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526B1 - 스플릿 입력 무단 트랜스미션 - Google Patents

스플릿 입력 무단 트랜스미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2526B1
KR101722526B1 KR1020150049683A KR20150049683A KR101722526B1 KR 101722526 B1 KR101722526 B1 KR 101722526B1 KR 1020150049683 A KR1020150049683 A KR 1020150049683A KR 20150049683 A KR20150049683 A KR 20150049683A KR 101722526 B1 KR101722526 B1 KR 101722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et
gear
planetary gear
transmission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3708A (ko
Inventor
에드워드 더블유. 밀렛
제임스 엠. 하트
Original Assignee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50123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3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 F16H37/06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 F16H37/08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with differential gearing
    • F16H37/0833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with differential gearing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i.e. with two or more internal power paths
    • F16H37/084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with differential gearing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i.e. with two or more internal power paths at least one power path being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e. CVT
    • F16H37/0846CVT using endless flexi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7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with an orbital gear having teeth formed or arranged for obtaining multiple gear ratios, e.g. nearly infinitely vari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 F16H37/021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toothed gearing combined with continuous variable friction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 F16H37/021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toothed gearing combined with continuous variable friction gearing
    • F16H37/02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toothed gearing combined with continuous variable friction gearing the toothed gearing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12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 links or levers, and cams, or members of at least two of these ty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 F16H37/06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 F16H37/08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with differential gearing
    • F16H37/0833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with differential gearing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i.e. with two or more internal power paths
    • F16H37/084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with differential gearing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i.e. with two or more internal power paths at least one power path being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e. CVT
    • F16H2037/088Power split variators with summing differentials, with the input of the CVT connected or connectable to the input shaft
    • F16H2037/0886Power split variators with summing differentials, with the input of the CVT connected or connectable to the input shaft with switching means, e.g. to change ranges
    • F16H2057/0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20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 F16H2200/2002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sets of orbital gears
    • F16H2200/2007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sets of orbital gears with two sets of orbital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20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 F16H2200/203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engaging friction means not of the freewheel type, e.g. friction clutches or brakes
    • F16H2200/2035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engaging friction means not of the freewheel type, e.g. friction clutches or brakes with two engag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자동차용 투 모드 무단 트랜스미션(CVT)이 제공된다. CVT는 풀리 및 벨트 조립체에 연결된 속도 변경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풀리 및 벨트 조립체는 유성 기어 세트 조립체에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유성 기어 세트 배열체는 2개의 유성 기어 세트, 2개의 브레이크 및 하나의 클러치를 구비한다. 상기 유성 기어 세트 배열체는 최종 구동 유닛에 연결된다.

Description

스플릿 입력 무단 트랜스미션{SPLIT INPUT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본 개시내용은 자동 트랜스미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플릿 입력 무단 트랜스미션에 관한 것이다.
본란에서는 본 개시내용에 관한 배경기술을 단지 제공하며, 종래기술을 구성할 수도 있고 구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무단 트랜스미션(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VT)은 엔진 또는 전기 모터와 같은 로터리 파워 소스(rotary power source)를 이중 기어 최종 구동 유닛(double gear final drive unit)에 작동가능하게 결합하는 벨트 및 풀리 시스템(belt and pulley system)을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벨트 및 풀리 시스템은 콘 페어들(cone pairs) 사이에서 연장되는 토크 전달 벨트 또는 체인을 갖는 제1 및 제2 쌍의 풀리 콘(pulley cone)들을 구비한다. 각각의 풀리 콘 페어(pulley cone pair)는 축방향 고정형 풀리 부재와, 축방향 가동형 풀리 부재를 구비한다. 각각의 가동형 풀리 부재는 유압 시스템에 의해 고정형 풀리 부재에 대해 축방향으로 조절가능하다. 유압 시스템은 1차 및 2차 유압 압력을 해당하는 가동형 풀리 부재에 제공함으로써, 무단 트랜스미션의 출력/입력비를 교대로 제어하는 제1 및 제2 풀리 콘 페어의 런닝 반경(running radius)을 조절한다. 콘의 운동은 입력 속도 대 출력 속도의 비를 단차없이(steplessly) 또는 연속적으로(continuously) 변경한다. 무단 트랜스미션의 경우, 작지만 효율적인 비율 변경이 달성될 수 있다. 이는 임의의 비율 변경이 단차 값(step values)인 고정형 기어비와는 대조적이다.
다수의 CVT에서, 풀리들 사이에 벨트를 클램핑함으로써 풀리로부터 벨트로 마찰을 거쳐 엔진 토크가 전달된다. 따라서, 요구된 클램핑력은 벨트를 통해 전달되는 토크량의 함수이며, 여기서 더욱 높은 레벨의 엔진 토크는 슬리피지(slippage)를 방지하도록 벨트 상에 보다 높은 레벨의 클램핑력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말하면, 클램핑력이 높게 요구될수록, 벨트 상에 마모가 커지고 시스템이 더욱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CVT의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벨트 상에 요구된 클램핑력을 감소시키는 개선된 CVT 설계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자동차용으로 스플릿 입력 또는 2 모드 무단 트랜스미션이 제공된다. 상기 무단 트랜스미션은 입력 부재, 출력 부재, 상기 입력 부재에 연결된 무단 유닛(continuously variable unit), 상기 무단 유닛에 그리고 상기 출력 부재에 연결된 기어박스, 높은 기어 속도(high gear speeds) 동안에 상기 입력 부재를 상기 기어박스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입력 부재와 상기 기어박스 사이에 연결된 스플릿 입력 클러치(split input clutch)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서, 상기 스플릿 입력 클러치는 낮은 기어 속도(low gear speeds) 동안에 결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 상기 입력 부재에는 제1 기어 세트가 결합되고, 상기 제1 기어 세트 및 상기 기어박스에는 제2 기어 세트가 결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스플릿 입력 클러치는 상기 제1 기어 세트를 상기 입력 부재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상기 입력 부재와 상기 제1 기어 세트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스플릿 입력 클러치는 상기 제1 기어 세트를 상기 제2 기어 세트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상기 제1 기어 세트와 상기 제2 기어 세트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스플릿 입력 클러치는 상기 제2 기어 세트를 상기 기어박스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상기 제2 기어 세트와 상기 기어박스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서, 상기 기어박스는 제2 유성 기어 세트에 상호연결된 제1 유성 기어 세트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1 유성 기어 세트는 제1 부재, 제2 부재 및 제3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유성 기어 세트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유성 기어 세트의 제3 부재는 제1 브레이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유성 기어 세트의 제1 부재는 상기 스플릿 입력 클러치가 결합되고 제2 브레이크에 연결될 때 상기 스플릿 입력 클러치로부터 토크를 수용하도록 상기 스플릿 입력 클러치에 상호연결되고, 상기 제2 유성 기어 세트의 제1 부재는 상기 무단 유닛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유성 기어 세트의 제2 부재들은 상기 출력 부재에 상호연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1 부재들은 태양 기어이고, 상기 제2 부재들은 유성 캐리어 부재이고, 상기 제3 부재는 링 기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1 유성 기어 세트는 제1 부재, 제2 부재 및 제3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유성 기어 세트는 제1 부재, 제2 부재 및 제3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유성 기어 세트의 제3 부재는 제1 브레이크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유성 기어 세트의 제3 부재는 상기 스플릿 입력 클러치가 결합될 때 상기 스플릿 입력 클러치로부터 토크를 수용하도록 상기 스플릿 입력 클러치에 상호연결되고, 상기 제1 유성 기어 세트의 제1 부재는 제2 브레이크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유성 기어 세트의 제1 부재는 상기 무단 유닛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유성 기어 세트의 제2 부재들은 상기 출력 부재에 상호연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1 부재들은 태양 기어이고, 상기 제2 부재들은 유성 캐리어 부재이고, 상기 제3 부재들은 링 기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무단 유닛은 2개의 가동형 풀리들 사이에 배치된 엔드리스 벨트를 구비한다.
본원에 제공된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영역의 적용성이 명백할 것이다. 설명 및 특정례는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의도된 것으로서,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의 것이 아니다.
본원에 기재된 도면은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의도된 것으로서,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의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파워트레인의 개략도,
도 2a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예시적인 트랜스미션의 개략적인 레버 다이아그램,
도 2b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또 다른 예시적인 트랜스미션의 개략적인 레버 다이아그램,
도 2c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또 다른 예시적인 트랜스미션의 개략적인 레버 다이아그램,
도 3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트랜스미션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도,
도 4a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예시적인 트랜스미션의 개략적인 레버 다이아그램,
도 4b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또 다른 예시적인 트랜스미션의 개략적인 레버 다이아그램,
도 4c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또 다른 예시적인 트랜스미션의 개략적인 레버 다이아그램,
도 5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트랜스미션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도.
하기의 설명은 단지 예시이며, 본 개시내용, 적용 또는 용도를 제한할 의도의 것이 아니다.
도 1-2를 참조하면, 자동차용 파워트레인은 참조부호 10으로 지칭된다. 파워트레인(10)은 트랜스미션(14)과 상호연결되는 엔진(12)을 구비한다. 엔진(12)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종래의 가솔린, 디젤, 플렉스 연료 내연기관, 하이브리드 엔진 또는 전기 모터, 혹은 임의의 다른 타입의 원동기일 수 있다. 엔진(12)은, 예컨대 플렉스플레이트(미도시) 또는 다른 연결 장치 또는 유체역학적 장치(hydrodynamic device) 또는 론치 클러치(launch clutch)와 같은 스타팅 장치(15)를 통해 트랜스미션(14)에 구동 토크를 공급한다.
트랜스미션(14)은 가변 직경 풀리(variable diameter pulley) 또는 시브 구동(sheave drive) 무단 트랜스미션(CVT)이다. 일반적으로, 트랜스미션(14)은, 트랜스미션(14)의 각종 부품을 봉입하고 보호하는 전형적인 주조, 금속 하우징(16)을 구비한다. 하우징(16)은 이러한 부품을 위치설정 및 지지하는 각종 개구, 통로, 숄더 및 플랜지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트랜스미션(14)은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20)와 트랜스미션 출력 샤프트(22)를 구비한다.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20)와 트랜스미션 출력 샤프트(22) 사이에는 토크 스플리팅 장치(23), 풀리 조립체 또는 무단 유닛(24), 및 기어박스 또는 유성 기어 조립체(26)가 연결되어,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20)와 트랜스미션 출력 샤프트(22) 사이의 전진 및 후진 속도비 또는 기어비를 제공하도록 연동한다.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20)는 스타팅 장치(15)를 통해 엔진(12)과 기능적으로 상호연결되어 엔진(12)으로부터 입력 토크 또는 파워를 수용한다.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20)는 최종 구동 유닛(28)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랜스미션 출력 샤프트(22)는 최종 구동 유닛(28)에 구동 토크를 제공한다. 최종 구동 유닛(28)은 차동장치, 액슬 샤프트 및 로드 휠(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20)는 토크 스플리팅 장치(23) 및 풀리 조립체(24)에 연결된다. 토크 스플리팅 장치(23)는 이후 상세하게 기술된 바와 같이 기어박스(26)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토크 스플리팅 장치(23)는 엔진(12)으로부터 기어박스(26)로 입력 토크를 선택적으로 스플리팅함으로써, 풀리 조립체(24)를 통해 토크를 감소시킨다.
풀리 조립체(24)는 제1 풀리 또는 시브 페어(30) 및 제2 풀리 또는 시브 페어(32)를 구비한다. 제1 풀리(30)는 제1 절두원추형 시브(30A), 및 상기 제1 절두원추형 시브(30A)와 축방향으로 정렬하는 제2 절두원추형 시브(30B)를 구비한다. 제2 시브(30B)는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20)와 회전을 위해 직접 연결되고,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20)와 일체 형성될 수 있다. 제1 시브(30A)는 유압 제어 시스템(미도시) 또는 다른 액추에이팅 시스템에 의해 제2 시브(30B)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시브(30A, 30B)는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축방향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
제2 풀리(32)는 제1 절두원추형 시브 또는 부재(32A), 및 상기 제1 절두원추형 시브 또는 부재(32A)와 축방향 정렬하는 제2 절두원추형 시브 또는 부재(32B)를 구비한다. 제2 시브(32B)는 제2 트랜스퍼 샤프트 또는 부재(34)와 회전을 위해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제2 트랜스퍼 샤프트(34)와 일체 형성될 수 있다. 제1 시브(32A)는 유압 제어 시스템(미도시) 또는 다른 액추에이팅 시스템에 의해 제2 시브(32B)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시브(32A, 32B)는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축방향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
제1 풀리 쌍(30)과 제2 풀리 쌍(32) 사이에는, V자형 단면을 갖는 토크 전달 벨트 또는 체인(36)가 장착된다.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포지티브 결합 장치 또는 V자형이 아닌 벨트를 포함하는 다른 타입의 벨트가 채용될 수도 있다.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20)로부터 연통된 구동 토크는 시브(30A, 30B)와 벨트(36) 사이의 마찰을 거쳐 전달된다. 입력 풀리(30) 대 출력 풀리(32)의 비는 시브들(30A, 30B) 사이 그리고 시브들(32A, 32B) 사이의 이격거리를 변경함으로써 조절된다. 예컨대, 풀리들(30, 32) 사이의 비율을 변경하기 위해, 시브들(30A, 30B) 사이의 축방향 거리가 시브(30B)를 향해 시브(30A)를 이동시킴으로써 감소될 수 있는 동시에, 시브들(32A, 32B) 사이의 축방향 거리는 시브(32B)로부터 멀어지게 시브(32A)를 이동시킴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벨트(36)의 V자형 단면으로 인해, 벨트(36)는 제1 풀리(30) 상에서 높아지게 그리고 제2 풀리(32) 상에서 낮춰지게 주행한다. 따라서, 풀리(30, 32)의 유효 직경이 변하므로, 제1 풀리(30)와 제2 풀리(32) 사이의 전체 기어비를 변경시킨다. 풀리(30, 32)와 체인(36)의 길이 사이의 반경방향 거리가 일정하기 때문에, 풀리(30, 32)로부터 벨트(36)로 토크가 전달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벨트(36) 상에 적절한 양의 인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시브(30A, 32A)의 운동이 동시에 발생해야 한다.
풀리 조립체(24)는 트랜스퍼 샤프트 또는 부재(34)를 거쳐 기어박스(26)에 토크를 전달한다. 기어박스(26)는 이후 상세하게 기술된 바와 같이 몇 가지의 유성 기어 세트 트랜스미션 또는 구성 중 하나를 포함한다. 기어박스(26)는 풀리 조립체(24)와 토크 스플리팅 장치(23)로부터 트랜스미션 출력 샤프트(22)에, 그 다음 최종 구동 유닛(28)에 토크를 출력한다.
도 2a-c를 참조하면, 토크 스플리팅 장치(23)와 기어박스(26)에 대한 각종 구성을 레버 다이아그램 포맷으로 도시한다. 레버 다이아그램은 맞물림 기어 세트(meshing gear sets) 또는 유성 기어 세트와 같은 기계적 장치의 구성요소에 대한 개략적인 도시이다. 각각의 별개 레버는 유성 기어 세트 또는 맞물린 기어 페어를 나타낸다. 유성 기어의 3가지 기본적인 기계적 구성요소가 노드에 의해 각각 나타내어지는 한편, 기어 페어는 접지에 고정된 노드에 의해 나타낸 회전 변경 및 노드에 의해 나타낸다. 유성 기어 세트에서, 하나의 노드는 태양 기어를 나타내고, 하나는 유성 기어 캐리어를 나타내고, 하나는 링 기어를 나타낸다. 맞물린 기어 페어(meshed gear pair)에서, 하나의 노드는 제1 기어를 나타내고, 하나는 제2 기어를 나타내고, 세 번째는 맞물린 기어들 사이의 회전 방향 변경을 나타낸다. 일부 경우에, 2개의 레버는 3개 이상의 노드(일반적으로, 4개 노드)를 갖는 단일 레버로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개의 상이한 레버 상의 2개의 노드가 고정된 연결을 통해 상호연결되면, 이들은 단일 레버 상의 단일 노드로서 나타낼 수 있다. 각각의 레버의 노드들 사이의 상대 거리는 각각의 해당하는 기어 세트의 링 대 태양 비를 나타내도록 이용될 수 있다. 결국, 이들 레버비는 적절한 비(ratio) 및 비 진행(ratio progression)을 성취하기 위해 트랜스미션의 기어비를 변경하는데 이용된다. 각종 유성 기어 세트의 노드들 사이의 기계적 커플링 또는 상호연결부는 얇은 수평 라인에 의해 도시되고, 클러치 및 브레이크와 같은 토크 전달 장치는 인터리브된 핑거로서 나타낸다. 레버 다이아그램에 대한 포맷, 목적 및 용도에 대한 또 다른 설명은 Benford 및 Leising에 의한 SAE Paper 810102, "The Lever Analogy: A New Tool in Transmission Analysis"에서 볼 수 있다.
예컨대, 속도 변경 장치(23)는 제1 기어(40)와 제2 기어(42)를 구비한다. 제1 기어(40)는 제1 노드(40A), 제2 노드(40B) 및 제3 노드(40C)에 의해 나타낸다. 제2 기어(42)는 제1 노드(42A), 제2 노드(42B) 및 제3 노드(42C)에 의해 나타낸다. 제1 기어(40)의 제1 노드(40A)는 토크 전달 기구 또는 스플릿 입력 클러치(44)에 결합된다. 스플릿 입력 클러치(44)는 제1 기어(40)의 제1 노드(40A)를 기어박스(26)에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제1 기어(40)의 제2 노드(40B)는 제2 기어(42)의 제1 노드(42A)에 결합됨으로써, 맞물린 기어를 나타낸다. 제1 기어(40)의 제3 노드(40C)는 접지에 고정되어 제1 기어(40)의 회전방향의 변경을 나타낸다. 제2 기어(42)의 제2 노드(42B)는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20)에 결합된다. 제2 기어(42)의 제3 노드(42C)는 접지에 고정되어 제2 기어(42)의 회전방향의 변경을 나타낸다. 기어(40, 42)는 동일 평면 상에 있거나, 또는 서로 부분적으로 축방향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기어(40, 42)는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20)로부터 트랜스미션 출력 샤프트(22)에 연결된 체인에 의해 대체된다.
기어박스(26)는 제1 유성 기어 세트(50)와 제2 유성 기어 세트(52)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유성 기어 세트(50, 52)는 4개의 노드 레버 다이아그램에 의해 나타낸다. 제1 유성 기어 세트(50)는 3개의 노드, 즉 제1 노드(50A), 제2 노드(50B) 및 제3 노드(50C)를 갖는다. 제2 유성 기어 세트(52)는 3개의 노드, 즉 제1 노드(52A), 제2 노드(52B) 및 제3 노드(52C)를 갖는다.
트랜스퍼 부재(34)는 제2 유성 기어 세트(52)의 제1 노드(52A)에 연속적으로 결합된다.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20)는 제1 유성 기어 세트(50)의 제2 노드(50B) 및 제2 유성 기어 세트(52)의 제2 노드(52B)에 결합된다. 스플릿 입력 클러치(44)는 제1 기어(40)의 제1 노드(40A)를 제1 유성 기어 세트(50)의 제1 노드(50A)에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제1 브레이크(54)는 제2 유성 기어 세트(52)의 제3 노드(52C) 및 제1 유성 기어 세트(50)의 제3 노드(50C)를, 고정 요소 또는 트랜스미션 하우징(16)과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제2 브레이크(56)는 제1 유성 기어 세트(50)의 제1 노드(50A)를, 고정 요소 또는 트랜스미션 하우징(16)과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변형된 입력 스플리팅 장치 구성(23B)이 도시된다. 입력 스플리팅 장치(23B)는 도 2a의 것과 유사하므로, 유사한 구성요소는 유사한 참조부호로 나타낸다. 그러나, 도 2b에서, 스플릿 입력 클러치(44)는 이동되어 제2 기어(42)의 제2 노드(42B)를,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20)와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이에 따라, 기어(40)의 제1 노드(40A)는 제1 유성 기어 세트(50)의 제1 노드(50A)에 직접 연결된다.
도 2c를 참조하면, 변형된 입력 스플리팅 장치 구성(23C)이 도시된다. 입력 스플리팅 장치(23C)는 도 2a의 것과 유사하므로, 유사한 구성요소는 유사한 참조부호로 나타낸다. 그러나, 도 2c에서, 스플릿 입력 클러치(44)는 이동되어 제1 기어(40)의 제2 노드(40B)를, 기어(42)의 제1 노드(42A)와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이에 따라, 기어(40)의 제1 노드(40A)는 제1 유성 기어 세트(50)의 제1 노드(50A)에 직접 연결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미션(14)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스틱 다이아그램을 나타낸다. 도 3에서, 도 2a-c의 레버 다이아그램으로부터의 넘버링이 이용된다. 클러치 및 커플링이 대응하게 제공되는 반면, 유성 기어 세트의 노드는 태양 기어, 링 기어, 유성 기어 및 유성 기어 캐리어와 같은 유성 기어 세트의 구성요소로서 나타낸다.
예컨대,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20)는 제2 기어 세트(42)의 제1 기어(42B)에 연결된다. 제1 기어(42B)는 트랜스퍼 기어(62)와, 제2 기어 세트(42)의 제2 기어(42A)와 맞물린다. 트랜스퍼 기어(62)는 직접, 또는 중간 샤프트 또는 부재(64)를 거쳐 풀리 조립체(24)에 결합된다. 스플릿 입력 클러치(44)는 중간 샤프트 또는 부재(65)를 거쳐 제2 기어 세트(40)의 기어(42A)를, 제1 기어 세트(40)와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중간 샤프트 또는 부재(65)는 제1 기어 세트(40)의 기어(40B)와 연결된다. 기어(40B)는 제1 기어 세트(40)의 기어(40A)와 맞물린다. 기어(40A)는 제1 상호연결 샤프트 또는 부재(66)에 스플라인되거나 또는 이와는 달리 제1 상호연결 샤프트 또는 부재(66)와 맞물린다.
유성 기어 세트(50)는 태양 기어 부재(50A)와 캐리어 부재(50B)를 구비한다. 링 기어 부재(50C)는 선택적이고, 도시되지 않는다. 유성 캐리어 부재(50B)는 유성 기어(50D) 세트(그 중 하나만이 도시됨)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유성 기어(50D) 각각은 태양 기어 부재(50A)와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태양 기어 부재(50A)는 제1 샤프트 또는 상호연결 부재(60)와 공통 회전을 위해 연결된다. 태양 기어 부재(52A)는 제1 샤프트 또는 상호연결 부재(66)와 공통 회전을 위해 연결된다. 유성 캐리어 부재(50B)는 제2 샤프트 또는 상호연결 부재(68) 및 트랜스미션 출력 샤프트(22)와 공통 회전을 위해 연결된다. 변형적으로, 유성 캐리어 부재(50B)는 유성 기어 세트(52)의 유성 캐리어(52B)와 일체 형성되어 공통 유성 캐리어를 형성할 수 있다.
유성 기어 세트(52)는 태양 기어 부재(52A), 유성 캐리어 부재(52B) 및 링 기어 부재(52C)를 구비한다. 유성 캐리어 부재(52B)는 유성 기어(50D, 50E) 세트(각각 그 중 하나만이 도시됨)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유성 기어(52D) 각각은 태양 기어 부재(52A) 및 유성 기어(52E)와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한편, 유성 기어(52E) 각각은 링 기어 부재(52C)와 상호 맞물린다. 태양 기어 부재(52A)는 트랜스퍼 부재(34)와 공통 회전을 위해 연결된다. 유성 캐리어 부재(52B)는 트랜스미션 출력 샤프트(22) 및 제2 샤프트 또는 부재(68)와 공통 회전을 위해 연결된다. 링 기어 부재(52C)는 제3 샤프트 또는 상호연결 부재(70)와 공통 회전을 위해 연결된다.
토크 전달 기구 또는 브레이크(54, 56)는 샤프트 또는 상호연결 부재, 유성 기어 세트의 부재, 및 하우징에 대한 선택적인 상호연결을 허용한다. 토크 전달 기구는 마찰, 도크 또는 싱크로나이저 타입의 기구 등이다. 예컨대, 제1 브레이크(54)는 부재(70) 및 그에 따른 링 기어 부재(52C)의 상대 회전을 구속하기 위해 제3 샤프트 또는 상호연결 부재(70)를, 트랜스미션 하우징(16)에 연결하도록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하다. 제2 브레이크(56)는 부재(66) 및 그에 따른 태양 기어 부재(50A)의 상대 회전을 구속하기 위해 제1 샤프트 또는 상호연결 부재(66)를, 트랜스미션 하우징(16)에 연결하도록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하다.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20)와 트랜스미션 출력 부재(22) 사이의 낮은 기어 상태 또는 제1 세트의 속도비, 예컨대 후진, 1단, 2단, 3단, 4단 등과 같은 스텝 기어비에 대응하는 가장 낮은 기어비에 이용되는 기어 상태 동안에, 스플릿 입력 클러치(44)는 결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엔진(12)으로부터의 토크는 풀리 조립체(24)를 통한 그리고 기어박스(26)를 통한 경로를 따른다. 브레이크(54)의 결합이 후진 기어비를 제공하는 한편, 브레이크(56)의 결합은 낮은 기어 상태에서 전진 기어비를 제공한다.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20)와 트랜스미션 출력 부재(22) 사이의 높은 기어 상태 또는 제2 세트의 속도비, 예컨대 5단, 6단, 7단 등과 같은 스텝 기어비에 대응하는 가장 높은 기어비에 이용되는 기어 상태 동안에, 스플릿 입력 클러치(44)는 결합된다. 높은 기어 상태는 자동차의 휠 또는 최종 구동 유닛(28)에 대한 최소한의 기계적 이점을 엔진(12)에 제공하는 속도 범위로서 교호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엔진(12)으로부터의 토크는 2가지의 스플릿 경로, 즉 풀리 조립체(24)를 통한 기어박스(26)로의 경로, 및 스플릿 입력 클러치(44)를 통한 기어박스(26)의 태양 기어(50A)로의 직접적인 또 다른 경로를 따른다. 스플릿 입력 클러치(44)를 결합하면, 풀리 조립체(24)를 통해 대략 45% 내지 대략 65% 만큼 토크를 감소시킴으로써, 벨트(36) 상에 요구되는 클램핑 압력을 감소시켜서 높은 기어 상태 동안에 파워트레인(12)의 효율을 개선시킨다.
도 4a를 참조하면, 변형적인 트랜스미션(14')이 도시된다. 트랜스미션(14')은 도 2a-c 및 3에 도시한 트랜스미션(14)과 동일한 다수의 구성요소를 구비하므로, 유사한 구성요소는 유사한 참조부호에 의해 나타낸다. 그러나, 트랜스미션(14')에서, 토크 스플리팅 장치(23)로부터의 스플릿 입력 토크 경로는 제1 유성 기어 세트(50)의 제3 노드(50C) 및 제2 유성 기어 세트(52)의 제3 노드(52C)에 연결한다. 이에 따라, 스플릿 입력 클러치(44)는 기어(40)의 제1 노드(40A)를, 제1 유성 기어 세트(50)의 제3 노드(50C) 및 제2 유성 기어 세트(52)의 제3 노드(52C)에 연결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변형된 입력 스플리팅 장치 구성(23B)이 트랜스미션(14')의 구성에 도시된다. 스플릿 입력 클러치(44)는 재배치되어 제2 기어(42)의 제2 노드(42B)를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20)와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이에 따라, 기어(40)의 제1 노드(40A)는 제1 유성 기어 세트(50)의 제3 노드(50C) 및 제2 유성 기어 세트(52)의 제3 노드(52C)에 직접 연결된다.
도 4c를 참조하면, 변형된 입력 스플리팅 장치 구성(23C)이 트랜스미션(14')의 구성에 도시된다. 스플릿 입력 클러치(44)는 재배치되어 기어(40)의 제2 노드(40B)를 기어(42)의 제1 노드(42A)와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이에 따라, 기어(40)의 제1 노드(40A)는 제1 유성 기어 세트(50)의 제3 노드(50C) 및 제2 유성 기어 세트(52)의 제3 노드(52C)에 직접 연결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미션(14')의 일 실시에에 대한 개략적인 레이아웃을 스틱 다이아그램으로 제공한다. 도 3에서, 도 4a-c의 레버 다이아그램으로부터의 넘버링이 이용된다. 클러치 및 커플링이 대응하게 제공되는 반면, 유성 기어 세트의 노드는 태양 기어, 링 기어, 유성 기어 및 유성 기어 캐리어와 같은 유성 기어 세트의 구성요소로서 나타낸다.
예컨대,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20)는 제2 기어 세트(42)의 제1 기어(42B)에 연결된다. 제1 기어(42B)는 트랜스퍼 기어(62)와, 제2 기어 세트(42)의 제2 기어(42A)와 맞물린다. 트랜스퍼 기어(62)는 직접, 또는 중간 샤프트 또는 부재(64)를 거쳐 풀리 조립체(24)에 결합된다. 스플릿 입력 클러치(44)는 중간 샤프트 또는 부재(65)를 거쳐 제2 기어 세트(40)의 기어(42A)를, 제1 기어 세트(40)와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중간 샤프트 또는 부재(65)는 제1 기어 세트(40)의 기어(40B)와 연결된다. 기어(40B)는 제1 기어 세트(40)의 기어(40A)와 맞물린다.
기어 세트(50, 52)는 공통의 유성 캐리어 부재(50B/52B), 링 기어 부재(50C), 태양 기어 부재(50A) 및 태양 기어 부재(52A)를 구비한다. 링 기어 부재(52C)는 선택적이거나, 또는 제1 기어 세트(40)의 기어(40A)와 일체 형성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공통의 유성 캐리어 부재(50B/52C)는 유성 기어(50D, 52D) 세트(각각 그 중 하나만이 도시됨)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유성 기어(50D) 각각은 태양 기어 부재(50A) 및 링 기어 부재(50C) 양자와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유성 기어(50D) 각각은 피니언(50D) 및 태양 기어 부재(52A) 양자와, 제1 기어 세트(40)의 기어(40A)와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된 긴 피니언이다. 태양 기어 부재(50A)는 제1 샤프트 또는 상호연결 부재(66)와 공통 회전을 위해 연결된다. 태양 기어 부재(52A)는 트랜스퍼 부재(34)와 공통 회전을 위해 연결된다. 공통의 유성 캐리어 부재(50B/52B)는 트랜스미션 출력 샤프트(22)와 공통 회전을 위해 연결된다. 링 기어 부재(50C)는 샤프트 또는 상호연결 부재(70)와 공통 회전을 위해 연결된다.
토크 전달 기구 또는 브레이크(54, 56)는 샤프트 또는 상호연결 부재, 유성 기어 세트의 부재, 및 하우징에 대한 선택적인 상호연결을 허용한다. 토크 전달 기구는 마찰, 도크 또는 싱크로나이저 타입의 기구 등이다. 예컨대, 제1 브레이크(54)는 샤프트(70) 및 그에 따른 링 기어 부재(50C)의 상대 회전을 구속하기 위해 샤프트 또는 상호연결 부재(70)를, 트랜스미션 하우징(16)에 연결하도록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하다. 제2 브레이크(56)는 부재(66) 및 그에 따른 태양 기어 부재(50A)의 상대 회전을 구속하기 위해 제1 샤프트 또는 상호연결 부재(66)를, 트랜스미션 하우징(16)에 연결하도록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하다.
낮은 기어 상태, 예컨대 후진, 1단, 2단, 3단, 4단 등과 같은 스텝 기어비에 대응하는 가장 낮은 기어비에 이용되는 기어 상태 동안에, 스플릿 입력 클러치(44)는 결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엔진(12)으로부터의 토크는 풀리 조립체(24)를 통한 그리고 기어박스(26)의 태양 기어(52A)를 통한 경로를 따른다. 브레이크(54)의 결합이 후진 기어비를 제공하는 한편, 브레이크(56)의 결합은 낮은 기어 상태에서 전진 기어비를 제공한다. 높은 기어 상태, 예컨대 5단, 6단, 7단 등과 같은 스텝 기어비에 대응하는 가장 높은 기어비에 이용되는 기어 상태 동안에, 스플릿 입력 클러치(44)는 결합된다. 또한, 높은 기어 상태는 자동차의 휠 또는 최종 구동 유닛(28)에 대한 최소한의 기계적 이점을 엔진(12)에 제공하는 속도 범위로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엔진(12)으로부터의 토크는 2가지의 스플릿 경로, 즉 풀리 조립체(24)를 통한 기어박스(26)의 태양 기어(52A)로의 경로, 및 스플릿 입력 클러치(44)를 통한 기어박스(26)의 피니언(52D)으로의 직접적인 또 다른 경로를 따른다. 스플릿 입력 클러치(44)를 결합하면, 풀리 조립체(24)를 통해 대략 45% 내지 대략 65% 만큼 토크를 감소시킴으로써, 벨트(36) 상에 요구되는 클램핑 압력을 감소시켜서 높은 기어 상태 동안에 파워트레인(12)의 효율을 개선시킨다.
본 발명의 기재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난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10)

  1. 입력 부재;
    출력 부재;
    상기 입력 부재에 연결된 무단 유닛(continuously variable unit);
    상기 무단 유닛에 그리고 상기 출력 부재에 연결된 기어박스; 및
    제2 세트의 속도비 동안에 상기 입력 부재를 상기 기어박스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입력 부재와 상기 기어박스 사이에 연결된 스플릿 입력 클러치(split input clutch); 및
    상기 입력 부재에 결합된 제1 기어 세트와, 상기 제1 기어 세트 및 상기 기어박스에 결합된 제2 기어 세트
    를 포함하며,
    상기 스플릿 입력 클러치는 상기 제1 기어 세트를 상기 입력 부재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상기 입력 부재와 상기 제1 기어 세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플릿 입력 클러치는 상기 제1 기어 세트를 상기 제2 기어 세트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상기 제1 기어 세트와 상기 제2 기어 세트 사이에 배치되는,
    무단 트랜스미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릿 입력 클러치는 제1 세트의 속도비 동안에 결합되지 않는,
    무단 트랜스미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릿 입력 클러치는 상기 제2 기어 세트를 상기 기어박스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상기 제2 기어 세트와 상기 기어박스 사이에 배치되는,
    무단 트랜스미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는 제2 유성 기어 세트에 상호연결된 제1 유성 기어 세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유성 기어 세트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유성 기어 세트는 제1 부재, 제2 부재 및 제3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유성 기어 세트의 제3 부재는 제1 브레이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유성 기어 세트의 제1 부재는 상기 제2 유성 기어 세트 및 제2 브레이크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유성 기어 세트의 제1 부재는 상기 무단 유닛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유성 기어 세트의 제2 부재들은 상기 출력 부재에 상호연결되는,
    무단 트랜스미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들은 태양 기어이고, 상기 제2 부재들은 유성 캐리어 부재이고, 상기 제3 부재는 링 기어인,
    무단 트랜스미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 유닛은 2개의 가동형 풀리들 사이에 배치된 엔드리스 벨트를 구비하는,
    무단 트랜스미션.
KR1020150049683A 2014-04-25 2015-04-08 스플릿 입력 무단 트랜스미션 KR1017225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262,068 2014-04-25
US14/262,068 US9523418B2 (en) 2014-04-25 2014-04-25 Split input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708A KR20150123708A (ko) 2015-11-04
KR101722526B1 true KR101722526B1 (ko) 2017-04-03

Family

ID=54261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683A KR101722526B1 (ko) 2014-04-25 2015-04-08 스플릿 입력 무단 트랜스미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23418B2 (ko)
KR (1) KR101722526B1 (ko)
CN (1) CN105020352B (ko)
DE (1) DE1020151053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88218B2 (en) 2013-05-31 2015-11-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ology for controlling a hydraulic control system of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10309506B2 (en) 2016-05-16 2019-06-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ple-mod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5582A1 (ja) 2012-05-23 2013-11-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動力伝達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2891A (en) * 1968-07-03 1970-02-03 Gen Motors Corp Single speed range input-split-power drive,multispeed range compound-split-power drive,power train
US5830097A (en) * 1996-05-24 1998-11-03 General Dynamics Defense Systems, Inc. Multi-range with infinitely variable ratio in each range, hydromechanical transmission for off-road vehicles
JP2006329338A (ja) * 2005-05-26 2006-12-07 Nissan Motor Co Ltd 分流式無段変速機
JP5055645B2 (ja) * 2005-07-23 2012-10-24 シェフラー テクノロジーズ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無段調節可能な変速比を有する複数の変速比範囲を備えた出力分岐式の伝動装置
CN200999844Y (zh) * 2007-01-22 2008-01-02 南京理工大学 功率分流式无级变速器
KR101234655B1 (ko) * 2010-11-24 2013-02-1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무단변속기
US9435409B2 (en) 2011-11-21 2016-09-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ariator output gearset
US8961347B2 (en) * 2012-04-18 2015-02-24 Caterpillar Inc. Cold start clutch for CVT transmission
US9109679B2 (en) * 2012-05-09 2015-08-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Toroidal traction drive transmission
US8888645B2 (en) 2012-07-31 2014-11-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imple planetary gearset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5582A1 (ja) 2012-05-23 2013-11-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動力伝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5105369A1 (de) 2015-10-29
KR20150123708A (ko) 2015-11-04
CN105020352A (zh) 2015-11-04
CN105020352B (zh) 2019-01-01
US9523418B2 (en) 2016-12-20
US20150308552A1 (en) 2015-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7539B2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ith chain output
JP2015527552A (ja) 出力連結動力経路を有するボール式cvt
US20150087464A1 (en) Two mod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20150065288A1 (en) Multi-mod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ith transfer gear set
US8961350B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ith chain output
US9523396B2 (en) Hydraulic dog clutch
KR101722526B1 (ko) 스플릿 입력 무단 트랜스미션
US9689481B2 (en) One mod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ith low loss configuration
US9777814B2 (en) Three mod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9222560B2 (en) Two mod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9816594B2 (en) Twin axis twin-mod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9400042B2 (en) Two mod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20180320768A1 (en) Multi-mode continuously-variable transmission
US9347537B2 (en) Multi-mod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ith selectable transfer gears
KR20160028200A (ko) 유성기어 세트 조합형 무단 자동변속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