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778B1 - 클라우드 시스템 및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시스템 및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778B1
KR101720778B1 KR1020150024308A KR20150024308A KR101720778B1 KR 101720778 B1 KR101720778 B1 KR 101720778B1 KR 1020150024308 A KR1020150024308 A KR 1020150024308A KR 20150024308 A KR20150024308 A KR 20150024308A KR 101720778 B1 KR101720778 B1 KR 101720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isplay device
server
display
clo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0335A (ko
Inventor
황기영
김수동
아담 져스트
다리오 트래버소
비샬 파리하르
네할 댄트왈라
Original Assignee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US14/802,694 priority Critical patent/US10021049B2/en
Priority to PCT/KR2015/007920 priority patent/WO2016024740A1/en
Priority to EP15179180.3A priority patent/EP2986009A1/en
Priority to CN201510496561.XA priority patent/CN105376443B/zh
Publication of KR20160020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9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for generating different ver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Abstract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는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의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제 1 서버, 컨텐츠의 파일 포맷의 종류에 기초하여 파일 포맷이 클라우드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표시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서버, 파일 포맷이 표시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컨텐츠를 이미지 파일로 렌더링하는 제 3 서버, 및 컨텐츠 및 렌더링된 이미지 파일 중 어느 하나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 4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클라우드 시스템 및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Cloud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thereof}
클라우드 시스템 및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관한다.
전통적으로, 프린터, MFP(MultiFunction Printer)와 같은 디바이스들을 이용한 인쇄(print) 또는 복사(copy)는 것은 종이를 대상으로 수행하는 것이였다. 하지만, 미래에는 종이 없이도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을 꿈꾸며, 종이로 만들어졌던 신문, 책, 회의 자료 등을 대체할 수 있는 많은 수단들이 연구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많은 사람들이 저마다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소유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대부분의 가정들, 기업들마다 하나씩 구비되어 있으며, 스마트폰, 태블릿 디바이스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전자기기들은 업무용, 개인용, 교육용 등의 다양한 목적들을 이유로 널리 보급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추세에서, 종이로밖에 귀결될 수 없는 인쇄 결과물 대신에 다른 어떠한 수단들이 인쇄 결과물이 될 수 있는지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모색되고 있다.
클라우드 시스템 및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는,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의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제 1 서버; 상기 컨텐츠의 파일 포맷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파일 포맷이 상기 클라우드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표시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서버; 상기 파일 포맷이 표시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컨텐츠를 이미지 파일로 렌더링하는 제 3 서버; 및 상기 컨텐츠 및 상기 렌더링된 이미지 파일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 4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4 서버는 상기 파일 포맷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표시 가능한 경우 상기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파일 포맷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표시 불가능한 경우 상기 렌더링된 이미지 파일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컨텐츠를 저장하고, 상기 렌더링이 수행된 경우 상기 렌더링된 이미지 파일을 더 저장하는 제 5 서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5 서버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 또는 상기 렌더링된 이미지 파일이 저장된 디렉토리 주소에 대응되는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TV, LFD(large format display), 태블릿 디바이스 및 스마트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4 서버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들이 참여한 대화방(conversation room)을 관리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대화방에 참여 중인 상기 다른 디바이스들 중 하나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위한 타겟 디바이스로서 지정된다.
또한, 상기 컨텐츠는 상기 대화방을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 또는 상기 대화방에 참여한 상기 다른 디바이스들에 의해 공유된 컨텐츠이다.
또한, 상기 제 1 서버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를 매핑하여 관리하는 XMPP (Extensible Messaging and Presence Protocol)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 서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설치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클라우드와 통신하기 위한 REST API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모듈로 구현되고, 상기 제 2 서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 및 닉네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들을 등록하고, 상기 제 4 서버는 상기 컨텐츠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 2 서버에 의해 상기 파일 포맷의 종류가 판단되도록 상기 제 2 서버에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 2 서버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 4 서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수신된 컨텐츠 또는 상기 렌더링된 이미지 파일에서 첫번째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 3 서버는 상기 렌더링된 이미지 파일을 압축함으로써, 압축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클라우드는 상기 생성된 압축 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압축 파일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제 5 서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5 서버는 상기 Riak CS (Riak Cloud Storage) 및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Riak CS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파일 정보를 나타내는 스트링(string)을 저장하고, 상기 컨텐츠의 파일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 전달한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컨텐츠를 전송하는 전자 디바이스;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파일 포맷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파일 포맷이 상기 클라우드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표시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수신된 컨텐츠를 이미지 파일로 렌더링하는 클라우드; 및 상기 클라우드로부터 상기 컨텐츠 및 상기 렌더링된 이미지 파일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컨텐츠 또는 상기 수신된 이미지 파일을 표시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는 상기 파일 포맷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표시 가능한 경우 상기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파일 포맷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표시 불가능한 경우 상기 렌더링된 이미지 파일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참여한 대화방(conversation room)을 표시하고, 상기 대화방을 통해 상기 컨텐츠가 공유된 경우 상기 공유된 컨텐츠의 인쇄를 요청하는 제 1 버튼, 상기 공유된 컨텐츠를 저장하는 제 2 버튼 및 상기 공유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요청하는 제 3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공유된 컨텐츠와 함께 표시한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 3 버튼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렌더링된 이미지 파일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 및 닉네임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에 제공하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클라우드에 의해 발행된 PIN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코드의 입력,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발행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QR (Quick Response code) 코드의 인식 및 상기 클라우드의 URL 주소의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우드에 등록된다.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제 1 서버에서,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의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제 2 서버에서, 상기 컨텐츠의 파일 포맷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파일 포맷이 상기 클라우드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표시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제 3 서버에서, 상기 파일 포맷이 표시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컨텐츠를 이미지 파일로 렌더링하는 단계; 및 제 4 서버에서, 상기 컨텐츠 및 상기 렌더링된 이미지 파일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에 저장된 컨텐츠를 TV의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인쇄(print) 또는 복사(copy)하는 클라우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카피의 컨셉을 종래의 하드 카피, 소프트 카피의 컨셉들과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시스템 상에 존재할 수 있는 소스 디바이스들의 종류 및 타겟 디바이스들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원격의 오피스들에서 디스플레이 카피의 기능을 활용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의 상세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설치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 카피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의 상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 카피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내의 서버들의 처리 과정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설치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이 클라우드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b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설치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이 클라우드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대화방 애플리케이션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초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PC에서 실행 중인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초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대화방 애플리케이션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초대하는 과정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에서 대화방을 통해 전송된 컨텐츠에 대한 디스플레이 카피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PC에서 대화방을 통해 전송된 컨텐츠에 대한 디스플레이 카피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에서 대화방을 통해 전송된 컨텐츠에 대한 디스플레이 카피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파일에 대한 렌더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슬라이드 쇼로 재생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슬라이드 쇼 설정들에 관한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 카피가 요청된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설정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a 내지 도 20d는 일 실시예들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화면 표시 문구의 표시 설정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에서 입력된 채팅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현재 참여 중인 대화방을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에서 QR 코드 (Quick Response code)를 포함한 컨텐츠에 대한 디스플레이 카피를 요청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형태로 배열된 멀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multiple display devices)에 대한 정보를 클라우드에 등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룹화된 멀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타겟으로 디스플레이 카피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어느 한 페이지를 분할하여, 그룹화된 멀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여러 페이지들 각각을, 그룹화된 멀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a는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클라우드에 등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클라우드에 등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카피를 요청하는 디바이스에서 클라우드에 로그인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상세 하드웨어 구성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0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카피의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구성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구성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2는 일 실시예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서 스캔된 문서를 TV의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인쇄(print) 또는 복사(copy)하는 클라우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스캔 투 디스플레이 카피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의 상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스캔된 문서들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슬라이드 쇼로 재생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스캔된 문서들을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각각에서 슬라이드 쇼로 재생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6a 내지 도 36d는 일 실시예들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화면 표시 문구를 화상형성장치에서 설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7은 일 실시예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서 QR 코드(Quick Response code)를 포함한 사진을 스캔하여 스캔 투 디스플레이 카피를 요청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8은 일 실시예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서, 그룹화된 멀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타겟으로 스캔 투 디스플레이 카피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에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에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에서 스캔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에서 컨텐츠를 저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3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에서 컨텐츠를 저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4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에서 컨텐츠를 저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방에서 공유된 컨텐츠에 관한 히스토리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6은 일 실시예에 따라 대화방을 통해 사용자가 전송한 컨텐츠에 관한 히스토리가 표시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7은 일 실시예에 따라 대화방을 통해 사용자가 수신한 컨텐츠에 관한 히스토리가 표시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 모듈”, “... 서버”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에 저장된 컨텐츠를 TV의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인쇄(print) 또는 복사(copy)하는 클라우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클라우드 시스템(1)은 클라우드(10), 전자 디바이스(electronic device)(2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를 포함한다. 클라우드 시스템(1) 상에서 전자 디바이스(2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클라우드(10)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도 1의 클라우드 시스템(1)은 위와 같은 구성요소들 외에도,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추가적으로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
클라우드 시스템(1) 상에서 클라우드(10)는 컨텐츠의 저장, 렌더링, 전송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 처리를 수행하는 서버에 해당될 수 있다. 클라우드(10)는 하나의 서버 디바이스로 구현되거나 또는 여러 서버 디바이스들이 논리적으로 연결된 서버 디바이스 집합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클라우드 시스템(1) 상에서 전자 디바이스(20)는 예를 들어, 이동통신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에 해당될 수 있다. 즉, 전자 디바이스(20)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컨텐츠를 감상하고, 컨텐츠를 저장하고, 컨텐츠를 다른 디바이스들로 송수신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디바이스에 해당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전자 디바이스(20)가 스마트폰에 해당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자 디바이스(20)는 태블릿 디바이스, 웨어러블 시계 디바이스, 웨어러블 안경 디바이스 등과 같은 다른 종류의 디바이스들일 수도 있다. 또한, 클라우드 시스템(1)은 컨텐츠를 감상하고, 컨텐츠를 저장하고, 컨텐츠를 다른 디바이스들로 송수신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PC,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 시스템(1) 상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예를 들어, TV에 해당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가 TV에 해당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방송사로부터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위한 디바이스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최근 출시된 스마트 TV와 같이 방송 프로그램 외에도 인터넷에 연결되어 인터넷 상의 컨텐츠를 표시하는 기능, 웹 서핑의 기능 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가 TV에 해당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비한 다양한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앞서 설명된 스마트폰, 태블릿 디바이스, PC, 노트북, LFD(large format display) 등에 해당될 수도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우드 시스템(1) 상에서 전자 디바이스(20)는 반드시 스마트폰일 필요는 없고, 클라우드 시스템(1) 상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반드시 TV일 필요는 없다. 다시 말하면, 클라우드 시스템(1) 상에서 전자 디바이스(2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역할들은 스마트폰 및 TV 외에도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종류의 다양한 디바이스들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20)는, 전자 디바이스(20)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되거나, 인터넷을 통해 수집되거나, 또는 다른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사진(210)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20)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사진(210)을 전자 디바이스(20)의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클라우드 시스템(1)에 따르면,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20)에 저장된 사진(210)을 디스플레이 장치(30)의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인쇄(print) 또는 복사(copy)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전자 디바이스(20)는 전자 디바이스(20)에 저장된 사진(210)을 디스플레이 장치(30)의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출력(output)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자 디바이스(20)는, 전자 디바이스(20)에 저장된 사진(210)에 관한 사진 파일(215)을 클라우드(10)로 전송한다. 클라우드(10)는 수신된 사진 파일(215)의 파일 포맷을 디스플레이 장치(30)가 표시할 수 있는 파일 포맷으로 변환한다. 즉, 클라우드(10)는 사진 파일(215)을 디스플레이 장치(30)가 표시할 수 있는 파일 포맷의 사진 파일(315)로 변환한다. 다만, 클라우드(10)는 수신된 사진 파일(215)의 파일 포맷 자체가 디스플레이 장치(30)가 표시할 수 있는 파일 포맷에 해당되는 경우, 별도로 변환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3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30)가 표시할 수 있는 파일 포맷은 JPG, PNG, GIF, BMP 등과 같은 그래픽 파일 포맷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클라우드(10)는 사진 파일(315)을 디스플레이 장치(30)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수신된 사진 파일(315)을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표시함으로써, 전자 디바이스(20)로부터 요청된 디스플레이 카피(display copy)의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카피”의 용어는, 어느 소스 디바이스(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20))에 저장된 컨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는 기능으로 넓게 정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카피”의 용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정의하면, “디스플레이 카피”는, 어느 소스 디바이스(전자 디바이스(20))가 컨텐츠를 클라우드(10)로 전송하면, 클라우드(10)는 수신된 컨텐츠를 타겟 디바이스(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가 표시할 수 있는 파일 포맷으로 렌더링/변환하고, 이후에 타겟 디바이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클라우드(10)로부터 렌더링/변환된 파일 포맷의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일련의 클라우드 서비스 과정들을 의미할 수 있다. 나아가서, “디스플레이 카피”의 용어는 이하에서 설명될 클라우드 시스템(1) 내에서 처리되는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의 기능들 및 동작들을 포함하는 것으로도 정의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카피는, 타겟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포맷에 적합하도록 클라우드(10)의 관여에 의한 컨텐츠의 렌더링/변환 과정을 거쳐 표시되는 점에서,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타겟 디바이스로 컨텐츠가 직접 전송된 후 전송된 컨텐츠가 단순히 표시되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다만, 컨텐츠의 파일 포맷의 종류에 따라 렌더링/변환 과정은 생략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카피는, 디스플레이 미러링(display mirroring) 기술과도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미러링은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간에 마치 거울과 같이 동일한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술을 의미하는 것일 뿐이므로,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카피의 컨셉과는 차이가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카피의 컨셉을 종래의 하드 카피, 소프트 카피의 컨셉들과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클라우드 시스템(1) 상에는 소스 디바이스로서 전자 디바이스(20)(스마트폰)이 존재하고, 타겟 디바이스들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TV), 복합기(MFP)(40) 및 PC(50)가 존재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 및 타겟 디바이스들은 클라우드(1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먼저, 클라우드 시스템(1) 상에서 하드 카피(hard copy)의 컨셉은, 소스 디바이스(전자 디바이스(20))의 사진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진들(210 및 220)을 클라우드(10)를 통해 타겟 디바이스(복합기(MFP)(40))로 전송하고, 타겟 디바이스(복합기(MFP)(40))는 사진들(210 및 220)을 인쇄 용지들(인쇄 매체들)(410 및 420)에 인쇄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하드 카피에 따르면, 소스 디바이스(전자 디바이스(20))의 사진 갤러리의 사진(210)은 타겟 디바이스(복합기(MFP)(40))에 의해 인쇄 용지(410)에 인쇄되고, 사진(220)은 타겟 디바이스(복합기(MFP)(40))에 의해 인쇄 용지(420)에 인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 카피는 타겟 디바이스(복합기(MFP)(40))를 이용하여 사진들(210 및 220)을 실제 물리적인 형태를 갖는 종이에 인쇄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하드 카피의 컨셉은 클라우드(10)를 통해 타겟 디바이스(복합기(MFP)(40))로 사진들(210 및 220)이 전송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일반적으로 하드 카피의 컨셉은 소스 디바이스(전자 디바이스(20))와 타겟 디바이스(복합기(MFP)(40))가 직접 1:1로 연결되어 종이에 인쇄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클라우드 시스템(1) 상에서 소프트 카피(soft copy)의 컨셉은, 소스 디바이스(전자 디바이스(20))의 사진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진들(210 및 220)을 클라우드(10)를 통해 타겟 디바이스(PC(50))로 전송하고, 타겟 디바이스(PC(50))는 사진들(210 및 220)을 특정 파일 포맷(예를 들어, PDF(Portable Document Format))의 파일(510)(“image001.pdf”)로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소프트 카피에 따르면, 소스 디바이스(전자 디바이스(20))의 사진 갤러리의 사진들(210 및 220)은 타겟 디바이스(PC(50))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파일(510)로 생성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소프트 카피의 컨셉은 클라우드(10)를 통해 타겟 디바이스(PC(50))로 사진들(210 및 220)이 전송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일반적으로 소프트 카피의 컨셉은 소스 디바이스(전자 디바이스(20))와 타겟 디바이스(PC(50))가 직접 1:1로 연결되어 파일이 생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카피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소스 디바이스(전자 디바이스(20))에 저장된 컨텐츠를, 타겟 디바이스(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이미지 컨텐츠(310 및 320)(또는 이미지 파일)로 출력하는 기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카피는, 하드 카피 또는 소프트 카피와는 다른 패러다임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카피는, 원본 컨텐츠가 사진들(210 및 220)이라는 점에서는 하드 카피 또는 소프트 카피와는 유사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 카피는 최종 출력물이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이미지 컨텐츠들(310 및 320)이라는 점에서, 최종 출력물이 인쇄 용지들(410 및 420)인 하드 카피와 최종 출력물이 파일(510)인 소프트 카피와는 차이가 있다. 즉, 디스플레이 카피는 복사된 출력물의 타입이 하드 카피 또는 소프트 카피의 그것과는 다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시스템 상에 존재할 수 있는 소스 디바이스들의 종류 및 타겟 디바이스들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클라우드 시스템(1) 상에서 소스 디바이스들(500) 및 타겟 디바이스들(600)은 클라우드(1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들(500)에는, 전자 디바이스(20)(스마트폰), 전자 디바이스(51)(태블릿 디바이스), PC(52), 노트북(53), 화상형성장치(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들(500)은 모두, 사진, 동영상, 문서 파일 등과 같은 컨텐츠를 저장하는 기능, 컨텐츠를 편집하는 기능, 컨텐츠를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기능 등과 같은 컨텐츠를 제어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구비한 디바이스들로서, 도 3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20)(스마트폰), 전자 디바이스(51)(태블릿 디바이스), PC(52), 노트북(53), 화상형성장치(54) 외에도 다른 다양한 디바이스들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소스 디바이스(500)가 화상형성장치(54)인 경우에 대해서는, 도 32 등에서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타겟 디바이스들(600)에는, 전자 디바이스(21)(스마트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TV),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LFD), 전자 디바이스(62)(태블릿 디바이스), 노트북(63), PC(6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타겟 디바이스들(600)은 모두, 디스플레이 화면을 갖는 디바이스들로서, 사진, 동영상, 문서 파일 등과 같은 컨텐츠를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다만, 타겟 디바이스들(600)에는 도 3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21)(스마트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TV),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LFD), 전자 디바이스(62)(태블릿 디바이스), 노트북(63), PC(64) 외에도 다른 다양한 디바이스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원격의 오피스들에서 디스플레이 카피의 기능을 활용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전자 디바이스(20)를 사용하는 사용자 A는 서울 오피스에서 근무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를 사용하는 사용자 B는 뉴욕 오피스에서 근무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서울 오피스에서, 사용자 A는 전자 디바이스(20)에 회의록에 관한 WORD 문서(230)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A는 뉴욕 오피스에서 근무하는 사용자 B에서 WORD 문서(230)를 보여주고자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A는 사용자 B에서 WORD 문서(230)를 단순히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B가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 표시되기를 원할 수 있다. 즉, 사용자 A는 전자 디바이스(20)에 저장된 WORD 문서(230)를 사용자 B가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 디스플레이 카피되도록 원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서울 오피스에서 근무하는 사용자 A와 뉴욕 오피스에서 근무하는 사용자 B가 실시간으로 화상회의를 진행하는 경우일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20)는 저장된 WORD 문서(230)에 대응되는 문서 파일(235)(“회의록.doc”)을 클라우드(10)로 전송한다.
클라우드(10)는 문서 파일(235)(“회의록.doc”)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가 표시할 수 있는 파일 포맷, 예를 들어 JPG, PNG, GIF, BMP 등과 같은 그래픽 파일 포맷으로 렌더링/변환한다. 일반적으로,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MicroSoft Word® 파일, MicroSoft PowerPoint® 파일 등과 같은 문서 파일의 각 페이지의 컨텐츠를 표시할 수 없기 때문에, 클라우드(10)에 의한 렌더링/변환의 처리가 요구될 수 있다.
클라우드(10)는 렌더링/변환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파일(335)(“회의록.jpg”)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로 전송한다. 여기서, 도 4에서는 JPG 파일 포맷의 형식으로 파일이 전송되는 것으로 가정하겠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압축 파일(예를 들어, ZIP 파일)의 형식으로도 전송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수신된 이미지 파일(335)(“회의록.jpg”)의 각 페이지들(330)을 표시한다. 이로써, 사용자 B는 사용자 A로부터 요청된 디스플레이 카피에 의한 전자 디바이스(20)에 저장된 WORD 문서(230)를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공유하여 시청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원격의 서울 오피스 및 뉴욕 오피스 사이에서 디스플레이 카피의 기능이 수행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소스 디바이스(전자 디바이스(20) 및 타겟 디바이스(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가 클라우드(10)를 매개로 연결된 네트워크 환경이라면, 제한 없이 위와 같은 디스플레이 카피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의 상세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클라우드(10)는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제 2 서버), 메시징 서버(120)(제 1 서버), 제어 서버(130)(Conference ChatBot)(제 4 서버), 렌더링 서버(140)(제 3 서버) 및 스토리지 서버(150)(제 5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5의 클라우드(10)는 위와 같은 구성요소들 외에도, 도 5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구성요소들이 추가적으로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서, 클라우드(10) 내의 서버들(110 내지 150)의 명칭들은 제한적이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의 명칭은 제 2 서버로, 메시징 서버(120)의 명칭은 제 1 서버로, 제어 서버(130)의 명칭은 제 4 서버로, 렌더링 서버(140)의 명칭은 제 3 서버로, 스토리지 서버(150)의 명칭은 제 5 서버로도 변경될 수 있다.
클라우드(10)의 구현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 메시징 서버(120), 제어 서버(130), 렌더링 서버(140) 및 스토리지 서버(150) 중 적어도 하나가 물리적으로 별개인 서버 디바이스에 해당되는 경우 클라우드(10)는, 독립적인 서버 디바이스들을 하나의 서버 디바이스로 가상화하는 프레임워크를 구축하고 서로를 논리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또는, 클라우드(10)는 하나의 서버 디바이스로 구현되고,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 메시징 서버(120), 제어 서버(130), 렌더링 서버(140) 및 스토리지 서버(150)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의 형태로서 하나의 서버 디바이스 내에 구현될 수도 있다. 즉, 클라우드(10)는 프린트 서비스 소프트웨어/하드웨어 서버 모듈, 메시징 소프트웨어/하드웨어 서버 모듈, 제어 소프트웨어/하드웨어 서버 모듈, 렌더링 소프트웨어/하드웨어 서버 모듈 및 스토리지 소프트웨어/하드웨어 서버 모듈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서, 앞서 설명된 두 가지 구현 방식들이 조합될 수도 있다. 즉, 클라우드(10)의 구현 형태는 어느 하나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는 클라우드(10)의 외부에 존재하는 디바이스가 클라우드(10)에 접속할 수 있도록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는 서버로서, 예를 들어 REST API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모듈, RESTful API 모듈 등과 같은 Open API 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는 게이트웨이 역할 뿐만 아니라, 컨텐츠의 파일포맷의 종류를 판단하기 위한 알고리즘, 다른 종류의 판단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알고리즘 등을 실행할 수도 있다.
메시징 서버(120)는 클라우드(10)를 매개로 서로 다른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2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 간의 메시지 전달을 위한 표준화된 프로토콜 서버이다. 예를 들어, 메시징 서버(120)는 XMPP (Extensible Messaging and Presence Protocol) 서버과 같이 오픈 프로토콜 기반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종류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 서버(130)는 클라우드(10) 내의 다른 서버들, 즉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 메시징 서버(120), 렌더링 서버(140) 및 스토리지 서버(150) 각각의 기능들 및 동작들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들을 생성하고 각 서버들(110 내지 150)에 생성된 명령들을 전달함으로써, 각 서버들(110 내지 150)을 제어한다. 한편, 제어 서버(130)는 도 1 등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2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 상에서 대화방(conference room)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대화방 내에서 처리되는 정보, 예를 들어 채팅 메시지의 송수신, 디스플레이 카피의 요청 등에 대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서버(130)는 Conference ChatBot이라는 명칭으로도 일컬어 질 수 있다.
렌더링 서버(140)는 소스 디바이스(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20))로부터 전송된 컨텐츠를, 타겟 디바이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의 디스플레이 포맷에 적합하도록 렌더링한다. 즉, 렌더링 서버(140)는 컨텐츠를 렌더링/변환하는 렌더링 엔진에 해당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렌더링 서버(140)는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20)로부터 전송된 WORD 파일(“회의록.doc”)을 이미지 파일(“회의록.jpg”)로 렌더링/변환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프린터 드라이버는 문서 파일(예를 들어, doc 파일, ppt 파일), 이미지 파일(예를 들어, JPG 파일, GIF 파일) 등을 프린터에서 해석할 수 있는 언어(예를 들어, PDL (page description language))로 렌더링/변환하는 것이나, 렌더링 서버(140)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서 표시 가능한 파일 포맷으로 렌더링/변환하는 것이다.
스토리지 서버(150)는 클라우드(10)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거나, 소스 디바이스(전자 디바이스(20))로부터 전송된 컨텐츠를 저장하거나, 또는 렌더링된 컨텐츠를 저장한다.
한편, 클라우드(10)는 AWS(Amazon Web Services)에 의해 제공되는 Amazon EC2(Elastic Compute Cloud), Amazon S3(Simple Storage Service) 등과 같은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s)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클라우드(10)는 Iaas 사업자 또는 Paas(Platform as a Services) 사업자에 의존하지 않고, B2B(Business to Business) 용으로 독자적으로 구축된 클라우드 아키텍쳐를 갖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즉, 클라우드(10)의 아키텍쳐 구현은 어느 하나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요약하면, 메시징 서버(120)는 전자 디바이스(20)로부터 컨텐츠의 공유 요청(예를 들어, 컨텐츠에 관한 메타 데이터)을 수신한다. 제어 서버(130)는 수신된 컨텐츠를 표시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를 식별하고, 식별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사양에 따른 컨텐츠의 렌더링을 제어한다. 렌더링 서버(140)는 수신된 컨텐츠의 파일 포맷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사양에 따라 표시 가능한 그래픽 파일 포맷을 갖는 이미지 파일로 렌더링한다. 스토리지 서버(150)는 렌더링된 이미지 파일을 저장한다. 그리고 나서, 제어 서버(130)는, 렌더링된 이미지 파일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설치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앞서 설명된 도 1 등의 클라우드 시스템(1) 상에 존재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디스플레이 카피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이 설치된다.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 미리 설치(installed 또는 embedded)되어 있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패키지 형식으로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 내에 설치되는 것이 아닌, USB 등의 저장 매체에만 저장되어 USB 포트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의 기능을 지원하는 확장 모듈의 형식으로도 제공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를 위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방식은 어느 하나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은, 클라우드(10)와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은, 클라우드(10)(프린터 서비스 서버(110)의 웹 주소(URL) 및 메시징 서버(123)의 웹 주소(URL))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다양한 식별 정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고유 명칭(name) 등을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를 클라우드(10)에 등록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식별 정보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MAC 주소, 시리얼 번호, IP 주소 등이 포함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고유 명칭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 대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닉네임(nickname)일 수 있다. 또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도 클라우드(10)(프린터 서비스 서버(110)의 웹 주소(URL) 및 메시징 서버(123)의 웹 주소(URL))에 전송할 수 있다. 이후에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은,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클라우드(10)에 로그인할 수 있다.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은, 클라우드(10)(제어 서버(130))로부터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다양한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정보는 컨텐츠의 표시 스타일들(표시 시간, 화면 전환 간격 등)에 대한 정보, 표시할 컨텐츠의 페이지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은, 클라우드(10)(스토리지 서버(150))로부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를 통해 표시될 렌더링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10)는 렌더링된 컨텐츠가 저장된 스토리지 서버(150)의 웹 주소(URL)에 대한 정보를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에 제공하고,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은 스토리지 서버(150)의 웹 주소(URL)에 접속함으로써 렌더링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은 클라우드(10)와 통신하여 다양한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서 디스플레이 카피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제어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 카피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의 상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전자 디바이스(20)에 저장된 컨텐츠는 클라우드(10)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카피될 수 있다.
701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 설치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은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에 등록한다. 앞서 도 6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이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식별 정보(MAC 주소, 시리얼 번호, IP 주소 등),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고유 명칭 등을 전송하면,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는 스토리지 서버(150)에 이 정보들을 저장하고,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 및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를 등록한다. 또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은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ID/Password)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는 로그인 정보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식별 정보 등을 매핑하여 관리할 수 있다.
702 단계에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은 메시징 서버(120)에 로그인한다.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 구비된 유저 인터페이스 수단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입력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메시징 서버(120)에 전송한다. 메시징 서버(120)는 수신된 로그인 정보를 제어 서버(130)로 전달하고, 제어 서버(130)는 스토리지 서버(150)에 미리 저장된 로그인 정보와 현재 입력된 로그인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로그인 성공(login success)을 판단한다. 한편, 스토리지 서버(150)는 기업의 사원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LDAP(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서버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고, 제어 서버(130)는 스토리지 서버(150)의 LDAP 서버로부터 매칭된 로그인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로그인 성공을 판단할 수 있다.
703 단계에서, 전자 디바이스(20)는 메시징 서버(120)에 로그인한다. 전자 디바이스(20)에는 디스플레이 카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프린트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20)는 프린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전자 디바이스(20)의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입력한다. 이후에 전자 디바이스(20)의 프린트 애플리케이션은 입력된 로그인 정보를 메시징 서버(120)에 전송하고, 제어 서버(130)는 수신된 로그인 정보를 스토리지 서버(150)에 미리 저장된 로그인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로그인 성공을 판단한다. 한편, 본 실시예는, 앞서 도 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과 같은 종류의 전자 디바이스(20) 외에도, 태블릿 디바이스(51) 또는 PC(52) 등을 이용할 수 있다.
704 단계에서, 제어 서버(130)는, 전자 디바이스(20)의 로그인이 완료된 경우, 대화방(conference room)을 생성한다. 생성된 대화방에는 전자 디바이스(20)의 사용자의 계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사용자의 계정, 또는 제 3 자의 계정이 초대될 수 있다. 한편, 대화방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 할당된 계정이 초대될 수도 있다.
이때, 제어 서버(130)는 생성된 대화방에 대하여, 퍼블릭(public) 대화방으로 분류되기 위한 퍼블릭 속성 또는 프라이빗(private) 대화방으로 분류되기 위한 프라이빗 속성을 부여할 수 있다. 퍼블릭 대화방은 누구든지 또는 어떠한 디바이스든지 제한 없이 참여할 수 있는 속성이 부여된 대화방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에, 프라이빗 대화방은 미리 정해진 사람 또는 미리 정해진 디바이스만 제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대화방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대화방의 속성들은 전자 디바이스(20)의 사용자 또는 클라우드(10)의 관리자 등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705 단계에서, 전자 디바이스(20)는 디스플레이 카피를 요청할 컨텐츠의 공유 요청을 메시징 서버(120)에 전송한다. 이때, 메시징 서버(120)는 전자 디바이스(20)로부터, 컨텐츠에 관한 메타 데이터(예를 들어, 파일 포맷 정보, 파일 크기 정보, 파일명 정보 등을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컨텐츠의 공유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전자 디바이스(20)는 컨텐츠 자체에 대한 데이터(예를 들어, 이미지 데이터, 문서 데이터 등)는 스토리지 서버(150)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서 바로 표시될 수 없는 파일 포맷(예를 들어, “*.doc” 파일, “*.ppt” 파일 등)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서 바로 표시할 수 있는 파일 포맷(예를 들어, “*.jpg” 파일, “*.bmp” 파일 등)일 수 있다.
706 단계에서, 제어 서버(130)는 전자 디바이스(20)로부터 요청된 컨텐츠에 대한 렌더링을 수행하기 위한 렌더링 작업의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렌더링 작업의 명령을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로 전송한다. 제어 서버(130)는, 컨텐츠의 공유 요청이 수신된 경우,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에 의해 파일 포맷의 종류가 판단되도록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에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를 제어한다.
707 단계에서,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는 렌더링 서버(140)에 렌더링 작업의 명령을 전달한다. 렌더링 서버(140)는 렌더링 명령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되어 스토리지 서버(150)에 저장된 컨텐츠를 그래픽 파일 포맷을 갖는 이미지 파일 타입의 컨텐츠로 렌더링/변환한다. 또한, 렌더링 서버(140)는 추가적으로, 렌더링/변환이 완료된 이미지 파일 타입의 컨텐츠를 압축 파일(예를 들어, ZIP 파일)로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는 렌더링 서버(140)에 렌더링 작업의 명령을 전달하기 전에, 메시징 서버(120)에서 수신된, 컨텐츠에 관한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파일 포맷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서 표시 가능한 파일 포맷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렌더링 서버(140)는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파일 포맷이 전자 디바이스(20)에 의해 지정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서 표시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컨텐츠를 이미지 파일로 렌더링/변환한다. 렌더링 서버(140)는 컨텐츠의 파일 포맷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서 표시 가능한 경우, 렌더링을 스킵할 수 있다.
708 단계에서, 렌더링 서버(140)는 렌더링/변환이 완료된 이미지 파일 타입의 컨텐츠(이미지 파일)를 스토리지 서버(150)에 저장한다. 다만, 렌더링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컨텐츠의 파일 포맷의 종류에 따라 스킵될 수도 있다.
709 단계에서, 렌더링 서버(140)는 렌더링/변환이 완료된 경우,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에 렌더링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한다. 즉, 렌더링 서버(140)는 렌더링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도록 렌더링 작업의 상태를 업데이트한다. 예를 들어, 렌더링 서버(140)에는 전자 디바이스(20)뿐만 아니라, 무수히 많은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도 디스플레이 카피를 위한 렌더링 작업이 요청될 수 있다. 따라서, 렌더링 서버(140)는 요청된 렌더링 작업의 순서대로 큐(queue)를 생성하고, 렌더링 작업이 완료된 순서대로 큐에 포함된 렌더링 작업의 상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710 단계에서,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는 메시징 서버(120)에 렌더링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한다.
711 단계에서, 제어 서버(130)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으로, 디스플레이 카피를 위하여 전자 디바이스(20)로부터 요청된 컨텐츠(수신된 컨텐츠 자체 또는 렌더링/변환된 컨텐츠)의 표시를 명령한다. 이때, 제어 서버(130)는 컨텐츠의 특정 페이지(예를 들어, 첫 페이지)가 표시되도록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에 명령할 수 있다. 제어 서버(130)는, 707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수신된 컨텐츠의 파일 포맷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서 표시 가능한 경우 수신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수신된 컨텐츠의 파일 포맷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서 표시 불가능한 경우 렌더링된 이미지 파일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 서버(130)는, 수신된 컨텐츠 및 렌더링된 이미지 파일 중 어느 하나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712 단계에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은 스토리지 서버(150)로부터 컨텐츠(수신된 컨텐츠 자체 또는 렌더링/변환된 컨텐츠)에 해당되는 이미지 파일들 또는 이미지 파일들의 압축 파일을 다운로드한다. 이때, 스토리지 서버(150)는 컨텐츠가 저장된 스토리지 서버(150)의 웹 주소(URL)에 대한 정보를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에 제공하고,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은 스토리지 서버(150)의 웹 주소(URL)에 접속함으로써 렌더링/변환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713 단계에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카피가 요청된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를 제어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 카피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내의 서버들의 처리 과정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과정들은 앞서 설명된 도 7 등에서 설명된 클라우드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과정들이므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7 및 다른 도면들에서 설명되었던 내용은 도 8에도 적용될 수 있다.
801 단계에서, 전자 디바이스(20)는, 디스플레이 카피를 요청할 컨텐츠의 공유 요청을 메시징 서버(120)로 전송한다. 여기서, 공유 요청은 컨텐츠에 관한 메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데이터(예를 들어, 이미지 데이터, 문서 데이터 등)는 스토리지 서버(150)로 전송되어 스토리지 서버(150)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전자 디바이스(20)는 컨텐츠를 클라우드(10)와 공유한다.
802 단계에서, 메시징 서버(120)는, 전자 디바이스(20)로부터 전송된 컨텐츠의 공유 요청을 제어 서버(130)로 전송한다. 즉, 메시징 서버(120)는 컨텐츠를 제어 서버(130)와 공유한다. 제어 서버(130)는 전자 디바이스(20)로부터 전송된 컨텐츠(컨텐츠 데이터)가 스토리지 서버(150)에 저장되도록 스토리지 서버(150)를 제어할 수 있다.
803 단계에서, 제어 서버(130)는 디스플레이 카피가 요청된 컨텐츠에 대한 렌더링 작업의 명령을 생성하고, 렌더링 작업의 명령을 프린터 서비스 서버(110)로 전송한다. 여기서, 렌더링 작업은 컨텐츠의 파일 포맷을 디스플레이 장치(30)에서 표시 가능한 파일 포맷으로 렌더링/변환하기 위함이다.
804 단계에서, 프린터 서비스 서버(110)는 렌더링 작업의 명령을 렌더링 서버(140)로 전송한다. 렌더링 서버(140)는 수신된 렌더링 작업을 큐(queue)에 저장한다. 한편,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는 렌더링 서버(140)에 렌더링 작업의 명령을 전달하기 전에, 컨텐츠의 파일 포맷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서 표시 가능한 파일 포맷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컨텐츠의 파일 포맷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서 표시 불가능한 파일 포맷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805 단계에서, 렌더링 서버(140)는, 큐에 저장된 렌더링 작업을 처리할 순서가 되면, 스토리지 서버(150)에 렌더링할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한다.
806 단계에서, 스토리지 서버(150)는 렌더링할 컨텐츠를 렌더링 서버(140)에 전송한다.
807 단계에서, 렌더링 서버(140)는, 전자 디바이스(20)로부터 전송된 컨텐츠의 파일 포맷을 디스플레이 장치(30)에서 표시 가능한 파일 포맷으로 렌더링/변환한다.
808 단계에서, 렌더링 서버(140)는, 렌더링이 완료된 경우, 렌더링된 컨텐츠(이미지 파일들 또는 이미지 파일들의 압축 파일)를 스토리지 서버(150)에 저장한다.
809 단계에서, 렌더링 서버(140)는, 큐에 저장된 렌더링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에 통지한다. 즉, 렌더링 서버(140)는, 렌더링 작업의 상태가 완료된 것으로 큐를 업데이트한다.
810 단계에서,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는, 렌더링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에 통지한다.
811 단계에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은 스토리지 서버(150)에 렌더링된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한다.
812 단계에서, 스토리지 서버(150)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에 렌더링된 컨텐츠를 전송한다. 이때, 스토리지 서버(150)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이 접속할 수 있는, 스토리지 서버(150) 내의 저장 디렉토리, 예를 들어 웹 주소(URL)를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에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은 웹 주소(URL)에 접속하여 렌더링된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813 단계에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카피가 요청된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를 제어한다.
도 9a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설치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이 클라우드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에서는, 다른 도면들에서 설명된 클라우드(10) 내에서 서버들(110 내지 150) 간에 전달되는 데이터 및 정보에 관한 일부의 처리 흐름에 대해서는 설명이 생략될 수 있으나, 다른 도면들에서 설명된 서버들(110 내지 150) 간의 데이터 및 정보에 관한 처리 흐름은 도 9a에도 적용될 수 있다.
901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 설치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로그인 정보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 지정될 명칭 정보를 설정한다. 여기서, 로그인 정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 자체에 할당된 고유의 로그인 정보이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사용자에 할당된 고유의 로그인 정보일 수 있다.
902 단계에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은 설정된 로그인 정보 및 명칭 정보를 클라우드(10)의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로 전송한다. 클라우드(10) 내에서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는 제어 서버(130)로 로그인 정보 및 명칭 정보를 전달한다.
903 단계에서, 제어 서버(130)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의 식별을 위한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코드를 발행한다. 여기서, 제어 서버(130)에 의해 발행된 PIN 코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표시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사용자가 소유한 다른 디바이스를 통해 표시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904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사용자는 제어 서버(130)에 의해 발행된 PIN 코드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유저 인터페이스 수단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입력한다.
905 단계에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MAC 주소, IP 주소, 시리얼 번호 등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식별 정보와 입력된 PIN 코드를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로 전송한다. 클라우드(10) 내에서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는 수신된 식별 정보와 PIN 코드를 제어 서버(130)로 전달한다.
906 단계에서, 제어 서버(130)는 수신된 PIN 코드와 발행된 PIN 코드를 비교하고, PIN 코드들이 일치할 경우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을 등록한다. 여기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이 등록됨으로써,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가 함께 등록될 수 있다.
도 9b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설치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이 클라우드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b에서는, 다른 도면들에서 설명된 클라우드(10) 내에서 서버들(110 내지 150) 간에 전달되는 데이터 및 정보에 관한 일부의 처리 흐름에 대해서는 설명이 생략될 수 있으나, 다른 도면들에서 설명된 서버들(110 내지 150) 간의 데이터 및 정보에 관한 처리 흐름은 도 9b에도 적용될 수 있다.
911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를 설치한다.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의 설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다른 외부의 디바이스로부터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의 설치 파일을 수신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의 설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 구비된 USB 포트에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의 설치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USB 디바이스가 삽입되고, 삽입된 USB 디바이스로부터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의 설치 파일을 수신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가 스마트 TV에 해당된다면,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의 설치는, 스마트 TV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의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 설치될 수 있다. 설치가 완료된 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설치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을 실행한다.
912 단계에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이 실행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의 등록을 위한 QR(Quick Response code) 코드를 표시한다. 여기서, QR 코드는 클라우드(10)에 접속하기 위한 URL 주소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913 단계에서, 전자 디바이스(9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 표시된 QR 코드를 인식한다. 여기서, 전자 디바이스(92)는 다른 도면들에서 설명된 전자 디바이스(20)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디바이스에 해당될 수도 있다.
914 단계에서, 전자 디바이스(92)는 QR 코드를 인식함으로써 획득된 URL 주소를 갖는 클라우드(10)에 접속한다. 그리고, 전자 디바이스(92)는 클라우드(10)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의 등록을 요청한다.
915 단계에서, 관리자 PC(91)는, 클라우드(10)(프린트 서비스 서버(110))가 제공하는 웹 포털에 접속하고, 관리자 계정을 이용하여 웹 포털에 로그인한다.
916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식별 정보를 클라우드(10)로 전송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식별 정보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MAC 주소, 시리얼 번호, IP 주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917 단계에서, 클라우드(10)는 인증을 위한 PIN 코드를 발행한다.
918 단계에서, 관리자 PC(91)는, 접속된 웹 포털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명칭(또는 nickname)을 설정한다. 그리고, 관리자 PC(91)는, 클라우드(10)에 의해 발행된 PIN 코드를 표시한다. 관리자는 관리자 PC(91)에서 표시된 PIN 코드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사용자에게 고지한다.
919 단계에서, 관리자 PC(91)는, 클라우드(10)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설정된 명칭(또는 nickname)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9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 표시된 PIN 코드 입력 창을 통해, 관리자로부터 고지된 PIN 코드를 입력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 등을 이용하여 PIN 코드를 입력할 수 있다.
921 단계에서, 클라우드(10)는 입력된 PIN 코드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로부터 수신한다. 클라우드(10)(제어 서버(1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서 입력된 PIN 코드와, 클라우드(10)에 의해 발행된 PIN 코드를 비교한다.
922 단계에서, 클라우드(10)(제어 서버(130))는, PIN 코드들이 일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를 등록한다.
한편, 등록 과정이 진행되는데 있어서 모순되지 않는 한, 도 9b에서 설명된 처리 순서는 약간 변경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대화방 애플리케이션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초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사용자 A의 전자 디바이스(20)에서는 대화방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고, 대화방 애플리케이션의 대화방(1010)에는 사용자 A의 전자 디바이스(20) 및 사용자 B의 전자 디바이스(미도시)가 먼저 초대된 것으로 가정한다. 대화방(1010)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클라우드(10)의 제어 서버(130)(Conference ChatBot)에 의해 생성 및 관리될 수 있다.
사용자 A는, 사용자 A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TV)를 대화방(1010)에 초대할 수 있다. 대화방(1010) 내에서 사용자 A로부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초대가 요청된 경우, 전자 디바이스(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초대 요청을 클라우드(10)의 메시징 서버(120)로 전송한다. 클라우드(10) 내에서 메시징 서버(1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초대 요청을 제어 서버(130)로 전달한다.
제어 서버(130)는 초대가 요청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를 식별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가 현재 클라우드(10)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가 클라우드(10)에 등록된 디바이스인 경우, 제어 서버(1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를 대화방(1010)에 초대한다. 만약,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가 클라우드(10)에 등록되지 않은 디바이스인 경우, 제어 서버(130)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등록을 진행할 것을 사용자 A에게 통지할 수 있다.
제어 서버(130)에 의해 대화방(1010)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초대가 완료된 경우, 대화방(1010)에는 초대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PC에서 실행 중인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초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도 10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20)와 달리, 소스 디바이스가 PC(52)인 경우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PC(52)에는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1110)이 설치되어 있다. PC(52)에 설치된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1110)은, 클라우드(1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이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으로서,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1110)을 통해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카피 서비스,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클라우드 프린트(하드 카피 또는 소프트 카피) 서비스 등의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1110)에는, 앞서 도 10에서 설명된 전자 디바이스(20)에서 실행되는 대화방 애플리케이션의 기능도 포함될 수 있다.
PC(52)의 사용자 A는 PC(52) 상에서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1110)을 실행하고,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1110)의 다양한 기능들 중에서 대화방(1120)을 활성화할 수 있다. 도 11에서, 대화방(1120)에는 사용자 A의 PC(52) 및 사용자 B의 전자 디바이스(미도시)가 먼저 초대된 것으로 가정한다. 대화방(1120)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클라우드(10)의 제어 서버(130)(Conference ChatBot)에 의해 생성 및 관리될 수 있다.
사용자 A는, 사용자 A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TV)를 대화방(1120)에 초대하기 위하여 대화방(1120)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Add Buddy” 버튼(1121)을 클릭할 수 있다. “Add Buddy” 버튼(1121)이 클릭된 경우, 추가 가능한 연락처 및 디바이스들이 나열된 팝업 창(1130)이 표시될 수 있다. 팝업 창(1130)에서 “사용자 A의 TV”(1131)가 선택되고 확인(OK) 버튼(1132)이 클릭된 경우, 사용자 A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TV)의 초대가 요청된다.
대화방(1120) 내에서 사용자 A로부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초대가 요청된 경우, PC(5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초대 요청을 클라우드(10)의 메시징 서버(120)로 전송한다. 클라우드(10) 내에서 메시징 서버(1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초대 요청을 제어 서버(130)로 전달한다.
제어 서버(130)는 초대가 요청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를 식별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가 현재 클라우드(10)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가 클라우드(10)에 등록된 디바이스인 경우, 제어 서버(1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를 대화방(1120)에 초대한다. 만약,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가 클라우드(10)에 등록되지 않은 디바이스인 경우, 제어 서버(130)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등록을 진행할 것을 사용자 A에게 통지할 수 있다.
제어 서버(130)에 의해 대화방(1120)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초대가 완료된 경우, 대화방(1120)에는 초대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소스 디바이스는 전자 디바이스(20) 또는 PC(52)와 같이 대화방 애플리케이션(1010) 또는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1110)이 설치 및 동작될 수 있다면, 어떠한 디바이스여도 무방하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대화방 애플리케이션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초대하는 과정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서는, 다른 도면들에서 설명된 클라우드(10) 내에서 서버들(110 내지 150) 간에 전달되는 데이터 및 정보에 관한 일부의 처리 흐름에 대해서는 설명이 생략될 수 있으나, 다른 도면들에서 설명된 서버들(110 내지 150) 간의 데이터 및 정보에 관한 처리 흐름은 도 12에도 적용될 수 있다.
1201 단계에서, 전자 디바이스(20)의 사용자는 대화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로그인 정보를 입력한다.
1202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사용자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기 위한 로그인 정보를 입력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가 클라우드(10)에 로그인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가 참여할 수 있는 대화방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대화방 리스트는 클라우드(1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이때, 표시된 대화방 리스트에는 퍼블릭 속성이 부여된 퍼블릭 대화방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만약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게 참여가 허용된 프라이빗 대화방이 존재하는 경우, 표시된 대화방 리스트에는 프라이빗 속성이 부여된 프라이빗 대화방이 포함될 수 있다. 대화방 리스트는 이하의 1205 단계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20)에 의해 생성된 대화방을 포함한다.
1203 단계에서, 전자 디바이스(20)는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메시징 서버(120)에 대화방의 생성을 요청한다.
1204 단계에서, 메시징 서버(120)는 제어 서버(130)에 대화방의 생성 요청을 전달한다.
1205 단계에서, 제어 서버(130)는 대화방을 생성한다. 이때, 제어 서버(130)는 생성된 대화방에 대하여, 퍼블릭 속성 또는 프라이빗 속성을 부여할 수 있다.
1206 단계에서, 제어 서버(130)는 생성된 대화방 정보를 메시징 서버(120)로 전송한다.
1207 단계에서, 메시징 서버(120)는 생성된 대화방 정보를 전자 디바이스(20)로 전달한다.
1208 단계에서, 전자 디바이스(20)는 대화방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대화방을 활성화한다.
1209 단계에서, 전자 디바이스(20)는 생성된 대화방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TV)의 초대를 요청한다.
1210 단계에서, 전자 디바이스(20)는 메시징 서버(120)에 초대가 요청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명칭을 메시징 서버(120)로 전송한다.
1211 단계에서, 메시징 서버(120)는 초대가 요청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명칭을 제어 서버(130)로 전달한다.
1212 단계에서, 제어 서버(130)는 초대가 요청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명칭을 식별한다. 즉, 제어 서버(130)는 현재 등록이 완료된 디바이스들의 목록 중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명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1213 단계에서, 제어 서버(1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초대 요청을 메시징 서버(120)에 통지한다.
1214 단계에서, 메시징 서버(1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초대 요청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에 통지한다.
1215 단계에서, 대화방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초대가 완료된 경우, 전자 디바이스(20)는 대화방에 초대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에서 대화방을 통해 전송된 컨텐츠에 대한 디스플레이 카피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사용자 A의 전자 디바이스(20)에서는 대화방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고, 대화방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활성화된 대화방(1310)에는 현재 사용자 A의 전자 디바이스(20), 사용자 B의 전자 디바이스(미도시) 및 사용자 A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TV)가 초대된 상태이다.
사용자 A는 대화방(1310)을 통해 사용자 B와 채팅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B는 대화방(1310)을 통해 사진 파일의 컨텐츠(1320)를 사용자 A에게 전송할 수 있다.
대화방(1310)에서 컨텐츠(1320)가 전송되면, 컨텐츠(1320)를 포함하는 말풍선(dialogue balloon 또는 dialogue bubble)에는, 다양한 버튼들(1301, 1302 및 1303)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저장 버튼(1301)은 사용자 A의 전자 디바이스(20)에 컨텐츠(1320)를 저장하기 위한 버튼이다. 인쇄 버튼(1302)은 사용자 A의 복합기(MFP)(예를 들어, 도 2의 40)로 클라우드 프린팅(하드 카피)하기 위한 버튼이다. 디스플레이 카피 버튼(1303)은 사용자 A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TV)로 컨텐츠(1320)를 디스플레이 카피하기 위한 버튼이다.
사용자 A가 대화방(1310)에서 디스플레이 카피 버튼(1303)을 클릭한 경우, 사용자 B로부터 전송된 컨텐츠(1320)는 클라우드(10)로 전송된다. 그리고, 클라우드(10)는 앞서 도 7 및 8 등에서 설명된 클라우드(10) 내의 처리 과정들을 거쳐 컨텐츠(1320)를 렌더링/변환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는 전자 디바이스(20)에 의한 디스플레이 카피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1330)가 표시된다.
한편, 도 13에서는 컨텐츠(1320)가 사진 파일인 것으로 예를 들었으므로, 클라우드(10)는 컨텐츠(1320)에 대해 별도의 렌더링/변환 과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컨텐츠(1320)가 사진 파일이라 하더라도, 클라우드(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디스플레이 포맷, 예를 들어 컨텐츠(1320)의 해상도 등을 조절하기 위한 렌더링/변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클라우드(10)에서의 렌더링/변환 과정의 생략 여부는, 타겟 디바이스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디스플레이 포맷, 컨텐츠(1320)의 파일 포맷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PC에서 대화방을 통해 전송된 컨텐츠에 대한 디스플레이 카피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사용자 A의 PC(52)에서는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1410)이 실행 중이고,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1410) 상에서 활성화된 대화방(1420)에는 현재 사용자 A의 PC(52), 사용자 B의 전자 디바이스(미도시) 및 사용자 A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TV), Printer 1 및 Printer 2 등이 초대된 상태이다.
사용자 A는 대화방(1420)을 통해 사용자 B와 채팅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B는 대화방(1420)을 통해 사진 파일의 컨텐츠(1430)를 사용자 A에게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A도 사용자 B에게 이미지 파일 또는 문서 파일을 전송하고자 할 경우에는, PC(52)에 저장된 파일을 탐색하는 버튼(Share Item)(1440)을 클릭하여 파일을 탐색하고 선택된 파일을 사용자 B에게 전송할 수 있다.
대화방(1420)에서 컨텐츠(1430)가 전송되면, 컨텐츠(1430)를 포함하는 말풍선에는, 다양한 버튼들(1401, 1402 및 1403)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저장 버튼(1401)은 사용자 A의 PC(52)에 컨텐츠(1430)를 저장하기 위한 버튼이다. 인쇄 버튼(1402)은 사용자 A의 복합기(MFP)(예를 들어, 도 2의 40)로 클라우드 프린팅(하드 카피)하기 위한 버튼이다. 디스플레이 카피 버튼(1403)은 사용자 A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TV)로 컨텐츠(1430)를 디스플레이 카피하기 위한 버튼이다.
사용자 A가 대화방(1420)에서 디스플레이 카피 버튼(1403)을 클릭한 경우, 사용자 B로부터 전송된 컨텐츠(1430)는 클라우드(10)로 전송된다. 그리고, 클라우드(10)는 앞서 도 7 및 8 등에서 설명된 클라우드(10) 내의 처리 과정들을 거쳐 컨텐츠(1430)를 렌더링/변환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는 전자 디바이스(20)에 의한 디스플레이 카피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1450)가 표시된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에서 대화방을 통해 전송된 컨텐츠에 대한 디스플레이 카피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에서는, 다른 도면들에서 설명된 클라우드(10) 내에서 서버들(110 내지 150) 간에 전달되는 데이터 및 정보에 관한 일부의 처리 흐름에 대해서는 설명이 생략될 수 있으나, 다른 도면들에서 설명된 서버들(110 내지 150) 간의 데이터 및 정보에 관한 처리 흐름은 도 15의 해당 부분에 적용될 수 있다.
1501 단계에서, 전자 디바이스(20)는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카피를 요청한다. 디스플레이 카피의 수행은, 앞서 도 13 또는 도 14에서 설명된 디스플레이 카피 버튼(1303 또는 1403)이 클릭됨으로써 요청될 수 있다.
1502 단계에서, 전자 디바이스(20)는 디스플레이 카피가 요청된 컨텐츠를 제어 서버(130)로 전송한다.
1503 단계에서, 제어 서버(130)는 렌더링 서버(140)에 컨텐츠의 렌더링을 명령한다.
1504 단계에서, 렌더링 서버(140)는 컨텐츠를 렌더링/변환한다.
1505 단계에서, 스토리지 서버(150)는 렌더링된 컨텐츠(이미지 파일들 또는 이미지 파일들의 압축 파일)를 저장한다.
1506 단계에서, 제어 서버(130)는 렌더링된 컨텐츠의 표시 명령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으로 전송한다.
1507 단계에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은 스토리지 서버(150)로부터 렌더링된 컨텐츠(이미지 파일들 또는 이미지 파일들의 압축 파일)를 다운로드한다.
1508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디스플레이 카피가 요청된 컨텐츠(이미지 파일들)를 표시한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파일에 대한 렌더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고하면, 전자 디바이스(20)는 디스플레이 카피가 요청된 문서 파일(“My Documents.doc”)(1610)을 렌더링 서버(140)로 전송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Microsoft WORD® 소프트웨어로 작성된 문서 파일(16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서 바로 표시될 수 없는 파일 포맷에 해당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문서 파일(“My Documents.doc”)(1610)은 총 3 페이지들(1611, 1612 및 1613)의 컨텐츠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서 파일(1610)에서 1 페이지(1611)의 컨텐츠는 사진, 2 페이지 및 3 페이지(1612 및 1613)의 컨텐츠는 에세이에 해당될 수 있다.
렌더링 서버(140)는 문서 파일(1610)의 각각의 페이지들(1611, 1612 및 1613)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디스플레이 포맷에 적합하도록 렌더링/변환한다. 예를 들어, 렌더링 서버(140)는 문서 파일(1610)의 각각의 페이지들(1611, 1612 및 1613)을 그래픽 파일 포맷(JPG, GIF, BMP 등)으로 렌더링/변환할 수 있다. 이후에, 렌더링 서버(140)는 렌더링/변환된 각각의 페이지들(1621, 1622 및 1623)을 하나의 압축 파일(“My Documents.zip”)(1620)로 생성할 수 있다.
렌더링 서버(140)는 압축 파일(“My Documents.zip”)(1620)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 설치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은 압축 파일(1620)을 압축풀기(decompress)한다. 이에 따라,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은 압축 파일(1620)로부터 각각의 페이지들(1621, 1622 및 1623)의 이미지 컨텐츠를 획득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각각의 페이지들(1621, 1622 및 1623)의 이미지 컨텐츠를 표시함으로써 전자 디바이스(20)로부터 요청된 디스플레이 카피를 완료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서버(130)로부터 특정 페이지(예를 들어, 1 페이지(1621))의 표시가 명령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명령된 특정 페이지(1 페이지(1621))를 먼저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16에서는 렌더링 서버(140)가 압축 파일(“My Documents.zip”)(1620)의 형태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로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렌더링 서버(140)는 압축 파일(1620)이 아닌, 각각의 페이지들(1621, 1622 및 1623)을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라 렌더링 서버(140)는 압축될 이미지 파일들의 파일 크기에 기초하여, 압축을 수행하거나 또는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될 이미지 파일들의 총 파일 크기가 임의의 임계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렌더링 서버(140)는 이미지 파일들을 압축하여 압축 파일을 생성하고, 총 파일 크기가 이 임계 크기 이하인 경우 압축 파일들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렌더링 서버(140)의 파일 생성 방식은 어느 하나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슬라이드 쇼로 재생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고하면, 전자 디바이스(20)의 사용자는 사진 갤러리 애플리케이션(1710)을 통해 사진들(1711 및 1712)을 선택한다. 그리고 나서, 전자 디바이스(20)는 사진들(1711 및 1712)에 관한 슬라이드 쇼를 재생하기 위한 설정들을 나타내는 UI 화면(1720)을 표시한다. 여기서, 슬라이드 쇼는 전자 디바이스(20)가 아닌, 디스플레이 카피의 타겟 디바이스에 해당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서 재생될 수 있다.
슬라이드 쇼의 재생에 관한 설정들은, 자동 화면 전환 시간에 관한 설정, 전환 효과에 관한 설정, 반복 설정, 구간 설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20)를 통해 입력된 슬라이드 쇼의 재생에 관한 설정들은, 메타 데이터(1740)의 형태로 변환될 수 있다.
한편, 도 17에서는 사진 갤러리 애플리케이션(1710)의 사진들(1711 및 1712)에 관한 슬라이드 쇼가 재생되는 경우가 설명되었으나, 이 밖에도 전자 디바이스(20)에 저장된 MicroSoft PowerPoint® 애플리케이션, MicroSoft Word® 애플리케이션 등으로 제작된 컨텐츠도 또한 슬라이드 쇼로 재생되는 것이 가능하다.
전자 디바이스(20)는 선택된 사진들(1711 및 1712)에 관한 사진 파일들(1730) 및 슬라이드 쇼 설정에 관한 메타 데이터(1740)를 클라우드(10)로 전송한다.
클라우드(10)는 앞서 설명된 렌더링/변환 과정들을 통해 같이, 사진 파일들(1730)을 이미지 파일 포맷으로 렌더링/변환함으로써, 이미지 파일(1750)(또는 압축(ZIP) 파일)을 생성한다. 그리고, 클라우드(10)는 이미지 파일(1750) 및 메타 데이터(1740)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수신된 이미지 파일(1750)에 포함된 사진들(1760 및 1770)을, 수신된 메타 데이터(1740)에 포함된 슬라이드 쇼 설정에 기초하여 재생한다. 예를 들어, 사진들(1760 및 1770)은 전자 디바이스(20)에서 설정된 바에 따라, 날아오기 효과에 의해 10초 간격으로 전환되도록 재생될 수 있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슬라이드 쇼 설정들에 관한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카피를 요청한 소스 디바이스(예를 들어, 도 17의 전자 디바이스(20))로부터 전송된 컨텐츠는 렌더링/변환된 후 클라우드(10)의 스토리지 서버(15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쇼 설정들에 관한 메타 데이터도 스토리지 서버(150)에 저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은 클라우드(10)의 스토리지 서버(150)로부터 렌더링된 컨텐츠 및 메타 데이터를 수신한다. 수신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슬라이드 쇼 설정들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슬라이드 쇼로 재생한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 카피가 요청된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설정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표시 설정들로서, 예를 들어 화면 표시 영역, 화면 표시 배율, 화면 표시 문구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시 설정들은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화면 표시 영역의 표시 설정은, 컨텐츠가 표시될 영역의 위치 또는 여백 영역의 위치에 관한 설정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화면 표시 영역의 표시 설정으로서, 상단 여백(1901), 하단 여백(1902), 좌측 여백(1903) 및 우측 여백(1904)을 설정할 수 있다. 여백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는 디스플레이 카피가 요청된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화면 표시 배율의 표시 설정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화면에서, 컨텐츠가 표시될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에 관한 설정이다. 예를 들어, 화면 표시 배율이 80%인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전체 화면 중, 80%만이 컨텐츠가 표시될 영역으로 설정되고, 나머지 20%는 여백 영역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화면 표시 영역이 상단 여백(1901)으로 설정되고 화면 표시 배율이 80%로 설정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전체 화면 중, 상단의 20%를 여백 영역으로 설정하고, 하단의 80%를 컨텐츠가 표시될 영역으로 설정한다.
화면 표시 문구의 표시 설정은, 여백 영역에 표시될 문구에 관한 설정이다. 예를 들어, 화면 표시 영역이 상단 여백(1901)으로 설정되고 화면 표시 배율이 80%로 설정되고 화면 표시 문구가 “금일 회의 주제는 미국 시장에서의 마케팅 전략입니다.”로 설정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전체 화면 중, 상단의 20%의 여백 영역에 “금일 회의 주제는 미국 시장에서의 마케팅 전략입니다.”의 문구를 표시하고, 하단의 80% 영역에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표시 설정들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를 조작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 자체의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이 타겟 디바이스에 의해 설정되거나, 또는 앞서 설명된 전자 디바이스(20), 화상형성장치(40) 등과 같은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도 20a 내지 도 20d는 일 실시예들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화면 표시 문구의 표시 설정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0a 내지 도 20d를 참고하면, 표시 설정들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여러 기능들을 조작하는 리모트 컨트롤러(37)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또는, 도 20a 내지 도 20d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표시 설정들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여러 기능들을 조작하기 위해 페어링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컨트롤러들(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다.
도 20a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37)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 상의 설정 화면(2001)을 통해 화면 표시 문구 “금일 회의 주제는 미국 시장에서의 마케팅 전략입니다.” 자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된 화면 표시 문구 “금일 회의 주제는 미국 시장에서의 마케팅 전략입니다.”는, 컨텐츠가 표시되지 않는 여백 영역(200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20b 내지 도 20d에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화면 표시 문구 자체를 표시하는 도 20a과는 달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외부 디바이스 또는 외부 서버에 존재하는 SMS(short message service), 게시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0b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37)를 조작하여, 수신될 SMS 또는 MMS를 제공할 스마트폰의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 상의 설정 화면(2002)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스마트폰의 전화번호로 수신될 SMS 또는 MMS의 메시지는 여백 영역(200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20c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37)를 조작하여, 원하는 SNS를 제공하는 서버에 로그인하기 위한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계정 정보(ID/Password)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 상의 설정 화면(2003)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SNS에 업데이트된 최신 게시물은 여백 영역(200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20d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37)를 조작하여, 원하는 웹 서버를 식별하고 로그인하기 위한 정보들(Server Address/ID/Password)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 상의 설정 화면(2004)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서버에 업데이트된 최신 공지사항은 여백 영역(200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에서 입력된 채팅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고하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클라우드(10)는, 사용자 A의 전자 디바이스(20)와 사용자 B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예를 들어, TV)가 참여 중인 대화방(2110) 및 대화방(2110)을 통해 입력된 채팅 메시지(2120)를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20)는 대화방(2110)에서 입력된 채팅 메시지(2120)를 클라우드(10)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 여백 영역(2130)이 설정된 경우, 클라우드(10)는 채팅 메시지(2120)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여백 영역(2130)에 수신된 채팅 메시지(2120) “금일 회의의 주제는 미국 시장에서의 마케팅 전략입니다.”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여백 영역(2130)에, 대화방(2110)에서 최근에 입력된 채팅 메시지(2120)만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현재 참여 중인 대화방을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고하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클라우드(10)는, 사용자 A의 전자 디바이스(20)와 사용자 B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예를 들어, TV)가 참여 중인 대화방(2210) 및 대화방(2210)을 통해 입력된 채팅 메시지들을 관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 여백 영역(2220)이 설정된 경우, 클라우드(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가 현재 참여 중인 대화방(2210)에 관한 정보 및 대화방(2210)의 채팅 메시지들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여백 영역(2220)에, 전자 디바이스(20)와 유사하게 대화방(221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에서 QR 코드 (Quick Response code)를 포함한 컨텐츠에 대한 디스플레이 카피를 요청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고하면, 전자 디바이스(20)는, 전자 디바이스(20)에 저장된 사진(2310)에 관한 사진 파일(2320)을 클라우드(10)로 전송한다. 여기서, 사진(2310)의 일부에는 QR 코드(2315)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함께 포함되어 있다.
클라우드(10)는 수신된 사진 파일(2320)의 파일 포맷을 디스플레이 장치(30)가 표시할 수 있는 파일 포맷으로 렌더링/변환한다. 즉, 클라우드(10)는 사진 파일(2320)을 디스플레이 장치(30)가 표시할 수 있는 파일 포맷의 사진 파일(2330)(또는 이미지 파일)로 렌더링/변환한다. 이때, QR 코드(2315)는 사진(2310)의 일부 이미지에 해당되므로, 렌더링/변환된 사진(2350)에도 마찬가지로 QR 코드(2315)가 포함될 수 있다. 클라우드(10)는 렌더링/변환이 완료된 사진(2350)에 관한 사진 파일(2330)을 디스플레이 장치(30)(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은, 수신된 사진 파일(2330)의 사진(2350)에 QR 코드(2315)의 이미지가 포함된 경우, QR 코드(2315)를 인식한다. 예를 들어, QR 코드(2315)가 특정 URL의 주소(“http://www.car-information.com”)를 나타내는 경우,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은 QR 코드(2315)를 해석하여 “http://www.car-information.com”의 URL 주소를 인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 여백 영역(2240)이 설정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여백 영역(2240)에 인식된 QR 코드(2315)의 URL “http://www.car-information.com”을 표시하고, 다른 영역에 QR 코드(2315)를 포함하는 사진(235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형태로 배열된 멀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multiple display devices)에 대한 정보를 클라우드에 등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카피의 타겟 디바이스에 해당되는 디바이스는 하나가 아닌, 적어도 2 이상의 디바이스들로 그룹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그룹 A(2410)는 Device 1 내지 Device 9의 총 9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9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Device 1 내지 Device 9)는 3x3의 어레이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는, 도 2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그룹 B(2420)는 Device 1 내지 Device 4의 총 4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Device 1 내지 Device 4)는 2x2의 어레이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도 24에 도시된 멀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개수 및 배열 형태는 임의로 정의된 것일 뿐, 본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그룹 A(2410)와 같이, 그룹 A(2410)에 포함된 Device 1 내지 Device 9 각각에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2415)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그룹 B(2420)와 같이, 그룹 B(2420)에 포함된 Device 1 내지 Device 4에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2425)이 설치되지 않고 외부 디바이스에 설치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242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나아가서, 그룹에 속한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만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설치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그룹 내의 나머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이 제어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경우로 본 실시예가 제한되지 않는다.
앞서 설명된 도 6에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 설치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을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를 클라우드(10)에 등록되는 과정이 설명되었다. 여기서, 도 6에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가 하나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되었다.
하지만,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이 그룹화된 멀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이 디스플레이 카피의 타겟 디바이스인 경우, 클라우드(10)는 멀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그룹으로부터 그룹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그룹 A(2410)는 클라우드(10)로, 그룹 A(241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Device 1 내지 Device 9)의 개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Device 1 내지 Device 9) 각각의 해상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Device 1 내지 Device 9)의 배열 형태 등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다. 클라우드(10)의 제어 서버(130)는 수신된 그룹 A(2410)의 정보에 기초하여, 그룹 A(2410)를 타겟 디바이스로서 등록한다. 마찬가지로, 디바이스 그룹 B(2420)는 클라우드(10)로, 그룹 B(242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Device 1 내지 Device 4)의 개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Device 1 내지 Device 4) 각각의 해상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Device 1 내지 Device 4)의 배열 형태 등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다. 클라우드(10)의 제어 서버(130)는 수신된 그룹 B(2420)의 정보에 기초하여, 그룹 B(2420)를 타겟 디바이스로서 등록한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룹화된 멀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타겟으로 디스플레이 카피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501 단계에서, 전자 디바이스(20)는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카피를 요청한다. 디스플레이 카피의 수행은, 앞서 도 13 또는 도 14에서 설명된 디스플레이 카피 버튼(1303 또는 1403)이 클릭됨으로써 요청될 수 있다.
2502 단계에서, 전자 디바이스(20)는 디스플레이 카피가 요청된 컨텐츠를 제어 서버(130)로 전송한다.
2503 단계에서, 제어 서버(130)는 디스플레이 카피가 요청된 컨텐츠를 표시할 타겟 디바이스의 종류를 식별한다. 여기서, 식별된 타겟 디바이스는, Device 1 내지 Device 9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그룹(2500)에 해당될 수 있다.
2504 단계에서, 제어 서버(130)는 식별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그룹(2500)의 설정,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Device 1 내지 Device 9)의 개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Device 1 내지 Device 9) 각각의 해상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Device 1 내지 Device 9)의 배열 형태 등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렌더링 스케일을 결정한다. 여기서, 컨텐츠의 렌더링 스케일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Device 1 내지 Device 9) 각각에 컨텐츠의 각 페이지를 표시할 것인지 또는 컨텐츠의 어느 한 페이지를 분할하여 표시할 것인지 여부, 컨텐츠가 표시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해상도에 따른 렌더링될 컨텐츠의 해상도 등을 의미할 수 있다.
2505 단계에서, 제어 서버(130)는 렌더링 서버(140)에, 결정된 렌더링 스케일에 따른 컨텐츠의 렌더링을 명령한다.
2506 단계에서, 렌더링 서버(140)는 컨텐츠를 렌더링/변환한다.
2507 단계에서, 스토리지 서버(150)는 렌더링된 컨텐츠를 저장한다.
2508 단계에서, 제어 서버(130)는 렌더링된 컨텐츠의 표시 명령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그룹(2500)의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으로 전송한다.
2509 단계에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은 스토리지 서버(150)로부터 렌더링된 컨텐츠를 다운로드한다.
25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그룹(2500)은 디스플레이 카피가 요청된 컨텐츠를 표시한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어느 한 페이지를 분할하여, 그룹화된 멀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그룹(2600)은 3x3으로 배열된 멀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Device 1 내지 Device 9)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그룹(2600)은 예를 들어, LFDs(large format displays)(LFD 1 내지 LFD 9)로 구현된 옥외 광고 간판, 비디오 벽면(video wall) 등에 해당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카피가 요청된 컨텐츠의 어느 한 페이지(2610)는 9 조각으로 분할되고 한 페이지(2610)로부터 분할된 9 조각의 이미지들 각각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Device 1 내지 Device 9) 각각에 표시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그룹(2600)은 컨텐츠의 한 페이지(261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여러 페이지들 각각을, 그룹화된 멀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그룹(2700)은 3x3으로 배열된 멀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Device 1 내지 Device 9)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그룹(2700)은 예를 들어, LFDs(large format displays)(LFD 1 내지 LFD 9)로 구현된 옥외 광고 간판, 비디오 벽면 등에 해당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카피가 요청된 컨텐츠가 9 이상의 페이지들(2701 내지 2709)의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Device 1 내지 Device 9) 각각은 컨텐츠의 9 페이지들(2701 내지 2709)을 한번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그룹(2600)은 Device 1 (LFD 1)에 컨텐츠의 1 페이지(2701)를 표시하고, Device 9 (LFD 9)에 컨텐츠의 9 페이지(2709)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그룹(2600 또는 2700)은 도 26 및 도 27에서 설명된 방법들을 조합하여 디스플레이 카피가 요청된 컨텐츠의 페이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그룹(2600 또는 2700)은 Devices 1, 2, 4 및 5를 통해 컨텐츠의 어느 한 페이지만을 표시하고, 나머지 Devices 3, 6, 7, 8 및 9를 통해 컨텐츠의 각각의 페이지들을 표시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어느 하나의 경우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28a는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클라우드에 등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a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화면 상에 “클라우드에 TV를 등록하기 위해 QR 코드를 스캔하여 주세요.”라는 메시지와 함께 QR 코드(2801)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20)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 표시된 QR 코드(2801)를 인식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 의해 발행된 QR 코드(2801)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식별 정보(MAC 주소, 시리얼 번호, IP 주소 등),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고유 명칭(닉네임)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20)는 QR 코드(2801)를 인식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식별 정보, 고유 명칭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20)는 QR 코드(2801)의 인식를 통해 획득된 정보들(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식별 정보, 고유 명칭 등)을 클라우드(10)로 전송한다.
클라우드(10)는 전자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된 정보들(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식별 정보, 고유 명칭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를 등록할 수 있다.
도 28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클라우드에 등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b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화면 상에 “클라우드에 TV를 등록하기 위한 URL 주소를 입력하여 주세요.”라는 메시지와 함께 입력 칸(2901)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37)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 클라우드(10)의 URL 주소 “https://register.sam-cloud.com”를 입력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입력된 URL 주소 “https://register.sam-cloud.com”에 접속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식별 정보(MAC 주소, 시리얼 번호, IP 주소 등),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고유 명칭(닉네임) 등의 정보를 클라우드(10)로 전송한다.
클라우드(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로부터 수신된 정보들(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식별 정보, 고유 명칭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를 등록할 수 있다.
도 29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카피를 요청하는 디바이스에서 클라우드에 로그인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901 단계에서, 관리자 디바이스(전자 디바이스(291) 또는 PC(292))는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관리자는 관리자 계정으로 관리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한다. 여기서,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클라우드(10)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에 해당될 수 있다.
2902 단계에서, 클라우드(10)는 현재 클라우드(10)에 등록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리스트를 관리자 디바이스(전자 디바이스(291) 또는 PC(292))로 전송한다.
2903 단계에서, 관리자 디바이스(전자 디바이스(291) 또는 PC(292))는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 A의 디바이스(전자 디바이스(20) 또는 PC(52)에 대한 특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사용 권한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관리자가 사용자 A로부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를 사용하고 싶다는 요청을 받은 경우, 관리자 디바이스(전자 디바이스(291) 또는 PC(292))는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현재 클라우드(10)에 등록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리스트 중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와 사용자 A의 디바이스(전자 디바이스(20) 또는 PC(52)를 매핑할 수 있다.
2904 단계에서, 관리자 디바이스(전자 디바이스(291) 또는 PC(292))는 설정된 사용 권한에 대한 정보를 클라우드(1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관리자 디바이스(전자 디바이스(291) 또는 PC(292))는 사용자 A의 디바이스(전자 디바이스(20) 또는 PC(52)에 대해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사용 권한이 부여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클라우드(10)로 전송할 수 있다.
2905 단계에서, 클라우드(10)는 사용 권한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이때, 클라우드(10)는 스토리지 서버(150) 상에 저장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사용 권한 리스트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2906 단계에서, 사용자 A의 디바이스(전자 디바이스(20) 또는 PC(52))는 클라우드 서비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카피)의 이용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사용자 A는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한다.
2907 단계에서, 클라우드(10)는 사용자 A의 디바이스(전자 디바이스(20) 또는 PC(52))에 사용 권한이 부여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리스트를 사용자 A의 디바이스(전자 디바이스(20) 또는 PC(52))로 전송한다.
2908 단계에서, 사용자 A의 디바이스(전자 디바이스(20) 또는 PC(52))는 수신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리스트를 표시한다.
2909 단계에서, 사용자 A는, 사용자 A의 디바이스(전자 디바이스(20) 또는 PC(52))에 표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리스트 중에서 디스플레이 카피를 수행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를 선택할 수 있다.
도 30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상세 하드웨어 구성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0a를 참고하면, 전자 디바이스(20)는 도 1 및 다른 도면들에서 설명된 전자 디바이스(20)에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또한, 본 명세서의 다른 도면들에서 설명되는 전자 디바이스(20)의 동작은, 도 30a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20)의 구성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출력부(201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부(2010)는 디스플레이부(2011), 음향 출력부(2012), 진동 모터(20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11)는 전자 디바이스(2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하고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011)는, 전자 디바이스(20)에 설치된 사진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의 사진들, 이미지들 또는 비디오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011)는, 전자 디바이스(20)에 설치된 웹 브라우징 애플리케이션에서 실행 중인 웹 페이지들, 웹 페이지에 포함된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고, 메일 애플리케이션의 첨부 문서들, 첨부 사진들, 메일 바디(body)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서, 디스플레이부(2011)는, 도 10 내지 도 15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20)에 설치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대화방 화면, 채팅 메시지들을 표시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카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프린트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011)는, 전자 디바이스(2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들의 다양한 실행 화면들 및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들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2011)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01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1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2012)는 통신부(204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20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2012)는 전자 디바이스(2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201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진동 모터(2013)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2013)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예컨대,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의 출력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2013)는 터치스크린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2020)는,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2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202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입력부(2020)는, 디스플레이부(2011)에 표시된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들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또는 컨텐츠(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0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된 하드웨어로서, 전자 디바이스(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30)는, 메모리(207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출력부(2010), 사용자 입력부(2020), 통신부(2040), 센싱부(2050), A/V 입력부(206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30)는, 사진 갤러리 애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징 애플리케이션, 메일 애플리케이션, 문서 작성 애플리케이션 등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30)는, 도 10 내지 도 15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프린트 애플리케이션 등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어부(2030)에 의해 실행된 애플리케이션들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부(2020)를 통해 디스플레이 카피를 요청할 컨텐츠를 선택하거나 디스플레이 카피를 요청할 컨텐츠를 직접 작성할 수 있다.
통신부(2040)는, 전자 디바이스(20)와 클라우드(10) 간의 또는 전자 디바이스(20)와 다른 외부 디바이스들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040)는, 근거리 통신부(2041), 이동 통신부(2042), 방송 수신부(2043)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2041)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2042)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2043)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20)가 방송 수신부(2043)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통신부(2040)는, 컨텐츠에 대한 디스플레이 카피가 요청된 경우, 클라우드(10)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센싱부(2050)는, 전자 디바이스(20)의 상태 또는 전자 디바이스(2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203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205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2051),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2052), 온/습도 센서(2053), 적외선 센서(2054), 자이로스코프 센서(2055), 위치 센서(예컨대, GPS)(2056), 기압 센서(2057), 근접 센서(2058),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205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V(Audio/Video) 입력부(206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2061)와 마이크로폰(206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206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쳐된 사진은 제어부(2030)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2061)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는 사진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부(2011)에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020)를 통해 디스플레이 카피를 요청할 컨텐츠로서, 촬영된 사진을 선택할 수 있다.
카메라(206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207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2050)를 통하여 외부(클라우드(10))로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206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2062)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화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206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2070)는, 제어부(203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또한 다양한 데이터들(예컨대, 애플리케이션들, 컨텐츠들(문서들, 사진들, 이미지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0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2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20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도 30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카피의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구성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0b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20)의 구성들은 도 30a에서 설명된 구성들 중 디스플레이 카피의 동작과 관련된 구성들에 해당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른 도면들에서 설명되는 전자 디바이스(20)의 동작은, 도 30b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20)의 구성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0b를 참고하면, 전자 디바이스(20)는 유저 인터페이스부(201), 제어부(20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부(201)는, 도 30a에서 설명된 출력부(2010) 및 사용자 입력부(202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유저 인터페이스부(201)는, 전자 디바이스(20)에 설치된 사진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의 사진들, 이미지들 또는 비디오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부(201)는, 웹 브라우징 애플리케이션에서 실행 중인 웹 페이지들, 웹 페이지에 포함된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고, 메일 애플리케이션의 첨부 문서들, 첨부 사진들, 메일 바디(body)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서, 디스플레이부(2011)는, 도 10 내지 도 15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20)에 설치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대화방 화면, 채팅 메시지들을 표시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카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프린트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유저 인터페이스부(201)는, 전자 디바이스(2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들의 다양한 실행 화면들 및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들을 표시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부(201)는,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들에서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들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또는 컨텐츠(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02)는, 도 30a에서 설명된 제어부(2030)에 해당되는 구성으로서, 전자 디바이스(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2)는, 사진 갤러리 애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징 애플리케이션, 메일 애플리케이션, 문서 작성 애플리케이션 등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2)는, 도 10 내지 도 15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프린트 애플리케이션 등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어부(202)에 의해 실행된 애플리케이션들을 이용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부(201)를 통해 디스플레이 카피를 요청할 컨텐츠를 선택하거나 디스플레이 카피를 요청할 컨텐츠를 직접 작성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도 10 내지 도 15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어부(202)에 의해 실행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린터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실행되는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카피를 요청할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3)는, 도 30a에서 설명된 통신부(2040)에 해당되는 구성으로서, 컨텐츠에 대한 디스플레이 카피가 요청된 경우, 클라우드(10)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구성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의 다른 도면들에서 설명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동작은, 도 3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구성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1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디스플레이부(301), 음향 출력부(302), 제어부(30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04), 메모리(305) 및 메모리 카드 연결부(306)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1)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들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가 TV인 경우 디스플레이부(301)는 방송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가 LFD인 경우 디스플레이부(301)는 광고, 안내 화면, 방송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앞서 도 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21)(스마트폰), 전자 디바이스(62)(태블릿 디바이스), 노트북(63), PC(64) 등에 해당될 수 있으므로, 각종 애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302)는 방송 데이터의 오디오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30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201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303)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된 하드웨어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 내 구성들의 전반적인 기능들 및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3)는 디스플레이 카피와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을 실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04)는, 방송 수신 모듈을 이용하여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과 같은 방송 채널을 통해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04)는, Wi-Fi 모듈, 이더넷(Ethernet) 모듈 등을 이용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에 접속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04)를 이용하여 클라우드(10)와 통신할 수 있다.
메모리(305)는 제어부(303)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또한 다양한 데이터들(예컨대, 방송 데이터들, 광고 데이터들, 애플리케이션들, 컨텐츠들(문서들, 사진들, 이미지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305)는 디스플레이 카피와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05)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다양한 식별 정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고유 명칭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식별 정보로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04)의 MAC 주소, 시리얼 번호, IP 주소 등이 포함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고유 명칭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 대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닉네임일 수 있다.
메모리(305)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카드 연결부(306)는 USB(Universal Serial Bus) 디바이스,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등과 같은 외부의 포터블 스토리지들과 연결할 수 있는 하드웨어이다. 메모리 카드 연결부(306)는 USB 디바이스, SD 카드 등으로부터, USB 디바이스, SD 카드 등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 연결부(306)는 USB 디바이스, SD 카드 등에 저장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의 설치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03)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의 설치 파일을 실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을 설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카피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구성들의 동작들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앞서 설명된 다른 도면들과 도 31을 함께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이 설치된 경우, 제어부(303)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을 실행한다.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이 실행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클라우드(10)에 등록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다양한 식별 정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고유 명칭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04)를 통해 클라우드(10)로 전송할 수 있다. 클라우드(10)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등록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클라우드(10)에 접속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 할당된 로그인 정보를 입력한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04)가 입력된 로그인 정보를 클라우드(10)로 전송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클라우드(10)에 로그인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다른 도면들과 도 31을 함께 참고하면, 클라우드(10)의 스토리지 서버(150)에 디스플레이 카피를 요청한 컨텐츠(이미지 파일)가 저장된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04)는 스토리지 서버(150)로부터 컨텐츠(이미지 파일)를 다운로드한다. 이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04)는 클라우드(10)로부터 렌더링된 컨텐츠(이미지 파일 또는 압축 파일)가 저장된 스토리지 서버(150)의 디렉토리 주소를 나타내는 URL 주소를 수신할 수 있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04)는 수신된 URL 주소에 접속하여 렌더링된 컨텐츠(이미지 파일 또는 압축 파일)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제어부(303)는 클라우드(10)로부터 수신된, 렌더링된 컨텐츠(이미지 파일)가 디스플레이부(301)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카피의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만약, 클라우드(10)로부터 압축 파일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303)는 압축 파일에 대해 압축풀기를 수행하여 이미지 파일을 추출하고, 추출된 이미지 파일이 디스플레이부(301)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카피의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도 32는 일 실시예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서 스캔된 문서를 TV의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인쇄(print) 또는 복사(copy)하는 클라우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를 참고하면, 클라우드 시스템(3200)은 클라우드(10), 화상형성장치(54)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를 포함한다. 클라우드 시스템(1) 상에서 화상형성장치(54)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클라우드(10)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다. 도 1의 클라우드 시스템(1)과 비교하면, 도 32의 클라우드 시스템(3200)은 디스플레이 카피를 요청하기 위한 소스 디바이스가 전자 디바이스(20)가 아닌, 화상형성장치(54)이다. 따라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20)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디스플레이 카피가 요청되는 것 대신에, 도 32의 클라우드 시스템(3200)은 화상형성장치(54)에 의해 스캔된 문서에 대한 디스플레이 카피를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20)가 포함된 클라우드 시스템(1) 내에서의 동작들은, 화상형성장치(54)가 포함된 클라우드 시스템(3200)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화상형성장치(54)는 문서(3210)를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3220)를 생성하고, 대화방을 통해 스캔 데이터(3220)가 전송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를 지정한다. 그리고 나서, 화상형성장치(54)는 스캔 데이터(3220) 및 지정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 대한 정보를 클라우드(10)로 전송한다. 클라우드(10)는 수신된 스캔 데이터(3220)의 파일 포맷 자체가 디스플레이 장치(30)가 표시할 수 있는 파일 포맷에 해당되는 경우, 별도로 변환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3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스캔 데이터(3220) 및 스캔 데이터(3230)의 파일 포맷은 동일하다. 이는 화상형성장치(54)에서 스캔 데이터(3220)를 PDF 파일 또는 그래픽 파일 포맷(예를 들어, “*.jpg” 파일, “*.bmp” 파일 등)의 파일 포맷으로 생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수신된 스캔 데이터(3220)의 파일 포맷이 디스플레이 장치(30)가 표시할 수 없는 파일 포맷에 해당되는 경우, 클라우드(10)는 수신된 스캔 데이터(3220)의 파일 포맷을 디스플레이 장치(30)가 표시할 수 있는 파일 포맷으로 변환한다. 즉, 클라우드(10)는 스캔 데이터(3220)를 디스플레이 장치(30)가 표시할 수 있는 파일 포맷의 스캔 데이터(3230)로 변환한다.
클라우드(10)는 스캔 데이터(3230)를 디스플레이 장치(30)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수신된 스캔 데이터(3230)를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표시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54)로부터 요청된 디스플레이 카피(display copy)의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위와 같이, 클라우드 시스템(3200)에서 화상형성장치(54)에 의해 스캔된 문서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는 기능을 “스캔 투 디스플레이 카피(Scan-to-DisplayCopy)”의 용어로 정의할 수 있다. 또는, 이와 같은 기능은 “스캔 투 디스플레이 카피(Scan-to-DisplayCopy)”와 유사한 의미를 갖는 다른 용어로도 대체될 수 있다.
도 3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스캔 투 디스플레이 카피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의 상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을 참고하면, 화상형성장치(54)에 의해 스캔된 문서는 클라우드(10)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카피될 수 있다.
3301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 설치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은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에 등록한다. 앞서 도 6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이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식별 정보(MAC 주소, 시리얼 번호, IP 주소 등),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고유 명칭 등을 전송하면,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는 스토리지 서버(150)에 이 정보들을 저장하고,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 및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를 등록한다. 또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은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ID/Password)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는 로그인 정보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식별 정보 등을 매핑하여 관리할 수 있다.
3302 단계에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은 메시징 서버(120)에 로그인한다.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 구비된 유저 인터페이스 수단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입력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메시징 서버(120)에 전송한다. 메시징 서버(120)는 수신된 로그인 정보를 제어 서버(130)로 전달하고, 제어 서버(130)는 스토리지 서버(150)에 미리 저장된 로그인 정보와 현재 입력된 로그인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로그인 성공(login success)을 판단한다. 한편, 스토리지 서버(150)는 기업의 사원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LDAP(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서버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고, 제어 서버(130)는 스토리지 서버(150)의 LDAP 서버로부터 매칭된 로그인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로그인 성공을 판단할 수 있다.
3303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54)는 메시징 서버(120)에 로그인한다. 화상형성장치(54)에는 스캔 투 디스플레이 카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프린트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54)는 프린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화상형성장치(54)의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입력한다. 이후에 화상형성장치(54)의 프린트 애플리케이션은 입력된 로그인 정보를 메시징 서버(120)에 전송하고, 제어 서버(130)는 수신된 로그인 정보를 스토리지 서버(150)에 미리 저장된 로그인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로그인 성공을 판단한다.
3304 단계에서, 제어 서버(130)는, 화상형성장치(54)의 로그인이 완료된 경우, 대화방(conference room)을 생성한다. 생성된 대화방에는 화상형성장치(54)의 사용자의 계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사용자의 계정, 또는 제 3 자의 계정이 초대될 수 있다. 한편, 대화방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 할당된 계정이 초대될 수도 있다.
330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54)는 문서를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스캔 문서)를 생성한다.
3306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54)는 디스플레이 카피를 요청할 스캔 데이터(스캔 문서)에 관한 메타 데이터(예를 들어, 파일 포맷 정보, 파일 크기 정보, 파일명 정보 등)를 메시징 서버(120)에 전송한다. 이때, 전송된 스캔 데이터(스캔 문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서 바로 표시될 수 없는 파일 포맷(예를 들어, “*.doc” 파일, “*.ppt” 파일 등)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서 바로 표시할 수 있는 파일 포맷(예를 들어, “*.jpg” 파일, “*.bmp” 파일 등)일 수 있다. 스캔 데이터(스캔 문서)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서 바로 표시할 수 있는 파일 포맷인 경우, 이하의 3308 단계는 생략될 수 있고, 이하의 3308 단계 내지 3314 단계에서 설명될 렌더링된 스캔 문서는 화상형성장치(54)로부터 수신된 스캔 데이터(스캔 문서) 자체로 대체될 수 있다.
3307 단계에서, 제어 서버(130)는 화상형성장치(54)로부터 수신된 스캔 데이터(스캔 문서)에 대한 렌더링을 수행하기 위한 렌더링 작업의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렌더링 작업의 명령을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로 전송한다.
3308 단계에서,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는 렌더링 서버(140)에 렌더링 작업의 명령을 전달한다. 렌더링 서버(140)는 렌더링 명령에 따라 화상형성장치(54)로부터 수신된 스캔 데이터(스캔 문서)를 그래픽 파일 포맷을 갖는 이미지 파일 타입의 스캔 데이터(스캔 문서)로 렌더링/변환한다. 또한, 렌더링 서버(140)는 추가적으로, 렌더링/변환이 완료된 이미지 파일 타입의 스캔 데이터(스캔 문서)를 압축 파일(예를 들어, ZIP 파일)로 생성할 수도 있다.
3309 단계에서, 렌더링 서버(140)는 렌더링/변환이 완료된 이미지 파일 타입의 스캔 데이터(스캔 문서)를 스토리지 서버(150)에 저장한다.
3310 단계에서, 렌더링 서버(140)는 렌더링/변환이 완료된 경우,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에 렌더링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한다. 즉, 렌더링 서버(140)는 렌더링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도록 렌더링 작업의 상태를 업데이트한다. 예를 들어, 렌더링 서버(140)에는 화상형성장치(54)뿐만 아니라, 무수히 많은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도 디스플레이 카피를 위한 렌더링 작업이 요청될 수 있다. 따라서, 렌더링 서버(140)는 요청된 렌더링 작업의 순서대로 큐(queue)를 생성하고, 렌더링 작업이 완료된 순서대로 큐에 포함된 렌더링 작업의 상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3311 단계에서,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는 메시징 서버(120)에 렌더링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한다.
3312 단계에서, 제어 서버(130)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으로, 스캔 투 디스플레이 카피를 위하여 화상형성장치(54)로부터 요청된, 렌더링/변환된 스캔 데이터(스캔 문서)의 표시를 명령한다. 이때, 제어 서버(130)는 렌더링/변환된 스캔 데이터(스캔 문서)의 특정 페이지(예를 들어, 첫 페이지)가 표시되도록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에 명령할 수 있다.
3313 단계에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은 스토리지 서버(150)로부터 렌더링/변환된 스캔 데이터(스캔 문서)를 다운로드한다. 이때, 스토리지 서버(150)는 렌더링/변환된 스캔 데이터(스캔 문서)가 저장된 스토리지 서버(150)의 웹 주소(URL)에 대한 정보를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에 제공하고,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은 스토리지 서버(150)의 웹 주소(URL)에 접속함으로써 렌더링/변환된 스캔 데이터(스캔 문서)를 수신할 수 있다.
3314 단계에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스캔 투 디스플레이 카피가 요청된 스캔 데이터(스캔 문서)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를 제어한다.
한편, 여기서, 스캔 투 디스플레이 기능의 타겟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 대신에, 도 24에서 설명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그룹 A(241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그룹 B(2420) 등과 같이 멀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해당될 수도 있다.
도 3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스캔된 문서들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슬라이드 쇼로 재생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를 참고하면, 화상형성장치(54)는 복수의 페이지들의 문서들(3410)을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3430)를 생성한다. 그리고 나서, 화상형성장치(54)는 스캔 데이터(3430)에 포함된 문서들(3410)의 각 페이지들을 슬라이드 쇼로 재생하기 위한 설정들(3425)을 나타내는 UI 화면(3420)을 표시한다.
슬라이드 쇼의 재생에 관한 설정들(3425)은, 자동 화면 전환 시간에 관한 설정, 전환 효과에 관한 설정, 반복 설정, 구간 설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상형성장치(54)를 통해 입력된 슬라이드 쇼의 재생에 관한 설정들(3425)은, 메타 데이터(3440)의 형태로 변환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54)는 스캔 데이터(3430) 및 슬라이드 쇼 설정들(3425)에 관한 메타 데이터(3440)를 클라우드(10)로 전송한다.
클라우드(10)는 스캔 데이터(3450) 및 메타 데이터(3440)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수신된 스캔 데이터(3450)에 포함된 각 페이지들의 문서 이미지들을, 수신된 메타 데이터(3440)에 포함된 슬라이드 쇼 설정에 기초하여 재생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들(3461 및 3462)은 화상형성장치(54)에서 설정된 바에 따라, 날아오기 효과에 의해 10초 간격으로 전환되도록 재생될 수 있다.
도 3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스캔된 문서들을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각각에서 슬라이드 쇼로 재생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를 참고하면, 앞서 도 3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54)는 슬라이드 쇼로 재생하기 위한 설정들(3515)을 나타내는 UI 화면(3510)을 표시한다. 하지만, 도 34의 UI 화면(3420)과 달리, 도 35의 UI 화면(3510)에서는 스캔 투 디스플레이 카피의 타겟 디바이스를 지정하는 입력 칸(3517)이 제공될 수 있다. 스캔 투 디스플레이 카피의 타겟 디바이스로서, TV 1(31) 및 TV 2(32)가 지정된 경우, 클라우드(10)는 TV 1(31) 및 TV 2(32) 각각에 스캔 데이터(3520)(이미지 파일들 또는 압축(ZIP) 파일)과, 메타 데이터(3530)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TV 1(31) 및 TV 2(32) 각각에서는 메타 데이터(3530)에 포함된 슬라이드 쇼 설정들(3515)에 기초하여 스캔 데이터(3520)에 포함된 각 페이지들을 슬라이드 쇼로 재생할 수 있다. 즉, 하나의 화상형성장치(54)로부터 요청된 스캔 투 디스플레이 카피의 기능은, 서로 다른 여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31 및 32) 각각에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36a 내지 도 36d는 일 실시예들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화면 표시 문구를 화상형성장치에서 설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6a 내지 도 36d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화면 표시 문구에 관한 표시 설정들은 화상형성장치(54)의 오퍼레이션 패널(5400)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54)의 오퍼레이션 패널(5400)을 통해 입력된 표시 설정들에 관한 정보들은 클라우드(10)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36a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오퍼레이션 패널(5400) 상에 표시된 설정 화면(3601)을 통해 화면 표시 문구 “금일 회의 주제는 미국 시장에서의 마케팅 전략입니다.” 자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된 화면 표시 문구 “금일 회의 주제는 미국 시장에서의 마케팅 전략입니다.”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의 화면 상에서 컨텐츠가 표시되지 않는 여백 영역(360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36b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오퍼레이션 패널(5400) 상에 표시된 설정 화면(3602)을 통해, 수신될 SMS 또는 MMS를 제공할 스마트폰의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스마트폰의 전화번호로 수신될 SMS 또는 MMS의 메시지는 여백 영역(360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36c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오퍼레이션 패널(5400) 상에 표시된 설정 화면(3603)을 통해, 원하는 SNS를 제공하는 서버에 로그인하기 위한 SNS 계정 정보(ID/Password)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SNS에 업데이트된 최신 게시물은 여백 영역(360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36d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오퍼레이션 패널(5400) 상에 표시된 설정 화면(3603)을 통해, 원하는 웹 서버를 식별하고 로그인하기 위한 정보들(Server Address/ID/Password)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서버에 업데이트된 최신 공지사항은 여백 영역(360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37은 일 실시예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서 QR 코드(Quick Response code)를 포함한 사진을 스캔하여 스캔 투 디스플레이 카피를 요청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7을 참고하면, 화상형성장치(54)는, QR 코드(3715)를 포함하는 사진(3710)을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3720)를 생성한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54)는 스캔 데이터(3720)를 클라우드(10)로 전송한다.
클라우드(10)는 사진(3710)에 관한 스캔 데이터(3730)를 디스플레이 장치(30)(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은, 수신된 스캔 데이터(3730)의 사진(3710)에 QR 코드(3715)의 이미지가 포함된 경우, QR 코드(3715)를 인식한다. 예를 들어, QR 코드(3715)가 특정 URL의 주소(“http://www.car-information.com”)를 나타내는 경우,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은 QR 코드(3715)를 해석하여 “http://www.car-information.com”의 URL 주소를 인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 여백 영역(3740)이 설정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여백 영역(3740)에 인식된 QR 코드(3715)의 URL “http://www.car-information.com”을 표시하고, 다른 영역에 QR 코드(3715)를 포함하는 사진(375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8은 일 실시예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서, 그룹화된 멀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타겟으로 스캔 투 디스플레이 카피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801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54)는 문서를 스캔한다.
3802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54)는 스캔 문서(스캔 데이터)의 스캔 투 디스플레이 카피를 요청한다.
3803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54)는 디스플레이 카피가 요청된 스캔 문서(스캔 데이터)를 제어 서버(130)로 전송한다.
3804 단계에서, 제어 서버(130)는 디스플레이 카피가 요청된 스캔 문서(스캔 데이터)를 표시할 타겟 디바이스의 종류를 식별한다. 여기서, 식별된 타겟 디바이스는, Device 1 내지 Device 9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그룹(3800)에 해당될 수 있다.
3805 단계에서, 제어 서버(130)는 식별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그룹(3800)의 설정,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Device 1 내지 Device 9)의 개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Device 1 내지 Device 9) 각각의 해상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Device 1 내지 Device 9)의 배열 형태 등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스캔 문서의 렌더링 스케일을 결정한다. 여기서, 스캔 문서의 렌더링 스케일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Device 1 내지 Device 9) 각각에 스캔 문서의 각 페이지를 표시할 것인지 또는 스캔 문서의 어느 한 페이지를 분할하여 표시할 것인지 여부, 스캔 문서가 표시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해상도에 따른 렌더링될 스캔 문서의 해상도 등을 의미할 수 있다.
3806 단계에서, 제어 서버(130)는 렌더링 서버(140)에, 결정된 렌더링 스케일에 따른 스캔 문서의 렌더링을 명령한다.
3807 단계에서, 렌더링 서버(140)는 스캔 문서를 렌더링/변환한다.
3808 단계에서, 스토리지 서버(150)는 렌더링된 스캔 문서를 저장한다.
3809 단계에서, 제어 서버(130)는 렌더링된 스캔 문서의 표시 명령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그룹(2500)의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으로 전송한다.
3810 단계에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35)은 스토리지 서버(150)로부터 렌더링된 스캔 문서를 다운로드한다.
3811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그룹(2500)은 스캔 투 디스플레이 카피가 요청된 스캔 문서를 표시한다.
도 3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9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54)의 구성들은 디스플레이 카피의 동작과 관련된 구성들만에 해당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비록 도 39에 도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도 39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54)는 다른 범용적인 구성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른 도면들에서 설명되는 화상형성장치(54)의 동작은, 도 39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54)의 구성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나아가서, 본 명세서의 다른 도면들에서 설명된 모바이 디바이스(20)의 동작들 또한 도 39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54)에도 적용될 수 있다.
스캐닝부(541)는 문서를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스캔 이미지 파일 또는 스캔 문서)를 생성한다.
제어부(542)는 화상형성장치(54)의 전반적인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42)는 스캐닝부(541)의 스캔 동작을 제어하거나, 오퍼레이션 패널(542)을 통한 정보들의 표시를 제어하거나, 오퍼레이션 패널(542)을 통해 입력된 정보들을 처리하거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44)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42)는 화상형성장치(54)에 설치된, 스캔 투 디스플레이 카피의 기능을 지원하는 프린트 애플리케이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등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오퍼레이션 패널(542)은 스캔 투 디스플레이 카피의 기능을 지원하는 프린트 애플리케이션 또는 메신저 애플리케이션(대화방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한다. 오퍼레이션 패널(542)은 상기 화상형성장치(54)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이 참여한 대화방을 표시할 수 있다. 스캐닝부(541)에 의한 스캔이 완료된 경우, 오퍼레이션 패널(542)은 프린트 애플리케이션 또는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함으로써, 스캔 데이터에 대한 스캔 투 디스플레이 카피를 요청할 타겟 디바이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를 설정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오퍼레이션 패널(542)은 이와 같은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타겟 디바이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를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오퍼레이션 패널(542)은 화상형성장치(54)에 의해 처리된 정보들을 표시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입출력 하드웨어에 해당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44)는 스캔 투 디스플레이 카피가 요청된 경우, 스캔 데이터(스캔 이미지 파일 또는 스캔 문서)를 클라우드(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44)는 스캔 투 디스플레이 카피의 타겟 디바이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 대한 정보도 클라우드(10)로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44)는 Wi-Fi 모듈, 이더넷(Ethernet) 모듈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 수단들을 이용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에 접속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44)는 오퍼레이션 패널(542)을 통해 지정된 타겟 디바이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 대한 정보를 클라우드(1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39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54)의 구성들은, 도 32 내지 도 38 등에서 설명된 다양한 스캔 투 디스플레이 카피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4 내지 도 35에서 설명된 UI 화면들(3420 및 3510)은 도 39에서 설명된 오퍼레이션 패널(542)을 통해 표시되는 것들일 수 있다. 또한, 도 36a 내지 도 36d에서 설명된 화상형성장치(54)의 오퍼레이션 패널(5400)은, 도 39에서 설명된 오퍼레이션 패널(542)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도 39의 화상형성장치(54)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 표시된 문구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542)는 위와 같은, UI 화면들(3420 및 3510) 및 오퍼레이션 패널(5400)을 통해 입력된 정보들을 처리할 수 있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44)는 위의 처리된 정보들을 클라우드(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에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0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앞서 도면들에서 설명된 클라우드(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앞서 설명한 도면들에 관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4001 단계에서, 메시징 서버(120)(제 1 서버)는, 전자 디바이스(20)로부터 컨텐츠의 공유 요청을 수신한다.
4002 단계에서,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제 2 서버)는, 컨텐츠의 파일 포맷의 종류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파일 포맷이 클라우드(1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서 표시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4003 단계에서, 렌더링 서버(140)(제 3 서버)는, 파일 포맷이 표시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컨텐츠를 이미지 파일로 렌더링한다.
4004 단계에서, 제어 서버(130)(제 4 서버)는, 컨텐츠 및 렌더링된 이미지 파일 중 어느 하나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도 4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에서 스캔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앞서 도면들에서 설명된 클라우드(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앞서 설명한 도면들에 관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4101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54)는 문서를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생성한다.
4102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54)는, 대화방을 통해 스캔 데이터가 전송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를 지정한다.
4103 단계에서, 클라우드(10)는, 화상형성장치(54)로부터 스캔 데이터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4104 단계에서, 클라우드(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로 수신된 스캔 데이터를 전송한다.
4105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클라우드(10)로부터 수신된 스캔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하에서는, 도 42 내지 도44를 참고하여, 전자 디바이스(20), PC(52) 또는 화상형성장치(54)와 같은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디스플레이 카피 또는 스캔 투 디스플레이 카피가 요청된 컨텐츠(또는 스캔 데이터)를 클라우드(10)에 저장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에서 컨텐츠를 저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2를 참고하면,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는 웹 서버(4201) 및 REST API Package(4202)를 포함하고, 스토리지 서버(150)는 Riak CS (Riak Cloud Storage) (4203) 및 Database(4204)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카피(또는 스캔 투 디스플레이 카피)를 요청하고자 하는 소스 디바이스(전자 디바이스(20), PC(52) 또는 화상형성장치(54))는, 클라우드(10)의 웹 서버(4201)로 컨텐츠(또는 스캔 데이터)를 전송한다.
REST API Package(4202)는, 웹 서버(4201)가 수신한 컨텐츠를 파일, 파일 정보(string) 등으로 분석한다. 여기서, 컨텐츠가 이미지 파일(문서 파일)에 해당되는 경우, 파일(컨텐츠 데이터)은 이미지 데이터(문서 데이터)에 해당되고, 파일 정보(string)는 이미지 파일(문서 파일)의 확장자, 생성 일시, 용량 등과 같은 메타 데이터에 해당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파일 정보는 앞서 설명된, 메시징 서버(120)에서 수신하는 공유 요청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일 수 있다.
스토리지 서버(150) 내에서, 파일 자체(컨텐츠 데이터)는 Database(4204)에 분산되어 저장되고, 확장자, 생성 일시, 용량 등의 string 정보(메타 데이터)는 Riak CS(4203)에 분산되어 저장된다. 즉, 스토리지 서버(150)는 소스 디바이스(전자 디바이스(20), PC(52) 또는 화상형성장치(54))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Database(4204), Riak CS(4203) 등에 분산하여 저장한다.
도 43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에서 컨텐츠를 저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3을 참고하면,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는 웹 서버(4201) 및 REST API Package(4202)를 포함하고, 스토리지 서버(150)는 Riak CS(4203) 및 Database(4204)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카피(또는 스캔 투 디스플레이 카피)를 요청하고자 하는 소스 디바이스(전자 디바이스(20), PC(52) 또는 화상형성장치(54))는, 클라우드(10)의 웹 서버(4201)로 컨텐츠(또는 스캔 데이터)를 전송한다.
웹 서버(4201)는 Riak CS(4203)로, 파일 정보(string)를 저장하기 위한 Riak CS(4203)의 URL 주소를 요청한다. 그리고, 웹 서버(4201)는 Riak CS(4203)의 URL 주소를 소스 디바이스(전자 디바이스(20), PC(52) 또는 화상형성장치(54))로 반환(return)한다.
소스 디바이스(전자 디바이스(20), PC(52) 또는 화상형성장치(54))는 URL 주소에 접속하여, 컨텐츠에 관한 확장자, 생성 일시, 용량 등과 같은 파일 정보(string)를 Riak CS(4203)로 전송한다. Riak CS(4203)는 수신된 파일 정보(string)를 저장한다. 따라서, Riak CS(4203)는, 앞서 설명된, 컨텐츠에 관한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메시징 서버(120)와 연관될 수 있다.
REST API Package(4202)는, 웹 서버(4201)가 수신한 컨텐츠에 관하여 파일 정보(string)를 제외한 파일 자체(이미지 데이터, 문서 데이터 등)를 Database(4204)에 분산하여 저장한다.
도 44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에서 컨텐츠를 저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4를 참고하면, 프린트 서비스 서버(110)는 웹 서버(4201), REST API Package(4202) 및 Storage Controller(4205)를 포함하고, 스토리지 서버(150)는 Riak CS(4203) 및 Database(4204)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카피(또는 스캔 투 디스플레이 카피)를 요청하고자 하는 소스 디바이스(전자 디바이스(20), PC(52) 또는 화상형성장치(54))는, 클라우드(10)의 Riak CS(4203)로 컨텐츠(또는 스캔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소스 디바이스(전자 디바이스(20), PC(52) 또는 화상형성장치(54))는, 웹 서버(4201)에 의해 미리 제공된 Riak CS(4203)의 URL 주소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Riak CS(4203)는 수신된 컨텐츠를 저장한다. 그리고, Storage Controller(4205)는 Riak CS(4203)에 저장된 컨텐츠를 분석하여, 컨텐츠에 관한 확장자, 생성 일시, 용량 등과 같은 파일 정보(string)와 파일 자체(이미지 데이터, 문서 데이터 등)를 분류한다.
분류 결과, Storage Controller(4205)는 Riak CS(4203)가 컨텐츠에 관한 확장자, 생성 일시, 용량 등과 같은 파일 정보(string)만을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Storage Controller(4205)는 파일(이미지 데이터, 문서 데이터 등)을 Database(4204)에 저장하기 위하여 REST API Package(4202)를 호출(call)한다.
REST API Package(4202)는 웹 서버(4201)가 수신한 컨텐츠에 관하여 파일 정보(string)를 제외한 파일 자체(이미지 데이터, 문서 데이터 등)를 Database(4204)에 분산하여 저장한다.
도 4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방에서 공유된 컨텐츠에 관한 히스토리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5에서는, 사용자 A의 전자 디바이스(451) 및 사용자 B의 전자 디바이스(452)가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도 45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다양한 개수의 디바이스들이 존재하는 환경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4501 단계에서, 제어 서버(130)는 사용자 A의 전자 디바이스(451), 사용자 B의 전자 디바이스(452), 또는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요청된 대화방을 개설하고, 개설된 대화방을 관리한다.
4502 단계에서, 사용자 A의 전자 디바이스(451)는 대화방에 참가한다.
4503 단계에서, 사용자 B의 전자 디바이스(452)는 대화방에 참가한다. 즉, 사용자 A와 사용자 B는 참가한 대화방을 통해 채팅을 할 수 있고, 컨텐츠를 서로 공유할 수도 있다. 다만, 도 45에서는 비록 디스플레이 카피를 수행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대화방에는 이미 참가한 것으로 가정한다.
4504 단계에서, 사용자 A의 전자 디바이스(451)는 대화방에서 컨텐츠 A를 공유한다.
4505 단계에서, 사용자 B의 전자 디바이스(452)는 대화방에서 컨텐츠 B를 공유한다.
4506 단계에서, 제어 서버(130)는 대화방에서 공유된 컨텐츠(컨텐츠 A 및 컨텐츠 B)의 히스토리를 관리한다. 예를 들어, 제어 서버(130)는 컨텐츠 A의 파일 명칭, 컨텐츠 A를 공유한 사용자 A에 대한 정보, 컨텐츠 A가 공유된 시간 정보, 컨텐츠 A의 용량 정보 등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A가 공유된 시점에서 현재 대화방에 참가한 사용자/디바이스 리스트도 히스토리에 포함될 수 있다.
4507 단계에서, 제어 서버(130)는 스토리지 서버(150)에 컨텐츠 공유의 히스토리를 저장한다.
4508 단계에서, 만약 사용자 B가 컨텐츠 공유의 히스토리를 보고싶어 하는 경우, 사용자 B의 전자 디바이스(452)는 제어 서버(130)로, 컨텐츠 공유의 히스토리에 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4509 단계에서, 스토리지 서버(150) 및 제어 서버(130)는 컨텐츠 공유의 히스토리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B의 전자 디바이스(452)로 전송한다. 여기서, 히스토리에는, 컨텐츠 A의 파일 명칭, 컨텐츠 A를 공유한 사용자 A에 대한 정보, 컨텐츠 A가 공유된 시간 정보, 컨텐츠 A의 용량 정보, 컨텐츠 B의 파일 명칭, 컨텐츠 B를 공유한 사용자 B에 대한 정보, 컨텐츠 B가 공유된 시간 정보, 컨텐츠 B의 용량 정보, 사용자 A가 공유되었을 때 참가한 사용자/디바이스 리스트, 사용자 B가 공유되었을 때 참가한 사용자/디바이스 리스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4510 단계에서, 사용자 B의 전자 디바이스(452)는 대화방에서 공유된 컨텐츠의 히스토리를 표시한다.
도 46은 일 실시예에 따라 대화방을 통해 사용자가 전송한 컨텐츠에 관한 히스토리가 표시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6을 참고하면, 유저 인터페이스(4601)는 대화방을 통해 공유된 컨텐츠의 히스토리(4602)에 관한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4601)는 도 45에서 설명된 사용자 A의 전자 디바이스(451) 또는 PC(미도시)에서 표시된 화면인 것으로 가정한다.
유저 인터페이스(4601)는 대화방을 통해 공유되었던 컨텐츠 중, 사용자 A가 전송하였던 컨텐츠의 히스토리(4602)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A는 대화방(Room 1)을 통해 File_file_001.xxx 및 File_file_005.xxx를 전송하였고, 대화방(Room 2)을 통해 File_file_002.xxx를 전송하였다. 유저 인터페이스(4601)의 히스토리(4602)는 대화방(Room 1)에서 사용자 A가 File_file_001.xxx를 4:36:46 PM12/05/2013에 전송하였을 때에는, 사용자 A 및 다른 사용자/디바이스들이 함께 참가 중이었다는 정보도 표시할 수 있다.
도 47은 일 실시예에 따라 대화방을 통해 사용자가 수신한 컨텐츠에 관한 히스토리가 표시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7을 참고하면, 유저 인터페이스(4701)는 대화방을 통해 공유된 컨텐츠의 히스토리(4702)에 관한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4701)는 도 45에서 설명된 사용자 A의 전자 디바이스(451) 또는 PC(미도시)에서 표시된 화면인 것으로 가정한다.
유저 인터페이스(4701)는 대화방을 통해 공유되었던 컨텐츠 중, 사용자 A가 수신하였던 컨텐츠의 히스토리(4702)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A는 대화방(Room 1)을 통해 File_file_006.xxx 및 File_file_008.xxx를 수신하였고, 대화방(Room 2)을 통해 File_file_007.xxx를 수신하였다. 유저 인터페이스(4701)의 히스토리(4702)는 대화방 정보(Room 1 또는 Room 2)와 함께, 전송자(sender), 전송 시각 등을 나타내는 정보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컨텐트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컨텐트의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제 1 서버;
    상기 컨텐트의 파일 포맷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트가 상기 클라우드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표시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서버;
    상기 컨텐트가 표시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컨텐트를 렌더링하고 상기 렌더링된 컨텐트로부터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제 3 서버; 및
    상기 컨텐트 및 상기 이미지 파일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 4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버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를 매핑하여 관리하는 XMPP (Extensible Messaging and Presence Protocol) 서버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서버는
    상기 컨텐트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표시 가능한 경우 상기 컨텐트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컨텐트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표시 불가능한 경우 상기 이미지 파일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클라우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컨텐트를 저장하고, 상기 렌더링이 수행된 경우 상기 이미지 파일을 더 저장하는 제 5 서버를 더 포함하는, 클라우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서버는
    상기 수신된 컨텐트 또는 상기 이미지 파일이 저장된 디렉토리 주소에 대응되는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클라우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TV, LFD(large format display), 태블릿 디바이스 및 스마트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서버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들이 참여한 대화방(conversation room)을 관리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대화방에 참여 중인 상기 다른 디바이스들 중 하나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위한 타겟 디바이스로서 지정되는, 클라우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는
    상기 대화방을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 또는 상기 대화방에 참여한 상기 다른 디바이스들에 의해 공유된 컨텐트인, 클라우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설치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클라우드와 통신하기 위한 REST API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모듈로 구현되고,
    상기 제 2 서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 및 닉네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주소 정보 및 상기 닉네임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제 4 서버는
    상기 제 1 서버가 상기 컨텐트의 상기 공유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 2 서버에 의해 상기 파일 포맷의 종류가 판단되도록 상기 제 2 서버에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 2 서버를 제어하는, 클라우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서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컨텐트 또는 상기 이미지 파일에서 첫번째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클라우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서버는
    상기 이미지 파일을 압축함으로써, 압축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클라우드는
    상기 압축 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압축 파일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제 5 서버를 더 포함하는, 클라우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서버는
    Riak CS (Riak Cloud Storage) 및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Riak CS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컨텐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컨텐트의 파일 정보를 나타내는 스트링(string)을 저장하고, 상기 컨텐트의 파일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 전달하는, 클라우드.
  13. 컨텐트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컨텐트를 전송하는 전자 디바이스;
    상기 컨텐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컨텐트의 파일 포맷을 판단하고, 상기 파일 포맷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트가 상기 클라우드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표시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컨텐트를 렌더링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클라우드; 및
    상기 클라우드로부터 상기 컨텐트 및 상기 이미지 파일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트 및 상기 이미지 파일 중 상기 수신된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우드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를 매핑하여 관리하는 XMPP (Extensible Messaging and Presence Protocol)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는
    상기 파일 포맷의 상기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트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표시 가능한 경우 상기 컨텐트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파일 포맷의 상기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트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표시 불가능한 경우 상기 이미지 파일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참여한 대화방(conversation room)을 표시하고,
    상기 대화방을 통해 상기 컨텐트가 공유된 경우 상기 컨텐트의 인쇄를 요청하는 제 1 버튼, 상기 컨텐트를 저장하는 제 2 버튼 및 상기 컨텐트의 디스플레이를 요청하는 제 3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컨텐트와 함께 표시하는,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 3 버튼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컨텐트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트를 렌더링함으로써 획득된 상기 이미지 파일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시스템.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 및 닉네임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에 제공하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클라우드에 등록되는, 시스템.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클라우드에 의해 발행된 PIN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코드의 입력,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발행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QR (Quick Response code) 코드의 인식 및 상기 클라우드의 URL 주소의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우드에 등록되는, 시스템.
  19. 컨텐트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서버에서,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컨텐트의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제 2 서버에서, 상기 컨텐트의 파일 포맷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트가 상기 클라우드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표시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제 3 서버에서, 상기 컨텐트가 표시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컨텐트를 렌더링하는 단계; 및
    제 4 서버에서, 상기 컨텐트 및 상기 이미지 파일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버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를 매핑하여 관리하는 XMPP (Extensible Messaging and Presence Protocol) 서버를 포함하는, 방법.
  20. 삭제
KR1020150024308A 2014-08-13 2015-02-17 클라우드 시스템 및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KR101720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802,694 US10021049B2 (en) 2014-08-13 2015-07-17 Cloud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by cloud system, content
PCT/KR2015/007920 WO2016024740A1 (en) 2014-08-13 2015-07-29 Cloud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by cloud system, content
EP15179180.3A EP2986009A1 (en) 2014-08-13 2015-07-30 Cloud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by cloud system, content
CN201510496561.XA CN105376443B (zh) 2014-08-13 2015-08-13 云系统以及由云系统显示内容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37046P 2014-08-13 2014-08-13
US62/037,046 2014-08-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335A KR20160020335A (ko) 2016-02-23
KR101720778B1 true KR101720778B1 (ko) 2017-03-28

Family

ID=554492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308A KR101720778B1 (ko) 2014-08-13 2015-02-17 클라우드 시스템 및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KR1020150024309A KR101731425B1 (ko) 2014-08-13 2015-02-17 클라우드 시스템 및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309A KR101731425B1 (ko) 2014-08-13 2015-02-17 클라우드 시스템 및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7207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20963B2 (en) 2019-11-20 2022-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928A (ko) * 2016-12-09 2018-06-20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디바이스 간 파일 공유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8566328B (zh) * 2018-01-18 2021-03-02 北京三快在线科技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KR102461836B1 (ko) * 2018-09-18 2022-11-0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챗봇 연결 장치 및 방법
KR102615305B1 (ko) * 2018-10-10 2023-12-1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Vmi 화면공유 방법 및 장치
KR20230150892A (ko) * 2022-04-23 2023-10-31 (주)인스웨이브시스템즈 사용자 인터페이스 공유를 통한 비대면 원격 업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16288B2 (en) * 2005-09-09 2012-02-14 Soonr Corporation Method for distributing data, adapted for mobile devices
KR20100068473A (ko) * 2007-09-28 2010-06-23 엑세리온 악티에볼라그 네트워크 오퍼레이팅 시스템
KR101430930B1 (ko) * 2012-12-12 2014-09-2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반의 게임 제공 방법, 시스템,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서비스장치
KR20140098411A (ko) * 2013-01-31 2014-08-08 네이버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에서 대용량 첨부 메일을 발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20963B2 (en) 2019-11-20 2022-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1425B1 (ko) 2017-04-28
KR20160020335A (ko) 2016-02-23
KR20160020336A (ko) 201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1049B2 (en) Cloud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by cloud system, content
US10212110B2 (en) Cloud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by cloud system, content
KR101720778B1 (ko) 클라우드 시스템 및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US96026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loud printing service
CN107534704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信息处理程序
CN113225572B (zh) 直播间的页面元素展示方法、装置及系统
US20160253143A1 (en) Terminal device, screen sharing method, and screen sharing system
WO2022252932A1 (zh) 电子文档的编辑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9092533B1 (en) Live, real time bookmarking and sharing of presentation slides
US20130339525A1 (en) Augmented reality system, apparatus and method
JP2017033103A (ja) デジタルサイネージ制御システム、それを含むデジタルサイネージ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商品広告または役務広告の提供方法
JP2016110253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90009607A (ko) 클라우드 서버 및 클라우드 서버에서 컨텐트를 렌더링하는 방법
US1115340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information
KR20150037384A (ko) 전화번호에 기반한 인쇄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상형성 시스템 및 방법
US1196665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mage-captur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EP42434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mage-capturing device, and carrier means
US11677836B2 (en) Server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1600517B1 (ko)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JP2021039617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画像表示方法、プログラム
KR20160060174A (ko) 스마트폰과 연동가능한 모바일페이지 정보제공시스템
KR20150037388A (ko) 전화번호에 기반한 인쇄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상형성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26705A (ko) 수신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출력을 위한 ip폰 연동시스템
KR20150037386A (ko) 전화번호에 기반한 인쇄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상형성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37257A (ko) 전화번호에 기반한 인쇄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상형성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