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158B1 - 빈병 거치대 - Google Patents

빈병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2158B1
KR101722158B1 KR1020160116750A KR20160116750A KR101722158B1 KR 101722158 B1 KR101722158 B1 KR 101722158B1 KR 1020160116750 A KR1020160116750 A KR 1020160116750A KR 20160116750 A KR20160116750 A KR 20160116750A KR 101722158 B1 KR101722158 B1 KR 101722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pty bottle
empty
unit
bottles
moun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현
이후민
김철현
Original Assignee
이장현
이후민
김철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현, 이후민, 김철현 filed Critical 이장현
Priority to KR1020160116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1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68Means for facilitating the transport of the receptacle, e.g. wheels, rolls
    • B65F1/1473Receptacles hav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16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40/00Types of refuse collected
    • B65F2240/112Bo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빈병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회수할 수 있는 빈병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빈병을 거치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하고, 거치대의 일측에 마련된 냉장수단에 의해 내용물이 들어있는 새 병을 냉장 보관할 수 있으며, 빈병의 수 또는 무게 등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빈병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빈병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회수할 수 있는 빈병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빈병 거치대는, 빈병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100); 상기 빈병 거치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빈병 거치대의 이송을 가능하게 하는 이송부(200); 상기 거치부(100)에 투입되는 빈병의 수 또는 무게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300); 상기 센서부(300)에서 감지된 정보를 제어하는 제어부(400); 및 상기 제어부(400)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표시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부(100)는, 상향으로 경사진 판이 다단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거치공간을 제공하는 제1 거치판(110); 상기 제1 거치판(110)의 거치공간으로 투입되는 빈병이 구르면서 벽에 부딪힐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 수단(120); 및 상기 빈병 거치대의 최상단에 형성되는 제2 거치판(130)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200)는, 상기 빈병 거치대의 이송을 위한 손잡이(210)와 바퀴(220)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제1 거치판(1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빈병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센서, 상기 제1 거치판(11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빈병의 수를 측정하는 카운터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500)는, 센서부(300)에서 측정된 정보를 바탕으로 카운트 된 수를 표시하며, 상기 거치부(100)는, 내용물이 채워진 새 병을 냉장 보관할 수 있는 냉장수단(140)을 더 포함하되, 상기 냉장수단(140)은, 냉장고, 얼음, 드라이아이스 중 하나를 사용하여 저온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빈병 거치대 {CRADLE FOR THE EMPTY BOTTLE}
본 발명은 빈병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회수할 수 있는 빈병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빈병을 거치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빈병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거치대의 일측에 마련된 냉장수단에 의해 내용물이 들어있는 새 병을 냉장 보관할 수 있는 빈병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빈병의 수 또는 무게 등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빈병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이 다량 유통되는 곳은 음식점 또는 주점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단연 주점에서 가장 많은 병을 사용한다. 환경부에 따르면 국내 소주·맥주의 전체 출고량은 49억 4000만 병으로, 이 중 업소용은 31억 6000만 병으로 64%, 가정용은 17억 8000만 병으로 나머지를 차지했고, 최근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탄산음료 병에 비해 꾸준한 소비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렇게 사용된 병은 모두 회수되어 상태가 좋은 병과 그렇지 못한 병으로 분류되고 깨진 병과 박살난 병들을 흰색, 갈색 및 녹색으로 분류하여 유리 재생업체에 전달한다. 정부에서도 빈병 회수 및 재사용률을 높이기 위해 빈병 보증금과 취급 수수료를 올리는 등 빈병의 재사용을 권장하고 있으며, 위와 같이 분류되어 선택된 병들은 세척된 후 재사용된다.
재사용 되는 빈병의 수가 줄어들수록 새 병을 제조해야 하는데, 국내의 열악한 생산 환경을 고려할 때 추가로 새 병 공급을 늘리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기존과 같은 원활한 유통을 위해서는 출고되었던 병이 온전하게 회수되어야지만 주류 및 음료 공급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술을 마시고 취하는 주점에서 테이블 수마다 나오는 빈병을 파손 없이 회수하기란 쉽지 않을 때가 많다. 가정용에 비해 업소용에서 출고되는 병의 수가 많기에 업소에서 회수되는 병의 보존 상태가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업소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빈병을 회수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해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본 출원인은 역시 테이블마다 발생하는 빈병을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회수 및 이동할 수 있으며 고객들의 흥미와 편의까지 고려할 수 있는 빈병 거치대를 고안함으로써 본 발명을 안출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0951477호에 공병 수거장치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청구항 1을 살펴보면, 각 세대에서 배출하는 공병이 수거되는 공병투입유니트와; 상기 공병투입유니트로부터 전송된 세대별 공병 배출량에 대응되는 금액을 세대별로 집계하는 중앙관리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공병투입유니트는 상기 공병이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투입함과, 상기 투입함의 일측에 설치되어 각 세대에 부여된 고유식별번호가 기록된 사용자 식별카드를 인식할 수 있는 사용자 식별기와, 상기 투입구와 인접하도록 상기 투입함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식별기를 통해 등록된 고유식별번호가 확인되면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도록 록킹구동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공병을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개폐기와, 상기 개폐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기의 하중을 감지하여 상기 공병의 무게를 측정하는 계량부와, 상기 계량부에서 측정된 공병의 무게에 대응되는 환산금액을 상기 투입함에 설치된 표시부에 출력 및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중앙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로컬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병 수거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공병의 배출량에 따른 금액 또는 이에 상응하는 포인트를 부과하여 공병의 회수율을 증대시키는 장치로 각 세대에 부여된 고유식별번호가 기록된 사용자 식별카드가 필요하며 장치의 외부가 개방형이 아니기에 빈병을 손쉽게 넣고 꺼내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업소마다 여러 대를 구비하기에는 장치의 기능과 구성의 단가가 높다는 점과 업소에서 사용하는 소비자들의 흥미를 유발할 만한 점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빈병을 손쉽게 넣고 꺼낼 수 있고, 이동하기에 편리하며, 본 발명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빈병 거치대의 개발이 요구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51477호(2010.04.07.)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빈병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회수할 수 있으면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빈병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다단으로 형성된 판에 거치된 복수의 빈병을 편리하게 이송할 수 있으며, 냉장수단의 설치로 인해 새 병을 냉장 보관하였다가 시원하게 음용 할 수 있고, 빈병의 무게 또는 수를 측정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음성을 들려주는 등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빈병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빈병 거치대는, 빈병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회수할 수 있는 빈병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빈병 거치대는, 빈병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100); 상기 빈병 거치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빈병 거치대의 이송을 가능하게 하는 이송부(200); 상기 거치부(100)에 투입되는 빈병의 수 또는 무게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300); 상기 센서부(300)에서 감지된 정보를 제어하는 제어부(400); 및 상기 제어부(400)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표시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부(100)는,
상향으로 경사진 판이 다단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거치공간을 제공하는 제1 거치판(110); 상기 제1 거치판(110)의 거치공간으로 투입되는 빈병이 구르면서 벽에 부딪힐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 수단(120); 및 상기 빈병 거치대의 최상단에 형성되는 제2 거치판(130)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200)는,
상기 빈병 거치대의 이송을 위한 손잡이(210)와 바퀴(220)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제1 거치판(1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빈병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센서, 상기 제1 거치판(11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빈병의 수를 측정하는 카운터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500)는,
센서부(300)에서 측정된 정보를 바탕으로 카운트 된 수를 표시하며,
상기 거치부(100)는,
내용물이 채워진 새 병을 냉장 보관할 수 있는 냉장수단(140)을 더 포함하되,
상기 냉장수단(140)은,
냉장고, 얼음, 드라이아이스 중 하나를 사용하여 저온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빈병 거치대는 빈병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회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빈병을 거치한 상태로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장수단의 설치로 인해 새 병을 냉장 보관하였다가 시원하게 음용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빈병의 수 또는 무게 등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빈병 거치대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빈병 거치대의 정면도.
도 3은 냉장수단이 추가된 빈병 거치대의 사시도.
도 4는 냉장수단이 추가된 빈병 거치대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빈병 거치대의 제어 블록도.
도 6은 표시부의 일예가 설치된 빈병 거치대의 정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출원인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실시예 1. 기본구성으로 이루어진 빈병 거치대
본 발명에 따른 빈병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회수할 수 있는 빈병 거치대는 크게 거치부(100) 및 이송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통해 아래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빈병 거치대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빈병 거치대의 정면도이다.
첨부된 도 1 및 2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거치부(100)는 제1 거치판(110), 충격흡수 수단(120), 제2 거치판(1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직각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지지벽(20)을 기준으로 반대쪽 두 면이 열린 형상을 하고 있으나 설계조건에 따라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빈병이 투입되는 면은 열린 형상으로 두고, 빈병을 볼 수 있는 면은 유리문으로 닫힌 형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거치부(100)의 제1 거치판(110)이 다단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거치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거치판(110)은 빈병이 거치대의 안쪽으로 굴러갈 수 있을 정도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데 이때의 각도는 1°내지 4°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이상으로 기울어질 경우 빈병이 굴러가면서 발생하는 가속도로 인해 병에 손상이 올 수 있기 때문이다.
제1 거치판(110)이 다단으로 설치되어 구성된 복수의 거치공간에는 충격흡수 수단(120)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처음으로 투입된 빈병이 지지벽(20)에 도달하였을 때 발생하는 충격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충격흡수 수단(120)의 재질은 고무판, 실리콘 또는 스티로폼 등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은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다.
제1 거치판(110)이 다단으로 형성된 후 가장 최상단에 형성되는 제2 거치판(130)은 제1 거치판(110)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는데, 이때 제2 거치판(130)은 수평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제1 거치판(110)과 동일하게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거치판(130)이 수평으로 설치될 경우, 제2 거치판(130)이 설치되는 바로 아래 단의 제1 거치판(110)과 맞물리기 때문에 빈병(10)이 투입될 수 있을 정도의 높이가 형성될 수 있는 길이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200)는 빈병 거치대를 이송시킬 때 편리하도록 손잡이(210)와 빈병 거치대의 하단에 4개 이상의 바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2. 냉장수단이 추가된 빈병 거치대
본 실시예 2에 따른 빈병 거치대는 내용물이 채워진 새 병을 냉장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테이블마다 시원한 음료를 빠르게 제공할 수 있으며, 냉장수단(140)은 첨부된 도면 중 도 3 및 4를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냉장수단이 추가된 빈병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냉장수단이 추가된 빈병 거치대의 정면도이다.
실시예 1에서 살펴본 빈병 거치대를 바탕으로 빈병 거치대의 하단부에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제1 거치대(110)를 제거한 후 소형의 냉장수단(140)을 설치한다. 이때 냉장수단(140)은 전기 공급으로 작동되는 냉장고, 얼음, 드라이아이스 중 하나를 사용하여 저온을 유지한다.
실시예 3. 센서가 추가되어 흥미를 유발하는 빈병 거치대
본 실시예 3에 따른 빈병 거치대는 센서부(300), 제어부(400) 및 표시부(500)를 포함하여, 빈병이 투입될 때마다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제어하여 표시부(500)를 통해 알려주어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중 도 5 및 6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5는 빈병 거치대의 제어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표시부(500)가 설치된 빈병 거치대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빈병 거치대에 설치될 센서부(300)는 투입된 빈병의 수 또는 무게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여 제어부(4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투입되는 빈병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센서가 장착되는 경우, 제1 거치판(110)의 상면(111)에 설치되고, 투입된 빈병의 수를 측정하는 카운터 센서가 장착되는 경우, 제1 거치판(110)의 하면(112)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400)는 상기 센서부(300)에서 측정된 정보를 표시부(500)로 호환하여 전송하는 것으로 표시부(5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빈병의 수를 숫자로 나타내거나 빈병의 수 또는 무게가 증가할 때마다 디스플레이의 색이 위로 차오르도록 표현할 수 있다.
또한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빈병을 투입할 때마다 다양한 소리를 내어 수를 카운트 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빈병 거치대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 따라 구성을 달리하여 빈병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송할 수 있고 더불어 흥미를 유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에서 도 1내지 6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6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 : 빈병 20 : 지지벽
100 : 거치부 110 : 제1 거치판
111 : 상면 112 : 하면
120 : 충격흡수 수단 130 : 제2 거치판
140 : 냉장수단
200 : 이송부 210 : 손잡이
220 : 바퀴
300 : 센서부 400 : 제어부
500 : 표시부 510 : 디스플레이

Claims (1)

  1. 빈병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회수할 수 있는 빈병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빈병 거치대는,
    빈병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100);
    상기 빈병 거치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빈병 거치대의 이송을 가능하게 하는 이송부(200);
    상기 거치부(100)에 투입되는 빈병의 수 또는 무게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300);
    상기 센서부(300)에서 감지된 정보를 제어하는 제어부(400); 및
    상기 제어부(400)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표시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부(100)는,
    상향으로 1~4도 경사진 판이 다단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거치공간을 제공하는 제1 거치판(110);
    상기 제1 거치판(110)의 거치공간으로 투입되는 빈병이 구르면서 벽에 부딪힐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벽면에 구비되는 충격흡수 수단(120); 및
    상기 빈병 거치대의 최상단에 형성되는 제2 거치판(130)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200)는,
    상기 빈병 거치대의 이송을 위한 손잡이(210)와 바퀴(220)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제1 거치판(1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빈병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센서, 상기 제1 거치판(11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빈병의 수를 측정하는 카운터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500)는,
    센서부(300)에서 측정된 정보를 바탕으로 카운트 된 수를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400)는,
    센서부(300)에서 측정된 정보를 바탕으로 빈병이 투입될 때마다 흥미 유발을 위한 소리가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거치부(100)는,
    내용물이 채워진 새 병을 냉장 보관할 수 있는 냉장수단(140)을 더 포함하되,
    상기 냉장수단(140)은,
    냉장고, 얼음, 드라이아이스 중 하나를 사용하여 저온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병 거치대.
KR1020160116750A 2016-09-09 2016-09-09 빈병 거치대 KR101722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750A KR101722158B1 (ko) 2016-09-09 2016-09-09 빈병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750A KR101722158B1 (ko) 2016-09-09 2016-09-09 빈병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2158B1 true KR101722158B1 (ko) 2017-03-31

Family

ID=58501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750A KR101722158B1 (ko) 2016-09-09 2016-09-09 빈병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1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107Y1 (ko) * 2018-10-05 2019-05-02 이재윤 음식물 쓰레기 보관통
KR200489686Y1 (ko) * 2019-01-14 2019-07-23 이재윤 음식물 쓰레기 보관통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6976A (ja) * 1999-08-05 2001-02-20 Odaka Kosakusho:Kk 空缶等の分別回収装置
KR20050065493A (ko) * 2005-06-07 2005-06-29 이재성 이동식 다단계 쓰레기 분리함
KR100951477B1 (ko) 2009-12-03 2010-04-07 광주광역시 남구 공병 수거장치
KR20130092671A (ko) * 2012-02-13 2013-08-21 박성준 냉동부가 장착된 쇼핑용 카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6976A (ja) * 1999-08-05 2001-02-20 Odaka Kosakusho:Kk 空缶等の分別回収装置
KR20050065493A (ko) * 2005-06-07 2005-06-29 이재성 이동식 다단계 쓰레기 분리함
KR100951477B1 (ko) 2009-12-03 2010-04-07 광주광역시 남구 공병 수거장치
KR20130092671A (ko) * 2012-02-13 2013-08-21 박성준 냉동부가 장착된 쇼핑용 카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107Y1 (ko) * 2018-10-05 2019-05-02 이재윤 음식물 쓰레기 보관통
KR200489686Y1 (ko) * 2019-01-14 2019-07-23 이재윤 음식물 쓰레기 보관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6044A (en) Cooler door display rack
KR101722158B1 (ko) 빈병 거치대
US6361129B1 (en) Wine rack and display shelf
US20090278009A1 (en) Liquid storage and dispens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US7269970B2 (en) Cooler with individual container pockets
CN106030670A (zh) 饮料分装容器、装置、系统及方法
BRPI0715251A2 (pt) mÉtodo assim como dispositivo para dispensar e/ou armazenar produtos, especialemente bebidas
US20100314416A1 (en) Boxed Beverage Stand
AU2014369976B2 (en) Merchandiser with product dispensing chute mechanism
RU2008133860A (ru) Раздат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выдачи товара
CN206411784U (zh) 一种自动售货机的出货装置
KR100932034B1 (ko) 오크통 생맥주 공급량에 따른 요금계산시스템
US9874389B2 (en) Dispensing of food and beverage products
KR102084448B1 (ko) 냉장숙성 다기능 생맥주 공급장치
RU2009132972A (ru) Система хранения упакованных табачных изделий
US20130002099A1 (en) Modular Refrigerated Merchandise Display System
CN213690803U (zh) 新型自动售货机出货滑道
CN211076841U (zh) 一种保冷送奶箱
CN211495109U (zh) 一种火龙果包装箱
CN204416103U (zh) 便捷取拿与回收拉罐的瓦楞纸板箱
CN210503924U (zh) 一种用于摆药设备的暂存装置
CN208846806U (zh) 冷藏箱
CN208403699U (zh) 一种酒柜
CN210569431U (zh) 一种现场样品冷藏箱
RO115589B1 (ro) Aparat frigorif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