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454B1 - 중공관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중공관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2454B1
KR101722454B1 KR1020150111423A KR20150111423A KR101722454B1 KR 101722454 B1 KR101722454 B1 KR 101722454B1 KR 1020150111423 A KR1020150111423 A KR 1020150111423A KR 20150111423 A KR20150111423 A KR 20150111423A KR 101722454 B1 KR101722454 B1 KR 101722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tube
engaging portion
hole
guide memb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1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7469A (ko
Inventor
윤용수
나병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장평건설
윤용수
나병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장평건설, 윤용수, 나병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장평건설
Priority to KR1020150111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454B1/ko
Publication of KR20170017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4Piles with prefabricated supports or anchoring parts; Anchoring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6Connection means between pil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관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천공홀에 삽입되는 파일, 파이프 등의 중공관이 지중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는 중공관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중공관 지지장치는, 지면에 형성된 천공홀에 삽입되는 제1중공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의 하부에 이격되어 배치된 제2결합부와; 상호 이격된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자유상태에서 상하중심부가 바깥쪽으로 돌출된 형상을 유지하며, 상기 제1결합부를 제2결합부 방향으로 누르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1결합부가 상기 제2결합부 방향으로 가까워지면서 상기 연결부는 더 절곡되어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천공홀의 내벽을 뚫고 침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공관 지지장치 { TUBE HOLLOW SUPPORTER }
본 발명은 중공관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천공홀에 삽입되는 파일, 파이프 등의 중공관이 지중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는 중공관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서는, 그 기초를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연약지반에 파일을 압입 설치한다.
도심지 구조물의 고층화, 대형화 및 중량화 추세에 따라 파일 기초의 시공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파일 공사시 환경요구 및 규제규준의 강화로 저진동/저소음공법이 요구되면서 선굴착 매입공법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파일시공은 건축물 축조의 매우 중요한 기초 공사의 한 단계로서, 말뚝공법을 시공법에 따라 분류하면 타입공법(항타공법), 매입공법, 현장타설공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타입공법은 말뚝을 지반에 직접 타격하는 방법으로 전통적으로 이용되어온 공법이다.
매입공법은 지반을 천공한 후 공장에서 제작된 말뚝을 천공한 구멍 속에 넣고 말뚝 두부(頭部)를 경타(輕打)하고 시멘트 고정액을 말뚝주변에 주입하는 공법이다.
이러한 매입공법은 타입말뚝시공시 발생하는 소음 진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공법으로 여기에는 SIP(soil-cement injected precast pile)공법, SAIP(specialauger SIP)공법, SDA(seperated doughnut auger)공법, 속파기공법, PRD(percussion rotarydrill)공법 등이 있다.
이러한 매입공법은 1994년 소음 및 진동 규제법이 공표되면서 그 이용이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최근에는 항타시 소음진동으로 인한 민원 문제가 없는 임해지역과 같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한 대부분의 현장에서 이용된다.
항타를 위한 파일(Pile)은 대표적으로 스틸(Steel) 파일과 콘크리트 파일(이하, 'PHC파일'이라 함; Prestress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 2종류가 있는데, 콘크리트 파일에는 일반 철근을 내부에 배근하여 콘크리트를 부어 만든 일반 콘크리트 파일과, 긴장근을 내부에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붓고 강제로 인장시켜 응력을 도입하여 응력 상태하에서 급속 양생시켜 만드는 고강도 파일이 있다.
최근에는 일반 콘크리트 파일에 비하여 강도가 대단히 높은 고강도 파일을 사용하고 있으며, 일반 콘크리트 파일은 경량 건축 이외에는 점차 사용되지 않고 있다.
상기한 파일을 지반 내에 시공하기 전에 굴착 장비인 오거를 이용하여 천공홀(파일공)을 천공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항타시 발생되는 작업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오거는 그 외주에 스쿠류부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굴삭헤드인 비트가 구비된다.
오거드라이브유니트에 연결된 오거가 회전하게 되면, 끝단에 설치된 굴삭헤드인 비트가 따라 회전되어 지반을 굴삭하여 천공시키게 된다.
비트에 의해 굴삭되는 굴삭토는 오거의 회전반대방향을 따라 스쿠류부에 얹혀져 이동되므로서 지상으로 배출된다.
소정의 깊이로 굴삭공인 천공홀이 형성되면 오거드라이브유니트의 반대작동으로 오거를 역회전시켜 천공홀으로부터 인출시키고, 상기 천공홀을 통하여 P.C 나 R.C 말뚝 또는 강관을 인입 매설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인입 매설전에 몰탈을 주입하게 하거나 인입 후 드롭 햄머에 의한 최종항타를 행함으로서 인입된 파일이 보다 견고히 지지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오거의 굴삭작업시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오거로 지반을 천공한 후 오거(auger) 인발시 오거의 날개에 남아 있던 흙이 콘크리트 파일 선단에 느슨한 상태로 떨어져 슬라임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콘크리트 파일의 선단 지지력을 떨어뜨린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파일 선단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해 파일의 선단 부위에 양측으로 돌출된 지지부재가 형성되더라도 천공홀의 내벽과 간섭될 우려가 있으므로, 천공홀과 간섭되지 않으면서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는 파일선단 구조가 요구된다.
또한, 기존 파일의 구조에서 변형될 경우에는 새로운 파일 구조를 제작하기 위한 제작비용이 증가함과 아울러, 적용 대상이 한정될 우려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420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천공홀에 삽입 배치된 파일, 강관 등의 중공관이 타격시 확장되어 중공관이 지반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는 중공관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중공관 지지장치는, 지면에 형성된 천공홀에 삽입되는 제1중공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의 하부에 이격되어 배치된 제2결합부와; 상호 이격된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자유상태에서 상하중심부가 바깥쪽으로 돌출된 형상을 유지하며, 상기 제1결합부를 제2결합부 방향으로 누르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1결합부가 상기 제2결합부 방향으로 가까워지면서 상기 연결부는 더 절곡되어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천공홀의 내벽을 뚫고 침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호 독립된 다수개의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에는 각각 상기 연결부의 상단과 하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다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중공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중공관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호 이격된 상기 제1중공관과 제2중공관을 상호 연결한다.
또는, 상기 연결부는 상하중심부가 바깥쪽으로 돌출된 중공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부에는 상하방향으로 다수개의 제1슬릿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부는 내부에 제1관통공이 형성된 중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내부에 제2관통공이 형성된 중공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관통공은 상기 제1중공관의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제1결합부에는 상기 연결부의 안쪽에서 상기 제2결합부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제1결합부가 제2결합부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2관통공에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관통공과 연통되는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제2관통공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경은 상기 제2관통공의 내경과 같거나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의 하강시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제2관통공의 내주면에 가압밀착된다.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하방향으로 다수개의 제2슬릿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1중공관은 파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결합부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결합부의 상면이 상기 제1중공관의 하단부에 면접촉하여 결합된다.
또는, 상기 제1중공관은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감싸거나 상기 파이프의 내주면 안쪽에 삽입배치되어 결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중공관 지지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천공홀에 삽입 배치된 파일, 강관 등의 중공관을 타격할 때, 본 발명의 지지장치가 수평방향으로 확장되어 지반에 침투됨으로써, 천공홀에 삽입된 중공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중공관의 지지력을 증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중공관 지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중공관 지지장치의 단면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중공관 지지장치를 파일에 연결한 상태의 단면구조도,
도 4는 도 3에서 외력에서 연결부가 확장된 상태의 단면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중공관 지지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중공관 지지장치의 단면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중공관 지지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중공관 지지장치를 파이프에 연결한 상태의 단면구조도,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중공관 지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중공관 지지장치의 단면구조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중공관 지지장치를 파일에 연결한 상태의 단면구조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외력에서 연결부가 확장된 상태의 단면구조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공관 지지장치는, 제1결합부(10)와 제2결합부(20)와 연결부(31)와 가이드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중공관 지지장치는, 지면에 형성된 천공홀(60)에 삽입되는 중공관(5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중공관(50)은 제1중공관(51)과 제2중공관(52)으로 이루어져 있고, 본 발명의 중공관 지지장치는 제1중공관(51)과 제2중공관(5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중공관(51)과 제2중공관(52)을 연결하거나, 제2중공관(52)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제2중공관(52)없이 제1중공관(51)만을 상기 천공홀(60)에 삽입할 경우에, 상기 중공관 지지장치는 상기 제1중공관(51)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중공관 지지장치가 상기 제1중공관(51)과 제2중공관(52) 사이에 배치되어 연결된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상기 제1중공관(51)과 제2중공관(52)은 PHC파일(pile)로 이루어진 것을 전제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결합부(10)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중공관(51)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결합부(10)의 상면은 상기 제1중공관(51)의 하단부에 면접촉하여, 볼트 등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상기 제1결합부(10)의 내부에는 제1관통공(11)이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10)가 중공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관통공(11)은 상기 제1중공관(51)의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제2결합부(20)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중공관(51)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2중공관(52)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결합부(20)의 하면은 상기 제2중공관(52)의 상단부에 면접촉하여, 볼트 등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상기 제2결합부(20)의 내부에는 제2관통공(21)이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부(20)가 중공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관통공(21)은 상기 제2중공관(52)의 내부와 연통된다.
이러한 상기 제1결합부(10)와 제2결합부(20)는 상호 이격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31)는 상호 이격된 상기 제1결합부(10)와 제2결합부(20)를 연결한다.
상기 연결부(31)는 상단이 상기 제1결합부(10)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제2결합부(20)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31)는 상기 제1결합부(10) 및 제2결합부(20)에 용접 결합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31)는 상호 독립된 다수개의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연결부(31)는 상기 제1결합부(10) 및 제2결합부(2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그 갯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10) 및 제2결합부(20)에는 상기 연결부(31)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삽입되기 위한 다수개의 안착홈(12,2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31)의 상단 및 하단을 각각 상기 안착홈(12,22)에 삽입하여 안착시킨 상태에서 용접 등을 통해 상기 제1결합부(10) 및 제2결합부(20)에 고정 결합한다.
위와 같은 상기 안착홈(12,22)에 의해, 작업자가 다수개의 상기 연결부(31)를 상기 제1결합부(10) 및 제2결합부(20)의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게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31)는 상기 제1결합부(10) 및 제2결합부(2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면서, 자유상태에서 상하중심부가 바깥쪽으로 돌출된 형상을 유지한다.
즉, 상기 연결부(31)는 단면이 '〈' 또는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으며, 외력(타격)이 가해지지 않는 자유상태에서도 상하중심부가 바깥쪽으로 일부 돌출되어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1결합부(10)를 제2결합부(20) 방향으로 누르는 가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결합부(10)가 상기 제2결합부(20) 방향으로 가까워지면서 상기 연결부(31)는 더 절곡되어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확장되게 된다.
이로 인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 돌출된 상기 연결부(31)는 상기 천공홀(60)의 내벽을 뚫고 지중으로 침투하여, 상기 천공홀(60)에 삽입된 상기 중공관(50)이 지중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중공관(52)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천공홀(60)의 저면에 닿는 지지장치의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31)가 수평방향으로 확장되면서 상기 천공홀(60)의 바닥면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중공관(50)의 지지력을 증강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40)는 상기 연결부(31)의 안쪽에서 상기 제2결합부(2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결합부(10)에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부재(40)는 상기 제1관통공(11) 및 상기 제1중공관(51)과 연통되는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부재(40)는 상기 제1결합부(10)가 상기 제2결합부(20)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결합부(10)에 형성된 상기 제2관통공(21)에 삽입된다.
위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40)가 상기 제2관통공(21)에 삽입되어 안내됨으로써, 상기 제1중공관(51)의 하강시 상기 제1결합부(10) 및 제1중공관(51)의 옆으로 이동하지 않고 상기 제2결합부(20) 및 제2중공관(52)과 동일한 수직선을 따라 하강되도록 할 수 있다.
만일 본 발명의 가이드부재(40)가 없다면, 상기 제1중공관(51)을 하강시키는 외력(타격)의 작용시 상기 연결부(31)가 휘어지면서 상기 제1중공관(51)이 수평방향으로 약간 이동하여 상기 제1중공관(51)과 제2중공관(52)이 수직이 아닌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부재(40)가 상기 제2관통공(21) 및 제2중공관(52)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중공관(51)이 수평방향으로 이동됨이 없이 상기 제2중공관(52)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40)의 하부 즉 상기 가이드부재(40)의 하부측 외주면에는 상기 제2관통공(21)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경사면(4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경사면(42)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재(40)가 상기 제2관통공(21)에 보다 쉽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40)의 외경은 상기 제2관통공(21)의 내경과 같거나 크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결합부(10)의 하강시 상기 가이드부재(40)의 외주면은 상기 제2관통공(21)의 내주면에 가압밀착되어, 본 발명의 중공관 지지장치에 의해 연결된 상기 제1중공관(51)과 제2중공관(52)이 상호 흔들림없이 일체로 된 것과 같은 구조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40)에는 상하방향으로 다수개의 제2슬릿공(41)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슬릿공(41)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재(40)가 상기 제2중공관(52)의 내부에 삽입될 때 상기 가이드부재(40)의 직경이 상기 제2중공관(52)의 내경보다 크더라도 외력에 의해 일부가 찌그러지면서 상기 제2중공관(52)의 내부에 강제삽입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지지장치가 가장 하부에 위치한 상기 제2중공관(52)의 하단부에 결합된 경우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40)없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중공관 지지장치에 의해, 중공관(파일, 50)이 외력에 의해 하강하면서 상기 연결부(31)가 바깥쪽으로 절곡 확장되어 상기 천공홀(60)을 이루는 지중에 삽입됨으로써, 중공관(50)을 지반에 안정적으로 정착시킬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중공관 지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중공관 지지장치의 단면구조도이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연결부(32)에 차이가 있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32)는 제1실시예와 달리, 중공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32)는 상하중심부가 바깥쪽으로 약간 돌출된 중공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32)에는 상하방향으로 다수개의 제1슬릿공(3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중공관(51)에 결합된 상기 제1결합부(10)가 제2결합부(20)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면, 상기 연결부(32)는 상기 제1슬릿공(33)에 의해 보다 바깥쪽으로 보다 용이하게 절곡되면서 확장되어, 지반으로 침투할 수 있게 된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중공관 지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중공관 지지장치를 파이프에 연결한 상태의 단면구조도이다.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제1결합부(10) 및 제2결합부(20)의 형상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서 중공관은 제1실시예에서의 PHC파일보다 두께가 얇은 강관 등의 파이프(5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결합부(10) 및 제2결합부(20)는 상기 파이프(53)의 외주면을 감싸거나 상기 파이프(53)의 내주면 안쪽에 삽입배치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결합부(10) 및 제2결합부(20)에는 수직지지부(19,29)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지지부(19,29)는 상기 파이프(53)의 안쪽에 삽입되고, 상기 수직지지부(19,29)를 상기 파이프(53)에 용접으로 결합시켰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상기 수직지지부(19,29)는 공지된 볼트, 나사, 핀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고정결합시킬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31)는 제1실시예의 구조뿐만 아니라 제2실시예의 구조를 채택할 수도 있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인 중공관 지지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제1결합부, 11 : 제1관통공, 12 : 안착홈, 19 : 수직지지부,
20 : 제2결합부, 21 : 제2관통공, 22 : 안착홈, 29 : 수직지지부,
31, 32 : 연결부, 33 : 제1슬릿공,
40 : 가이드부재, 41 : 제2슬릿공, 42 : 경사면,
50 : 중공관, 51 : 제1중공관, 52 : 제2중공관, 53 : 파이프,
60 : 천공홀,

Claims (12)

  1. 지면에 형성된 천공홀에 삽입되는 제1중공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의 하부에 이격되어 배치된 제2결합부와;
    상호 이격된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자유상태에서 상하중심부가 바깥쪽으로 돌출된 형상을 유지하며,
    상기 제1결합부를 제2결합부 방향으로 누르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1결합부가 상기 제2결합부 방향으로 가까워지면서 상기 연결부는 더 절곡되어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천공홀의 내벽을 뚫고 침투하며,
    상기 제1결합부는 내부에 제1관통공이 형성된 중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내부에 제2관통공이 형성된 중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공은 상기 제1중공관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1결합부에는 상기 연결부의 안쪽에서 상기 제2결합부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제1결합부가 제2결합부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2관통공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관 지지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호 독립된 다수개의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관 지지장치.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에는 각각 상기 연결부의 상단과 하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다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관 지지장치.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중공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중공관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호 이격된 상기 제1중공관과 제2중공관을 상호 연결하는 특징으로 하는 중공관 지지장치.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하중심부가 바깥쪽으로 돌출된 중공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부에는 상하방향으로 다수개의 제1슬릿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관 지지장치.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관통공과 연통되는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제2관통공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관 지지장치.
  9.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경은 상기 제2관통공의 내경과 같거나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의 하강시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제2관통공의 내주면에 가압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관 지지장치.
  10.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하방향으로 다수개의 제2슬릿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관 지지장치.
  11.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1중공관은 파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결합부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결합부의 상면이 상기 제1중공관의 하단부에 면접촉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관 지지장치.
  1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1중공관은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감싸거나 상기 파이프의 내주면 안쪽에 삽입배치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관 지지장치.
KR1020150111423A 2015-08-07 2015-08-07 중공관 지지장치 KR101722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423A KR101722454B1 (ko) 2015-08-07 2015-08-07 중공관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423A KR101722454B1 (ko) 2015-08-07 2015-08-07 중공관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469A KR20170017469A (ko) 2017-02-15
KR101722454B1 true KR101722454B1 (ko) 2017-04-04

Family

ID=58111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1423A KR101722454B1 (ko) 2015-08-07 2015-08-07 중공관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45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0019A (ja) 2003-12-19 2005-07-07 Geotop Corp 基礎杭の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423B1 (ko) * 2009-04-24 2011-09-28 심경남 세라믹 코팅 마이크로 파일
KR101051649B1 (ko) * 2009-11-10 2011-07-25 김영란 파일의 이음장치
KR101253496B1 (ko) * 2010-07-08 2013-04-16 (주)새길이엔시 확장형 앵커의 내하체 구조 및 시공방법
KR101124203B1 (ko) 2011-04-27 2012-03-27 주식회사 장평건설 파일 구조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0019A (ja) 2003-12-19 2005-07-07 Geotop Corp 基礎杭の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469A (ko) 201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7810B1 (ko) 기초보강에 의한 구조물 인상공법
KR101259902B1 (ko) 파일용 슈우 조립체
KR20160025260A (ko) 선단지지력이 강화된 복합말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53678B1 (ko) 말뚝 기초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195235B1 (ko) 복합파일을 이용한 지하골조구조물 시공방법
KR20140017381A (ko) 마이크로 파일을 이용한 기초 구조물의 보강공법
KR20140029093A (ko) 비용접 결합된 케이싱
KR20120130589A (ko) 기존 건축물의 기둥 상부를 보강하여 설치한 반력틀을 이용한 말뚝기초 시공방법
KR101042271B1 (ko) 마이크로 파일 천공 케이싱 파이프 연결구
KR20120102480A (ko) 선단 지지력이 강화된 phc 말뚝 및 이를 이용한 phc 말뚝 매입 공법
KR101722454B1 (ko) 중공관 지지장치
KR101124203B1 (ko) 파일 구조체
KR101042272B1 (ko) 연결구가 구비된 마이크로 파일 천공 케이싱파이프
KR101416865B1 (ko) 스크류파일 시공방법
JP3134898U (ja) コンクリート杭
KR20140147247A (ko) 기존 건물과 일체 거동을 위한 기초슬래브의 보강 공법 및 보강 구조
KR101304877B1 (ko) 건설 기초공사용 파일 시공 구조체
KR101345457B1 (ko) 파일 압입기와 이 파일 압입기를 이용한 파일 압입 시공 방법
JP3203689U (ja) 建築用杭
KR20130080072A (ko) 건설 기초공사용 파일 구조체
KR101765061B1 (ko) 매입말뚝 고정장치
KR101618632B1 (ko) 경타 관입성과 선단 지지력 향상을 위한 임플란트 파일을 갖는 복합말뚝
KR101299643B1 (ko) 기초공사용 파일공 천공장치
KR20140010277A (ko) 반원형 시트파일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148307B1 (ko) 근입 유도 헤드를 갖는 무소음 무진동 기초 말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