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359B1 - Drain Trap for Preventing Wastewater Backflow - Google Patents
Drain Trap for Preventing Wastewater Backflow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22359B1 KR101722359B1 KR1020160134498A KR20160134498A KR101722359B1 KR 101722359 B1 KR101722359 B1 KR 101722359B1 KR 1020160134498 A KR1020160134498 A KR 1020160134498A KR 20160134498 A KR20160134498 A KR 20160134498A KR 101722359 B1 KR101722359 B1 KR 1017223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drain
- strap
- opening
- drain trap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001 back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189 div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40 domestic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389 magnet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5 mi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3 weig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1—Odour seals using other sealants than wate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8—Odour seals consisting only of non-return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은, 배수구에 삽입되며,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상부 개구부와 하부 개구부 사이에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개구부로부터 상기 단차부를 거쳐 상기 하부 개구부까지 유동통로가 형성된 배수트랩 본체; 상기 하부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배수트랩 본체의 하부에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단 플레이트와, 상기 배수트랩 본체와 상기 차단 플레이트의 사이의 이격영역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차단 플레이트의 둘레 일 측에서 일정 높이로 연장된 차단벽을 포함하는 개폐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rain trap for preventing backf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in trap is inserted in a drain port and has a step between an upper opening portion and a lower opening portion formed respectively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a flow passage extending from the upper opening portion to the lower opening portion through the step portion, ; A partition plate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drain trap body via a hinge to open and close the lower opening; And an opening / closing part including a blocking wall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side wall.
Description
본 발명은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배수구에 삽입되어 오수를 배수시킴과 동시에, 오수 및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 trap for preventing backflow,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ain trap capable of preventing sewage and odors from flowing backward while draining sewage water into a drain hole.
일반적으로, 욕실이나 화장실 등의 바닥면에는 하수관과 함께 배수트랩이 매설되는데, 이러한 배수트랩은 그 후방에 하수관이 연결되어 상기 배수트랩을 통하여 각종 생활오수가 하수관으로 배수되도록 하는 것이고, 동시에 상기 배수트랩의 상부에 장착되는 걸음 망은 생활오수 내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머리카락이나 오니) 등을 걸러내어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하수관이 막히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또한 하수관으로부터 역류하는 악취를 차단한다.In general, drainage traps are buried in the bottom surface of a bathroom or toilet, together with a drainage pipe. A drainage pipe is connected to the drainage trap to drain various kinds of domestic sewage to the drainage pipe through the drainage trap. The padding net mounted on the top of the trap is used to filter out various foreign substances (hair or sludge) contained in the domestic sewage so that the sewage pipe is not clogged, and the odor which flows back from the sewage pipe is blocked.
이러한 배수트랩과 관련하여, 다음의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With respect to such drainage traps, the following techniques are disclosed.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 1999-009443호“악취방지용 배수트랩”은 기존에 매설되어진 하수관의 구조를 변경시키지 않고 그 선단에 간편하게 결합시켜 상기 하수구로 부터 역류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고 또한, 배수되는 물이 정체됨이 없이 신속하게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악취방지용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이는 생활오수가 배수되어지는 하수관(100)의 선단에 배수트랩(200)을 끼움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배수트랩(200)은 그 외주면(410) 둘레에 원통형의 비닐튜브(300)가 결합되고 상기 비닐튜브(300)는 하수관(100)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배수트랩(200)을 통하여 배수되는 물이 그 후방에 결합되어진 비닐튜브(300)를 통과한 후 상기 비닐튜브(300)를 밀폐시켜 하수관(100)으로 부터 역류되는 악취를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배수트랩의 경우, 욕실이나 화장실 등의 콘크리트 바닥면을 흐르게 되는 생활오수가 배수트랩의 본체에 장착된 걸음 망을 통하여 본체의 공간 부내에 위치하게 되는 반구형 커버를 타고 하방으로 흘러 내려가게 되고 또한, 상기 반구형 커버를 타고 흘러내린 물은 배수트랩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된 저수 홈 내에 일시 저수된 상태에서 그 수위가 일정치를 넘게 되면 상기 저수 홈의 내측 둘레에 형성된 돌출부를 타고 넘쳐 배수 공으로 흘러들어가게 됨으로써 그 후방에 연결된 하수관으로 배수되는 것이다.The Korean Utility Model Appln. Utility Model No. 1999-009443 " Odor Control Drain Trap " can effectively block malodor backwashing from the sewer so that it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tip of the sewer pipe without altering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sewer pipe. (EN) Disclosed is a drain trap for preventing odor from being quickly drained without congestion of water. The drain trap is adapted to allow a drain trap (200) to be fitted to a front end of a sewer pipe (100) The
따라서 종래 악취방지용 배수트랩은 생활오수가 배수되는 과정에서 배수트랩 본체의 저수 홈 내에 생활오수가 항상 고이게 됨으로써 고여 있는 물에 의해 악취발생의 원인이 되었으며, 특히 배수트랩의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odor prevention drain trap, domestic sewage is constantly accumulated in the water drain groove of the drain trap main body in the course of discharging domestic sewage, thereby causing odor due to the accumulated water. Especially,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drain trap is complicated, There is a problem of rising.
또한, 상기 배수트랩을 장기간 사용하면 본체의 저수 홈 부분에 고여 있는 생활오수에 의해 본체의 내주 면에 물때가 쉽게 끼이게 되는데, 배수 트랩이 콘크리트에 매설되어 있기 때문에 배수 트랩을 청소하기가 곤란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상기 배수트랩은 그 배수구조가 복잡하게 구성되어 생활오수의 배수 시 그 배수경로가 여러 단계를 거치게 됨으로써 일시에 다량의 생활오수가 배수될 경우 배수된 물이 배수트랩 내에서 정체되어 신속하게 하수관으로 배수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 when the drain trap is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 water mist easily gets caught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due to the domestic sewage accumulated in the water drain groove of the main body, and it is difficult to clean the drain trap because the drain trap is embedded in the concrete In particular, since the drainage structure of the drainage trap is complicated, when the drainage of domestic sewage is carried out at various stages, a large amount of domestic sewage is drained at a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rainage can not be stagnated and quickly drained to the sewage pipe.
다음으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 0292426호 “배수 트랩”은 욕실이나 다용도실 등의 배수공에 설치되어 역류하는 악취 등을 차단시키면서 오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 트랩에 관한 것으로, 하수관과 연결되어 매립 설치되며 하부 중앙에 하수관에 삽입되어 연통되는 하수관 끼움부(22)가 형성되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상부에 결합되는 본체 덮개(60)와, 상기 본체 덮개(60)의 상부 외주연에 삽입되어 생활 오수중 이물질이 걸러지는 상태에서 오수만을 배수하기 위해 복수개의 배수공(72)이 천공된 커버체(70)로 구성되는 배수 트랩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 끼움부(22)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오수를 배수시킴과 아울러 악취를 차단시키기 위한 배수 및 악취 차단부재(30)와, 상기 배수 및 악취 차단부재(30)의 일측에 내장되어 배수 및 악취 차단부재(30)의 오수 배수시 및 악취 차단 동작시에 따라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밸런싱 부재(40)와, 상기 하수관 끼움부(22)의 내측에 절곡 형성되어 일정량의 오수를 저장함과 아울러 배수 및 악취 차단부재(30)의 일측 외주연을 잠수 또는 고정하기 위한 저수 및 고정부재(28)와, 상기 하수관 끼움부(22)의 내측에 설치되어 배수 및 악취 차단부재(30)의 타측 외주연을 잠수하여 악취 등을 차단하면서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Next, the Korean Utility Model No. 0292426 "drainage trap" is installed in a drainage hole of a bathroom or a utility room to drain sewage while shutting off odor and the like which is flowing backwardly. The drainage trap is connected to a sewer pipe, A
이와 같은 종래의 배수 트랩은, 차단 부재가 커버체의 하단 중앙에 볼트에 의해 나사결합된 상태로 고정되고, 또한 차단 부재와 하수관 끼움 부 사이의 오수를 배출하기 위한 공간 부가 협소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오수가 한꺼번에 하수관 끼움 부를 통해 배수될 때에는 사방에서 유입되는 오수가 중앙으로 집중되면서 배출되므로 인해 사방에서 유입되는 오수가 상호 간섭되면서 충돌하여 오수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오수를 배출시키게 되면 그 공간 부를 통해 악취가 실내로 역류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심한 불쾌함을 유발하거나, 벌레 등의 해충이 침입하게 되므로 인해 배수 트랩을 쾌적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가 없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다.In such a conventional drain trap, since the blocking member is fixed in a state where the bolt is screwed to the lower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cover body and the space portion for discharging the sewage between the blocking member and the sewage pipe fitting portion is narrow, When the wastewater is drained through the sewer pipe fitting portion, the wastewater flowing in from each of the four sides is discharged while being concentrated at the center, so that the wastewater flowing from the four sides are interfered with each other to collide with each other and the drainage of the wastewater is not smoothly perform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dor tends to flow back into the room through the space portion, causing serious unpleasantness to the user, or insects such as insects are invaded, and the drain trap can not be used in a pleasant state.
따라서 배수구에 삽입되어 오수를 배수시킴과 동시에, 오수 및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배수트랩의 개발이 필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drainage trap which can be inserted into the drainage port to drain the wastewater and effectively prevent the reverse flow of sewage and odors.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오수 및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밀폐구조를 갖는 배수트랩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ain trap having a closed structure for preventing reverse flow of sewage and odor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수트랩의 외부에서 충격이나 기타 이물질이 배수트랩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한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that prevents impacts or other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drain trap from the outside of the drain trap.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수트랩 내부에 오수 및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backwashing of sewage and odors in the drainage trap.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은, 배수구에 삽입되며,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상부 개구부와 하부 개구부 사이에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개구부로부터 상기 단차부를 거쳐 상기 하부 개구부까지 유동통로가 형성된 배수트랩 본체; 상기 하부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배수트랩 본체의 하부에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단 플레이트와, 상기 배수트랩 본체와 상기 차단 플레이트의 사이의 이격영역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차단 플레이트의 둘레 일 측에서 일정 높이로 연장된 차단벽을 포함하는 개폐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a backflow prevention drain t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tepped portion is formed between an upper opening portion and a lower opening portion which are inserted into a drain hole and formed respectively at upper and lower portions, A drain trap body formed with a flow passage; A partition plate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drain trap body via a hinge to open and close the lower opening; And an opening / closing part including a blocking wall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side wall.
나아가, 상기 상부 개구부에는, 오수 유입구로부터 연장된 배수관이 결합되되, 상기 배수관의 단부는, 상기 상부 개구부의 상부면과 마주보도록 측면을 따라 연장된 걸림부와,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 개구부의 내측에 밀착되어 끼움 결합 되는 끼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 drain pipe extending from the waste water inlet is coupled to the upper opening, the end of the drain pipe includes a latch portion extending along the side face to face the upper face of the upper opening portion, And a fitting portion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and fitted to the inside.
더하여, 상기 배수트랩 본체는, 상기 상부 개구부가 상기 배수구로 완전 삽입되지 않도록 상기 배수구의 입구보다 넓은 면적을 갖고 상기 상부 개구부가 끼움 결합되는 보조걸림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걸림부는, 상기 상부 개구부의 후면과 동일한 면적으로 함입되어 상기 상부 개구부가 끼움 결합되는 개구부지지판과, 상기 개구부지지판의 중심부에서 상기 배수트랩 본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본체삽입공과, 상기 개구부지지판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것으로서, 상기 배수구의 입구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배수구지지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rain trap body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locking portion having an area larger than an inlet of the drain hole so that the upper opening is not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drain hole, and the upper opening is fitted to the auxiliary opening, A main body inserting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opening supporting plate so as to allow the drain trap main body to pass therethrough, and a main body insertion hole extending along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supporting plate, And a drain hole supporting plate having a larger area than the inlet of the drain hole.
또한, 상기 끼움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상부 개구부의 내측에 밀착 고정되도록 탄성재질의 패킹을 부착하되, 상기 패킹은, 상기 끼움부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상기 걸림부의 표면을 따라 상기 배수구지지판 일 측까지 연장된 연장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elastic material packing is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tting portion so as to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upper opening portion. The packing is vertically bent from the fitting portion and extends to one side of the drain port support plate along the surface of the fitting portion And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packing.
또한, 상기 배수구지지판과 상기 상부 개구부 사이에는 이격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지지판에는, 상기 상부 개구부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일정 깊이 함입된 함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패킹은, 상기 이격영역에 삽입되도록 수직 연장된 수직돌기와, 상기 수직돌기의 단부에서 상기 함입홈으로 삽입되도록 수직 연장된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연장패킹과 상기 보조걸림부가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배수트랩 본체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pacing region is formed between the drain support plate and the upper opening, and the drain support plate is provided with a recessed groov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at a position facing the upper opening, And the vertical protrusion vertically extend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recessed groove at the end of the vertical protrusion is formed so that the extended packing and the auxiliary latching portion are physically coupled to prevent the drain trap body from being detached .
또한, 상기 배수트랩 본체에는, 상기 하부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가릴 수 있도록 부착된 역류방지 스트랩을 더 포함하여, 상기 차단 플레이트가 하부로 회동되어 상기 하부 개구부를 개방시켰을 때 상기 역류방지 스트랩을 통해 역류된 오수가 상기 배수트랩 본체 내부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걸림턱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ain trap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backflow prevention strap attached to cover at least a part of the lower opening so that when the blocking plate is pivoted downward to open the lower opening, So that the wastewater can not be moved into the drain trap main body.
또한, 상기 배수트랩 본체에는, 상기 하부 개구부로부터 상기 차단 플레이트가 회동하여 맞닿는 부위까지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 플레이트에는, 상기 절개홈에 끼움결합 되는 것으로서, 상기 차단 플레이트가 높이방향으로 최대 회동하는 경우 일 단이 상기 역류방지 스트랩의 중앙부위를 누를 수 있도록 연장된 누름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ain trap body may be formed with a cutout groove cut from the lower opening to a portion where the cutoff plate pivots and abuts, and the cutoff plate is fitted to the cutoff groove, And one push bar extended to push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ckflow prevention strap when the pusher is pivoted at a maximum.
또한, 상기 누름바는, 상기 차단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절개홈에 삽입되는 연장판과, 상기 연장판의 단부에서 상기 역류방지 스트랩의 중앙부위를 누르도록 연장된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절곡 연장되어 걸림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누름바가 상기 역류방지 스트랩의 중앙부위를 누르는 경우, 상기 역류방지 스트랩의 측면 일 측이 상기 걸림공간에 위치하여 걸림을 형성하는 그립판으로 구성되어, 오수의 유입이 중단되어 상기 차단플레이트가 회동되어 원래 위치로 복구될 때에 상기 그립판을 통해 상기 역류방지 스트랩이 최대로 펼쳐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ush bar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plate extending from the cutoff plate and inserted in the cutout groove, a press plate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extension plate to press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ckflow prevention strap, Is formed by a grip plate that forms one side of one side of the backflow prevention strap when the pressing bar presses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ckflow prevention strap to form a latching space So that when the flow of the wastewater is interrupted and the blocking plate is rotated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backflow preventing strap is maximally spread through the grip plate.
또한, 상기 역류방지 스트랩은, 상기 하부 개구부의 일부를 가릴 수 있는 면적을 갖고, 상기 하부 개구부에 고정되도록 부착된 제1 스트랩과, 상기 누름바의 일 측에 부착된 것으로서, 상기 하부 개구부를 가릴 수 있는 면적을 갖는 제2 스트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ckflow preventing strap may include a first strap attached to the lower opening so as to have an area capable of covering a part of the lower opening and a second strap attached to one side of the push bar, And a second strap having an allowable area.
마지막으로, 상기 제2 스트랩은, 표면에 정전기 유도 코팅층을 형성하되, 오수가 유입되는 경우 수압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되어 있다가 오수의 유입이 종료된 이후 상기 차단 플레이트와 함께 회동되어 다시 원래 위치로 복구되되 상기 정전기 유도 코팅층의 정전기 유도현상을 통해 상기 제1 스트랩에 부착되어 상기 차단 플레이트보다 빠르게 상기 하부 개구부를 막아 역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nally, the second strap forms an electrostatic induction coating layer on the surface, and when the wastewater flows into the second strap, the second strap is rotated downward by the water pressure, and after the inflow of the wastewater is completed, And is attached to the first strap through electrostatic induction of the electrostatic induction coating layer to prevent the reverse flow by closing the lower opening faster than the blocking plate.
본 발명에 따른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backflow prevention drain trap of the present invention,
1) 배수트랩과 오수가 유입되는 배수관 사이를 보조걸림부와 패킹의 물리적 결합으로 밀폐시켜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의 유입으로부터 배수트랩을 보호하여 배수트랩의 파손으로 인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caused by the breakage of the drain trap by protecting the drain trap from the external impact or foreign matter by sealing the drain trap and the drain pipe through which the wastewater flows, by the physical connection between the auxiliary latch and the packing,
2) 차단 플레이트 무게 추 구성을 통해 오수 배출시에는 배수트랩을 개방하고 오수 배출이 종료되면 배수트랩을 밀폐시킬 수 있으며,2) It is possible to open the drain trap when the sewage is discharged and seal the drain trap when the drainage of sewage is finished,
3) 배수트랩 내부에 별도의 역류방지 스트랩을 포함시켜 차단 플레이트와 함께 이중으로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3) A separate backflow prevention strap is included in the drainage trap to provide a double backflow prevention effect with the blocking plate.
도 1은 본 발명의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의 기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의 결합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보조걸림부와 연장패킹의 결합 형태를 상세하게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배수트랩에 누름바를 적용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배수트랩에 스트랩을 적용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ic configuration of a backflow prevention drain trap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type of the backflow prevention drain trap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front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mbined form of the auxiliary locking part and the extension pack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push bar is applied to the drain trap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strap is applied to the drain trap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various drawings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의 기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ic configuration of a backflow prevention drain t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은 배수구에 삽입되며,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상부 개구부(110)와 하부 개구부(120) 사이에 단차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개구부(110)로부터 상기 단차부(130)를 거쳐 상기 하부 개구부(120)까지 유동통로가 형성된 배수트랩 본체(100); 상기 하부 개구부(120)를 개폐하도록 상기 배수트랩 본체(100)의 하부에 힌지(210)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단 플레이트(200)와, 상기 배수트랩 본체(100)와 상기 차단 플레이트(200)의 사이의 이격영역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차단 플레이트(200)의 둘레 일 측에서 일정 높이로 연장된 차단벽(300)을 포함하는 개폐부(400);로 구성된다.1, the backflow prevention drain tra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 drain hole, a
먼저, 배수트랩 본체(100)는, 배수트랩의 기본 형태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배수구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하부에 각각 상부 개구부(110)와 하부 개구부(120)가 형성되고, 그 사이에 단차부(130)가 형성된다. 이 배수트랩 본체(100)의 내측에는 상부 개구부(110)로부터 단차부(130)를 거쳐 하부 개구부(120)까지 유동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irst, the drain trap
즉, 배수트랩 본체(100)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세면대, 싱크대 및 기타 오수를 배출하는 여러 가지 수단으로부터 오수가 관을 통해 배수구로 이동되기 때문이며, 해당 관과 연결되어 오수를 배출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유입되는 관은 배수트랩 본체(100)의 상부 개구부(110)를 통해 연결되고, 유입된 오수는 유동통로를 통해 상부 개구부(110), 단차부(130), 하부 개구부(120)를 거쳐 배수된다.That is, the
개폐부(400)는, 차단 플레이트(200), 힌지(210), 차단벽(300)으로 구성된다. 차단 플레이트(200)는 하부 개구부(120)를 개폐하도록 배수트랩 본체(100)의 하부에 힌지(210)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차단 플레이트(200)가 하부 개구부(120)를 개폐시킬 수 있으려면 하부 개구부(120)에 대응되거나 그보다 큰 면적과 형태를 가져야 함은 물론이다.The opening and closing
차단벽(300)은 차단 플레이트(200)와 배수트랩 본체(100) 사이의 이격영역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차단 플레이트(200)의 둘레 일 측에서 일정 높이로 연장된 일종의 벽을 의미한다. 이 차단벽(300)은 차단 플레이트(200)가 하부 개구부(120)에 맞닿아 있는 경우, 배수트랩 본체(100)의 외부 측면 일부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배수트랩 본체(100)와 차단 플레이트(200)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나 공간을 차단벽(300)이 막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차단벽(300)은 배수트랩 본체(100)에 맞닿아 고정이 용이하도록 형성되거나 차단벽(300)과 차단벽(300)에 대응되는 배수트랩 본체(100)의 외부 측면에 구성재질로써 자성체를 포함시키거나 자성체를 부착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더욱 용이한 차단 역할을 기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blocking
힌지(210)에는 일정한 무게를 가하는 무게 추가 차단 플레이트(200)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무게 추는 차단 플레이트(200)가 하부 개구부(120)를 가릴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충분한 무게를 가진 것으로서, 오수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 무게추로 인해 차단 플레이트(200)가 용이하게 회동하여 하부 개구부(120)를 밀폐시키고, 오수가 유입되는 경우 그 압력을 무게가 버티지 못하는 경우 다시 회동되어 하부 개구부(120)를 개방시키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앞선 설명에서 배수트랩 본체(100)에 단차부(130)가 형성되어있다고 하였는데, 단차부(130)는 차단 플레이트(200)를 회동시켜 하부 개구부(120)를 개방시키는 경우, 이 무게 추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즉, 단차부(130)를 통해 배수트랩 본체(100)가 일부 내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원통으로 형성되는 경우보다 약간의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에서 무게 추가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차단 플레이트(200)의 회동이 가능해진다.The
이렇게 형성된 배수트랩에는 앞선 설명에 의하면 세면대, 싱크대 및 기타 오수를 배출하는 여러 가지 수단으로부터 오수가 관을 통해 배수구로 이동된다고 하였다. 이 오수가 이동되는 관과 배수트랩의 결합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drainage traps thus formed are said to transfer sewage from the sink, sink and other means of discharging sewage to the drain through the pipe. The combined structure of the drain pipe and the pipe through which the wastewater is mov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2는 본 발명의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의 결합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type of the backflow prevention drain trap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상기 상부 개구부(110)에는, 오수 유입구로부터 연장된 배수관(500)이 결합되되, 상기 배수관(500)의 단부는, 상기 상부 개구부(110)의 상부면과 마주보도록 측면을 따라 연장된 걸림부(510)와,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 개구부(110)의 내측에 밀착되어 끼움 결합 되는 끼움부(520)로 구성된다.A
먼저, 배수관(500)은 오수가 이동되는 관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관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 배수관(500) 역시 단부의 형태가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배수관(500)의 단부는 상부 개구부(110)에 결합되게 되는데, 따라서 상부 개구부(110)의 형태는 배수관(500)의 단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First, the
배수관(500)의 단부는 상부 개구부(110)의 상부면과 마주보도록 측면을 따라 연장된 걸림부(510)와,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부 개구부(110)의 내측에 밀착되어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520)로 구성된다. 즉, 끼움부(520)가 상부 개구부(110)에 삽입되되, 일정 깊이까지 삽입되도록 걸림부(510)를 통해 고정시키는 것이다. The end portion of the
도 3은 본 발명의 보조걸림부(600)와 연장패킹(540)의 결합 형태를 상세하게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3 is a front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mbined form of the
상기한 구성과 유사한 것으로서, 배수트랩 본체(100)가 배수구에 걸쳐지도록 하는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배수트랩 본체(100)는 상기 상부 개구부(110)가 상기 배수구로 완전 삽입되지 않도록 상기 배수구의 입구보다 넓은 면적을 갖고 상기 상부 개구부(110)가 끼움 결합되는 보조걸림부(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As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drain trap
보조걸림부(600)는 일종의 걸림을 보조하는 장치로서, 배수구의 크기가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상부 개구부(110)만을 형성하는 경우 배수구에 걸쳐지지 못하고 배수구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어버리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The
보조걸림부(600)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상부 개구부(110)의 후면과 동일한 면적으로 함입되어 상기 상부 개구부(110)가 끼움 결합되는 개구부지지판(610)과, 상기 개구부지지판(610)의 중심부에서 상기 배수트랩 본체(100)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본체삽입공(620)과, 상기 개구부지지판(61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것으로서, 상기 배수구의 입구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배수구지지판(630)으로 구성된다.An
즉, 보조걸림부(600)는 도넛 형상으로 구성되되, 중앙부위에는 배수트랩 본체(100)가 통과할 수 있는 본체삽입공(620)이 위치하고, 본체삽입공(620)을 따라 상부 개구부(110)가 끼움 결합되도록 상부 개구부(110)의 후면과 동일한 면적으로 함입된 개구부지지판(610)과, 개구부지지판(61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배수구의 입구보다 넓은 면적을 가져 배수구에 배수트랩 본체(100)가 완전히 삽입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배수구지지판(630)으로 구성되는 것이다.A main
다만, 이러한 구성들은 각각이 개별적으로 배수트랩 본체(100)와 결합되어있어 주변 충격이나 압력에 의해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다음의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However, since each of these structures is individually coupled with the drain trap
배수관(500)의 끼움부(520) 외주면에는 상부 개구부(110)의 내측에 밀착 고정되도록 탄성재질의 패킹(530)을 부착하되, 패킹(530)은 끼움부(520)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걸림부(510)의 표면을 따라 배수구지지판(630) 일 측까지 연장된 연장패킹(5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이 경우 패킹(530)을 통해 배수관(500)과 배수트랩 본체(100)가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으므로 확실한 결합력을 기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연장패킹(540)을 통해 사이 공간을 덮을 수 있어 틈새를 통한 먼지나 수분 등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A packing 530 of an elastic material is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더 나아가, 상기 배수구지지판(630)과 상기 상부 개구부(110) 사이에는 이격공간(640)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지지판(630)에는, 상기 상부 개구부(110)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일정 깊이 함입된 함입홈(641)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패킹(540)은, 상기 이격공간(640)에 삽입되도록 수직 연장된 수직돌기(541)와, 상기 수직돌기(541)의 단부에서 상기 함입홈(641)으로 삽입되도록 수직 연장된 고정돌기(542)가 형성되어, 상기 연장패킹(540)과 상기 보조걸림부(600)이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배수트랩 본체(10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Further, a
즉, 배수구지지판(630)과 걸림부(510)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띄워 이격공간(640)을 형성하고, 나아가 배수구지지판(630)에는 걸림부(510)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일정 깊이 함입된 함입홈(641)을 형성한다. 연장패킹(540)에는 이 이격공간(640)과 함입홈(641)에 각각 끼워지도록 이격공간(640)에 삽입되도록 수직 연장된 수직돌기(541)와, 수직돌기(541)의 단부에서 함입홈(641)으로 삽입되도록 수직 연장된 고정돌기(542)가 형성된다. 즉, ‘ㄱ’또는 ‘ㄴ’과 같은 형태로 고정돌기(542) 및 이격공간(640)-함입홈(641)이 형성되어 이 들이 결합하게 됨으로서 보조걸림부(600)과 배수관(500)의 패킹(530)이 사이에 배수트랩을 끼운 상태로 물리적 결합을 하게 되어 밀폐와 고정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구성을 갖게 된다.That is, a
앞선 구성을 통해 오수 및 악취가 역류되는 구성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오수가 흐르는 동안에도 오수의 역류 또는 악취의 역류가 발생할 수 있는데, 위와 같은 구성으로는 배수트랩 본체(100)에 차단 플레이트(200)가 회동되어 닫힐 때까지의 시간동안 역류를 방어하기 어렵다. 도 1로 돌아가 다시 설명하면, 이러한 시간동안의 역류를 방지하고자 배수트랩 본체(100)에는 하부 개구부(120)의 적어도 일부를 가릴 수 있도록 부착된 역류방지 스트랩(7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We have looked at the configuration that the sewage and odor flow backward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backflow during the time until the
이 역류방지 스트랩(700)은 상기 차단 플레이트(200)가 하부로 회동되어 상기 하부 개구부(120)를 개방시켰을 때 상기 역류방지 스트랩(700)을 통해 역류된 오수가 상기 배수트랩 본체(100) 내부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걸림턱 역할을 하는 것이다. 역류방지 스트랩(700)의 경우, 오수가 흐를 수 있는 최대 압력을 버틸 수 있어야 하며 100도씨 내지 0도씨의 생활오수가 흐르더라도 물성의 변화 없이 버틸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되어야 한다. 또, 오수에 뾰족한 물질이 섞일 수 있으므로 외부 충격으로부터 강한 소재라면 더더욱 좋다.The
역류방지 스트랩(700)은 하부 개구부(120)의 적어도 일부를 가릴 수 있도록 부착되었다고 하였는데, 역류효과 방지 효율을 높이려면 배수트랩 본체(100)에서 단차부(130)와 가까운 쪽에 부착되는 것이 좋다. 단차부(130)가 형성됨으로써 차단 플레이트(200)가 회동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다는 장점이 있으나, 단차부(130)로 인하여 오수의 유속과 방향이 달라질 수 있어 이로 인한 소용돌이의 발생이나 역류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근본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차부(130)와 가까운 쪽에 역류방지 스트랩(700)을 부착하여 오수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단차부(130)의 주변에는 힌지(210)를 매개로 회동되는 차단 플레이트(200)가 위치하는데, 단차부(130)가 위치한 곳으로 역류가 발생하는 경우, 차단 플레이트(200)가 회동되는 것을 방해하여 차단 플레이트(200)가 하부 개구부(120)를 폐쇄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역류방지 스트랩(700)이 단차부(130)의 주변에 위치하게 되어 단차부(130) 주변에서 역류가 쉽게 발생하지 못하도록 막아줌으로써 차단 플레이트(200)의 회동 또한 용이하게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The
배수트랩 본체(100)에는 다음의 구성이 더 적용되어 역류방지 스트랩(700)의 역할을 보조할 수 있다.The following configuration is further applied to the
도 4는 본 발명의 배수트랩에 누름바(800)를 적용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배수트랩 본체(100)에는 하부 개구부(120)로부터 차단 플레이트(200)가 회동하여 맞닿는 부위까지 절개된 절개홈(14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차단 플레이트(200)에는, 절개홈(140)에 끼움결합 되는 것으로서, 차단 플레이트(200)가 높이방향으로 최대 회동하는 경우 일 단이 역류방지 스트랩(700)의 중앙부위를 누를 수 있도록 연장된 누름바(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이 누름바(800)는 차단 플레이트(200)의 일 측에서 연장되어 절개홈(140)에 끼움결합 되는 것으로서, 차단 플레이트(200)가 회동하더라도 절개홈(140)에서 빠져나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절개홈(140)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누름바(800)에 의해 항상 밀폐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일 면을 라운드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누름바(800)의 일 단은 차단 플레이트(200)가 높이방향으로 최대 회동하는 경우 상기 역류방지 스트랩(700)의 중앙부위를 누르게 된다. 차단 플레이트(200)가 높이방향으로 최대 회동하는 것은 오수가 배출되는 경우인데, 이 때는 차단 플레이트(200)가 하부 개구부(120)로부터 최대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역류를 방지할 수 없는 상태이다. 그러나 역류는 오수가 이동하는 도중에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역류방지 스트랩(700)을 최대로 펼쳐두어 역류 발생 시 즉각 대응하여 역류를 방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나아가 오수가 모두 이동된 이후 차단 플레이트(200)가 회동하여 하부 개구부(120)를 덮는 동안에도 오수로 인한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이 역류방지 스트랩(700)으로 인해 저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One end of the
누름바(80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누름바(800)는, 상기 차단 플레이트(20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절개홈(140)에 삽입되는 연장판(810)과, 상기 연장판(810)의 단부에서 상기 역류방지 스트랩(700)의 중앙부위를 누르도록 연장된 누름판(820)과, 상기 누름판(820)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절곡 연장되어 걸림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누름바(800)가 상기 역류방지 스트랩(700)의 중앙부위를 누르는 경우, 상기 역류방지 스트랩(700)의 측면 일 측이 상기 걸림공간에 위치하여 걸림을 형성하는 그립판(830)으로 구성된다.The
연장판(810)과 누름판(820)은 각각 누름바(800)의 몸체와 역류방지 스트랩(700)을 누르는 부분을 의미한다. 다만, 누름판(820)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절곡 연장되어 걸림공간을 형성하는 그립판(830)이 특징적이라고 할 수 있다. 오수의 유입으로 인해 차단 플레이트(200)가 최대로 회동되는 경우 누름바(800)는 누름판(820)을 통해 역류방지 스트랩(700)을 눌러 역류방지 스트랩(700)이 젖혀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데, 이 때, 그립판(830)은 누름판(820)에서 더 연장된 것으로서, 아예 역류방지 스트랩(700)의 측면 일 측을 그립판(830)의 걸림공간에 위치시켜 마치 그립판(830)을 통해 역류방지 스트랩(700)을 잡고 있는 것처럼 할 수 있다. 이 경우 오수의 유입이 종료되어 차단 플레이트(200)가 다시 하부 개구부(120)를 가릴 수 있도록 회동될 때에 누름바(800) 또한 회동되면서 역류방지 스트랩(700)을 더 이상 누르지 않게 되는데, 역류방지 스트랩(700)의 측면 일 측을 잡고 있던 그립판(830)은 누름바(800)가 회동 될 때에 역류방지 스트랩(700)을 최대로 잡아 당기면서 그립이 해제되어 배수트랩이 닫힐 때 역류방지 스트랩(700)이 최대로 펼쳐져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 그립판(830)의 경우, 필요에 따라 누름판(820)의 단부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도 5는 본 발명의 배수트랩에 스트랩을 적용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strap is applied to the drain trap of the present invention.
마지막으로, 역류방지 스트랩(700)은 다음의 구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역류방지 스트랩(700)은 상기 하부 개구부(120)의 일부를 가릴 수 있는 면적을 갖고, 상기 하부 개구부(120)에 고정되도록 부착된 제1 스트랩(710)과, 상기 누름바(800)의 일 측에 부착된 것으로서, 상기 하부 개구부(120)를 가릴 수 있는 면적을 갖는 제2 스트랩(720)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2 스트랩(720)은 표면에 정전기 유도 코팅층(721)을 형성하는 것이다.Finally, the following configuration may be applied to the
이 경우, 차단 플레이트(200)가 하부 개구부(120)를 막고 있을 때에는 제1 스트랩(710)과 제2 스트랩(720)이 적층되어 하부 개구부(120)를 막고 있는 것으로 보여지게 되지만, 실제로는 두 장의 제1, 2 스트랩(710, 720)으로 나뉘되, 제1 스트랩(710)은 앞서 설명한 역류방지 스트랩(700)의 특성을 그대로 지니고 있고, 제2 스트랩(720)은 오수의 유입 여부에 따라 자유롭게 상하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is case, when the blocking
다만, 제2 스트랩(720)에는 표면에 정전기 유도 코팅층(721)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정전기 유도 코팅층(721)은 일종의 부직포와 같은 재질을 표면에 얇게 코팅시킨 것으로서, 지속적으로 정전기가 발생할 수 있는 환경을 형성한 것이다. 이 때, 제1 스트랩(710)과 제2 스트랩(720) 사이에는 오수가 쉽게 튀지 못한다는 위치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수분으로 인한 정전기 발생의 문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 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the electrostatic
즉, 활용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오수가 유입되는 경우 수압에 의해 제2 스트랩(720)은 하방으로 회동되게 된다. 그러나 오수의 유입이 종료된 이후 차단 플레이트(200)가 하부 개구부(120)를 막을 수 있도록 회동되어 원래 위치로 복구되게 되는데, 이 때 누름바(800)의 일 측에 부착된 제2 스트랩(720) 또한 함께 하부 개구부(120)를 향해 회동되게 된다. 다만, 제2 스트랩(720)은 표면에 정전기 유도 코팅층(72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정전기 유도 코팅층(721)에 의해 제1 스트랩(710)과 정전기 유도 현상이 발생하여 서로 인력이 작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2 스트랩(720)은 제1 스트랩(710)에 밀착되려는 성질을 갖게 되어 결과적으로는 차단 플레이트(200)보다 빠르게 하부 개구부(120)를 막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차단 플레이트(200)만 존재하는 경우보다 제2 스트랩(720)을 통해 더욱 빠르고 확실한 역류 방지 구성을 갖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astewater flows, the
또한, 부득이하게 정전기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라면, 정전기 유도 대신 자기 유도를 활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정전기 유도 코팅층(721)이 자성체가 코팅된 자기 유도 코팅층으로 변동되며, 제1 스트랩(710)은 자성에 반응할 수 있는 금속이 포함된 재질로 구성되거나 별도의 금속박 코팅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case, the electrostatic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backflow prevention drain t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100: 배수트랩 본체 110: 상부 개구부
120: 하부 개구부 130: 단차부
140: 절개홈 200: 차단 플레이트
210: 힌지 300: 차단벽
400: 개폐부 500: 배수관
510: 걸림부 520: 끼움부
530: 패킹 540: 연장패킹
541: 수직돌기 542: 고정돌기
600: 보조걸림부 610: 개구부지지판
620: 본체삽입공 630: 배수구지지판
640: 이격공간 641: 함입홈
700: 역류방지 스트랩 710: 제1 스트랩
720: 제2 스트랩 721: 정전기 유도 코팅층
800: 누름바 810: 연장판
820: 누름판 830: 그립판100: drain trap body 110: upper opening
120: lower opening part 130:
140: incision groove 200:
210: hinge 300: blocking wall
400: opening and closing part 500:
510: engaging portion 520:
530: Packing 540: Extension packing
541: Vertical projection 542: Fixing projection
600: auxiliary locking portion 610: opening support plate
620: Body insert hole 630: Drain hole support plate
640: spacing space 641:
700: Backflow prevention strap 710: First strap
720: second strap 721: electrostatic induction coating layer
800: push bar 810: extension plate
820: presser plate 830: grip plate
Claims (10)
배수구에 삽입되며,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상부 개구부와 하부 개구부 사이에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개구부로부터 상기 단차부를 거쳐 상기 하부 개구부까지 유동통로가 형성된 배수트랩 본체;
상기 하부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배수트랩 본체의 하부에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단 플레이트와, 상기 배수트랩 본체와 상기 차단 플레이트의 사이의 이격영역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차단 플레이트의 둘레 일 측에서 일정 높이로 연장된 차단벽을 포함하는 개폐부;로 구성되되,
상기 배수트랩 본체에는,
상기 하부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가릴 수 있도록 부착된 것으로서, 상기 차단 플레이트가 하부로 회동되어 상기 하부 개구부를 개방시켰을 때 역류된 오수가 상기 배수트랩 본체 내부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걸림턱 역할을 하는 역류방지 스트랩과,
상기 하부 개구부로부터 상기 차단 플레이트가 회동하여 맞닿는 부위까지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 플레이트에는,
상기 절개홈에 끼움결합 되는 것으로, 상기 차단 플레이트가 높이방향으로 최대 회동하는 경우 일 단이 상기 역류방지 스트랩의 중앙부위를 누를 수 있도록 연장된 누름바를 포함하며,
상기 역류방지 스트랩은,
상기 하부 개구부의 일부를 가릴 수 있는 면적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하부 개구부에 고정되도록 부착된 제1 스트랩과, 상기 누름바의 일 측에 부착된 것으로서 상기 하부 개구부를 가릴 수 있는 면적을 갖는 제2 스트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1. A drain trap for preventing backflow,
A drain trap body inserted into the drain hole and having a step between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respectively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a flow passage extending from the upper opening to the lower opening through the stepped portion;
A partition plate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drain trap body via a hinge to open and close the lower opening; And an opening / closing part including a blocking wall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opening / closing part,
In the drain trap body,
A backflow preventive strap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drain trap body so as to cover at least a part of the bottom opening and serving as a stopper for preventing the backflowed wastewater from flowing into the drain trap body when the blocking plate is rotated downward to open the lower opening, and,
A cutout groove is formed in the lower opening portion to a portion where the cutoff plate rotates and abuts,
In the blocking plate,
And a push bar extending from the cut-off groove so that one end of the cut-off plate can push the center portion of the back-flow preventing strap when the cut-off plate rotates in the height direction,
The backflow prevention strap includes:
And a second strap attached to one side of the push bar and having an area covering the lower opening, the first strap being attached to the lower strap so as to be fixed to the lower opening with an area covering a part of the lower opening, Wherein the drain trap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enings.
상기 상부 개구부에는,
오수 유입구로부터 연장된 배수관이 결합되되,
상기 배수관의 단부는,
상기 상부 개구부의 상부면과 마주보도록 측면을 따라 연장된 걸림부와,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 개구부의 내측에 밀착되어 끼움 결합 되는 끼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upper opening,
A drain pipe extended from the sewage inlet is connected,
The end of the water pipe
An engaging portion extending along the side surface to 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opening portion,
And a fitting portion which extends in a height direction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an inner side of the upper opening portion and is fitted to the fitting portion.
상기 배수트랩 본체는,
상기 상부 개구부가 상기 배수구로 완전 삽입되지 않도록 상기 배수구의 입구보다 넓은 면적을 갖고 상기 상부 개구부가 끼움 결합되는 보조걸림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걸림부는,
상기 상부 개구부의 후면과 동일한 면적으로 함입되어 상기 상부 개구부가 끼움 결합되는 개구부지지판과,
상기 개구부지지판의 중심부에서 상기 배수트랩 본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본체삽입공과,
상기 개구부지지판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것으로서, 상기 배수구의 입구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배수구지지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3. The method of claim 2,
The drain trap body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locking portion having an area larger than an inlet of the drain port and fitting the upper opening portion into the drain opening so that the upper opening portion is not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drain opening,
Wherein,
An opening support plate which is embedded in the same area as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opening portion and is fitted to the upper opening portion,
A body inserting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opening support plate to allow the drain trap body to pass therethrough,
And a drain hole supporting plate extending along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support plate and having a larger area than an inlet of the drain hole.
상기 끼움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상부 개구부의 내측에 밀착 고정되도록 탄성재질의 패킹을 부착하되,
상기 패킹은,
상기 끼움부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상기 걸림부의 표면을 따라 상기 배수구지지판 일 측까지 연장된 연장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The method of claim 3,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tting portion,
A packing of an elastic material is attached so as to be close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upper opening,
The packing
Further comprising an elongated packing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fitting portion and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drain port support plate along the surface of the latching portion.
상기 배수구지지판과 상기 상부 개구부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지지판에는,
상기 상부 개구부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일정 깊이 함입된 함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패킹은,
상기 이격공간에 삽입되도록 수직 연장된 수직돌기와, 상기 수직돌기의 단부에서 상기 함입홈으로 삽입되도록 수직 연장된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연장패킹과 상기 보조걸림부가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배수트랩 본체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5. The method of claim 4,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drain hole supporting plate and the upper opening,
In the drain hole supporting plate,
A recessed groov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a position opposite to the upper opening,
The extended packing
A vertical protrusion vertically extended to be inserted into the spacing space and a fixing protrusion vertically extended to be inserted into the recess groove at an end of the vertical protrusion are formed so that the extended packing and the auxiliary locking part are physically coupl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drain trap.
상기 누름바는,
상기 차단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절개홈에 삽입되는 연장판과,
상기 연장판의 단부에서 상기 역류방지 스트랩의 중앙부위를 누르도록 연장된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절곡 연장되어 걸림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누름바가 상기 역류방지 스트랩의 중앙부위를 누르는 경우, 상기 역류방지 스트랩의 측면 일 측이 상기 걸림공간에 위치하여 걸림을 형성하는 그립판으로 구성되어,
오수의 유입이 중단되어 상기 차단플레이트가 회동되어 원래 위치로 복구될 때에 상기 그립판을 통해 상기 역류방지 스트랩이 최대로 펼쳐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sh-
An extension plate extending from the blocking plate and inserted into the incision groove,
A push plate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extension plate to press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ckflow prevention strap,
The backrest prevention strap includes a stopping portion which is provided at a side of the backrest preventing strap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stopping portion of the backrest preventing strap when the pushing bar presses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ckrest preventing strap, And a grip plate for forming the grip plat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introduction of the wastewater is stopped so that the blocking plate is rotated and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backflow prevention strap is maximally unfolded through the grip plate.
상기 제2 스트랩은,
표면에 정전기 유도 코팅층을 형성하되,
오수가 유입되는 경우 수압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되어 있다가 오수의 유입이 종료된 이후 상기 차단 플레이트와 함께 회동되어 다시 원래 위치로 복구되되 상기 정전기 유도 코팅층의 정전기 유도현상을 통해 상기 제1 스트랩에 부착되어 상기 차단 플레이트보다 빠르게 상기 하부 개구부를 막아 역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strap includes:
Forming an electrostatic induction coating layer on the surface,
When the wastewater flows into the first strap, the wastewater is pivoted downward by the water pressure, and after the inflow of the wastewater is terminated, the wastewater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blocking plate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So as to prevent the reverse flow by closing the lower opening portion faster than the blocking plat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4498A KR101722359B1 (en) | 2016-10-17 | 2016-10-17 | Drain Trap for Preventing Wastewater Backflow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4498A KR101722359B1 (en) | 2016-10-17 | 2016-10-17 | Drain Trap for Preventing Wastewater Backflow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22359B1 true KR101722359B1 (en) | 2017-04-03 |
Family
ID=58589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34498A KR101722359B1 (en) | 2016-10-17 | 2016-10-17 | Drain Trap for Preventing Wastewater Backflow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22359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700609A (en) * | 2017-10-20 | 2018-02-16 |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 Connection component and the washing machine comprising the connection component |
CN107700608A (en) * | 2017-10-20 | 2018-02-16 |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 Connection component and the washing machine comprising the connection component |
CN112144640A (en) * | 2020-09-29 | 2020-12-29 | 开平市逸嘉卫浴实业有限公司 | Drainer with strong sealing performan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95192Y1 (en) * | 2005-06-23 | 2005-09-07 | 안영규 | Backflow Preventer |
KR20080084223A (en) * | 2007-03-15 | 2008-09-19 | 전경희 | Sewage drain trap |
KR20110011274A (en) * | 2009-07-28 | 2011-02-08 | 한국원자력연구원 | A support grid composed of an elastic support plate and an insert-type impact support plate which support the nuclear fuel rod at the intersection of the internal grating and move up and down |
KR101151803B1 (en) * | 2009-11-09 | 2012-06-01 | 박양순 | Water drainage trap |
-
2016
- 2016-10-17 KR KR1020160134498A patent/KR10172235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95192Y1 (en) * | 2005-06-23 | 2005-09-07 | 안영규 | Backflow Preventer |
KR20080084223A (en) * | 2007-03-15 | 2008-09-19 | 전경희 | Sewage drain trap |
KR20110011274A (en) * | 2009-07-28 | 2011-02-08 | 한국원자력연구원 | A support grid composed of an elastic support plate and an insert-type impact support plate which support the nuclear fuel rod at the intersection of the internal grating and move up and down |
KR101151803B1 (en) * | 2009-11-09 | 2012-06-01 | 박양순 | Water drainage trap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700609A (en) * | 2017-10-20 | 2018-02-16 |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 Connection component and the washing machine comprising the connection component |
CN107700608A (en) * | 2017-10-20 | 2018-02-16 |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 Connection component and the washing machine comprising the connection component |
CN112144640A (en) * | 2020-09-29 | 2020-12-29 | 开平市逸嘉卫浴实业有限公司 | Drainer with strong sealing performan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22359B1 (en) | Drain Trap for Preventing Wastewater Backflow | |
KR101757620B1 (en) | Waste trap for preventing backflow of foul smell | |
KR101401581B1 (en) | countercurrent prevention for drain pipe line of an apartment house | |
KR100938733B1 (en) | Drain trap | |
KR101198705B1 (en) | Water drainage trap with reverse flow prevention function | |
KR20160081728A (en) | Waste trap | |
KR200368846Y1 (en) | Structure of prevent urine from dispersing and quarantine stench in urinal | |
KR20180112960A (en) | The waste trap to prevent a stink | |
JP4365504B2 (en) | Drain structure of bathroom unit | |
KR20120095119A (en) | Device for filtering waste in drainpipe of washstand | |
KR102083469B1 (en) | A trap for draining | |
US7875172B2 (en) | Back-water trap for a floor drain system | |
KR200308485Y1 (en) | Drain Trap | |
KR20180106024A (en) | Waste trap structure | |
JP2003286735A (en) | Drain trap of bathroom unit | |
JP3894069B2 (en) | Bathroom drainage unit | |
KR200249076Y1 (en) | A draining trap for anti bad smell | |
KR101176896B1 (en) | An Overflow Stopper | |
KR20050095067A (en) | Strench exclusion and sewbage trapper | |
KR100952989B1 (en) | Drain trap structures | |
JP3569842B2 (en) | Drainage trap and bathroom structure using drainage trap | |
KR100952311B1 (en) | Drain trap | |
KR200379714Y1 (en) | Device for isolating a nasty smell and vermin emit from the drainage | |
KR200175969Y1 (en) | Semi-automatic sewage treatment apparatus | |
KR102420837B1 (en) | Apparatus for preventing stench and reverse flow in draina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10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3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