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906B1 - 핫멜트 글루건 - Google Patents

핫멜트 글루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906B1
KR101720906B1 KR1020160113117A KR20160113117A KR101720906B1 KR 101720906 B1 KR101720906 B1 KR 101720906B1 KR 1020160113117 A KR1020160113117 A KR 1020160113117A KR 20160113117 A KR20160113117 A KR 20160113117A KR 101720906 B1 KR101720906 B1 KR 101720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al force
force
guide
conveying member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지숙
Original Assignee
대구광역시 달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광역시 달서구 filed Critical 대구광역시 달서구
Priority to KR1020160113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9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23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provided with means to heat the material
    • B05C17/00526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provided with means to heat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supplied to the apparatus in a solid state, e.g. rod, and melted before application
    • B05C17/0053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provided with means to heat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supplied to the apparatus in a solid state, e.g. rod, and melted before application the driving means for the material being manual, mechanical or electrical
    • B05C17/00533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provided with means to heat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supplied to the apparatus in a solid state, e.g. rod, and melted before application the driving means for the material being manual, mechanical or electrical comprising a pis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05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lready applied to the surface, e.g. coating thickness, weight or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2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93Hand tools of the syring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1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anually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piston or the like
    • B05C17/0103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anually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piston or the like with electrically actuated piston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핫멜트 글루건이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핫멜트 글루건은 용융부, 이송부 및 동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용융부는 용융대상물을 제공받아 용융시킨 후 배출구로 배출한다.
상기 이송부는 회전력을 제공받아 상기 용융대상물을 상기 용융부의 주입구로 이송하거나 상기 용융부의 상기 주입구로부터 배출한다.
상기 동력부는 상기 회전력을 상기 이송부에 제공한다.
상기 이송부는 제1몸체 및 이송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1몸체는 상기 용융부와 상기 동력부 사이에 배치되며, 가이드부가 형성된다. 상기 이송체는 일면에 상기 용융대상물이 배치되며,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된다.
상기 동력부는 동력원 및 회전력전달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원은 상기 회전력을 생성한다. 상기 회전력전달부재는 상기 동력원이 생성하는 상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이송체가 상기 용융부 방향 또는 상기 동력부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몸체에 형성된다. 상기 회전력전달부재는 상기 이송체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력을 상기 이송체에 전달한다. 상기 이송체는 상기 회전력전달부재가 전달하는 상기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한다.
이 경우, 상기 회전력은 상기 이송체와 상기 회전력전달부재 사이의 마찰력, 상기 이송체의 상기 측면의 상기 적어도 일부와 상기 가이드부 사이의 마찰력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여 상기 이송체를 상기 용융부 방향 또는 상기 동력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직진력 및 상기 직진력에 수직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수직력으로 분리된다.
상기 이송체는 상기 직진력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용융부 방향 또는 상기 동력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용융대상물을 상기 용융부의 상기 주입구로 이송하거나 상기 용융부의 상기 주입구로부터 배출한다.

Description

핫멜트 글루건{hot melt glue gun}
본 발명은 핫멜트 글루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융대상물을 용융부에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고 정밀한 작업과 편안한 그립감을 제공하는 펜 타입의 핫멜트 글루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글루건은 몰딩(molding) 등의 건축 자재, 가구 등의 제조분야에서 부품과 부품을 접합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창문틀의 마감처리, 건물 벽체의 균열된 부분에 대한 충진 및 보수, 파손된 물품의 수리를 위한 접착의 용도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글루건의 종류로는 액상의 접착제를 직접 사용하는 방식의 글루건, 고체상태의 용융대상물을 가열하여 액상화시켜 사용하는 방식의 글루건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후자의 경우를 핫멜트 글루건이라 부르며, 액상 방식에 비하여 접착력이 우수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핫멜트 글루건에 사용되는 용융대상물은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열가소성수지의 소재로는 실리콘이 많이 사용된다. 고체상태의 실리콘은 실리콘 스틱이라고 불리우기도 한다.
글루건이라는 명칭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일반적으로 글루건은 총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총 형상의 글루건은 손잡이 측에 구비된 방아쇠의 당김 동작에 따라 고체상태의 용융대상물을 용융부에 가압 이송하고, 용융부에서는 용융대상물을 용융시켜 배출구인 노즐부로 배출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총 형상의 글루건은 정밀한 작업을 진행할 경우에 배출구와 손가락 그립부 사이의 거리가 멀어 정밀한 작업을 수행하기에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명세서에서는 정밀한 작업이 가능한 펜 타입의 핫멜트 글루건에 관한 기술을 제안한다. 글루건과 관련한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KR 10-0831333 “글루건”, 대한민국공개특허 KR 10-2000-0006901 “실리콘 접착제용 실링 건” 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정밀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펜 타입의 외형을 가지며, 사용자의 입력명령 또는 미리 프로그램된 방식에 따라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용융부로 이동할 수 있는 이송체를 통하여 용융대상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핫멜트 글루건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핫멜트 글루건이 개시(disclosure)된다. 상기 핫멜트 글루건은 용융부, 이송부 및 동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용융부는 용융대상물을 제공받아 용융시킨 후 배출구로 배출한다.
상기 이송부는 회전력을 제공받아 상기 용융대상물을 상기 용융부의 주입구로 이송하거나 상기 용융부의 상기 주입구로부터 배출한다.
상기 동력부는 상기 회전력을 상기 이송부에 제공한다.
상기 이송부는 제1몸체 및 이송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1몸체는 상기 용융부와 상기 동력부 사이에 배치되며, 가이드부가 형성된다. 상기 이송체는 일면에 상기 용융대상물이 배치되며,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된다.
상기 동력부는 동력원 및 회전력전달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원은 상기 회전력을 생성한다. 상기 회전력전달부재는 상기 동력원이 생성하는 상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이송체가 상기 용융부 방향 또는 상기 동력부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몸체에 형성된다. 상기 회전력전달부재는 상기 이송체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력을 상기 이송체에 전달한다. 상기 이송체는 상기 회전력전달부재가 전달하는 상기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한다.
이 경우, 상기 회전력은 상기 이송체와 상기 회전력전달부재 사이의 마찰력, 상기 이송체의 상기 측면의 상기 적어도 일부와 상기 가이드부 사이의 마찰력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여 상기 이송체를 상기 용융부 방향 또는 상기 동력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직진력 및 상기 직진력에 수직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수직력으로 분리된다.
상기 이송체는 상기 직진력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용융부 방향 또는 상기 동력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용융대상물을 상기 용융부의 상기 주입구로 이송하거나 상기 용융부의 상기 주입구로부터 배출한다.
한편, 상기 회전력전달부재는 봉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송체는 상기 이송체의 상기 일면 및 타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회전력전달부재는 상기 이송체의 상기 관통홀의 내면과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의 외면 사이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상기 이송체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송체의 상기 측면의 상기 적어도 일부와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에 상기 회전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서로 접하여 접촉면-이하 제1접촉면이라 함-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에 전달되는 상기 회전력은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에 상기 회전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송체의 상기 관통홀의 상기 내면과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의 상기 외면 사이의 상기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는 나사면-이하 제1나사면이라 함-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이하 제1나사마찰력이라 함- 및 상기 제1접촉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이하 제1접촉마찰력이라 함-에 의하여 상기 직진력 및 상기 수직력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이송체는 상기 직진력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용융부 방향 또는 상기 동력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몸체는 일면이 상기 이송체에 대향하며,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용융부 및 상기 동력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송체의 상기 측면의 상기 적어도 일부에는 제1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의 상기 일면에는 상기 가이드부로서 상기 제1몸체의 상기 일단 또는 상기 일단에 인접한 부분과 상기 제1몸체의 상기 타단 또는 상기 타단에 인접한 부분을 연결하는 연속된 형상의 제2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는 서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속될 수 있다.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에 상기 회전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는 서로 접하여 상기 제1접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에 전달되는 상기 회전력은 상기 제1나사마찰력 및 상기 제1접촉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직진력 및 상기 수직력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이송체는 상기 직진력에 의하여 상기 제1접촉면을 따라 상기 용융부 방향 또는 상기 동력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1몸체의 일단 및 타단은 각각 상기 용융부 및 상기 동력부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에는 상기 이송체가 상기 제1몸체의 상기 일단 및 상기 타단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로서 제1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채널의 내주면은 상기 이송체의 상기 측면의 상기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상기 제1채널의 상기 내주면은 상기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이송체의 회전중심에서 상기 제1채널의 상기 내주면까지의 거리가 서로 다른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체의 상기 회전중심에서 상기 제1채널의 상기 내주면 중 어느 한 내주면-이하 접촉내주면이라 함-까지의 거리는 상기 이송체의 상기 회전중심에서 상기 이송체의 상기 측면의 상기 적어도 일부까지의 거리보다 짧은 거리를 가짐으로써 상기 이송체의 상기 측면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이송체가 상기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채널의 상기 접촉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촉내주면은 상기 가이드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에 상기 회전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송체의 상기 측면의 상기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접촉내주면은 서로 접하여 상기 제1접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에 전달되는 상기 회전력은 상기 제1나사마찰력 및 상기 제1접촉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직진력 및 상기 수직력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이송체는 상기 직진력에 의하여 상기 접촉내주면을 따라 상기 용융부 방향 또는 상기 동력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1몸체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용융부 및 상기 동력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1가이드 및 제2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체의 상기 측면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가이드 및 상기 제2가이드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 및 상기 제2가이드 사이의 상기 공간은 상기 가이드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에 상기 회전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송체의 상기 측면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가이드 및 상기 제2가이드 사이의 상기 공간에서 회전하여 상기 제1가이드의 외주면 또는 상기 제2가이드의 외주면과 접하여 상기 제1접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에 전달되는 상기 회전력은 상기 제1나사마찰력 및 상기 제1접촉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직진력 및 상기 수직력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이송체는 상기 직진력에 의하여 상기 제1접촉면을 따라 상기 용융부 방향 또는 상기 동력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회전력전달부재는 상기 이송체와 상기 제1몸체 사이에 배치되며, 관형 또는 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에는 상기 이송체가 상기 용융부에서 상기 동력부 방향 또는 상기 동력부로부터 상기 용융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슬릿(slit)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체의 상기 측면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돌출 형상의 제3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체결부는 상기 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체결부와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에 상기 회전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서로 접하여 접촉면-이하 제2접촉면이라 함-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에 전달되는 상기 회전력은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에 상기 회전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슬릿과 상기 제3체결부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이하 제1슬릿마찰력이라 함- 및 상기 제2접촉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이하 제2접촉마찰력이라 함-에 의하여 상기 직진력 및 상기 수직력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이송체는 상기 직진력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용융부 방향 또는 상기 동력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몸체는 일면이 상기 이송체에 대항하며,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용융부 및 상기 동력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몸체의 상기 일면에는 상기 가이드부로서 상기 제1몸체의 상기 일단 또는 상기 일단에 인접한 부분과 상기 제1몸체의 상기 타단 또는 상기 타단에 인접한 부분을 연결하는 연속된 형상의 제4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체결부는 상기 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제4체결부와 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속될 수 있다.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에 상기 회전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3체결부와 상기 제4체결부는 서로 접하여 상기 제2접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에 전달되는 상기 회전력은 상기 제1슬릿마찰력 및 상기 제2접촉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직진력 및 상기 수직력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이송체는 상기 직진력에 의하여 상기 제2접촉면을 따라 상기 용융부 방향 또는 상기 동력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1몸체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용융부 및 상기 동력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3가이드 및 제4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체결부는 상기 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제3가이드 및 상기 제4가이드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가이드 및 상기 제4가이드 사이의 상기 공간은 상기 가이드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에 상기 회전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3체결부는 상기 제3가이드 및 상기 제4가이드 사이의 상기 공간에서 회전하여 상기 제3가이드의 외주면 또는 상기 제4가이드의 외주면과 접하여 상기 제2접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에 전달되는 상기 회전력은 상기 제1슬릿마찰력 및 상기 제2접촉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직진력 및 상기 수직력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이송체는 상기 직진력에 의하여 상기 제2접촉면을 따라 상기 용융부 방향 또는 상기 동력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동력원은 상기 제1몸체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력을 생성하는 동력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력전달부재는 상기 회전부와 결합하여 상기 동력생성부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회전부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상기 동력생성부가 생성하는 상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동력생성부는 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전동기 및 사용자의 입력명령 또는 미리 프로그램된 방식에 따라 상기 전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전동기의 회전축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전동기의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핫멜트 글루건은 펜 타입의 외형을 가짐으로써 작업자가 정밀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핫멜트 글루건은 사용자의 입력명령 또는 미리 프로그램된 방식에 따라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용융부로 이동할 수 있는 이송체를 통하여 용융대상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연속적인 접합작업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핫멜트 글루건의 개념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핫멜트 글루건의 다양한 변형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어지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배치"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체결"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체결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결합"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결합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없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핫멜트 글루건의 개념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핫멜트 글루건의 다양한 변형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의 (a)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b)는 도 2의 (a)의 BB’평면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b)는 도 3의 (a)의 BB’평면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4의 (a)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핫멜트 글루건의 다른 개념도이며, (b)는 도 4의 (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c)는 도 4의 (b)의 BB’평면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5의 (a)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b)는 도 5의 (a)의 점선 사각형으로 표시한 부분을 기준으로 본 기술의 구성요소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핫멜트 글루건(100)은 용융부(110), 이송부(120) 및 동력부(130)를 포함한다. 핫멜트 글루건(10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사용자가 손에 쥐고 정밀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펜 타입의 외형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부(110)는 용융대상물(10)을 제공받아 용융시킨 후 배출구(112)로 배출한다.
이송부(120)는 회전력을 제공받아 용융대상물(10)을 용융부(110)의 주입구(114)로 이송하거나 용융부(110)의 주입구(114)로부터 배출한다. 용융부(110)의 주입구(114)로 주입된 용융대상물(10)은 발열부(116)에 의하여 가열되어 용융된다. 발열부(116)는 사용자의 입력명령 또는 미리 프로그램된 방식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발열부(116)는 예로서 전기 저항방식을 이용하는 저항발열체일 수 있다. 저항발열체로는 철, 크롬, 니켈 등의 금속소재를 사용하는 금속발열체 또는 세라믹, 탄소소재 등의 비금속소재를 사용하는 비금속발열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발열부(116)로서 선상 또는 면상 발열체가 사용될 수 있다. 발열부(116)의 종류와 관련한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발열할 수 있는 한 발열부(116)로서 다양한 종류의 발열체가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발열부(116)는 용융대상물(10)이 이동하는 용융부(110)의 이동통로의 내벽 또는 내벽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용융부(110)의 상기 이동통로를 통하여 유입되는 용융대상물(10)을 가열하여 용융대상물(10)을 용융할 수 있다.
동력부(130)는 상기 회전력을 이송부(120)에 제공한다.
한편, 도 2 내지 도 5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부(120)는 제1몸체(122) 및 이송체(124)를 포함한다. 제1몸체(122)는 용융부(110)와 동력부(130) 사이에 배치되며, 가이드부(122a)가 형성된다. 제1몸체(122)는 용융부(110), 동력부(130)와 각각 착탈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송체(124)는 일면에 용융대상물(10)이 배치되며, 측면의 적어도 일부(124a)가 가이드부(122a)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부(122a)와 연결된다. 제1몸체(122)와 용융부(110), 제1몸체(122)와 동력부(130) 간의 착탈가능한 결합을 통하여 용융대상물(10)은 이송체(124)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도면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체(124)의 상기 일면에는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용융대상물(10)의 일측은 이송체(124)의 상기 일면에 형성된 상기 함몰부에 안착됨으로써 이송체(124)의 상기 일면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동력부(130)는 동력원(132) 및 회전력전달부재(134)를 포함한다. 동력원(132)은 상기 회전력을 생성한다. 회전력전달부재(134)는 동력원(132)이 생성하는 상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동력원(132)은 회전부(132a) 및 동력생성부(132b)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132a)는 제1몸체(122)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일례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부(132a)와 제1몸체(122)의 회동 가능한 결합은 다음의 과정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회전부(132a)와 대향하는 제1몸체(122)의 대향면에 반지 형상으로 함몰된 회전가이드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레일의 내측 벽면에는 상기 회전가이드레일의 내주면 또는 원주면을 따라 함몰형상으로 회전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몸체(122)의 상기 대향면에 대향하는 회전부(132a)의 대향면에는 상기 회전가이드레일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측면에는 상기 회전가이드부에 삽입될 수 있는 추가적인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132a)와 제1몸체(122)의 회동 가능한 결합은 상기 회전가이드레일에 상기 돌출부를 삽입하고, 상기 추가적인 돌출부가 상기 회전가이드부에 삽입되는 과정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후, 회전부(132a)와 제1몸체(122)의 회동 가능한 결합을 통하여 회전부(132a)는 제1몸체(122)에 대하여 상대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동력생성부(132b)는 회전부(132a)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력전달부재(134)는 회전부(132a)와 결합하여 동력생성부(132b)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부(132a)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동력생성부(132b)가 생성하는 상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일례로, 동력생성부(132b)는 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전동기(132b-1) 및 사용자의 입력명령 또는 미리 프로그램된 방식에 따라 전동기(132b-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132a)는 전동기(132b-1)의 회전축(132b-1a)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전동기(132b-1)의 회전축(132b-1a)으로부터 상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전동기(132b-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입력명령을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기 위한 스위치(118)가 용융부(110) 또는 이송부(110)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용융부(110)의 외면에 배치된 스위치(118)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사용자는 스위치(118)를 접촉하거나 스위치(118)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전동기(132b-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가이드부(122a)는 이송체(124)가 용융부(110) 방향 또는 동력부(130)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제1몸체(122)에 형성된다.
회전력전달부재(134)는 이송체(124)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력을 이송체(124)에 전달한다.
이송체(124)는 회전력전달부재(134)가 전달하는 상기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한다. 이 경우, 상기 회전력은 이송체(124)와 회전력전달부재(134) 사이의 마찰력, 이송체(124)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124a)와 가이드부(122a) 사이의 마찰력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여 이송체(124)를 용융부(110) 방향 또는 동력부(13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직진력 및 상기 직진력에 수직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수직력으로 분리된다. 이송체(124)는 상기 직진력에 의하여 가이드부(122a)를 따라 용융부(110) 방향 또는 동력부(130)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용융대상물(10)을 용융부(110)의 주입구(114)로 이송하거나 용융부(110)의 주입구(114)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도 2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력전달부재(134)는 봉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송체(124)는 이송체(124)의 일면 및 타면을 관통하는 관통홀(124b)을 가질 수 있다. 도 2의 (a)에서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력전달부재(134)는 이송체(124)의 관통홀(124b)의 내면과 회전력전달부재(134)의 외면 사이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이송체(124)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의 (b)에서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체(124)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124a)와 가이드부(122a)는 회전력전달부재(134)에 상기 회전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서로 접하여 접촉면-이하 제1접촉면(124c)이라 함-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력전달부재(134)에 전달되는 상기 회전력은 회전력전달부재(134)에 상기 회전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이송체(124)의 관통홀(124b)의 상기 내면과 회전력전달부재(134)의 상기 외면 사이의 상기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는 나사면-이하 제1나사면(124d)이라 함-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이하 제1나사마찰력이라 함- 및 제1접촉면(124c)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이하 제1접촉마찰력이라 함-에 의하여 상기 직진력 및 상기 수직력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송체(124)는 상기 직진력에 의하여 가이드부(122a)를 따라 용융부(110) 방향 또는 동력부(13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회전력전달부재(134)는 동력부(130)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봉 형상의 회전력전달부재(134)는 이송체(124)와 관통홀(124b)을 통하여 서로 나사결합되고, 제1나사면(124d)을 통하여 회전력전달부재(134)와 이송체(124)는 서로 접촉하므로 회전력전달부재(134)가 회전할 경우에 제1나사면(124d)에서의 마찰력에 의하여 이송체(124)도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접촉면(124c)에서 이송체(124)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124a)가 가이드부(122a)와 접하게 된다. 일례로, 이송체(124)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124a)와 가이드부(122a)가 서로 수직으로 접하는 경우에는 회전력전달부재(134)에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하여 제1나사면(124d)에서 생성되는 용융부(110) 방향 또는 동력부(130) 방향의 힘에 의하여 이송체(124)는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송체(124)는 회전하지 않고 직진 이동을 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직진력만 생성된다. 다른 예로, 이송체(124)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124a)와 가이드부(122a)가 서로 소정의 각도로 접하는 경우에는 회전력전달부재(134)에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하여 제1나사면(124d)에서 생성되는 용융부(110) 방향 또는 동력부(130) 방향의 힘 및 용융부(110) 방향 또는 동력부(130) 방향의 상기 힘에 수직한 방향의 힘에 의하여 이송체(124)는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송체(124)는 회전하면서 직진 이동을 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직진력과 수직력이 동시에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이송체(124)는 상기 직진력에 의하여 가이드부(122a)를 따라 용융부(110) 방향 또는 동력부(13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핫멜트 글루건(100)은 용융부(110)의 주입구(114)로 용융대상물(10)을 이송하거나 용융부(110)의 주입구(114)로부터 용융대상물(10)을 배출할 수 있다.
일례로, 도 2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몸체(122)는 일면이 이송체(124)에 대향하며,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용융부(110) 및 동력부(130)에 의하여 지지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몸체(122)에는 이송체(124)가 제1몸체(122)의 상기 일단 및 상기 타단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로서 채널(122b)이 형성될 수 있다. 이송체(124)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124a)에는 제1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몸체(122)의 상기 일면에는 가이드부(122a)로서 제1몸체(122)의 상기 일단 또는 상기 일단에 인접한 부분과 제1몸체(122)의 상기 타단 또는 상기 타단에 인접한 부분을 연결하는 연속된 형상의 제2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는 서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속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력전달부재(134)에 상기 회전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는 서로 접하여 제1접촉면(124c)을 형성할 수 있다. 회전력전달부재(134)에 전달되는 상기 회전력은 상기 제1나사마찰력 및 상기 제1접촉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직진력 및 상기 수직력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송체(124)는 상기 직진력에 의하여 제1접촉면(124c)을 따라 용융부(110) 방향 또는 동력부(13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로서 각각 이송체(124)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124a)에서 돌출된 형상의 돌기 구조 및 제1몸체(122)의 상기 일면에 함몰된 형상의 홈 구조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르게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달리,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로서 각각 이송체(124)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124a)에서 함몰된 형상의 홈 구조 및 제1몸체(122)의 상기 일면에서 돌출된 형상의 돌기 구조가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용융부(110) 방향에서 동력부(130) 방향 또는 동력부(130) 방향에서 용융부(110)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의 구조를 가지는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르게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달리,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는 용융부(110) 방향에서 동력부(130) 방향 또는 동력부(130) 방향에서 용융부(110) 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선 형상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이송체(124)에 대향하여 이송체(124)를 전부 감싸는 형상의 제1몸체(122)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르게는, 제1몸체(122)는 이송체(124)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상일 수 있다. 이송체(124)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상의 제1몸체(122)의 형상으로는 하프파이프(half-pipe) 형상을 예로 들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몸체(122)는 제1몸체(122)의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용융부(110) 및 동력부(130)에 의하여 지지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몸체(122)에는 이송체(124)가 제1몸체(122)의 상기 일단 및 상기 타단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로서 제1채널(122b')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채널(122b')의 내주면은 이송체(124)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124a')를 감쌀 수 있다. 제1채널(122b')의 상기 내주면은 상기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이송체(124)의 회전중심에서 제1채널(122b')의 상기 내주면까지의 거리가 서로 다른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송체(124)의 상기 회전중심에서 제1채널(122b')의 상기 내주면 중 어느 한 내주면-이하 접촉내주면(122b'-1)이라 함-까지의 거리는 이송체(124)의 상기 회전중심에서 이송체(124)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124a')까지의 거리보다 짧은 거리를 가짐으로써 이송체(124)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124a')는 이송체(124)가 상기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채널(122b')의 접촉내주면(122b'-1)에 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촉내주면(122b'-1)은 가이드부(122a)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회전력전달부재(134)에 상기 회전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이송체(124)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124a')와 접촉내주면(122b'-1)은 서로 접하여 제1접촉면(124c)을 형성할 수 있다. 회전력전달부재(134)에 전달되는 상기 회전력은 상기 제1나사마찰력 및 상기 제1접촉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직진력 및 상기 수직력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송체(124)는 상기 직진력에 의하여 접촉내주면(122b'-1)을 따라 용융부(110) 방향 또는 동력부(13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면에는 내부에 이송체(124)가 이동할 수 있는 제1채널(122b')을 가지며, 이송체(124)를 전부 감싸는 관 형의 제1몸체(122)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르게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달리, 제1몸체(122)로서 이송체(124)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124a')를 감싸는 형상의 구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송체(124)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124a')를 감싸는 형상의 제1몸체(122)의 형상으로는 하프파이프(half-pipe) 형상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단면이 사각형인 제1채널(122b')이 내부에 형성된 제1몸체(122)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르게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달리, 제1몸체(122) 내부의 제1채널(122b')은 단면이 원형, 다각형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한 이송체(124)의 형상, 제1채널(122b')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또 다른 예로, 도 4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몸체(122)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용융부(110) 및 동력부(130)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1가이드(122-1) 및 제2가이드(1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122-1) 및 제2가이드(122-2)는 예로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 형상일 수 있다. 이송체(124)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124a)는 제1가이드(122-1) 및 제2가이드(122-2) 사이의 공간(122-3)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가이드(122-1) 및 제2가이드(122-2) 사이의 공간(122-3)은 가이드부(122a)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회전력전달부재(134)에 상기 회전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이송체(124)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124a)는 제1가이드(122-1) 및 제2가이드(122-2) 사이의 공간(122-3)에서 회전하여 제1가이드(122-1)의 외주면 또는 제2가이드(122-2)의 외주면과 접하여 제1접촉면(124c)을 형성할 수 있다. 회전력전달부재(134)에 전달되는 상기 회전력은 상기 제1나사마찰력 및 상기 제1접촉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직진력 및 상기 수직력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송체(124)는 상기 직진력에 의하여 제1접촉면(124c)을 따라 용융부(110) 방향 또는 동력부(13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제1가이드(122-1) 및 제2가이드(122-2)는 지지부(122-4)에 연결될 수 있다. 동력부(130)는 지지부(122-4)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동력원(132)이 생성하는 상기 회전력을 회전력전달부재(134)에 제공해 줄 수도 있다. 즉, 회전부(132a)는 지지부(122-4)와의 회동가능한 결합을 통하여 제1몸체(122)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면에는 두 쌍의 제1가이드(122-1) 및 제2가이드(122-2)를 포함하는 제1몸체(122)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르게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달리, 제1몸체(122)는 한 쌍의 제1가이드(122-1) 및 제2가이드(122-2) 또는 세 쌍 이상의 제1가이드(122-1) 및 제2가이드(122-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용융부(110) 방향에서 동력부(130) 방향 또는 동력부(130) 방향에서 용융부(110)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의 구조를 가지는 제1가이드(122-1) 및 제2가이드(122-2)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르게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달리, 제1가이드(122-1) 및 제2가이드(122-2)는 용융부(110) 방향에서 동력부(130) 방향 또는 동력부(130) 방향에서 용융부(110) 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선 형상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단면이 원형인 제1가이드(122-1) 및 제2가이드(122-2)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르게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달리, 제1가이드(122-1) 및 제2가이드(122-2)는 단면이 원형, 다각형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한 제1가이드(122-1) 및 제2가이드(122-2)의 형상, 제1채널(122b')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도 5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력전달부재(134')는 이송체(124)와 제1몸체(122) 사이에 배치되며, 관형 또는 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는 관형의 회전력전달부재(134')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회전력전달부재(134')에는 이송체(124)가 용융부(110)에서 동력부(130) 방향 또는 동력부(130)로부터 용융부(11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슬릿(slit)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용융부(110) 방향에서 동력부(130) 방향 또는 동력부(130) 방향에서 용융부(110)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의 구조를 가지는 슬릿(slit)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르게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달리, 슬릿(slit)은 용융부(110) 방향에서 동력부(130) 방향 또는 동력부(130) 방향에서 용융부(110) 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선 형상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송체(124)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124a)는 돌출 형상의 제3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체결부는 슬릿(slit)을 통과하여 가이드부(122a)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부(122a)와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는 용융부(110) 방향에서 동력부(130) 방향 또는 동력부(130) 방향에서 용융부(110) 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선 형상의 구조를 가지는 가이드부(122a)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르게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달리, 가이드부(122a)는 용융부(110) 방향에서 동력부(130) 방향 또는 동력부(130) 방향에서 용융부(110)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제3체결부와 가이드부(122a)는 회전력전달부재(134')에 상기 회전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서로 접하여 접촉면-이하 제2접촉면(124e)이라 함-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력전달부재(134')에 전달되는 상기 회전력은 회전력전달부재(134')에 상기 회전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슬릿(slit)과 상기 제3체결부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이하 제1슬릿마찰력이라 함- 및 제2접촉면(124e)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이하 제2접촉마찰력이라 함-에 의하여 상기 직진력 및 상기 수직력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송체(124)는 상기 직진력에 의하여 가이드부(122a)를 따라 용융부(110) 방향 또는 동력부(13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회전력전달부재(134')는 동력부(130)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관형 또는 판형의 회전력전달부재(134')는 이송체(124) 즉, 상기 제3체결부와 슬릿(slit)을 통하여 서로 접촉하고, 이송체(124)는 상기 제3체결부를 통하여 가이드부(122a)와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력전달부재(134')가 회전할 경우에 상기 제3체결부와 슬릿(slit) 간의 상기 제1슬릿마찰력에 의하여 이송체(124)도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2접촉면(124e)에서 상기 제3체결부가 가이드부(122a)와 접하게 된다. 일례로, 상기 제3체결부와 가이드부(122a)가 서로 수직으로 접하고 슬릿(slit)이 나선 형상의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는 회전력전달부재(134')에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하여 상기 제3체결부의 측면과 슬릿(slit)의 내면과의 접촉면에서 생성되는 용융부(110) 방향 또는 동력부(130) 방향의 힘에 의하여 이송체(124)는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송체(124)는 회전하지 않고 직진 이동을 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직진력만 생성된다. 다른 예로, 상기 제3체결부와 가이드부(122a)가 서로 소정의 각도로 접하는 경우에는 회전력전달부재(134')에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하여 제2접촉면(124e)에서 생성되는 용융부(110) 방향 또는 동력부(130) 방향의 힘 및 용융부(110) 방향 또는 동력부(130) 방향의 상기 힘에 수직한 방향의 힘에 의하여 이송체(124)는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송체(124)는 회전하면서 직진 이동을 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직진력과 수직력이 동시에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이송체(124)는 상기 직진력에 의하여 가이드부(122a)를 따라 용융부(110) 방향 또는 동력부(13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핫멜트 글루건(100)은 용융부(110)의 주입구(114)로 용융대상물(10)을 이송하거나 용융부(110)의 주입구(114)로부터 용융대상물(10)을 배출할 수 있다.
일례로, 도 5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몸체(122)는 일면이 이송체(124)에 대항하며,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용융부(110) 및 동력부(130)에 의하여 지지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몸체(122)의 상기 일면에는 가이드부(122a)로서 제1몸체(122)의 상기 일단 또는 상기 일단에 인접한 부분과 제1몸체(122)의 상기 타단 또는 상기 타단에 인접한 부분을 연결하는 연속된 형상의 제4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체결부는 슬릿(slit)을 통과하여 상기 제4체결부와 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속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력전달부재(134')에 상기 회전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3체결부와 상기 제4체결부는 서로 접하여 제2접촉면(124e)을 형성할 수 있다. 회전력전달부재(134')에 전달되는 상기 회전력은 상기 제1슬릿마찰력 및 상기 제2접촉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직진력 및 상기 수직력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송체(124)는 상기 직진력에 의하여 제2접촉면(124e)을 따라 용융부(110) 방향 또는 동력부(13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면에는 내부에 이송체(124)가 이동할 수 있는 제2채널(122b'')을 가지며, 이송체(124)를 전부 감싸는 관 형의 제1몸체(122)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르게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달리, 제1몸체(122)로서 상기 제3체결부를 감싸는 형상의 구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제3체결부를 감싸는 형상의 제1몸체(122)의 형상으로는 하프파이프(half-pipe) 형상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제3체결부가 상기 제4체결부와 체결될 수 있는 한 제1몸체(122)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도면에는 내부에 이송체(124)가 이동할 수 있는 제3채널(134a)을 가지며, 이송체(124)를 전부 감싸는 관 형의 회전력전달부재(134')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르게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달리, 회전력전달부재(134')로서 상기 제3체결부가 통과하는 슬릿(slit)을 구비하는 임의의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회전력전달부재(134')로서 상기 제3체결부가 통과하는 슬릿(slit)을 구비하는 하프파이프(half-pipe) 형상의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몸체(122)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용융부(110) 및 동력부(130)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3가이드(미도시) 및 제4가이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체결부는 슬릿(slit)을 통과하여 상기 제3가이드 및 상기 제4가이드 사이의 공간(미도시)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가이드 및 상기 제4가이드 사이의 상기 공간은 가이드부(122a)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회전력전달부재(134')에 상기 회전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3체결부는 상기 제3가이드 및 상기 제4가이드 사이의 상기 공간에서 회전하여 상기 제3가이드의 외주면 또는 상기 제4가이드의 외주면과 접하여 제2접촉면(124e)을 형성할 수 있다. 회전력전달부재(134')에 전달되는 상기 회전력은 상기 제1슬릿마찰력 및 상기 제2접촉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직진력 및 상기 수직력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송체(124)는 상기 직진력에 의하여 제2접촉면(124e)을 따라 용융부(110) 방향 또는 동력부(13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3가이드 및 상기 제4가이드에 의한 이송체(124)의 이동은 도 4 및 도 5와 이들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유추할 수 있으므로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동력부(130)에는 토크센서(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크센서는 동력원(132)이 상기 회전력을 생성하여 회전력전달부재(134)에 인가하는 과정에서 동력원(132)에 생성되는 토크를 감지할 수 있다. 용융부(110)의 배출구(112)로 배출되는 용융된 용융대상물(10)에 비하여 용융부(110)의 주입구(114)로 이송되는 용융대상물(10)의 부피 또는 양이 많아질 경우에 동력부(130)에는 과부하가 걸릴 수 있다. 상기 토크센서를 통하여 토크를 감지하여 기준 토크 이상의 토크가 동력원(132)에서 생성될 경우에 동력부(130)의 동작을 멈춤으로써 과부하로 인한 동력부(1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과부하로 인한 동력부(130)의 동작의 제어는 앞서 언급한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크센서가 감지한 토크와 상기 기준 토크를 비교한 후 상기 토크센서가 감지한 토크가 상기 기준 토크를 초과하는 경우 동력부(130)의 동작을 멈춤으로써 동력부(130)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러 실시 예들을 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핫멜트 글루건(100)은 펜 타입의 외형을 가짐으로써 작업자가 정밀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핫멜트 글루건(100)은 사용자의 입력명령 또는 미리 프로그램된 방식에 따라 동력부(130)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용융부(110)로 이동할 수 있는 이송체(124)를 통하여 용융대상물(10)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연속적인 접합작업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10 : 용융대상물
100 : 핫멜트 글루건
110 : 용융부
112 : 배출구
114 : 주입구
116 : 발열부
118 : 스위치
120 : 이송부
122 : 제1몸체
122a : 가이드부
122-1 : 제1가이드
122-2 : 제2가이드
122-3 : 공간
122-4 : 지지부
124 : 이송체
124a, 124a' : 이송체 측면의 적어도 일부
122b : 채널
122b' : 제1채널
122b'-1 : 접촉내주면
122b'' : 제2채널
124b : 이송체의 관통홀
124c : 제1접촉면
124d : 제1나사면
124e : 제2접촉면
130 : 동력부
132 : 동력원
132a : 회전부
132b : 동력생성부
132b-1 : 전동기
132b-1a : 전동기의 회전축
132b-2 : 제어부(미도시)
134, 134' : 회전력전달부재
134a : 제3채널

Claims (10)

  1. 용융대상물을 제공받아 용융시킨 후 배출구로 배출하는 용융부;
    회전력을 제공받아 상기 용융대상물을 상기 용융부의 주입구로 이송하거나 상기 용융부의 상기 주입구로부터 배출하는 이송부; 및
    상기 회전력을 상기 이송부에 제공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용융부와 상기 동력부 사이에 배치되며,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제1몸체; 및
    일면에 상기 용융대상물이 배치되며,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되는 이송체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부는
    상기 회전력을 생성하는 동력원; 및
    상기 동력원이 생성하는 상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는 회전력전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이송체가 상기 용융부 방향 또는 상기 동력부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력전달부재는 상기 이송체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력을 상기 이송체에 전달하며,
    상기 이송체는 상기 회전력전달부재가 전달하는 상기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되,
    상기 회전력은 상기 이송체와 상기 회전력전달부재 사이의 마찰력, 상기 이송체의 상기 측면의 상기 적어도 일부와 상기 가이드부 사이의 마찰력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여 상기 이송체를 상기 용융부 방향 또는 상기 동력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직진력 및 상기 직진력에 수직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수직력으로 분리되며,
    상기 이송체는 상기 직진력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용융부 방향 또는 상기 동력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용융대상물을 상기 용융부의 상기 주입구로 이송하거나 상기 용융부의 상기 주입구로부터 배출하며,
    상기 회전력전달부재는 상기 이송체와 상기 제1몸체 사이에 배치되며, 관형 또는 판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에는 상기 이송체가 상기 용융부에서 상기 동력부 방향 또는 상기 동력부로부터 상기 용융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슬릿(slit)이 형성되며,
    상기 이송체의 상기 측면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돌출 형상의 제3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체결부는 상기 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3체결부와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에 상기 회전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서로 접하여 접촉면-이하 제2접촉면이라 함-을 형성하되,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에 전달되는 상기 회전력은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에 상기 회전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슬릿과 상기 제3체결부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이하 제1슬릿마찰력이라 함- 및 상기 제2접촉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이하 제2접촉마찰력이라 함-에 의하여 상기 직진력 및 상기 수직력으로 분리되며,
    상기 이송체는 상기 직진력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용융부 방향 또는 상기 동력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핫멜트 글루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는 일면이 상기 이송체에 대항하며,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용융부 및 상기 동력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몸체의 상기 일면에는 상기 가이드부로서 상기 제1몸체의 상기 일단 또는 상기 일단에 인접한 부분과 상기 제1몸체의 상기 타단 또는 상기 타단에 인접한 부분을 연결하는 연속된 형상의 제4체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3체결부는 상기 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제4체결부와 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속되며,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에 상기 회전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3체결부와 상기 제4체결부는 서로 접하여 상기 제2접촉면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에 전달되는 상기 회전력은 상기 제1슬릿마찰력 및 상기 제2접촉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직진력 및 상기 수직력으로 분리되며,
    상기 이송체는 상기 직진력에 의하여 상기 제2접촉면을 따라 상기 용융부 방향 또는 상기 동력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핫멜트 글루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용융부 및 상기 동력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3가이드 및 제4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3체결부는 상기 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제3가이드 및 상기 제4가이드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3가이드 및 상기 제4가이드 사이의 상기 공간은 상기 가이드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에 상기 회전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3체결부는 상기 제3가이드 및 상기 제4가이드 사이의 상기 공간에서 회전하여 상기 제3가이드의 외주면 또는 상기 제4가이드의 외주면과 접하여 상기 제2접촉면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에 전달되는 상기 회전력은 상기 제1슬릿마찰력 및 상기 제2접촉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직진력 및 상기 수직력으로 분리되며,
    상기 이송체는 상기 직진력에 의하여 상기 제2접촉면을 따라 상기 용융부 방향 또는 상기 동력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핫멜트 글루건.
  4. 용융대상물을 제공받아 용융시킨 후 배출구로 배출하는 용융부;
    회전력을 제공받아 상기 용융대상물을 상기 용융부의 주입구로 이송하거나 상기 용융부의 상기 주입구로부터 배출하는 이송부; 및
    상기 회전력을 상기 이송부에 제공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용융부와 상기 동력부 사이에 배치되며,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제1몸체; 및
    일면에 상기 용융대상물이 배치되며,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되는 이송체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부는
    상기 회전력을 생성하는 동력원; 및
    상기 동력원이 생성하는 상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는 회전력전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이송체가 상기 용융부 방향 또는 상기 동력부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력전달부재는 상기 이송체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력을 상기 이송체에 전달하며,
    상기 이송체는 상기 회전력전달부재가 전달하는 상기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되,
    상기 회전력은 상기 이송체와 상기 회전력전달부재 사이의 마찰력, 상기 이송체의 상기 측면의 상기 적어도 일부와 상기 가이드부 사이의 마찰력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여 상기 이송체를 상기 용융부 방향 또는 상기 동력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직진력 및 상기 직진력에 수직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수직력으로 분리되며,
    상기 이송체는 상기 직진력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용융부 방향 또는 상기 동력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용융대상물을 상기 용융부의 상기 주입구로 이송하거나 상기 용융부의 상기 주입구로부터 배출하며,
    상기 회전력전달부재는 봉 형상을 가지며,
    상기 이송체는 상기 이송체의 상기 일면 및 타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회전력전달부재는 상기 이송체의 상기 관통홀의 내면과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의 외면 사이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상기 이송체와 연결되며,
    상기 이송체의 상기 측면의 상기 적어도 일부와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에 상기 회전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서로 접하여 접촉면-이하 제1접촉면이라 함-을 형성하되,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에 전달되는 상기 회전력은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에 상기 회전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송체의 상기 관통홀의 상기 내면과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의 상기 외면 사이의 상기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는 나사면-이하 제1나사면이라 함-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이하 제1나사마찰력이라 함- 및 상기 제1접촉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이하 제1접촉마찰력이라 함-에 의하여 상기 직진력 및 상기 수직력으로 분리되며,
    상기 이송체는 상기 직진력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용융부 방향 또는 상기 동력부 방향으로 이동하되,
    상기 제1몸체의 일단 및 타단은 각각 상기 용융부 및 상기 동력부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제1몸체에는 상기 이송체가 상기 제1몸체의 상기 일단 및 상기 타단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로서 제1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제1채널의 내주면은 상기 이송체의 상기 측면의 상기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상기 제1채널의 상기 내주면은 상기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이송체의 회전중심에서 상기 제1채널의 상기 내주면까지의 거리가 서로 다른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송체의 상기 회전중심에서 상기 제1채널의 상기 내주면 중 어느 한 내주면-이하 접촉내주면이라 함-까지의 거리는 상기 이송체의 상기 회전중심에서 상기 이송체의 상기 측면의 상기 적어도 일부까지의 거리보다 짧은 거리를 가짐으로써 상기 이송체의 상기 측면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이송체가 상기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채널의 상기 접촉내주면에 밀착되되,
    상기 접촉내주면은 상기 가이드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에 상기 회전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송체의 상기 측면의 상기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접촉내주면은 서로 접하여 상기 제1접촉면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에 전달되는 상기 회전력은 상기 제1나사마찰력 및 상기 제1접촉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직진력 및 상기 수직력으로 분리되며,
    상기 이송체는 상기 직진력에 의하여 상기 접촉내주면을 따라 상기 용융부 방향 또는 상기 동력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핫멜트 글루건.
  5. 용융대상물을 제공받아 용융시킨 후 배출구로 배출하는 용융부;
    회전력을 제공받아 상기 용융대상물을 상기 용융부의 주입구로 이송하거나 상기 용융부의 상기 주입구로부터 배출하는 이송부; 및
    상기 회전력을 상기 이송부에 제공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용융부와 상기 동력부 사이에 배치되며,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제1몸체; 및
    일면에 상기 용융대상물이 배치되며,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되는 이송체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부는
    상기 회전력을 생성하는 동력원; 및
    상기 동력원이 생성하는 상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는 회전력전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이송체가 상기 용융부 방향 또는 상기 동력부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력전달부재는 상기 이송체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력을 상기 이송체에 전달하며,
    상기 이송체는 상기 회전력전달부재가 전달하는 상기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되,
    상기 회전력은 상기 이송체와 상기 회전력전달부재 사이의 마찰력, 상기 이송체의 상기 측면의 상기 적어도 일부와 상기 가이드부 사이의 마찰력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여 상기 이송체를 상기 용융부 방향 또는 상기 동력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직진력 및 상기 직진력에 수직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수직력으로 분리되며,
    상기 이송체는 상기 직진력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용융부 방향 또는 상기 동력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용융대상물을 상기 용융부의 상기 주입구로 이송하거나 상기 용융부의 상기 주입구로부터 배출하며,
    상기 회전력전달부재는 봉 형상을 가지며,
    상기 이송체는 상기 이송체의 상기 일면 및 타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회전력전달부재는 상기 이송체의 상기 관통홀의 내면과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의 외면 사이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상기 이송체와 연결되며,
    상기 이송체의 상기 측면의 상기 적어도 일부와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에 상기 회전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서로 접하여 접촉면-이하 제1접촉면이라 함-을 형성하되,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에 전달되는 상기 회전력은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에 상기 회전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송체의 상기 관통홀의 상기 내면과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의 상기 외면 사이의 상기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는 나사면-이하 제1나사면이라 함-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이하 제1나사마찰력이라 함- 및 상기 제1접촉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이하 제1접촉마찰력이라 함-에 의하여 상기 직진력 및 상기 수직력으로 분리되며,
    상기 이송체는 상기 직진력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용융부 방향 또는 상기 동력부 방향으로 이동하되,
    상기 제1몸체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용융부 및 상기 동력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1가이드 및 제2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체의 상기 측면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가이드 및 상기 제2가이드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가이드 및 상기 제2가이드 사이의 상기 공간은 상기 가이드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에 상기 회전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송체의 상기 측면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가이드 및 상기 제2가이드 사이의 상기 공간에서 회전하여 상기 제1가이드의 외주면 또는 상기 제2가이드의 외주면과 접하여 상기 제1접촉면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력전달부재에 전달되는 상기 회전력은 상기 제1나사마찰력 및 상기 제1접촉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직진력 및 상기 수직력으로 분리되며,
    상기 이송체는 상기 직진력에 의하여 상기 제1접촉면을 따라 상기 용융부 방향 또는 상기 동력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핫멜트 글루건.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원은
    상기 제1몸체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력을 생성하는 동력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력전달부재는 상기 회전부와 결합하여 상기 동력생성부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회전부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상기 동력생성부가 생성하는 상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핫멜트 글루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생성부는
    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전동기; 및
    사용자의 입력명령 또는 미리 프로그램된 방식에 따라 상기 전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전동기의 회전축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전동기의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핫멜트 글루건.
KR1020160113117A 2016-09-02 2016-09-02 핫멜트 글루건 KR101720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117A KR101720906B1 (ko) 2016-09-02 2016-09-02 핫멜트 글루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117A KR101720906B1 (ko) 2016-09-02 2016-09-02 핫멜트 글루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906B1 true KR101720906B1 (ko) 2017-03-29

Family

ID=58498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117A KR101720906B1 (ko) 2016-09-02 2016-09-02 핫멜트 글루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9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12606C1 (ru) * 2019-07-31 2020-01-29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конструкционных материалов на основе графита "НИИграфит"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несения термопластичного клеевого расплавле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CN110899066A (zh) * 2019-12-06 2020-03-24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一种半固体胶的涂胶装置
WO2021253602A1 (zh) * 2020-06-19 2021-12-23 杭州星战科技有限公司 一种加热喷嘴及热熔枪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7227A (ja) * 1998-10-15 2002-08-27 ラスコ,バーナード,シー. グルーガンの制御方式
KR200303545Y1 (ko) * 2002-09-24 2003-02-12 장인영 노즐 개폐수단을 갖는 글루건
JP2006272272A (ja) * 2005-03-30 2006-10-12 Kose Corp ホットメルトノズルの保温カバー
KR101417320B1 (ko) * 2012-08-23 2014-07-09 김혁 펜형 글루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7227A (ja) * 1998-10-15 2002-08-27 ラスコ,バーナード,シー. グルーガンの制御方式
KR200303545Y1 (ko) * 2002-09-24 2003-02-12 장인영 노즐 개폐수단을 갖는 글루건
JP2006272272A (ja) * 2005-03-30 2006-10-12 Kose Corp ホットメルトノズルの保温カバー
KR101417320B1 (ko) * 2012-08-23 2014-07-09 김혁 펜형 글루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12606C1 (ru) * 2019-07-31 2020-01-29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конструкционных материалов на основе графита "НИИграфит"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несения термопластичного клеевого расплавле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CN110899066A (zh) * 2019-12-06 2020-03-24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一种半固体胶的涂胶装置
WO2021253602A1 (zh) * 2020-06-19 2021-12-23 杭州星战科技有限公司 一种加热喷嘴及热熔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906B1 (ko) 핫멜트 글루건
CN106068417B (zh) 电磁感应线圈钳子
US11642856B2 (en) Method of joining two objects
US6230936B1 (en) Folded susceptor for glue gun
US5236269A (en) Battery-powered dispenser for hot melt adhesive
BR112013032329B1 (pt) dispositivo e método de revestimento field joint para aplicação de camada protetora de material polimérico em uma tubulação para construção de tubulações subaquáticas
CA2616514A1 (en) Valve for coinjection molding apparatus
JP2012131115A (ja) 射出成形装置
US8746514B2 (en) Dispensing device with valve assembly having continuously smooth transition between tip and stem
KR20190139971A (ko) 분배 시스템
EP1461250B1 (en) Tube-filling machine and a method for tube end sealing in such a machine
US5370319A (en) Slot nozzle for edge banding
KR101678601B1 (ko) 안전성이 향상된 글루건
KR200466051Y1 (ko) 롤러 글루건
EP3271663B1 (en) Heat exchange device with ring shaped thin slit section for use in liquid adhesive systems and related methods
JPS6362569A (ja) 熱溶融銃
KR101835785B1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방법
US8100080B2 (en) Microwidth-adjustable slot nozzle
US9731486B2 (en) Heat exchange device with ring shaped thin slit section for use in liquid adhesive systems and related methods
EP3544784B1 (en) Die for casting junctions of a coating of a pipeline
US10906239B2 (en) Resin material plasticizing device and resin material plasticizing method
CA3035855C (en) Nozzle
JPH0747608A (ja) 融着機
US4658991A (en) Hand pressure attachment for use on thermoplastic dispensing device
KR101908888B1 (ko) 엣지 밴더용 2중 나선관 구조의 열풍토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엣지 밴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