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668B1 - 금속관용 딤플 가공기 - Google Patents

금속관용 딤플 가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668B1
KR101720668B1 KR1020160152071A KR20160152071A KR101720668B1 KR 101720668 B1 KR101720668 B1 KR 101720668B1 KR 1020160152071 A KR1020160152071 A KR 1020160152071A KR 20160152071 A KR20160152071 A KR 20160152071A KR 101720668 B1 KR101720668 B1 KR 101720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ple
metal pipe
frame
plate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성민
이덕희
Original Assignee
두성산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성산업 (주) filed Critical 두성산업 (주)
Priority to KR1020160152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6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7/00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1D17/02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by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관용 딤플 가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관의 직경, 두께, 재질 등에 무관하게 동일한 모양의 딤플을 가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금속관 용접시 용접물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도록 한 금속관용 딤플 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금속관용 딤플 가공기는 금속관을 가공하는 가공기에 있어서, 상기 가공기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되어 금속관을 이송하는 소재이송장치;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상기 소재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된 금속관에 딤플을 가공하는 딤플가공장치가 형성되고, 상기 딤플가공장치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되는 딤플성형부, 상기 지지프레임 또는 딤플성형부에 형성되는 소재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금속관용 딤플 가공기{Dimple Machining apparatus for metal pipes}
본 발명은 금속관용 딤플 가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관의 직경, 두께, 재질 등에 무관하게 동일한 모양의 딤플을 가공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금속관 용접시 용접물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도록 한 금속관용 딤플 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벌징 가공장치는 금형 내에 삽입된 원통형 용기 또는 관에 높은 압력을 가하여 용기 또는 관의 일부를 팽창시켜 성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벌징 가공장치의 일례인 액압벌징가공장치는, 소재가 되는 금속관에 가공액을 주입하여, 그 압력과 관단(管端)으로부터의 축방향 압력을 조합하여 작용시키는 가공이며, 그 가공방법에 의하여 여러가지 단면형상의 관재(tubular parts)가 얻어진다.
종래의 액압벌징가공장치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263948호(이하 선행문헌 1이라 칭함)에 "금속관의 액압벌징가공장치"로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 1은 관통공이 구비된 분할형 펀치홀더와, 이 펀치홀더 관통공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삽입되어, 접동할 수 있는 한 쌍의 중공(中空)의 제2펀치와, 이들 제2펀치 안에 삽입된 금속관을 그 양단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압축하기 위한 제1펀치가 구비되며, 상기 제1펀치에는 금속관 내로 가공액을 도입하기 위한 가공액 유로가 설치되어 있고, 제1펀치와 제2펀치에는, 이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금속관 축방향으로 진퇴시키는 펀치 진퇴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선행문헌 1은 재료와 공구 사이의 마찰력이 저하되고, 그 결과로, 축방향 압축시의 버클링이 억제되며, 두께가 얇은 관의 액압벌징가공이 용이하게 되며, 두꺼운 관의 경우에도, 동경부의 증가가 억제되기 때문에 재료의 수율이 높아져, 다듬질 절삭가공도 필요 없게 된다.
또한, 재료와 공구의 접동에 기인하는 제품표면의 늘어붙음도 대폭 경감되어 재료의 윤활처리를 생략하거나 공구의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예비팽출에 의해, 다음 제2단계에서 제2펀치의 선두부(先頭部)에 재료가 유지됨으로써, 팽출부의 축방향 압축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즉, 예비팽출부에 처음부터 축방향 압축력이 유효하게 작용하여, 이것에 의하여 팽출부의 원주길이가 효을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 1은 금속관의 팽창된 확관부분이 금속관 용접시 용접물의 흐름을 방해하여 누설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금속관의 종류, 금속관의 벌징 앞단부 길이조건, 가공액의 압력값 등에 따라 벌징형태가 제각각으로 불일정하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26394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금속관용 딤플 가공기는 금속관의 딤플을 가공하는 딤플가공장치를 적용함으로써, 금속관의 직경, 두께, 재질 등에 무관하게 동일한 모양의 딤플을 가공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딤플 가공시 금속관의 일부분만 돌출되어 용접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금속관용 딤플 가공기는 금속관을 가공하는 가공기에 있어서, 상기 가공기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되어 금속관을 이송하는 소재이송장치;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상기 소재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된 금속관에 딤플을 가공하는 딤플가공장치가 형성되고, 상기 딤플가공장치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되는 딤플성형부, 상기 지지프레임 또는 딤플성형부에 형성되는 소재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딤플성형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에 형성되어 이송된 금속관에 삽입되는 딤플핀, 상기 고정판에 형성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형성되어 실린더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연결체, 상기 연결체에 형성되어 금속관을 타격하는 딤플타격툴을 포함하되, 상기 딤플핀에는 딤플성형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금속관이 상기 딤플타격툴에 의해 딤플핀에 압착되고 금속관 내부에 딤플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딤플타격툴에는 라운드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금속관을 타격할 때 금속관 외면에 상흔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판에는 상기 연결체가 결합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딤플타격툴이 금속관을 타격할 때 딤플타격툴의 타격지점이 반발력에 의해 어긋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재이송장치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되는 이송프레임, 상기 이송프레임에 형성되어 금속관이 투입되는 소재투입부, 상기 이송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소재투입부를 통해 투입된 금속관을 상기 딤플가공장치로 이송하는 소재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재투입부는 상기 이송프레임에 서로 대칭되는 한쌍으로 형성되는 투입체, 상기 투입체의 각각 형성되어 서로 간의 틈새에 금속관이 투입되는 투입판, 상기 투입판 모서리에 형성되어 투입된 금속관을 구속하는 구속판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투입판 저부에는 상기 투입체 측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투입판에 투입된 금속관이 자중에 의해 상기 투입체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프레임에는 소재정렬부가 더 형성됨으로써, 상기 투입체로 이동된 금속관이 일렬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금속관용 딤플 가공기는 딤플성형장치를 적용함으로써, 금속관의 직경, 두께, 재질 등과 무관하게 금속관 내부에 동일한 모양의 딤플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확관형태로 가공된 금속관과는 다르게 내부 딤플 형태로 가공된 금속관이므로, 용접 시 금속관의 일부분만 돌출되어 있어 용접물 흐름을 저해 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금속관용 딤플 가공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금속관용 딤플 가공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메인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소재이송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이송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소재투입부를 나타낸 모식도
도 7은 도 4의 소재정렬부를 나타낸 모식도
도 8은 도 4의 소재이송부를 나타낸 상세도
도 9는 도 2의 딤플가공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지지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딤플성형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딤플성형부를 나타낸 상세도
도 13은 도 11의 딤플성형부를 나타낸 작동도
도 14는 도 11의 가이드레일을 나타낸 모식도
도 15는 도 9의 소재고정부를 나타낸 모식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상하좌우, 우측, 좌측, 저면 등 방향과 관련된 표현은 모두 제시한 도면을 기준으로 기재하고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관용 딤플 가공기는 금속관 내부에 딤플을 가공하는 한편, 가공된 딤플이 금속관의 종류와 상관없이 동일한 형태로 가공되어 금속관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금속관 용접시 용접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금속관용 딤플 가공기(1)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메인프레임(10);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되어 금속관을 이송하는 소재이송장치(20);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소재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된 금속관에 딤플을 가공하는 딤플가공장치(3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프레임(10)은 상기 소재이송장치(20) 및 딤플가공장치(30) 형성되어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가공기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0)은, 도 3을 참조하면, 다수의 수평프레임(11)과 수직프레임(13)이 상호 연결되어 구비되는 한편, 그 상면에는 상기 소재이송장치 및 딤플가공장치가 고정되는 상판(15)이 형성된다.
또한, 메인프레임 하면에는 캐스터(17)가 형성됨으로써, 메인프레임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캐스터(17)와 인접한 메인프레임(10) 하면에는 받침판(19)이 형성됨으로써, 메인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또한 메인프레임을 바닥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판(15)에는 배출홀(151)이 더 형성됨으로써, 상기 딤플가공장치(30)를 통해 가공된 금속관이 상기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거나 또는 배출홀 하측에 박스(미도시)가 구비되어 박스에 축적될 수 있다.
상기 소재이송장치(20)는 상기 딤플가공장치(30)에 금속관을 일정간격을 두고 하나씩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소재이송장치(20)는,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되는 이송프레임(21), 상기 이송프레임에 형성되어 금속관이 투입되는 소재투입부(23), 상기 이송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소재투입부를 통해 투입된 금속관을 상기 딤플가공장치로 이송하는 소재이송부(25)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프레임(21)은 상기 소재투입부(23) 및 상기 소재이송부(25)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소재이송부(25)가 금속관을 이동시킬 때, 금속관을 직선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소재이송부(25)를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송프레임(21)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상판(15)에 형성되는 이송몸체(211), 상기 이송몸체 상면에 형성되어 하기 소재이송핀(257)이 직선으로 이동되는 이송핀레일(21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송몸체(211)에는 하기 직선가이드봉(259)가 삽입되는 이송홀(216)을 구비한 가이드프레임(215)이 형성됨으로써, 직선가이드봉이 직선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몸체(211) 측면에는 결합프레임(217)이 더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판(15)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소재투입부(23)는 상기 소재이송부(25)가 상기 딤플가공장치(30)에 금속관(P)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송핀레일(213)에 금속관을 공급하기 위하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소재투입부(23)는,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프레임(21)에 서로 대칭되는 한쌍으로 형성되는 투입체(231), 상기 투입체의 각각 형성되어 서로 간의 틈새에 금속관(P)이 투입되는 투입판(233), 상기 투입판 모서리에 형성되어 투입된 금속관이 낙오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구속판(234)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투입체(231)에는 상기 투입판(233)과 연결되는 소재정렬레일(232)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투입판에 투입된 금속관은 상기 소재정렬레일(232)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소재정렬레일의 폭은 투입되는 금속관의 폭에 상응하는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투입판(233) 저부에는 상기 투입체 측으로 경사진 경사부(235)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투입판에 투입된 금속관이 자중에 의해 상기 투입체(231)의 소재정렬레일(232)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소재정렬레일로 이동된 금속관은 최하단 위치한 금속관부터 상기 이송핀레일(213) 상으로 안착된다.
한편, 상기 이송프레임(21)에는 소재정렬부(27)가 더 형성됨으로써, 상기 소재정렬레일(232)로 이동된 금속관(P)이 뒤엉키는 것을 방지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송프레임(21)에는 소재정렬부(27)가 형성되되, 상기 소재정렬부(27)는,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몸체(211)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271), 상기 고정프레임에 형성되는 정렬실린더(273), 상기 정렬실린더에 형성되어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되는 연결대(275), 상기 연결대 단부에 형성되어 금속관(P)을 정렬시키는 정렬롤(277)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정렬롤(277)은 그 외면이 소재정렬레일에 투입된 금속관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정렬실린더에 의해 승하강됨으로써, 금속관을 정렬시킨다.
상기 소재이송부(25)는 상기 소재투입부(23)를 통해 상기 이송핀레일(213) 상으로 안착된 금속관을 상기 딤플가공장치(30)로 일정간격을 두고 하나씩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소재이송부(25)는,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몸체(211)에 형성되는 고정판(251), 상기 고정판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소재이송실린더(253), 상기 고정판을 관통한 소재이동실린더(253)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판(255), 상기 연결판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핀레일(213)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소재이송핀(257)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결판(255)은 상기 소재이송실린더(253)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소재이송핀(257) 또한 상기 연결판(255)에 고정된 상태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판(255)에는 직선가이드봉(259)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소재이송핀(257)에 누적되는 피로를 절감할 수 있으며, 보다 원활하게 소재이송핀(257)이 슬라이딩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직선가이드봉(259)은 상기 연결판(255)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이송홀(216)에 삽입 및 슬라이딩되어 상기 소재이송핀(257)에 누적되는 피로를 분담하고, 상기 이송홀(216)에 중간끼워맞춤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소재이송핀(257)이 정확한 수평경로를 형성하면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소재이송핀(257)은 금속관을 이송시키기 위해, 그 단부에 소재삽입핀(258)이 더 형성되는 한편, 상기 소재삽입핀(258)의 단부는 금속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원뿔형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소재삽입핀(258)은 그 핀의 직경이 금속관의 내부 직경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금속관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소재이송핀(257)은 직경은 금속관의 내부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금속관에 상기 소재삽입핀을 삽입시킨 후 이송할 수 있다.
즉, 금속관은 상기 소재삽입핀이 금속관 내부로 삽입되는 한편, 상기 소재삽입핀(258)과 소재이송핀(257) 간의 직경차이로 형성되는 턱에 의해 상기 소재삽입핀은 상기 금속관 내부로 일정길이 이상 삽입되지 않는다.
이를 통해, 금속관(P)은 상기 소재이송핀(257)의 단부에 고정된채 상기 소재이송실린더(253)를 통해 상기 딤플가공장치(30)로 이송된다.
상기 딤플가공장치(30)은 상기 소재이송장치(20)를 통해 이송된 금속관 내부에 딤플을 성형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딤플가공장치(30)는,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되는 지지프레임(31),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되는 딤플성형부(33), 상기 지지프레임 또는 딤플성형부에 형성되는 소재고정부(35)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31)은 상기 딤플성형부(33) 및 소재고정부(35)가 형성되는 한편, 형성된 딤플성형부(33) 및 소재고정부(35)가 금속관을 가공할 수 있도록 지탱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프레임(31)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상판(15)에 형성되는 수평판(311), 상기 수평판에 형성되는 수직판(31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수평판 및 수직판 간에는 보강대(315)가 더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프레임(31)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딤플성형부(33)는 상기 소재이송장치(20)를 통해 이송된 금속관 내부에 딤플을 성형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딤플성형부(33)는,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프레임(31)에 형성되는 고정판(331), 상기 고정판에 형성되어 이송된 금속관에 삽입되는 딤플핀(333), 상기 고정판에 형성되는 실린더(335), 상기 실린더에 형성되어 실린더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연결체(337), 상기 연결체에 형성되어 금속관을 타격하는 딤플타격툴(339)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딤플핀(333)에는 딤플성형돌기(334)가 형성됨으로써, 금속관이 상기 딤플타격툴(339)에 의해 딤플핀에 압착될 때, 딤플성형돌기(334)에 의해 금속관 내부에 딤플이 성형된다.
또한, 상기 딤플타격툴(339)에는 라운드부(339-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금속관을 타격할 때 금속관 외면에 상흔이 형성되지 않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딤플타격툴 외면에는 라운드부(339-1)가 형성되되, 상기 라운드부(339-1)는 금속관과 접촉되는 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라운드부(339-1)는 그 형태가 금속관과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실린더(335)를 통해 금속관을 타격할 때, 금속관에 압력을 전달하는 한편, 그 외면에 상흔이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고정판(331)에는 상기 연결체(337)가 결합되는 가이드레일(338)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딤플타격툴(339)이 금속관을 타격할 때 딤플타격툴의 타격지점이 반발력에 의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판(331)에는 상기 연결체(337)가 결합되는 가이드레일(338)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레일(338)은 상기 딤플핀(333)과 상기 실린더(335)를 연결하는 일직선 상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된 상기 연결체는 상기 실린더의 신축작용을 통해 상기 딤플핀으로 일직선으로 슬라이딩된다.
아울러, 상기 딤플성형돌기(334)는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금속관에 성형되는 딤플 또한 복수개 가공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딤플성형돌기(334)는 복수개 형성되되, 상기 딤플핀(333)의 중심축을 기점으로 원형배열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335), 연결체(337), 가이드레일(338) 및 딤플타격툴(339) 또한 상기 딤플성형돌기의 개수와 상응하는 개수로 형성되되, 상기 딤플핀(333)의 중심축을 기점으로 원형배열로 형성된다.
즉, 상기 딤플성형돌기는 상기 딤플핀 외주면에 복수개 형성되고, 딤플핀이 삽입된 금속관은 복수개의 딤플타격툴을 통해 다각도로 압착되어 금속관 내부에 복수개의 딤플을 형성한다.
상기 소재고정부(35)는 상기 딤플성형부(33)를 통해 상기 소재이송장치로 이송된 금속관을 가공할 수 있도록 금속관을 고정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소재고정부(35)는,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프레임 또는 딤플성형부에 형성되는 장착판(351), 상기 장착판에 형성되는 고정실린더(353), 상기 실린더에 의해 회전되는 한쌍의 소재가이드부(35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소재가이드부(355)는 상기 실린더에 의해 서로 탈부착되는 한편, 서로간의 접촉면에는 금속관이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는 삽입홈(356)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소재가이드부(355)는 상기 실린더를 통해 이송된 금속관 고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관용 딤플 가공기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딤플 가공기(1)는 하나의 장치로서 금속관(P) 내부에 딤플을 성형할 수 있다.
먼저, 도 6의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내부에 딤플을 성형할 금속관(P)을 상기 투입판(233) 사이로 투입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투입된 금속관(P)은 그 양단부가 상기 구속판(234)에 가이드되는 한편, 상기 경사부(235)에 의해 자중으로 회전되어 상기 투입체(231)의 소재정렬레일(232)에 투입된다.
이 상태에서 소재정렬부(27)를 작동시키면 소재정렬부(27)의 정렬롤(277)이 금속관(P)에 접촉된 상태에서 정렬실린더(273)를 통해 승하강 됨으로써, 상기 금속관(P)은 상기 소재정렬레일(232) 상에서 정렬된다.
그리고, 금속관의 투입이 완료된 후에는 소재이송실린더(253)를 통해 소재이송핀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이송핀레일(213) 상에 금속관이 투입될 공간을 형성한다.
그 후, 상기 이송핀레일(213)과 연결되어 있는 소재정렬레일(232)로부터 상기 이송핀레일(213) 상으로 금속관(P)이 이동된 후, 상기 소재이송실린더(253)를 통해 소재이송핀(257)을 전진시킨다.
여기서, 소재이송핀(257)은 그 단부에 형성된 소재이송핀(258)을 통해 금속관(P) 내부에 단부만 삽입된 상태로 금속관(P)을 이동시킨다.
상기 소재이송핀(257)에 의해 이동된 금속관(P)은 그 내부에 딤플핀(333)이 삽입될 때까지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금속관(P) 내부에 딤플핀(333)이 삽입되면, 상기 소재고정부(35)의 고정실린더(353)를 작동시키고, 상기 고정실린더에 결합된 소재가이드부(356)를 통해 상기 금속관(P)을 고정한다.
금속관(P)을 고정한 후에는 상기 소재이송실린더(253)를 통해 상기 소재이송핀(257)을 후방으로 이동시킨후 대기한다.
그 후, 상기 딤플핀(333)이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소재고정부(35)에 고정된 금속관(P)은 상기 딤플성형부(33)의 실린더(335)에 의해 딤플타격툴(339)로 타격된다.
이때, 상기 금속관(P)은 딤플핀(333)이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딤플타격툴(339)에 타격됨으로써, 금속관의 내부는 상기 딤플핀 외면에 압착되고, 이를 통해 딤플핀 외면에 형성된 딤플성형돌기(334)가 금속관 내부에 딤플을 성형한다.
이와 같이, 내부에 딤플이 성형된 금속관은 상기 소재고정부의 고정이 풀린 후 자중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10)의 배출홀(151)을 통해 배출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금속관용 딤플 가공기
10 : 메인프레임 11 : 수평프레임
13 : 수직프레임 15 : 상판
17 : 캐스터 19 : 받침판
20 : 소재이송장치 21 : 이송프레임
23 : 소재투입부 25 : 소재이송부
27 : 소재정렬부 30 : 딤플가공장치
31 : 지지프레임 33 : 딤플성형부
35 : 소재고정부 P : 금속관

Claims (8)

  1. 금속관을 가공하는 가공기에 있어서,
    상기 가공기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되어 금속관을 이송하는 소재이송장치;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상기 소재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된 금속관에 딤플을 가공하는 딤플가공장치가 형성되고,
    상기 딤플가공장치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되는 딤플성형부,
    상기 지지프레임 또는 딤플성형부에 형성되는 소재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딤플성형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에 형성되어 이송된 금속관에 삽입되는 딤플핀,
    상기 고정판에 형성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형성되어 실린더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연결체,
    상기 연결체에 형성되어 금속관을 타격하는 딤플타격툴을 포함하되,
    상기 딤플핀에는 딤플성형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금속관이 상기 딤플타격툴에 의해 딤플핀에 압착되고 금속관 내부에 딤플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관용 딤플 가공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딤플타격툴에는 라운드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금속관을 타격할 때 금속관 외면에 상흔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관용 딤플 가공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에는 상기 연결체가 결합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딤플타격툴이 금속관을 타격할 때 딤플타격툴의 타격지점이 반발력에 의해 어긋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관용 딤플 가공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재이송장치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되는 이송프레임,
    상기 이송프레임에 형성되어 금속관이 투입되는 소재투입부,
    상기 이송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소재투입부를 통해 투입된 금속관을 상기 딤플가공장치로 이송하는 소재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관용 딤플 가공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소재투입부는 상기 이송프레임에 서로 대칭되는 한쌍으로 형성되는 투입체,
    상기 투입체의 각각 형성되어 서로 간의 틈새에 금속관이 투입되는 투입판,
    상기 투입판 모서리에 형성되어 투입된 금속관을 구속하는 구속판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투입판 저부에는 상기 투입체 측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투입판에 투입된 금속관이 자중에 의해 상기 투입체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관용 딤플 가공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송프레임에는 소재정렬부가 더 형성됨으로써, 상기 투입체로 이동된 금속관이 일렬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관용 딤플 가공기
  8. 삭제
KR1020160152071A 2016-11-15 2016-11-15 금속관용 딤플 가공기 KR101720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071A KR101720668B1 (ko) 2016-11-15 2016-11-15 금속관용 딤플 가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071A KR101720668B1 (ko) 2016-11-15 2016-11-15 금속관용 딤플 가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668B1 true KR101720668B1 (ko) 2017-03-28

Family

ID=58495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071A KR101720668B1 (ko) 2016-11-15 2016-11-15 금속관용 딤플 가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6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11418A (zh) * 2017-09-25 2017-12-26 东莞市楚诺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上下料的金属管辊槽机
CN109570261A (zh) * 2019-01-21 2019-04-05 河南七星铜业有限公司 T形三通切割定位一体工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3948B1 (ko) 1997-04-25 2000-08-16 고지마 마타오 금속관의 액압벌징가공장치
KR100292971B1 (ko) * 1992-09-15 2001-06-15 개리에이.웨브 관형 프레임 부재를 성형 및 유압 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919480B1 (ko) * 2009-06-12 2009-09-28 김종남 핀튜브용 전열튜브 확관장치
KR101611572B1 (ko) * 2015-12-28 2016-04-11 주식회사 성은이엠 금속파이프의 문양 성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2971B1 (ko) * 1992-09-15 2001-06-15 개리에이.웨브 관형 프레임 부재를 성형 및 유압 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263948B1 (ko) 1997-04-25 2000-08-16 고지마 마타오 금속관의 액압벌징가공장치
KR100919480B1 (ko) * 2009-06-12 2009-09-28 김종남 핀튜브용 전열튜브 확관장치
KR101611572B1 (ko) * 2015-12-28 2016-04-11 주식회사 성은이엠 금속파이프의 문양 성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11418A (zh) * 2017-09-25 2017-12-26 东莞市楚诺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上下料的金属管辊槽机
CN107511418B (zh) * 2017-09-25 2023-12-12 东莞市楚诺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上下料的金属管滚槽机
CN109570261A (zh) * 2019-01-21 2019-04-05 河南七星铜业有限公司 T形三通切割定位一体工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668B1 (ko) 금속관용 딤플 가공기
EP3225321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teel pipe and press mold used in said method
CN215035285U (zh) 管桩端板压铆加工自动化生产线
CN111451368A (zh) 加工金属管壁孔的自动化冲孔装置
CN113664072B (zh) 整形装置及换热器生产线
EP1166912A2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etallic bellows
KR101521353B1 (ko) 보일러 열교환기용 연관 제조 장치
US8857239B2 (en) Transfer bar
KR100485641B1 (ko) 자동으로 파이프를 확관 포밍 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
GB237125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awing elongated stock continuously
KR101642245B1 (ko) 파이프 플레어 성형장치
US7775077B2 (en) Closing method and closing machine
CN216729577U (zh) 一种圆棒料自动车削加工设备
CN111055186B (zh) 一种搓球自动上料装置
JPH07328726A (ja) パイプ曲げ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CN111589941A (zh) 金属管件自动化冲孔装置的上下料装置
CN109986332B (zh) 一种扣压机的扣压机构
RU238856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авки изделий сжатием
CN215965800U (zh) 一种用于制作垃圾通道的胀锥机
CN110802418A (zh) 一种弯管加工流水线
KR101672585B1 (ko) 리벳압입방법
CN213003405U (zh) 一种悬挂式自动定心制管装置
KR20240000910A (ko) 동관 자동 확관 및 스웨이징 장치
KR102405512B1 (ko) 베어링용 자동 가공 장치
JP2009160616A (ja) 円筒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