723081B1 (ko) 2015-04-08 2015-04-08 벼 키다리병 저항성을 갖는 벼 식물체 ''밀양299호'' 및 이의 육종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860A KR20160120860A (ko) 2016-10-19
KR101723081B1 true KR101723081B1 (ko) 2017-04-05

Family

ID=57250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865A KR101723081B1 (ko) 2015-04-08 2015-04-08 벼 키다리병 저항성을 갖는 벼 식물체 ''밀양299호'' 및 이의 육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0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7349B1 (ko) 2021-09-03 2022-02-24 주식회사 시드피아바이오 향기나는 신품종 벼 오복진선향
KR102394117B1 (ko) 2021-09-03 2022-05-04 주식회사 시드피아바이오 아밀로오스 함량이 낮은 신품종 향미 천혜진선향
KR20230056871A (ko) 2021-10-21 2023-04-2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시드피아 쌀눈이 크고 gaba 함량이 높은 향기 나는 유색미 신품종 벼 다온누리홍찰
KR20230075869A (ko) 2021-11-23 2023-05-3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시드피아 쌀눈이 크고 gaba 함량이 높은 향기 나는 신품종 벼 다온누리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076B1 (ko) 2013-10-18 2015-04-08 대한민국 Dna 마커를 포함하는 벼 키다리병 저항성 유전자 bk1을 가진 벼 품종 선별용 조성물 및 상기 dna 마커를 이용한 키다리병 저항성 벼 품종 선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759B1 (ko) * 2013-05-16 2015-03-16 대한민국 벼 키다리병 저항성 품종의 대량 검정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076B1 (ko) 2013-10-18 2015-04-08 대한민국 Dna 마커를 포함하는 벼 키다리병 저항성 유전자 bk1을 가진 벼 품종 선별용 조성물 및 상기 dna 마커를 이용한 키다리병 저항성 벼 품종 선별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육종학회지 Vol. 44 No. 3 (p.282-289)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7349B1 (ko) 2021-09-03 2022-02-24 주식회사 시드피아바이오 향기나는 신품종 벼 오복진선향
KR102394117B1 (ko) 2021-09-03 2022-05-04 주식회사 시드피아바이오 아밀로오스 함량이 낮은 신품종 향미 천혜진선향
KR20230056871A (ko) 2021-10-21 2023-04-2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시드피아 쌀눈이 크고 gaba 함량이 높은 향기 나는 유색미 신품종 벼 다온누리홍찰
KR20230075869A (ko) 2021-11-23 2023-05-3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시드피아 쌀눈이 크고 gaba 함량이 높은 향기 나는 신품종 벼 다온누리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860A (ko) 201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scuel et al. The sunflower downy mildew pathogen P lasmopara halstedii
Louarn et al. Sunflower resistance to broomrape (Orobanche cumana) is controlled by specific QTLs for different parasitism stages
JP6872307B2 (ja) ホウレンソウにおけるペロノスポラ耐性の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JP2023153180A (ja) トバモウイルスであるトマト褐色縮葉フルーツウイルス(tbrfv)に対するソヌラム・リコペルシカム植物における耐性
Wu et al. Identification of quantitative trait loci for partial resistance to Phytophthora sojae in soybean
JP6306252B1 (ja) セイヨウカボチャ植物のうどんこ病抵抗性マーカー、うどんこ病抵抗性セイヨウカボチャ植物、それを用いたうどんこ病抵抗性セイヨウカボチャ植物の製造方法、およびセイヨウカボチャ植物へのうどんこ病抵抗性の付与方法
KR101723081B1 (ko) 벼 키다리병 저항성을 갖는 벼 식물체 &#39;&#39;밀양299호&#39;&#39; 및 이의 육종방법
US11597944B2 (en) Gene conferring resistance to Cercospora beticola in beets
WO2021112723A1 (ru) Штаммы для биологической защиты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культур от фузариоза
KR20200002955A (ko) 해충 내성이 개선된 페퍼 식물
AU2021328620A1 (en) Plant resistance gene and means for its identification
KR102234489B1 (ko) DNA 마커를 포함하는 벼 키다리병 저항성 유전자 qBK1을 가진 벼 품종 선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저항성 벼 품종 선별 방법
Soresi et al. An in vitro assay for pre-screening resistance to Fusarium head blight in durum wheat
Andreo-Jimenez et al. Genetic mapping of the root mycobiota in rice and its role in drought tolerance
Kaymak et al. Screening breeding apple progenies with Vf apple scab (Venturia inaequalis (Cke.) Wint.) disease resistance gene specific molecular markers
Sudermann et al. The diversity of Passalora fulva isolates collected from tomato plants in US high tunnels
EP4161252A1 (en) Resistance in plants of solanum lycopersicum to the tobrfv
CN106906228B (zh) 能显著提高棉花抗病性的GhLMM基因及其应用
EP3476930A1 (en) Pseudozyma
CN110891416A (zh) 腐霉属抗性的遗传基础
US20230203523A1 (en) Hppd inhibitor herbicide tolerant plant
US20230227841A1 (en) Gene conferring resistance to cercospora beticola in beets
Vermerris et al. Genomic dissection of anthracnose resistance response in 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
WO2022248060A1 (en) Plants of the species beta vulgaris with resistance to cercospora
WO2023012325A1 (en) Resistance to leveillula taurica in pep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