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990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코어 망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코어 망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990B1
KR101719990B1 KR1020100106828A KR20100106828A KR101719990B1 KR 101719990 B1 KR101719990 B1 KR 101719990B1 KR 1020100106828 A KR1020100106828 A KR 1020100106828A KR 20100106828 A KR20100106828 A KR 20100106828A KR 101719990 B1 KR101719990 B1 KR 101719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service
user
user interfac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5341A (ko
Inventor
안승진
이준동
윤원용
김우열
조범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6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990B1/ko
Publication of KR20120045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5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0Circuit switching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path is physically permanent during th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38Services, e.g. multimedia, GOS, QOS
    • H04L2012/5639Tariffs or 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이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코어 망을 선택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PS(Packet Switching) 타입과 CS(Circuit Switching) 타입 중 하나의 서비스 제공 타입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 중 기 설정된 조건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상기 PS 타입과 상기 CS타입 중 하나의 서비스 제공 타입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PS 타입과 상기 CS타입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서비스 제공 타입을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를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코어 망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OF SELECTING CORE NETWORK FOR PROVIDING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코어 망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3GPP LT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이하 "LTE"라 함) 통신 시스템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E-UMTS 망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시스템은 기존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에서 진화한 시스템으로서, 현재 3GPP에서 기초적인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E-UMTS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라고 할 수도 있다. UMTS 및 E-UMTS의 기술 규격(technical specification)의 상세한 내용은 각각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의 Release 7과 Release 8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E-UMTS는 단말(User Equipment; UE)(120)과 기지국(eNode B; eNB)(110a 및 110b), 네트워크(E-UTRAN)의 종단에 위치하여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접속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 AG)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위해 다중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한 기지국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한다. 셀은 1.25, 2.5, 5, 10, 15, 20Mhz 등의 대역폭 중 하나로 설정돼 여러 단말에게 하향 또는 상향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로 다른 셀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다수의 단말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하향 링크(Downlink; D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하향 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단말에게 데이터가 전송될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HARQ)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또한, 상향 링크(Uplink; U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상향 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해당 단말에게 전송하여 해당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기지국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핵심망(Core Network; CN)은 AG와 단말의 사용자 등록 등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AG는 복수의 셀들로 구성되는 TA(Tracking Area) 단위로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한다.
무선 통신 기술은 WCDMA를 기반으로 LTE까지 개발되어 왔지만, 사용자와 사업자의 요구와 기대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다른 무선 접속 기술이 계속 개발되고 있으므로 향후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 진화가 요구된다. 비트당 비용 감소, 서비스 가용성 증대, 융통성 있는 주파수 밴드의 사용, 단순구조와 개방형 인터페이스, 단말의 적절한 파워 소모 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코어 망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이 서비스 제공 타입을 선택하는 방법은, PS(Packet Switching) 타입과 CS(Circuit Switching) 타입 중 하나의 서비스 제공 타입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 중 기 설정된 조건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상기 PS 타입과 상기 CS타입 중 하나의 서비스 제공 타입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PS 타입과 상기 CS타입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서비스 제공 타입을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를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PS 타입과 상기 CS 타입 각각에 대응하는 서비스 요금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 모듈; 네트워크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PS(Packet Switching) 타입과 CS(Circuit Switching) 타입 중 하나의 서비스 제공 타입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중 기 설정된 조건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상기 PS 타입과 상기 CS타입 중 하나의 서비스 제공 타입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PS 타입과 상기 CS타입 중 하나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서비스 제공 타입을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를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사용자 입력 모듈은 일체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터치스크린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 PS 타입과 상기 CS 타입 각각에 대응하는 서비스 요금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단말이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망에서 레거시 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 영역으로 진입한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는 음성 통화 서비스이고, 상기 LTE 통신망은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를 상기 PS 타입을 이용하여 제공하며, 상기 레거시 통신망은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를 상기 PS 타입 또는 상기 CS 타입 중 하나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네트워크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통화 혹은 SMS 등의 서비스를 위하여 PS 코어 망과 CS 코어 중 자신의 요금제에 적합한 코어 망을 선택하여 접속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에게는 서비스 타입 선택의 자유도를 제공하고 서비스 제공자에게는 다양한 요금 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E-UMTS 망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평면(User Plane)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3GPP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들 및 이들을 이용한 일반적인 신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음성 통화 서비스 중 서비스 타입을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SMS를 전송하기 위한 서비스 타입을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GPS 정보의 서비스 타입을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타입을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타입을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타입을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에서 네트워크로부터 제공받는 서비스 타입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송수신기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 작용 및 다른 특징들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3GPP 시스템에 적용된 예들이다.
도 2는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평면(User Plane)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평면은 단말(User Equipment; UE)과 네트워크가 호를 관리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제어 메시지들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사용자평면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생성된 데이터,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또는 인터넷 패킷 데이터 등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제1계층인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은 상위에 있는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계층과는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송채널을 통해 매체접속제어 계층과 물리계층 사이에 데이터가 이동한다. 송신측과 수신측의 물리계층 사이는 물리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상기 물리채널은 시간과 주파수를 무선 자원으로 활용한다. 구체적으로, 물리채널은 하향 링크에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변조되고, 상향 링크에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변조된다.
제2계층의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은 논리채널(Logical Channel)을 통해 상위계층인 무선링크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2계층의 RLC 계층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RLC 계층의 기능은 MAC 내부의 기능 블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제2계층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은 대역폭이 좁은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IPv4나 IPv6와 같은 IP 패킷을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불필요한 제어정보를 줄여주는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한다.
제3계층의 최하부에 위치한 무선 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은 제어평면에서만 정의된다. RRC 계층은 무선베어러(Radio Bearer)들의 설정(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채널,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무선 베어러는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2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단말과 네트워크의 RRC 계층은 서로 RRC 메시지를 교환한다. 단말과 네트워크의 RRC 계층 사이에 RRC 연결(RRC Connected)이 있을 경우, 단말은 RRC 연결 상태(Connected Mode)에 있게 되고, 그렇지 못할 경우 RRC 휴지 상태(Idle Mode)에 있게 된다. RRC 계층의 상위에 있는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은 세션 관리(Session Management)와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eNB)을 구성하는 하나의 셀은 1.25, 2.5, 5, 10, 15, 20Mhz 등의 대역폭 중 하나로 설정되어 여러 단말에게 하향 또는 상향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로 다른 셀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네트워크에서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전송채널은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BCH(Broadcast Channel),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PCH(Paging Channel),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하향 SCH(Shared Channel) 등이 있다. 하향 멀티캐스트 또는 방송 서비스의 트래픽 또는 제어 메시지의 경우 하향 S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하향 MCH(Multicast Channel)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단말에서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향 전송채널로는 초기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RACH(Random Access Channel),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상향 SCH(Shared Channel)가 있다. 전송채널의 상위에 있으며, 전송채널에 매핑되는 논리채널(Logical Channel)로는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 PCCH(Paging Control Channel), CCCH(Common Control Channel), MCCH(Multicast Control Channel), MTCH(Multicast Traffic Channel) 등이 있다.
도 3은 3GPP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들 및 이들을 이용한 일반적인 신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말은 전원이 켜지거나 새로이 셀에 진입한 경우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는 등의 초기 셀 탐색(Initial cell search) 작업을 수행한다(S301). 이를 위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주 동기 채널(Primary Synchronization Channel; P-SCH) 및 부 동기 채널(Secondary Synchronization Channel; S-SCH)을 수신하여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고, 셀 ID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 후,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물리 방송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를 수신하여 셀 내 방송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초기 셀 탐색 단계에서 하향 링크 참조 신호(Downlink Reference Signal; DL RS)를 수신하여 하향 링크 채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초기 셀 탐색을 마친 단말은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및 상기 PDCCH에 실린 정보에 따라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SCH)을 수신함으로써 좀더 구체적인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02).
한편, 기지국에 최초로 접속하거나 신호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이 없는 경우 단말은 기지국에 대해 임의 접속 과정(Random Access Procedure; RACH)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S303 내지 단계 S306). 이를 위해, 단말은 물리 임의 접속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을 통해 특정 시퀀스를 프리앰블로 전송하고(S303 및 S305), PDCCH 및 대응하는 PDSCH를 통해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304 및 S306). 경쟁 기반 RACH의 경우, 추가적으로 충돌 해결 절차(Contention Resolution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절차를 수행한 단말은 이후 일반적인 상/하향 링크 신호 전송 절차로서 PDCCH/PDSCH 수신(S307) 및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물리 상향 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전송(S308)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이 상향 링크를 통해 기지국에 전송하는 또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정보는 하향 링크/상향 링크 ACK/NACK 신호,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ex), RI(Rank Indicator) 등을 포함한다. 3GPP LTE 시스템의 경우, 단말은 상술한 CQI/PMI/RI 등의 제어 정보를 PUSCH 및/또는 PUCCH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CS(Circuit Switching)을 통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 문자 서비스, 영상 통화 서비스 등을 의미하며, PS(Packet Switching)을 통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는 웹 브라우징, FTP, VoIP 등을 의미한다.
LTE 시스템에서 음성 통화는 PS(Packet Switching) 기반 서비스로서 VoIP를 제공하거나, CS(Circuit Switching) 기반 서비스로서 CS 폴 백(Fall Back) 혹은 SRVCC(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이라는 기술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LTE 시스템은 원칙적으로 PS 기반 서비스만을 지원하기 때문이다. 한편, 요금 체계에서 CS 기반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시간당 과금이 되는 형태이며, PS 기반 서비스는 사용되는 데이터 량에 따라 부과되는 형태이다. 음성 통화 서비스의 품질 관점에서는 CS 기반 서비스가 우수하지만, 비용 측면에서는 상대적으로 PS 기반 서비스가 저렴한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LTE 시스템은 CS 기반의 음성 통화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기존의 WCDMA 시스템에서 LTE 시스템으로 핸드오버하는 경우는 PS 기반 서비스인 VoIP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 서비스를 지속하며, LTE 시스템에서 WCDMA 시스템으로 핸드오버하는 경우에는 PS 기반 서비스인 VoIP 나 CS 기반 서비스인 AMR으로 전환하여 음성 통화 서비스를 지속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LTE 시스템에 접속하여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 받고 있던 사용자가 WCDMA 및 GSM 시스템과 같이 레거시 시스템으로 핸드오버하는 경우, 혹은 레거시 시스템에서 LTE 시스템으로 핸드오버하는 경우, VoIP를 통해서 PS 기반 서비스를 유지할 지 혹은 CS 기반 서비스로 전환할 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음성 통화 서비스 중 서비스 타입을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다.
우선,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의 서비스 타입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즉, LTE 시스템에 접속하여 PS 기반 음성 통화 서비스인 VoIP를 서비스 받고 있는 단말이 레거시 시스템으로 핸드오버할 경우에 대비하여 사용자는 PS 기반 서비스를 지속할 지 혹은 CS 기반 서비스로 전환할 지 여부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혹은 레거시 시스템에 접속하여 PS 기반 음성 통화 서비스를 받고 있는 단말이 LTE 시스템으로 핸드오버할 경우에 대비하여 사용자는 PS 기반 서비스를 지속할 지 혹은 CS 폴 백 모드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로 전환할 지 여부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5와 같이 단말이 핸드오버 영역에 진입한 경우에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어떤 타입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지속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 즉, LTE 시스템에 접속하여 PS 기반 음성 통화 서비스인 VoIP를 서비스 받고 있는 단말이 레거시 시스템으로 핸드오버가 가능한 핸드오버 영역에 진입한 경우, 사용자는 도 5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PS 기반 서비스를 지속할 지 혹은 CS 기반 서비스로 전환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혹은 레거시 시스템에 접속하여 PS 기반 음성 통화 서비스를 받고 있는 단말이 LTE 시스템으로 핸드오버 가능한 지역에 진입한 경우, 사용자는 PS 기반 서비스를 지속할 지 혹은 CS 폴 백 모드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로 전환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단말의 이동 속도가 매우 빨라서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 타입을 결정할 시간이 다소 부족한 경우라면, 도 4와 같이 기 설정된 설정에 따라 음성 통화 서비스를 지속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셀 재선택 절차를 통하여 자신의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PS 기반 서비스와 CS 기반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 타입의 선택은 음성 통화 서비스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즉, 음성 통화 서비스와 함께 대표적인 CS 기반 서비스인 SMS(Short Message Service)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단말이 LTE 시스템에 접속해 있는 경우, 접속 시에 PS 기반의 IMS(IP Multimedia Subsystem)을 통해서 보낼 수도 있지만 CS 폴 백 모드를 이용하여 SMS를 처리할 수 도 있다. 다만, SMS는 지속적 서비스라기 보다는 순간적으로 진행되는 서비스이므로, 음성 통화 서비스의 경우와 같이 핸드오버 시의 활용도는 크지 않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SMS를 전송하기 위한 서비스 타입을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다.
SMS를 PS 기반으로 서비스하는 것과 CS 기반으로 서비스하는 것은 사용자 측면에서는 부과되는 요금에서 차이가 있다. 즉, PS 기반 방식에 부과되는 요금과 CS 기반 방식에 부과되는 요금은 사업자에 따라 그 체계를 달리할 수 있기에, 사용자에게 선택권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SMS를 송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서비스 타입 즉, PS 기반 SMS와 CS 기반 SMS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기능의 구현으로 인하여 SMS의 크기 및 요금 체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자신에게 가장 현실적으로 맞는 서비스 타입을 사용자가 그 때 그 때 결정을 할 수가 있다.
LTE 시스템에서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토콜로서 SUPL(Secure User Plane Location) 2.0이 LTE에서는 WCDMA 시스템의 SUPL 1.0 대신에 사용되는데 이것을 통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게 된다. 또한, GPS 서비스 역시 CS 기반 혹은 PS 기반을 통한 서비스 요청이 가능하다. 따라서, 음성 통화 서비스 및 SMS 이외에도 본 발명은 GPS 서비스에도 적용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PS 기반 GPS 서비스의 경우 인터넷 망을 통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PS 기반 시스템인 LTE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CS 폴 백 모드를 통하여 기존의 CS 기반 시스템과 같이 운영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GPS 정보의 서비스 타입을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단말의 위치 정보를 네트워크에 요청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경우, 도 7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PS 기반 서비스를 통하여 위치 정보를 수신할 지 혹은 CS 기반 서비스를 통하여 위치 정보를 수신할 지 여부를 사용자가 직접 결정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해당 위치 기반 서비스에 시간제 요금 부과 방식을 원할지 아니면 데이터 사용량 기반 요금 부과 방식에 의할지도 선택권을 부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한편, 무선 랜 즉, WIFI의 경우 SMS를 제공하는 방식은 PS 기반 서비스인 인터넷을 통한 문자 송신 방법만이 지원될 수 있다. 음성 통화 서비스의 경우, OMA(Open Mobile Alliance)에서 레거시 시스템과의 핸드오버를 지원할 예정이다. 그러나, 무선 랜의 특성 상 서비스 제공 지역이 한정되어 있어 이동성 측면에서 다소 불리한 것이 사실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랜의 경우, 이종 통신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는 LTE나 기존 레거시 시스템과 커버리지가 중첩되어 구축되는 것이 보통임에도, 무선 랜 환경에서 진행중인 PS 기반 음성 통화 서비스가 CS 기반 음성 서비스로의 전환이 불가능하고, 무선 랜 간에도 음성 통화 서비스의 핸드오버가 제대로 구현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LTE에서는 CS 폴 백 모드이나 SRVCC와 같은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PS 기반 서비스나 CS 기반 서비스 중 어느 것이든 접근이 가능하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근래에는 CPE(Common Platform Enumeration)와 같은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CPE란 단말은 WIFI로 연결이 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LTE나 WIMAX같은 시스템으로 연결되는 방식이다. 즉, CPE는 단말 입장에서는 무선 환경을 LTE에서 WIFI로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에도 WIFI와 연결된 LTE 시스템이 CS 폴 백 모드나 SVRCC와 같은 기술을 통하여 CS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타입을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PS 기반 서비스와 CS 기반 서비스라는 명칭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안하였으나, 일반 사용자들은 이러한 전문 용어의 사용이 익숙치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 8과 같이 요금이 데이터 사용량에 기반하여 부과되는 서비스, 즉 PS 기반 서비스와 사용 시간에 비례하여 과금되는 서비스, 즉 CS 기반 서비스와 같이 표현하는 것을 제안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타입을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예시도이다.
도 9에서는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때마다 서비스 타입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말 환경 설정 시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제공 타입을 미리 결정해놓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타입을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현재 자신의 실시간 요금, 통화, 문자 사용량, 현재 남아있는 음성 통화 시간, 잔여 데이터 양 등을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고 있는데,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서비스 타입을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해당 서비스 타입을 선택하였을 경우의 요금 정보를 개괄적으로 계산하여 제공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에서 네트워크로부터 제공받는 서비스 타입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단계 1100에서 기존 CS 관련 서비스를 요청한다. 즉, 음성 통화 서비스, SMS 혹은 위치 기반 서비스 등을 요청한다. 이러한 경우, 단말은 단계 1110에서 해당 서비스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실행한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PS 기반 서비스와 CS 기반 서비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계속하여, 단계 1120에서 사용자로부터 접속하고자 하는 코어 망을 선택 받는다. 만약 PS 기반 서비스를 위하여 PS 코어 망을 선택한 경우, 단계 1130에서 단말은 PS 코어 망을 접속하고, 단계 1150에서 네트워크는 PS 코어 망을 통하여 단말로 해당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CS 기반 서비스를 위하여 CS 코어 망을 선택한 경우, 단계 1140에서 단말은 CS 코어 망을 접속하고, 단계 1150에서 네트워크는 CS 코어 망을 통하여 단말로 해당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는 단말이 LTE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단말은 CS 폴 백 모드를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송수신기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송수신기는 기지국 또는 단말의 일부일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송수신기(1200)는 프로세서(1210), 메모리(1220), RF 모듈(1230), 디스플레이 모듈(124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250)을 포함한다.
송수신기(120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으로서 일부 모듈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기(1200)는 필요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기(1200)에서 일부 모듈은 보다 세분화된 모듈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10)는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송수신기(1200)가 기지국의 일부인 경우에 프로세서(1210)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복수의 주파수 블록 내에 설정된 제어 채널로 맵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기(1200)가 단말의 일부인 경우에 프로세서(1210)는 복수의 주파수 블록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자신에게 지시된 제어 채널을 확인하고 그로부터 제어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서(1210)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0)의 자세한 동작은 도 1 내지 도 11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메모리(1220)는 프로세서(1210)에 연결되며 오퍼레이팅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코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RF 모듈(1230)은 프로세서(1210)에 연결되며 기저대역 신호를 무선 신호를 변환하거나 무선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RF 모듈(1230)은 아날로그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주파수 상향 변환 또는 이들의 역과정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240)은 프로세서(1210)에 연결되며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240)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잘 알려진 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250)은 프로세서(1210)와 연결되며 키패드,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잘 알려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주로 단말과 기지국 간의 데이터 송수신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다고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송신 전력 잔여량을 보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이 서비스 제공 타입을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된 서비스의 종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PS (Packet Switching) 타입과 CS (Circuit Switching) 타입 중 하나의 서비스 제공 타입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PS 타입과 상기 CS 타입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서비스 제공 타입을 이용하여 상기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타입 선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된 서비스 제공 중 기 설정된 조건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타입을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PS 타입과 상기 CS타입 중 하나의 서비스 제공 타입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단말이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망에서 레거시 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 영역으로 진입한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타입 선택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된 서비스 제공 중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발생된 기 설정된 조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타입 선택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PS 타입과 상기 CS 타입 각각에 대응하는 서비스 요금 및 각각의 사용량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타입 선택 방법.
  5.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모듈;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 모듈;
    네트워크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요청된 서비스의 종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PS (Packet Switching) 타입과 CS (Circuit Switching) 타입 중 하나의 서비스 제공 타입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PS 타입과 상기 CS타입 중 하나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서비스 제공 타입을 이용하여 상기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요청된 서비스 제공 중 기 설정된 조건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타입을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PS 타입과 상기 CS타입 중 하나의 서비스 제공 타입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며,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단말이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망에서 레거시 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 영역으로 진입한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요청된 서비스 제공 중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발생된 기 설정된 조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단말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 PS 타입과 상기 CS 타입 각각에 대응하는 서비스 요금 및 각각의 사용량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사용자 입력 모듈은 일체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터치스크린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된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미리 결정된 서비스 제공 타입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타입 선택 방법.
KR1020100106828A 2010-10-29 2010-10-2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코어 망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719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828A KR101719990B1 (ko) 2010-10-29 2010-10-2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코어 망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828A KR101719990B1 (ko) 2010-10-29 2010-10-2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코어 망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341A KR20120045341A (ko) 2012-05-09
KR101719990B1 true KR101719990B1 (ko) 2017-03-27

Family

ID=46264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828A KR101719990B1 (ko) 2010-10-29 2010-10-2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코어 망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9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091B1 (ko) * 2013-01-04 2020-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장치에 강화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9795A (ja) * 2003-07-03 2005-0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無線端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55517B2 (en) * 2007-02-26 2015-06-09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of user-directed dynamic domain sele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9795A (ja) * 2003-07-03 2005-0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無線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341A (ko)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040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최저 보장 비트 레이트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91325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rrc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756489B2 (en) Method of transmitting counting response message indicating service area at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US9432900B2 (en) 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US10039014B2 (en) Method and device for storing PLMN information on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769629B2 (en) Method of transmitting message at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US9560539B2 (en) Method for allowing terminal to report measurement result for MDT to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JP5296837B2 (ja) マルチモード端末機でローミング中に通信サービスを制限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US9749817B2 (en) Method of providing service to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US94205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to and from network at user equip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353479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端末がサービスを受け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US9560563B2 (en) Method for receiving service by means of user equip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KR10171999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코어 망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68598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783613B1 (ko) 멀티 모드 단말기에서 로밍 중 통신 서비스 제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392505B2 (en) Method for reporting information on multiband capability to network at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n apparatus therefor
KR2012012961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