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752B1 - 초전도 한류기 복귀 시스템 - Google Patents

초전도 한류기 복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752B1
KR101720752B1 KR1020160049452A KR20160049452A KR101720752B1 KR 101720752 B1 KR101720752 B1 KR 101720752B1 KR 1020160049452 A KR1020160049452 A KR 1020160049452A KR 20160049452 A KR20160049452 A KR 20160049452A KR 101720752 B1 KR101720752 B1 KR 101720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low
fault current
temperature
current limi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세환
홍용주
염한길
고준석
김효봉
박성제
한영희
김혜림
김희선
양성은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49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7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02H9/023Current limitation using superconduct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60Superconducting electric elements or equipment; Power systems integrating superconducting elements or equipment
    • Y02E40/6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05/00Superconductor technology: apparatus, material, process
    • Y10S505/825Apparatus per se, device per se, or process of making or operating same
    • Y10S505/85Protective circu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05/00Superconductor technology: apparatus, material, process
    • Y10S505/825Apparatus per se, device per se, or process of making or operating same
    • Y10S505/888Refrig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Containers, Films, And Cooling For Superconductiv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전도 한류기 복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초전도 한류기 복귀 시스템은 냉매와 초전도 한류기가 수용되어 초전도 한류기의 초전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내부의 압력 조절이 가능한 저온조 및 저온조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냉각하여 저온조로 순환시켜 재공급하는 과냉각 유지부를 포함하며, ?치 발생시 저온조 내부의 압력을 감압시켜 비등 열전달에 의해 상기 초전도 한류기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초전도 한류기 복귀 시스템{RECOVERY SYSTEM FOR SUPERCONDUCTING FAULT CURRENT LIMITER}
본 발명은 초전도 한류기 복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Quench) 후 초전도 한류기를 ?치(Quench) 전 과냉각 생태로 신속히 복귀시킬 수 있는 초전도 한류기 복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전도 현상은 어떤 물질이 특정조건(온도, 전류밀도, 자속밀도)에서 저항이 사라지고 완전 반자성 특성을 보이는 것을 말한다. 초전도 현상은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고, 일정 온도(임계온도 Tc) 이하, 일정 전류밀도 (임계전류밀도 Jc) 이하, 일정 자기장(임계자기장 Hc) 이하에서만 전기저항이 0이 된다. 특히, 통전전류밀도가 임계전류밀도(Jc)보다 크면 초전도성을 잃고 저항이 나타난다. 이러한 초전도성을 갖는 초전도체는 일반도체와 달리 전류를 흘려보내도 손실이 없고 많은 양의 전류를 보낼 수 있다.
초전도 한류기는 초전도체를 이용해 전력계통에서 발생하는 고장 전류(Fault Current)를 제한하는 기기이다. 초전류 한류기는 전선이 끊어지거나 벼락 등의 사 고시 발생하는 정상전류 수십 배의 고장 전류를 1000분의 1초 이내에 감지해 임피던스(Impedance)를 투입함으로써 고장 전류를 제한한다.
이러한 초전도 한류기로 인하여 고장 전류에 의한 전력기기의 파손 및 광역 정전사태 등의 대형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정상 상태에서는 추가적인 임피던스가 없으며 고장 전류 증가 시에도 기존 차단기의 용량증대 없이 고장 전류 제한이 가능하게 돼 차단기 교체로 인한 막대한 비용손실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고장 전류에 의한 ?치(Quench) 시에는 초전도 한류기에서 상당히 큰 열(107J 이상)이 발생하며 초전도 한류기는 상온(300K)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초전도 한류기가 원래의 정상 상태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이 열을 흡수하여 초기 온도 조건으로 냉각시켜야 한다. 특히, 초전도 한류기는 수십 초 이내에 원래의 정상 상태로 복원되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초전도 한류기 복귀 시스템에서는 과냉각 상태의 액체 질소를 포함하는 저온조에서 자연 대류 방식 만으로 초전도 한류기를 냉각시켜 빠르게 냉각시킬 수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치(Quench) 시 저온조 내부의 압력을 감압시켜 비등 열전달에 의해 냉각시키는 방법으로 초전도 한류기의 온도를 ?치(Quench) 전 과냉각 생태로 신속히 복귀시킬 수 있는 수 있는 초전도 한류기 복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냉매와 초전도 한류기가 수용되어 상기 초전도 한류기의 초전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내부의 압력 조절이 가능한 저온조; 및 상기 저온조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냉각하여 상기 저온조로 순환시켜 재공급하는 과냉각 유지부를 포함하며, ?치 발생시 상기 저온조 내부의 압력을 감압시켜 비등 열전달에 의해 상기 초전도 한류기를 냉각시키는 초전도 한류기 복귀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온조에는 기체 공간의 기체 냉매를 배출시키는 감압 밸브가 형성되고, 상기 ?치 발생시 상기 감압 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저온조 내부의 압력을 감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감압 밸브를 통해 상기 기체 냉매가 배출되는 라인에 형성된 진공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온조 내부를 가압시키기 위해 상기 냉매를 기화시켜 상기 저온조로 공급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치 발생시 상기 가압부로부터 상기 저온조로 공급되는 냉매를 차단시킬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냉매를 수용하는 가압 챔버; 상기 가압 챔버에 수용된 냉매를 기화시키는 기화부; 상기 기화된 냉매를 상기 저온조로 공급하는 가압기체 공급라인; 및 상기 가압기체 공급라인에 형성되어 상기 기화된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가압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과냉각 유지부는 상기 저온조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냉각시켜 재공급하는 냉각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과냉각 유지부는 상기 냉각라인에 형성되어 상기 저온조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냉각시키는 극저온 열교환기; 및 냉매를 순환시키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초전도 한류기 복귀 시스템.
여기서, 상기 저온조 내부를 가압시키기 위해 상기 냉매를 기화시켜 상기 저온조로 공급하는 가압부; 및 상기 냉각라인에서 분기되어 상기 가압부와 연결되는 분기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초전도 한류기 복귀 시스템에 따르면 ?치 시 저온조 내부의 감압에 의한 비등 열전달 방식으로 초전도 한류기를 냉각시켜 ?치 전 정상 상태로 빠르게 복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전도 한류기 복귀 시스템의 개략적인 장치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정상 상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치 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초전도 한류기 복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전도 한류기 복귀 시스템의 개략적인 장치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정상 상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서 ?치 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전도 한류기 복귀 시스템은 저온조(110) 및 과냉각 유지부(120)를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제어부(130) 및 가압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온조(110)는 초전도 한류기(SFCL: Superconducting Fault Current Limiter)(100)의 초전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초전도 한류기(100)를 수용하며, 초전도 한류기(100)의 초전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냉매를 수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냉매는 액체 질소인 것으로 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저온조(110)는 내부의 압력 조절이 가능한 데, 바람직하게는 저온조(110)의 상부에 감압 밸브(112)가 형성되어 ?치 시 저온조(110) 상부의 기체 공간에 있는 기체 질소를 감압 밸브(112)를 통해 저온조(110)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저온조(110) 내부의 압력을 감압시킬 수가 있다. 또한, 감압 밸브(112)를 통해 기체가 배출되는 라인에는 진공 펌프(113)가 형성될 수가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초전도 한류기(100)는 초전도체를 이용해 전력계통에서 발생하는 고장 전류(Fault Current)를 제한하는 기기이다. 초전도 한류기(100)는 전선이 끊어지거나 벼락 등의 사고 시 발생하는 수십 배의 고장 전류를 1000분의 1초 이내에 감지해 임피던스를 투입함으로써 고장 전류를 제한한다.
일반적으로 초전도체는 온도(TC), 자속밀도(HC), 전류밀도(JC)의 조건이 만족할 경우 전기 저항이 거의 0인 초전도성을 가지게 되고,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할 경우 초전도체는 초전도성을 상실하여 전기 저항이 매우 큰 저항체가 된다. 초전도 한류기(100)는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정상 상태에서는 초전도 상태(R = 0)가 유지되는 임계 전류(Critical current) 이하의 전류로 운전하다가, 사고가 발생하여 고장 전류가 임계 전류를 초과할 경우 그 즉시 초전도성을 잃게 되고(Quench, R≠0) 이때 발생되는 저항에 의해 고장 전류가 한류된다.
초전도 한류기(100)는 저온조(110) 내부의 액체 질소에 담겨져 초전도 상태가 유지된다. 송전급이나 배전급 고전압 초전도 한류기(100)의 경우 전기 절연을 위해서는 초전도 한류기(100)가 절연 특성이 좋은 액체 질소에 금속재질의 저온조(110)와 일정 거리를 유지하며 잠겨 있어야 한다. 한편 고장 전류에 의해서 초전도 한류기(100)에 ?치가 발생할 경우 큰 주울(Joule)열이 발생하여 주위의 액체 질소가 기화하여 기포를 형성할 수 있다. 기체 질소의 절연 특성은 액체 질소의 수분의 일에 불과하기 때문에 ?치(Quench) 시 액체 질소 기화에 의한 기포형성은 초전도 한류기(100)의 절연 파괴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액체 질소 내 기포형성을 억제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액체 질소를 과냉각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액체 질소는 1 기압 하에 약 77 K 에서 끓게 되므로, 저온조(110)는 액체 질소의 과냉각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1 기압보다 높게 유지되어야 하며, 액체 질소는 77 K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 정상 상태에서 저온조(110) 내부의 압력은 후술할 가압부(140)에 의해 가압되어 유지될 수가 있다.
과냉각 유지부(120)는 저온조(110)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냉각시켜 저온조(110)로 다시 순환시켜 저온조(110)를 지속적으로 과냉각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하는 구성이다. 과냉각 유지부(120)는 냉각라인(122), 극저온 열교환기(124) 및 펌프(1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가 있다.
냉각라인(122)은 저온조(110)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과냉각상태의 온도로 냉각시켜 다시 저온조(110)로 공급하는 배관라인이다. 냉각라인(122)은 극저온 열교환기(124)를 통하여 냉각된 뒤 순환되는 냉매의 단열을 위하여 단열성능이 우수한 단열배관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저온 열교환기(124)는 극저온 냉동기(미도시)의 저온부에 직접 설치되거나 극저온 냉동기(미도시)에 의해 포화압력이 조절되는 포화 냉매에 간접 설치되어, 저온조(110)로부터 배출되어 저온조(110)로 재공급되는 냉매를 냉각하기 위한 구성이다. 저온조(110)는 초전도 한류기(100)의 냉각을 위하여 내부가 임계온도(Tc) 이하의 극저온 상태로 유지되나, 외부는 대기에 노출되므로 대기로부터 열을 받는다. 또한, 부싱, 조인트 등 초전도 한류기(100)를 연결하는 구성 등은 초전도가 아니다. 따라서, 극저온 열교환기(124)는 대기로부터 받는 열, 초전도 상태가 아닌 구성 등에 의한 열을 흡수하여 저온조(110) 내부가 극저온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극저온 열교환기(124)를 통하여 냉각된 액체 질소는 펌프(126)를 통하여 저온조(110)로 재공급될 수 있다.
가압부(140)는 저온조(110) 내부의 액체 질소가 과냉각상태를 유지하도록 저온조(110) 내부를 가압시킨다. 이때, 가압부(140)는 기화된 질소를 저온조(110)의 기체 공간에 공급하여 저온조(110) 내부의 압력을 제어할 수가 있다.
보다 자세히는, 정상 상태에서는 저온조(110)로 기화된 냉매의 공급을 제어하여 저온조(110) 내부가 과냉각상태가 되도록 하는 압력을 유지하도록 하고, ?치 시에는 저온조(110)로 기화된 냉매의 공급을 차단하는 방법으로 저온조(110)의 내부 압력을 감압시키도록 할 수가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치 이후에 초전도 한류기(100)가 정상 상태의 범위로 냉각되면 가압부(140)를 통해 다시 저온조(110)에 기화된 냉매를 공급하여 저온조(110) 내부가 정상 상태의 압력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정상 상태는, 액체 질소의 온도는 약 71 K이며 저온조(110) 내부의 압력은 약 5기압인 것으로 하나,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압부(140)는 가압 챔버(142), 기화부(144), 가압기체 공급라인(146) 및 가압 밸브(14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가 있다.
가압 챔버(142)의 내부에는 액체의 냉매가 수용되며 수용된 냉매는 기화부(144)로부터 열을 제공받아 기화될 수가 있다. 이때, 가압 챔버(142) 내부의 냉매는 전술한 냉각라인(122)으로부터 분기한 분기라인(150)으로부터 공급될 수가 있다.
기화부(144)는 가압 챔버(142)로 공급된 액체 냉매에 열을 가하여 냉매를 기화시킨다.
가압기체 공급라인(146)은 가압 챔버(142)와 저온조(110)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으로 기화된 냉매를 저온조(110)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가압기체 공급라인(146)도 단열성능이 우수한 단열배관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 밸브(148)는 가압기체 공급라인(146)에 형성되어 저온조(110)로 공급되는 기화된 냉매의 유량을 제어한다.
기화된 냉매의 공급에 의하여 저온조(110)가 정상 상태시 압력, 본 실시예의 경우 약 5기압이 되면 후술할 제어부(130)에 의해 신호를 전달받아 가압 밸브(148)를 폐쇄시킬 수가 있다. 물론, 내부 압력이 5기압보다 떨어지게 되면 가압 밸브(148)를 다시 개방하여 5기압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치 시에는 제어부(130)에 의해 신호를 전달받아 가압 밸브(148)를 폐쇄시켜 저온조(110) 내부의 압력을 떨어뜨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압 밸브(148)에 의해 기화된 냉매가 저온조(110)로 공급되는 유량을 제어하여, 정상 상태에서는 저온조(110) 내부의 압력이 일정 압력을 유지하도록 하고, ?치 시에는 저온조(110) 내부의 압력을 떨어뜨리도록 할 수가 있다.
제어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 밸브(148)를 제어하여 가압부(140)로부터 가압기체 공급라인(146)을 통해 저온조(110)로 공급되는 기체 냉매의 유량을 제어할 수가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감압 밸브(112) 및 진공 펌프(113)를 제어하여 저온조(110) 내부의 기체 공간에 있는 기체 냉매가 저온조(110) 외부로 배출되는 유량을 제어할 수가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가압부(140)의 기화부(144)를 제어하여 냉매가 기화되는 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저온조(11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값을 전송받아, 이에 따라 가압 밸브(148), 감압 밸브(112), 진공 펌프(113) 및 기화부(144)를 제어하도록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저온조(11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전도 한류기 복귀 시스템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로 정상 상태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저온조(110)로부터 냉매인 액체 질소가 배출되고, 배출된 액체 질소 중 일부는 냉각라인(122)을 따라 이동하며 극저온 열교환기(124)를 통하여 냉각되고, 펌프(126)에 의해 저온조(110)로 재공급될 수 있다.
저온조(110)는 초전도 한류기(100)의 냉각을 위하여 내부가 임계온도(Tc) 이하의 극저온 상태로 유지되나, 외부는 대기에 노출되므로 대기로부터 열을 받는다. 또한, 부싱, 조인트 등 초전도 한류기(100)를 연결하는 구성 등은 초전도가 아니다. 따라서, 대기로부터 받는 열, 초전도 상태가 아닌 구성 등에 의한 열을 흡수하면서 저온조(110) 내부는 극저온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냉각라인(122)을 따라 저온조(110)로부터 배출된 냉매는 극저온 열교환기(124)에 의해 냉각되어 다시 저온조(110)로 재공급시킴으로써 저온조(110) 내부를 극저온 상태로 유지시킬 수가 있다.
한편, 냉각라인(122)으로부터 분기된 분기라인(150)을 통하여 저온조(110)에서 배출된 냉매 중 일부가 가압부(14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압력 측정부는 저온조(110)의 압력을 측정하며, 측정된 압력정보는 제어부(130)로 전송된다. 제어부(130)는 압력정보에 따라 가압 밸브(148)의 개도 및 기화부(144)를 제어하여 가압부(140)로부터 저온조(110)로 공급되는 기체 질소의 유량을 제어한다. 따라서, 가압부에 의해 정상 상태에서 요구되는 저온조(110)의 압력을 유지할 수가 있다.
이때, 저온조(110)에 형성된 감압 밸브(112)는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다음, 도 3을 참고로 ?치 시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치 시에도 냉각라인(122)을 통해 저온조(110)의 냉매를 극저온 열교환기(124)를 통해 냉각시켜 저온조(110)로 재공급하는 동작은 정상 상태와 동일하다.
?치 시에 제어부(130)는 가압 밸브(148)를 차단시켜 가압부(140)로부터 저온조(110)로 공급되는 기체 질소를 차단시키고, 정상 상태 시 닫혀진 감압 밸브(112)를 열어서 내부의 기체 질소를 저온조(110)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저온조(110) 내부의 압력을 감압시킬 수가 있다.
?치 시 저온조(110) 내부를 감압하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기존의 초전도 한류기(100)에서는 ?치가 발생할 경우 상온까지 온도가 올라갔다가 액체 질소의 포화 온도까지는 비등 열전달에 의해서 냉각이 되고, 포화 온도에서 정상 상태의 온도조건까지는 과냉각 액체 질소에 의한 자연 대류 방식으로 냉각된다. 저온조(110) 내부의 압력이 정상 상태의 압력조건으로 계속 높게 유지될 경우 액체 질소의 포화 온도가 높기 때문에, 초전도 한류기(100)는 포화 온도에서 정상 상태의 온도조건까지 수십 도 이상을 자연 대류 방식에 의해서 냉각되어야 한다. 특히, 점차 초전도 한류기(100)가 정상 상태의 온도조건인 액체 질소 온도에 접근함에 따라서, 자연 대류 방식의 낮은 열전달 계수 때문에 냉각에 오랜 시간이 걸리게 한다.
반면, 저온조(110) 내부의 압력을 감압 밸브(112)를 이용하여 감압하게 되면 액체 질소의 포화 온도가 낮아지게 되고, 초전도 한류기(100)는 낮아진 포화 온도까지 자연 대류가 아닌 비등 열전달에 의해서 냉각되게 된다. 저온조(110) 내부의 압력을 초전도 한류기(100)의 정상상태 온도조건에 해당되는 포화 압력까지 낮추게 되면, 기존의 초전도 한류기(100)가 과냉각 액체 질소에 의한 자연 대류에 의해 냉각되던 구간이 열전달 계수가 50 ~ 100배 이상 큰 비등 열전달에 의한 냉각 구간으로 바뀌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치 시 저온조(110) 내부의 압력을 감압시킴에 따라서 비등 열전달을 촉진시켜서 초전도 한류기(100)를 빠른 시간 안에 냉각시킬 수가 있다.
정상 상태에서 저온조(110) 내부의 압력은 저온조(110) 외부의 대기압보다 항상 높기 때문에 ?치 시 감압 밸브(112)를 열면 저온조(110) 내부의 기체 질소가 외부로 배출되어 압력이 낮아지게 된다. 이때, 감압 밸브(112)에 연결된 진공 펌프(113)를 동작시켜 감압 속도를 더욱 빠르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진공 펌프(113)를 작동시키면 저온조(110) 내부를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으로 낮출 수가 있어서, 정상상태 온도조건에 해당되는 포화 압력까지 저온조(110) 내부의 압력을 낮출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초전도 한류기(100)가 정상 상태의 온도조건으로 복귀되면, 제어부(130)는 감압 밸브(112)를 닫아서 저온조(110) 외부로 기체 질소가 배출되는 것을 막고 가압 밸브(148)를 제어하여 가압부(140)로부터 기체 냉매를 공급하도록 하여 다시 저온조(110)의 압력을 정상 상태 범위로 높일 수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초전도 한류기 110: 저온조
112: 감압 밸브 113: 진공 펌프
120: 과냉각 유지부 122: 냉각라인
124: 극저온 열교환기 126: 펌프
130: 제어부 140: 가압부
142: 가압 챔버 144: 기화부
146: 가압기체 공급라인 148: 가압 밸브
150: 분기라인

Claims (9)

  1. 냉매와 초전도 한류기가 수용되어 상기 초전도 한류기의 초전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내부의 압력 조절이 가능한 저온조; 및
    상기 저온조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냉각하여 상기 저온조로 순환시켜 재공급하는 과냉각 유지부를 포함하며,
    ?치 발생시 상기 저온조 내부의 압력을 감압시켜 상기 냉매의 포화온도를 낮추어서 상기 포화온도까지 비등 열전달에 의한 냉각구간을 길게하여 상기 초전도 한류기를 냉각시키는 초전도 한류기 복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조에는 기체 공간의 기체 냉매를 배출시키는 감압 밸브가 형성되고,
    상기 ?치 발생시 상기 감압 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저온조 내부의 압력을 감압시키는 초전도 한류기 복귀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 밸브를 통해 상기 기체 냉매가 배출되는 라인에 형성된 진공 펌프를 더 포함하는 초전도 한류기 복귀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조 내부를 가압시키기 위해 상기 냉매를 기화시켜 상기 저온조로 공급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치 발생시 상기 가압부로부터 상기 저온조로 공급되는 냉매를 차단시키는 초전도 한류기 복귀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냉매를 수용하는 가압 챔버;
    상기 가압 챔버에 수용된 냉매를 기화시키는 기화부;
    상기 기화된 냉매를 상기 저온조로 공급하는 가압기체 공급라인; 및
    상기 가압기체 공급라인에 형성되어 상기 기화된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가압 밸브를 포함하는 초전도 한류기 복귀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냉각 유지부는
    상기 저온조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냉각시켜 재공급하는 냉각라인을 포함하는 초전도 한류기 복귀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과냉각 유지부는
    상기 냉각라인에 형성되어 상기 저온조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냉각시키는 극저온 열교환기; 및
    상기 냉매를 순환시키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초전도 한류기 복귀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조 내부를 가압시키기 위해 상기 냉매를 기화시켜 상기 저온조로 공급하는 가압부; 및
    상기 냉각라인에서 분기되어 상기 가압부와 연결되는 분기라인을 더 포함하는 초전도 한류기 복귀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초전도 한류기 복귀 시스템.
KR1020160049452A 2016-04-22 2016-04-22 초전도 한류기 복귀 시스템 KR101720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452A KR101720752B1 (ko) 2016-04-22 2016-04-22 초전도 한류기 복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452A KR101720752B1 (ko) 2016-04-22 2016-04-22 초전도 한류기 복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752B1 true KR101720752B1 (ko) 2017-04-03

Family

ID=58589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452A KR101720752B1 (ko) 2016-04-22 2016-04-22 초전도 한류기 복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7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8632A (ko) * 2017-12-26 2020-08-20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냉각장치, 반도체 제조장치 및 반도체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8966A (ja) * 2003-07-29 2005-02-24 Toshiba Corp 冷却容器
JP2006105533A (ja) * 2004-10-07 2006-04-20 Kyushu Electric Power Co Inc 超電導コイルの冷却装置
KR101558840B1 (ko) * 2015-03-23 2015-10-20 한국기계연구원 극저온 압력용기 가압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8966A (ja) * 2003-07-29 2005-02-24 Toshiba Corp 冷却容器
JP2006105533A (ja) * 2004-10-07 2006-04-20 Kyushu Electric Power Co Inc 超電導コイルの冷却装置
KR101558840B1 (ko) * 2015-03-23 2015-10-20 한국기계연구원 극저온 압력용기 가압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8632A (ko) * 2017-12-26 2020-08-20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냉각장치, 반도체 제조장치 및 반도체 제조방법
KR102427104B1 (ko) * 2017-12-26 2022-07-29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냉각장치, 반도체 제조장치 및 반도체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4372B2 (en) Multi-bath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superconductors
US20120120537A1 (en) Current fault limiter with live tank
CN110098085B (zh) 超导限流液氮开关组合电器及其工作方法
KR101046323B1 (ko) 고온 초전도체 장치용 극저온 냉각 방법 및 장치
JP2007221931A (ja) 超電導限流器
KR101558839B1 (ko) 초전도 한류기 복원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42822A (ko) 극저온 냉각시스템
KR101720752B1 (ko) 초전도 한류기 복귀 시스템
KR101691989B1 (ko) 초전도 한류기 복귀 시스템
US4486800A (en) Thermal method for making a fast transition of a superconducting winding from the superconducting into the normal-conducting state,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KR101558840B1 (ko) 극저온 압력용기 가압 시스템
KR20130033062A (ko) 초전도 한류기 압력제어시스템
JP2009027843A (ja) 超電導ケーブル用端末構造
KR101691983B1 (ko) 초전도 한류기 복귀 시스템
JPH10285792A (ja) 限流装置
US20130090242A1 (en) Techniques for Sub-Cooling in a Superconducting System
KR101104234B1 (ko) 초전도 한류기 내부 온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15594B1 (ko) 초전도 한류기 가압 시스템
KR101601593B1 (ko) 초전도 한류기 복귀 시스템 및 방법
JP2015175733A (ja) 超電導特性の評価方法、その評価装置およびその評価プログラム
JP2007317884A (ja) 超電導限流器
JP5175595B2 (ja) 冷却装置及び超電導装置
US11088539B2 (en) Pressure gene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erconducting power equipment
KR20210037177A (ko) 초전도 한류기의 냉각장치
KR101569650B1 (ko) 부유식 히터를 이용한 극저온 압력용기 가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