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1473B1 - 파이프용 길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용 길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1473B1
KR101721473B1 KR1020150088818A KR20150088818A KR101721473B1 KR 101721473 B1 KR101721473 B1 KR 101721473B1 KR 1020150088818 A KR1020150088818 A KR 1020150088818A KR 20150088818 A KR20150088818 A KR 20150088818A KR 101721473 B1 KR101721473 B1 KR 101721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fixing member
pressing
wed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8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088A (ko
Inventor
박수경
Original Assignee
박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경 filed Critical 박수경
Priority to KR1020150088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1473B1/ko
Publication of KR20170000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0Telescoping systems
    • F16B7/14Telescoping systems locking in intermediate non-discrete positions
    • F16B7/1463Telescoping systems locking in intermediate non-discrete positions with the expansion of an element inside the outer telescoping member due to the axial movement towards a wedge or a conical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4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internal, i.e. with spread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14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우터파이프, 그리고 상기 아우터파이프의 하부 내측에 삽입되는 이너파이프를 상호 길이조절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용 길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이너파이프의 상단부 내측에 삽입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중앙에 상방 돌출형성되고, 외주면에 수나사부를 갖는 나사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나사부재에 끼워지고,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진입경사면을 갖는 쐐기부재;
상기 나사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아우터파이프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도록 상부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부, 외주면이 상기 아우터파이프의 내주면과 접하도록 상기 암나사부의 하측에 형성된 가압부, 그리고 상기 쐐기부재의 진입경사면과 접하도록 상기 가압부의 내측에 형성된 대응경사면을 갖는 가압부재; 및
상기 쐐기부재가 상기 나사부재를 중심으로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쐐기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중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길이조절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용 길이조절장치에 의하면, 쐐기부재가 나사부재를 중심으로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부재와 연결됨에 따라, 쐐기부재의 진입경사면과 가압부재의 대응경사면이 상호 접촉한 상태에서, 가압부재가 고정부재 및 나사부재와 함께 회전되며 아우터파이프의 내주면을 헛돌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에 의하여 쐐기부재가 가압부재의 대응경사면에서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어 장시간 사용에도 두 파이프의 길이조절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이프용 길이조절장치{Length adjustment devices for pipes}
본 발명은 직경이 다른 두 파이프를 상호 길이조절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용 길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종래 파이프용 길이조절장치의 일례가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파이프용 길이조절장치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0-0468605호(2013.08.26.공고) "등산 지팡이의 길이 조절장치"]의 배경기술에 개시된 것으로서,
경사면이 형성된 본체(50)의 상부에 승강너트(52)가 체결된 수나사산(51)이 결합되고, 상기 수나나산(510)의 상단에는 스톱링(53)이 구비되며, 상기 승강너트(52)를 복수의 절개부가 구성된 2개의 고정부재(60)가 감싸고, 상기 고정부재(60)는 고무링(63)으로 고정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60)의 내면에는 너트 수용부(61)가 형성되고, 내면 하부에는 본체(50)의 경사면에 맞닿는 경사면(62)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너트(52)의 상하 이동에 따라 복수의 절개부가 벌어지며 고정부재(60)의 외면이 대경관체(66)의 내면에 밀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결국, 상기 종래의 파이프용 길이조절장치는,
승강너트(52)가 수나사산(51)을 타고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본체(50)의 경사면이 고정부재(60)의 경사면(62)으로 진입하여 고정부재(60)의 절개부로 하여금 대경관체(66)의 내면을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대경관체(66) 및 소경관체(65)를 상호 고정하게 되고,
승강너트(52)가 수나사산(51)을 타고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본체(50)의 경사면이 고정부재(60)의 경사면(62)에서 이탈되어 대경관체(66)를 가압하고 있던 절개부의 가압력이 해제됨으로써 대경관체(66) 및 소경관체(65)가 이루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파이프 길이조절장치에 의하면, 본체(50)의 경사면과 고정부재(60)의 경사면(62)이 접촉한 시간이 지속됨에 따라 습기, 이물질 등에 의해 본체(50)와 고정부재(60)가 서로 고착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대경관체(66) 및 소경관체(65)의 길이조절 작업이 곤란해지는 문제가 있다.
즉, 본체(50)와 고정부재(60)가 서로 고착됨에 따라 고정부재(60)가 소경관체(65), 본체(50) 및 수나사산(51)과 함께 회전하며 대경관체(66)의 내주면을 헛돌게 되고, 이에 의해 본체(50)의 경사면이 고정부재(60)의 경사면(62)에서 이탈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소경관체(65)를 대경관체(66)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장시간 사용에도 두 파이프의 길이조절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파이프용 길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용 길이조절장치는,
아우터파이프, 그리고 상기 아우터파이프의 하부 내측에 삽입되는 이너파이프를 상호 길이조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너파이프의 상단부 내측에 삽입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중앙에 상방 돌출형성되고, 외주면에 수나사부를 갖는 나사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나사부재에 끼워지고,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진입경사면을 갖는 쐐기부재;
상기 나사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아우터파이프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도록 상부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부, 외주면이 상기 아우터파이프의 내주면과 접하도록 상기 암나사부의 하측에 형성된 가압부, 그리고 상기 쐐기부재의 진입경사면과 접하도록 상기 가압부의 내측에 형성된 대응경사면을 갖는 가압부재; 및
상기 쐐기부재가 상기 나사부재를 중심으로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쐐기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중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용 길이조절장치에 의하면,
쐐기부재가 나사부재를 중심으로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부재와 연결됨에 따라, 쐐기부재의 진입경사면과 가압부재의 대응경사면이 상호 접촉한 상태에서, 가압부재가 고정부재 및 나사부재와 함께 회전되며 아우터파이프의 내주면을 헛돌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에 의하여 쐐기부재가 가압부재의 대응경사면에서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어 장시간 사용에도 두 파이프의 길이조절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파이프용 길이조절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용 길이조절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쐐기부재가 가압부재에서 이탈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용 길이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용 길이조절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쐐기부재가 가압부재에서 이탈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용 길이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용 길이조절장치는 아우터파이프(outer pipe, 10), 그리고 아우터파이프(10)의 하부 내측에 삽입되는 이너파이프(inner pipe, 20)를 상호 길이조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으로서, 크게 고정부재(100), 나사부재(200), 쐐기부재(300), 가압부재(400) 및 중계수단(500)으로 이루어진다.
고정부재(100)는 이너파이프(20)의 상단부 내측에 삽입되어 나사부재(200)를 고정하게 된다.
고정부재(100)는 원통형의 바디(body, 110), 그리고 바디(110)의 상단부 둘레를 따라 형성된 플랜지부(flange, 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플랜지부(120)가 이너파이프(20)의 상면에 걸리도록 상기 바디(110)가 이너파이프(20)의 내측에 삽입된다.
고정부재(100)는 바디(110)를 이너파이프(20)에 압입(壓入)하거나, 바디(110)를 이너파이프(20)에 삽입한 후 이너파이프(20)의 상단부 외주면을 펀치(punch) 등으로 가압 변형시킴으로써 이너파이프(20)에 고정할 수 있다.
나사부재(200)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수나사부(210)를 갖고, 고정부재(100)의 중앙에 상방 돌출 형성된다.
나사부재(200)의 하단부에는 다각형 단면을 갖는 헤드부(head, 220)가 형성되며, 이 헤드부(220)가 고정부재(100)의 내측에 삽입됨에 따라 나사부재(200)와 고정부재(100)가 상호 고정된다.
결국, 나사부재(200)는 육각형의 헤드를 갖는 일반적인 금속제 볼트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나사부재(200)의 헤드부(220)를 고정부재(100)에 삽입하기 위하여,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00)의 내측에는 헤드부(220)가 안착되는 결합홈(130)이 형성되고, 고정부재(100)는 나사부재(200)를 중심으로 좌우로 분반(分半)된 두 분체(100A)(100B)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일측 분체(100A)의 결합홈(130)에 나사부재(200)의 헤드부(220)를 배치한 후 타측 분체(100B)로 헤드부(220)를 덮음으로써 해드부(220)를 고정부재(100)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쐐기부재(300)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진입경사면(310)을 갖고, 고정부재(100)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나사부재(200)에 끼워진다.
쐐기부재(300)는 진입경사면(310)에 의해 대략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나사부재(200)에 헐겁게 끼워져 나사부재(20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가압부재(400)는 나사부재(2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아우터파이프(10)의 내측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나사부재(200)의 수나사부(210)와 나사결합되도록 상부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부(410);
외주면이 아우터파이프(10)의 내주면과 접하도록 암나사부(410)의 하측에 형성된 가압부(420); 그리고
쐐기부재(300)의 진입경사면(310)과 접하도록 가압부(420)의 내측에 형성된 대응경사면(4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암나사부(410)는 가압부재(400)의 내측을 태핑(tapping) 가공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겠으나, 나사산의 마모나 변형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가압부재(400)에 매립되는 너트(440)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너트(440)를 가압부재(400)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가압부재(400)의 내측에는 너트(440)가 안착되는 삽입홈(450)이 형성되고, 가압부재(400)는 고정부재(100)와 마찬가지로 나사부재(200)를 중심으로 좌우로 분반된 두 분체(400A)(400B)로 이루어진다.
또한, 가압부재(400)의 상부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요입된 고정홈(460)이 형성되는데, 이 고정홈(460)에 탄성을 갖는 고정링(470)을 끼움으로써 가압부재(400)를 이루는 두 분체(400A)(400B)를 상호 고정할 수 있다.
가압부(420)는 상기 두 분체(400A)(400B)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호 바깥쪽으로 벌어지며 아우터파이프(10)의 내주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둘 이상으로 갈라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가압부(420)는 그 외주면이 아우터파이프(10)의 내주면과 접하여 가압부재(400)가 아우터파이프(10)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나사부재(200)의 회전 시 가압부재(400)가 나사부재(200)와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따라서 가압부재(400)가 나사부재(200)의 회전에 의해 수나사부(210)를 타고 상하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중계수단(500)은 쐐기부재(300)가 나사부재(200)를 중심으로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쐐기부재(300)와 고정부재(100)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4',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가지 구현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도 2'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제1구현예에 의한 중계수단(500)을 살펴보면,
쐐기부재(300)의 하단부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걸림부(510);
쐐기부재(300)의 하단부 및 상기 걸림부(510)가 삽입되도록 고정부재(100)의 상면에 요입 형성된 삽입공간부(520); 그리고
삽입공간부(520)의 내주면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삽입공간부(520)에 삽입된 걸림부(510)의 상면을 막는 대응걸림부(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쐐기부재(300)의 하단부 및 상기 걸림부(510)는 쐐기부재(300)가 나사부재(200)를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삽입공간부(520)에 헐겁게 삽입된다.
그리고 대응걸림부(530)는 쐐기부재(300)에 형성된 걸림부(510)의 상면을 막음으로써 쐐기부재(300)가 고정부재(100)의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제2구현예에 의한 중계수단(500)을 살펴보면,
고정부재(100)의 상면 중앙에 돌출 형성된 네크부(neck, 540);
원뿔 형상을 갖고, 네크부(540)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장착부(550);
장착부(550)가 삽입되도록 쐐기부재(300)의 하면에 요입 형성된 장착공간부(560); 그리고
장착공간부(560)의 내주면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장착공간부(560)에 삽입된 장착부(550)의 하면을 막는 차단부(5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네크부(540)는 장착부(550)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장착부(540)와 고정부재(100)의 상면을 연결하게 된다.
장착부(550)는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장착공간부(560)를 향해 압입하는 것에 의해 장착공간부(560)에 삽입할 수 있다.
차단부(570)는 장착부(550)가 장착공간부(560)에 삽입된 상태에서, 네크부(540)와 마주하게 배치되어 장착부(550)의 하면에 걸리게 되고, 따라서 쐐기부재(300)가 고정부재(100)의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결국, 제1 및 제2 구현예에 의한 중계수단(500)은 고정부재(100) 및 나사부재(200)에 대한 쐐기부재(300)의 위치를 고정하되, 쐐기부재(300)가 나사부재(200)를 중심으로 자유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부재(100)와 쐐기부재(300)를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부재(300)의 진입경사면(310)이 가압부재(400)의 대응경사면(430)과 접하여 가압부(420)를 외측으로 가압한 상태(즉, 아우터파이프(10)와 이너파이프(20)가 고정된 상태)에서 장시간이 지나 진입경사면(310)과 대응경사면(430)이 상호 고착되더라도, 쐐기부재(300)가 고정부재(100) 및 나사부재(200)의 회전에 의해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400)에서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길이조절장치에 의하면 쐐기부재(300)가 나사부재(200)를 중심으로 자유 회전가능하게 고정부재(100)에 연결됨에 따라, 고정부재(100) 및 나사부재(200)의 회전력이 쐐기부재(300)를 통해 가압부재(40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아우터파이프(10) 및 이너파이프(20)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고자 할 때에 가압부재(400)가 고정부재(100) 및 나사부재(200)와 함께 회전하며 아우터파이프(10)의 내주면을 헛돌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아우터파이프(10) 및 이너파이프(20)의 길이조절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파이프용 길이조절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고정부재
110 : 바디 120 : 플랜지부
130 : 결합홈
200 : 나사부재
210 : 수나사부 220 : 헤드부
300 : 쐐기부재
310 : 진입경사면
400 : 가압부재
410 : 암나사부 420 : 가압부
430 : 대응경사면 440 : 너트
450 : 삽입홈 460 : 고정홈
470 : 고정링
500 : 중계수단
510 : 걸림부 520 : 삽입공간부
530 : 대응걸림부 540 : 네크부
550 : 장착부 560 : 장착공간부
570 : 차단부

Claims (3)

  1. 아우터파이프(10), 그리고 상기 아우터파이프(10)의 하부 내측에 삽입되는 이너파이프(20)를 상호 길이조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너파이프(20)의 상단부 내측에 삽입되는 고정부재(100);
    상기 고정부재(100)의 중앙에 상방 돌출형성되고, 외주면에 수나사부(210)를 갖는 나사부재(200);
    상기 고정부재(100)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나사부재(200)에 끼워지고,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진입경사면(310)을 갖는 쐐기부재(300);
    상기 나사부재(200)에 결합되어 상기 아우터파이프(10)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수나사부(210)와 나사결합되도록 상부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부(410), 외주면이 상기 아우터파이프(10)의 내주면과 접하도록 상기 암나사부(410)의 하측에 형성된 가압부(420), 그리고 상기 쐐기부재(300)의 진입경사면(310)과 접하도록 상기 가압부(420)의 내측에 형성된 대응경사면(430)을 갖는 가압부재(400); 및
    상기 쐐기부재(300)가 상기 나사부재(200)를 중심으로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쐐기부재(300)와 상기 고정부재(100)를 연결하는 중계수단(500);을 포함하되,
    상기 중계수단(500)은
    상기 쐐기부재(300)의 하단부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걸림부(510);
    상기 쐐기부재(300)의 하단부 및 상기 걸림부(510)가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부재(100)의 상면에 요입 형성된 삽입공간부(520); 그리고
    상기 삽입공간부(520)의 내주면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삽입공간부(520)에 삽입된 상기 걸림부(510)의 상면을 막는 대응걸림부(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길이조절장치.
  2. 아우터파이프(10), 그리고 상기 아우터파이프(10)의 하부 내측에 삽입되는 이너파이프(20)를 상호 길이조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너파이프(20)의 상단부 내측에 삽입된 고정부재(100);
    상기 고정부재(100)의 중앙에 상방 돌출형성되고, 외주면에 수나사부(210)를 갖는 나사부재(200);
    상기 고정부재(100)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나사부재(200)에 끼워지고,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진입경사면(310)을 갖는 쐐기부재(300);
    상기 나사부재(200)에 결합되어 상기 아우터파이프(10)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수나사부(210)와 나사결합되도록 상부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부(410), 외주면이 상기 아우터파이프(10)의 내주면과 접하도록 상기 암나사부(410)의 하측에 형성된 가압부(420), 그리고 상기 쐐기부재(300)의 진입경사면(310)과 접하도록 상기 가압부(420)의 내측에 형성된 대응경사면(430)을 갖는 가압부재(400); 및
    상기 쐐기부재(300)가 상기 나사부재(200)를 중심으로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쐐기부재(300)와 상기 고정부재(100)를 연결하는 중계수단(500);을 포함하되,
    상기 중계수단(500)은
    상기 고정부재(100)의 상면 중앙에 돌출 형성된 네크부(540);
    원뿔 형상을 갖고, 상기 네크부(540)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장착부(550);
    상기 장착부(550)가 삽입되도록 상기 쐐기부재(300)의 하면에 요입 형성된 장착공간부(560); 그리고
    상기 장착공간부(560)의 내주면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장착공간부(560)에 삽입된 상기 장착부(550)의 하면을 막는 차단부(5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길이조절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재(200)의 하단부에는 다각형 단면을 갖고 상기 고정부재(100)의 내측에 삽입되는 헤드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00)는 상기 나사부재(200)를 중심으로 좌우로 분반된 두 분체(100A)(100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길이조절장치.
KR1020150088818A 2015-06-23 2015-06-23 파이프용 길이조절장치 KR101721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818A KR101721473B1 (ko) 2015-06-23 2015-06-23 파이프용 길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818A KR101721473B1 (ko) 2015-06-23 2015-06-23 파이프용 길이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088A KR20170000088A (ko) 2017-01-02
KR101721473B1 true KR101721473B1 (ko) 2017-03-30

Family

ID=57810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818A KR101721473B1 (ko) 2015-06-23 2015-06-23 파이프용 길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14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44191A (zh) * 2018-05-24 2018-10-12 钟跃飞 一种内置压力伸缩自锁结构套管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0091A (ja) 2005-05-12 2006-11-24 Chiyuuden Plant Kk ケーブル保持具
KR200468605Y1 (ko) 2010-10-13 2013-08-26 정호원 등산 지팡이의 길이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5952A (ja) * 2009-05-13 2010-11-25 Nifco Inc 締結具
KR101211200B1 (ko) * 2011-04-25 2012-12-11 김종길 파이프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0091A (ja) 2005-05-12 2006-11-24 Chiyuuden Plant Kk ケーブル保持具
KR200468605Y1 (ko) 2010-10-13 2013-08-26 정호원 등산 지팡이의 길이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088A (ko) 2017-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6231B2 (en) Swageless turnbuckle assembly
US2457384A (en) Clamp for spherical joints
KR20110100140A (ko) 배관 접속 장치
US20190167043A1 (en) Bathtub Drain Flange Assembly
RU2016107380A (ru) Резьб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для стальных труб
KR101028165B1 (ko) 파이프 고정장치
US20200040587A1 (en) Joint block suitable for both rectangular pipes and round pipes
US20120001416A1 (en) Retractable Rod Structure
US20220296947A1 (en) Fire protection sprinkler and fitting assembly
US20160301156A1 (en) Method and device for gripping a cable
KR101721473B1 (ko) 파이프용 길이조절장치
US3809413A (en) Device for the connection of cylindrical members
CN103775774B (zh) 直推连接管接头
US20070194190A1 (en) Device to be fastened to a support which is provided with a threaded bolt
US7967634B1 (en) Joint structure for a cable
US20130153844A1 (en) Apparatus for coupling between the ends of two pipe pieces with a selectable angle formed therebetween
US20170016219A1 (en) Sink Drain Stopper Assembly
US7353840B1 (en) Split nut for outlet box installation
KR20160000452U (ko) 클램핑장치 및 그것이 설치된 지지구조체
KR102652965B1 (ko) 체결 장치 및 체결 어셈블리
KR102063337B1 (ko) 동축 케이블 커넥터
US7934956B1 (en) Connector for a cable
CN207051550U (zh) 光缆出入口保护结构
CN205298206U (zh) 五边形滚花滚柱防卸防盗螺母
GB2480508A (en) Dual fit tap for threaded or push fit pipe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