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629B1 -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금고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금고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2629B1
KR101722629B1 KR1020150111608A KR20150111608A KR101722629B1 KR 101722629 B1 KR101722629 B1 KR 101722629B1 KR 1020150111608 A KR1020150111608 A KR 1020150111608A KR 20150111608 A KR20150111608 A KR 20150111608A KR 101722629 B1 KR101722629 B1 KR 101722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oor
password
smart safe
sa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1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7529A (ko
Inventor
김은영
Original Assignee
김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영 filed Critical 김은영
Priority to KR1020150111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629B1/ko
Publication of KR20170017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7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fire-resisting cabine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05G1/026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05G1/04Closure faste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9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involving significant data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2700/00Safes or accessories thereof
    • E05G2700/02Strong boxes, wall saf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금고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식별번호가 등록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스마트 금고의 도어를 제어할 수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금고 제어 방법은, 상기 스마트금고의 도어제어부가 블루투스부(BLE; Bluetooth Low Energy)를 활성화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의 블루투스부로부터 도어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c)상기 (b)단계에서 도어 제어신호를 수신한 경우 도어제어부가 상기 도어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마트 금고의 도어를 온/오프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단말기를 이용하여 스마트 금고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금고 제어 방법{SMART CASH SAFE BOX CONTROL METHOD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본 발명은 금고의 도어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루투스와 단말기를 이용하여 금고의 도어를 온오프 제어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금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금과 더불어 사용하는 지폐식 상품권 등의 소비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현금과 고가의 상품권을 보관하기 위한 금고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금고의 기능은 단순히 돈을 넣어 보관하는 기능을 넘어서 POS 단말기와 연동하여 금고의 입, 출납이 되도록 하고 있으며, 금고의 잠금장치도 기계식이 대부분이었으나 최근 기술의 발달로 고급형의 전자식 잠금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금고가 화폐나 귀금속을 보관하는 기능에만 초점이 맞추어 있다.
신용카드 및 전자화폐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세계적으로 금고의 시장은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최근 금융위기와 함께 확산된 은행에 대한 불신으로 많은 소비자들이 금괴와 더불어 현금을 안전하게 임시 보관하고자 하는 데에 금고의 수요가 커지고 있다. 또한 금고가 사용되는 곳도 다변화되고 있으며, 금고에도 최신 IT기술이 접목되어 획일적인 기계식 금고에서 벗어나 다양한 잠금장치 기술이 개발되어 접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저가형의 금고시장과 고가형의 금고시장이 양분되고 있으며, 디자인 및 첨단 기능을 부가한 제품의 인기가 크게 증대되고 있다.
한편, 카메라 부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으로 바코드를 스캔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QR코드와 같은 2차원 바코드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읽는 것이 가능하다.
또, 근년, 세계 표준의 근거리 무선 규격인 BlueTooth 및 NFC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으로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에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인증, 회원등록 그리고 결제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휴대 단말을 이용한 회원 등록 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 휴대 단말을 이용한 선불 및 후불 결제 시스템, 소액 이체 방법, 포인트 서비스 시스템, 에스크로 서비스 시스템[특허문헌 3]의 기술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ID나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고 인증이 가능하고 개인정보를 입력하지 않고 회원 등록이 가능하고, 결제정보를 입력하지 않고 결제가 가능하다.
KR 공개특허 제 10-2011-0135039호(2011.12.16)
본 발명은 이러한 금고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접목하여 금고의 도어를 온오프제어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금고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별번호가 등록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스마트 금고의 도어를 제어할 수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금고 제어 방법은 상기 스마트금고의 도어제어부가 블루투스부(BLE; Bluetooth Low Energy)를 활성화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의 블루투스부로부터 도어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도어 제어신호를 수신한 경우 도어제어부가 상기 도어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마트 금고의 도어를 온/오프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식별번호가 등록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스마트 금고의 도어를 제어할 수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금고 제어 방법은, 상기 스마트금고의 도어제어부에서 상기 단말기의 등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등록된 단말기로 판단되면 상기 단말기는 표시부에 키패드를 표시하고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스마트금고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금고의 도어제어부는 전송받은 비밀번호가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도어를 온/오프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제어부는 등록된 단말기인 경우의 비밀번호와 미등록된 단말기인 경우 다른 비밀번호를 등록한 경우에 등록되지 않은 단말기로 판단되면, 단말기제어부는 표시부에 키패드를 표시하고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스마트금고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금고의 도어제어부는 전송받은 비밀번호가 저장된 미등록된 단말기인 경우의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도어를 온/오프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금고 제어 방법에 의하면, 등록된 단말기뿐만 아니라 미등록된 단말기를 포함하여 다수의 단말기를 사용하여 금고의 도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원격지에서도 도어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금고 전면에 아무런 장치가 없어도 금고의 도어를 온오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보안성이 뛰어나고, 금고의 도어 전면을 다양한 형태 및 소재로 디자인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도어를 제어하기 때문에 보다 안전하게 금고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금고 제어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스마트 금고의 주요 구성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금고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기의 화면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금고 제어 장치의 주요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금고 제어 장치는 등록단말기(130)와 미등록단말기(130a), 통신망(120) 및 스마트 금고(110)를 포함한다.
등록단말기(130)와 미등록단말기(130a)는 통신망(120)을 통하여 스마트 금고(110)에 접속하여 금고의 도어를 온/오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등록단말기(130)와 미등록단말기(130a)는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고 통신망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면 족하므로 스마트폰이나 이동통신 단말기에 한정하지 않으며, PC, 테블릿PC, 핸드폰, 랩탑, 드론, 가상현실장치 (VR) 등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의 단말기의 상세 구성도를 참고하면, 단말기(130)는 무선으로 통신망(120)을 통하여 스마트 금고(110)에 접속하여 금고의 도어를 온/오프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30)는 스마트 금고(1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사용자앱(App)부(134)와, 키입력부(133)와, 등록 단말기와 비밀번호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136)와, 단말기표시부(135)와,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스마트 금고(1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저장부(136)에 관련 단말기의 식별번호와 비밀번호를 저장하거나 판독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제어부(131)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금고(110)와 도어 온오프와 같은 키명령신호나 비밀번호 등을 전송하기 위한 BLE부(Bluetooth Low Energy;이하, 블루투스부라 함)를 포함한다.
사용자앱(App)부(134)는 필요한 경우 IOS 계열이건 안드로이드 계열이건 관계없이 각 OS에 맞는 앱을 앱 스토어에 올려서 배포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고, NFC통신과 B/T통신을 통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금고 제어 방법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앱(App)의 설치과정에서 인증과정을 거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앱(App)의 다운 및 설치과정 그리고 인증단계 등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키입력부(133)는 터치 스크린이나 키패드로 해당 키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통상의 이동 통신기능 제어에 필요한 키와 본 발명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금고 제어 방법과 관련된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스마트 금고(110)에 접속된 경우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또는 도어 온/오프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36)는 단말기의 식별번호와 각 단말기별 비밀번호, 미등록 단말기인 경우 다른 비밀번호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일 수 있으며, 단말기표시부(135)는 본 발명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금고 제어 방법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거나, 키입력부(133)를 통해 선택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로 구성한다.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132)는 통신수단 중 하나로써, 근거리 통신망을 통하여 스마트 금고(1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132)를 사용하여 스마트 금고(110)와 더불어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RF 모듈과 같은 근거리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스마트 금고(110)와 송수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경우, NFC는 NFC 안테나에 통상의 태깅(Tagging)을 통하여 정보를 송수신하고, 블루투스(Bluetooth)는 페어링(Pairing)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 금고와 블루투스가 페어링되어 활성화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통신망(120)은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이나 PSTN, 케이블 통신 등 무선 통신망을 포함한다.
따라서, 단말기(130)는 통신망(120)을 통해 스마트 금고(110)에 접속하는 예컨대, 금고 관리자가 휴대하는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는데, 이때 통신망(120)은 예컨대, WCDMA, HSDPA, HSUPA 등의 이동 통신망이나,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등의 근거리 통신망일 수 있다.
스마트 금고(110)는 통신망(120)을 통해 접속한 단말기(130)에 도어 온오프와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도어를 온오프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도 3의 본 발명의 스마트 금고의 주요 구성도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스마트 금고(110)는 키입력부(115), 저장부(114), BLE부(113), 도어제어부(111) 등을 포함한다.
저장부(114)는 각각 단말기의 식별번호인 단말기 정보와 각 단말기별 비밀번호 등을 저장관리한다.
또한 저장부(114)는 식별번호별로 등록된 단말기의 비밀번호, 미등록된 단말기의 비밀번호 등을 분리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이는 미등록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도어를 온오프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저장부(114)는 도어의 온오프 기록을 저장할 수 있다.
도어의 온오프 기록은 통상의 금고의 온오프상태는 물론이고, 본 발명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도어를 온오프한 경우 히스토리를 저장하여 필요한 경우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BLE부(Bluetooth Low Energy;113)는 단말기(130)의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132)와 페어링되어 각종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하에서는 통상의 금고의 도어를 온오프하는 경우 즉 다이얼식 비밀번호를 사용하거나 금고키를 이용하여 도어를 온오프하는 경우는 제외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어에 구비된 키입력부의 수동입력버튼을 이용하여 블루투스부를 활성화하여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자동으로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여 표시창에 표시된 키패드를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블루투스로 통신하여 도어를 온오프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즉, 본 발명은 수동과 자동으로 도어를 온오프할 경우에도 도어의 온오프에 관련된 데이터는 블루투스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터리(112)는 스마트 금고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일반적인 전원공급장치이다.
이러한 스마트 금고 제어 장치를 이용한 금고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4와 도 5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금고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금고의 도어제어부(111)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도어의 온오프를 제어할 것인지 유무를 설정한다(S110).
이러한 설정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설정한 경우, 수동으로만 도어를 온오프한다거나 또는 자동으로만 도어를 온오프한다는 의미를 포함하여, 수동으로 설정된 경우는 스마트금고에 구비된 수동입력버튼이 입력되면, 수동으로 설정된 것을 포함하고, 단말기나 블루투스를 통하여 도어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자동으로 도어를 온오프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금고(110)에서 수동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스마트 금고에 구비된 키입력부(115)의 수동입력버튼이 입력되었는 지를 판단한다(S120).
단계 S120에서 수동설정이 아닌 경우에는 "A"단계를 수행한다.
"A"단계는 자동으로 설정된 단계를 의미한다.
단계 S120에서 수동으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스마트금고에 구비된 수동입력버튼이 입력되었는 지를 판단한다(S130).
단계 S130에서 수동입력버튼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도어제어부(111)는 BLE부(113)를 활성화시켜 BLE부(113)를 통하여 단말기로부터 비밀번호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대기한다.
도어제어부(111)가 BLE부(113)를 활성화시킨 상태에서는 BLE부(113)를 통하여 스마트 금고의 도어의 온오프에 대한 도어제어신호를 수신한다(S150).
이러한 도어제어신호는 도어를 온(열림)시키거나 오프(닫힘)시키라는 개별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으나, 토글(toggle) 스위치의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현재 도어의 상태가 온상태이면 오프시키고 오프 상태이면 온시키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단계 S150에서 도어의 온/오프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고, 비밀번호 즉 숫자나 특수 문자 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S160), 수신한 비밀번호와 저장부(114)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170).
단계 S170에서 수신한 비밀번호와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도어제어부(111)는 도어를 온오프제어하고 종료한다(S180).
이 경우에도 도어를 온(열림)시키거나 오프(닫힘)시키라는 개별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으나, 토글(toggle)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는 현재 도어의 상태가 온상태이면 오프시키고 오프 상태이면 온시키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이때 도어제어부(111)는 도어의 상태가 변한 경우, 즉,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변하거나 또는 온상태에서 오프상태로 변한 경우에는 도어의 온오프 상태를 저장부(114)에 저장하고 등록된 단말기로 도어의 상태변화를 알릴 수 있다.
도 6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기의 화면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을 참고하면, 단말기제어부(131)가 사용자 App.부(134)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면, 단말기 표시부(135)에 예를 들어 도 6과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게 할 수 있다.
도 6을 보면, 화면의 상단부에는 단말기의 블루투스인터페이스부(132)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모드인 "BLE활성화"창과 도어의 사용 기록을 확인할 수 있는 모드인 "사용기록"창과 도어의 상태가 변한 경우 도어의 상태변화를 알려주는 "알림창"과 키패드를 표시하는 "키입력부", "비밀번호 입력창", 필요한 경우 입력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창, 그리고 도어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도어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도어 온오프"창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기록"창은 스마트 금고의 사용상태를 알고자 할 경우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킨 다음 해당 "사용기록"창을 선택하면, 단말기제어부(131)는 통신망(120)이나 블루투스인터페이스부(132)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스마트 금고의 BLE부(113)를 활성화시켜 스마트 금고로부터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는 경우에는 단말기제어부(131)는 블루투스인터페이스부(132)를 자동으로 활성화시키고, 스마트 금고(110)에서 도어의 온오프 상태 변화에 따라 관련 데이터가 수신되면, 단말기제어부(131)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켜 "알림창"에 도어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도록 한다.
한편, 단계 S120에서 수동모드가 아니고 자동모드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하면, 수신한 단말기의 식별번호가 등록된 단말기인지 미등록된 단말기인지를 판단한다(S210).
이와 관련하여 단계 S110에서 자동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도어제어부(111)는 항시 BLE부(113)를 활성화시켜 대기상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단계 S210에서 등록된 단말기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말기제어부(131)는 단말기표시부(135)에 키패드를 표시하고, 비밀번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한다(S250).
이러한 키패드의 표시는 도 6에서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여 키패드 창과 비밀번호입력창을 표시할 수도 있다.
등록된 단말기의 유무는 통신망(120)을 통하여 전송되는 단말기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식별번호가 저장부(114)에 저장된 식별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가능하다.
단계 S250에서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단말기(130)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132)를 활성화시켜 입력된 비밀번호를 스마트 금고의 BLE부(113)로 전송한다.
단계 S250에서 BLE부(113)로부터 비밀번호가 전송되면 도어제어부(111)는 저장부(114)에 저장된 해당 단말기의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60).
단계 S260에서 전송받은 비밀번호가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도어제어부(111)는 스마트 금고의 도어를 온/오프제어한다.
이 경우에도 도어를 온(열림)시키거나 오프(닫힘)시키라는 개별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으나, 토글(toggle)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는 현재 도어의 상태가 온상태이면 오프시키고 오프 상태이면 온시키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한편 단계 S210에서 해당 단말기가 미등록된 단말기인 경우는 해당 단말기의 표시부에 키패드를 표시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미등록된 단말기는 앱 스토어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단말기제어부(131)는 단말기표시부(135)에 키패드를 표시하고, 비밀번호 입력창을 통하여 비밀번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한다(S230).
단계 S230에서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단말기(130)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132)를 활성화시켜 입력된 비밀번호를 스마트 금고의 BLE부(113)로 전송한다.
단계 S230에서 BLE부(113)로부터 비밀번호가 전송되면 도어제어부(111)는 저장부(114)에 저장된 미등록단말기의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40).
단계 S240에서 전송받은 비밀번호가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도어제어부(111)는 스마트 금고의 도어를 온/오프제어한다.
또한, 미등록된 단말기의 경우에는 미등록단말기에 해당하는 비밀번호를 확인하여 1차로 인증하고, 다시 등록단말기인 경우의 비밀번호를 재차 입력하여 인증과 비밀번호 확인단계를 거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에도 도어를 온(열림)시키거나 오프(닫힘)시키라는 개별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으나, 토글(toggle)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는 현재 도어의 상태가 온상태이면 오프시키고 오프 상태이면 온시키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10 : 스마트금고 111 : 도어제어부
112 : 배터리 113 : BLE부
114 : 저장부 115 : 키입력부
120 : 통신망 130 : 단말기
131 : 단말기제어부 132 : 블루투스인터페이스부
133 : 키입력부 134 : 사용자 App.부
135 : 단말기표시부 136 : 저장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식별번호가 등록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스마트 금고의 도어를 제어할 수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금고 제어 방법에 있어서,
    (a)상기 스마트금고의 도어제어부에서 상기 단말기의 등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상기 (a)단계에서 등록된 단말기로 판단되면 상기 단말기는 표시부에 키패드를 표시하고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스마트금고로 전송하는 단계;및
    (c)상기 스마트금고의 도어제어부는 전송받은 비밀번호가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도어를 온/오프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제어부가 등록된 단말기인 경우의 비밀번호와 미등록된 단말기인 경우 다른 비밀번호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b)단계에서 등록되지 않은 단말기로 판단되면,
    (b-1)단말기제어부는 표시부에 키패드를 표시하고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스마트금고로 전송하는 단계;
    (b-2)상기 스마트금고의 도어제어부는 전송받은 비밀번호가 저장된 미등록된 단말기인 경우의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도어를 온/오프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b-1)단계는 상기 단말기제어부가 스마트 금고 도어 제어관련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실행하는 단계 및 단말기 표시부에 키패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금고 제어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단말기제어부가 표시부에서 입력받은 비밀번호를 단말기의 블루투스부를 통하여 상기 스마트금고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금고 제어 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150111608A 2015-08-07 2015-08-07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금고 제어 방법 KR101722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608A KR101722629B1 (ko) 2015-08-07 2015-08-07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금고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608A KR101722629B1 (ko) 2015-08-07 2015-08-07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금고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529A KR20170017529A (ko) 2017-02-15
KR101722629B1 true KR101722629B1 (ko) 2017-04-11

Family

ID=58111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1608A KR101722629B1 (ko) 2015-08-07 2015-08-07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금고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6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863B1 (ko) * 2013-06-04 2013-08-14 주식회사 아이콘트롤스 Nfc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인증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413B1 (ko) * 2005-07-06 2007-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개폐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35039A (ko) 2010-06-10 2011-12-16 주식회사 큐브시큐리티 아이티 융합 스마트 내화금고
KR101437444B1 (ko) * 2012-12-28 2014-09-17 박태준 Nfc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863B1 (ko) * 2013-06-04 2013-08-14 주식회사 아이콘트롤스 Nfc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인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529A (ko) 201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92474B1 (en) Trusted device
JP5920747B1 (ja) 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およびカード
KR102241890B1 (ko) 단거리 무선 통신 센서를 포함하는 단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개선된 기능성을 가진 모바일 단말 및 방법
EP2804153B1 (en) Electronic lock, lock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lock
CA2968521A1 (en) Capturing user intent when interacting with multiple access controls
CN103668859A (zh) 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该设备的方法
CN101809633A (zh) 与不同的企业无线地执行交易
CN105612464A (zh) 与用户环境中的嵌入式设备交互
AU2018395259A1 (en) Modular mobile point of sale device having separable units for configurable data processing
CN104123793B (zh) 基于nfc功能的取款系统及其取款方法以及取款机
KR20140115631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ES2955356T3 (es) Método de ajuste de la conectividad bluetooth para acelerar los controles de acceso
MX2012010753A (es) Funcionamiento de un dispositivo de comunicaciones movil.
KR102178031B1 (ko) 사용자 위치기반의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CN103701601A (zh) 一种数据传输方法和系统
KR101722629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금고 제어 방법
CN109872452B (zh) 自动售货机和自动售货机系统
JP6811426B2 (ja) 電気錠システム、電気錠装置、及び電気錠用プログラム
CN112562178B (zh) 自动售货机系统
JP2014077928A (ja) ネットワークカラオケシステム
WO2020123580A1 (en) Wireless access control using an electromagnet
US202200947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actless control of hardware
KR101771563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전동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4874761B2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ロック解除方法
EP3605430A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