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1364B1 -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1364B1
KR101721364B1 KR1020160053512A KR20160053512A KR101721364B1 KR 101721364 B1 KR101721364 B1 KR 101721364B1 KR 1020160053512 A KR1020160053512 A KR 1020160053512A KR 20160053512 A KR20160053512 A KR 20160053512A KR 101721364 B1 KR101721364 B1 KR 101721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center point
manager
augmented re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3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영
이임건
허경용
김학전
김윤호
Original Assignee
김창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영 filed Critical 김창영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은 상하수도 사고분석모듈이 제수변관리를 위해 분류된 기준구역에 위치하는 중심점의 위치좌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중심점에 설치된 제수변관리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 정보가 미리 정해 놓은 상하수도 사고 인지 범위 내에 들어오는 경우 사고정보를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사고분석단계; 회원관리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자 모드 실행을 허용하는 관리자 로그인 단계; 상기 상하수도 사고분석모듈로부터 수신된 기준점에 따라 기준구역을 특정하여 상기 특정된 기준구역 및 상기 중심점을 상기 위치안내모듈로 전송하는 위치정보식별단계; 상기 위치안내모듈이 상기 특정된 기준구역 및 중심점의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중심점의 선택을 입력 받는 중심점 특정단계; 상기 위치안내모듈은 입력 받은 중심점을 목적지로 설정하고, 지도정보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지도정보 및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에 따라 이동경로를 분석하여,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 상기 중심점에 대한 길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길안내정보전송단계; 상기 위치안내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가 상기 중심점 위치범위에 도달하면, 상기 중심점 정보를 증강현실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증강현실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실행신호를 수신하여 실행되는 증강현실모드 실행단계; 및 상기 증강현실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전송 받은 사진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 위에 1 이상의 제수변의 관리번호를 포함하는 정보가 증강현실로 표시되는 증강현실 정보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시되게 하는 제수변 표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점의 위치좌표는 상기 중심점에 배치된 측량기구의 위치정보와 상기 측량기구의 상부 영역에 위치하는 공중비행체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water control valve MANAGEMENT METHOD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은 위성위치확인시스템과 증강현실(增强現實)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 등에 설치되어 센서 등을 부착할 수 없는 제수변의 특정 및 효율적 관리를 위한 위성위치확인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시계획에 따른 사회기반 시설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여러 종류의 공급관이나 케이블와 같은 전송라인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중 지하시설물로써는 상하수도 관로, 유류이송관, 전력 케이블라인 및 통신 케이블라인 등이 매설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지하시설물은 추후의 증설 및 보수를 위해 필요한 거리마다의 분기점에다 제수변을 설치하여 상하수도에 이를 이용하도록 한다.
즉, 대로변의 교차로나 복잡한 생활 거주공간과 공장 등에서는 일정한 깊이의 지하에서 각종 상하수도 라인 등의 관로가 지나가고 있는데, 이들 지하시설물들은 각각의 제수변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 및 점검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제수변 등이 지상에 제각기 많이 설치되고 지하와 지상을 연결해줌으로 각 종류마다 각기 달리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필요한 때에 해당 제수변을 정확하게 찾아내는 것은 점차적으로 어려운 상황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각종 지하시설물의 공사로 인해 예컨대 상수도가 누수가 발생하거나 누수 발생에 대한 민원이 제기된 경우 해당 지역의 제수변과 그 주변의 다른 제수변을 찾아 잠그려면 오랜 경험자 또는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라면 원인이 되는 제수변을 정확하게 찾아내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지리적 조건과 4 계절, 그리고 각종 공사마무리에 따른 상기 제수변이 아스콘, 흙 및 눈동자 같은 장애물로 덮여 있는 경우에는, 해당 장애물을 제거하기 전에 누구나 찾기가 어려웠고, 찾는다고 하더라도 제수변들의 정보가 부족하여 신속한 사후 조치 또한 어려운 점으로 작용되고 있다.
그리고, 각종 제수변 및 지하시설물의 세부정보는 지리정보시스템에 의하여 이미 데이터베이스화가 구축되어 있으나, 현장의 시설물과 지리정보시스템의 도면과 일치되지 않아 낭패를 보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고, 또 장애물로써 아스콘, 흙, 눈 및 쓰레기 등으로 인하여 목적물을 찾기가 매우 어려웠다. 이미 개발된 종래의 제수변 탐지장비들은 장애물에 덮여 있는 것을 찾는, 즉 철 또는 공동탐사수준에 불과하고 해당 세부정보는 제공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사정 때문에 각종 지하시설물을 관리하는 사람이나 공사 및 보수하는 사람들은 빈번히 발생하는 상황에 신속하고 정확히 대처하기 위해, 현장 지리에 밝지 않는 사람들이라도 쉽게 예컨대 제수변 등을 찾아 사후 조치할 수 있는 별도의 보조 수단이나 장치 등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종래의 기술을 보면, 상기 제수변에 자동화 설비를 도입하여 상기 제수변을 원격으로 제어하여 누수 등을 컨트롤 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제수변에 직접 센서를 부착하여 일정한 신호를 전달하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제수변의 자동화 설비는 이미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제수변에 적용하는 한계가 있고, 이미 설치되어 있는 제수변에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하는데 천문학적인 비용에 소요되어 현실적으로 많은 문제가 있다. 또한, 제수변을 비롯한 상, 하수도 시스템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 이를 완벽하게 제어하는 데에도 일정한 한계가 있다. 나아가 상기 제수변에 직접 센서를 부착하는 경우 도로 위의 차량 등에 의해 상기 센서가 망가지는 일이 많고, 야외에 노출되어 기온 차에 의해 망가지거나 오작동을 일으키는 일이 많아 어려움이 있어 이를 제수변에 적용하는데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1(KR 10-2013-0076224 A, 공개일자: 2013년07월08일)은 상하수도에 설치되는 제수변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제수변 원격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모든 제수변에 적용하는데 비용 또는 기술적인 한계로 현실화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KR 10-1062361 B1, 등록일자 2011년08월30일)는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상수도 누수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센서가 누수를 측정하는데 한계가 있고 누수 위치 또는 제수변 등의 위치를 작업자에게 정확히 전달하기 어렵고, 나아가 센서 자체의 내구성의 한계에 의해 제수변 등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이 센서를 이용하여 제수변을 관리하는 시스템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GPS와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 3(KR 10-1044990 B1, 등록일자 2011년06월22일)은 증강 현실을 이용한 상하수도 관리 종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고, 특허문헌 4(KR 10-1547087 B1, 등록일자 2015년 08월18일)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증강현실과 GPS 기술을 이용하여 제수변에 직접 설치되는 센서를 제거하는 센서 리스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제수변을 포함한 구분된 영역의 위치 좌표와 증강현실을 적용 시 각종 위치 좌표를 정확히 검출할 필요가 있으나, 도심 지역과 같이 고층 건물이 밀집한 영역에서는 가시 위성수의 부족과 위치보정신호의 단절 및 다중경로에 따른 GPS 오차가 크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KR 10-2013-0076224 A KR 10-1062361 B1 KR 10-1044990 B1 KR 10-1547087 B1
본 발명의 목적은 제수변에 직접 센서를 부착하지 않으면서도 제수변을 쉽게 특정하여 구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수변에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여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위성위치확인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제수변에 직접 센서가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센서에 대한 높은 내구성 및 안정적인 정보 수신을 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센서의 유지 및 보수에 소요되는 노력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데 발명의 목적을 가진다.
특히, 상기 제수변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종래 이미 설치된 제수변에 그대로 적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별도의 단말기 없이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위성위치확인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수변의 분류된 기준구역에 위치하는 중심점의 정확한 위치 좌표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위성위치확인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수변의 분류된 기준구역에 위치하는 중심점 주변의 경사각을 검출하여 경사각에 따른 보정을 반영하여 제수변관리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설정하여 사고 인지를 위한 촬영 이미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위성위치확인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단말기 등이 중심점으로 이동함에 따라 단말기의 정확한 위치 좌표를 검출하여 증강현실의 표시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위성위치확인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성위치확인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은 상하수도 사고분석모듈이 제수변관리를 위해 분류된 기준구역에 위치하는 중심점의 위치좌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중심점에 설치된 제수변관리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 정보가 미리 정해 놓은 상하수도 사고 인지 범위 내에 들어오는 경우 사고정보를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사고분석단계; 회원관리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자 모드 실행을 허용하는 관리자 로그인 단계; 상기 상하수도 사고분석모듈로부터 수신된 기준점에 따라 기준구역을 특정하여 상기 특정된 기준구역 및 상기 중심점을 상기 위치안내모듈로 전송하는 위치정보식별단계; 상기 위치안내모듈이 상기 특정된 기준구역 및 중심점의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중심점의 선택을 입력 받는 중심점 특정단계; 상기 위치안내모듈은 입력 받은 중심점을 목적지로 설정하고, 지도정보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지도정보 및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에 따라 이동경로를 분석하여,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 상기 중심점에 대한 길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길안내정보전송단계; 상기 위치안내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가 상기 중심점 위치범위에 도달하면, 상기 중심점 정보를 증강현실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증강현실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실행신호를 수신하여 실행되는 증강현실모드 실행단계; 및 상기 증강현실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전송 받은 사진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 위에 1 이상의 제수변의 관리번호를 포함하는 정보가 증강현실로 표시되는 증강현실 정보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시되게 하는 제수변 표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점의 위치좌표는 상기 중심점에 배치된 측량기구의 위치정보와 상기 측량기구의 상부 영역에 위치하는 공중비행체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성위치확인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의 상기 중심점의 위치좌표 또는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의 위치좌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중심점의 위치좌표 또는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의 위치좌표를 위치결정지점으로 지정하는 단계; 측량기구가 상기 위치결정지점에 배치되어 GPS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결정지점의 제1 위치좌표를 결정하는 단계; 공중비행체가 상기 측량기구로부터 제1 위치좌표를 수신하고, 상기 GPS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제2 위치좌표로 이동하고, 상기 측량기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공중비행체가 상기 측량기구와 수직한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GPS 정보에 기초하여 제3 위치좌표를 결정하고 상기 제3 위치좌표를 상기 측량기구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측량기구는 수신된 상기 제3 위치좌표를 상기 위치결정지점의 위치좌표 값으로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성위치확인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의 상기 공중비행체가 상기 측량기구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공중비행체가 상기 측량기구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촬영하는 단계; 및 촬영된 현재 및 이전 영상 프레임을 비교하여 상기 빛을 검출하여 상기 측량장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성위치확인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은 상하수도 사고분석모듈이 제수변관리를 위해 분류된 기준구역에 위치하는 중심점에 설치된 제수변관리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 정보가 미리 정해 놓은 상하수도 사고 인지 범위 내에 들어오는 경우 사고정보를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사고분석단계; 회원관리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자 모드 실행을 허용하는 관리자 로그인 단계; 상기 상하수도 사고분석모듈로부터 수신된 기준점에 따라 기준구역을 특정하여 상기 특정된 기준구역 및 상기 중심점을 상기 위치안내모듈로 전송하는 위치정보식별단계; 상기 위치안내모듈이 상기 특정된 기준구역 및 중심점의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중심점의 선택을 입력 받는 중심점 특정단계; 상기 위치안내모듈은 입력 받은 중심점을 목적지로 설정하고, 지도정보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지도정보 및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에 따라 이동경로를 분석하여,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 상기 중심점에 대한 길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길안내정보전송단계; 상기 위치안내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가 상기 중심점 위치범위에 도달하면, 상기 중심점 정보를 증강현실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증강현실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실행신호를 수신하여 실행되는 증강현실모드 실행단계; 및 상기 증강현실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전송 받은 사진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 위에 1 이상의 제수변의 관리번호를 포함하는 정보가 증강현실로 표시되는 증강현실 정보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시되게 하는 제수변 표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길안내정보전송단계는,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가 거치된 위치정보와 상기 측량기구의 상부 영역에 위치하는 공중비행체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의 위치좌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의 위치 좌표와 상기 중심점의 위치 좌표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의 이동 방향과 거리를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성위치확인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의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의 위치좌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의 위치좌표를 위치결정지점으로 지정하는 단계; 측량기구가 상기 위치결정지점에 배치되어 GPS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결정지점의 제1 위치좌표를 결정하는 단계; 공중비행체가 상기 측량기구로부터 제1 위치좌표를 수신하고, 상기 GPS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제2 위치좌표로 이동하고, 상기 측량기구를 검출하여 상기 측량기구와 수직한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GPS 정보에 기초하여 제3 위치좌표를 결정하고 상기 제3 위치좌표를 상기 측량기구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측량기구는 수신된 상기 제3 위치좌표를 상기 위치결정지점의 위치좌표 값으로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위치좌표 검출과 관련하여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측량기구는 상기 빛을 주기적으로 출사하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위치좌표는 3차원 좌표계의 X, Y, Z축 좌표 값을 포함하고, 상기 측량기구는 상기 제1 위치좌표의 X, Y축의 좌표 값을 상기 공중비행체로 전송하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측량장치는 상기 위치결정지점의 제1 위치좌표의 X, Y축 좌표 값을 상기 제3 위치좌표의 X, Y축 좌표 값으로 변경하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은 회원관리모듈이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관리자 정보와 비교하여 관리자 모드 실행을 허용하는 관리자 로그인 단계; 위치안내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주소 및 주요시설물 이름을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입력 받아, 기준구역분류모듈로 전송하면, 상기 기준구역분류모듈이 수신된 위치정보에 따라 제수변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1개 이상의 제수변을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제수변에 따라 미리 정해놓은 기준으로 1개 이상의 기준구역 및 중심점으로 분류하여 1이상의 기준구역 및 중심점을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기준구역 및 중심점을 상기 위치안내모듈로 전송하는 위치정보식별단계; 상기 위치안내모듈이 상기 특정된 1개 이상의 기준구역 및 중심점의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표시되게 하고,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중심점의 선택을 입력 받는 중심점 특정단계; 상기 위치안내모듈은 입력 받은 중심점을 목적지로 설정하고, 지도정보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지도정보 및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에 따라 이동경로를 분석하여,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 상기 중심점에 대한 길안내 정보를 전송하는 길안내정보전송단계; 상기 위치안내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가 상기 중심점 위치범위에 도달하면, 상기 중심점 정보를 증강현실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증강현실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실행신호를 수신하여 실행되는 증강현실모드 실행단계; 상기 증강현실모듈이 상기 위치안내모듈로부터 수신한 중심점 정보 및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중심점을 특정하는 중심점 확인 단계; 상기 증강현실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 받은 사진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 위에 1 이상의 제수변의 관리번호를 포함하는 정보가 증강현실(增强現實)로 표시되는 증강현실 정보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표시되게 하는 제수변 표시단계; 상기 증강현실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에 표시된 1이상의 제수변 중 선택된 하나를 입력 받아 선택된 제수변의 관리번호를 정비이력관리모듈로 전송하는 정비이력요청단계; 상기 정비이력관리모듈이 상기 관리번호에 따라 제수변을 특정하고 관리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제수변에 따라 구역별로 구분되어 저장된 상하수도 관리이력정보, 제수변 사용법, 특이사항을 포함한 제수변 관리이력정보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표시되게 하는 제수변에 대한 관리이력정보표시단계 및 상기 정비이력관리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입력 받은 관리자 및 정비내역을 포함하는 관리정보를 관리정보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관리이력업데이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은 회원관리모듈이 일반사용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여 일반회원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일반회원 정보와 비교하여 일반회원 모드 실행을 허용하는 일반회원 로그인 단계; 민원처리모듈이 상기 일반사용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위치정보 및 단수 또는 누수를 포함하는 상하수도의 관련 사고에 대한 민원정보를 입력 받아 미리 정해 놓은 기준에서 따라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 상기 민원정보를 전송하여 표시되게 하고, 상기 민원정보를 민원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민원정보 수신단계; 회원관리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관리자 정보와 비교하여 관리자 모드 실행을 허용하는 관리자 로그인 단계; 위치안내모듈이 민원처리모듈로부터 주소 및 주요시설물 이름을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기준구역분류모듈로 전송하면, 상기 기준구역분류모듈이 수신된 위치정보에 따라 제수변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1개 이상의 제수변을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제수변에 따라 미리 정해놓은 기준으로 1개 이상의 기준구역 및 중심점으로 분류하여 1이상의 기준구역 및 중심점을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기준구역 및 중심점을 상기 위치안내모듈로 전송하는 위치정보식별단계; 상기 위치안내모듈이 상기 특정된 1개 이상의 기준구역 및 중심점의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표시되게 하고,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중심점의 선택을 입력 받는 중심점 특정단계; 상기 위치안내모듈은 입력 받은 중심점을 목적지로 설정하고, 지도정보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지도정보 및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에 따라 이동경로를 분석하여,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 상기 중심점에 대한 길안내 정보를 전송하는 길안내정보전송단계; 상기 위치안내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가 상기 중심점 위치범위에 도달하면, 상기 중심점 정보를 증강현실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증강현실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실행신호를 수신하여 실행되는 증강현실모드 실행단계; 상기 증강현실모듈이 상기 위치안내모듈로부터 수신한 중심점 정보 및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중심점을 특정하는 중심점 확인 단계; 상기 증강현실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 받은 사진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 위에 1 이상의 제수변의 관리번호를 포함하는 정보가 증강현실(增强現實)로 표시되는 증강현실 정보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표시되게 하는 제수변 표시단계; 상기 증강현실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에 표시된 1이상의 제수변 중 선택된 하나를 입력 받아 선택된 제수변의 관리번호를 정비이력관리모듈로 전송하는 정비이력요청단계; 상기 정비이력관리모듈이 상기 관리번호에 따라 제수변을 특정하고 관리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제수변에 따라 구역별로 구분되어 저장된 상하수도 관리이력정보, 제수변 사용법, 특이사항을 포함한 제수변 관리이력정보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표시되게 하는 제수변에 대한 관리이력정보표시단계; 상기 정비이력관리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입력 받은 관리자 및 정비내역을 포함하는 관리정보를 관리정보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관리이력업데이트 단계 및 상기 민원처리모듈이 관리정보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관리정보를 상기 민원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일반사용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에 상기 민원처리 신호를 전송하는 민원처리알림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은 상하수도 사고분석모듈이 미리 정해놓은 기준에 따라 제수변관리를 위해 분류된 기준구역에 위치하는 중심점에 설치된 제수변관리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 정보가 미리 정해 놓은 상하수도 사고 인지 범위 내에 들어오는 경우 사고정보를 미리 정해 놓은 기준에서 따라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 상기 사고정보가 전송되어 표시되게 하는 하고, 상기 사고정보를 사고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상하수도 사고분석단계; 회원관리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관리자 정보와 비교하여 관리자 모드 실행을 허용하는 관리자 로그인 단계; 위치안내모듈이 상기 상하수도 사고분석모듈로부터 기준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기준점에 따라 기준구역을 특정하여 상기 특정된 기준구역 및 중심점을 상기 위치안내모듈로 전송하는 위치정보식별단계; 상기 위치안내모듈이 상기 특정된 1개 이상의 기준구역 및 중심점의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표시되게 하고,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중심점의 선택을 입력 받는 중심점 특정단계; 상기 위치안내모듈은 입력 받은 중심점을 목적지로 설정하고, 지도정보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지도정보 및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에 따라 이동경로를 분석하여,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 상기 중심점에 대한 길안내 정보를 전송하는 길안내정보전송단계; 상기 위치안내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가 상기 중심점 위치범위에 도달하면, 상기 중심점 정보를 증강현실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증강현실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실행신호를 수신하여 실행되는 증강현실모드 실행단계; 상기 증강현실모듈이 상기 위치안내모듈로부터 수신한 중심점 정보 및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중심점을 특정하는 중심점 확인 단계; 상기 증강현실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 받은 사진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 위에 1 이상의 제수변의 관리번호를 포함하는 정보가 증강현실(增强現實)로 표시되는 증강현실 정보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표시되게 하는 제수변 표시단계; 상기 증강현실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에 표시된 1이상의 제수변 중 선택된 하나를 입력 받아 선택된 제수변의 관리번호를 정비이력관리모듈로 전송하는 정비이력요청단계; 상기 정비이력관리모듈이 상기 관리번호에 따라 제수변을 특정하고 관리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제수변에 따라 구역별로 구분되어 저장된 상하수도 관리이력정보, 제수변 사용법, 특이사항을 포함한 제수변 관리이력정보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표시되게 하는 제수변에 대한 관리이력정보표시단계; 상기 정비이력관리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입력 받은 관리자 및 정비내역을 포함하는 관리정보를 관리정보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관리이력업데이트 단계 및 상기 상하수도 사고분석모듈이 관리정보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관리정보를 상기 사고 정보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사고 정보에 대한 평가를 입력 받아 상기 상하수도 사고 인지 범위가 조정되게 하는 사고분석학습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수변 표시단계는 날씨정보모듈이 현재 날씨정보가 미리 정해 놓은 범위에 들어오는 경우 증강현실모듈로 노이즈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노이즈 신호를 수신한 증강현실모듈은 미리 저장해 놓은 이미지와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이미지가 겹쳐지게 처리하고, 상기 겹쳐지게 처리된 이미지 정보 위에 1이상의 제수변의 관리번호를 포함하는 정보가 증강현실(增强現實)로 표시되는 증강현실 정보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표시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은 상기 중심점 확인 단계 이후에 회원관리모듈이 상기 중심점에 관리자가 위치하고 있다는 정보를 다른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에 표시하게 하는 관리정보교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은 회원관리모듈이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관리자 정보와 비교하여 관리자 모드 실행을 허용하는 관리자 로그인 단계; 위치안내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주소 및 주요시설물 이름을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입력 받아, 기준구역분류모듈로 전송하면, 상기 기준구역분류모듈이 수신된 위치정보에 따라 제수변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1개 이상의 제수변을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제수변에 따라 미리 정해놓은 기준으로 1개 이상의 기준구역 및 중심점으로 분류하여 1이상의 기준구역 및 중심점을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기준구역 및 중심점을 상기 위치안내모듈로 전송하는 위치정보식별단계; 상기 위치안내모듈이 상기 특정된 1개 이상의 기준구역 및 중심점의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표시되게 하고,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중심점의 선택을 입력 받는 중심점 특정단계; 상기 위치안내모듈은 입력 받은 중심점을 목적지로 설정하고, 지도정보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지도정보 및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에 따라 이동경로를 분석하여,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 상기 중심점에 대한 길안내 정보를 전송하는 길안내정보전송단계; 상기 위치안내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가 상기 중심점 위치범위에 도달하면, 상기 중심점 정보를 증강현실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증강현실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실행신호를 수신하여 실행되는 증강현실모드 실행단계; 상기 증강현실모듈이 상기 위치안내모듈로부터 수신한 중심점 정보 및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중심점을 특정하는 중심점 확인 단계; 상기 증강현실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 받은 사진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 위에 1 이상의 제수변의 관리번호를 포함하는 정보가 증강현실(增强現實)로 표시되는 증강현실 정보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표시되게 하는 제수변 표시단계; 상기 증강현실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에 표시된 1이상의 제수변 중 선택된 하나를 입력 받아 선택된 제수변의 관리번호를 정비이력관리모듈로 전송하는 정비이력요청단계; 상기 정비이력관리모듈이 상기 관리번호에 따라 제수변을 특정하고 관리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제수변에 따라 구역별로 구분되어 저장된 상하수도 관리이력정보, 제수변 사용법, 특이사항을 포함한 제수변 관리이력정보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표시되게 하는 제수변에 대한 관리이력정보표시단계 및 상기 정비이력관리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입력 받은 관리자 및 정비내역을 포함하는 관리정보를 관리정보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관리이력업데이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된 제수변은 좁은 의미로 통수량을 가감하거나 통수의 개폐를 위하여 관로에 설치하는 밸브를 포함하며, 넓은 의미로 상기 밸브와 연결된 뚜껑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또한 상기 밸브 및 뚜껑 주변에 위치하는 수도 시설을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한다.
상기 로그인 단계는 관리자와 일반 회원을 구별하여 민원 신청과 민원처리를 수행하는 역할에 따라 서로 다른 회원으로 관리되어 로그인 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관리자 로그인 단계는 제수변과 관련된 상하수도 등의 관리자가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에 접속하여 사용승인을 얻는 과정으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사용하는 방법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상기 단말기는 증강현실을 카메라 및 통신수단을 포함하고 이용한 제수변관리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상기 스마트폰은 카메라 장치를 포함하고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관리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모바일 장치를 말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된 이미지는 사진, 동영상 등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정보수단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상기 위치 정보는 구체적인 주소 또는 주요 건물이나 시설 등의 주요시설물 이름을 통해 특정되는 위치를 말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된 기준구역이란, 상기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시스템에 설정된 관리지역을 중 미리 정해 놓은 기준에 따라 구획된 단위 지역범위를 말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Q101, Q102, ..., Z101, Z102와 같은 일정한 단위번호를 부여받아 관리지역이 구분되며 상기 일정한 단위번호를 부여받은 구역범위 단위가 상기 기준구역이 된다. 상기 기준구역은 1개 이상의 제수변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구획은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임의로 정하는 범위에 따라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된 중심점이란, 상기 기준구역에서 미리 정해 놓은 반경 30m 이내의 포인트 지점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상기 중심점은 상기 기준구역 내에 위치하는 지점이다. 상기 중심점은 상기 기준구역에 포함된 제수변을 관리할 수 있도록 설정된 것으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임의로 정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준구역에 포함된 제수변이 모두 보이는 지점을 중심점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준구역 및 상기 중심점은 제수변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설정한 구역의 단위로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사용할 수 있는 설정범위를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준구역분류모듈은 위치 안내모듈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미리정해 놓은 기준에 따라 상기 기준구역 및 중심점을 특정하고, 상기 기준구역 및 중심점에 포함된 제수변을 특정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수변은 복수개가 특정될 수 있고, 상기 기준구역 및 중심점 역시 복수개로 특정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구체적인 특정방법은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예를 들면, 상기 기준구역분류모듈은 상기 위치정보에 따라 제수변을 특정한다. 상기 특정된 제수변을 포함하는 기준구역을 특정하고, 상기 기준구역의 중심점을 분류하여 상기 기준구역 및 중심점을 위치안내모듈로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2 이상의 기준구역 및 중심점을 특정하는 경우 상기 특정된 기준구역 및 중심점에 대한 분류 및 그 순서는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임의로 정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준구역분류모듈이 2 이상의 기준구역 및 중심점을 특정하는 경우 상기 특정된 2 이상의 기준구역 및 중심점을 전송받은 위치안내모듈은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및 스마트폰에 기준구역 및 중심점이 2이상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및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GPS 등의 위치신호에 따라 가까운 경로부터 순차적으로 안내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중심점 특정단계는 상기 위치안내모듈이 상기 위치정보식별단계에 따라 특정된 1이상의 중심점을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표시하게 하고, 상기 중심점에 대한 선택사항을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중심점을 이동경로 안내를 위한 목적지로 특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중심점 특정단계는 상기 관리자의 확인 외 이동경로를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심점 특정단계에서 상기 중심점에 대한 선택은 1개 이상의 중심점 중 어느하나 이상을 순차적인 경로방향으로 구성된 1이상의 이동경로를 제시하고, 상기 1이상의 이동경로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길안내정보전송단계는 상기 선택 받은 이동경로에 따라 목적지를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길안내정보전송단계에서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중심점까지 이동하는 경로를 안내하는 것으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상기 증강현실 실현단계는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에 표시된 이미지 위에 제수변의 관리번호를 표시하여 각각의 제수변이 특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증강현실(增强現實)이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에 가상 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이다. 현실세계에 실시간으로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므로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이라고도 한다.
종래 제수변은 도시설계를 통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도시가 커지는 과정에서 필요에 의해 필요한 시점에 설치되어, 각각의 제수변에 연결된 상하수도의 연결구조를 알기 어렵다. 따라서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라면,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제수변을 구분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종래의 제수변의 관리시스템은 상기 제수변 위에 직접 센서를 부착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는데, 차량이나 보행자가 지나는 제수변 위에 설치된 센서는 차량이나 보행자의 이동과정에서 파손되는 문제, 센서교체로 교통흐름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도로 가운데 설치된 제수변 위에 설치된 센서는 1년 내내 24시간 야외에 노출되어 기온차에 의한 오작동 또는 수명 단축에 의한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위와 같은 문제에 의한 센서의 가격이 급증하는 문제가 있고, 파손되거나 수명을 다한 센서를 교체하는 비용이 상당하였다.
또한 전자적 형태의 센서가 아닌 경우 예를 들면, 상기 제수변 등에 바코드를 부여 하는 방법 역시 차량 또는 보행자 등의 이동과정에서 상기 바코드가 훼손되는 문제가 있고, 제수변 뚜껑 위에 개별 바코드를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상당하다는 현실적인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중심점을 기점으로 증강현실로 제수변을 특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 제수변에 센서 또는 기타 표시장치를 부착할 필요가 없어 제수변의 특정이 가능하고, 각각의 제수변의 작동방법 내지는 상기 제수변에 연결된 상하수도 관로를 특정하여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중심점에 상기 증강현실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시설을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중심점은 상기 제수변과 같이 일정한 관로에 직접연결되지 않는 것이므로 보행자 또는 차량의 이동에 의한 방해가 없는 곳에 설치되게 함으로서, 상기 제수변의 위치적 제한에 의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중심점에 상기 증강현실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시설을 설치는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사용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설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상기 중심점 확인단계는 오작동을 피하고 증강현실의 이미지가 정확히 매칭되기 위한 수단이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심점 확인 단계에서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의 CPS 등으로 측정되어 전송된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의 위치정보가 중심점의 영역으로 정해 놓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증강현실모듈이 상기 위치안내모듈로 중심점 이탈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위치안내모듈이 길안내정보전송단계를 다시 실행하는 것일 수 있다.
중심점을 기점으로 증강현실을 제공하는바, 위치안내모듈에 의한 1차적인 위치 확인이 아니라 2번의 위치확인을 통해 증강현실로 제공되는 이미지 정보의 오차와 오작동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현실적인 실시에 있어 상기 중심점 확인단계에 의하는 경우 상기 증강현실의 시행오류가 현격히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수변의 표시단계에서 제공되는 증강현실은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에 포함된 카메라에 의해 만들어진 이미지 정보 위에 각 제수변의 관리번호, 연결된 상하수도의 이미지가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숙련도가 낮은 작업자도 상기 증강현실로 제공되는 정보에 따라 작업대상으로 필요한 대상을 명확히 특정할 수 있다.
상기 관리이력정보표시단계는 상기 제수변에 관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필요한 작업이 원활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숙력도가 낮은 작업자도 상기 증강현실로 제공되는 정보를 통해 필요한 작업을 원활히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관리이력업데이트단계는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선택받은 제수변에 대한 작업사항을 입력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관련사항에 대한 입력을 받아 이를 관리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바람직하게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은 상기 정비이력요청단계 이후에 안전관리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진행할 작업사항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아 관리정보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입력된 사항이 미리 정해놓은 범위에 들어오면 상기 중심점에 설치된 카메라가 상기 작업자의 작업활동을 촬영하여 중심점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는 중심점 이미지 생성단계 및 상기 안정관리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및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정보, 음성 정보 및 상기 중심점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그 분석 값이 미리 정해놓은 범위에 들어오는 경우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 위험신호를 전송하는 안전사고예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은 상기 정비이력요청단계 이후에 안전관리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진행할 작업사항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아 관리정보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입력된 사항이 미리 정해놓은 범위에 들어오면 상기 중심점에 설치된 카메라가 상기 작업자의 작업활동을 촬영하여 중심점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는 중심점 이미지 생성단계; 상기 안정관리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및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정보, 음성 정보 및 상기 중심점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그 분석 값이 미리 정해놓은 범위에 들어오는 경우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 위험신호를 전송하는 안전사고예방단계 및 상기 안정관리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및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정보, 음성 정보 및 상기 중심점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그 분석 값이 미리 정해놓은 범위에 들어오는 경우 사고발생을 인지하고 상기 안정관리모듈이 상기 사고발생신호를 미리 정해놓은 기관에 전송하는 사고발생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수변에 관련된 상하수도에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는 상기 상하수도 외부 상황에 대한 인지부족으로 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상하수도 내부에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에 대한 사고가 발생하여도 외부에서 이를 즉각적으로 알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중심점 이미지 생성 단계 및 안전사고예방단계에 의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안전사고에 대한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분석 값에 대한 안전사고 또는 사고발생 여부에 대한 판단으로서 미리 정해 놓은 범위는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활용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다.
또한 상기 사고발생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경우 신속한 인명구조 등으로 안전사고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은 회원관리모듈이 일반사용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여 일반회원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일반회원 정보와 비교하여 일반회원 모드 실행을 허용하는 일반회원 로그인 단계; 민원처리모듈이 상기 일반사용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위치정보 및 단수 또는 누수를 포함하는 상하수도의 관련 사고에 대한 민원정보를 입력 받아 미리 정해 놓은 기준에서 따라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 상기 민원정보를 전송하여 표시되게 하고, 상기 민원정보를 민원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민원정보 수신단계; 회원관리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관리자 정보와 비교하여 관리자 모드 실행을 허용하는 관리자 로그인 단계; 위치안내모듈이 민원처리모듈로부터 주소 및 주요시설물 이름을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기준구역분류모듈로 전송하면, 상기 기준구역분류모듈이 수신된 위치정보에 따라 제수변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1개 이상의 제수변을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제수변에 따라 미리 정해놓은 기준으로 1개 이상의 기준구역 및 중심점으로 분류하여 1이상의 기준구역 및 중심점을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기준구역 및 중심점을 상기 위치안내모듈로 전송하는 위치정보식별단계; 상기 위치안내모듈이 상기 특정된 1개 이상의 기준구역 및 중심점의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표시되게 하고,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중심점의 선택을 입력 받는 중심점 특정단계; 상기 위치안내모듈은 입력 받은 중심점을 목적지로 설정하고, 지도정보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지도정보 및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에 따라 이동경로를 분석하여,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 상기 중심점에 대한 길안내 정보를 전송하는 길안내정보전송단계; 상기 위치안내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가 상기 중심점 위치범위에 도달하면, 상기 중심점 정보를 증강현실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증강현실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실행신호를 수신하여 실행되는 증강현실모드 실행단계; 상기 증강현실모듈이 상기 위치안내모듈로부터 수신한 중심점 정보 및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중심점을 특정하는 중심점 확인 단계; 상기 증강현실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 받은 사진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 위에 1 이상의 제수변의 관리번호를 포함하는 정보가 증강현실로 표시되는 증강현실 정보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표시되게 하는 제수변 표시단계; 상기 증강현실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에 표시된 1이상의 제수변 중 선택된 하나를 입력 받아 선택된 제수변의 관리번호를 정비이력관리모듈로 전송하는 정비이력요청단계; 상기 정비이력관리모듈이 상기 관리번호에 따라 제수변을 특정하고 관리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제수변에 따라 구역별로 구분되어 저장된 상하수도 관리이력정보, 제수변 사용법, 특이사항을 포함한 제수변 관리이력정보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표시되게 하는 제수변에 대한 관리이력정보표시단계; 상기 정비이력관리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입력 받은 관리자 및 정비내역을 포함하는 관리정보를 관리정보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관리이력업데이트 단계 및 상기 민원처리모듈이 관리정보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관리정보를 상기 민원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일반사용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에 상기 민원처리 신호를 전송하는 민원처리알림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일반회원은 상기 관리작와 구별되는 자를 말하며 민원인이 여기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일반회원 로그인 및 민원정보 수신단계에 의하는 경우 민원정보를 신속하게 접수하여 상하수도와 관련된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민원정보 수신단계에서 미리 정해 놓은 범위란 경험적, 기술적, 행적적 사항을 고려하여 정하는 것일 수 있으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정할 수 있는 모든 수단과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상기 민원처리 알림 단계는 민원인에게 민원관련사항이 처리되었음을 신속히 제공하여 민원제공에 대한 불편을 줄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민원처리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은 상하수도 사고분석모듈이 미리 정해놓은 기준에 따라 제수변관리를 위해 분류된 기준구역에 위치하는 중심점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 정보가 미리 정해 놓은 상하수도 사고 인지 범위 내에 들어오는 경우 사고정보를 미리 정해 놓은 기준에서 따라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 상기 사고정보가 전송되어 표시되게 하는 하고, 상기 사고정보를 사고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상하수도 사고분석단계; 회원관리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관리자 정보와 비교하여 관리자 모드 실행을 허용하는 관리자 로그인 단계; 위치안내모듈이 상기 상하수도 사고분석모듈로부터 기준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기준점에 따라 기준구역을 특정하여 상기 특정된 기준구역 및 중심점을 상기 위치안내모듈로 전송하는 위치정보식별단계; 상기 위치안내모듈이 상기 특정된 1개 이상의 기준구역 및 중심점의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표시되게 하고,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중심점의 선택을 입력 받는 중심점 특정단계; 상기 위치안내모듈은 입력 받은 중심점을 목적지로 설정하고, 지도정보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지도정보 및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에 따라 이동경로를 분석하여,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 상기 중심점에 대한 길안내 정보를 전송하는 길안내정보전송단계; 상기 위치안내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가 상기 중심점 위치범위에 도달하면, 상기 중심점 정보를 증강현실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증강현실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실행신호를 수신하여 실행되는 증강현실모드 실행단계; 상기 증강현실모듈이 상기 위치안내모듈로부터 수신한 중심점 정보 및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중심점을 특정하는 중심점 확인 단계; 상기 증강현실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 받은 사진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 위에 1 이상의 제수변의 관리번호를 포함하는 정보가 증강현실로 표시되는 증강현실 정보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표시되게 하는 제수변 표시단계; 상기 증강현실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에 표시된 1이상의 제수변 중 선택된 하나를 입력 받아 선택된 제수변의 관리번호를 정비이력관리모듈로 전송하는 정비이력요청단계; 상기 정비이력관리모듈이 상기 관리번호에 따라 제수변을 특정하고 관리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제수변에 따라 구역별로 구분되어 저장된 상하수도 관리이력정보, 제수변 사용법, 특이사항을 포함한 제수변 관리이력정보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표시되게 하는 제수변에 대한 관리이력정보표시단계; 상기 정비이력관리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입력 받은 관리자 및 정비내역을 포함하는 관리정보를 관리정보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관리이력업데이트 단계 및 상기 상하수도 사고분석모듈이 관리정보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관리정보를 상기 사고 정보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사고 정보에 대한 평가를 입력 받아 상기 상하수도 사고 인지 범위가 조정되게 하는 사고분석학습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상하수도 사고분석단계에서 사고란, 상하수도의 오염, 누수, 단수 등 상하수도와 관련하여 발생된 문제사항을 의미한다.
상기 상하수도 사고분석단계에서 상기 중심점에는 카메라, 송수신장치를 포함하는 설비가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상하수도 관련 사고를 분석하고 그 분석값이 미리 정해놓은 범위에 들어오는 경우 사고분석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사고분석학습단계는 상기 사고 이미지를 통해 분석한 결과와 실제 사고 내용을 비교하여 상기 사고 인지에 대한 범위를 조정하여 상기 사고 인식 범위가 더 개선되도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수변 표시단계는 날씨정보모듈이 현재 날씨정보가 미리 정해 놓은 범위에 들어오는 경우 증강현실모듈로 노이즈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노이즈 신호를 수신한 증강현실모듈은 미리 저장해 놓은 이미지와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이미지가 겹쳐지게 처리하고, 상기 겹쳐지게 처리된 이미지 정보 위에 1이상의 제수변의 관리번호를 포함하는 정보가 증강현실(增强現實)로 표시되는 증강현실 정보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표시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증강현실을 이용하는 경우 가장 문제되는 것이 눈 또는 비에 의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정보가 인식되지 않은 형태로 상기 증강현실모듈로 수신되어 상기 이미지 정보 위에 증강현실을 실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상하수도 관련된 사고 또는 보수는 상기 눈 또는 비가 오는 때 그러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상기에 의하는 경우 이러한 날씨에도 관련된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수변 표시단계는 날씨정보모듈이 현재 날씨정보가 미리 정해 놓은 범위에 들어오는 경우 증강현실모듈로 노이즈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노이즈 신호를 수신한 상기 증강현실모듈은 미리 저장해 놓은 이미지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에 제공하여 표시한 뒤, 상기 미리 저장해 놓은 이미지 위에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현재 이미지가 겹쳐지게 표시하고, 상기 미리 저장해 놓은 이미지와 현재 이미지가 겹쳐지는 범위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선택에 따라 상기 미리 저장해 놓은 이미지와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이미지가 겹쳐지게 처리하고, 상기 겹쳐지게 처리된 이미지 정보 위에 1이상의 제수변의 관리번호를 포함하는 정보가 증강현실(增强現實)로 표시되는 증강현실 정보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표시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노이스 신호를 인식하는 범위는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사용할 수 있는 범위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또한 상기 증강현실모듈은은 상기 겹쳐지는 이미지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저장해 놓은 이미지를 기준으로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제공되는 증강현실 이미지의 오류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상기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은 상기 중심점 확인 단계 이후에 회원관리모듈이 상기 중심점에 관리자가 위치하고 있다는 정보를 다른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에 표시하게 하는 관리정보교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관리정보교환을 통해 다른 관리자의 작업사항을 알 수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인 업무의 분배가 가능하고 상기 관리자에 대한 관리 및 감독이 보다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은 제수변에 직접 센서를 부착하지 않으면서도 제수변을 쉽게 특정하여 구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수변에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여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은 상기 제수변에 직접 센서가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센서에 대한 높은 내구성 및 안정적인 정보 수신을 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센서의 유지 및 보수에 소요되는 노력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수변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종래 이미 설치된 제수변에 그대로 적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별도의 단말기 없이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제수변에 설정되는 기준구역 상의 중심점의 정확한 위치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정확히 검출함으로써, 증강현실 적용에 따른 표시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의 네크워크 구성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시스템에 관한 예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의 흐름도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의 흐름도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의 흐름도에 관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에 따라 증강현실에 구현되는 예시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중심점의 위치 좌표를 결정하기 위한 측량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공중이동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9는 측량기구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측량기구(300)는 위치결정지점(1)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4는 경사각 측정을 위한 공중이동체의 세부구성도이다.
도 15는 공중이동체의 지지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경사각 측정을 위한 측량기구의 세부구성도이다.
도 17은 경사 측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수변의 위치가 지도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예시에 관한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제수변이 설치된 이미지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일반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502)에 저장된 일반회원이 일반 회원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1)을 통해 위성위치확인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시스템(1000)에 접속하여 로그인 하고, 상기 일반회원이 일반회원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1)을 통하여 누수, 단수, 오염 등 상하수도 관련된 문제되는 사항을 입력하고 상기 문제가 되는 지역범위를 주소 또는 기타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로서 입력하여 민원처리모듈(108)을 통하여 이를 민원정보데이터베이스(508)에 저장하고, 상기 민원정보의 종류 및 지역에 따라 미리 정해 놓은 기준에 따라 선정된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 폰(20)으로 상기 민원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민원정보를 수신한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 폰(20)은 일정한 알림으로 민원정보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하고, 상기 관리자가 관리자 로그인 단계(S1)을 통해 위성위치확인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시스템(1000)에 관리자로 로그인 한다.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으로부터 민원처리 실행정보를 입력 받으면 위치안내모듈(104)이 미리 정해 놓은 조건에 따라 1이상의 기준구역 및 중심점을 설정한다.
상기 1 이상의 기준구역 및 중심점 중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으로부터 선택을 입력받아 위치안내모듈(104)이 선택된 중심점을 목적지로 설정하고, 지도정보데이터베이스(505)에서 전송된 지도정보를 기초로 상기 목적지에 대한 위치 안내정보가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에 표시되어 길안내 정보를 제공하게 한다.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에 포함된 GPS 등에 의해 측정된 위치정보가 상기 위치안내모듈(104)로 전송되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이 목적지로 설정된 중심점에 도달하였음이 확인되면 위치 안내를 중단하고, 상기 중심점에 도착하였음을 알리는 정보를 증강현실모듈(106)로 전달한다.
상기 중심점 도착신호를 수신한 증강현실모듈(106)은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에 포함된 GPS 등에 의해 측정된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중심점 도착여부를 재확인한다. 상기 재확인된 위치가 중심점의 위치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위치안내모듈(104)로 신호를 전송하여 길안내정보전송단계(S4)가 실행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중심점 확인 단계(S5)에서 중심점이 도착을 확인하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에 포함된 GPS 등에 의해 측정된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안내모듈(104)로부터 전송받은 중심점이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이를 통해 중심점 탐색의 오류를 줄여 증강현실의 기준점을 명확히 하여 오작동을 줄일 수 있다.
다만 중심점의 위치 정보의 오차와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에 포함된 GPS 기능의 경우 도심 지역에서의 오차를 고려하여 측량기구와 공중비행체를 이용한 위치 좌표의 정밀한 검출이 추가로 수행될 수 있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후술한다.
상기 중심점 확인 단계(S5)에서 중심점이 확인되면 상기 증강현실모듈(106)은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으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정보 위에 증강현실로서 제수변에 관리번호를 표시하여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으로 상기 증강현실로 표현된 이미지가 표시되게 한다.
상기 증강현실모듈(106)은 정비관리이력모듈(107)을 통해 관리정보데이터베이스(508)로부터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로부터 증강현실로 특정된 제수변 중 선택된 제수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에 증강현실로 표시되게 한다.
상기 증강현실로 표현되는 정보는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으로부터 전송되는 동영상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상기 동영상 정보 위에 표현되어 보여지는 출력되는 것이거나.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으로부터 전송되는 동영상의 이미지를 일정한 간격으로 사진 이미지로 변환한 뒤 상기 사진 이미지 위에 증강현실로 필요한 표현하여 사진 이미지로 보여지게 하는 것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제수변 안 쪽으로 진입한 관리자에게 적은 용량으로 버퍼링 없이 승강현실로 표현된 이미지를 전송하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표시되는 정보에는 제수변의 관리이력, 사용방법, 종류 등이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정비관리이력모듈(107)은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로부터 정비내역을 입력받아 관리정보데이터베이스(508)를 업데이트 한다.
이후, 민원처리알림단계(T3)를 통해 신청된 민원사항이 해결되었음을 알려 민원에 대한 신속 및 만족도를 높이게 할 수 있다.
위성위치확인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에서 사고분석단계, 위치정보식별단계, 중심점 특정 단계, 길안내정보전송단계, 중강현실모드 실행 단계 및 중심점 확인 단계에 이르기까지 제수변관리카메라가 위치한 중심점의 위치 좌표가 이용되므로, 최종적으로 증강현실로 이미지 정보와 제수변의 관리 번호를 실제 제수변에 매칭하여 표시하기 위해서는 중심점의 위치 좌표의 정밀성이 높게 요구된다. 이하에서는 기준 구역 상의 중심점의 정확한 위치 좌표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중심점의 위치 좌표를 결정하기 위한 측량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공중이동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측량기구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측량 시스템(100)은 GNSS 위성(10)과 공중이동체(200)와 측량기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시스템은 위성측위시스템으로, 우주궤도를 돌고 있는 GNSS 위성(10)을 이용하여 측량기구(300)와 공중이동체(200)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GPS 위성(10)은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4개에서 6개가 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공중이동체(200)는 GNSS 위성(10) 및 측량기구(300)와 통신할 수 있는 제1 통신부(210), 공중이동체(200)의 자세를 제어할 수 있는 자세 제어부(220), 공중이동체(200)의 움직임과 위치를 제어하는 센서부(230) 그리고 제1 통신부(210)와 자세 제어부(220), 센서부(230), 지상 영역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240)의 전반적인 동작을 통제하고 제어하는 제1 프로세서(29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중이동체(200)는 GPS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통신부(210)와 함께 제1 수신기(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중이동체(200)의 이동 및 정렬 시 정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센서부(230)는 경사 센서, 자력계, 각속도 및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자세 제어부(220)는 상기 센서부(230)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공중이동체(200)의 이동 및 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부(240)는 복수개의 촬영부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복수개의 촬영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촬영부는 공중이동체(200)의 배면에 배치되어 지상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측량기구(300)는 공중이동체(200)와 통신할 수 있는 제2 통신부(310), 광원부(320)와 이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2 프로세서(39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량기구(300)는 GPS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통신부(310)와 함께 제2 수신기(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부(320)는 상기 측량기구(300)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공중이동체(200)가 존재하는 상부 영역으로 빛을 출사할 수 있다.
도 10은 중심점으로써의 위치결정지점에 배치된 측량기구와 오차를 고려한 제1 동심원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1은 공중이동체와 촬영 영역인 제2 동심원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2는 측량기구와 공중이동체에 따른 위치좌표 결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3은 공중이동체의 이동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측량기구(300)는 위치결정지점(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위치결정지점(10)은 상하수도 사고분석모듈이 미리 정해놓은 기준에 따라 제수변관리를 위해 분류된 기준구역에 위치하는 중심점이 될 수 있다.
상기 측량기구(300)는 GNSS 위성(10)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결정지점(1) 상의 제1 위치좌표(2)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좌표(2)는 지표면의 일 축을 나타내는 X축 좌표와 상기 X축에 수직한 Y축 좌표 그리고 상기 X축 및 Y축 좌표와 수직하고, 높이이는 지칭하는 Z축 좌표로 이루어진 X, Y, Z 좌표가 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측량기구(300)가 위치결정지점(10)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위치결정지점(10)을 중심으로 하고, 제1 반지름(R1)의 제1 동심원 내에서 상기 측량기구(300)의 위치좌표는 상기 제1 위치좌표(2)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동심원은 상기 제1 위치좌표(2)의 기 설정된 오차 범위로써, 상기 측량기구(300)가 위치한 지역의 특성에 따라 상기 제1 동심원의 반지름은 달라질 수 있어, 복수의 제1 동심원을 상정할 수 있고, 상기 제1 반지름(R1)을 가지는 제1 동심원은 최대 오차 범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위치좌표(2)는 오차 없이 상기 위치결정지점(10)에 매칭되는 좌표가 될 수 있고, 오차 정도에 따라서, 상기 위치결정지점(10)과 매칭되지 않는 상기 제1 동심원 내의 특정 영역의 좌표가 될 수 있다.
상기 측량기구(300)의 제2 통신부(310)는 상기 제1 위치좌표(2)를 상기 공중이동체(200)에 전송하고, 제1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제1 위치좌표(2)를 수신한 공중이동체(200)는 상기 GNSS 위성(10)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위치좌표(2)에 대응하는 제2 위치좌표(3)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위치좌표(3)는 상기 제1 위치좌표(2)의 X, Y 좌표와는 동일하고, Z 축 좌표는 상이하다. 이는 공중비행체(200)가 공중에 위치하고, 측량기구(300)는 지상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중비행체(200)는 현재 위치의 Z축 좌표는 그대로 유지하고 상기 제1 위치좌표(2)의 X, Y 좌표와 동일한 X, Y좌표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공중이동체(200)는 측량기구(300)가 위치한 지역의 특성으로부터 비롯된 영향이 최소화된, 즉 고층 건물이 밀집된 지역에서 고층 건물보다 높은 위치의 공중 영역에 위치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공중이동체(200)가 GNSS 위성(10)을 통해 결정된 상기 제2 위치좌표(3)는 다중경로 오차로부터 자유로운 비교적 정확한 위치 좌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오차에 기인하여 상기 제1 위치좌표(3)와 상기 제2 위치좌표(4)의 X, Y 좌표는 동일하지만, 상기 공중이동체(200)와 상기 측량기구(300)의 실제 위치는 상이할 수 있다.
상기 공중이동체(200)의 촬영부(240)는 렌즈모듈(241)과 이미지프로세싱부(242)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모듈(241)은 공중에서 지상의 영역을 촬영하여 촬영한 영상을 상기 이미지프로세싱부(242)로 전송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2 위치좌표(2)를 중심으로 하고, 제2 반지름(R2)의 제2 동심원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다만, 촬영 영역이 동심원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사각형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반지름(R2)는 상기 공중이동체(200)의 높이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공중이동체(200)의 높이에 반비례하여 상기 제2 반지름(R2)은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중이동체(200)의 촬영부(240)가 지상 영역의 정밀한 제2 동심원 영역을 촬영하기 위하여, 자세 제어부(220)는 상기 공중이동체(200)의 수평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하면서 상기 공중이동체(20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량기구(300)는 광원부(320)를 통해 주기적으로 빛을 출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렌즈모듈(241)을 통해 촬영된 영상 프레임의 이전 영상 프레임과 현재 영상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광원부(320)를 통해 출사된 빛이 나타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광원부(320)의 오프된 상태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상기 광원부(320)가 턴온된 시점부터 턴오프될 때까지의 시구간과 턴오프되고 턴온될 때까지의 시구간은 현재 영상 프레임과 이전 영상 프레임 사이의 시구간보다 짧게 함으로써, 현재 및 이전 영상 프레임 각각에 턴온된 상태의 광원부(320)과 턴오프된 상태의 광원부(320)가 각각 촬영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프로세싱부(242)는 프레임저장부(243)와 프레임 비교기(244)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저장부(243)는 촬영된 영상 프레임을 저장하고, 상기 프레임 비교기(244)는 저장된 이전 영상 프레임과 수신된 현재 영상 프레임을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프로세싱부(242)는 이전 및 현재 영상 프레임의 비교 동작을 복수 회 수행하여, 비교 결과를 제1 프로세서(29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세서(290)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이전 및 현재 영상 프레임 간에 계조 값의 차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영역을 검출함으로써, 검출된 측량기구(300)의 위치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프로세서(290)가 검출한 상기 검출된 측량기구(300)의 위치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공중이동체(200)는 상기 검출된 측량기구(300)의 위치 영역에 위치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검출된 측량기구(300)의 위치 영역과 촬영된 영상의 중심 영역을 비교하여, 공중이동체(200)의 x, y 방향으로의 이동을 통해 상기 촬영된 영상의 중심 영역이 상기 검출된 측량기구(300)의 위치 영역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중이동체(200)가 이동하여 상기 검출된 측량기구(300)의 위치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공중이동체(300)의 GNSS 위성(10)을 통해 제3 위치좌표(4)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제3 위치좌표(4)를 측량기구(3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위치좌표(2)는 상기 제3 위치좌표(4)로 수정될 수 있다.
또한 측량 시스템(100)은 주제어기(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제어기(400)는 상기 공중이동체(200)와 상기 측량기구(300)를 특정 위치좌표 상으로 이동시키고, 이들 각각이 위치한 제1 내지 제4 위치좌표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공중이동체(200)와 상기 측량기구(300)는 상기 주제어기(400)의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명령에 따라 자세 제어 및 위치 제어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측량 시스템(10)은 다중경로 오차로부터 자유로운 공중이동체(200)와 측량기구(300)의 위치 매칭 및 위치 매칭된 공중이동체(200)의 위치좌표를 측량기구(300)의 위치좌표로 활용함으로써, 측량기구(300)의 측량 지점 대상인 기준 구역에 위치하는 중심점의 정밀한 위치 좌표 측정이 가능하다.
이하 중심점의 위치 좌표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중심점의 위치 좌표를 측정하는 방법은, GPS 정보에 기초하여 측량기구(300)가 위치한 위치결정지점(1)의 제1 위치좌표(2)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위치좌표(2)를 공중비행체(200)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측량기구(300)의 수직 상부 영역에 위치한 상기 공중비행체(200)로부터 수신한 변경된 위치좌표(4)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중비행체(200)가 빛을 검출하여 상기 측량기구(300)의 수직 상부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주기적으로 상기 빛을 출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량기구(300)는 상기 위치결정지점(1)의 제1 위치좌표(2)를 수신한 상기 변경된 위치좌표(4)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중이동체의 구동 방법은, 측량기구(300)가 위치한 위치결정지점의 제1 위치좌표(2)를 상기 측량기구(300)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GPS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위치좌표(2)에 대응하는 제2 위치좌표(3)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측량기구(300)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측량기구(300)의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측량기구(300)의 수직 상부 방향의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GPS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측량기구(300)의 수직 상부 방향의 위치에서의 제3 위치좌표(4)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량기구(300)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측량기구(300)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의 현재 및 이전 영상 프레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측량기구(300)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량기구(300)가 상기 제1 위치좌표(2)를 상기 제3 위치좌표(4)로 변경하도록 상기 제3 위치좌표(4)를 상기 측량기구(300)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GPS 정보를 이용하여 측량기구(300)가 위치한 위치결정지점(1)의 제1 위치좌표(2)를 결정하는 제1 위치좌표결정 단계, 상기 제1 위치좌표(2)를 공중이동체(200)로 전송하는 제1 위치좌표전송 단계, 상기 GPS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위치좌표(20)와 대응하는 제2 위치좌표(30)로 이동하는 제2 위치좌표 이동 단계, 상기 공중이동체(200)가 상기 측량기구(300)를 검출하는 측량기구 검출 단계, 상기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공중이동체(200)가 상기 측량기구(300)의 상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중이동체 위치 매칭 단계 및 상기 측량기구(300)의 상부 수직 방향에 위치한 상기 공중이동체(200)의 제3 위치좌표를 결정하는 제3 위치좌표결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중이동체(200)가 상기 측량기구(300)를 검출하는 측량기구 검출 단계는, 상기 측량기구(300)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측량기구(300)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측량기구(300)를 검출하는 단계는, 현재 및 이전 영상 프레임을 비교하여 상기 빛을 검출하여 상기 측량기구(300)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량기구(300)는 상기 빛을 주기적으로 출사할 수 있다.
또한 GNSS 기반의 측량 방법은 상기 공중이동체(200)는 상기 제3 위치좌표(4)를 상기 측량기구(300)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량기구(300)는 상기 위치결정지점의(1) 제1 위치좌표(2)를 수신된 상기 제3 위치좌표(4)로 변경하는 위치좌표 보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위치좌표(2)는 3차원 좌표계의 X, Y, Z축 좌표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좌표(2)를 공중이동체(200)로 전송하는 제1 위치좌표전송 단계에서, 상기 측량기구(300)는 상기 제1 위치좌표(2)의 X, Y축의 좌표 값을 상기 공중이동체(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량기구(300)는 상기 위치결정지점(1)의 제1 위치좌표(2)의 X, Y축 좌표 값을 상기 제3 위치좌표(4)의 X, Y축 좌표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성위치확인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은 전술한 위치결정지점에 의해 결정된 기준구역에 위치하는 중심점의 위치 좌표 상에 제수변관리카메라가 설치되고 사고분석단계에서, 설치된 제수변관리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사고 정보를 분석하고,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으로 사고 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모드 실행을 허용하는 관리자 로그인 단계 후 위치안내모듈(104)이 상하수도 사고분석모듈로부터 상기 기준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준점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구역을 특정하여 상기 특정된 기준구역과 미리 저장된 상기 기준구역의 중심점 위치 좌표를 상기 위치안내모듈(104)로 전송하고, 상기 위치안내모듈(104)이 상기 특정된 1개 이상의 기준구역과 상기 기준구역에 대응하는 중심점의 위치 좌표를 포함한 위치 정보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으로 전송하여 표시되게 하고,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으로부터 중심점의 선택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점의 위치 좌표는 이후 길안내정보전송단계에서의 목적지로 설정되고, 증강현실모드 실행단계에서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가 상기 중심점의 위치범위에 도달 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되고, 중심점 확인 단계에서 중심점을 특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위성위치확인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에서 사고분석단계에서는 제수변관리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 정보가 미리 정해 놓은 상하수도 사고 인지 범위 내에 들어오는 경우 사고 정보를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중심점 마다 위치한 제수변관리카메라들 각각은 소정의 반경을 촬영할 수 있고, 인접한 임의의 두 중심점 사이의 지면의 경사각에 기초하여 제수변관리카메라들 각각의 촬영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하 중심점들 간의 경사각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4는 경사각 측정을 위한 공중이동체의 세부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공중이동체의 지지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경사각 측정을 위한 측량기구의 세부구성도이다. 또한 도 17은 경사 측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중심점들 간의 경사각 측정 방법은, 측량기구(300)를 인접한 복수의 기준구역에 위치하는 각각의 복수의 중심점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결정지점(11, 12, 13, 14)으로 이동시키는 측량기구 이동 단계, 상기 측량기구(300)의 수직 상부 영역에서 수평하게 상기 측량기구(300)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공중이동체(200)를 이동시키는 공중이동체 이동 단계, 상기 공중이동체(200)로부터 전송되고 상기 측량기구(300)로부터 반사된 초음파에 기초하여 상기 측량기구(300)와 상기 공중이동체(200)의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 계산 단계 및 계산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측량기구(300)가 이동한 경로 상의 지면의 경사각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중이동체(200)는 초음파센서(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센서(250)는 공중이동체(200)의 지지체(201)의 배면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초음파센서(250)는 초음파송신부(251)와 초음파수신부(252)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송신부(251)는 초음파를 출사하고, 상기 초음파수신부(252)는 출사된 초음파가 측량기구(300)에의해 반사되어 돌아오는 초음파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측량기구(300)는 반사판(330)과 제2 센서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판(330)은 GPS 수신기를 내장하고, 상기 초음파를 반사할 수 있도록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측량기구(300)는 복수의 위치결정지점을 이동하면서, 전술한 위치좌표측정 방법에 따라 상기 복수의 위치결정지점의 위치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량기구(300)는 복수의 위치결정지점을 이동하면서, 지면의 경사각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측량기구(300)는 제1 위치결정지점(11)에 배치되고, 전술한 위치좌표측정방법에 따라 상기 제1 위치결정지점(11)의 제1 위치좌표(111), 제2 위치결정지점(12)의 제2 위치좌표(121), 제3 위치결정지점(13)의 제3 위치좌표(131) 및 제4 위치결정지점(14)의 제4 위치좌표(141)가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량기구(300)는 상기 제1 위치결정지점(11)에서 제2 위치결정지점(1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측량기구(300)는 상기 제1 위치결정지점(11)에서 상기 제2 위치결정지점(12)으로 직선 거리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공중이동체(200)는 전술한 측량기구(300)의 검출을 통한 위치 이동에 기초하여 상기 측량기구(300)와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측량기구(300)의 상부 공중 영역에서 상기 측량기구(300)와 함께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중이동체(200)의 초음파센서(250)는 주기적으로 초음파 발신 및 측량기구(300)의 반사판(330)에 의해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하고, 초음파의 전송 및 수신 시간에 따라 상기 공중이동체(200)와 상기 측량기구(30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위치결정지점(11)과 제2 위치결정지점(12) 사이에는 일정한 경사가 존재하므로, 제1 위치결정지점(11)에서의 공중이동체(200)와 측량기구(300) 사이의 거리는 L1이 되고, 제2 위치결정지점(12)에서의 공중이동체(200)와 측량기구(300) 사이의 거리는 L1+L2가 된다. 따라서 공중이동체(200)의 제1 프로세서(290)는 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경사각을 계산하여 측량기구(300) 및 주제어기(4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측량기구(300)가 서로 다른 위치결정지점들 사이에서의 지면의 경사각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량기구(300)는 이동수단과 결합하여 주제어기(400)의 제어 하에 지면과 접촉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주제어기(400)를 통해 상기 측량기구(300)로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측량기구(300)는 명령 신호에 대응하여 특정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술한 중심점들 사이의 지면의 경사각에 기초하여 각 중심점에 배치되는 제수변관리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들어 서로 인접한 제1 및 제2 중심점에 있어서, 제1 중심점은 지대가 높고 제2 중심점을 지대가 낮아 상기 제1 중심점에서 상기 제2 중심점으로 갈수록 지대가 낮아지는 경사 지면인 경우, 상기 제1 중심점에 위치한 제1 제수변관리카메라의 촬영 각도는 하향시키고, 상기 제2 중심점에 위치한 제2 제수변관리카메라의 촬영 각도는 상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수변관리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지면의 경사각에 기초하여 설정함으로써, 제수변관리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이미지를 기초하여 미리 정해 놓은 사고 인지 범위에 들어오는지 여부의 판별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안내정보전송 단계는,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의 위치 확인 단계,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이 거치된 측량기구(300)와 공중비행체(200)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의 위치 좌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의 위치 좌표와 중심점의 위치 좌표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의 이동 방향과 거리 제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의 위치 확인 단계에서 위치안내모듈(104)은 중심점을 목적지로 설정하고, 지도정보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지도정보 및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에 따라 이동경로를 분석하여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으로 상기 중심점에 대한 길안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이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이 중심점의 주변영역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이 중심점의 주변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이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자는 측량기구(300) 상에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을 거치할 수 있다.
이때 측량기구(300)는 거치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거치대는 슬라이딩 방식, 거치홈 방식 등 측량기구(300)의 몸체 상에 단말기나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이 측량기구(300)에 거치되면, 전술한 위치결정지점의 위치 좌표를 확인하는 방법에 따라 측량기구(300)와 공중이동체(200)의 통신을 통해 측량기구(300)가 현재 위치한 위치 좌표를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측량기구(300)는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과 통신하여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에 결정된 위치 좌표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안내모듈(104)은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으로 수신된 위치 좌표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이 위치한 위치의 좌표로 삼고,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의 위치 좌표와 중심점의 위치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의 위치 좌표에서 상기 중심점의 위치 좌표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 방향과 이동 거리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으로 표시하여 줄 수 있다. 즉,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은 측량기구(300)에 거치되므로, 상기 측량기구(300)와 공중이동체(200)의 통신에 기초하여, 정밀하게 측정된 상기 측량기구(300)의 위치 좌표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의 위치 좌표로 볼 수 있으므로,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의 위치 좌표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량기구(300)와 공중이동체(200)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의 위치 좌표를 검출하는 과정은 복수 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위치안내모듈(104)은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 자체의 GPS 기능에 따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가 중심점 위치 범위에 도달하는 경우, 또는 측량기구(300)와 공중이동체(200)를 이용하여 검출된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의 위치 좌표가 중심점 위치 범위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중심점 정보를 증강현실모듈(106)로 전송하고, 상기 증강현실모듈(106)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20)으로부터 실행신호를 수신하여 증강현실모드 실행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중심점 위치 범위는 중심점 또는 중심점의 영역을 포함하여 상기 중심점의 주변 영역보다 좁은 범위의 영역이다.
또한 중심점의 주변 영역으로 이동 시에는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 자체의 GPS 기능을 이용하여 빠르게 중심점을 향하여 이동하고, 상기 중심점 주변 영역에서는 측량기구(300) 및 공중이동체(200)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의 위치 좌표를 정밀하게 검출하여, 중심점의 위치 범위로 정확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중심점의 위치 좌표와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의 위치 좌표를 측량기구(300) 및 공중이동체(200)를 이용하여 검출함으로써, 증강현실모드 실행 시 실제 제수변의 특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GNSS 위성
20: 관리자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
21: 일반회원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
100 측량 시스템
101: 상하수도 분석모듈
102: 안전관리모듈
103: 회원관리모듈
104: 위치안내모듈
105: 기준구역분리모듈
106: 증강현실모듈
107: 정비이력관리모듈
108: 민원처리모듈
200 무인비행체
210 제1 통신부
220 자세 제어부
230 센서부
240 촬영부
241 제1 촬영부
242 제2 촬영부
280 제1 수신기
290 제1 프로세서
300 측량장치
310 제2 통신부
320 광원부
380 제2 수신기
390 제2 프로세서
400 주제어기
501: 사고정보데이터베이스
502: 일반회원정보데이터베이스
503: 관리자정보데이터베이스
504: 제수변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
505: 지도정보데이터베이스
506: 제수변 데이터베이스
507: 관리정보데이터베이스
508: 민원정보데이터베이스
1000: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시스템

Claims (7)

  1. 상하수도 사고분석모듈이 제수변관리를 위해 분류된 기준구역에 위치하는 중심점의 위치좌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중심점에 설치된 제수변관리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 정보가 미리 정해 놓은 상하수도 사고 인지 범위 내에 들어오는 경우 사고정보를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사고분석단계;
    회원관리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자 모드 실행을 허용하는 관리자 로그인 단계;
    상기 상하수도 사고분석모듈로부터 수신된 기준점에 따라 기준구역을 특정하여 상기 특정된 기준구역 및 상기 중심점을 위치안내모듈로 전송하는 위치정보식별단계;
    상기 위치안내모듈이 상기 특정된 기준구역 및 중심점의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중심점의 선택을 입력 받는 중심점 특정단계;
    상기 위치안내모듈은 입력 받은 중심점을 목적지로 설정하고, 지도정보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지도정보 및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에 따라 이동경로를 분석하여,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 상기 중심점에 대한 길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길안내정보전송단계;
    상기 위치안내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가 상기 중심점 위치범위에 도달하면, 상기 중심점 정보를 증강현실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증강현실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실행신호를 수신하여 실행되는 증강현실모드 실행단계; 및
    상기 증강현실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전송 받은 사진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 위에 1 이상의 제수변의 관리번호를 포함하는 정보가 증강현실로 표시되는 증강현실 정보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시되게 하는 제수변 표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점의 위치좌표는 상기 중심점에 배치된 측량기구의 위치정보와 상기 측량기구의 상부 영역에 위치하는 공중비행체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상기 중심점의 위치좌표 또는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의 위치좌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중심점의 위치좌표 또는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의 위치좌표를 위치결정지점으로 지정하는 단계;
    측량기구가 상기 위치결정지점에 배치되어 GPS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결정지점의 제1 위치좌표를 결정하는 단계;
    공중비행체가 상기 측량기구로부터 상기 제1 위치좌표를 수신하고, GPS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위치좌표와 동일한 좌표 값인 제2 위치좌표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공중비행체의 배면에 설치되어 지상 영역을 촬영하는 촬영부가 상기 측량기구의 광원부가 턴온된 경우 및 광원부가 턴오프된 경우 각각에서 상기 측량 기구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광원부가 턴온된 상태에서 촬영된 이전 영상 프레임 및 상기 광원부가 턴오프된 상태에서 촬영된 현재 영상 프레임의 비교 동작을 복수 회 수행하는 단계;
    촬영 영상에서 상기 현재 및 이전 영상 프레임의 계조 값을 비교하여 기 설정치 이상의 계조 값의 차이가 발생하는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계조 값의 차이가 발생하는 영역이 촬영 영상의 중심 영역이 되도록 공중비행체가 이동하는 단계;
    상기 계조 값의 차이가 발생하는 영역이 촬영 영상의 중심 영역이 되면 상기 공중비행체는 GPS 정보에 기초하여 자신의 위치 정보인 제3 위치좌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공중비행체는 상기 제3 위치좌표를 상기 측량기구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측량기구는 수신된 상기 제3 위치좌표를 상기 위치결정지점의 위치좌표갓으로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에 표시된 1이상의 제수변 중 선택된 하나를 입력 받아 선택된 제수변의 관리번호를 정비이력관리모듈로 전송하는 정비이력요청단계; 및
    상기 정비이력관리모듈이 상기 관리번호에 따라 제수변을 특정하고 관리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제수변에 따라 구역별로 구분되어 저장된 상하수도 관리이력정보, 제수변 사용법, 특이사항을 포함한 제수변 관리이력정보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시되게 하는 제수변에 대한 관리이력정보표시단계; 를 더 포함하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비이력관리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은 관리자 및 정비내역을 포함하는 관리정보를 관리정보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관리이력업데이트 단계; 및
    상기 상하수도 사고분석모듈이 관리정보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관리정보를 사고 정보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사고 정보에 대한 평가를 입력 받아 상기 상하수도 사고 인지 범위가 조정되게 하는 사고분석학습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
  4. 삭제
  5. 삭제
  6. 상하수도 사고분석모듈이 제수변관리를 위해 분류된 기준구역에 위치하는 중심점에 설치된 제수변관리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 정보가 미리 정해 놓은 상하수도 사고 인지 범위 내에 들어오는 경우 사고정보를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사고분석단계;
    회원관리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자 모드 실행을 허용하는 관리자 로그인 단계;
    상기 상하수도 사고분석모듈로부터 수신된 기준점에 따라 기준구역을 특정하여 상기 특정된 기준구역 및 상기 중심점을 위치안내모듈로 전송하는 위치정보식별단계;
    상기 위치안내모듈이 상기 특정된 기준구역 및 중심점의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중심점의 선택을 입력 받는 중심점 특정단계;
    상기 위치안내모듈은 입력 받은 중심점을 목적지로 설정하고, 지도정보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지도정보 및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에 따라 이동경로를 분석하여,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 상기 중심점에 대한 길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길안내정보전송단계;
    상기 위치안내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가 상기 중심점 위치범위에 도달하면, 상기 중심점 정보를 증강현실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증강현실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실행신호를 수신하여 실행되는 증강현실모드 실행단계; 및
    상기 증강현실모듈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전송 받은 사진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 위에 1 이상의 제수변의 관리번호를 포함하는 정보가 증강현실로 표시되는 증강현실 정보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시되게 하는 제수변 표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길안내정보전송단계는,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가 거치된 위치정보와 측량기구의 상부 영역에 위치하는 공중비행체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의 위치좌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의 위치 좌표와 상기 중심점의 위치 좌표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의 이동 방향과 거리를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의 위치좌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의 위치좌표를 위치결정지점으로 지정하는 단계;
    측량기구가 상기 위치결정지점에 배치되어 GPS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결정지점의 제1 위치좌표를 결정하는 단계;
    공중비행체가 상기 측량기구로부터 상기 제1 위치좌표를 수신하고, GPS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위치좌표와 동일한 좌표 값인 제2 위치좌표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공중비행체의 배면에 설치되어 지상 영역을 촬영하는 촬영부가 상기 측량기구의 광원부가 턴온된 경우 및 광원부가 턴오프된 경우 각각에서 상기 측량 기구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광원부가 턴온된 상태에서 촬영된 이전 영상 프레임 및 상기 광원부가 턴오프된 상태에서 촬영된 현재 영상 프레임의 비교 동작을 복수 회 수행하는 단계;
    촬영 영상에서 상기 현재 및 이전 영상 프레임의 계조 값을 비교하여 기 설정치 이상의 계조 값의 차이가 발생하는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계조 값의 차이가 발생하는 영역이 촬영 영상의 중심 영역이 되도록 공중비행체가 이동하는 단계;
    상기 계조 값의 차이가 발생하는 영역이 촬영 영상의 중심 영역이 되면 상기 공중비행체는 GPS 정보에 기초하여 자신의 위치 정보인 제3 위치좌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공중비행체는 상기 제3 위치좌표를 상기 측량기구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측량기구는 수신된 상기 제3 위치좌표를 상기 위치결정지점의 위치좌표갓으로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
  7. 삭제
KR1020160053512A 2015-10-30 2016-04-29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 KR1017213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51600 2015-10-30
KR1020150151600 2015-10-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1364B1 true KR101721364B1 (ko) 2017-04-10

Family

ID=58581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512A KR101721364B1 (ko) 2015-10-30 2016-04-29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13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847B1 (ko) * 2018-11-30 2019-06-25 대한민국 이미지 기반으로 식별 가능한 gcp와 uav를 이용한 지리 데이터 취득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990B1 (ko) 2010-11-18 2011-06-29 주식회사 차후 증강 현실을 이용한 상하수도 관거 종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062361B1 (ko) 2011-04-22 2011-09-05 주식회사 유솔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상수도 누수 감지시스템
KR20130076224A (ko) 2011-12-28 2013-07-08 주식회사 윌네트 제수변 원격제어장치
KR20130140864A (ko) * 2011-04-14 2013-12-24 헥사곤 테크놀로지 센터 게엠베하 측정 시스템 및 새로운 포인트들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KR101547087B1 (ko) 2015-03-30 2015-08-25 김창영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990B1 (ko) 2010-11-18 2011-06-29 주식회사 차후 증강 현실을 이용한 상하수도 관거 종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40864A (ko) * 2011-04-14 2013-12-24 헥사곤 테크놀로지 센터 게엠베하 측정 시스템 및 새로운 포인트들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KR101062361B1 (ko) 2011-04-22 2011-09-05 주식회사 유솔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상수도 누수 감지시스템
KR20130076224A (ko) 2011-12-28 2013-07-08 주식회사 윌네트 제수변 원격제어장치
KR101547087B1 (ko) 2015-03-30 2015-08-25 김창영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847B1 (ko) * 2018-11-30 2019-06-25 대한민국 이미지 기반으로 식별 가능한 gcp와 uav를 이용한 지리 데이터 취득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7575B2 (en) Lidar to camera calibration for generating high definition maps
KR101187909B1 (ko) 감시 카메라 시스템
US991658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quality assessment of a field service operation based on dynamic assessment parameters
US9222771B2 (en) Acquisition of information for a construction site
US20170102467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cking an object
US20180189750A1 (en) Maintenance plan drafting support system, method, and program
EP2864804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improved position determination
US20140365259A1 (en) In-field installation record of a project
CN106412826A (zh) 基于多源信息融合的室内定位方法及定位装置
CN108133522A (zh) 一种管廊巡检方法及系统
KR20150114106A (ko) 증강현실기반 플랜트 현장운영자용 정보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US20220282967A1 (en) Method and mobil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elements of infrastructure of an underground line network
KR101522605B1 (ko) 주차장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A2838328A1 (en) Marking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including optical flow-based dead reckoning features
AU2009262952B9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quality assessment of a field service operation
KR101721364B1 (ko)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
Hammad et al. Potential of mobile augmented reality for infrastructure field tasks
CN109002054A (zh) 一种无人机排水管道测绘巡线系统及其巡线方法
KR102608741B1 (ko) 지피에스(gps)를 이용한 지하시설물 측량 조사시스템
CN108106604A (zh) 一种摄影测量用光学测量标志工作方法及装置
KR101547087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수변 관리 방법
JP2004109084A (ja) ケーブル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ケーブル位置情報管理方法並びにケーブル位置情報管理プログラム
US20200371255A1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and using a distance in dependence on matching constellation information
KR101774642B1 (ko) 점검자용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점검자용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JP202006772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