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837B1 - 음장 합성 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장 합성 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837B1
KR101719837B1 KR1020120058557A KR20120058557A KR101719837B1 KR 101719837 B1 KR101719837 B1 KR 101719837B1 KR 1020120058557 A KR1020120058557 A KR 1020120058557A KR 20120058557 A KR20120058557 A KR 20120058557A KR 101719837 B1 KR101719837 B1 KR 101719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distance
sound field
user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4789A (ko
Inventor
유재현
최근우
서정일
강경옥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58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837B1/ko
Priority to US13/804,221 priority patent/US9454967B2/en
Publication of KR20130134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2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to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5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audio signals to reverberation of the listening 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8Electronic adaptation dependent on speaker or headphone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20/00Techniques used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20/13Application of wave-field synthesis in stereophonic audio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스피커의 높이를 고려하여 음장 합성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음장 합성 신호 생성 장치는 스피커의 높이를 기초로 음원에서 전개된 파형의 이동 거리를 결정하는 파형 이동 거리 결정부; 및 파형의 이동 거리를 사용하여 스피커에 대응하는 음장 합성 신호를 생성하는 음장 합성 신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장 합성 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WAVE FIELD SYNTHESIS SIGNALS}
본 발명은 음장 합성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피커의 높이를 기초로 음장 합성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복수의 스피커가 다른 높이에 설치된 경우, 사용자가 음원의 위치를 설정된 위치와 다르게 인식하는 것을 방지하는 음장 합성 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장 합성(WFS) 재생 기술은 재생하고자 하는 음원의 파면을 합성하여 청취 공간 상의 여러 청취자에게 동일한 음장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음장 합성 재생 기술은 기본적으로 음원과 스피커, 및 사용자가 동일한 평면상에 존재하는 것을 가정하고 있다. 따라서 음원으로부터 사용자까지 일직선으로 연결한 선 상에 존재하는 스피커가 음장 재현에 가장 큰 기여를 한다는 비 유동적인 위상 근사치(stationary phase approximation)를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가정에 따라 수평면상에만 스피커들을 배치하면, 사용자가 앉는 장소의 높이가 변경되거나, 위치가 상하로 이동하는 음원을 재생하는 경우, 사용자가 음원의 위치를 설정된 위치와 다르게 인식할 가능성이 있었다.
따라서, 스피커들을 각각 다른 높이에 배치한 음장 합성 시스템이 필요하다. 그러나, 비 유동적인 위상 근사치를 가정한 종래의 음장 합성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으로 스피커들을 각각 다른 높이에 배치한 음장 합성 시스템의 음장 합성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스피커들의 높이에 따라 음장 재생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피커들을 각각 다른 높이에 배치한 음장 합성 시스템에서 효과적으로 음장을 재생하는 읍장 합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방법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스피커가 다른 높이에 설치된 경우, 사용자가 음원의 위치를 설정된 위치와 다르게 인식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장 합성 신호 생성 장치는 스피커의 높이를 기초로 음원에서 전개된 파형의 이동 거리를 결정하는 파형 이동 거리 결정부; 및 파형의 이동 거리를 사용하여 스피커에 대응하는 음장 합성 신호를 생성하는 음장 합성 신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장 합성 신호 생성 장치는 음장 재생 시스템에 포함된 스피커 중에서 사용자의 높이와 다른 높이에 설치된 스피커를 식별하는 스피커 식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장 합성 신호 생성 장치의 파형 이동 거리 결정부는 식별한 스피커의 높이를 기초로 음원에서 전개된 파형이 식별한 스피커를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이동할 때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장 합성 신호 생성 방법은 스피커의 높이를 기초로 음원에서 전개된 파형의 이동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 및 파형의 이동 거리를 사용하여 스피커에 대응하는 음장 합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스피커의 높이에 따라 파형의 이동 거리를 결정하고, 파형의 이동 거리를 사용하여 음장 합성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복수의 스피커가 다른 높이에 설치된 경우, 사용자가 음원의 위치를 설정된 위치와 다르게 인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장 합성 신호 생성 장치가 포함된 음장 재생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장 합성 신호 생성 장치를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상하 2열 어레이 음장 재생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형 이동 거리 결정부가 파형 거리를 결정하는 과정의 일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장 합성 신호 생성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장 합성 신호 생성 방법은 음장 합성 신호 생성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장 합성 신호 생성 장치가 포함된 음장 재생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장 재생 시스템은 음장 합성 신호 생성 장치(100), 제1 스피커(110), 및 제2 스피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피커(110)와 제2 스피커(120)는 각각 다른 음장 합성 신호를 재생하여 사용자(130)에게 음장을 재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스피커(110)와 제2 스피커(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다른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스피커(110)와 제2 스피커(120)는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Loud speaker Array)일 수 있다.
음장 합성 신호 생성 장치(100)는 제1 스피커(110)와 제2 스피커(120)에 대응하는 음장 합성 신호를 생성하여 제1 스피커(110)와 제2 스피커(1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음장 합성 신호 생성 장치(100)는 제1 스피커(110)나 제2 스피커(120)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자와 다른 높이에 설치된 경우, 음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설정된 위치에서 전개된 파형은 제1 스피커(110)나 제2 스피커(120)의 높이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였다가 사용자(130)에게 이동하므로, 파형이 이동하는 거리인 파형의 이동 거리는 음원이 설치된 위치와 사용자(130) 간의 거리 보다 길 수 있다.
즉, 음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설정된 위치와 사용자(130) 간의 거리에 따라 음장 합성 신호를 생성할 경우, 사용자는 실제 음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설정된 위치보다 가까운 장소에 음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음장 합성 신호 생성 장치(100)는 스피커의 높이에 따라 파형의 이동 거리를 결정하고, 파형의 이동 거리를 사용하여 음장 합성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복수의 스피커가 다른 높이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음장을 재생하는 음장 재생 시스템에서 사용자에게 음원이 설정된 위치에 있는 것으로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장 합성 신호 생성 장치(100)를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장 합성 신호 생성 장치(100)는 스피커 식별부(210), 파형 이동 거리 결정부(220), 및 음장 합성 신호 생성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 식별부(210)는 음장 재생 시스템에 포함된 스피커 중에서 사용자의 높이와 다른 높이에 설치된 스피커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전신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지면에 설치된 스피커와 사용자의 머리와 같은 높이에 설치된 스피커를 같은 높이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음장을 느끼는 기준은 귀의 위치이므로, 스피커 식별부(210)는 사용자의 귀 높이를 사용자의 높이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들이 각각 지면과 천장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지면에 앉게 되는 음장 재생 시스템의 경우, 스피커 식별부(210)는 천장에 설치된 스피커만을 사용자의 높이와 다른 높이에 설치된 스피커로 식별할 수 있다. 반면, 스피커들이 각각 지면과 천장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쇼파에 앉게 되는 음장 재생 시스템의 경우, 스피커 식별부(210)는 지면에 설치된 스피커가 사용자의 귀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지면에 설치된 스피커와 천장에 설치된 스피커를 모두 사용자의 높이와 다른 높이에 설치된 스피커로 식별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앉는 높이에 따라 식별할 스피커가 변경될 수 있다.
파형 이동 거리 결정부(220)는 스피커의 높이를 사용하여 음원에서 전개된 파형의 이동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형 이동 거리 결정부(220)는 스피커 식별부(210)가 식별한 스피커의 높이를 사용하여 음원에서 전개된 파형이 스피커 식별부(210)가 식별한 스피커를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이동할 때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파형 이동 거리 결정부(220)는 음원과 스피커 간의 수평면상의 거리와 스피커와 사용자 간의 수평면상의 거리에 스피커의 높이를 사용하여 파형의 이동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파형 이동 거리를 결정하는 과정은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음장 합성 신호 생성부(230)는 파형 이동 거리 결정부(220)가 결정한 파형의 이동 거리를 사용하여 음원을 랜더링함으로써, 스피커 식별부(210)가 식별한 스피커에 대응하는 음장 합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장 합성 신호 생성부(230)는 파형 이동 거리 결정부(220)가 결정한 파형의 이동 거리를 음원과 사용자 간의 거리로 설정하여 음원을 랜더링함으로써, 음장 합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음장 재생 시스템에 포함된 스피커 중에서 스피커 식별부(210)가 식별하지 않은 스피커는 사용자의 귀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된 스피커이므로, 파형의 이동 거리와 음원과 사용자 간의 수평면 상의 거리가 동일하다. 따라서, 음장 합성 신호 생성부(230)는 음장 재생 시스템에 포함된 스피커 중에서 사용자의 귀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된 스피커에 대응하는 음장 합성 신호를 음원과 스피커 간의 수평면상의 거리와 스피커와 사용자 간의 수평면상의 거리를 음원과 사용자 간의 거리로 설정하여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피커의 높이에 따라 파형의 이동 거리를 결정하고, 파형의 이동 거리를 사용하여 음장 합성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복수의 스피커가 다른 높이에 설치된 경우, 사용자가 음원의 위치를 설정된 위치와 다르게 인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상하 2열 어레이 음장 재생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하 2열 음장 재생 시스템은 상면에서 볼 경우(310), 동일한 위치에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Loud speker Array)인 제1 스피커(311)와 제2 스피커(312)가 있다. 이때, 제1 스피커(311)와 제2 스피커(312)는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에 포함된 각각의 스피커에서 음원과 사용자 간의 거리(300)에 기초한 음장 합성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음원의 위치를 느끼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하 2열 음장 재생 시스템을 측면에서 볼 경우(320), 제1 스피커(110)는 사용자의 귀 높이를 기준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제2 스피커(120)는 사용자의 귀 높이를 기준으로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 제1 스피커(311)와 제2 스피커(312)가 출력하는 음장 합성 신호는 구형파(spherical wave) 형태의 음압(sound pressure)을 가지므로, 사용자의 귀 높이와 다른 높이에서 음장 합성 신호를 출력하더라도 사용자에게 음장을 재생할 수는 있다.
그러나, 제1 스피커(311) 및 제2 스피커(312)와 사용자 간의 거리(321)는 제1 스피커(311) 및 제2 스피커(312)의 높이와 사용자의 귀 높이 간의 차이로 인하여 제1 스피커(311) 및 제2 스피커(312)가 설치된 장소(322)와 사용자 간의 거리(323)보다 멀게 된다. 따라서, 제1 스피커(311)와 제2 스피커(312)가 출력하는 음장 합성 신호를 들은 사용자가 청취한 음장 합성 신호의 크기는 거리(321)과 거리(323)의 차이만큼 감소하므로, 사용자는 음원이 거리(300)보다 먼 곳에 있는 것으로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장 재생 시스템은 스피커의 높이를 사용하여 스피커와 사용자, 및 음원과 스피커 간의 실제 거리를 계산하고, 실제 거리에 따라 음장 합성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스피커의 높이에 따라 사용자가 음원의 거리를 다르게 인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형 이동 거리 결정부가 파형 거리를 결정하는 과정의 일례이다.
파형이 음원의 위치(400)에서 스피커까지의 이동하는 거리 r(410)과, 스피커가 음장 합성 신호에 따라 재생한 파형이 사용자(130)까지의 이동하는 거리 l(420)의 합이 음원에서 전개된 파형이 실재로 이동한 거리인 파형의 이동 거리이다.
이때, 비 유동적인 위상 근사치(stationary phase approximation)를 사용하여 파형이 수평면인 Z 축 상에서 이동한 거리를 계산하면, 음원의 위치(400)에서 스피커까지 거리 R(411)과 스피커가 설치된 장소에서 사용자까지의 거리 L(421)의 합일 수 있다. 이때, 거리 R(411)은 r*cos(α)이고, 거리 L(421)은 l*cos(β)일 수 있다.
또한, 파형이 수평면인 Z 축 상에서 이동한 거리는 음원과 사용자 간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즉, 파형이 음원의 위치(400)에서 스피커까지 이동하는 거리 r(410)은 음원과 사용자 간의 거리 중에서 음원과 스피커 간의 거리인 거리 R(411)보다 r - r*cos(α) 거리(412)만큼 더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파형이 스피커에서 사용자(130)까지 이동하는 거리 l(420)은 음원과 사용자 간의 거리 중에서 스피커와 사용자 간의 거리인 거리 L(421)보다 l - l*cos(β) 거리(422)만큼 더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파형 이동 거리 결정부(220)는 음원과 사용자 간의 거리인 {r*cos(α) + l*cos(β)}에 파형이 스피커 높이에 따라 더 이동한 거리인 {(r - r*cos(α)) + (l - l*cos(β))}를 추가한 수학식 1을 사용하여 파형 이동 거리인 r +l을 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2043793115-pat00001
이때, 거리 r(410)는 음원과 스피커 간의 거리 R(411)과 스피커의 높이 h(430)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고, 거리 l(420)은 스피커와 사용자 간의 거리인 거리 L(412)과 스피커의 높이 h(430)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음장 합성 신호 생성부(230)는 음장 합성 신호를 생성하는 음장 합성(WFS: Wave Field Synthesis) 구동 함수의 수식에서 음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설정된 위치와 사용자(130) 간의 거리를 파형 이동 거리인 r + l로 대체하여 계산함으로써, 복수의 스피커가 다른 높이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음장을 재생하는 음장 재생 시스템에서 사용자에게 음원이 설정된 위치에 있는 것으로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장 합성 신호 생성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단계(S510)에서 스피커 식별부(210)는 음장 재생 시스템에 포함된 스피커의 높이가 사용자의 높이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스피커 식별부(210)는 사용자의 귀 높이를 사용자의 높이로 사용할 수 있다.
단계(S520)에서 파형 이동 거리 결정부(220)는 음장 재생 시스템에 포함된 스피커 중에서 단계(S510)에서 사용자의 귀 높이와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스피커의 높이를 사용하여 음원에서 전개된 파형의 이동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형 이동 거리 결정부(220)는 스피커 식별부(210)가 식별한 스피커의 높이를 사용하여 음원에서 전개된 파형이 스피커 식별부(210)가 식별한 스피커를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이동할 때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S530)에서 음장 합성 신호 생성부(230)는 단계(S520)에서 결정한 파형의 이동 거리를 사용하여 단계(S510)에서 사용자의 귀 높이와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스피커에 대응하는 음장 합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S540)에서 음장 합성 신호 생성부(230)는 음원과 사용자 간의 거리를 사용하여 단계(S510)에서 사용자의 귀 높이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한 스피커에 대응하는 음장 합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S550)에서 음장 재생 시스템에 포함된 스피커들은 단계(S530), 또는 단계(S540)에서 생성된 음장 합성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음장을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피커의 높이에 따라 파형의 이동 거리를 결정하고, 파형의 이동 거리를 사용하여 음장 합성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복수의 스피커가 다른 높이에 설치된 경우, 사용자가 음원의 위치를 설정된 위치와 다르게 인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음장 합성 신호 생성 장치
110: 제1 스피커
120: 제2 스피커

Claims (12)

  1. 음장 재생 시스템에 포함된 스피커 중에서 사용자의 높이와 다른 높이에 설치된 스피커를 식별하는 스피커 식별부
    식별한 스피커의 높이를 기초로 음원에서 전개된 파형의 이동 거리를 결정하는 파형 이동 거리 결정부; 및
    파형의 이동 거리를 사용하여 스피커에 대응하는 음장 합성 신호를 생성하는 음장 합성 신호 생성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 식별부는,
    음장 재생 시스템에 포함된 스피커 중에서 사용자의 귀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된 스피커를 식별하지 않는 음장 합성 신호 생성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이동 거리 결정부는,
    식별한 스피커의 높이를 기초로 음원에서 전개된 파형이 식별한 스피커를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이동할 때까지의 거리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장 합성 신호 생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이동 거리 결정부는,
    음원과 스피커 간의 수평면상의 거리와 스피커와 사용자 간의 수평면상의 거리에 스피커의 높이를 사용하여 파형의 이동 거리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장 합성 신호 생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장 합성 신호 생성부는,
    파형의 이동 거리를 음원과 사용자 간의 거리로 설정하여 음장 합성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장 합성 신호 생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장 합성 신호 생성부는,
    음원과 스피커 간의 수평면상의 거리와 스피커와 사용자 간의 수평면상의 거리를 음원과 사용자 간의 거리로 설정하여 음장 재생 시스템에 포함된 스피커 중에서 사용자의 귀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된 스피커에 대응하는 음장 합성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장 합성 신호 생성 장치.
  7. 음장 재생 시스템에 포함된 스피커 중에서 사용자의 높이와 다른 높이에 설치된 스피커를 식별하는 단계
    식별한 스피커의 높이를 기초로 음원에서 전개된 파형의 이동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 및
    파형의 이동 거리를 사용하여 스피커에 대응하는 음장 합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를 식별하는 단계는,
    음장 재생 시스템에 포함된 스피커 중에서 사용자의 귀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된 스피커를 식별하지 않는 음장 합성 신호 생성 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의 이동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는,
    식별한 스피커의 높이를 기초로 음원에서 전개된 파형이 식별한 스피커를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이동할 때까지의 거리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장 합성 신호 생성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의 이동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는,
    음원과 스피커 간의 수평면상의 거리와 스피커와 사용자 간의 수평면상의 거리에 스피커의 높이를 사용하여 파형의 이동 거리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장 합성 신호 생성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장 합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파형의 이동 거리를 음원과 사용자 간의 거리로 설정하여 음장 합성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장 합성 신호 생성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장 합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음원과 스피커 간의 수평면상의 거리와 스피커와 사용자 간의 수평면상의 거리를 음원과 사용자 간의 거리로 설정하여 음장 재생 시스템에 포함된 스피커 중에서 사용자의 귀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된 스피커에 대응하는 음장 합성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장 합성 신호 생성 방법.
KR1020120058557A 2012-05-31 2012-05-31 음장 합성 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719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557A KR101719837B1 (ko) 2012-05-31 2012-05-31 음장 합성 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
US13/804,221 US9454967B2 (en) 2012-05-31 2013-03-14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wave field synthesis sign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557A KR101719837B1 (ko) 2012-05-31 2012-05-31 음장 합성 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789A KR20130134789A (ko) 2013-12-10
KR101719837B1 true KR101719837B1 (ko) 2017-03-24

Family

ID=49671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557A KR101719837B1 (ko) 2012-05-31 2012-05-31 음장 합성 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54967B2 (ko)
KR (1) KR1017198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63106B (zh) * 2017-12-12 2021-07-13 长沙联远电子科技有限公司 语音识别控制方法及装置
KR102323529B1 (ko) 2018-12-17 2021-11-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복합 차수 앰비소닉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21986B4 (de) * 2003-05-15 2005-07-14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Pegel-Korrigieren in einem Wellenfeldsynthesesystem
KR100943215B1 (ko) * 2007-11-27 2010-02-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장 합성을 이용한 입체 음장 재생 장치 및 그 방법
KR101268779B1 (ko) * 2009-12-09 2013-05-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를 사용한 음장 재생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54967B2 (en) 2016-09-27
KR20130134789A (ko) 2013-12-10
US20130325476A1 (en) 201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81513B (zh) 用于将用户引导向所关注的事件的系统和方法
CN104869335B (zh) 用于局域化感知音频的技术
EP27377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udio signals
US10063974B2 (en) Speaker array for reduc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virtual sound field reproduction
US8855340B2 (en) Apparatus for reproducting wave field using loudspeaker array and the method thereof
CN101874414B (zh) 改善最佳收听区域内的声场渲染精度的方法和设备
US20180139533A1 (en) Spatially ambient aware personal audio delivery device
US1007580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JP2016502344A (ja) 協調的サウンドシステムのための画像生成
KR102062260B1 (ko)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 및 그 방법
US9769585B1 (en) Positioning surround sound for virtual acoustic presence
CN101843116B (zh) 用于声学地监控一监控区域的音频模块、用于监控区域的监控系统、用于产生声环境的方法以及计算机程序
CN105050004A (zh) 定向响应式的声学驱动器操作
US7327848B2 (en) Visualization of spatialized audio
JP2003032776A (ja) 再生システム
US20190170533A1 (en) Navigation by spatial placement of sound
JP2020053792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719837B1 (ko) 음장 합성 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
Brinkmann et al. Audio quality assessment for virtual reality
CN107743713B (zh) 处理用于在汽车中再现的立体声信号以通过前置扬声器实现单独的三维声音的装置和方法
JP5533282B2 (ja) 音響再生装置
KR20180018464A (ko) 입체 영상 재생 방법, 입체 음향 재생 방법, 입체 영상 재생 시스템 및 입체 음향 재생 시스템
JP2015065541A (ja) 音響制御装置及び方法
JPWO2013042324A1 (ja) 音響再生装置
JP3174965U (ja) 骨伝導3dヘッドホ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