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212B1 - 고로 슬래그 골재를 포함하는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로 슬래그 골재를 포함하는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212B1
KR101720212B1 KR1020150040188A KR20150040188A KR101720212B1 KR 101720212 B1 KR101720212 B1 KR 101720212B1 KR 1020150040188 A KR1020150040188 A KR 1020150040188A KR 20150040188 A KR20150040188 A KR 20150040188A KR 101720212 B1 KR101720212 B1 KR 101720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g
mortar composition
sand
ratio
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0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3882A (ko
Inventor
조성광
Original Assignee
신명탑건설(주)
조성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명탑건설(주), 조성광 filed Critical 신명탑건설(주)
Priority to KR1020150040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212B1/ko
Publication of KR20160113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3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2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04B18/142Steelmaking slags, converter 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4Portland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14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 C04B28/16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containing anhydrite, e.g. Keene's c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르타르 조성물,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비중 및 평균 입경을 갖는 슬래그 파쇄물을 습윤 상태에서 연마 가공하여 얻어진 슬래그 가공모래를 골재로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작업성 및 물성을 나타내는 건조 프리믹스형 모르타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로 슬래그 골재를 포함하는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DRY MORTAR COMPOSITION COMPRISING BLAST FURNACE SLAG}
본 발명은 모르타르 조성물, 보다 상세하게는 습윤 상태에서 연마가공된 고로 슬래그 가공모래를 골재로 포함하는 슬래그 모르타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시멘트 모르타르는 시멘트에 골재를 배합하고 물을 첨가하여 조제되는 것으로, 시멘트의 수화 작용으로 응결, 경화가 일어나 강도를 발생시킨다. 모르타르와 함께 배합되어 사용되는 골재로는 일반적으로 강, 바다, 산 등에서 채취한 천연모래를 그대로 혹은 가공하여 입도 조정한 것이 이용된다.
그러나 천연모래는 채취 및 운반 등에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어 결국 건축의 비용을 크게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최근 환경 보호의 관점에서 천연 모래의 채취가 제한되어 천연 모래의 공급량이 점차 감소되고 있는 측면에서도 건축비용을 크게 증가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천연 모래를 대체할 수 있는 골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고로 슬래그는 철강 생산시 발생하는 부수물로, 그를 냉각시킨 후 입도 조정한 것을 모르타르의 골재로 이용하는 것이 이미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고로 슬래그의 입자 형상 등이 천연모래의 물성에 미치지 못해 모르타르의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어 천연모래를 완전히 치환하여 사용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고로 슬래그를 포함하는 모르타르는 천연모래만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모르타르에 비해 응결 경화속도가 느리고 초기재령에 있어서 낮은 강도 발현율을 나타내어 현장 타설시 거푸집 존치기간을 연장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356369호(2002.09.30) 한국등록특허 제10-0272814호(2013.06.03)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는, 고로 슬래그를 골재로 포함하면서도 작업성이 우수하고 초기강도가 개선된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시멘트; 겉보기 비중 2.2 내지 3 및 평균 입경 0.1 내지 5㎜인 슬래그 파쇄물을 함수율 2 내지 10 wt% 의 습윤 상태에서 연마 가공하여 얻어진 원형비 65% 이상, 실적률 65%이상, 표면건조 비중 2 내지 3인 슬래그 가공모래; 및 석고를 포함하는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에 있어서, 초결 응결시간이 15 내지 25분이고 종결 응결시간이 20 내지 3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슬래그 가공모래는 고로 수재 슬래그 모래 및 고로 서냉 슬래그 모래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혼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멘트 30 내지 60wt%, 슬래그 가공모래 30 내지 60wt% 및 석고 0.01 내지 10wt%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멘트와 석고의 중량비는 1:0.001 내지 0.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은 천연모래 대신 고로 슬래그를 골재로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모르타르 조성물에 비해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은 작업성이 우수하므로 모르타르가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 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멘트; 겉보기 비중 2.2 내지 3 및 입경 0.1 내지 5mm인 슬래그 파쇄물을 함수율 2 내지 10 wt% 습윤 상태에서 연마 가공하여 얻어진 원형비 65% 이상, 실적률 65%이상, 표면 건조 비중 2 내지 3인 슬래그 가공모래; 및 석고를 포함하는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에 있어서, 초결 응결시간이 15 내지 25분이고 종결 응결시간이 20 내지 3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원형비는 컴퓨터 현미경을 이용하여 입자 투과 촬영도에서 동일한 입경을 갖는 입자 10개에 대해 면적(Amm2)및 최대직경(Lmm)을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1에 대입하여 구한 값을 의미한다.
[수학식 1]
원형비(%)=R/0.5L×100
(위 식에서, R은 Amm2를 중심원으로 하는 반경을 의미하며 하기 수학식 2를 통해 구할 수 있다.)
[수학식 2]
R(㎜)=√A√π
본 발명에서, 실적율은 JIS A1111의 규정에 따라 고로 슬래그 가공모래를 직경 140㎜, 높이 130㎜의 원통 용기에 충전하고 고로 슬래그 가공모래의 전체용적(V)이 용기의 전체용적(V')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구해 얻은 값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초결 및 종결 응결시간은 KS L 5108-2007 방법으로 얻은 값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이 제공된다. 여기서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은 물을 첨가하지 않은 상태의 모르타르 조성물을 의미하며, 시공시에는 적정량의 물을 첨가하여 양생시킨 후 타설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은 시멘트를 포함한다. 상기 시멘트는 물을 가했을 때 수화 작용으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응결, 경화가 발생하여 골재를 접합시키고 모르타르의 강도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시멘트는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종래의 천연모래를 골재로 포함하는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에서의 시멘트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틀랜드 시멘트, 고로 시멘트, 실리카 시멘트, 플라이 애쉬 시멘트, 백색 시멘트 또는 알루미나 시멘트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시멘트 입자의 평균 입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5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0㎛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은 골재로 슬래그 가공모래를 포함한다. 상기 슬래그 가공모래는 슬래그 파쇄물을 원료로 습윤 상태에서 연마가공하여 입도 및 형태를 조정하여 얻을 수 있다.
상세하게는, 먼저 겉보기 비중이 2.2 내지 3이고 평균 입경이 0.1 내지 5㎜인 슬래그 파쇄물을 원료로 준비한다. 상기 슬래그 파쇄물의 겉보기 비중이 2.2 미만인 경우, 연마가공으로 제조되는 슬래그 가공모래의 원형비 및 실적율을 천연모래 골재의 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원료의 공극율을 보다 저감시키기 위해서 슬래그 파쇄물 원료의 겉보기 비중은 2.7 내지 3인 것이 좋다. 상기 슬래그 파쇄물의 평균 입경이 0.1 내지 5㎜ 범위에 속하는 경우 연마가공후 얻어지는 슬래그 가공모래의 입경이 모르타르 조성물의 골재로 포함되기 적합하다. 상기 슬래그 파쇄물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면 고로에서 배출되는 용융 슬래그를 물로 급냉시켜 얻는 고로 수재 슬러그 또는 용융 슬래그를 서냉시켜 얻는 고로 서냉 슬러그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슬래그 파쇄물은 고로 수재 슬러그 또는 고로 서냉 슬러그를 조 크러셔, 자이레토리 크러셔, 닷지 크러셔, 엣지 러너, 해머 밀, 디스크 크러셔, 로터리 크러셔, 볼 밀, 코니칼밀, 아트리션밀 등을 이용하여 파쇄하여 얻을 수 있다. 슬래그 파쇄물의 거친입자비율(FM)은 3.0 내지 3.9인 것이 바람직하다. 슬래그 파쇄물의 거친입자비율이 상기 범위에 속하면 제조되는 슬래그 가공모래의 전체 입경을 FM 2.0 내지 2.7로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준비된 슬래그 파쇄물 원료를 습윤 상태에서 맞대고 문지르는 연마가공을 실시한다. 상기 연마가공은 건조 상태에서 실시하는 것보다 습윤 상태에서 실시하는 경우 연마효과가 향상된다. 상기 습윤 상태는 원료 함수율이 2 내지 10wt%인 조건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원료 함수율이 3 내지 5wt%인 조건인 것이 좋다. 함수율이 2wt% 미만인 건조한 상태에서는 충분한 연마효과를 얻을 수 없고, 함수율이 10wt% 초과인 상태에서는 파쇄물 입자의 표면이 수막으로 덮여 입자의 입도 및 형태의 조정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범위의 함수율을 가지는 원료를 연마가공하여 얻어진 슬래그 입자를 건조하여 본 발명의 모르타르 조성물에 포함되는 슬래그 가공 모래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마가공을 위한 기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원통형의 회전식 슬라이딩 연마기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슬래그 가공 모래를 건조 또는 분급하여 본 발명의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에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르타르 조성물에 골재로 포함되는 슬래그 가공 모래는 원형비 65%이상, 실적률 65% 이상이고 표면 건조 비중 2 내지 3인 물성을 만족함으로써, 천연모래를 대신하여 모르타르에 포함되는 경우에 모르타르가 우수한 작업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골재로 포함되는 슬래그 가공 모래는 원형비 90%이상이고 표면 건조 비중 2.5 내지 2.9인 물성을 만족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은 석고를 포함한다. 상기 석고는 모르타르 조성물의 경화 강도를 향상시키고, 성형 후 길이변화를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은 천연모래를 골재로 더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은 알칼리 활성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이 알칼리 활성화제를 더 포함하는 경우, 포졸란 반응을 진행시켜 모르타르의 강도 및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나 성형 후 길이변화 수치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활성화제로는 공지된 알칼리성 자극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수산화칼슘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알칼리 활성화제의 함량은 제조되는 모르타르의 강도 및 성형 후 길이변화를 고려하여 당업자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은 혼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화제로는 종래의 모르타르 조성물에서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분자 물질, 무기물질, 섬유 보강제 및 안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분자 물질로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 초산비닐 가수분해물, 메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무기물질로는, 생석회, 운모, 규사, 사문암, 맥반석, 카올린계 점토, 세피올라이트, 백운석, 석회석, 규회석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섬유 보강재로는 펄프, 합성 섬유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에서 시멘트 및 골재의 혼합 비율에 있어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시멘트 및 슬래그 가공모래를 동량으로 또는 슬래그 가공모래의 비율을 시멘트의 비율보다 작거나 크게 포함하도록 혼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 총 100wt%에 대하여 시멘트 30 내지 60wt%, 슬래그 가공모래 30 내지 60wt% 및 석고 0.01 내지 10wt%로 포함하도록 혼합하여 본 발명의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은 슬래그 가공모래의 비율이 시멘트의 비율보다 큰 경우에도 천연 모래를 골재로 이용한 모르타르에 필적하는 강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제조되는 모르타르의 단가를 절감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시멘트 및 슬래그 가공모래의 중량비가 1:1 내지 1.2가 되도록 혼합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에서 석고의 함량은 시멘트 성분의 함량에 근거하여 조절될 수 있으며, 시멘트와 석고의 중량비가 1:0.001 내지 0.1가 되도록 모르타르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시멘트와 석고의 중량비가 1:0.01 내지 0.05가 되도록 모르타르에 포함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은, 종래의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과 동일하게 물을 첨가하여 타설함으로써 페이스트상 모르타르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물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플로우값 등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물은 페이스트상 모르타르 조성물 총 100wt%에 대하여 25 내지 70wt%의 함량이 되도록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은 천연모래 대신 고로 슬래그를 골재로 사용함으로써 천연모래를 골재로 이용하는 종래의 모르타르 조성물에 비해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은 골재의 일부만을 슬래그로 치환 가능했던 종래의 슬래그 모르타르 조성물에 비해 골재의 치환율이 높으면서 작업성이 우수하므로 모르타르가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고로 파쇄물의 연마가공 효과 확인>
겉보기 비중 2.26, 평균 입경 0.01 내지 2.5㎜의 전로 수재 슬래그(A) 및 겉보기 비중 2.51, 평균 입경 0.01 내지 2.5㎜의 전로 수재 슬래그(B) 각 20kg을 직경 600㎜, 높이 200㎜, 회전속도 2000rpm인 원통형 회전식 슬라이딩 연마기에 넣고 5분간 연속으로 연마시킨 후, 연마전의 슬래그 파쇄물 및 연마후의 슬래그 가공 모래의 물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
겉보기 비중 실적률(%) 원형비(%)
연마전 연마후 연마전 연마후 연마전 연마후
전로 수재 슬래그A 2.26 2.38 47.5 58.0 76.1 85.2
전로 수재 슬래그B 2.51 2.61 54.2 61.5 78.3 88.9
천연모래 2.59 64.5 86.4
상기 표 1에서, 천연모래는 규사를 이용하였다. 상기 표 1을 참고하면, 고로 슬래그의 겉보기 비중, 실적률 및 원형비는 자가 연마가공처리에 의해 향상되어 천연모래의 물성에 근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습윤 상태에서 수행되는 연마가공 효과 확인>
겉보기 비중 2.76, 평균 입경 0.3 내지 5㎜, 실적률 56.6%, 원형비 76.1%의 고로 수재 슬래그를 각각 건조 상태 및 함수율 3wt%의 습윤 상태로 더블 롤 분쇄기를 이용하여 파쇄한 후 각각 원통형 회전식 슬라이딩 연마기를 이용하여 연마가공 처리하고, 연마전의 슬래그 파쇄물 및 연마후의 슬래그 가공 모래의 물성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료 겉보기 비중 실적률(%) 원형비(%)
고로 수재 슬래그 파쇄물 2.76 56.6 79.3
고로 수재 슬래그 가공 모래(건조) 2.79 61.9 86.1
고로 수재 슬래그 가공 모래(습윤) 2.80 65.3 90.5
상기 표 2를 참고하면, 건조 상태이거나 습윤 상태로 연마시키는 경우 슬래그 가공 모래의 실적률은 모두 60%를 넘으나, 습윤 상태로 연마시키는 경우 실적률65%로 보다 향상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면 건조 비중 2.76, FM 3.817인 슬래그를 건조 상태 및 함수율 3wt%의 습윤 상태에서 롤 간극 1.5mm의 롤 분쇄기로 파쇄하여 얻은 슬래그 파쇄물을 원통형 회전식 슬라이딩 연마기를 이용하여 각각 연마가공을 실시한 경우의 입도분포, FM, 표면건조 비중, 흡수율, 부피비중 및 실적율을 하기 표 3에 나타냈다. 하기 표 3에서 패스는 연마기를 통과시킨 횟수를 의미한다.
시료 FM 표면건조 비중 흡수율 부피비중 실적률(%)
슬래그 파쇄물 3.817 2.76 2.80 1.52 56.6
슬래그
가공 모래
(건조)
1패스 2.926 2.79 1.63 1.70 61.9
2패스 2.769 2.79 1.51 1.53 62.9
3패스 2.533 2.78 1.44 1.77 64.6
슬래그
가공 모래
(습윤)
1패스 2.541 2.80 0.96 1.81 65.3
2패스 2.242 2.80 0.97 1.87 67.4
3패스 2.108 2.83 0.88 1.88 67.0
천연모래의 일종인 천연 규사 5호의 경우, FM2.34, 표면건조 비중 2.60이고 실적률 57.4%이다. 표 2및 3을 참고하면, 슬래그를 습윤 상태에서 파쇄 및 연마가공처리하여 얻어지는 슬래그 가공 모래는 천연모래와 비교하였을 때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물성을 나타내는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슬래그 가공 모래는 모르타르에서 천연모래 대신 사용될 수 있으므로 모르타르의 제조비용을 저감시키고, 또한 천연모래의 채취에 따른 환경파괴를 저감시킬 수 있다.
[실시예]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의 제조
겉보기 비중 2.71, 평균 입경 0.01 내지 2.5㎜, 실적률 58.7% 이고 평균원형비 73.9%인 고로 서냉 슬래그를 원통형의 회전식 슬라이딩 연마기를 이용하여 습윤 상태로 자가 연마가공 처리하여 겉보기 비중 2.80, 평균 입경 0.15 내지 2.5㎜, 실적률 66.5%이고 평균원형비 93.4%인 고로 슬래그 가공모래를 얻었다. 상기 고로 슬래그 가공모래 1100g, 포틀랜드 시멘트 840g, 석고 40g 및, 에틸렌 초산비닐, 셀룰로오스 및 생석회를 포함하는 혼화제 20g를 혼합하여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 2kg을 제조했다.
다음으로, 상기 조성물에 플로우값 약 190mm이 되도록 물 300 내지 350g을 첨가하여 모르타르 페이스트를 제조하고 양생하였다. 제조된 모르타르의 물성은 하기 표 4에 나타냈다. 표준공시체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시험항목 시험방법 측정결과
응결시간
초결 KS L 5108-2007 20분
종결 25분
압축강도


재령 3시간 KS F 2476-2007 10.0 N/㎜2
재령 1일 18.1 N/㎜2
재령 7일 27.5 N/㎜2
재령 28일 40.0 N/㎜2
내약품성 시험 후 34.4 N/㎜2
동결융해 시험 후 36.0 N/㎜2
휨강도 재령 28일 15.0 N/㎜2
부착강도 재령 28일 2.5 N/㎜2
내약품성 시험 후 겉모양 : 균열 및 박리 유무 외관검사 이상없음
표 4를 참고하면, 천연모래를 슬래그 가공 모래로 대체하여 포함하는 본 발명의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모르타르가 천연모래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종래의 모르타르에 필적하는 물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모르타르는 양호한 작업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슬래그 가공 모래를 연마가공 전의 슬래그 파쇄물로 대체하는 경우에는, 압축강도 및 휨강도는 종래의 모르타르와 유사한 것으로 측정되었으나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은 우수한 강도, 내약품성 및 응결 경화속도를 가지며, 작업성이 양호하므로, 종래의 모르타르를 대신하여 다양한 시공현장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에서는 종래의 모르타르 조성물에 비해 고가의 재료인 천연모래 및 시멘트를 낮은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으므로, 종래 모르타르를 대체하여 이용되는 경우 시공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Claims (5)

  1. 시멘트;
    겉보기 비중 2.71 내지 3이고 평균 입경 0.1 내지 5㎜이고 원형비 73.9 내지 76.1%이고 실적률 56.6 내지 58.7%이고 거친입자비율(FM) 3.0 내지 3.9인 슬래그 파쇄물을 함수율 3 내지 5wt%의 습윤 상태에서 연마 가공하여 얻어진 겉보기 비중 2.76 내지 2.8이고 원형비 90% 이상이고 실적률 66.5% 이상이고 표면건조 비중 2.5 내지 2.9이고 거친입자비율(FM) 2.1 내지 2.7인 슬래그 가공모래;
    에틸렌 초산비닐, 셀룰로오스 및 생석회를 포함하는 혼화제; 및
    석고를 포함하는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에 있어서,
    초결 응결시간이 15 내지 25분, 종결 응결시간이 20 내지 30분이고,
    상기 시멘트 및 석고의 중량비는 1:0.01 내지 0.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그 가공모래는 고로 수재 슬래그 모래 및 고로 서냉 슬래그 모래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또는 수산화칼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

  4. 삭제
  5. 삭제
KR1020150040188A 2015-03-23 2015-03-23 고로 슬래그 골재를 포함하는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 KR101720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188A KR101720212B1 (ko) 2015-03-23 2015-03-23 고로 슬래그 골재를 포함하는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188A KR101720212B1 (ko) 2015-03-23 2015-03-23 고로 슬래그 골재를 포함하는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882A KR20160113882A (ko) 2016-10-04
KR101720212B1 true KR101720212B1 (ko) 2017-03-27

Family

ID=57165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188A KR101720212B1 (ko) 2015-03-23 2015-03-23 고로 슬래그 골재를 포함하는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2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6471A (ja) * 1999-07-13 2001-01-30 Futase Yogyo Kk 高炉水砕スラグ砂の製造方法
JP2003286062A (ja) * 2002-03-28 2003-10-07 Futase Yogyo Kk ドライ型プレミックスモルタル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3720A (ja) 1991-09-20 1993-04-02 Sony Corp Crt装置
KR100356369B1 (ko) 1999-12-21 2002-10-19 조선내화 주식회사 고로 대풍구주변 충진용 완충모르타르 내화조성물
KR101323591B1 (ko) * 2011-09-27 2013-11-0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전기로 산화슬래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2차 제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6471A (ja) * 1999-07-13 2001-01-30 Futase Yogyo Kk 高炉水砕スラグ砂の製造方法
JP2003286062A (ja) * 2002-03-28 2003-10-07 Futase Yogyo Kk ドライ型プレミックスモルタル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882A (ko) 2016-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2562B1 (ko) 바텀애시를 포함하는 콘크리트용 결합재 조성물
CN107459311B (zh) 一种利废抗折增韧的湿磨浆状掺合料的制备方法
KR101078951B1 (ko) 고로슬래그 미분말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콘크리트 조성물
CN104692745B (zh) 一种高强高耐磨水泥基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255350B1 (ko) 콘크리트용 잔골재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 재료용 조성물
CN108083741B (zh) 一种全掺镍渣预拌混凝土的制备方法
KR101402572B1 (ko) 브레이크액의 처리 방법 및 시멘트계 재료의 분쇄 조제
CN110330303B (zh) 一种充填材料及其使用方法
KR101246114B1 (ko) Tbm 공법에 적용되는 세그먼트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고성능 콘크리트 세그먼트
KR101999010B1 (ko) 페로니켈슬래그와 고로수재슬래그를 포함하는 복합슬래그 잔골재
Cwirzen Properties of SCC with industrial by-products as aggregates
KR20120066769A (ko) 페로니켈슬래그를 사용한 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15597B1 (ko) 전기로 동슬래그 잔골재를 활용한 습식 진동 성형용 콘크리트 수로관용 조성물
KR101120062B1 (ko) 건축물 폐재의 순환골재를 이용한 지오폴리머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TW202244025A (zh) 乾研磨煉鋼爐渣、經研磨的煉鋼爐渣、及其在建築材料中之用途
WO2018088684A1 (ko) 액상 활성화제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용 실리카계 슬래그의 치환율을 높인 콘크리트 조성물
CN110922119B (zh) 采石场洗石制砂废渣的活化方法、水泥基活化废渣混凝土以及该混凝土的制备方法
CN116854395A (zh) 一种碳化玻璃钢材料及其制备方法与在水泥混凝土中的应用
KR101720212B1 (ko) 고로 슬래그 골재를 포함하는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
KR100927005B1 (ko) 조강형 시멘트를 이용한 한중콘크리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50407B1 (ko) 고로슬래그 잔골재 및 레미콘회수수가 적용된 친환경 모르타르 조성물
KR101322911B1 (ko) 수재 슬래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07928B1 (ko)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물성 개선을 통한 시멘트 대체용 프리믹스 혼화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용 결합재 조성물
KR20160096325A (ko) 이수석고를 포함하는 시멘트 벽돌 및 이것의 제조방법
JP3774418B2 (ja) ドライ型プレミックスモルタル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