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480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22480B1 KR101722480B1 KR1020110010036A KR20110010036A KR101722480B1 KR 101722480 B1 KR101722480 B1 KR 101722480B1 KR 1020110010036 A KR1020110010036 A KR 1020110010036A KR 20110010036 A KR20110010036 A KR 20110010036A KR 101722480 B1 KR101722480 B1 KR 1017224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ar cover
- point
- cradle
- angle
- display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316 preloa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21—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horizontal axi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35—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205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7—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 커버, 상기 후면 커버의 후방에 배치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위치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는 수직이동 및 회전이동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의 휴대성을 높이고, 단순하면서도 슬림한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 구조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의 휴대성을 높이고, 단순하면서도 슬림한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 구조를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며, 자세히는 상하이동 및 회전이동이 가능한 거치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방송영상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어려 경로를 통해서 수신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처리하여, 처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전달하며, 처리된 음성을 스피커 장치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표시 장치, 방송신호 수신장치, 텔레비전 세트 등을 여러 개념을 포함하는 용어이며 이하에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볼 것이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점차 슬림화되어 가고 있으며, 사용자의 휴대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휴대가능한 크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도 보편화되는 추세이다.
사용자가 상기와 같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를 고정할 받침대 내지는 거치대가 필요하다.
상기 받침대 내지는 거치대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와는 구별되는 별개 구성물의 형태를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러한 별개 구성의 받침대는 슬림구조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슬림구조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의 휴대성을 높이고, 단순하면서도 슬림한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 커버, 상기 후면 커버의 후방에 배치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위치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는 수직이동 및 회전이동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가능하다.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후면 커버에 배치되며 관통홀이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되는 수직 이동부 및 상기 수직 이동부와 결합되는 회전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 이동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개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베이스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체결부 및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제 1 체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 2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의 폭은 상기 개구의 직경보다 더 크고, 상기 제2 체결부의 폭은 상기 관통홀의 폭보다 더 크다.
상기 수직 이동부는 측면에 배치되는 고정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고정축에 결합되는 삽입부 및 일단이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는 플레이트(Plate)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거치대와 결합된다.
상기 거치대의 길이는 상기 후면 커버의 길이보다 작다.
상기 수직 이동부가 상기 관통홀의 제1 지점에 위치한 경우, 상기 회전부의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거치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후면 커버와 전체 중첩(Fully Overlap)된다.
상기 수직 이동부가 상기 관통홀의 제2 지점에 위치한 경우, 상기 거치대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후면 커버의 일측보다 더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후면 커버의 상측 끝단 간의 간격은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후면 커버의 하측 끝단 간의 간격보다 작다.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후면 커버의 상측 끝단 간의 간격은 상기 제2 지점과 상기 후면 커버의 하측 끝단 간의 간격보다 작다.
상기 제2 지점과 상기 후면 커버의 하측 끝단 간의 간격은 상기 제2 지점과 상기 후면 커버의 상측 끝단 간의 간격보다 크다.
상기 회전부의 회전 각도가 최대이고 상기 수직 이동부가 상기 관통홀의 제1 지점에 위치한 경우, 상기 거치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측 끝단보다 더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회전부의 최대 회전 각도는 상기 제2 지점에서 상기 회전부의 최대 회전 각도와 대략 동일하다.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회전부의 최대 회전 각도는 상기 제2 지점에서 상기 회전부의 최대 회전 각도보다 크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삽입부 내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고정축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의 내측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복수의 함몰부가 형성된다.
복수의 상기 함몰부는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 1, 2, 3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함몰부와 상기 제 2 함몰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2 함몰부와 상기 제 3 함몰부 사이의 간격과 다르다.
상기 돌출부의 이동범위 내에서 상기 제 1 함몰부는 복수의 함몰부 중 첫 번째 함몰부이고, 상기 제 1 함몰부와 상기 제 2 함몰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2 함몰부와 상기 제 3 함몰부 사이의 간격보다 크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 커버 및 상기 후면 커버의 후방에 배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커버와 상기 거치대 사이의 각도가 제 1 각도인 경우와 상기 후면 커버와 상기 거치대 사이의 각도가 제 1 각도와 다른 제 2 각도인 경우에 동일 영상 데이터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가 서로 다르다.
상기 제 2 각도는 상기 제 1 각도보다 크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의 휴대성을 높이고, 단순하면서도 슬림한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 구조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커버(Front-cover), 디스플레이 패널, 프레임(Frame) 및 후면 커버(Back-cover)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와 2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무선 데이터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 셋탑박스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받침대에 관한 비교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받침대에 관한 다른 비교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조절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1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베이스부 및 수직 이동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직 이동부를 특정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되는 회전부(83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에 관한 여러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의 형상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의 구성을 후면 커버(400)와 관련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에 따라 고정축의 돌출부에 대응하도록 내측벽에 복수의 함몰부가 형성되는 삽입부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회전각의 조절 및 그에 따른 다른 용도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와 2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무선 데이터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 셋탑박스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받침대에 관한 비교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받침대에 관한 다른 비교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조절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1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베이스부 및 수직 이동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직 이동부를 특정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되는 회전부(83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에 관한 여러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의 형상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의 구성을 후면 커버(400)와 관련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에 따라 고정축의 돌출부에 대응하도록 내측벽에 복수의 함몰부가 형성되는 삽입부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회전각의 조절 및 그에 따른 다른 용도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커버(Front-cover), 디스플레이 패널, 프레임(Frame) 및 후면 커버(Back-cover)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 커버(100),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배면에 배치되며 이를 지지하는 프레임(300) 및 프레임(300)의 배면에 배치되는 후면 커버(400)를 포함한다. 후면 커버(40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0) 및 도시되지 않은 기타 다른 구성물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의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구성물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화면에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 유기발광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과 같은 종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휴대가능한 크기를 갖는 것으로서 대체로 유효화면의 대각선 길이가 13인치 내외의 소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주로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 상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고 이보다 더 큰 유효화면 길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
한편, 도면 1에는 프레임(300)과 후면 커버(400)가 별도의 구성물로 도시되어 있으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슬림화를 위해서 프레임(300)이 생략된 구성도 가능하다.
도 2a와 2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디스플레이 장치(1000)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0)에 영상 및 음성 데이터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 셋탑박스(20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개략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다양한 입력방식으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 신호가 무선 셋탑박스(2000)에서 무선 스트림 신호로 변환되어 전송되고, 무선으로 전송된 스트림 신호를 다시 디스플레이 장치(1000)에서 변환되어 영상 및 음성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구성을 취한다.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셋탑박스(200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영상 및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2100), 상기 데이터 수신부(2100)로부터 수신된 영상 및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제1 제어부(2200), 원격 제어장치(2500)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제어부(2200)로 전달하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400), 상기 제1 제어부(22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2300), 상기 제1 제어부(2200)에 의해서 처리된 영상 및 음성신호를 다중화하여 스트림 데이터로 변환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변환기(2700) 및 상기 변환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제1 제어부(2200)로부터의 제어신호를 고주파 무선신호로 변환하는 고주파 송수신 모듈(2800)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무선 셋탑박스(2000)는 무선 셋탑박스(20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 수신부(2100)는 튜너(211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20) 및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13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및 음성신호는 안테나로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로서 수신될 수 있고,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e ray) 및 USB 메모리 스틱을 포함하는 외부장치를 통해서 수신될 수 있으며,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도 수신될 수 있다.
상기 튜너(2111)는 상기 안테나로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이 중에서 특정한 신호만을 선택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며, 복조부(2112)는 튜너(211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도 2a에는 상기 튜너(2111) 및 복조부(2112)가 무선 셋탑박스(2000)에 포함되는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부장치에 의해서 수신되어 복조된 RF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만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20)는 상기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130)는 상기 DVD, 블루레이 및 USB 메모리 스틱 등과 같은 외부장치에 저장된 영상 및 음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변환기(2700)는 상기 제1 제어부(2200)에 의해서 처리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일정한 규격을 갖는 스트림 신호(TS)로 다중화하여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 수 있다. 한편, 도 2a에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변환기(2700)가 제1 제어부(2200)와는 구별되는 별도의 구성물로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제1 제어부(2200)가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변환기(2700)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변환기(2700)와 상기 제1 제어부(2200)가 일체화된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상기 고주파 송수신 모듈(2800)은 상기 스트림 신호 및 상기 제1 제어부(2200)로부터 발생된 제어신호를 일정한 주파수 대역을 갖는 무선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며, 후술하는 휴대형 디스플레이 장치(1000)로부터 생성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정한 주파수 대역은 약 5GHz 대역의 고주파 무선 데이터 신호일 수 있으며, WLAN(Wireless LAN)(Wi-Fi)의 무선 통신 규격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상기 고주파 송수신 모듈(2800)로부터 전송된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며, 후술하는 제2 제어부(1200)에 의해 발생된 제어신호를 상기 무선 셋탑박스(2000)로 전송하기 위한 고주파 송수신 모듈(1100), 수신된 멀티미디어 스트림 신호를 영상 스트림 신호와 음성 스트림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처리하기 하기 위한 제2 제어부(1200), 상기 처리된 영상 스트림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영상출력부(1410)로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표시신호로 변환하는 영상신호 변환부(1310), 상기 처리된 음성 스트림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음성 신호를 음성출력부(1420)로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오디오신호 변환부(132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휴대형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원격 제어장치(2500)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제어부(1200)로 전달하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0)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b에는 상기 영상신호 변환부(1310) 및 오디오신호 변환부(1320)가 제2 제어부(1200)와는 구별되는 별도의 구성물로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제2 제어부(1200)가 상기 영상신호 변환부(1310) 및 오디오신호 변환부(1320)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영상신호 변환부(1310) 및 오디오신호 변환부(1320)와 상기 제2 제어부(1200)가 일체화된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전원 공급부(1600)는 휴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징에 부합하도록, 바람직하게는 배터리 형식의 내장형 전원공급장치가 될 수 있으며, 또한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수단도 더불어 구비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상기 무선 셋탑박스(2000)에 포함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400)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0)에 포함된 사용자입력 인터 페이스부(1500) 중 어느 하나는 생략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셋탑박스(2000)에만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400)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된 제어신호가 제2 제어부(120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 경우에 제1 제어부(2200)가 이를 고주파 송수신 모듈(2800)을 통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0)로 전송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0)에만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0)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수신된 제어신호가 제1 제어부(220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 경우에 제2 제어부(1200)가 이를 고주파 송수신 모듈(1100)을 통해서 상기 무선 셋탑박스(2000)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0)에 사용될 수 있는 받침대에 관한 비교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형의 슬림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될 수도 있지만, 일정한 경우에 지면과 같은 평면에 거치된 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0)가 평면에 거치된 상태로 사용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지지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0)에 사용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수평지지부(610), 수직지지부(620) 및 연결부(630)를 포함하는 받침대(6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수직지지부(620)와 수평지지부(610)가 연결되는 부분 및 상기 수직지지부(620)와 연결부(630)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힌지(Hinge)가 형성되어 사용자는 원하는 각도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야각을 조정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형태의 받침대(600)의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수평지지부(610), 수직지지부(620) 및 연결부(630)를 포함하여 견고한 지지구조를 달성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 장치와는 별도로 받침대를 휴대하여야 하기 때문에 휴대형 슬림 디스플레이 장치에 바람직하지 않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0)에 사용될 수 있는 받침대에 관한 다른 비교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비교예와는 달리 도 4에는 수평지지부(610)만을 포함하는 받침대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단독의 수평지지부(610)는 후면 커버(400)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힌지를 포함한다. 도시된 수평지지부(610)는 힌지의 작용으로 회전가능한 구성을 취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0)를 고정하고 지지해야할 필요가 있을 때에 도 4(a)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수평지지부(610)를 회전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의 작용으로 사용자는 원하는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해서 수평지지부(610)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시선이 점선으로 표시된 방향과 대체로 나란한 경우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도를 이루도록 수평지지부(610)의 각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시선이 실선으로 표시된 방향과 대체로 나란한 경우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도를 이루도록 수평지지부(610)의 각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수평지지부(610)의 구성은, 수평지지부(610)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각도가 수직이 아닌 경우에 힌지에 큰 토크(Torque)가 작용한다. 즉, 일반적으로 회전을 일으키는 토크는 회전중심(도 4의 경우에 힌지가 이에 해당함)으로부터 힘의 작용점까지의 거리에 비례하게 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중에 의한 토크만을 고려한다고 하더라도 힌지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의 무게중심까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자중에 의해서 발생하는 토크는 상당한 크기를 갖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비교예의 경우에 힌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직방향(y방향) 최하단부에 근접해서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무게 중심은 수직방향(y방향)으로 중간 위치가 되기 때문에 이들간의 간격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중에 의해서 발생하여 힌지에 작용하는 토크는 상당한 크기를 갖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힌지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자중에 의해서 발생한 토크를 견뎌낼 수 있을 정도의 용량을 가져야 하고, 그만큼 용적도 커질 수밖에 없어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슬림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수평지지부(61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0) 사이의 각도가 작아질수록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불안정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0)가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평지지부(610)는 도 4(b)의 z방향으로 폭이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만큼 더 커질 수밖에 없고, 이렇게 z방향으로 큰 폭을 갖는 수평지지부(61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슬림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바람직하지 않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7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 커버(400), 상기 후면 커버(400)의 후방에 배치되는 거치대(70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거치대(700)를 수직 및 회전 이동시키는 위치 조절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조절부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슬림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700)는 도 5에 도시된 제1 지점에서 도면에 수직한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뿐만 아니라 도 6에 도시된 제2 지점에서 도면에 수직한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도시된 거치대(700)는 각각의 제1 및 제2 지점에서 도면에 수직한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기 때문에, 거치대(700)와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각도(θ2)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이 지면에 대체로 수직한 방향(y방향)과 이루는 각도(θ1)를 사용자게 임의로 조절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지점은 도시된 y방향으로 가장 높은 위치에 해당하고, 제2 지점은 도시된 y방향으로 가장 낮은 위치에 해당할 수 있으다. 이때 제1 지점에서의 거치대(700)의 회전각도와 제2 지점에서의 거치대(700)의 회전각도는 대략 동일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지점에서의 거치대(700)의 회전각도가 더 크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슬림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700)는 전술한 제1 지점 및 제2 지점에서 도면에 수직한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지점 및 제2 지점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서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700)는 상기 제1 지점 및 제2 지점 사이에서 직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거치대(700)를 제1 지점 및 제2 지점 사이에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켜 보다 안정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구조를 확보할 수 있고, 보다 편안한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거치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상기 거치대(700)를 회전가능하게 하는 힌지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무게 중심에 최대한 근접해서 위치하게 하여 힌지에 작용하는 토크를 최소한으로 유지하는 효과도 갖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700)가 제1 지점 및 제2 지점에서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상하 왕복운동이 가능하며, 각각의 위치 및 이들 각각의 위치 사이에서 도면에 수직한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함을 도시하고 있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조절부(8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700)는 상하직선 왕복운동 및 각 위치에서 회전이동이 가능하다. 먼저, 이러한 직선왕복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조절부는, 후면 커버에 배치되며 관통홀(811)이 형성된 베이스부(810), 상기 베이스부(810)에 배치되는 수직 이동부(82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수직 이동부(820)는 측면에 배치되는 고정축(8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축(840)에는 후술하는 회전부(미도시)가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부(810)는 후면 커버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수직 이동부(820)를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베이스부(810)는 일정한 강성을 가진 재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후면 커버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품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810)가 별도의 부품으로서 구성되는 경우에는 가벼우면서도 일정한 강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부(810)에 형성되는 관통홀(811)은 그 장축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세로변과 대체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장방형 형상을 가진다.
상기 수직 이동부(820)에는 상기 관통홀(811)과 대응되는 위치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홀(811)과 상기 개구를 통과하는 체결부(미도시)를 통해서 상기 베이스부(810)와 상기 수직 이동부(820)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8은 베이스부(810)가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a)은 수직 이동부(820)가 제1 지점, 즉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로변을 기준으로 가장 상측에 위치되는 경우를 도시하며, 도 8(b)은 수직 이동부(820)가 제2 지점, 즉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로변을 기준으로 가장 하측에 위치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9는 베이스부(810)가 후면 커버(400)와 일체로 형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베이스부(810)에는 레일(Rail) 형상의 관통홀(811)이 형성되어 수직 이동부의 (화살표 방향) 상하 운동을 가이드한다. 마찬가지로 9(a)는 수직 이동부(820)가 제1 지점, 즉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로변을 기준으로 가장 상측에 위치되는 경우를 도시하며, 도 9(b)는 수직 이동부(820)가 제2 지점, 즉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로변을 기준으로 가장 하측에 위치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베이스부(810)는 상기 수직 이동부(820)가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을 벗어나 상하방향(화살표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토퍼(Stoppe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베이스부 및 수직 이동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수직 이동부(820)의 이동방향에 대체로 수직한 방향으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a)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810)가 후면 커버(400)와는 별개의 별도의 부품으로서 구성되는 실시예에 해당하며, 도 10(b)은 베이스부(810)가 후면 커버(400)와 일체로 구성되는 실시예에 해당한다.
먼저 도 10(a)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직 이동부(820)는 베이스부(810)의 관통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개구, 디스플레이 패널과 베이스부(81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체결부(823) 및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제1 체결부(823)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부(810)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 체결부(8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823)의 폭은 상기 관통홀의 폭보다 더 크고, 상기 제2 체결부(822)의 폭은 상기 개구의 직경보다 더 크다. 한편, 상기 수직 이동부(820)는 상기 제1 체결부(823)와 상기 제2 체결부(822)를 연결하는 제3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부(823) 및 제2 체결부(822)는 수직 이동부(820)가 베이스부(810)에 형성된 장방형 관통홀을 따라 상하직선 운동하면서 후면 커버(400)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체결부(823)와 제2 체결부(822)는 상기 베이스부(810)의 관통홀 및 상기 수직 이동부(820)의 바디부(821)의 개구를 모두 통과하는 제3 체결부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체결부(822)의 폭은 상기 베이스부(810)에 형성된 장방형 관통홀의 폭보다는 더 크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 체결부(823)의 폭은 상기 수직 이동부(820)의 바디부(821)에 형성된 개구의 폭보다는 더 크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베이스부(810)와 상기 후면 커버(400) 사이에는 상기 제2 체결부(822)의 상하이동을 간섭하지 않을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810)가 후면 커버(400)와는 별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커버(400)에는 베이스부(810)가 설치되는 위치에 고정부(41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10(b)을 참조하면, 도 10(b)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0(a)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베이스부(810)가 후면 커버(400)에 일체로 형성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0(b)의 실시예는 베이스부(810)가 후면 커버(40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결과 도 10(a)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해서 비교적 간략한 구성을 취할 수 있으며 제조 공정도 단순화될 수 있다. 베이스부(810)를 제외한 10(b)에 도시된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10(a)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직 이동부(820)를 특정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직 이동부(820)가 전술한 제1 지점 및 제2 지점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고정 수단으로서 베이스부(810)의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되는 래치(812, Latch)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1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812)는 일정한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며, 수직 이동부(820)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대체로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한 압력을 받아 변형가능하며, 압력이 제거된 후에는 본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래치(812)는 베이스부(810)의 장방형 관통홀(811)의 장축으로부터 측정하였을 때의 간격이 각각 제1 간격, 제2 간격, 제3 간격을 갖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간격은 제1 간격 및 제3 간격보다 더 작으며, 제2 간격을 갖는 부분의 위치는 제1 간격을 갖는 부분과 제3 간격을 갖는 부분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래치(812)는 수직 이동부(820)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대체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부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래치(812)에 대응되는 수직 이동부(820)는 상기 래치(812)의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도 11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래치(812)의 돌출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수직 이동부(820)에는 함몰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11과 같이 수직 이동부(820)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래치(812)의 돌출부가 수직 이동부(820)의 함몰부에 위치하게 되어 수직 이동부(812)가 도면을 기준으로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래치(812)는 일정한 탄성을 갖기 때문에 래치(812)가 변형되기에 충분한 힘으로 수직 이동부(820)를 도면의 아래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래치(812)는 변형되어 래치(812)의 돌출부가 수직 이동부(820)의 함몰부로부터 이탈되며, 그 결과 수직 이동부(820)의 고정상태는 해제된다.
또한, 베이스부(810)는 수직 이동부(820)의 제2 지점에 해당하는 부분에 래치(8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지점에 대응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래치(812)에 의해서 전술한 바와 동일한 원리로 수직 이동부(820)가 제2 지점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베이스부(810)와 수직 이동부(820)에 공통적으로 연결된 탄성부재(850)를 포함한다.
이러한 탄성부재(850)는, 일단은 수직 이동부(820)에 부착되며 타단은 베이스부(810)에 부착된다. 탄성부재(850)는 수직 이동부(820)가 제1 지점에 있을 때 인장력을 작용하는 상태가 되며, 수직 이동부(820)가 제1 지점에서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면 탄성부재(850)에 의해서 수직 이동부(820)는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자동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850)의 작용으로 사용자는 별도의 힘을 들이지 않고도 순간적으로 수직 이동부(820)를 제2 지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탄성부재(850)는 바람직하게는 용수철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되는 회전부(83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이동부(820)는 측면에 배치되는 고정축(8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축(84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회전부(83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부(830)는 도 13에 도시된 수직 이동부(820)의 제1 지점에서 상기 고정축(84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제1 지점에서 도 13(a)와 같은 상태에서 도 13(b)와 같은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회전부(830)는 제2 지점에서도 도 14(a)와 같은 상태에서 도 14(b)와 같은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부(83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거치대(미도시)와 결합하는 플레이트 및 고정축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삽입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 및 삽입부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830)에 관한 여러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힌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부(830) 및 고정축(840)의 실시예로서 단면이 캠(Cam) 형상을 갖는 고정축(840)이 도시되어 있다. 자세히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축(840)은 그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단면의 형상이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다른 부분보다 더 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도 15에는 두 개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고정축(840)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캠형상에 의해서 회전부(830)의 회전시에 각 구간별로 회전 토크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캠 형상의 고정축(840)에 결합하는 회전부(830)의 삽입부(832) 형상도 여러 가지로 설정할 수 있다.
먼저, 도 15(a)에는 상기 고정축(84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삽입부(832)를 포함하는 회전부(830)가 도시되어 있다.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단면의 형상이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다른 부분보다 더 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고정축(840)에 대응하도록 회전부(830)의 삽입부(832)의 형상도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다른 영역, 즉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거리가 큰 제1 영역 및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거리가 작은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삽입부(832)의 내측벽으로부터 회전중심까지의 거리가 회전중심으로부터 돌출부까지의 거리보다 더 큰 영역에 해당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삽입부(832)의 내측벽으로부터 회전중심까지의 거리가 회전중심으로부터 돌출부까지의 거리보다 더 작거나 같은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 15(a)에 도시된 최초 상태로부터 회전부(830)가 회전되어 고정축(840)의 돌출부가 삽입부(832)의 제1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으로 이동되면서 고정축(840) 및 삽입부(832)의 내벽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서 점차 회전을 일으키기 위한 토크가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일단 회전부(830)의 회전이 중지되면 다시 회전부(830)의 회전을 일으키기 위한 토크는 고정축(840)의 돌출부와 삽입부(832) 사이의 정지마찰력을 초과할 정도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고정축(840)의 돌출부가 삽입부(832)의 제2 영역에서 상대적 회전을 시작하게 되면 이 경우에는 운동마찰력이 작용하여 정지상태에서보다는 더 작은 토크만으로도 회전부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5(b)에는 내측벽에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함몰부가 형성되는 삽입부(832)를 포함하는 회전부(830)가 도시되어 있다. 함몰부가 형성되는 삽입부(832)의 내측벽은 회전중심으로부터 거리가 회전중심으로부터 돌출부까지의 거리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함몰부들은 서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형성되거나 불규칙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회전부의 회전각도를 함몰부의 위치에 따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5(a)에 도시된 실시예는 회전부(830)의 회전각을 연속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도 15(b)에 도시된 실시예는 회전부(830)의 회전각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삽입부(832)는 고정축(840)이 관통하는 형성을 취하나, 이와는 달리 회전부(830)의 일부에만 고정축(840)이 삽입되도록 하는 형상을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5(b)에 도시된 구성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 16은 복수의 디스크형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회전부(830)를 도시한다.
도 16에 도시된 회전부(830)는, 수직 이동부의 고정축(840)에 삽입되는 삽입부(832), 다수의 디스크형 마찰부재(834), 상기 삽입부(832)와 상기 다수의 디스크형 마찰부재(834) 사이에 배치되는 풀림방지용 워셔(833, Washer), 고정축에 체결되는 고정 너트(835, 836)를 포함한다.
전술한 마찰방식의 삽입부 및 고정축 구성과 유사하게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는 다수의 디스크형 마찰부재(834)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서 회전부(830)의 회전 토크를 제어하게 된다. 워셔(833)는 상기 다수의 디스크형 마찰부재(834) 사이 및 이들 디스크형 마찰부재(834)와 삽입부(832) 사이에 일정한 예압을 형성하는 역학을 한다.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도 정지마찰력 및 운동마찰력을 이용하여 회전부(830)의 회전 토크를 제어하여, 회전부(830)의 회전각을 연속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700)의 형상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부(810), 수직 이동부(820) 및 회전부(미도시)는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의 거치대(700)는 그 일단이 도시되지 않은 좌측 회전부의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단은 도시되지 않은 우측 회전부의 플레이트에 결합될 수 있다. 거치대(700)는 도시되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합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체로 수직한 방향으로의 거치대(700)의 폭 또한 슬림하게 유지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체로 수직한 방향으로의 상기 거치대(700)의 두께는 후면 커버의 폭보다는 작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700)의 구성을 후면 커버(400)와 관련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후면 커버(400)의 후방에 배치되며,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거치대(700)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세로변에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거치대(700)의 길이는 후면 커버(400)의 길이보다 작다. 즉, 수직 이동부가 제1 지점에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회전부의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바람직하게는 제1 지점에서 상기 거치대(700)와 상기 후면 커버(400)가 이루는 각도가 90도 이하가 되는 경우에 상기 거치대(70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후면 커버(400)와 전체가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이동부가 제2 지점에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거치대는 수직 이동부가 제1 지점에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회전부의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바람직하게는 제1 지점에서 상기 거치대(700)와 상기 후면 커버(400)가 이루는 각도가 대략 45도 이하가 되는 경우에 거치대(70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후면 커버(400)의 일측보다 더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수직 이동부가 디스플레이 장치가 고정되는 지면을 기준으로 가장 높은 위치인 제1 지점에 존재하는 경우에 거치대(700)는 회전부의 회전각에 따라 후면 커버(700)를 지나 돌출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게 되고, 수직 이동부가 디스플레이 장치가 고정되는 지면을 기준으로 가장 낮은 위치인 제2 지점에 존재하는 경우에 거치대(700)는 회전부의 회전각에 따라 후면 커버(700)를 지나 돌출되는 부분이 존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거치대의 구성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후면 커버(400)의 상측 끝단 간의 간격(D1)은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후면 커버의 하측 끝단 간의 간격보다 작으며,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후면 커버(400)의 상측 끝단 간의 간격(D1)은 상기 제 2 위치와 상기 후면 커버(400)의 하측 끝단 간의 간격(D2)보다 작으며, 상기 제 2 위치와 상기 후면 커버(400)의 하측 끝단 간의 간격(D2)은 상기 제 2 위치와 상기 후면 커버(400)의 상측 끝단 간의 간격보다 크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직 이동부의 제2 지점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로변 방향 중심점에 가장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회전부와 수직 이동부의 고정축 사이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중에 의해서 발생하는 토크의 영향을 적게 받도록 하기 위함이며,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거치대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거치대가 후면 커버(400)와 일체가 되는 구조를 구현하기 위함이다.
도 19는 전술한 거치대(700)가 후면 커버(400)와 일체화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a)는 거치대(700)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서 바라본 도면에 해당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로변에 나란한 방향을 기준으로 거치대(700)의 길이는 후면 커버(400)의 세로변의 길이보다 작으며, 거치대(700)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거치대(700)는 후면 커버(700)의 일부분이 되는 형상을 취한다. 후면 커버(400)에는 거치대(700)의 형상에 대응하여 함몰된 부분이 형성된다. 따라서 거치대(700)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거치대(700)는 후면 커버(40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다.
도 19(b)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에 해당하며, 거치대(700)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거치대(700)는 그 전부가 후면 커버(400)의 표면보다 더 낮은 위치에 존재하거나, 적어도 후면 커버(40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70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휴대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도 19(c)는 거치대를 사용하는 상태, 즉 수직 이동부(미도시)가 제2 지점으로 이동되고 회전부(미도시)가 일정한 각도로 회전되어 거치대(700)가 후면 커버(40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라 고정축(840)의 돌출부에 대응하도록 내측벽에 복수의 함몰부가 형성되는 삽입부(832)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함몰부가 형성되는 삽입부(832)의 내측벽은 회전중심으로부터 거리가 회전중심으로부터 돌출부까지의 거리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함몰부들은 서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형성되거나 불규칙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0(a)에는 삽입부(832)에 상기 복수의 함몰부들이 서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는 달리 삽입부(832)에 상기 복수의 함몰부들이 서로 다른 각도를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0(b)에는 이러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0(b)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함몰부는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1, 제2, 제3 함몰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함몰부와 제2 함몰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 함몰부와 제3 함몰부 사이의 간격과 다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함몰부로부터 제2 함몰부 사이의 각도(θ11)는 제2 함몰부로부터 제3 함몰부 사이의 각도(θ12)와 다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함몰부로부터 제2 함몰부 사이의 각도(θ11)가 제2 함몰부로부터 제3 함몰부 사이의 각도(θ12)보다 더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하는 이유는, 제1 함몰부가 회전부의 최초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가 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원하는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해서 다음 위치까지는 거치대를 상당히 큰 각도로 회전시키고 두 번째 이후의 위치는 이전 각도보다 작게 거치대를 회전시켜서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세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범위(θ12)에 해당하는 각도를 제공하는 거치대 및 회전부의 위치는 사용자에게 일반적인 시야각을 제공할 수 있는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시야각을 제공하지 않는 범위, 즉 거치대와 후면 커버가 이루는 각이 90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몰부들의 사이의 각도(θ13)를 이전보다 더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거치대와 후면 커버가 이루는 각이 90도를 초과하는 경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면에 고정하고 지지하는 역할로 사용하는 경우에 해당될 가능성이 낮고, 다른 용도로 사용하고자 하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회전각의 조절 및 그에 따른 다른 용도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이동부가 제1 지점에 존재하고, 회전부의 회전각이 최대인 경우에 상기 거치대(70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측 끝단보다 더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경우에 후면 커버와 거치대가 이루는 각도(θ2)는 180도 이하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도 22에 도시되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700)는, 지면과 같은 수평면에 대해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역할 외에도 수직면에 대해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그외에도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슬림 디스플레이 장치를 운반할 수 있는 운반 손잡이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후면 커버와 거치대가 이루는 최대 각도(θ2)는 180도 이상이 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거치대(700)가 180도 이상을 회전하는 경우에 후면 커버(400)와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부분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거치대(700)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180도 이상의 최대 회전각(θ2.max)을 갖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후면 커버(400)와 거치대(700) 사이의 각도가 제 1 각도인 경우와, 후면 커버(400)와 거치대(700) 사이의 각도가 제 1 각도와 다른 제 2 각도인 경우에 동일 영상 데이터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가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제1 각도보다 더 크다.
도 22와 같이 수직면에 고정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휴대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거나 지면에 거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제1 각도 범위)에 비해서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까지 거리가 멀 수 있다. 따라서 수직면에 고정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제2 각도 범위)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를 더 높여서 사용하는 것이 사용자에게는 편리할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후면 커버(400)에 부착된 회전각 감지 센서(미도시)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미도시)가 회전각을 입력받아, 입력된 회전각이 제1 각도 범위에 속하는지 혹은 제2 각도 범위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 커버;
상기 후면 커버의 후방에 배치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위치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후면 커버에 배치되며 관통홀이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되는 수직 이동부; 및
상기 수직 이동부와 결합되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는 수직이동 및 회전이동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가능하고,
상기 후면 커버의 세로변을 기준으로 상기 관통홀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지점과 상기 관통홀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후면 커버의 상측 끝단 간의 간격은 상기 제2 지점과 상기 후면 커버의 하측 끝단 간의 간격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동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개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베이스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체결부; 및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제 1 체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 2 체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의 폭은 상기 개구의 직경보다 더 크고, 상기 제2 체결부의 폭은 상기 관통홀의 폭보다 더 큰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동부는 측면에 배치되는 고정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고정축에 결합되는 삽입부 및 일단이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는 플레이트(Plate)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거치대와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의 길이는 상기 후면 커버의 길이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동부가 상기 관통홀의 제1 지점에 위치한 경우, 상기 회전부의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거치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후면 커버와 전체 중첩(Fully Overlap)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동부가 상기 관통홀의 제2 지점에 위치한 경우, 상기 거치대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후면 커버의 일측보다 더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후면 커버의 상측 끝단 간의 간격은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후면 커버의 하측 끝단 간의 간격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점과 상기 후면 커버의 하측 끝단 간의 간격은 상기 제2 지점과 상기 후면 커버의 상측 끝단 간의 간격보다 큰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회전 각도가 최대이고 상기 수직 이동부가 상기 관통홀의 제1 지점에 위치한 경우,
상기 거치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측 끝단보다 더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회전부의 최대 회전 각도는 상기 제2 지점에서 상기 회전부의 최대 회전 각도와 대략 동일한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회전부의 최대 회전 각도는 상기 제2 지점에서 상기 회전부의 최대 회전 각도보다 큰 디스플레이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삽입부 내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의 내측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복수의 함몰부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함몰부는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 1, 2, 3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함몰부와 상기 제 2 함몰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2 함몰부와 상기 제 3 함몰부 사이의 간격과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이동범위 내에서 상기 제 1 함몰부는 복수의 함몰부 중 첫 번째 함몰부이고,
상기 제 1 함몰부와 상기 제 2 함몰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2 함몰부와 상기 제 3 함몰부 사이의 간격보다 큰 디스플레이 장치. -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 커버; 및
상기 후면 커버의 후방에 배치되는 거치대; 및
상기 후면 커버에 배치되며 관통홀이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되는 수직 이동부 및 상기 수직 이동부와 결합되는 회전부가 구비되어 상기 거치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위치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커버와 상기 거치대 사이의 각도가 제 1 각도인 경우와 상기 후면 커버와 상기 거치대 사이의 각도가 제 1 각도와 다른 제 2 각도인 경우에 동일 영상 데이터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가 서로 다르고,
상기 후면 커버의 세로변을 기준으로 상기 관통홀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지점과 상기 관통홀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후면 커버의 상측 끝단 간의 간격은 상기 제2 지점과 상기 후면 커버의 하측 끝단 간의 간격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각도는 상기 제 1 각도보다 큰 디스플레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0036A KR101722480B1 (ko) | 2011-02-01 | 2011-02-01 | 디스플레이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0036A KR101722480B1 (ko) | 2011-02-01 | 2011-02-01 | 디스플레이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89001A KR20120089001A (ko) | 2012-08-09 |
KR101722480B1 true KR101722480B1 (ko) | 2017-04-03 |
Family
ID=46873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0036A KR101722480B1 (ko) | 2011-02-01 | 2011-02-01 | 디스플레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2248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35667A1 (en) * | 2017-08-16 | 2019-02-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68200B1 (ko) * | 2004-01-14 | 2006-04-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컴퓨터 |
KR100604485B1 (ko) * | 2004-07-22 | 2006-07-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영상표시기기의 스탠드구조 |
KR101506035B1 (ko) * | 2008-10-07 | 2015-03-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기기 |
-
2011
- 2011-02-01 KR KR1020110010036A patent/KR101722480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35667A1 (en) * | 2017-08-16 | 2019-02-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APPARATUS |
US10655778B2 (en) | 2017-08-16 | 2020-05-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apparatus |
US11174984B2 (en) | 2017-08-16 | 2021-11-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89001A (ko) | 2012-08-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166097B1 (en)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
US20160154434A1 (en) | Slidable display apparatus | |
EP3819982B1 (en) | Image display device and video wall including the same | |
US7461433B2 (en) | Torque-controlled rotational module | |
KR20120081791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US6676098B2 (en) | Plane display with a foldable support | |
US11805610B2 (en) | Display device | |
JP7386932B2 (ja) | 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 | |
KR101722480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US9530340B2 (en) | Calibrator for a display screen | |
JP2014131243A (ja) | 表示装置 | |
US10652502B2 (en) | Host box and split-type television | |
KR102634077B1 (ko) |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 |
CN208654527U (zh) | 车载投影装置 | |
US20140321068A1 (en) | Electronic apparatus | |
US20100085493A1 (en) | Cabinet assembled with flat-panel television | |
KR20130065979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US8477249B2 (en) | Television receiver and electronic device | |
KR102534480B1 (ko) | 전자기기 지지장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TWI413411B (zh) | 顯示裝置 | |
CN210776038U (zh) | 一种可避免vr设备屏幕画面撕裂的双屏显示装置 | |
KR102662317B1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102694115B1 (ko) | 전자기기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 |
KR102717727B1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US20240064461A1 (en) | Movable tv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