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549B1 - 트레이 - Google Patents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549B1
KR101720549B1 KR1020150153650A KR20150153650A KR101720549B1 KR 101720549 B1 KR101720549 B1 KR 101720549B1 KR 1020150153650 A KR1020150153650 A KR 1020150153650A KR 20150153650 A KR20150153650 A KR 20150153650A KR 101720549 B1 KR101720549 B1 KR 101720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st
main body
tray
tray main
inser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해경
Original Assignee
엄해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해경 filed Critical 엄해경
Priority to KR1020150153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5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8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Holders for articles of personal use in general, e.g. brushes
    • A47G29/083Devices for suspending handbags from tables, chair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는, 트레이 본체; 상기 트레이 본체의 허리가 닿는 쪽 부위에 허리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허리 삽입공간; 및 상기 허리 삽입공간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것으로서, 허리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허리를 감쌀 수 있도록 트레이 본체의 상하로 연장되는 허리 지지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트레이{TRAY}
본 발명은 휠체어나 의자 손잡이 부위에 안치하여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해 주는 것이 주목적이며 또 물건을 놓거나 독서, 스마트기기 거치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복 중증장애를 가진 뇌병변장애 아이들은 수시로 자세를 바로 잡아 주지 못하면 빠른 속도로 척추측만이 진행된다. 개인별 중증의 장애 정도 또한 제각각인 까닭에 고가의 보조기구가 필요한 아이들도 있지만 비교적 적합한 제품만 있다면 척추측만의 진행속도를 늦추어 줄 뿐만 아니라 척추측만의 수술시기 또한 성장기 이후로 늦출 수 있다. 현재 의료기 시장에 다양한 트레이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트레이 제품은 목재 또는 아크릴로 제작되어 무겁기 때문에 아이들이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또한, 기존 트레이 제품은 맞춤형이라 각 개인의 휠체어 외에는 사용하지 못하는 등 비효율적인 면이 있다. 장애 아이들 경우 통상 1인당 2~3개의 휠체어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휠체어 수에 맞추어 트레이를 각각 구입할 경우 가격 부담이 크다.
일례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08252호는 "장애인용 교정의자"를 개시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허리를 지지해 주어 안정감을 줄 수 있고, 휠체어에 앉아 손을 얹어 놓음으로써 심신의 안정을 줄 수 있으며, 가볍고 내구성이 우수하여 일반인은 물론 특히 중증 장애를 가진 아동에서부터 거동이 불편한 성인, 요양 중인 환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 멀티 트레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는, 트레이 본체; 상기 트레이 본체의 허리가 닿는 쪽 부위에 허리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허리 삽입공간; 및 상기 허리 삽입공간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것으로서, 허리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허리를 감쌀 수 있도록 트레이 본체의 상하로 연장되는 허리 지지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 본체는 사각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 본체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트레이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는 테두리가 구비되고, 상기 트레이 본체 상면에는 홀더부가 구비되며, 상기 홀더부는 상기 허리 삽입공간과 간격을 두고 허리 삽입공간 후방 트레이 본체 상면 부위에 함몰 형성되면서 상기 본체 상면 좌우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 본체 상면에는 수용부가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허리 삽입공간과 간격을 두고 허리 삽입공간 후방 트레이 본체 상면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 내부에는 구획 턱 및 수용부에 수용되는 수용대상물을 지지하는 거치대가 구비되며, 거치대는 트레이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수용부에 부합하는 덮개가 결합되며, 상기 덮개의 일측 가장자리 부위에는 개방 홈이 구비되고, 상기 덮개 측면 좌우 양측에는 안치 턱이 마련되고, 안치 턱은 수용부에 마련된 안치 홈에 대응하여 안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 본체의 측면에는 연결벨트가 구비되며, 상기 트레이 본체의 저면에는 결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부착대상에 구비되는 결합부재에 대응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후크 앤드 루프 패스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에 의하면, 휠체어나 의자에 앉은 사람의 허리를 안정적으로 감싸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휠체어에 앉아 트레이에 손을 얹어 놓는 자세를 취할 경우 심신의 안정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가볍고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일반인은 물론 특히 중증 장애를 가진 아동에서부터 거동이 불편한 성인, 요양 중인 환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저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는 휠체어 및 각종 의자의 좌우 손잡이 상면에 안치하여 장애인은 물론 일반인이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는 식사를 위한 쟁반이나, 스마트기기 거치대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트레이는 트레이 본체(10), 트레이 본체(10) 정면 모서리 중앙 부위에 구비되는 허리 삽입공간(11) 및 허리 삽입공간(11)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되는 것으로서 트레이 본체(10)의 상하로 연장 형성되는 허리 지지부(1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트레이 본체(10)는 모양에는 제한이 없으나 휠체어나 의자 좌우 손잡이 상면에 안치가 용이하고 각종 물건을 올려놓기 용이하도록 사각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허리 삽입공간(11)은 복부를 포함하는 좌우 측면 허리 부위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허리 삽입공간(11)은 트레이 본체(10) 정면 전방 중앙 부위에 구비된다. 허리 삽입공간(11)은 안쪽으로 들어간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다. 허리 삽입공간(11)은 "∩"같은 형태로 형성된다. 허리 삽입공간(11)의 모서리 부위는 허리를 안정적으로 감쌀 수 있도록 라운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레이 본체(10)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트레이 본체(1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는 테두리(13)가 구비된다. 트레이 본체(10)의 상면에 놓이는 물체는 테두리(13)에 걸려 트레이 본체(10) 상면으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는다.
허리 삽입공간(11)의 둘레를 따라 허리 지지부(12)가 구비된다. 허리 지지부(12)는 허리를 안정적으로 감쌀 수 있도록 트레이 본체(10)의 상하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허리 지지부(12)는 트레이 본체(10) 두께의 2배 내지 3배의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레이 본체(10) 상면에는 홀더부(14)와 수용부(15)가 구비된다. 홀더부(14)는 허리 삽입공간(11)과 간격을 두고 트레이 본체(10)의 상면 후방에 하나 또는 복수로 구비된다. 홀더부(14)에는 컵이나 음수료 용기를 놓을 수 있다. 홀더부(14)는 트레이 본체(10) 상면에 함몰 형성된다. 홀더부(14)는 본체(10)의 상면 후방 좌우에 대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더부(14)의 모양에는 제한이 없으나 컵이나 음수료 용기에 부합하는 원형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부(15)는 허리 삽입공간(11)과 간격으로 두고 트레이 본체(10) 상면 전방 중앙에 구비된다. 수용부(15)는 트레이 본체(10) 상면에 함몰 형성된다. 수용부(15)는 독서대, 스마트기기 거치대, 필기구 수납 등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수용부(15) 내부에는 구획 턱(151)이 구비된다. 구획 턱(151)은 필기구가 다른 구획공간으로 이동하는 방지하는 이동 방지 턱의 역할을 한다. 수용부(15) 내부 후방 내벽면에는 거치대(152)가 구비된다. 거치대(152)는 수용부(15)에 수용되는 스마트기기 등과 같은 수용대상물을 거치할 수 있도록 수용대상물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거치대(151)는 트레이 본체(10) 상면보다 높게 형성하여 스마트기기 등과 같은 수용대상물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한다.
수용부(15)에는 덮개(20)가 결합될 수 있다. 덮개(20)는 수용부(15)에 부합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덮개(20)는 수용부(15)를 사용하지 않을 시 수용부(15)를 덮는 용도로 사용한다. 덮개(20)의 일측 가장자리 부위에는 개방 홈(21)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개방 홈(21)은 트레이 본체(10)의 정면 중앙 부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안쪽으로 들어간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다. 수용부(15)에 결합된 덮개(20)를 개방할 때 개방 홈(21)에 손가락이나 집어 넣어 덮개(20)를 들어올리면 된다.
덮개(20) 측면 좌우 양측에는 안치 턱(22)이 마련된다. 안치 턱(22)은 덮개(20) 좌우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안치 턱(22)은 수용부(15)에 마련되는 안치 홈(153)에 대응하여 안치된다.
한편, 트레이 본체(10) 좌우 측면에는 연결벨트(30)가 구비된다. 트레이를 휠체어나 의자 좌우 양측 손잡이 상면에 안치한 상태에서 좌우 연결벨트(30)를 휠체어나 의자 등받이를 감싸도록 연결한다. 연결벨트(30)에 의해 트레이 본체(10)는 안정된 지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트레이 본체(10)의 저면에는 결합부재(40)가 구비된다. 결합부재(40)는 휠체어나 의자 손잡이 등과 같은 부착대상에 구비되는 결합부재에 대응 결합된다. 결합부재(40)는 후크 앤드 루프 패스너일 수 있다.
컵이나 음료용기가 결합되는 홀더부(14)의 깊이는 3cm로 하고 컵이나 음료용기가 홀더부(14)로부터 이탈하기 않도록 홀더부(14)의 가장자리 부위는 트레이 본체(10)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2cm 돌출되는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돌출부의 바깥 면은 경사면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휠체어나 의자에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도 1, 2와 같은 트레이를 휠체어나 의자 좌우 양측 손잡이 상면에 안치한다. 이때, 트레이 본체(10) 저면에 구비된 결합부재(40)가 휠체어나 의자 좌우 양측 손잡이에 마련된 결합부대에 대응 결합되게 한다.
그리고 허리 삽입공간(11)에 휠체어나 의자에 앉은 사용자의 복수를 포함하는 허리 부위가 끼워지게 한다. 사용자의 허리 부위는 허리 삽입공간(11)에 끼워진 상태에서 허리 지지부(12)에 의해 지지된다. 사용자의 허리와 허리 지지부(12) 사이 간격이 큰 경우 사용자의 허리와 허리 지지부(12) 사이의 공간에 패드를 끼운다. 허리 부위가 허리 지지부(12)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사용자는 자연스럽게 바른 자세를 취할 수 있다. 성장기에 있는 아이들 경우 허리를 보호하여 척추가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좌우 연결벨트(30)를 휠체어나 의자 등받이를 감싸도록 연결한다. 좌우 연결벨트(30)를 최대한 팽팽하게 하여 허리 지지부(12)가 사용자의 허리에 긴밀하게 밀착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트레이 본체(10) 상면에 음식을 올려놓고 식사를 하거나 독서 및 스마트기기를 사용하는 등 트레이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홀더부(14)에는 컵이나, 음료용기를 놓을 수 있고, 수용부(15)에는 스마트기기를 거치하거나 필기도구를 수납할 수 있다. 수용부(15)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수용부(15)에 덮개(20)를 결합한다. 수용부(15)에 사용시에는 덮개(20)를 수용부(15)로부터 분리한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에 의하면, 휠체어나 의자에 앉은 사람의 허리를 안정적으로 감싸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휠체어에 앉아 트레이에 손을 얹어 놓는 자세를 취할 경우 심신의 안정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가볍고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일반인은 물론 특히 중증 장애를 가진 아동에서부터 거동이 불편한 성인, 요양 중인 환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트레이 본체 11:허리 삽입공간
12:허리 지지부 13:테두리
14:홀더부 15:수용부
20:덮개 21:개방 홈
22:안치 턱 30:연결벨트
40:결합부재 151:구획 턱
152:거치대 153:안치 홈

Claims (5)

  1. 트레이 본체;
    상기 트레이 본체의 허리가 닿는 쪽 부위에 허리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허리 삽입공간; 및
    상기 허리 삽입공간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것으로서, 허리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허리를 감쌀 수 있도록 트레이 본체의 상하로 연장되는 허리 지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 본체는 사각 형태이고,
    상기 트레이 본체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트레이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는 테두리가 구비되고, 상기 트레이 본체 상면에는 홀더부가 구비되며, 상기 홀더부는 상기 허리 삽입공간과 간격을 두고 허리 삽입공간 후방 트레이 본체 상면 부위에 함몰 형성되면서 상기 본체 상면 좌우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트레이 본체 상면에는 수용부가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허리 삽입공간과 간격을 두고 허리 삽입공간 후방 트레이 본체 상면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 내부에는 구획 턱 및 수용부에 수용되는 수용대상물을 지지하는 거치대가 구비되며, 상기 거치대는 수용부 내부 후방 내벽면에 형성되면서 수용대상물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트레이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수용부에 부합하는 덮개가 결합되며, 상기 덮개의 일측 가장자리 부위에는 개방 홈이 구비되고, 상기 덮개 측면 좌우 양측에는 안치 턱이 마련되고, 안치 턱은 수용부에 마련된 안치 홈에 대응하여 안치되고,
    상기 트레이 본체의 측면에는 연결벨트가 구비되며, 상기 트레이 본체의 저면에는 결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부착대상에 구비되는 결합부재에 대응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후크 앤드 루프 패스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153650A 2015-11-03 2015-11-03 트레이 KR101720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650A KR101720549B1 (ko) 2015-11-03 2015-11-03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650A KR101720549B1 (ko) 2015-11-03 2015-11-03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549B1 true KR101720549B1 (ko) 2017-03-29

Family

ID=58498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650A KR101720549B1 (ko) 2015-11-03 2015-11-03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5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8615U (ja) * 2010-01-29 2010-04-08 利夫 安島 収納箱付き着脱式テーブル
KR20120032857A (ko) * 2010-09-29 2012-04-06 강종호 휠체어용 보조기구
KR20130013937A (ko) * 2011-07-29 2013-02-06 정재석 장애인 및 유아용 상체 지지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8615U (ja) * 2010-01-29 2010-04-08 利夫 安島 収納箱付き着脱式テーブル
KR20120032857A (ko) * 2010-09-29 2012-04-06 강종호 휠체어용 보조기구
KR20130013937A (ko) * 2011-07-29 2013-02-06 정재석 장애인 및 유아용 상체 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8403B2 (en) Tray system
EP3085278B1 (en) Child support device
US20070113757A1 (en) Lap tray
US5850956A (en) Supportable food tray with bib
CA2865090A1 (en) Assisted eating aid
US8281435B2 (en) Reversible head-support and bottle-support baby pillow
US20110126353A1 (en) Bedside assistance apparatus
US4298228A (en) Combination feeding tray and play table
US20150150393A1 (en) Article Holder
JP3197900U (ja) チャイルドシート
KR101720549B1 (ko) 트레이
US6986487B2 (en) Baby bottle holder
WO2016008569A1 (en) Food supporting device
US20130075541A1 (en) Crib baby bottle holder for self feeding
US20100200625A1 (en) Infant travel system
KR101318405B1 (ko) 유아용 가방을 겸한 의자 안전시트
US4884512A (en) Plate stabilizer
KR20130004679U (ko) 식판이 구비된 휠체어
US10335671B2 (en) Child protective entertainment and dining accessory
CN210384249U (zh) 一种多功能儿科康复医疗床
KR101247959B1 (ko) 휠체어용 보조기구
GB2140290A (en) Lap tray
KR20170000480A (ko) 지지대와 받침대가 구비된 캐리어
KR200304172Y1 (ko) 쿠션 테이블
JP3174413U (ja) 多機能カ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