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727B1 - Toilet Bowl Having One Knee Support Part - Google Patents

Toilet Bowl Having One Knee Support Pa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2727B1
KR101722727B1 KR1020160167304A KR20160167304A KR101722727B1 KR 101722727 B1 KR101722727 B1 KR 101722727B1 KR 1020160167304 A KR1020160167304 A KR 1020160167304A KR 20160167304 A KR20160167304 A KR 20160167304A KR 101722727 B1 KR101722727 B1 KR 101722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e
toilet
storage space
knee bolster
toile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3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우영
Original Assignee
김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영 filed Critical 김우영
Priority to KR1020160167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72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7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8Foot- or knee-res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bowl having a one knee support unit for convenience of urine of a male. The toilet bowl having the one knee support unit comprises: a toilet bowl main body (110); an accommodation space unit (120) having an opening in the lower part of a front part on a one side wall of the toilet main body (110) and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in the toilet bowl main body (110); a leading-in and withdrawal inducing base (121) having a rail groove (122)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wherein the leading-in and withdrawal inducing base (121) is a structure frame fix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unit (120) and formed in a slide shape by integrally comprising an inclination unit and a mounting unit; and the one knee support unit (130) which is a block type body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unit (120) by being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ading-in and withdrawal inducing base (121), wherein the one knee support unit (130) is diagonally arranged by being withdrawn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unit (120) as necessary and moving to the front part on the outer side of the one surface of the toilet bowl main body (110) and can support one knee of a user. When the male urinates, the one knee support unit (130) is moved to the front part (A) on the outer side of the one surface of the toilet bowl main body (110). While a toilet seat (C) is placed, the one knee support unit (130) supports the knee as the user bends a leg. As a foot of the other leg is placed on a front part (B) on the sid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oilet bowl, the user can pleasantly urinate while positioning a penis at an inner position (D) of the toilet bowl main body (110).

Description

한무릎받침대가 있는 양변기{Toilet Bowl Having One Knee Support Part}{Toilet Bowl Having One Knee Support Part}

본 발명은 남성의 소변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남성의 경우 양변기에 앉지 않고도 양변기 측면 앞쪽에서 간단한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자세를 낮춘 상태로 쾌적하게 소변을 눌 수 있도록 하는 한무릎받침대가 있는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for providing urine convenience for a male pers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ilet for a male person, which can comfortably urinate by lowering the posture by using a simple ancillary instrument in front of the side of the toilet without sitting on a toilet seat This is about a toilet seat with a knee brace.

일반적으로 공중화장실의 입식소변기 사용에 익숙한 남자들은 대부분이 가정용 양변기에서 소변을 누는 경우 양변기의 좌석시트를 들어올리고 그 앞에 서서 소변을 누게 되는데, 이때 소변이 양변기 밖으로 튀어나오거나 조준이 잘못되어 양변기에 묻게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된다.Generally, most men who are familiar with the use of a toilet bowl in a public restroom lift urine from the toilet seat when they urinate in a domestic toilet, and urinate when they urinate in front of the toilet seat. In many cases.

이로 인해, 양변기가 불결해지고 악취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며, 양변기를 물로 자주 세척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된다.As a result, problems such as fouling of the toilet bowl and generation of odor are caused, and it is troublesome to frequently clean the toilet bowl with water.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제안들을 내놓고 있으나, 실용화 및 대중화에 실패하여 실생활에 적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으며, 현재까지 상기한 문제는 해결과제로 남아있다.Although many proposals have been made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they have failed to be applied to real life because of failing to commercialization and popularization, and the above problems remain as a problem to date.

종래 양변기 관련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구성을 살펴보면, 남자용 입식소변기를 양변기에 결합한 구성은 편리하기는 하나 별도의 세척기능을 필요로 하고 자주 세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며, 가정에서 간편한 옷을 입고 대체로 앉아서 소변을 누다가 어쩌다 한번 외출복을 입고 양변기 앞에 서서 소변을 누게 되는데, 이러한 복합 소변기는 효용 대비 경제적인 측면에서 부담이 되고 청소부위가 늘어나기 때문에 양변기 교체를 꺼려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related to the toilet bowl,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construction of a male urinal to be combined with a toilet bowl is convenient, but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a separate washing function is required and frequently cleaned. The urinal is sometimes put on clothes in the outfit and the urine is stood in front of the toilet. Such a urinal is burdened in terms of economy compared to the utility and the cleaning area is increased.

또한, 두 무릎을 꿇고 생활하는 습관을 갖는 일본에서는 양변기 앞에 서서 양변기 좌석시트를 올린 후 두 무릎을 꿇고 소변을 눌 수 있도록 양무릎받침대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남성의 페니스를 양변기 내에 깊숙이 넣고 소변을 누는 방식이 아니므로 소변이 양변기 테에 묻거나 양변기에 소변이 부딪혀 소변입자가 양변기 밖으로 튀어나오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으며, 양변기 앞에 두 무릎을 꿇는 것을 굴욕적인 자세로 여기는 자들도 있고, 양변기 앞에 놓인 양무릎받침대가 거추장스러운 문제점이 있다.In Japan, which has a habit of lapping on both knees, it is also possible to use both knee braces to put urine on the two knees after raising the seat of the toilet, standing in front of the toilet, There is still a problem that the urine is buried in the urine or the urine in the urinal is spilled out of the toilet due to the urine being stuck in the urine, and some people regard the two knees in front of the urinal as a humiliating postu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knee support is cumbersome.

또한, 이밖에도 소변을 덜 튀게 하는 고형물을 양변기 내에 삽입하거나 소변 튐 방지구조 등을 갖는 양변기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들 역시 불완전하거나 사용이 불편하고 거추장스럽거나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는 등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In addition, there has been proposed a toilet which has a structure for inserting a solid substance which less splashes urine into a toilet, or a structure for preventing urination, but these are also incomplete, inconvenient to use, and cumbersome or economically burdensom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2453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5245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3080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30804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 등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남성의 경우 양변기에 앉지 않고도 양변기 측면 앞쪽에서 간단한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자세를 낮춘 상태로 쾌적하게 소변을 눌 수 있도록 하는 한무릎받침대가 있는 양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s conceived in consideration of thi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attress pedestal which allows a user to comfortably urinate by lowering the posture using a simple aiding device in front of the side of the toilet without sitting on a toilet seat The purpose of the toilet is to provide.

본 발명은 한쪽 무릎을 받쳐 자세를 낮추고 남성의 페니스를 양변기 안쪽에 위치시킨 상태로 쾌적하게 소변을 눌 수 있게 하는 한무릎받침 보조기구를 포함하며, 양변기의 하부공간 내에 수납방식으로 내장하되 이동 배치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남성이 소변을 볼 때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무릎받침대가 있는 양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ttress supporting device for lowering the posture of one knee and allowing the user to comfortably urinate the mitt with the penis positioned inside the toilet, So that the user can take out and use the urine when the male urine is to be provided.

본 발명은 남성이 소변을 눌 때, 한쪽 다리는 양변기 내장 상태에서 외측으로 꺼내 양변기의 측면 앞부분으로 이동 배치할 수 있도록 설치한 한무릎받침 보조기구에 무릎을 받치게 하고 다른 한쪽 다리는 양변기의 반대측 측면 앞부분에 발을 놓게 하여 소변을 눌 수 있는 안정된 자세를 갖도록 하며, 양변기 측면 앞쪽에서 페니스를 양변기의 안쪽에 위치시킨 상태로 소변을 눌 수 있도록 하는 한무릎받침대가 있는 양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male urine is pushed, one leg is taken out to the outside in a state in which a toilet is built, and the knee is supported by a mast condition supporting device provided so as to be moved to the front side of the toile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with a mattress pedestal for allowing the urine to be pushed in the state where the penis is positioned in the inside of the toilet from the front side of the toile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한무릎받침대가 있는 양변기는, 양변기본체(110); 상기 양변기본체(110)의 일측벽 앞부분 하부에 개구를 형성시켜 양변기본체(110)의 내부에 터널형 수납공간을 갖게 한 수납공간부(120); 상기 수납공간부(120)의 수납공간 내에 고정 배치되는 구조틀로서, 경사부 및 경사부에 연장되어 수평 배치되는 안착부로 일체 구성하여 미끄럼틀 형체로 구비되며, 상면 중심부에 인입과 인출 가이드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레일홈(122)을 형성시킨 인입인출유도베이스(121); 상기 인입인출유도베이스(121)의 상면에 안착 구비되어 수납공간부(120) 내에 수납 배치되는 블록형 몸체로서, 필요시 수납공간부(120)로부터 인출하되 양변기본체(110)의 일측면 외측 앞부분으로 이동시켜 사선 배치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양변기본체(110)의 일측면 외측 앞부분으로 이동 배치시 사용자의 한쪽 무릎을 상면에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한무릎받침대(130);를 포함하며, 남성이 소변을 눌 때, 상기 한무릎받침대(130)를 양변기 좌석시트가 놓인 상태(C)에서 양변기본체(110)의 일측면 외측 앞부분(A)으로 이동 배치하여 한쪽 다리를 굽혀 무릎을 상기 한무릎받침대(130)에 받치고, 다른 한쪽 다리는 양변기의 반대측 측면 앞부분(B)에 발을 놓게 하여 양변기본체(110)의 안쪽(D)에 페니스를 위치시킨 상태로 소변을 눌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ilet bowl including a knee bolster, comprising: a toilet body; A storage space part 120 having an opening at a lower portion of a front side of one side wall of the toilet body 110 to provide a tunnel type storage space inside the toilet body 110; The structure frame is fixedly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space part 120. The structure fram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clined part and the horizontal placement part which is extended to the inclined part and is provided as a slider body. Out induction base 121 in which a rail groove 122 is formed; The body 110 is a block-like body which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let / outlet guide base 121 and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20, And a knee bolster 130 configured to support one of the knees of the user on the upper surface when the knee bolster 110 is moved to the outer front side of the one side of the body 110 of the toilet, The knee bolster 130 is moved from the state C where the toilet seat seat sheet is placed to the outer side front side A of the toilet body 110 so as to bend one leg so that the knee is moved to the knee bolster 130, And the other leg is configured to be able to urinate in a state in which the penis is positioned on the inside D of the body 110 of the toilet by causing the foot to be placed on the front side B of the opposite side of the toilet, The.

여기에서, 상기 한무릎받침대(130)는, 직사각육면체로 구비되는 무릎받침본체(131); 상기 무릎받침본체(131)의 선단부 하면에서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인입인출유도베이스(121)의 레일홈(122)에 삽입 배치되는 레일홈삽입구(132); 상기 무릎받침본체(131)의 후단부 하면에서 후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한무릎받침대(130)를 양변기본체(110)의 수납공간부(120) 내에서 인출하여 바닥면에 배치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함과 더불어 무릎 받침을 수행하는 동안 한무릎받침대(130)에 미치는 하중이 양변기본체(11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미끄럼방지돌부(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knee bolster 130 includes a knee bolster main body 131 formed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 rail groove inserting hole 132 protruded downward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knee support main body 131 and inserted into the rail groove 122 of the inlet and outlet guide base 121; And is protruded rearward from a rear end lower surface of the knee support body 131. When the knee bolster 130 is drawn out from the storage space 120 of the toilet body 110 and placed on the floor surface, And a non-slip protrusion 133 provided to minimize a load applied to the knee bolster 130 while the knee bolster is being carried to the body 110 of the toilet.

여기에서, 상기 무릎받침본체(131)는, 직사각육면체의 상면에 대해 평면으로 형성시켜 사용자의 무릎 받침을 가능하게 하는 무릎받침면부(131a); 직사각육면체의 앞부분 측벽에 대해 요홈 구조를 형성시켜 한무릎받침대(130)를 양변기본체(110)의 일측면 외측 앞부분으로 이동 배치시 양변기본체(110)에 밀착 및 걸림에 의해 사선 배치 가능하게 하는 요홈걸림부(131b); 직사각육면체의 하면에 대해 중간부분 경사 구조를 형성시켜 선단부에 비해 후단부를 더 높게 구비함으로써 한무릎받침대(130)를 양변기본체(110)의 수납공간부(120)로부터 인출하여 일측면 외측 앞부분으로 이동 배치시 후단부가 바닥면에 접촉되어 안정적인 배치를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양변기본체(110)의 수납공간부(120)로 한무릎받침대(130)를 인입 처리시 용이하게 밀어 넣을 수 있게 하는 하면형성부(131c); 직사각육면체의 상면에 대해 후측방향으로 연장 돌출시켜 형성되며, 하면에 손가락삽입구멍을 형성시켜 한무릎받침대(130)를 양변기본체(110)의 수납공간부(120)로부터 인출시 용이성을 제공하기 위한 손잡이부(131d);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knee support main body 131 includes a knee support surface portion 131a which is formed in a plane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hexahedron to enable a user's knee support; A recessed structure for forming a recessed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front side wall of the rectangular hexahedron so that the knee bolster 130 is movably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one side of the body 110 of the toilet body, A portion 131b; The middle portion inclined structure is formed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hexahedron so that the rear end portion is higher than the front end portion so that the knee bolster 130 is taken out from the storage space portion 120 of the toilet body 110,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forming portion 131c allows the rear end of the bottom portion to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so as to be stably arranged and to easily push the mattress rest 130 into the receiving space 120 of the body 110. [ ); A finger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so as to exten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a knob 130 for providing ease in drawing out the knee bolster 130 from the storage space 120 of the toilet body 110, A portion 131d; And a control unit.

여기에서, 상기 미끄럼틀 형체로 구비되는 인입인출유도베이스(121)는, 경사부에 대해 수평선 기준으로 10°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한무릎받침대(130)의 인입과 인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한무릎받침대(130)는, 양변기본체(110)의 수납공간부(120)로부터 인출하여 양변기본체(110)의 일측면 외측 앞부분으로 이동시켜 사선 배치시 수직선 기준으로 25°각도로 사선 배치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한쪽 무릎 받침에 따른 안정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inlet / outlet guiding base 121 provided as the slidable body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at an angle of 1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inclined por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line, so that the inlet and outlet operations of the knee bolster 130 can be easily performed ; The mattress stand 130 is drawn out from the storage space 120 of the toilet body 110 and moved to the outer front side of one side of the toilet body 110 so that it can be diagonally arranged at an angle of 25 degrees with respect to a vertical line So that the user can take a stable posture with respect to one of the knee supports of the user.

여기에서, 상기 수납공간부(120)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시켜 형성함으로써 양변기 주변의 바닥면 물청소시 수납공간부(120)로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구성하며; 상기 한무릎받침대(130)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블록형 몸체를 구성하되, 상면에 탄성시트를 부착하여 사용자의 무릎을 보호 및 아프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storage space 12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to prevent water from entering the storage space 120 when cleaning the bottom surface around the toilet bowl. The knee bolster 130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and is structured such that an elastic sheet is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thereof so that a knee of a user is protected and does not hurt.

본 발명에 따르면, 한무릎받침대를 양변기의 하부공간 내에 수납하여 내장하되 이동 배치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남성이 소변을 볼 때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양변기의 측면 앞쪽에서 한쪽 무릎을 받쳐 자세를 낮추고 남성의 페니스를 양변기 안쪽에 위치시킨 상태로 하여 쾌적한 소변을 누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knee bolster is housed in a lower space of a toilet, and the knee bolster is built in and movable so that a male can take it out when urinating, so that the knee is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toilet, By placing the penis in the inside of the toilet, pleasant urine can be raised.

본 발명은 남성이 양변기 측면 앞쪽에서 소변을 눌 때, 한무릎받침대를 양변기본체 내 수납상태에서 꺼내 양변기의 측면 앞부분으로 이동 배치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한쪽 다리의 한쪽 무릎을 한무릎받침대에 받치고 다른 한쪽 다리는 양변기의 반대측 측면 앞부분에 발을 놓게 하여 소변을 눌 수 있게 하며 양변기의 측면 앞쪽에서 페니스를 양변기 안쪽에 위치시킬 수 있고 양변기에 근접한 낮은 자세 및 안정된 자세를 취할 수 있고 안정되고 쾌적하게 소변을 누게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figuration in which when a male urine is pushed in front of the side of a toilet, the mattress pedestal can be taken out from the housed state in the body of the toilet and moved to the front side of the toilet, The other leg supports the foot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ide of the toilet so that the user can urinate the urine. The penis can be placed inside the toilet from the side of the side of the toilet, the low posture close to the toilet can be obtained, And can comfortably urinate.

본 발명은 양변기 측면 앞쪽에서 자세를 낮춘 상태로 소변을 누게 하므로 소변의 낙하거리를 짧게 할 수 있어 양변기 밖으로 튀지 않게 하는 장점과 바지의 중앙지퍼만을 열고 페니스를 꺼내어 소변을 누는 편리함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으며, 남성이 소변을 눌 때 양변기 일측면에서 맞은편 측면으로 소변을 눔으로써 맞은편 측면 내벽의 시야 확보가 용이하여 양변기 측 좌석시트가 놓인 상태에서도 담수공간부의 물이 고이지 않은 굽은 내벽을 향하여 소변을 누게 하는 등 조절능력을 발휘케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urine can be shortened by lowering the posture from the side of the side of the toilet and shortening the distance of the urine to be dropped so that it does not bounce out of the toilet and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satisfy the convenience of opening the central zipper of the pants, And urine is poured on the opposite side from the side of the toilet when the male urinates, so that the visibility of the inside wall of the opposite side is easy to be secured, so that even when the seat side seat of the toilet is placed, the urine is directed toward the curved inner wall Such as the ability to exercise the ability to control.

본 발명은 소변이 세차게 나오는 초기에 담수공간부 측 고인 물이 없는 양변기의 측면 내측벽으로 낙하지점을 맞출 수 있고, 소변의 낙하거리가 짧아 소변이 양변기 밖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방의 경사진 굽은 벽이 소변을 감싸서 밑으로 내리며, 페니스가 양변기 안쪽에 위치하므로 요도에 남은 소변을 털 때에도 양변기 밖으로 소변이 튀어나오지 않게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alling point can be aligned with the side wall of the side surface of the toilet bowl without water present at the initial stage of the urine, and the falling distance of the urine can be shortened to prevent the urine from jumping out of the toilet, The inclined curved wall encircles the urine and falls down. Since the penis is located inside the toilet, the urine can be prevented from popping out of the toilet when the urine is faded.

본 발명은 남자가 양변기 앞에 서서 소변을 누는 행위를 예방할 수 있고, 기존에 비해 보다 깨끗하게 양변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양변기의 청결감을 유지할 수 있으며, 외관상 간결함을 제공함과 더불어 거부감이 없는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 man from standing in front of a toilet seat and urinate, and can use the toilet cleaner more clearly than before, so that the cleanliness of the toilet can be maintained, the design can be simplified,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무릎받침대를 사용한 소변방법 및 한무릎받침대가 있는 양변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무릎받침대 내장 양변기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무릎받침대 내장 양변기를 나타낸 요부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무릎받침대 내장 양변기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urine method using a knee bol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oilet with a knee bolster.
FIG. 2 is a plan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 toilet seat built in a knee bol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elevational view showing a toilet seat built in a knee bol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a toilet seat built in a knee bol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무릎받침대가 있는 양변기(100)는 남성이 양변기 측면 앞쪽에서 소변을 눌 때 쾌적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변기본체(110)와 수납공간부(120), 인입인출유도베이스(121), 한무릎받침대(1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1 to 4, a toilet seat 100 having a mattress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comfortably use urine in front of the side of a toilet seat, A storage space 120, an inlet / outlet guide base 121, and a knee bolster 130.

상기 양변기본체(110)는 세라믹소재로 이루어진 공지의 구성으로서, 대소변을 누기 위한 공간이면서 물이 저장되는 상부 오픈 구조의 담수공간부를 갖는다.The toilet body 110 has a well-known structure made of a ceramic material and has a fresh water space portion of an upper open structure in which water is stored and a space for leakage of urine.

상기 수납공간부(120)는 상기 한무릎받침대(130)를 양변기본체(110)의 내부에 수납하여 내장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양변기본체(110)의 일측벽 앞부분 하부에 개구를 형성시킴에 의해 양변기본체(110)의 내부와 연통되는 터널형 수납공간을 갖게 할 수 있다.The storage space unit 120 is configured to provide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knee bolster 130 is housed in the inside of the toilet body 110. The storage space unit 120 includes an opening Shaped accommodation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body 110 of the toilet can be formed.

이때, 상기 수납공간부(120)는 욕실 등 설치되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시켜 형성함으로써 양변기(100) 주변의 바닥면에 대해 물청소시 개구를 갖는 수납공간부(120) 측으로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torage space part 12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provided with a bathroom or the like, so that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storage space part 120 having an opening at the time of cleaning the water on the floor surface around the toilet toilet 100 It is preferable not to make it.

여기에서, 상기 수납공간부(120)는 양변기본체(110)의 일측벽 앞부분 하부에 개구를 형성시킴에 의해 구비할 수 있는데, 오른손잡이용 또는 왼손잡이용이냐에 따라 개구를 양변기본체(110)의 우측벽 또는 좌측벽에 형성할 수 있다.The storage space 120 may be formed by forming an opening in a lower portion of a front portion of one side wall of the toilet body 110. When the opening of the toilet body 110 is opened in accordance with the right- The right wall or the left wall.

상기 인입인출유도베이스(121)는 상기 수납공간부(120)의 수납공간 내에 고정 배치되는 구조틀로서, 상기 한무릎받침대(130)를 양변기본체(110)의 수납공간부(120) 내부에 내장하여 배치 및 필요시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인입인출유도 가이드부재이며, 양변기본체(110)의 측벽에 연결하여 지지되는 구성을 갖게 형성함으로써 견고하게 설치 및 내구성을 갖출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The inflow and outflow guide base 121 is fixedly arrang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space part 120. The infant outflow guide base 121 is built in the storage space part 120 of the toilet body 110, Out inlet guide member that can be drawn out to the outside when necessary and is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the side wall of the toilet body 110 to thereby provide a solid installation and durability.

이때, 상기 인입인출유도베이스(121)는 양변기본체(110)의 측벽에 일단이 연결되어 하향 경사지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타단에 연장되어 수평 배치되는 안착부로 일체 구성함으로써 미끄럼틀 형체로 구비되며, 상면 중심부에 상기 한무릎받침대(130)에 대해 수납공간부(120) 측 인입과 인출 가이드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레일홈(122)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inlet / outlet guiding base 121 is formed as a slider body by being integrally formed with an inclined portio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side wall of the toilet body 110 and inclined downwardly inclined, and a seating portion horizontally arranged at the other end of the inclined portion, A rail groove 12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so that it can be used for a pull-in and pull-out guide at the side of the storage space 120 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knee bolster 130.

여기에서, 상기 인입인출유도베이스(121)의 상면 중심부에 형성되는 레일홈(122)은 움푹 패인 골로서 일자형 라인 형태로 형성된다.Here, the rail groove 122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top surface of the inlet / outlet guiding base 121 is formed as a hollow line, in the shape of a straight line.

여기에서, 상기 인입인출유도베이스(121)는 미끄럼틀 형체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양변기본체(110)를 제작시 세라믹소재로 일체 구성되게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한무릎받침대(130)의 사용시 발생되는 하중에 견딜 수 있게 하는 등 내구성을 위해 두께를 두텁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inlet / outlet guiding base 121 is provided as a slidable body, and the toilet body 110 may be integrally formed of a ceramic material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When the load generated during use of the knee bolster 130 It is preferable to form a thick layer for durability.

여기에서, 상기 인입인출유도베이스(121)는 양변기본체(110)와는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할 수 있다 할 것인데, 합성수지재나 금속재로 구비하여 수납공간부(120)의 내부에 고정 설치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Here, the inlet / outlet guiding base 121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body 110 of the toilet bowl. The inlet / outlet guiding base 121 may be formed of synthetic resin or metal and may be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storage space 120 You can do it.

여기에서, 상기 인입인출유도베이스(121)는 미끄럼틀 형체의 경사부에 대해 수평선 기준으로 10°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한무릎받침대(130)의 인입과 인출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상기 수납공간부(120) 내부로 인입하여 내장함과 더불어 상기 수납공간부(120)로부터 인출하여 외부 배치하는데 있어 사용상 편의성 및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다.Here, the inlet / outlet guide base 121 is inclined at an angle of 1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slope of the slide-shaped body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line so that the pull-in and pull-out operation of the knee bolster 130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and ease of use in the case of being drawn into the storage space part 120 and taken out from the storage space part 120 and disposed outside.

상기 한무릎받침대(130)는 상기 인입인출유도베이스(121)의 상면에 안착 구비되어 수납공간부(120) 내에 수납 배치되는 블록형 몸체로서, 필요시 수납공간부(120)로부터 인출하되 양변기본체(110)의 일측면 외측 앞부분으로 이동시켜 사선 배치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양변기본체(110)의 일측면 외측 앞부분으로 이동 배치시 사용자의 한쪽 무릎을 상면에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The cushion base 130 is a block-shaped body tha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let / outlet guide base 121 and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120. When necessary, the cushion base 130 is drawn out from the storage space 120, 110,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upport one knee of the user on the upper surface when moving to the outer front side of one side of the body 110 of the toilet.

상기 한무릎받침대(130)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블록형 몸체를 구성할 수 있으며, 블록형 몸체의 상면에 EVA(에틸렌비닐공중합체)나 PU(폴리우레탄) 등으로 된 탄성시트를 부착하여 사용자의 무릎을 보호 및 아프지 않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The knee bracket 130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An elastic sheet made of EVA (ethylene vinyl copolymer) or PU (polyurethane)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It is preferred that the knee is protected and not painful.

이때, 상기 한무릎받침대(130)는 직사각육면체로 구비되는 무릎받침본체(131)와, 상기 무릎받침본체(131)의 선단부 하면에서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인입인출유도베이스(121)의 레일홈(122)에 삽입 배치되는 레일홈삽입구(132)와, 상기 무릎받침본체(131)의 후단부 하면에서 후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한무릎받침대(130)를 양변기본체(110)의 수납공간부(120) 내에서 인출하여 바닥면에 배치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함과 더불어 무릎 받침을 수행하는 동안 한무릎받침대(130)에 미치는 하중이 양변기본체(11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미끄럼방지돌부(133)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knee bolster 130 includes a knee bolster main body 131 formed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a pair of protrusions 132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knee bolster main body 131, A rail groove inserting hole 132 inserted into the space 122 of the toilet main body 110 for insertion into the toilet seat main body 110; 120 to prevent slippage when placed on the floor, and to prevent the load applied to the knee bolster 13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toilet body 110 during the execution of the knee support, And may include the protruding portion 133.

여기에서, 상기 무릎받침본체(131)는 직사각육면체의 상면에 대해 평면으로 형성시켜 사용자의 무릎 받침을 가능하게 하는 무릎받침면부(131a)와, 직사각육면체의 앞부분 측벽에 대해 요홈 구조를 형성시켜 한무릎받침대(130)를 양변기본체(110)의 일측면 외측 앞부분으로 이동 배치시 양변기본체(110)에 밀착 및 걸림에 의해 사선 배치 가능하게 하는 요홈걸림부(131b)와, 직사각육면체의 하면에 대해 중간부분 경사 구조를 형성시켜 선단부에 비해 후단부를 더 높게 구비함으로써 한무릎받침대(130)를 양변기본체(110)의 수납공간부(120)로부터 인출하여 일측면 외측 앞부분으로 이동 배치시 후단부가 바닥면에 접촉되어 안정적인 배치를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양변기본체(110)의 수납공간부(120)로 한무릎받침대(130)를 인입 처리시 용이하게 밀어 넣을 수 있게 하는 하면형성부(131c)와, 직사각육면체의 상면에 대해 후측방향으로 연장 돌출시켜 형성되며 하면에 손가락삽입구멍을 형성시켜 한무릎받침대(130)를 양변기본체(110)의 수납공간부(120)로부터 인출시 용이성을 제공하기 위한 손잡이부(131d)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knee support body 131 includes a knee support surface portion 131a formed in a plane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hexahedron so as to enable the user's knee support, and a knee support structure formed on the front side wall of the rectangular- A groove receiving portion 131b for allowing the pedestal 130 to be diagonally arranged by tightly fitting and engaging the toilet seat main body 110 when the pedestal 130 is moved to the outer side front side of the one side surface of the toilet body 110, And the rear end portion is higher than the front end portion by forming the partial inclined structure so that the cushion support 130 is drawn out from the storage space portion 120 of the toilet body 110 and moved rearward So that the mattress rest 130 can be easily pushed into the storage space 120 of the body 110 of the toilet body during the drawing process. And a finger insertion hole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shaped cuboid so as to extend from the storage space part 120 of the toilet body 11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It is preferable to have a structure including a handle 131d for providing ease of visibility.

여기에서, 상기 한무릎받침대(130)는 상기 양변기본체(110)의 수납공간부(120)로부터 인출하여 양변기본체(110)의 일측면 외측 앞부분으로 이동시켜 사선 배치시 수직선 기준으로 25°각도로 사선 배치 가능하게 직사각육면체의 블록형 몸체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한쪽 무릎 받침에 따른 안정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The knee bolster 130 is drawn out from the storage space 120 of the toilet body 110 and moved to the outer front side of one side of the body 110 of the toilet body so as to be angled at an angle of 25 degrees with respect to a vertical line It is desirable to have a block-shaped body of a rectangular hexahedron so that it can be placed in a stable posture according to one knee support of the user.

여기에서, 상기 무릎받침본체(131)는 직사각육면체의 후면에 대해 경사면 구조로 형성시킴으로써 바닥면 물청소시 잘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며, 선단부에 비해 후단부를 더 높게 구비함으로써 바닥면에서 들뜨지 않게 배치할 수 있다.The knee bottom body 131 is formed to have an inclined surface with respect to the rear surface of the rectangular hexahedron so that the knee bottom body 131 can be smoothly flowed down when cleaning the bottom surface water. The rear end portion is higher than the front end portion, .

여기에서, 상기 한무릎받침대(130)는 양변기본체(110)의 수납공간부(120) 내에 인입인출유도베이스(121)를 고정 배치하고, 그 상면에 지지 결합하여 수납공간부(120) 측에 인입과 인출 가능하게 설치한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용이한 인출 사용을 위해 후단부 일부분이 수납공간부(120) 내를 벗어나 양변기본체(110)의 외부에 노출 배치되게 구성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knee bolster 130 has a draw-out guide base 121 fixedly arranged in the storage space 120 of the body 110 of the toilet body, and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to be drawn into the storage space 120 It is more preferable that a part of the rear end portion of the rear end portion is configured to be exposed and disposed outside the toilet body 110 off the storage space portion 120 as shown in FIG. have.

이와 같은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한무릎받침대 내장 양변기(100)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method of using the knee bolster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남성이 소변을 눌 때, 양변기 앞에 위치한 상태에서 양변기본체(110)의 수납공간부(120) 내에 수납되어 내장된 상태에 있는 한무릎받침대(130)를 외측으로 꺼내어 양변기(100)의 앞부분으로 이동 배치 및 사선 배치한다.When the male urine is poured, the mattress support 130, which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20 of the toilet body 110, is taken out to the front of the toilet 100, And diagonally.

이때, 한무릎받침대(130)를 양변기본체(110)의 수납공간부(120) 내에서 외측으로 꺼낼 때는 직사각육면체인 무릎받침본체(131)의 후측끝단에 형성시킨 손잡이부(131d)를 통해 손으로 잡아 쉽게 인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knee bolster 130 is taken out to the outside in the storage space 120 of the body 110 of the toilet body, the knee bolster main body 131, which is a rectangular hexahedron, It is easy to grab and draw.

여기에서, 한무릎받침대(130)를 인출시에는 미끄럼틀 형체로 된 인입인출유도베이스(121)의 레일홈(122)에 레일홈삽입구(132)가 삽입 배치된 상태로 일직선 가이드되어 후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외측으로 꺼낼 수 있으며, 레일홈(122)의 끝단에 걸림되어 이동 제한되는 지점에서 무릎받침본체(131)의 후측이 양변기본체(110)의 앞부분을 향하도록 회전시킴에 의해 사선 배치할 수 있으며, 무릎받침본체(131)의 하면형성부(131c) 구조에 의해 후단부가 바닥면과 접촉되어 지지됨을 갖게 된다.Here, when the knee bolster 130 is taken out, the rail groove insertion opening 132 is linearly guided in a state in which the rail groove insertion opening 132 is inserted into the rail groove 122 of the sliding-in / And the rear side of the knee support main body 131 is rotated in a direction toward the front part of the toilet body 110 at a position where the movement is restricted by the end of the rail groove 122, And the rear end portion is held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by the structure of the bottom forming portion 131c of the knee bottom main body 131. [

여기에서, 한무릎받침대(130)를 수납공간부(120)에서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외측으로 꺼낸 후 회전을 통해 사선 배치시 무릎받침본체(131)의 요홈걸림부(131b)가 양변기본체(110)의 측벽에 걸림 형성됨에 의해 회전이 제한됨으로써 자연스럽게 사선방향으로 각도 배치하여 고정할 수 있다.Here, the knee bolster 130 is taken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sliding movement in the housing space 120, and then, when the knee bolster 130 is arranged diagonally through the rotation, the groove holding portion 131b of the knee- The rotation is restricted by the engagement with the side wall, so that it can be naturally angularly disposed and fixed in the oblique direction.

이렇게 한무릎받침대(130)를 양변기본체(110)의 외측 앞부분에 위치 및 사선 배치한 상태에 한쪽 다리의 한쪽 무릎을 무릎받침본체(131)의 무릎받침면부(131a)에 받쳐(도 1의 A부분) 넓적다리를 세우고, 이와 동시에 다른 한쪽 다리의 발을 양변기본체(110)의 반대쪽 앞부분에 놓아(도 1의 B부분) 다른 한쪽의 넓적다리가 들리는 형태를 갖게 하며, 양변기(100)에 근접한 낮은 자세를 갖되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한다.One knee of one leg is supported on the knee support surface portion 131a of the knee support main body 131 in a state where the knee knob support 130 is positioned and diagonally arranged on the outer front part of the toilet body 110 1), and the other leg is placed on the opposite front side of the body 110 (Fig. 1B) to allow the other leg to be heard, and the lower Keep your posture but maintain a stable posture.

이에 의해, 남성의 페니스를 양변기본체(110)의 안쪽 및 담수공간부 위쪽 가까운 거리에 위치시킬 수 있고, 양변기(100) 상에 좌석시트(101)가 놓인(도 1의 C부분) 상태에서 담수공간부의 물이 고이지 않은 우측방향 굽은 내벽으로 초기에 소변을 누다가 소변이 잦아질 무렵에 페니스를 양변기본체(110)의 내측 앞쪽(도 1의 D부분)으로 다가가게 하면서 양변기본체(110)의 담수공간부 내에 깊숙이 넣은 상태로 남은 소변을 털고 휴지로 귀두를 닦은 후 일어나 소변행위를 마무리하면 된다.Thus, the male penis can be positioned at a distance close to the inside of the toilet body 110 and the fresh water space above the toilet seat 100. In the state where the seat sheet 101 is placed on the toilet seat 100 (part C in Fig. 1) (The portion D in FIG. 1) of the toilet body 110 when the urine is initially poured into the rightward curved inner wall where the water in the space portion does not move, You can get rid of urine by wiping out the remaining urine in the fresh water space and wiping the glans with tissue.

이렇게 한무릎받침대(130)를 꺼내어 소변을 누고 소변행위를 마무리하였으면, 다시 무릎받침본체(131)의 손잡이부(131d)를 손으로 잡고 초기 사선 배치를 위한 방향 및 각도와는 반대로 행한 후 수납공간부(120)의 내측 방향으로 밀어 양변기본체(110)의 수납공간부(120) 내에 수납 처리하면 된다.When the knee bolster 130 is taken out to urinate and the urine is finished, the knob 131d of the knee bolster main body 131 is held by hand and the direction and angle for the initial diagonal arrangement are reversed, (120), and then housed in the storage space (120) of the toilet body (110).

이때, 한무릎받침대(130)는 사용자가 미는 힘에 의해 미끄럼틀 형체로 된 인입인출유도베이스(121)의 상면을 타고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며, 양변기본체(110)의 수납공간부(120) 내에 수납 처리 및 초기 설치상태로 셋팅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knee bolster 130 slid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let / outlet guiding base 121, which is a slider-shaped body, by the pushing force of the user, and is housed in the storage space part 120 of the toilet body 110, You can set it to the initial installation stat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illustra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100: 양변기 110: 양변기본체
120: 수납공간부 121: 인입인출유도베이스
122: 레일홈 130: 한무릎받침대
131: 무름받침본체 131a: 무릎받침면부
131b: 요홈걸림부 131c: 하면형성부
131d: 손잡이부 132: 레일홈삽입구
133: 미끄럼방지돌부
(A): 한쪽 다리의 무릎을 꿇는 지점 (B): 다른쪽 다리의 발을 놓는 지점
(C): 양변기 좌석시트 (D): 페니스를 양변기에 넣는 위치
100: a toilet bowl 110: a toilet bowl main body
120: storage space unit 121: inlet / outlet guide base
122: rail groove 130:
131: Corrugating main body 131a:
131b: a groove holding portion 131c: a lower surface forming portion
131d: Handle portion 132: Rail groove opening
133:
(A): Point of kneeling on one leg (B): Point on the other leg
(C): Seat of toilet seat (D): Position of penis in toilet seat

Claims (6)

삭제delete 양변기본체(110);
상기 양변기본체(110)의 일측벽 앞부분 하부에 개구를 형성시켜 양변기본체(110)의 내부에 터널형 수납공간을 갖게 한 수납공간부(120);
상기 수납공간부(120)의 수납공간 내에 고정 배치되는 구조틀로서, 경사부 및 경사부에 연장되어 수평 배치되는 안착부로 일체 구성하여 미끄럼틀 형체로 구비되며, 상면 중심부에 인입과 인출 가이드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레일홈(122)을 형성시킨 인입인출유도베이스(121);
상기 인입인출유도베이스(121)의 상면에 안착 구비되어 수납공간부(120) 내에 수납 배치되는 블록형 몸체로서, 필요시 수납공간부(120)로부터 인출하되 양변기본체(110)의 일측면 외측 앞부분으로 이동시켜 사선 배치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양변기본체(110)의 일측면 외측 앞부분으로 이동 배치시 사용자의 한쪽 무릎을 상면에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한무릎받침대(130); 를 포함하며,
남성이 소변을 눌 때, 상기 한무릎받침대(130)를 양변기본체(110)의 일측면 외측 앞부분으로 이동 배치한 상태에서 한쪽 다리를 굽혀 무릎을 상기 한무릎받침대(130)에 받치고, 다른 한쪽 다리는 양변기의 반대측 측면 앞부분에 발을 놓게 하여 양변기본체(110)의 안쪽에 페니스를 위치시킨 상태로 소변을 눌 수 있게 구성하며,
상기 한무릎받침대(130)는,
직사각육면체로 구비되는 무릎받침본체(131);
상기 무릎받침본체(131)의 선단부 하면에서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인입인출유도베이스(121)의 레일홈(122)에 삽입 배치되는 레일홈삽입구(132);
상기 무릎받침본체(131)의 후단부 하면에서 후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한무릎받침대(130)를 양변기본체(110)의 수납공간부(120) 내에서 인출하여 바닥면에 배치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함과 더불어 무릎 받침을 수행하는 동안 한무릎받침대(130)에 미치는 하중이 양변기본체(11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미끄럼방지돌부(13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무릎받침대 내장 양변기.
A toilet body 110;
A storage space part 120 having an opening at a lower portion of a front side of one side wall of the toilet body 110 to provide a tunnel type storage space inside the toilet body 110;
The structure frame is fixedly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space part 120. The structure fram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clined part and the horizontal placement part which is extended to the inclined part and is provided as a slider body. Out induction base 121 in which a rail groove 122 is formed;
The body 110 is a block-like body which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let / outlet guide base 121 and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20, And a knee bolster 130 configured to be able to support one knee of the user when the knee bolster 110 is moved to the outside front side of the one side of the body 110 of the toilet, / RTI >
When the male urine is applied, the knee is supported on the knee bolster 130 while the knee bolster 130 is moved to the outer front side of the one side of the body 110 of the toilet body, and the other knee is supported on the knee bolster 130, And the urine can be pushed in a state in which the penis is positioned on the inside of the body 110 of the toilet,
The knee bolster 130 includes:
A knee bottom main body 131 provid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 rail groove inserting hole 132 protruded downward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knee support main body 131 and inserted into the rail groove 122 of the inlet and outlet guide base 121;
And is protruded rearward from a rear end lower surface of the knee support body 131. When the knee bolster 130 is drawn out from the storage space 120 of the toilet body 110 and placed on the floor surface, A non-slidable protrusion 133 provided to minimize a load applied to the knee bolster 130 while the knee bolster is being carried to the body 110 of the toile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삭제delet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받침본체(131)는,
직사각육면체의 상면에 대해 평면으로 형성시켜 사용자의 무릎 받침을 가능하게 하는 무릎받침면부(131a);
직사각육면체의 앞부분 측벽에 대해 요홈 구조를 형성시켜 한무릎받침대(130)를 양변기본체(110)의 일측면 외측 앞부분으로 이동 배치시 양변기본체(110)에 밀착 및 걸림에 의해 사선 배치 가능하게 하는 요홈걸림부(131b);
직사각육면체의 하면에 대해 중간부분 경사 구조를 형성시켜 선단부에 비해 후단부를 더 높게 구비함으로써 한무릎받침대(130)를 양변기본체(110)의 수납공간부(120)로부터 인출하여 일측면 외측 앞부분으로 이동 배치시 후단부가 바닥면에 접촉되어 안정적인 배치를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양변기본체(110)의 수납공간부(120)로 한무릎받침대(130)를 인입 처리시 용이하게 밀어 넣을 수 있게 하는 하면형성부(131c);
직사각육면체의 상면에 대해 후측방향으로 연장 돌출시켜 형성되며, 하면에 손가락삽입구멍을 형성시켜 한무릎받침대(130)를 양변기본체(110)의 수납공간부(120)로부터 인출시 용이성을 제공하기 위한 손잡이부(131d);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무릎받침대 내장 양변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knee bottom main body 131 includes:
A knee support surface portion 131a formed in a plane with respect to an upp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hexahedron to enable a user's knee support;
A recessed structure for forming a recessed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front side wall of the rectangular hexahedron so that the knee bolster 130 is movably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one side of the body 110 of the toilet body, A portion 131b;
The middle portion inclined structure is formed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hexahedron so that the rear end portion is higher than the front end portion so that the knee bolster 130 is taken out from the storage space portion 120 of the toilet body 110,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forming portion 131c allows the rear end of the bottom portion to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so as to be stably arranged and to easily push the mattress rest 130 into the receiving space 120 of the body 110. [ );
A finger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so as to exten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a knob 130 for providing ease in drawing out the knee bolster 130 from the storage space 120 of the toilet body 110, A portion 131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양변기본체(110);
상기 양변기본체(110)의 일측벽 앞부분 하부에 개구를 형성시켜 양변기본체(110)의 내부에 터널형 수납공간을 갖게 한 수납공간부(120);
상기 수납공간부(120)의 수납공간 내에 고정 배치되는 구조틀로서, 경사부 및 경사부에 연장되어 수평 배치되는 안착부로 일체 구성하여 미끄럼틀 형체로 구비되며, 상면 중심부에 인입과 인출 가이드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레일홈(122)을 형성시킨 인입인출유도베이스(121);
상기 인입인출유도베이스(121)의 상면에 안착 구비되어 수납공간부(120) 내에 수납 배치되는 블록형 몸체로서, 필요시 수납공간부(120)로부터 인출하되 양변기본체(110)의 일측면 외측 앞부분으로 이동시켜 사선 배치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양변기본체(110)의 일측면 외측 앞부분으로 이동 배치시 사용자의 한쪽 무릎을 상면에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한무릎받침대(130); 를 포함하며,
남성이 소변을 눌 때, 상기 한무릎받침대(130)를 양변기본체(110)의 일측면 외측 앞부분으로 이동 배치한 상태에서 한쪽 다리를 굽혀 무릎을 상기 한무릎받침대(130)에 받치고, 다른 한쪽 다리는 양변기의 반대측 측면 앞부분에 발을 놓게 하여 양변기본체(110)의 안쪽에 페니스를 위치시킨 상태로 소변을 눌 수 있게 구성하고,
상기 미끄럼틀 형체로 구비되는 인입인출유도베이스(121)는,
경사부에 대해 수평선 기준으로 10°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한무릎받침대(130)의 인입과 인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한무릎받침대(130)는,
양변기본체(110)의 수납공간부(120)로부터 인출하여 양변기본체(110)의 일측면 외측 앞부분으로 이동시켜 사선 배치시 수직선 기준으로 25°각도로 사선 배치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한쪽 무릎 받침에 따른 안정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무릎받침대 내장 양변기.

A toilet body 110;
A storage space part 120 having an opening at a lower portion of a front side of one side wall of the toilet body 110 to provide a tunnel type storage space inside the toilet body 110;
The structure frame is fixedly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space part 120. The structure fram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clined part and the horizontal placement part which is extended to the inclined part and is provided as a slider body. Out induction base 121 in which a rail groove 122 is formed;
The body 110 is a block-shaped body which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let / outlet guide base 121 and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20, And a knee bolster 130 configured to support one knee of the user on the upper surface when the knee bolster main body 110 is moved to the outer front side of the one side of the body 110 of the toilet. / RTI >
When the male urine is applied, the knee is supported on the knee bolster 130 while the knee bolster 130 is moved to the outer front side of the one side of the body 110 of the toilet body, and the other knee is supported on the knee bolster 130, The urine can be pushed in a state in which the penis is positioned inside the toilet body 110 by placing the foot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toilet body 110,
The inlet / outlet guiding base (121), which is provided as the slidable body,
The inclined portion is inclined at an angle of 1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line so that the pulling-out and pulling-out operations of the cushioning stand 130 can be easily performed;
The knee bolster 130 includes:
The user can pull out the storage space part 120 of the toilet body 110 and move to the outer front side of one side of the toilet body 110 so as to be angularly disposed at an angle of 25 degrees with respect to a vertical line So that the user can take a stable postur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user.

삭제delete
KR1020160167304A 2016-12-09 2016-12-09 Toilet Bowl Having One Knee Support Part KR1017227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304A KR101722727B1 (en) 2016-12-09 2016-12-09 Toilet Bowl Having One Knee Support P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304A KR101722727B1 (en) 2016-12-09 2016-12-09 Toilet Bowl Having One Knee Support Pa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2727B1 true KR101722727B1 (en) 2017-04-18

Family

ID=58703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304A KR101722727B1 (en) 2016-12-09 2016-12-09 Toilet Bowl Having One Knee Support Pa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72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579B1 (en) * 2017-05-29 2018-11-14 이소라 Toilet bowl cover for adult and child having foot plate
DE102022116536A1 (en) 2022-07-01 2024-01-04 Matthias Göhler Toilet with two knee surfac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2279A (en) * 2006-02-22 2007-09-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Western style toilet
JP4425670B2 (en) * 2004-03-12 2010-03-03 聡一郎 辻本 Western-style toil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25670B2 (en) * 2004-03-12 2010-03-03 聡一郎 辻本 Western-style toilet
JP2007222279A (en) * 2006-02-22 2007-09-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Western style toile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579B1 (en) * 2017-05-29 2018-11-14 이소라 Toilet bowl cover for adult and child having foot plate
DE102022116536A1 (en) 2022-07-01 2024-01-04 Matthias Göhler Toilet with two knee surfaces
DE102022116536B4 (en) 2022-07-01 2024-03-21 Matthias Göhler Toilet with two knee surfa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3425B2 (en) Juvenile bathtub
KR20070032763A (en) Full seatable toilet seat
KR101722727B1 (en) Toilet Bowl Having One Knee Support Part
CN103892762A (en) Portable toilet
KR101530657B1 (en) Diaper bidet for baby
KR200414378Y1 (en) Toilet seat cover
KR102339376B1 (en) Automatic sanitary scaffolding for urinal
KR100840073B1 (en) Urinal capable of preventing noise and scattering
US4998298A (en) Kneeling aid and method of use
KR200399753Y1 (en) Portable toilet bowl
JP5188197B2 (en) Nursing bed
KR200491817Y1 (en) Movable bedpan for inducing defecation
KR101971126B1 (en) Toilet which is attached foot pedestal
JP2005013674A (en) Treatment bed
KR102451292B1 (en) Two-way toilet
KR200355599Y1 (en) A footing for chamber pot
JP3177165U (en) Multipurpose chair
JP2005152340A (en) Portable toilet with warm water bidet
KR200425324Y1 (en) The fold type stool for bathroom
KR200437903Y1 (en) Cover of a toilet stool
JP2006212377A (en) Nursing bed with toilet having bidet function
CN212896678U (en) Toilet with combined structure
KR20150047230A (en) Toilet bowl having utensil for male urine
KR20110026034A (en) A bed toilet stool
JP2009225882A (en) Care b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